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복합 표본자료 기반 인과효과 추정을 위한 역확률 가중치 방법 :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하나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보건 분야에서는 국민의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설립의 근거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 복합 표본조사 설계를 기반으로 한 대규모 표본조사가 널리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복합 표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역확률 가중치(Inverse Probability Weighting) 방법에 표본 가중치를 적절하게 적용하는 방법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역확률 가중치 방법은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번째는 성향점수를 추정하는 단계이고, 두번째는 추정한 성향점수를 이용하여 모집단에 대한 인과효과를 추정하는 단계이다. 첫번째 단계에서 선행연구들의 접근 방식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고,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시 고려사항과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각 단계에서 표본 가중치 고려여부에 따라 4가지 조합의 시나리오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 하에서 모집단 평균 처치효과(Population Average Treatment Effect)의 추정치를 비교하기 위해 모의시험과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분석을 수행하였다. 모의실험 결과에 따르면 성향점수를 추정하는 첫번째 단계에서 표본 가중치를 고려하는 여부와 관계없이 두번째 단계에서 이를 고려할 때 좋은 성능을 보였다. 더 나아가, 두 단계 모두 표본 가중치를 고려하는 방법이 표본에 선택될 확률과 처치가 의존하는 정도와 관계없이 가장 강건함을 확인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의 표본 가중치는 무응답 보정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처치와 표본 선택이 항상 독립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가능하면 역확률 가중치 방법의 두 단계 모두 표본 가중치를 고려하는 방법으로 분석하는 것을 권장한다. 만약 이들이 독립이라면, 성향점수 추정 모델에 표본 가중치를 고려한 것과 하지 않은 결과가 비슷하므로 이를 통해 민감도 분석을 진행해보는 것도 추천한다. In the field of public health, large-scale surveys based on complex survey designs are widely conducted to be used as fundamental data to formulate health polici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sample weights might be incorporated into Inverse Probability Weighting (IPW) methods using data from complex survey design. IPW method consists of two stages. The first stage involves to estimate the propensity score (Stage 1) and the second stage uses the propensity score to estimate the causal effect on the population (Stage 2). We attempt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various approaches of precious studies in the first stage. We also try to propose considerations and recommendations when analyzing data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here are four possible scenarios depending on whether sample weights are considered at each stage. To compare the Population Average Treatment Effect (PATE) estimates under such scenarios, simulation studies and data analysis using KNHANES data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simulation studies under the scenarios, sample weights included in Stage 2 performed well regardless of whether they were considered in Stage 1. Furthermore, it is robust to consider sample weights in both Stages 1 and 2 regardless of how much the probability of selection for the sample depends on the treatment. Treatment and sample selection are not necessarily independent since non-response corrections are considered when generating sample weights from the KNHANES data. As a result, it is recommended to use a method that incorporates the sample weights in both stages. If the treatment and selection are independent, results are similar whether or not the sample weights are considered in Stage 1. For that reason, it is suggested to conduct a sensitivity analysis.

      • Effect of long-term exposure to bezafibrate on steroidogenesis and reproduction of Japanese medaka(oryzias latipes)

        하나영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Fibrates are commonly used lipid regulator to control hypercholesterolemia in humans, and have been frequently detected in the freshwater environment. Bezafibrate is one of lipid regulators and has been detected in streams at up to 202.7 ng/L. While lipid regulation may lead to altered steroidogenesis, endocrine disruption potential of bezafibrate in aquatic non-target organisms has not been well documented. Present study aimed to understand ecological risks of this lipid regulator, and to identify potential endocrine disruption and related mechanisms. The PNEC is the concentration below which exposure to a chemical is not expected to cause an adverse effects. The MEC is the detecion levels found in environmental sample. The PNEC value of bezafibrate was calculated at 2.3 μg/L and hazard quotient (HQ) based on PNEC and MEC values was estimated at 0.09. Following long-term (135 day) exposure of Japanese medaka (Oryzias latipes) to bezafibrate (0.01, 0.1, 1, 10, or 100 mg/L), reproduction performance of the fish, e.g., number of eggs, hatchability, and hatching time, was affected. Such changes were accompanied by sex hormone alterations, i.e., significant E2 increase in female and decreasing T in male fish, at 165 days post-hatching (dph). Changes in sex hormone concentrations were supported by regulational changes of several steroidogenic genes. In gonads, steroidogenic genes such as star, 3β-hsd, cyp11b, and cyp19a showed up-regulation following the exposure. Bezafibrate appears to regulate lipid metabolism, as suggested by up-regulation of ppara1, ppara2 gene expression were observed in both male and female fish. However, plasma cholesterol levels were only reduced in male fish following the exposure. Increased steroidogenesis following long-term bezafibrate exposure in fish is different from the observations of the 30 day early life stage exposure and other previous reports. Our observations clearly show that long-term exposure to this lipid regulator can stimulate steroidogenesis among aquatic non-target species and increase estrogenicity that could lead to changes in reproduction.

