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ransport of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extracellular RNA to brain monocytes :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의 extracellular RNA가 뇌 단핵구세포로 전달

        하재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Gram-negative bacterial extracellular vesicles (EVs), also known as outer membrane vesicles (OMVs), are secreted from bacterial cells and have attracted research attention due to their role in cell-to-cell communication. During OMV secretion, a variety of cargo such as extracellular RNA (exRNA) is loaded into the OMV. The involvement of exRNAs from a range of bacteria has been identified in several diseases; however, their mechanism of action has not been elucidated. We have recently demonstrated that OMVs secreted by the periodontopathogen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can cross the blood–brain barrier (BBB) and that its exRNA cargo could promote the secre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the brain. However, it was unclear whether the brain immune cells could actually take up bacterial OMVs, which originate outside of the brain, in an appropriate immune response. In the present study, using monocyte-specific live CX3CR1-GFP mice, we visualized OMV-colocalized meningeal macrophages and microglial cells into which bacterial OMVs had been loaded and intravenously injected through tail veins. Our results suggested that meningeal macrophages uptake BBB-crossed OMVs earlier than do cortex microglia. BV2 cells (a murine microglia cell line) and exRNAs were also visualized after OMV treatment and their proinflammatory cytokine levels were observed. Interleukin (IL)-6 and NF-κB of BV2 cells were activated by A. actinomycetemcomitans exRNAs but not by OMV DNA cargo. Altogether,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OMVs can successfully deliver exRNAs into brain monocyte/microglial cells and cause neuroinflammation, implicating a novel pathogenic mechanism in neuroinflammatory diseases.

      • 후열처리 조건에 따른 고분자 태양전지의 효율특성에 관한 연구

        하재영 대구가톨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P3HT와PCBM을 기반으로 한 유기태양전지에서 광활성층의 후열처리에 대한 구조적인 특성 분석은 소자의 효율 향상을 위해 필수적이다. 다양한 열처리 조건에서 측정된 유기태양전지의 특성들 가운데 150 ℃에서 열처리된 소자는 광활성층의 구조적인 특성 향상으로 인해 electron donor와 electron acceptor 사이에서 일어나는 PICT 현상을 빠르게 진행시켜 소자내에서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되는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소자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ITO/PEDOT:PSS/P3HT:PCBM/Al 구조를 갖는 유기태양전지를 제작하고 최적화된 온도에서 후열처리된 소자는 열처리를 하지 않은 소자보다 2배 정도 효율의 향상을 보였다. 이는 P3HT와 PCBM을 기반으로 한 태양전지에서 active layer의 후열처리에 대한 공정이 필수적이라 보여지며 이는 AFM 이미지와 XRD pattern을 통해 열처리 전과 후의 이미지와 결정성을 통해 P3HT:PCBM 박막의 구조적인 특성이 소자의 효율 특성에 가장 큰 함수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150 ℃에서 열처리 전과 후의 topography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P3HT:PCBM 광활성층의 표면이 더욱 거칠어진 형상을 보인다. 이는 150 ℃에서 열처리 후 P3HT 층의 결정화로 인해 성장된 grain들과 비정질의 P3HT:PCBM 매트릭스 분산, 그리고 PCBM 클러스터의 재분포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XRD pattern에서 열처리 후 P3HT의 결정성이 보이는데 이는 P3HT의 alkyl chain의 변화에 따른 결정화 현상이며 이러한 결정화 현상은 광여기된 전하들의 원활한 이동으로 소자의 효율을 향상 시키는 주요인으로 작용한다. The organic solar cells (OSCs) has drawn enormous interest as inexpensive renewable energy sources because it has many advantages, such as a low cost production, simple fabrication methode, and light weigh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i-based solar cell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for OSCs is an improvement of the device efficiency because the relatively low efficiency is not yet sufficient for commercial applications. The efficiencies of OSCs are mainly limited by the low carrier mobility and short exciton diffusion lengths of organic. In order to increase the device efficiency, various investigations have been reported such as a postproduction treatment, morphology modification, enhancement of interface property, and the use of an optical spacer. We studied the effects of post-annealing treatment on poly(3-hexylthiophene) (P3HT, donor) : [6,6]-phenyl C61 butyric acid methylester (PCBM, acceptor) blend film as an active layer in the OSCs. For the formation of the active layer, 2 wt.% P3HT:PCBM solution in chlorobenzene was deposited by spin-coating method. In order to optimize the performance of OSCs, the P3HT crystallization and the redistribution of PCBM cluster at P3HT:PCBM composition as a function of post-annealing condition from room temperature to 200 oC were measured by the Atomic Force Microscope (AFM) images and the X-ray diffractometer (XRD) analysis. We believed that the improved efficiency in the OSCs with post-annealing treatment at 150 oC can be explained by the efficient separation or collection of the photogenerated excitons at donor-acceptor interface by P3HT crystallization.

