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코리올리 이론에 의한 주행차량 순간 연료소비율 측정용 유량센서 개발에 관한 연구

        하재은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주행차량 순간 연료소비율은 유량이 매우 낮은 공회전 운전에서 그 1000배 이상의 유량을 연속적으로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순간 측정치를 적산하여 일정 기간 혹은 일정 거리를 주행하는 동안 소모한 연료의 양을 정확히 측정하는 일은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순간적으로 변화되는 주행 차량의 주행 모드에 따른 연료 소모량 성능을 측정하는 일은 여러 가지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이유로 주목을 받고 있는 코리올리 유량 측정센서개발에 필요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코리올리 힘을 이용하는 유량 측정기술은 지구자전으로 인해 이동하는 물체에 작용하는 지구전체적인 원심력의 영향이 움직이는 물체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르게 작용하는 것을 기초로 하여 이를 움직이는 물체의 질량에 따라 변화되는 값으로 치환하여 측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탄성 진동이 가능한 구조로 유체 입구와 출구측이 단단히 고정된 측정 튜브 (TT, Test Tube) 를 만들고 이 튜브의 입구와 출구 측에 진동 위상을 측정하는 마그네틱 픽업을 설치하고 각 센서에서 측정되는 신호를 각각 신호 1 (S1)과 신호 2 (S2) 로 측정하여 비교할 수 있게 했다. 측정 튜브는 내부에 유체가 흐르고 있기 때문에 측정 튜브를 고정하고 있는 입구와 출구 측의 고정부분을 기준으로 공진하게 하면 공진하는 튜브 유체 조합 진동체의 입구와 출구측 위상은 코리올리 작용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위상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 위상 차이의 크기는 진동체의 질량에 비례하여 커지게 되므로 위상차이를 검출하여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의 개발이 가능하다. 측정 튜브를 흐르는 유체의 속도가 빠르면 진동체의 공진 운동 작용 질량이 커지게 되고 그에 따라서 위상차이는 비례하여 커지게 된다. 공진의 발생은 유체의 측정 튜브의 입출구측 위상 신호 (S1, S2)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여 이를 측정 튜브의 중앙 위치에 설치된 드라이브 코일의 구동 전류의 증폭 기준 신호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이 구동 전류의 전압은 측정 신호 S1, 과 S2의 증폭 후 전압인 +/- 3V 정도의 신호이면 충분하였고 전원 투입 후에 별도의 가진 회로나 동작없이 쉽게 공진상태에 이르는 것을 확인했다. 이로써 모든 물체는 공진이 발생할 수 있는 조건에 따라 공진상태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입출구 부분에서 위상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 튜브의 중앙 부분에서 유체와 튜브 조합체를 공진하게 하는 드라이버 액츄에이터는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설계하였다. 즉, 진동하는 도관의 위상 신호를 취출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지점의 도관 위치에 코일과 자석을 설치하되, 각각 진동에 의해서 상대 운동을 하는 위치에 반대방향으로 운동하도록 설치하였다. 코일의 중심에 배치된 영구자석이 공진에 의해서 피스톤 운동을 하면 코일에는 정현파형의 위상 신호가 유도된다. 공진을 유도하는 장치 또한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다만, 코일에 증폭된 정현파형의 전기 신호가 전달되어 자석을 정현파형으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진동하게 한다. 이상과 같은 기본 구조를 바탕으로 내부 직경 3mm, 벽 두께 0.2 mm, 측정 튜브의 길이 250mm 의 스테인리스 스틸 세관을 이용하여 시제품을 제작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물을 유체로하여 측정한 결과 공진 주파수는 140 Hz 정도였다. 이 상태에서 물 대신 비중이 0.7 정도인 디젤이나 가솔린을 유체로 해서 공진 주파수를 측정하면 143 Hz 정도로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용하려는 유체들이 휘발유나 경유와 같이 비중이 1 이하인 경우가 대부분으로 예상되므로 비중이 1인 물을 최대치로 하고 도관이 비어있는 상태 즉 비중이 0에 가까운 상태를 최저치로 설정하고 중간의 다양한 비중의 유체들을 교체 투입하여 유체의 비중과 고유 진동수 사이의 관계를 분석해 내면 유량을 측정하는 장치로 도관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밀도를 알아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 신호 S1과 S2는 op amp를 이용하여 1000배 이상 증폭함으로써 정현파형이 구형파형으로 바꾸었다. 구형파의 두 신호를 XOR 연산 회로를 이용하여 처리하면 S1과 S2 신호의 위상차만 남고 나머지 신호는 제거된다. 시제품 평가결과 유체가 흐르지 않고 정체해 있을 때는 5 마이크로초 정도의 코리올리 신호가 얻어진다. 이 폭으로 전기 신호가 초당 140회 정도씩 발생된다. 이 상태에서 최대 유량조건 (300kg/H)으로 증가하였을 때 코리올리 신호의 폭은 15마이크로초 정도였다. 이렇게 확보한 코리올리 신호는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으로 유체의 질량 유량 신호로 변환할 수 있었다. 3. 도관과 도관에 설치된 코일 및 영구자석의 물리적 성상 (재질, 질량, 벽두께 등 형상 치수), 도관의 입출구부 고정방법 등을 조절하여 도관과 유체 조합체의 고유진동수는 300Hz 이상으로 바꿀 필요가 있음을 확인했다. 이렇게 되면 초당 취출되는 코리올리 신호의 수도 증가하게 되고 그 만큼 빠른 속도로 많은 양의 코리올리 유량 신호를 확보하게 되어 측정 정확도를 높이고 고유 진동수의 유체 밀도 변화에 따른 변화 폭도 커지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곧 고유진동수를 기준으로 하는 유체 밀도 측정 정확도의 개선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300Hz 이상으로 고유진동수를 높이면 차량 등 진동이 발생되는 장치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경우 보다 큰 폭의 진동 조건의 여유를 가지게 된다. 4. 