      • 빈곤 아동 스마트폰 의존의 요인에 관한 연구 :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을 중심으로

        하나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factors that determine a child’s dependence on a smartphone, as well as the relative influence of factors that determine a smartphone’s dependence on sex, grade and family composition. To this end, factors that determine smartphone dependence based on ecological perspectives were composed of individual, household and community factors, respectively. In 2018, the Daegu Support Group of the Community Children’s Center used the data of 511 poverty children in the first to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s secondary data to conduct technical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martphone dependency among poverty children was higher than that of ordinary children,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martphone dependency depending on grade, gender and family composit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smartphone dependency,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ention deficit, depression, aggression, academic performance, neglectful foster care, abusive foster attitude, discrimination experience, teacher support, peer support, and community life adaptation factors. Second, the personal factors that determine the dependence of poverty children on smartphones have shown attention deficit and depression throughout the target children. By group, attention deficit and depression in boys, attention deficit and depression in girls, attention deficit and depression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ention deficit and depression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attention deficit and depression in both the children of a two-parent family and the children of broken family are factors that determine smartphone dependency. Third, household factors that determine the dependence of poverty children on smartphones were found to be abusive and negligent child-rearing attitudes throughout the target children. By group, negligent child-rearing attitudes in boys, abusive child-rearing attitudes in girls, negligent child-rearing attitudes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usive and negligent child-rearing attitudes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negligent child-rearing attitudes in the children of a two-parent family, abusive and negligent child-rearing attitudes in the children of broken family are factors that determine smartphone dependency. Fourth, community factors that determine poverty children’s dependence on smartphones were found to be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daptation of community life, and support of teachers throughout the target children. By group,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daptation of community life and support of teachers in boys,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adaptation of community life in girls,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daptation of community life and support of teachers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support of teachers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in the children of a two-parent family,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daptation of community life and support of teachers in the children of broken family are factors that determine smartphone dependency. Fifth,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factors, personal factors, household factors, and community factors that determine the dependence of poverty children on smartphones were found to be grade, attention deficit, depression, negligent child-rearing attitudes and adaptation of community life. Based on the main results of these studies, suggestions for preventing and solving children’s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percentage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risk groups for poor children is relatively larger than for ordinary children, smartphone over-dependence prevention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To effectively intervene, a systematic suppor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by organically linking public institutions, schools, related agencies and communities with Community Children’s Centers at the center. In addition, in order to enhance effectiveness, the ability of Community Children’s Center workers should be enhanced to properly intervene in children who are dependent on smartphones and to teach and manage how children can make good use of smartphones. Second, Public intervention in the area of children's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should be extended to the low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find out dangerous smartphone overdependence groups and to engage in therapeutic intervention. Because of the high effectivenes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prevention education for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should be allowed to actively carry out preventive education programs