      •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노원구 수행기관을 중심으로

        하재영 한성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 수행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활동보조인을 대상으로 직무만족요인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일반적 특성, 직무의 특성, 직업의식 등을 고려하여 어떤 요인들이 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 인가를 알아본다. 이를 통해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대안 모색하여 궁극적으로 장애인활동보조사업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노원구의 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 제공기관(복지관, 자립생활센터, 자활기관) 10개에 소속되어 활동하는 활동보조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3년 10월 28일부터 11월 15일까지 보수교육에 참여한 활동보조인을 대상으로 현장에서 설문지를 배포하고 작성된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WIN 통계프로그램 19.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t-검정, 일원분산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활동보조인의 개인적 특성은 여성이 129명으로 95.6%로 나타났다. 연령은 50대가 65명 48.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혼여부는 기혼이 129명으로 95.6%이고,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이하 109명으로 80.7%이고 2년대졸업이상이 26명으로 19.3%로 나타났다. 종교가 있는 사람이 100명으로 74.1%이고, 근무년수는 5년이상이 40명 31.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월평균 소득은 100만원이상이 73명으로 54.1%, 100만원미만이 62명으로 45.9%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특성 정도는 기관의 공정성이 평균 3.67, 직업의 안정성이 평균 3.50, 보상의 적절성이 평균 3.15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업의식 정도는 직업에 대한 가치가 평균 3.47, 직업에 대한 태도가 2.88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인활동보조인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는 성별, 학력, 종교유무, 근무기간, 월평균소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연령, 결혼여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1단계 모형1을 살펴보면 모형의 결정계수()는 .067로 모형의 설명력이 6.7%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통계량 F값이 1.845로 유의수준 p>.05으로 분석되어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개인적 특성을 통제한 후 2단계의 모형 2에서는 결정계수()가 .342로 설명력이 34.2%로 나타났고 모형1에 비해 설명력은 27.5% 증가하였다. 직무특성 중 직업의 안정성이 =.454(P<.001), 기관의 공정성이 =.219(P<.05), 보상의 적절성이 =.178(P<.05)로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통계량 F값이 8.190로 유의수준 p<.001로 분석되어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직업의식을 추가로 투입한 3단계의 모형 3에서는 결정계수()가 .439로 설명력이 43.9%로 나타났다. 모형2에 비해 설명력은 9.7% 향상되었다. 통계량 F값이 9.715로 유의수준 p<.001로 분석되어 회귀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영향력이 큰 순서대로 열거하면 직업의 안정성(=.366), 직업에 대한 가치(=.290), 기관의 공정성(=.226), 직업에 대한 태도(=.179), 보상의 적절성(=.155)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직업의 안정성이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업의식 향상을 위해서 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 업무에 대한 전문직업인으로 인식개선 및 제반 여건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업 안정성과 보상의 적절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 장애활동보조서비스 수행기관이 장애인활동보조인에 대한 평가를 공정하게 하고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서 정책에 반영해야 할 것이다.