코리올리 신호폭을 측정하여 유량 측정치로 환산해내는 기술이므로최소유량-최대유량 사이를 0.1% 등의 정확도로 측정하기 위해서는 5~15 마이크로초에 불과한 좁은 폭의 코리올리 신호를 100분할 혹은 1000분할 하여 측정해야 했다. 본 연구에서는 ARM 마이크로컨트롤러인 ATxMega 128A1 마이콤을 이용하여 이 펄스폭을 계수하도록 하였다. 사용한 마이콤의 크록 타임이 32MHz이므로 10마이크로초의 구간을 300 분할 이상으로 분해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측정 분해능이 0.3%FS 정도라는 것을 에측할 수 있었다. 5. 차량용 엔진의 실시간 연료 소모율의 연속 측정이 가능한 유량 센서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측정 분해능과 정확도, 재현성을 높이기 위해서 보다 고속의 연산 성능이 구비된 컴퓨터를 채택하고 측정 튜브의 구조를 개선하여 차량 주행 중 발생하는 차량의 고유 진동수 영역 (200Hz 이하)을 벗어나는 진동수 영역에서 고유 진동이 나타나도록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고유진동수와 코리올리 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는 유체 압력과 측정 튜브의 온도, 고유진동을 유발하는 드라이브 코일의 작용력의 방향 (전류의 방향)에 대해서도 그 영향도를 파악하고 이를 최대한 회피하는 기술을 구사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우리나라 레미콘 業界의 심비오틱 마케팅 戰略에 關한 實證的 硏究 : 共同販賣 制度를 中心으로

        하재은 濟州大學校 經營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1. Introduction These days a lot of companies are strategically tied up with their competitors as the introduction of symbiotic marketing augments little by little. Nevertheless, the growing number of remicon companies incurs price competition and dumping due to oversupply of facilities and imbalance in supply, and consequently threatens the continued existence of the industries themselves. Accordingly,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remicon industries, this paper implements empirical analysis on symbiotic marketing to improve the marketing potential of rival companies and contributes. 2. Theoretical Background in Symbiotic Marketing Adler was the first person to convey what the symbiotic marketing is in 1996, defined as the alliance of resources or programs between two or more independent organizations, designed to improve the marketing potential of each, and suggested that an alternative of effective growing strategy can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competition system that enterprise confronts. Symbiosis is divided into commensalism and mutualism. Types of Symbiotic Marketing (1) Production(Production Partnership, Sharing Production Facilities, Technical Cooperation, Joint Research & Development) (2) Marketing(Joint Merchandise Development, Joint License Acquisition, Sharing Distribution Facilities, Establishing Distribution Network, Franchising, Joint Advertising, Joint Sales Promotion, Joint Public Relations, Marketing Agreements) (3) New Joint Business(Joint Ventures, Consortium) 3. Study of Remicon Industries Remicon started with building a remicon plant in Germany in 1903, and the United States, Japan, and Korea followed on in 1913, 1949, and 1965, respectively. The characteristics of manufacturing remicon fall into time limited products, semi-manufactured products, zero-inventory products, and multi-products. Moreover, its industrial characteristics are local, seasonal, urban, customized, and physically distributional. What the numbers of business and factories nationwide rapidly increased by 2.16 times from 1990 to 2000 in 10 years, 260 to 564 and 363 to 723, respectively, caused oversupply of facilities, decline in the rate of operation, the lack of demand, consequently deepening price war against themselves. Remicon Industries point out several problems concerning the structure of supply demand, the distribution system, supply and price of raw materials, and quality, which is crucial to solve those problems by laying out a innovative schemes. 