for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since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is constantly under-aging, policy support for smartphone over-dependence should be extended to children in the future to children as well. Third, The involvement of poor children in smartphone-dependent issues should be operated as individualized personal and collective programs according to grades, gender and family composition. In order for such individualized interventions to take place in the practice area, various intervention programs must be developed. The intervention of poor children in smartphone over-dependence risk groups should be provided with appropriate hospital treatment, counseling, parenting education and crisis intervention in the context of case management. Fourth, When depression and attention deficit develop in poor children or problems arise in children due to parental neglect of care, it is necessary to keep in mind the active involvement of these problems and their dependence on smartphones. Since children's person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affect peer relationships and social life adaptations, our society needs to intervene more actively to minimize the experience of children being maladjusted to community life. (국문초록) 본 연구는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을 결정짓는 요인을 살펴보고, 더불어 성별, 학년, 가족구성형태에 따른 스마트폰 의존을 결정짓는 요인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생태학적 관점에 기반하여 스마트폰 의존을 결정짓는 요인을 각각 개인, 가정, 지역사회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는 2018년 지역아동센터 대구지원단에서 대구지역 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을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 자료 중 초등학교 1~6학년의 빈곤 아동 511명 데이터를 2차 자료로 활용하여 기술통계와 독립표본 T-검정,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수준은 일반아동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 성별, 가족구성형태에 따라 스마트폰 의존의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의존수준에 따라 주의력결핍, 우울, 공격성, 학업수행능력, 방임적 양육태도, 학대적 양육태도, 차별경험, 교사의지지, 또래의지지, 공동체생활적응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빈곤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을 결정짓는 개인요인은 대상 아동 전체에서는 주의력결핍, 우울로 나타났다. 집단별로는 남학생은 주의력결핍, 여학생은 주의력결핍과 우울, 초등저학년은 주의력결핍, 우울, 초등고학년은 주의력결핍, 우울, 학업수행능력, 양부모가정과 조손 및 한부모가정 모두에서 주의력결핍과 우울이 스마트폰 의존을 결정짓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빈곤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을 결정짓는 가정요인은 대상 아동 전체에서는 학대적 양육태도, 방임적 양육태도로 나타났다. 집단별로는 남학생은 방임적 양육태도, 여학생은 학대적 양육태도, 방임적 양육태도, 초등저학년은 방임적양육태도, 초등고학년은 학대적 양육태도, 방임적 양육태도, 양부모가정은 방임적 양육태도, 조손 및 한부모가정은 학대적 양육태도, 방임적 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의존을 결정짓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빈곤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을 결정짓는 지역사회요인은 대상아동 전체에서는 차별경험, 공동체생활적응, 교사의지지로 나타났다. 집단별로는 남학생은 차별경험, 공동체생활적응, 교사의지지, 여학생은 차별경험과 공동체생활적응, 초등저학년은 차별경험, 공동체생활적응, 교사의지지, 초등고학년은 차별경험과 교사의지지, 양부모가정은 차별경험, 조손 및 한부모가정은 차별경험과 공동체생활적응, 교사의지지가 스마트폰 의존을 결정짓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빈곤아동의 스마트폰 의존을 결정짓는 인구사회학적요인, 개인요인, 가정요인, 지역사회요인은 학년, 주의력결핍, 우울, 방임적 양육태도, 공동체생활적응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 중 주요결과를 토대로 아동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 아동은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의 비율이 일반아동보다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 및 치료적 개입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효과적으로 개입하기 위해서는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에 두고 공공기관, 학교, 유관기관, 지역사회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체계적인 지원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더불어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역량 강화를 통해 스마트폰에 과의존된 아동에 대한 적절한 개입과 아동이 스마트폰을 잘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치고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아동의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에 대한 공적인 영역에서의 개입을 초등학교 저학년으로 까지 확대하여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발굴과 치료적 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초등학교 저학년은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 교육의 효과가 크기 때문에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 교육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지속적인 스마트폰 과의존 저연령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향후 유·아동에게 까지 스마트폰 과의존 개입을 위한 정책적인 지원이 확대되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빈곤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문제 개입은 학년, 성별, 가족구성형태에 따른 개별화된 개인 및 집단프로그램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실천영역에서 이처럼 개별화된 개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양한 개입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에 속한 빈곤 아동의 개입은 사례관리 차원에서 적절한 병원치료, 상담, 부모교육, 위기개입 등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빈곤 아동에게서 우울 및 주의력결핍이 발현되거나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로 인해 아동에게서 문제가 발생할 때,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과 함께 스마트폰 과의존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아동의 개인 심리·정서적 문제는 또래 관계나 공동체생활적응 등에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아동이 공동체생활에 부적응하는 경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우리 사회가 좀 더 적극적으로 개입할 필요가 있다.