      • 해상운임과 우리나라 농산물 수입량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하재영 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농산물 수입과 해상운임의 인과관계를 검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조업 중심의 수출주도형 경제구조를 가진 우리나라는 주요 식량자원의 공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저부가가치 화물인 농산물에 있어서 해상운임은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해상운임의 변동은 곡물 수입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농산물 수입량을 금액과 중량기준으로 봤을 때 해상운임의 변동과 인과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인과성이 어느 방향으로 흐르는지 살펴보았다. 2005년 6월부터 2020년 8월 기간의 월간 자료를 벡터자기회귀모형(Vector Autoregressive) 기반의 그랜져 인과관계 검정 결과, 우리나라의 농산물 수입량과 핸디사이즈 해상운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과관계에 있으며, 인과성은 양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농산물의 운송하는 해운시장이 수요와 공급의 변동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gricultural produce import of Korea and corresponding shipping freight rate. Since the Korea economy has pursued an export-driven growth strategy, mainly based on the manufacturing sector, the country has to depend on the vast majority of its agricultural produce consumption on import from foreign countries. Moreover, compared with other high value-added products, costs of transportation take a substantial share of the grain price, resulting in changes in shipping freight rate playing a pivotal role in determining import of agricultural produce.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s any possibl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grain imports of Korea and shipping freight rate and the directions of causality. Utilizing the monthly dataset on grain imports and handysize freight rate for the period of June 2005 and August 2020, the results present that there exists bi-directional causality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findings in this study offer a valuable implication that the shipping market for agricultural produce efficiently responds to changes in supply and demand.

      • 해방 전후(1937-1948) 주류 통제정책과 양조업의 동향

        하재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위 글은 1910년대부터 1940년대 말까지 한국인이 진출한 대표적 산업이었던 양조업의 변천사를 특히 자본의 이동에 주목하여 분석한다. 특히 해방 전후(1937-1948)의 시기에 주목함으로써 본고는 해방이 한국인 자본가들에게 끼친 영향이 어떠한 것이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식민지 시기 양조업의 성장은 총독부의 주세 증징 정책에 기인하였다. 총독부는 주세를 신설한 뒤 세입을 증징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양조업의 성장을 제도적으로 지원하였다. 이러한 정책은 조선인이 주축이 된 잉여자본이 양조업에 진출하는 기폭제가 되었다. 이렇게 양조업에 진출한 양조 자본가들은 미곡 상품화와 식민지 중반기까지 이어진 저미가 추세에 힘입어 생산량을 늘릴 수 있었다. 식민지 경제가 생산량, 세입 양 측면에서 주류에 과잉 의존하게 되자 총독부는 양조업에 대한 국가적 통제를 강화하고 세입액을 유지하려 하였다. 식민지 경제가 전시경제체제로 진입하면서 나타난 미곡 부족 현상은 양조업의 성장에 먹구름을 드리웠다. 식량난 때문에 총독부는 주세의 감소를 감수하고서라도 양조업자의 생산량을 감축시킬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높은 주류 수요와 주세에 대한 의존도 때문에 총독부는 일정량의 양조 생산은 허용하였다. 이 같은 정책으로 인해 식민지 경제에서 양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간 감소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식민지 말기까지도 유지된 양조업의 높은 생산성으로 인해 양조업자들은 양조업 이외의 산업으로 전환하기보다는 양조업 및 1차 산업 연관 업종 내에서 주로 자신의 사업을 유지하였다. 해방이 되면서 더욱 악화된 식량 사정으로 인해 미군정은 양조금지령을 포고하여 양조미의 사용을 억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 조치는 밀주의 증가 및 양조업자들의 실적 악화를 야기하였다. 때마침 엔블록의 붕괴로 해방 이전 일본에서 수입하던 소비재 공급이 단절되면서 한국 내 경공업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었다. 이에 양조업자들은 대거 제조업으로 轉業하는 양상을 보였다. 해방이 양조업자가 산업자본으로 전환하는 데 기점이 되었다는 사실을 통해, 해방이 양조업에 비우호적인 환경을 조성하였고, 반대로 소비재 제조업에는 우호적인 환경을 만들어 내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그 원인으로는 주세에 과잉 의존했던 세수 구조, 밀주 단속 체계나 미곡의 상품화 등 양조업의 호황을 가능케 했던 이점은 사라졌던 반면, 엔블록과의 단절로 제조업의 진공상태가 이루어져 제조업 전환에는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되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해방은 양조업자를 위시한 영세 자본가가 보다 기술집약적이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산업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 대학생의 진로탐색의도와 성격, 부모진로지지 및 사회인지요인의 관계 분석

        하재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relationship among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to Personality,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Social Cognitive Factors of University Student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path analysis which was based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college students in four-year universities in Korea, and the total number of four-year college students in Korea was 1,467,125 as of 2017, with 572,418 in metropolitan areas and 894,707 in non-metropolitan areas. As a result, the sample was divided into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non - metropolitan area, and the gender and major that could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rvey results were also considered in sampling. The questionnaire was used to survey the nine categories of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conscientiousness, extroversion, openness,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career decision learning experienc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outcome expectation, general characteristic. The items requiring translation of the original text were translated with the help of experts and the items requiring revised were revised. The data were collected by mail and online survey from October 1th to September 19th 2018. 