4. Empirical Analysis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managers in remicon industries nationwide participated in survey from Jan. 15, 2001 to Feb. 20, 2001 in 37 days, and 293 respondents out of 550 handed in for the study. The survey consists of 47 questionnaires, and each variable has 7 point Likert scale as a nominal scale for the analysis. The empirical analysis employs SPSS for Windows(Release 10.0) for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data and frequency distribution by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test of hypothesis applies T-test, ANOVA, and cross-tab. (1)Hypothesis H 1:Types and preferences of adopting symbiotic marketing vary in company. H 2:Expectations of initiating joint sales system differ by the size of company and the position of manager. H 3:After initiating joint sales system, the number of companies and the formation of organization vary in characteristics of companies. H 4:The perspective on an side effect of initiating joint sales system vary in characteristics of companies. H 5:Under Fair Trade Act, the grant of joint sales system vary in size of company. (2) General Analysis To permit joint sales system and magnify in remicon industries, difficulties in business administration, methods and intention of adopting symbiotic marketing, connected forms of business pools after initiating symbiotic marketing, expectations on joint sales system, the perspective on an side effect of initiating joint sales system, adoption forms and intention of symbiotic marketing by experience in joint sales system are analyzed. (3) Summary of Empirical Analysis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4) The Plan to Expand Symbiotic Marketing 1) Industry Sector Every company wants joint sales system(5.734 out of 7) and establishment of regional distribution channels. Remicon industries, especially the association of remicon industries and regional cooperatives, have to take the lead to initiate joint sales system, so that they can cooperate mutually and coexist in lieu of price competition. 2) Federation Sector In the short term, within the Fair Trade Act and Enforcement Ordinance, it should be allowed for joint sales by establishing sales corporation, the authorized price is supposed to determined for the convenience of consumers based on mutualism. In the long term, by setting up concrete research on why advanced countries, such as Japan, allow joint sales and what Japan should do, establishing new regulations on allowing joint sales is requested to revise the regulations. 3) Institution Sector Without a doubt, Fair Trade Commission should acknowledge the structural problems and solutions to resolve since 293 respondents(5.734 out of 7) highly desire to establish joint distribution network, and grant permission to establish sales corporations regionally with the limits of competitiveness so that supplier and consumers take advantage of joint sales system at the authorized price. 5.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adopt joint sales system as a tool for the development of remicon industries in Korea through symbiotic marketing. However, supplier and consumer should set up mutual agreement on price with mutualism but not commensalism, and achieve both competition and cooperation through quality control. After putting logistics, operation, and quality control together and establishing regional corporation, an unspecified number of the general public should be able to purchase remicon without a doubt at arranged price by local consumers and suppliers.

