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국인근로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응 요인 연구

        하숙자 평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문화적응이론에서 추출한 모국문화 유지 행동, 타 국가 체류 경험, 지각된 차별감, 사회적 지지가 외국인근로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에서는 만 15세 이상 외국인(1만 3천 5백 명)과 최근 5년 이내 귀화허가자(5천 명)를 대상으로 6개 부문(기본 항목, 고용, 보건 및 정보화, 한국생활, 한국어 능력, 체류사항)을 층화단순임의 추출법으로 조사한 2018년 이민자 체류실태 및 고용조사 자료를 활용하였 다. 조사된 1만 8천 5백 명 중 단순기능인력(E-9) 2,345명, 방문취업(H-2) 1,530명, 전문인력(E-1~E-7) 442명, 총 4,3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과 위계 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외국인근로자의 모국문화 유지 행동, 타 국가 체류 경험, 지각된 차별감,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의 일반적 경향 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 t-test, Anova,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분산팽창지수(VIF)를 통해 독립변수간의 다중공선성을 확인하였 다. 마지막으로 각 변수들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독립변수의 투입 에 따라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 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 차이를 t검증 및 F검증을 통해 조사한 결과 중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령에 따른 차이에서는 청년의 평균이 가장 높고 장년이 가장 낮으며 교육 수준은 대졸 이상이 고졸 이하보다 높게 나타나서 학력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국적에서는 아시아 외 국가의 평균이 아시아의 외국인 근로자보다 높았다. 체류 자격에 따른 차이에서는 전문인 력이 가장 높고, 방문취업이 가장 낮았다. 거주 지역에 따른 차이에서는 경기·인천지역의 평균이 가장 높고, 서울의 평균이 가장 낮았으며 거처 종 류에 따른 차이에서는 기숙사가 가장 높고 일반주택이 가장 낮았다. 월평 균 임금에 따른 차이에서는 300만 원 이상이 가장 높고 200만 원 미만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서 소득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보인다. 종사산업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차이에서는 농림어업의 생활만족도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사업․ 개인․ 공공서비스․건설업, 광 제조업,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종교의 유무에 따른 차이에서 는 종교 있음이 종교 없음보다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성별, 연령, 학력, 국적, 체류자격, 종교를 통제변수로 하여 모국문화 유 지행동, 타 국가 체류 경험, 지각된 차별감,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통제변수에서는 아시아 외 국가의 외국인근로자에 비하여 아시아 국적 의 외국인근로자의 생활만족도가 낮았다. 모국문화 유지 행동에서는 모국 어 사용이 적음 집단에 비해 많음 집단이 생활만족도의 감소폭이 증가하 였다. 또한 모국인과 거주는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없었다. 타 국가 체류 경험도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직장에서의 지각된 차별감이 생활만족도를 낮추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회적 지지는 본국인의 도움이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적․실천적 함의로는 첫째, 국가에서는 외국인 근로자가 선주민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근로조건을 개선해야 하며 선주민과의 소통 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탐구해야 한다. 둘째,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제22조(차별 금지) 조항의 구체적 명시와 외국인근로자의 권리 의식의 고양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역적인 특성 을 반영한 외국인주민 정책의 기본 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외국인주민 조 직체의 구성이 필요하다. 또한 외국인 주민의 생활을 통합적으로 지지하고 권리를 보호할 수 있는 전문 기관들의 설치와 종사자들의 처우개선이 이 루어져야 한다.