54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of which 529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To identify the demographic personality of subjects and the overall level of variable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error were conducted. Also, to estimate parameters of proposed research model, path analysis was used. All data analysis was carried by R 3.6.1 and alpha level of 5% was set for determining significance.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rrec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suitable to empirical analysis on research variable. Second, social cognitive factors did affect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Third, characteristic(conscientiousness, extroversion, openness) had indirect effects on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which were mediated by career decision learning experienc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outcome expectation. Fourth,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had indirect effects on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which were mediated by career decision learning experienc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outcome expectation.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al policy uses are suggested. First, it is needed further research and policy which examine closely the impact of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and career decision learning experience on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Second, further research design need to be developed to include other variables for predicting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Third, refining measure of career decision learning experience is needed. Fourth, career counselors should improve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by increasing career decision learning experience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격, 부모진로지지, 사회인지요인 및 진로탐색의도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설은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우리나라 4년제 일반 대학의 대학생이며, 4년제 일반 대학생은 2017년 기준 한국의 4년제 대학생은 총 1,467,125명으로 수도권 572,418명, 비수도권 894,707명으로 분포하고 있다. 이에 따라 표집은 수도권 및 비수도권으로 구분하여 진행하되 설문결과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낼 수 있는 성별 및 전공계열을 고려하여 표집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진로탐색의도, 성실성, 외향성, 개방성, 부모진로지지, 진로학습경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결과기대, 일반적 특성 총 9가지 영역을 질문하는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진로탐색의도는 1요인 10문항, 성실성 1요인 10문항, 외향성 1요인 10문항, 개방성 1요인 10문항, 부모진로지지 5요인 20문항, 진로학습경험 5요인 20문항, 진로결정자기효능감 1요인 8문항, 진로결정결과기대 2요인 1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모든 영역의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이 외에 응답자 성별, 연령, 학년 및 전공계열, 학교 소재지 등을 포함한 일반적 특성은 선택형 응답과 서술형 응답형식을 혼용하였다. 조사도구 중 번안이 필요한 문항은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번안하였으며, 수정문항이 필요한 경우는 수정하여 활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8년 10월 1일부터 11월 19일 까지 우편 및 온라인을 통하여 실시되었으며 학교별 협력자 1-2명에게 약 40부 정도의 설문을 의뢰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에 사용된 통계치로는 변인의 기술통계량을 구명하기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등을 확인하였으며 경로분석 모형 적합도 및 변인간 영향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자료분석을 위하여 R 3.6.1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격, 부모진로지지, 진로학습경험, 사회인지요인 및 진로탐색의도 인과모형의 적합도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사회인지요인(진로학습경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결과기대)은 진로탐색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대학생의 성격(성실성, 외향성, 개방성)은 진로탐색의도에 사회인지요인(진로학습경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결과기대)을 매개하여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대학생의 부모진로지지는 진로탐색의도에 사회인지요인(진로학습경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결과기대)을 매개하여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의 결론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이 연구에서 설정한 대학생의 성실성, 외향성, 개방성, 부모진로지지, 진로학습경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결과기대 및 진로탐색의도 인과모형은 우리나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증자료를 대표하기에 적합하고 변인간의 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한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인지진로이론에 부합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진로결정결과기대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함께 유의미하게 진로탐색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직접경로의 경우 진로결정결과기대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보다 진로탐색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나 간접효과까지 고려하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영향력이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학습경험은 성격 및 부모진로지지의 외부적 요인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결과기대 및 진로탐색의도를 매개하는 주요한 변인으로서 작용한다. 