      • 생활지도원의 사회적 지지와 시설보호아동·청소년의 정서지능 및 자아탄력성 : 세 변인의 관계

        하재은 창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시설보호아동?청소년들이 지각하는 생활지도원의 사회적 지지는 어떠한지, 그리고 그들의 정서지능과 자아탄력성이 어떠한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생활지도원의 사회적 지지와 정서지능,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는 어떠한 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경남지역 총 7개의 아동양육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만12세 이상에서 만18세 미만의 아동?청소년 213명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방법은 다음과 같다. 시설보호아동?청소년에 대한 생활지도원들의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사회적 지지척도를 사용하였고, 정서지능 측정은 두 가지로 분류하였는데, 하나는 시설보호아동의 정서지능 측정을 위한 초등학교 고학년용 정서지능 척도, 다른 하나는 시설보호청소년의 정서지능 측정을 위한 청소년용 정서지능 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시설보호아동?청소년의 자아탄력성 평가를 위한 자아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 문제의 해결을 위해 사용한 통계처리방법은 시설보호아동?청소년이 지각한 생활지도원의 사회적 지지와 그들의 정서지능, 자아탄력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 통계량을 산출하고, 연구변인에 따른 차이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t검증 또는 변량 분석을 적용했다. 또 생활지도원의 사회적지지, 정서지능, 자아탄력성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로부터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시설보호아동 및 청소년들은 생활지도원의 사회적 지지를 긍정적으로 이해하고 있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시설보호아동?청소년들이 갈등적 가정이나 붕괴된 가정의 가족 못지않게 혹은 그보다 더 낮은 안정감과 위안을 얻고 있으리라 생각한다. 그러나 시설보호아동의 경우, 생활지도원의 사회적 지지 정도는 일반 가정의 아동들이 지각한 부모의 사회적 지지 못지 않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활지도원의 양육활동의 질을 반영해 주는 것으로서 이들의 사회적 지지는 시설보호아동?청소년들이 생활지도원의 보호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잘 나타낸다. 둘째, 시설보호아동?청소년들의 정서지능은 보통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는데, 오히려 일반 가정 청소년 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그 이유로써 아동들의 삶의 시련과 역경이 그들의 정서지능을 향상시키는 기회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보여진다. 셋째, 시설보호아동?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은 보통 수준 이상이었다. 이 또한 이들의 삶의 환경이 자신들의 역경을 극복하고, 적응하는 능력을 향상시켰을 것으로 이해된다. 넷째, 생활지도원의 사회적 지지는 시설보호아동?청소년들의 정서지능 및 자아탄력성과 관계가 있었다. 생활지도원의 사회적 지지가 정서지능 및 자아탄력성 발달에 기반이 되었고, 또한 생활지도원의 사회적 지지가 이 두 특성의 향상에 기여했을 뿐 아니라, 이들의 발달된 정서지능, 자아탄력성이 생활지도원과 이들 간의 관계에 상호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순환적 관계의 가능성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가정의 문제로 이탈된 아동?청소년들이 가정의 대안으로서 시설보호를 받는 경우에 있어서, 그 시설과 기관이 보여주는 아동?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아동발달에 대단히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그리고 특히 시설보호 아동?청소년을 직접 양육하고 있는 생활지도원들의 지지가 아동발달에 대단히 중요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다.