      • 매체언어교육의 내용 선정 연구

        하숙자 전남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he content selection in media language education for literacy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All our utterances in communication are events. When we see meaningful events are the combination of facts and the discourses of groups, it is natural to focus that we focus discourses. When reading and writing are the processes of meaning construction and the core of meaning construction is discourse, analysis and practices of discourse are the contents of them. Meaning is systematical lines of events and it changes according to how subjects draw the lines. In other words, textual behaviors of subject who orders the events decide the intention and value of meaning construction and they are related to the purpose of education. Suppose the purpose of education is "for better life with everyone", the goal of language education should focus on textual behaviors of subjects. In spite of the reality, our traditional language education has stressed functional literacy area. Paper goal of course represents critical and creative subject shaping, but in real situation, we have emphasized accuracy, validity and efficiency of expressions rather than critical analysis and creative expressions. However when we consider that the core of media language education is communication and creative expression and critical analysis in discourse are important in meaning, media language education stands in the center of critical and creative subject shaping. Media language education today is characterized functional literacy of learning school subjects because many school subjects materials are from media texts. We analyze texts critically and exchange the meanings in communication of various media through investigating why those words are chosen and arranged and what their intentions are. It will help us have the strength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world and to have critical and cultural literacy about the world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The main content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are signs, media texts, and communication. It refers to the improvement of functional literacy, critical literacy and cultural literacy in literacy education. So the contents will be selected by feasibility, personal significance, social usefulness, and importance. The selected contents are divided into static elements and dynamic elements. Static elements include the meanings of signs, meaningful process, text structure and expression style, and communication structure and they all hav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Dynamic elements are related to psychological process of language and include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activities. Understanding activities are listening, showing and reading, and expression activities are speaking, showing, writing leading to critical understanding and creative production of text. Finally communicative elements include socialcultural knowledge and real communication. This is the process of social realization and is important factor recognizing the power of discourse through the production, distribution, consumption of media text in situation. All these elements are divided into knowledge, strategy, and communication according to various media genre and consist of curriculum, thus the contents of education are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language activity that subjects respond the text critically and produce creatively. The realization of media language education is the process that subjects recognize and analyze the media text and construct meanings by themselves, then negotiate the meanings within learning groups and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The subject becomes another meaningful former experiencing value conflict through these communicative processes. 