넷째, 대학생의 성실성, 개방성, 부모진로지지는 진로학습경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진로학습경험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결과기대에 영향을 미쳐 진로탐색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후속 연구와 정책적 활용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탐색의도를 높이는 데 특히 부모진로지지 및 진로학습경험의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연구 및 정책적 활용이 필요하다. 둘째, 향후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탐색의도를 예측하는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모형 검증 및 모형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진로학습경험 척도에 대한 수정 보완이 필요하다. 넷째, 진로학습경험 및 진로결정효능감을 향상 시켜 대학생의 진로탐색의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 대기업 사무직 중년 근로자의 내재적 업무동기, 가족지지, 회복탄력성 및 경력관리행동의 관계에서 경력정체 및 경력개발지원의 조절된 매개효과

        하재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moderated medication effect of career plateau and career development support in the relationships among intrinsic work motivation, family support, resilience and career management behavior of middle aged office worker in large corporations. Following are the study's objectives :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career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areer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rkers in large companies. Second, to investigate the direct effect of intrinsic work motivation, family support on resilience and the direct effect of intrinsic work motivation, family support, resilience 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Third, to investigate the indirect effect of intrinsic work motivation, family support 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via resilience. Fourth, to investigat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career plateau in the indirect effects of intrinsic work motivation 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via resilience, and in the indirect effects of family 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via resilience. Fifth, to investigat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career development support in the indirect effects of intrinsic work motivation 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via resilience, and in the indirect effects of family 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via resilience.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the target population was set as office workers aged 45-55 years old who worked in companies belonging to enterprise group subject to limitations on mutual investment. The survey instrument for data collection was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career management behavior, intrinsic work motivation, family support, resilience, career plateau, career development support,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mong them, career management behavior, family support, resilience, and career development support were used after revising and validate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online survey from April 18 to April 27, 2022. A total of 292 data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For data analysis, Process Macro 4.0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verall, the career management behavior shows statistica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areer characteristics. The level of career management behavior was mainly high if the final education was high, if the job position was high, if the person wanted to work after retirement, if the career goal was upward movement inside the organization, and if outplacement was provided. Second, the intrinsic work motivation and family support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and the intrinsic work motivation and resilience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family support did not directly affect career management behavior. Third, the intrinsic work motivation and family support of middle-aged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via resilience.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work motivation and career management behavior was not moderated by hierarchical career plateau, and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of family support and career management behavior. Also,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upport and career management behavior was not moderated by job content career plateau. However,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work motivation and career management behavior was moderated by job content career plateau. Fifth,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work motivation and career management behavior was not moderated by career development suppor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of family support and career management behavior was not moderated by career