      • 통합적 국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국악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하재은 同德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통합적 국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국악에 대한 이해 및 표현, 친밀도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를 검증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통합적 국악교육 프로그램은 유아들의 국악에 대한 이해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1 통합적 국악교육 프로그램이 국악기에 대한 이해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2 통합적 국악교육 프로그램이 국악 장단의 이해와 적용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 통합적 국악교육 프로그램이 국악의 표현 활동 및 창작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3) 통합적 국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국악에 대한 참여도와 친밀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현재 국악전문교사에게 기능적 측면의 국악수업을 받고 있는 Y 유치원 만 5세 유아 56명을 대상으로 2003년 3월 25일부터 7월 16일까지 예비검사, 사전검사, 본실험, 사후검사의 순서로 총 16주에 걸쳐 실시되었다. 예비 검사를 통해 질문의 유형 및 내용을 수정한 사전검사는 총 8문항으로 테스트 후 f-test하여 가장 등질화 된 두 집단(실험집단 28명, 통제집단 28명)을 선정하였다. 16회에 걸쳐 실험집단에 통합적 유아국악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두 집단의 국악에 대한 이해도 및 친밀도를 측정하기 위해 총 44문항의 사후 검사를 1:1 면접으로 실시하였다. 사후 검사의 국악의 인지도는 개념의 특성을 고려하여 2단계 혹은 3단계로 나누어 이를 0-2점까지 점수화 하였다. 또 친밀도 검사는 유아들의 반응과 참여의 정도를 구분하여 11개 항목을 5단계로 나누어 0-4까지 점수화 하였고, 검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일주일 간격으로 4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절차에서 얻어진 결과는 SPSS 10.0 version 프로그램으로 전산 처리하여 t-test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적 국악교육이 유아의 국악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국악에 대한 이해도가 상승하고 다양한 표현을 구사함을 알 수 있었다. 또 각 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를 비교해 보았을 때 전체적인 평균점수가 향상 되었고, 연구 진행 중 관찰 기록의 변화 추이를 살펴본 바 실험 집단에서 더 높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둘째, 통합적 국악교육이 유아의 국악에 대한 친밀도 및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통합적 국악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국악에 대한 친밀도 및 참여도를 큰 폭으로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통합적 국악교육이 유아의 국악 친밀도 향상에 매우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 임을 증명한다. This research is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integrated method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program on the Young children's learning process. For this matter, it was selected to consider the followings. First, what kinds of effects does the approach have on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1. What kinds of effects does the approach have on Young children's recognition and differentiation skills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2. What kinds of effects does the approach have on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skills for the Korean traditional beat? 3. What kinds of effects does the approach have on Young children's expressive behaviors and creativity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Secondly, what kinds of effects does the approach have on the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and acceptance level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research carried out on 5 years old, 56 Young children's who are getting the conventional way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 Y preschool. It was performed from 2003 March 25th to July 16 for 16 weeks. There were 4 stages (preparation, preliminary, main, and post stage) in this research. The preliminary stage involved the selection of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28 persons each). The groups' comogeneity was proven with the T test containing 8 questions. 1:1 interviews consist of 44 questions to measure the difference on the recognition and acceptance level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conducted, after administering the education program 16 times on the test group. Considering the ambiguity of the measuring process, the scale was scored with 0,1,2 points. In case of measuring the acceptance level, the infants were scored with 0,1,2,3,4 points according to responsiveness and participation. The test containing 11 questions was administered weekly for 4 weeks to ensure the validity. The results were verified by T test after the data was process via SPSS 10.0 version. The results follows as the below. First, in the area of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approach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on Young children's recognition shows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approach had the positive influence on Young children's in improved overall scores and increased interaction with teachers. Secondly, in the area of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approach of Korean traditional music on Young children's acceptance and participation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us, it is proved that the integrated approach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significantly is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by increasing the learners' acceptance and participation.