이 연구는 의사소통의 상황 속에서 문식성 함양을 위한 매체언어교육의 내용 선정을 목적으로 한다. 모든 발화, 의사소통은 사건이다. 의미를 이루는 사건이 사실과 제 집단의 담론이 결합된 것이라고 할 때, 의미 구성 과정에서 담론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읽기, 쓰기가 의미 구성의 과정이고, 의미 구성의 핵심은 담론이라고 한다면 담론 분석과 실천은 읽기, 쓰기의 ‘내용’이 된다. 사건들의 계열체적 선(線)인 의미의 주체가 그 선을 어떠한 방향으로 그리는가에 따라 의미 구성의 내용과 방향이 달라진다. 즉, 사건을 계열화하는 주체의 텍스트적 행위에 따라 의미 구성의 방향과 내용(가치)이 결정되며, 이는 교육의 목적과 관련된다. 우리 교육의 목적이 더 나은 사회, ‘더불어 잘 살아가기’ 위한 기획이라 할 때, 이제 언어교육의 방향은 주체의 텍스트적 행위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언어활동교육은 기능적 문식성 교육에 치중되어 왔다. 겉으로 표방된 목적은 비판적, 창의적 주체 형성이지만, 실제 교육 내용에서는 맥락 속에서 구성된 의미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하기보다는 표현의 정확성, 적절성, 효율성을 강조해 왔다. 그러나 매체언어교육의 핵심이 ‘소통’이며 소통에서 결합되는 담론의 힘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하며 다양한 문화에서 의미를 구성하도록 하는 기획이라는 사실에서 매체언어교육은 비판적 창의적 주체 형성을 위한 교육의 한 복판에 서 있다. 오늘날 매체텍스트는 다른 교과 학습의 교재가 되고 있다는 점에서 볼 때 매체언어교육은 내용교과 학습의 기능적 문식성의 성격을 띤다. 또한 매체언어교육에서는 텍스트에 구현된 언어 세계를 통해 왜 그러한 언어를 선택하고 배열했는지, 그리하여 무엇을 의도하고 있는지를 묻는 과정을 통해 다양한 매체를 통해 소통되는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의미를 교환한다. 이는 궁극적으로는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과 분석할 수 있는 힘을 함양하고, 소통하는 과정으로서 비판적, 문화적 문식성 함양의 성격을 갖는다. 매체언어교육의 핵심 내용은 기호, 매체텍스트, 소통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것은 문식성 교육에서 기능적 문식성, 비판적 문식성, 문화적 문식성을 함양하는 교육의 내용과 상응한다. 이에 따라 교육 내용은 실행 가능성, 개인적 유의미성, 사회적 유용성, 중요성을 기준으로 선정된다. 선정된 교육의 내용은 정태적 요소로 기호의 의미와 의미화 작용 방식, 텍스트 구조와 표현 방식, 소통 구조이며 이들은 지식적 성격을 갖는다. 동태적 요소는 언어 심리적 과정과 관계된 것으로서 이해와 표현 활동이다. 이해 활동은 듣기, 보기, 읽기가 표현 활동은 말하기, 보여주기, 쓰기가 결합되어 텍스트의 비판적 이해와 창의적 표현 활동에서 구현된다. 끝으로 소통적 요소는 사회문화적인 지식과 소통의 실제로 구성된다. 이는 사회적 실천 과정으로서 상황 속에서 매체텍스트가 생산, 유통, 소비의 소통 과정에서 결합되는 담론의 힘을 실제적으로 인식하게 되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러한 제반 요인들은 다양한 매체별 장르를 중심으로 지식, 전략, 소통으로 나뉘어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이루며, 교육의 내용은 이해와 표현 활동으로서의 보기, 보여주기 영역에서 학습 주체가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창의적으로 생산하는 언어활동으로 구현된다. 매체언어교육의 실현태는 학습 주체가 매체텍스트를 인식하고 분석하면서 학습자 스스로 의미를 구성한 내용을 학습공동체와 다양한 문화의 장에서 소통하면서 의미를 협상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소통 과정에서 학습 주체들은 가치 충돌을 경험하면서 하나의 의미 구성자가 된다.

      • 서비스센터 직원의 개인성격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 및 서비스태도에 관한 연구 : K 항공사 서비스센터 중심으로

        하숙자 韓國航空大學校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지금까지 많은 분야에서 개인성격에 따른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최근 각 기업의 비대면 고객 접점 직원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직원 개개인의 특성 및 성격유형 부분까지 고려한 서비스품질을 연구하기에 이르렀다. 본 연구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항공사 서비스센터 직원의 성격유형이 서비스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직원의 어떤 성격유형이 직무만족도에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성격유형, 직무만족 그리고 서비스태도에 관한 문헌을 검토하고 이 이론을 기초로 연구 모델을 설계하고 가설을 설정하여 이를 검정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 서비스 센터의 고객접점근무 직원들을 대상으로 MBTI 성격유형 검사를 이용하여 개개인의 특성과 서비스 태도와의 관계 및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를 MBTI 성격유형의 기능별 지표를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담당업무에 대한 만족도는 의식・감정형(SF),직관・감정형(NF) 및 직관・사고형(NT)은 의식・사고형(ST)에 비해 담당업무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특성이 조직관련특성에 미치는 영향 중 관리자에 대한 신뢰를 나타내는 신뢰경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직관・감정형(NF)과 의식・감정형(SF)은 의식・사고형(ST)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신뢰를 나타내었다. 