development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presented: First, overall, the average level of career management behavior of middle-aged office workers at Large Corporationswas relatively high at 3.64,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areer characteristics. The level of career management behavior was high, mainly in the graduate school group or in the group with a high job position, and in the group where the desired career goal was upward movement within the organization. The group whose desired career goal is upward movement within the organization has a higher level of career management behavior because a clear career path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compared to the group that maintains internal stability or moves outside the organization. In addition, the level of career management behavior was higher in the outplacement provided group than in the non-provided, which shows that outplacement can promote career management behavior by providing practical help and psychological stabilit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both the intrinsic work motivation and resilience of middle-aged workers in office jobs at Large Corporationsare variables that directly affect career management behavior. Intrinsic work motivation is a goal-oriented belief related to work performance, commitment and subsequent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other tasks, so career management behavior could be strengthened. In addition, resilience, a force to overcome adversit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areer management behavior in an uncertain career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family support did not directly affect career management behavior, which is not a concept that implies a goal-oriented attitude or motivation, but a factor that forms psychological resources.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rinsic work motivation and career management behavio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upport and career management behavior. Especially, the direct effect of family support 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was not verified, but the indirect effect via resilience was verified. It is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e function of family support provides psychological stability. Fourth, the hierarchical career plateau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among intrinsic work motivation, resilience, and career management behavior, and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support, resilience, and career management behavior. This seems to have no effect of hierarchical career plateau as the majority of respondents' desired career goals are maintaining stability within the organization or moving outside the organization. They gave up upward movement or did not value it. In addition, the hierarchical career plateau appeared very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eems to be the reason why the effect did not appear. On the other hand, job content career plateau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work motivation, resilience, and career management behavior. It could promote active career management behavior in crisis, and provide time and opportunities to reflect on oneself. In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support, resilience, and career management behavior,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job content career plateau was not significant. Family support was not a self-awareness but a psychological resource provided externally, so there was no effect of job content career plateau. Fi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velopment support in the relationship among intrinsic work motivation, resilience, and career management behavior, and in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support, resilience, and career management behavior. This result can be seen as a result of the lack of career development support appropriate for middle aged worker. Further, it could be a result of the lack of career development support appropriate for the desired career goals of them. Based on the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a further study is needed on psychological factors that predict the career management behavior. Second, the group of middle-aged office workers at Large Corporationsneeds a new perspective that considers heterogeneous groups mixed according to their desired career goals. Third,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positiv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job content career plateau, and to confirm the conditions wher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shows significant. Practical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can inspire workers' intrinsic work motiv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middle-aged office workers at Large Corporationscan actively communicate with their families and exchange information, emotion, and respect. Third, the organization needs to provide career development support that can meet the career development needs of middle-aged office workers at large companies. 