      • 국공립병원 간호사의 신종감염병관련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하재은 건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 descriptive investigation study to identify impacts of burnout, moral sensitivity, and infection prevention environment on emerging infectious disease-related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of nurses working in national and public hospita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3 nurses working in national and public hospitals in P city, Korea specifically dedicated to fighting infectious diseases. Data was collected between May 11 and May 19, 2022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WIN 2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ubjects’ infection control related to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was 4.37±0.53 out of 5 points, burnout was 3.12±0.47 out of 5 points, moral sensitivity was 4.92±0.55 out of 7 points, and infection prevention environment was 4.13±0.56 out of 5 points. 2.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ge (F=3.75 p=.012), job position (F=7.89, p<.001), and monitoring and feedback on duffing and donn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2.91, p=.004)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ection control related to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3.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related to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was found to be correlated with burnout, moral sensitivity, infection prevention environment factors.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r=-.30, p<.001) whereas i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moral sensitivity (r=.33, p<.001) and infection prevention environment (r=.59, p<.001). 4.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factors impacting emerging infectious disease-related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were moral sensitivity (β=.16, p<.014) and infection prevention environment (β=.48 p<.001), indicating that the model was significant and its explanatory power was 37%. As a result of this study, infection prevention environment and moral sensitivity have been identified as significant factors impacting emerging infectious disease-related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of nurses working in national and public hospitals. Therefore, to increase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related to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among nurs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tinuous moral sensitivity educational programs for nurses, monitoring and feedback on donning and duff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nd customized programs considering position characteristics and administrative support of institutions to enhance infection prevention environment. key wards: national and public hospitals,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Burnout, Moral sensitivity, Infection prevention environment 본 연구는 국․공립병원 간호사의 신종감염병 관련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신종감염병 관련 감염관리 수행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전략을 모색하고자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는 2022년 5월 11일부터 5월 19일까지 P광역시 P보훈병원, P의료원 2개 기관의 감염병 전담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신종감염병 관련 감염관리 수행도를 측정하기 위해 김선주, 송라윤(2018)이 개발하고 이나연과 차지영(2021)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소진은 Pine, Aronson와 Kafry (1981)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도덕적 민감성은 Lutzen 등(1997)이 개발한 도구를 한성숙 등(2010)이 번안하여 수정, 보완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도덕적 민감성 설문지(K-MSQ)로 측정하였으며, 감염예방환경은 한은옥(2009)이 개발한 방어환경 측정도구를 안진선(2015)이 감염노출에 대한 안전환경에 관한 내용으로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WIN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multiple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의 결과를 요약하면 소진, 도덕적 민감성, 감염예방환경, 신종감염병 관련 감염관리 수행도의 정도의 결과 소진은 5점 만점에 3.12±0.47점으로 중간이상이었으며, 하부영역으로 신체적 소진 3.73±0.62점, 정신적 소진 3.04±0.50점, 정서적 소진 2.68±0.57점 순으로 나타났다. 도덕적 민감성은 4.92±0.55점으로 중간 이상이었으며, 하부영역으로 환자중심 간호 5.30±0.74점가 가장 높았으며 전문적 책임 5.28±0.67점, 선행 4.92±0.63점, 갈등 4.72±0.79점, 도덕적 의미 4.26±0.92점 순으로 나타났다. 감염예방환경은 5점 만점에 4.13±0.56점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고, 하부영역으로 손상성 폐기물 관리 4.58±0.66점, 감염 예방을 위한 정기적인 건강검진 4.40±0.71점, 예방접종 4.18±0.83점, 개인보호구 4.15±0.63점, 지침서 비치 4.10±0.77점, 병원 관리자 관심 및 지지여부 4.03±0.88점, 프로토콜의 여부 4.01±0.83점, 감염 예방교육 3.97±0.82점, 소독 및 멸균 3.75±1.06점 순으로 나타났다. 신종감염병 관련 감염관리 수행도는 5점 만점에 4.37±0.53점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고, 하부영역으로 의료폐기물처리 4.56±0.59점, 개인보호구 착․탈의 4.53±0.55점, 환경관리 4.53±0.60점, 환자 이송 및 이동 4.51±0.66점, 가족과 방문자 관리 4.48±0.63점, 검체 채취 및 관리 4.47±0.61점, 에어로졸 생성 시술 4.27±0.81점, 격리 및 보고 4.12±0.90점, 선별 3.87±0.87점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종감염병 관련 감염관리 수행도의 차이는 연령(F=3.75, p=.012), 직위(F=7.89, p<.001), 개인보호구 착․탈의 모니터링 및 피드백 여부(t=2.91, p=.004)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대상자의 소진, 도덕적 민감성, 감염예방환경과 신종감염병 관련 감염관리 수행도 간의 상관관계는 감염예방환경(r=.59 p<.001)과 도덕적 민감성(r=.33, p<.001)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소진(r=-.30, p<0.001)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대상자의 신종감염병 관련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감염예방환경(β =.48, p<.001), 도덕적 민감성(β=.16, p<.014)이 유의한 영향요인이었으며 설명력은 37%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국․공립병원 간호사의 신종감염병 관련 감염관리 수행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염예방환경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신종감염병 관련 감염관리 수행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감염예방을 위한 환경을 구축하도록 의료기관의 노력과 행정적 지지가 필요하다. 도덕적 민감성 또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기에 체계적인 윤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야 하며 일시적인 중재가 아닌 지속적인 중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