개인특성이 인간관련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동료와의 관계에서는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사와의 관계에서는 의식・감정형(SF)이 의식・사고형(ST)에 비해 상사와의 관계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관・감정형(NF)은 의식・사고형(ST)에 비해 상사와의 관계를 덜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관련 특성에서 동료와의 관계는 서비스지양성에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통제변인들의 영향은 성별이 여성이면서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서비스몰입에 더욱 높은 정의 영향을 미치며, 연령에 따라서는 특히 30대에서 유의하게 다르게 나타났다. 기타 통제변인들의 영향은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경력이 1년에서 5년차의 상담원이 서비스몰입에 더욱 높은 정의 영향력을 나타내었고, 직무유형에 따라서는 지원 부서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직위의 경우 차장급 이상에서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tried to research a field employee's character, its correlation to service attitude and its impact on service using MBTI characteristics functional indicators, working at airline customer service center. It is proved employees with Sensing․Feeing(SF), Intuition․Feeling(NF) and Intuition․Thinking(NT) have showed lower satisfaction on their duty than employees with Sensing․Thinking(ST) have. In the analysis of MBTI characteristics' impact on organization-related characteristics(Trust management), it is found out employees with Sensing․Feeing(SF) and Intuition․Feeling(NF) have showed lower trust than employees with Sensing․Thinking(ST) have.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he relationship with co-workers isn't significant considering MBTI characteristics's impact on human-related characteristics. However, it seems employees of Sensing․Feeing(SF) put much more importance on the relationship with their superiors than Sensing․Thinking(ST) unlike Intuition․Feeling(NF) who considers the relationship less important than Sensing․Thinking(ST). It is very noticeable the relationship with co-workers is one of the major factors impacting on service-oriented mind. It is also proved a female employee with the higher satisfaction on her duty has the more focus on services provided in analyzing demographic factors. In case of age, the 30's with higher job satisfaction showed more service-focused attitude. Considering other controled factors, this paper found that the more job satisfaction employees have, employees with 1 to 5 years of experience on their duty showed more significant service-focused attitude. Moreover, deputy directors or high-ranked people with the higher job satisfaction were seemed to be more service-oriented.

      • 사회통합프로그램에 참여한 결혼이민자의 귀화 경험

        하숙자 평택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통합프로그램을 이수하여 국적을 취득한 결혼이 민자와 이수하고도 국적을 취득하지 못한 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FGI를 시행하여, 귀화절차 경험을 연구함으로써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이 프로그램을 이수했음에도, 국적 취득 절차 중 애로점은 어떤 것들이 있어서 국적 취득이 불허 되었는지, 이 프로그램에서 어떤 점이 더 보완되어야 하는지, 그에 따른 요구 사항들을 파악하여 향후 사회통합프로그램을 통한 국적 취득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했다. 국적을 취득한 초점집단 1의 베트남, 중국 결혼이주여성 각각 1명, 키르기스탄 결혼이주여성 2명과 국적을 취득하지 못한 초점집단 2의 베트남, 중국 결혼이주여성 각각 1명과 이란, 방글라데시 결혼이주남성, 각각 1명을 대상으로 FGI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사회통합프로그램의 참여 경험에서는 초점집단 1의 연구참여자들의 사회통합프로그램의 참여 동기는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배우고 싶어서가 많은 반면, 초점집단 2의 참여 동기는 국적취득이 목적이었다. 초점집단 1에 비하여 초점집단 2는 결혼이주민으로서 국적 취득을 위한 여러 시도가 있었지만 실패하고 출입국의 권유나 친구의 권유로 이수하기만 하면 국적 취득을 위한 시험을 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고 참여한 경우가 많았다. 