이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 사무직 중년 근로자의 내재적 업무동기, 가족지지, 회복탄력성 및 경력관리행동 간의 직·간접적 관계를 구명하고, 경력정체 및 경력개발지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 대기업 사무직 중년 근로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경력 특성에 따른 경력관리행동의 차이를 구명하였으며, 둘째, 대기업 사무직 중년 근로자의 내재적 업무동기, 가족지지, 회복탄력성 및 경력관리행동 간의 직접 효과를 구명하였다. 셋째, 대기업 사무직 중년 근로자의 내재적 업무동기 및 경력관리행동의 관계, 가족지지 및 경력관리행동의 관계에서 각각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고, 넷째, 대기업 사무직 중년 근로자의 내재적 업무동기, 회복탄력성 및 경력관리행동의 관계와 가족지지, 회복탄력성 및 경력관리행동의 관계에서 각각 경력정체에 의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대기업 사무직 중년 근로자의 내재적 업무동기, 회복탄력성 및 경력관리행동의 관계, 가족지지, 회복탄력성 및 경력관리행동의 관계에서 각각 경력개발지원에 의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구명하였다.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국내 대기업 사무직 중년 근로자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목표 모집단을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지정한 최근 3년 내 출자제한기업집단에 재직하는 만 45-55세 사무직 근로자로 설정하였다. 조사도구는 경력관리행동, 내재적 업무동기, 가족지지, 회복탄력성, 경력정체, 경력개발지원,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경력 특성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이 중 경력관리행동, 가족지지, 회복탄력성, 경력개발지원은 연구대상에 맞게 수정 및 타당화 작업을 거친 후 활용하였다. 자료수집은 유의표집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2022년 4월 18일에서 4월 27일까지 온라인 설문업체 리멤버서베이를 통해 진행되었다. 33개 기업의 320명 응답자료를 확보한 후, 최종적으로 27개 기업의 292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Process Macro 4.0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 사무직 중년 근로자의 경력관리행동은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경력 특성에 따라서 통계적 차이를 보였다. 최종학력이 높은 집단, 직급이 높은 집단, 퇴직 후 일 희망 집단, 희망 경력목표가 조직 내부 상향 이동인 집단, 전직지원프로그램 제공 집단에서 경력관리행동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기업 사무직 중년 근로자의 내재적 업무동기와 가족지지는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재적 업무동기 및 회복탄력성은 경력관리행동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족지지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기업 사무직 중년 근로자의 내재적 업무동기와 경력관리행동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가족지지와 경력관리행동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기업 사무직 중년 근로자의 내재적 업무동기와 경력관리행동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가족지지와 경력관리행동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는 구조적 경력정체에 의해 조절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지지 및 경력관리행동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는 내용적 경력정체에 의해서도 조절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내재적 업무동기와 경력관리행동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는 내용적 경력정체에 의해서는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기업 사무직 중년 근로자의 내재적 업무동기, 회복탄력성 및 경력관리행동의 관계에서 경력개발지원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지지, 회복탄력성 및 경력관리행동의 관계에서 경력개발지원의 조절된 매개효과도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대기업 사무직 중년 근로자의 경력관리행동 수준은 평균이 3.64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고,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경력 특성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주로 대학원졸 집단과 또는 직급이 높은 집단에서, 희망 경력목표가 조직 내부 상향 이동인 집단에서 경력관리행동 수준이 높았다. 희망 경력목표가 조직 내부 상향 이동인 집단은 명확한 경력경로가 이미 설정되어 있어 경력관리행동 수준이 높았던 반면, 조직 내부 안정 유지 집단 혹은 조직 외부로의 이동 집단의 경우 경력경로를 상실하였거나 새롭게 찾아야 하기에 경력관리행동 수준이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전직지원프로그램 제공 집단에서 비제공 집단에 비하여 경력관리행동 수준이 높았는데, 전직지원프로그램이 조직구성원들에게 실무적인 도움과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함으로써 경력관리행동의 촉진을 도모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대기업 사무직 중년 근로자의 내재적 업무동기와 회복탄력성은 모두 경력관리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내재적 업무동기는 업무성과, 몰입 및 다른 업무에도 참여하고자 하는 후속적인 의지 등과 관련된 목표지향적 신념이므로 경력관리행동을 강화한다. 또한, 심리적 자원으로서 역경을 극복하는 힘인 회복탄력성은 불확실한 경력환경에 놓여진 대기업 사무직 중년 근로자의 경력관리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다. 반면, 가족지지는 경력관리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이는 가족지지가 심리적인 자원을 형성하는 요인이지만 목표지향적 태도나 동기를 내포하는 개념이 아니기 때문에 직접적인 영향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대기업 사무직 중년 근로자의 내재적 업무동기와 경력관리행동의 관계 및 가족지지와 경력관리행동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되었다. 특히 가족지지의 경우 경력관리행동에 대한 직접적 효과는 검증되지 않았으나 회복탄력성을 통한 간접효과는 검증되었는데, 이는 가족지지의 기능이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는데 있으므로 간접적인 방식으로 경력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친 결과로 해석된다. 넷째, 대기업 사무직 중년 근로자의 구조적 경력정체는 내재적 업무동기, 회복탄력성 및 경력관리행동의 관계와 가족지지, 회복탄력성 및 경력관리행동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았다. 이는 응답자 다수의 희망 경력목표가 조직 내부 안정 유지 혹은 조직 외부로의 이동이라는 점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현 조직 내에서 수직적 상승을 포기하였거나 가치를 두지 않는 집단이기에 구조적 경력정체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구조적 경력정체는 조직 특성에 따라 매우 상이하게 나타난 점도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이유로 보인다. 반면, 내재적 업무동기, 회복탄력성 및 경력관리행동의 관계에서 내용적 경력정체는 유의하였다. 이는 내용적 경력정체가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위기상황에서 더 적극적인 경력관리행동을 촉진할 수 있었다는 점, 업무에 대한 부담을 줄여줌으로써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시간과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내재적 업무동기의 간접효과를 강화했을 수 있다는 점에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가족지지, 회복탄력성 및 경력관리행동의 관계에서 내용적 경력정체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내용적 경력정체가 자신을 돌아볼 기회를 주었다 할지라도 가족지지는 자기인식이 아닌 외부에서 제공되는 심리적 자원이므로 내용적 경력정체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대기업 사무직 중년 근로자의 내재적 업무동기, 회복탄력성 및 경력관리행동의 관계에서 경력개발지원이 조절된 매개효과와 가족지지, 회복탄력성 및 경력관리행동의 관계에서 경력개발지원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현재는 중년 근로자를 대상으로 제공되는 경력개발지원 수준 자체가 낮을 뿐 더러, 제공되더라도 희망 경력목표에 따라 세분화된 경력개발지원이 부족한 상황이기에 이런 결과가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 사무직 중년 근로자의 경력관리행동을 예측하는 심리적 요인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대기업 사무직 중년 근로자 집단은 희망 경력목표에 따라 이질적 집단이 혼재된 것으로 확인되므로 이들을 구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내용적 경력정체가 중년 근로자에게 미치는 정적인 조절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추가 검증하고, 조절된 매개효과의 유의성 조건에 대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자의 내재적 업무동기를 고취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기업 사무직 중년 근로자들이 가족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정보적, 정서적 및 존중감 지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셋째, 조직에서는 대기업 사무직 중년 근로자의 경력개발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경력개발지원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 도시 광장 이벤트에서 발생하는 혼잡구간에 관한 연구 : 광화문 촛불집회를 대상으로

        하재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2년 월드컵을 계기로 도시 내 광장은 다양한 이벤트 개최 공간으로 주목 받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대표적 광장인 광화문 광장은 월드컵 이후 교황 방문 시복미사(2014), 광복 70주년 행사(2015), 광화문 광장 촛불집회(2016-17) 등과 같은 대규모의 이벤트 장소로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광장의 긍정적 이용 사례에도 불구하고, 이벤트 과정에서 발생한 대규모의 군중은 항상 잠재적 위험을 유발하고 있다. 한정된 공간에서 과도한 인원이 밀집할 경우, 군중은 공황, 공포, 히스테리와 같은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며, 심할 경우 군중 간 충돌이 발생하여 사상자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광화문 광장 촛불 집회’에서 발생하는 혼잡구간이 도시 물리적 환경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향후 발생할 혼잡구간을 예측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광장에서 발생하는 도시 이벤트를 더욱 쾌적하고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주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군중의 광역적인 동선과 행태 분석을 위해 직접 관찰법과 참가자 인터뷰를 이용하였다. 군중의 행동 패턴을 단순화하여 분석하기 위해 군중 이벤트 모델링 순서에 따라 진입, 순환, 퇴장 순으로 군중의 체류 장소, 행태, 체류 시간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군중의 움직임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유동 인구데이터를 이용하여, 집회에서 발생한 유동인구의 흐름을 구간별·시간별로 파악하였다. 둘째, 광장 내 일어나는 군중의 혼잡구간을 판단하기 위해 군중의 상태와 밀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광화문광장 전체를 내려다볼 수 있는 장소인 한국프레스센터 18층에서 비디오 촬영을 하였고, 이후 혼잡 구간과 비혼잡 구간에 대한 분류를 하여 10m×10m 그리드에 맵핑 하였다. 연구 결과 군중의 광역적 움직임은 광장 내 혼잡구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입 과정의 경우 군중의 이용 빈도가 높은 지하철역 주변 또는 도로의 합류점·교차로 여부가 혼잡함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화문역, 시청, 종각과 같은 이용객이 많은 지하철 역사 주변과 길목의 경우 그 일대가 군중으로 인해 혼잡하였다. 또한 세종대로 사거리 및 광화문 교차로 주변의 경우 여러 경로에서 다가오는 군중의 합류로 인해 혼잡함이 발생하였다. 순환 과정에서는 군중의 움직임을 발생하는 건물이나 주변시설로 인해 혼잡함이 유발되었다. 광장 내에 진입한 군중은 이벤트를 구경하기 위해 또는 주변 상가시설을 이용하기 위해 보행 동선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동선은 광장으로 진·출입하는 동선과 충돌을 발생하여 군중의 흐름에 영향을 주었다. 퇴장 과정에서는 군중들이 귀가하기 위해 이용했던 교통수단 주변 그리고 행진 구간 시 이용했던 주요 구간에 혼잡함이 발생하였다. 광장 내 혼잡구간은 군중의 상태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름을 파악했다. 정적인 공간의 경우 광장 형태, 1층부 건물이용형태, 교통시설, 설치 시설물 등과 같은 도시 물리적 환경 요소가 혼잡함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동적인 공간의 경우 스크린, 서명운동, 전시시설, 이벤트 시설 등과 같은 목적적 요인(이벤트적)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광장 내 혼잡구간은 이용 대중교통, 보행 경로, 상업시설, 행진 경로와 같은 군중의 광역적 움직임에 그 직·간접적 원인이 있다. 따라서 향후 이벤트 개최 시 대상지의 도시 물리적 환경 분석을 통해 발생할 혼잡구간을 예측하고, 발생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행사 관련 시설을 적절히 분산시켜 배치할 것을 제안한다.

      • 도시가스 사용시설 안전점검원 및 가스검침원의 직무만족도 및 자긍심에 관한 연구

        하재영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job satisfaction and job self-esteem were higher than those given to job autonomy for job performance, and there was no conflict between members within the organization through smooth communication among employees. It was judged that the compensation system was prepared systematically. On the other hand, while the social risks increase, such as job demand stress in the face-to-face contact, job instability due to instability of employment, changing of performance benefit system due to failure to meet goals, culture of corporation, and sexual harassment. It’s our task solving those risks caused by the lack of improvement measures and countermeasures. Systematic employment, Welfare, and wage systems for Using Facility Safety Inspectors and Gasman have to come first in order to make the perfect safety inspection to give the comfort to customers, make the facilities perfectly safe, prevent the gas acci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