이수 기간은 두 집단 모두 개인의 능력에 따라서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연구참여자들 모두에게 사회통합프로그램의 내용이 너무 어려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사회이해과정은 사회, 문화 정치, 경제, 법, 역사, 지리 영역으로 구성되어 한국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소양을 함양하려는 목적으로 구성되었지만, 외국인에게 갑자기 너무 어려운 단어들이 많아서 나이, 직업, 학력, 개인의 능력에 따라서 이수 단계를 조정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었다. 한국어 교육은 두 그룹 모두에게 실생활에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귀화절차의 경험에서는 초점집단 1은 사회통합프로그램을 이수했기 때문에 국적 서류 접수 시에 제출 서류가 간단한 느낌을 받았고 면접 시험을 보지 않기 때문에 시간이 단축되었다고 보았다. 사회통합프로그램을 이수하면서 국적신청 서류에 대한 정보를 많이 들어서 여행사를 통하지 않고 개인이 서류를 했기 때문에 비용도 절감할 수 있었다고 한다. 어려웠던 점은 초점집단 2에서 많이 제기했는데 국적 취득에 성공하지 못한 이유는 사회통합프로그램과 무관한 내용들이다. 벌금이나 과태료, 미등록 상태의 전적 때문에 국적 취득이 어려운 것으로 보고 있으며 서류 준비는 배우자의 지지나 본국에서 가족이 잘 준비해 주는 것도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셋째, 국적 취득에 도움이 되는 사회통합프로그램이 되려면 운영 시간에 국적 체류 상담제 때나 다문화사회전문가를 통하여 필요서류를 천천히 제출하는 것과 스스로 공부해서 종합평가를 보게 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무조건 공부만 하게하고 이수증을 주는 것보다 직장에 다니는 사람은 기부 실적으로 수업 시간을 인정해 주어서 국적 취득 절차를 간단하게 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보았다. 결혼이민자가 오랜 기간 국적을 취득하지 못했을 때는 남성결혼이민자의 경우 신분의 불안정으로 인하여 취업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는 주택 구입, 자녀 양육, 생계의 어려움의 문제를 수반할 수 있고 여성결혼 이민자의 경우도 한국 국적을 받을 때까지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는 안전한 체류와 독립적 권리를 보장받을 수 없으며, 자녀가 성장하면서 외국인인 엄마로 인해 받게 되는 놀림이나 어려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할 수 있다. 첫째, 사회통합프로그램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필요하다. 사회통합프로그램은 이수를 하면 국적을 자동으로 주는 것이 아니라 거주기간, 나이, 품행, 재정능력, 기본소양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을 정확히 안내할 필요가 있다. 출입국이나 친구나 지인의 안내를 받고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사회통합프로그램을 하면 무조건 국적을 받을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국적 취득이 목표였던 초점집단 2의 성원들이 그렇게 인식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단지 기본 소양 부문의 혜택을 받을 뿐임에도 부분을 전체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어렵게 이수완료를 하고도 다른 요소가 미비함으로 인해 국적을 취득하지 못하는 경우에 크게 좌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정보 제공자들은 정확하게 국적 취득을 위한 다른 요소들의 구비를 정확히 인지시킬 필요가 있다. 국적 취득에 성공하지 못한 결혼이민자들은 사회통합프로그램 외적 문제들 때문에 국적 취득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던 것이다. 둘째, 결혼이민자가 입국할 때부터 사회통합프로그램에 참가하여 이수 완료 했을 때 법정 체류기간인 2년이 채워지도록 하여, 자동으로 국적 취득의 절차가 시작되도록 해야 한다. 이는 개인별 차이를 없애고 공평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이기도 하다. 필요서류는 2년 안에 혼인의 유지에 변동이 생겼을 경우를 제외하고는 입국 시 제출되었던 서류들로 간단히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업무들은 국적 상담제나 다문화사회전문가들을 통하여 진행할 수 있다. 다문화사회전문가들이 운영기관에 사회통합프로그램 운영요원으로 배치되어 5단계 한국사회이해 과정 진행 시나 국적 체류 상담 시, 국적 체류 서류를 접수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사회통합프로그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사회통합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이민자들의 특성을 파악하여 수요자 입장에서 교육내용이 구성 및 운영되어야 한다. 사회통합프로그램의 내용에 있어 일괄적으로 교육 단계를 진행할 것이 아니라 현재 비자에 따라 적정 이수단계가 지정되어 있는 것처럼 결혼이민자도 나이, 직업, 학력, 개인의 능력에 따라 이수 단계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본국에서도 이해력이 떨어져서 학습이 어려운 자가 외국에 와서까지 어려움을 당하며 삶의 질이 저하가 된다면 바람직하지 못하다. 학습은 능력에 맞게 해야 능률이 오를 수 있는 것이다. 끝으로 10년 이상 혼인이 지속되었을 경우는 사회통합프로그램을 이수했을 경우, 다른 조건을 따지지 않고 국적을 취득하게 하여서 결혼의 안정성이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들 모두 이미 결혼이 성사되었고 쌍방의 국가가 인정한 상황이며 일정기간(10년 이상)의 혼인의 지속성만 있다면 사회통합프로그램 이수만으로 한국사회에 충분히 통합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혼인한 지 오래 되었는데도 재정능력의 어려움으로 국적 취득을 하지 못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 동화역할극이 3세유아의 정서인식에 미치는 영향

        하숙자 중앙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아들이 말하고, 놀고, 계획하고, 쓰고, 심지어 다툴 때에도 정서는 언제나 작용한다. 만3세에 접어들어 유아는 자기 통제적이며 문화적인 양식의 인간 모습을 보여주기 시작하며, 민감하고 풍부한 감정의 정서 상태, 자신의 생각을 나타내려는 의지, 사회적 존재로서의 자아를 인식하기 시작한다. 최근 여러 연구자들은 유아기가 정서적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시기이므로 정서발달을 강조하는 최적기라고 주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만3세의 유아가 동화역할극을 통해서 정서인식에서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그 정서인식이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 가를 알아보는 것이며, 동화를 듣고 난 후 동화역할극에 참여한 실험 집단과 단순히 동화만 듣고 역할극에 참여하지 않은 비교 집단의 유아들과의 사이에 정서 인식에서 어떤 차이점을 보이며, 유아의 정서인식은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를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 결과는 동화역할극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만3세 유아가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정서를 더 잘 인식하고 특히 기쁨, 무서움, 슬픔의 정서 인식의 이해 및 표현 능력에서도 차이점을 보였다. 그러나 화남, 사랑스러움에 대한 정서인식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특히 기쁨, 무서움, 슬픔의 정서인식은 실험 집단과 비교집단과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보아 동화역할극을 통해서 정서인식의 차이 및 변화가 있음을 확인시켜주며, 또한 부정적인 인식에서 긍정적인 인식으로 정서인식의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researcher attempts to describe the emotional awareness of 3-year-old infants through the dramatic activity, and also aims to show the differences in the changes in emotional awarenes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lays their roles after listening to the fairy tales and the comparative group which only listens to the fairy tales. First, this paper introduces the necessity for this thesis. Then the previous research, the scope of analysis and the definitions of the terminology are stated. The importance of emotional awareness and its theoretical background are studied. Emotional awareness ability has recently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the emotional development program, Through this program infants can be adapted to their environments and their communities. The paper also deals with how the dramatic activities affect the differences in the emotional awareness in 3-year-old infants. Second, Emotional Awareness is composed of two components,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Recognition of what infants are feeling means that infants acknowledge the significance of some event, which may also be an interpersonal transaction. Infants' emotional response provides them with crucial information : The event is rendered meaningful by their emotional reaction. Therefore infants become aware of the possibility of multiple emotions(e.g.,anger, delight, sadness, fright, feeling of love) experienced virtually simultaneously or in rapid oscillation as the infants consider different aspects of the person or situation with whic they are dealing. Third, the discussion is entirely devoted to the analysis of data with a view to describ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by t-test using SPSS/PC. Fourth, the answers to the questionaire translated and revised by Wintre and Vallance(1994) are analyzed. This questionaire consists of 5 items, anger, delight, sadness, fright and feeling of love In conclusion, the statistics indicate that the infants who participate in the dramatic activities(experimental group) show more understanding of the 5 given situations than the other infants(comparative group) and also they can indeed be responding emotionally Lastly, it is hoped that in this field further systematic studies and experimental research will be much done to develope new methods which improve emotional programs for inf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