      • 가구디자인에 있어서 소재에 따른 형태변화에 관한 연구 : 의자(椅子)를 중심으로

        하나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in the saturated market, there are many chair designs with the form of diversity and personality, because it is that a designer an image and deduce newer form according to the material selective standard. A shape can be exist as the certain from. Because it is that, in the process of design, a designer forms a certain structure throughout his own idea or sensible thinking, and naturally creates the form, while considers a match for the material. If, in the chair design, the form is determined before the material is selected, a good design will be never made. Because, in the creation of the form, if a designer does not understand the accurate material character, he will be run up against the structural side, then finally he can't make the chair that he wants. Individual understanding of the creative material broadens the understanding range of the form, and the discovery of each material helps understand the form deep. A material and form are different elements. But, in the process of design, they should be progressed with one factor for the material change may influence the form. Therefore, the beautiful shape is existing with the close relation between the material and the form, and a designer must realize that to use the material efficiently is to create the best form.

      • 학대피해아동을 위한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연구 :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

        하나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systematically examined group programs for child abuse victims and analyzed factors influencing treatment effectiveness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outcome variables for each group program. Based on the selection criteria of PICOS(Participants,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Study designs), a total of 31 articles (17 theses and 14 journal papers) were selected as the main focus of the study. The study examined the overall effect size and effect size according to moderating variable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group programs for child abuse victims in terms of positive psychological development was found to be high, with an SMD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of 1.48. In terms of sub-variables, self-control (1.82) and self-esteem (1.22)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s. Regarding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moderating variables, programs conducted once a week showed a higher effect than those conducted twice a week, and in terms of the type of abuse, single abuse showed a higher effect than multiple abuse. Other moderating variables did not show significant influence. Second, the overall effect size of group programs for child victims of negative psychological development was also found to be high, with an SMD of -1.11. In terms of sub-variables, stress (-1.49), internalization (-1.46), and problem behavior (-0.82)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s. In terms of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moderating variables, out of the protective types, foster care showed the highest effect. Regarding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type of abuse, multiple abuse showed a higher effect than single abuse, and in terms of publication type, journal papers showed a higher effect than theses. Other moderating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 Third, the overall effect size of group programs for social development was found to be high, with an SMD of 1.72. In terms of sub-variable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1.73)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Regarding moderating variables, facility care showed a higher effect compared to other types of protective care, and artistic media showed a higher effect compared to other types of media used in the programs. Furthermore, journal papers showed a higher effect than theses in terms of publication type, and programs conducted once a week showed a higher effect than those conducted twice a week. Other moderating variables did not show significant influ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posed. First, group programs for child victims of abuse are effective in treating and alleviating the aftermath of child abuse experiences, so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group programs for psychological support of child abuse victims. Second, when implementing group programs for child victims of abus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measurement items of the "Child Mental Health Scale for Child Victims of Abuse" to ensure consistent measurement of intervention effects. Third, when conducting group programs for child victims of abuse residing in temporary care facilities, special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participant-centered approaches rather than provider-centered approaches. Fourth, specialized group programs for child abuse victims should be modularized and widely disseminated, requiring active program development. This study has limitation in that it focused on existing domestic research on child abuse victims, which restricts the generalizability of the finding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future research to investigate the integrated intervention effects of group programs targeting a broader range of variables and therapeutic environment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 Keyword: Child Abuse Victims, Group Programs, Psychological Development, Social Development, Systematic Review, Meta-Analysis 본 연구는 그동안 이루어진 국내 학대피해아동을 위한 집단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선행연구에서 제시하는 집단프로그램 개입의 효과크기를 메타분석을 통해 객관적으로 종합하여, 다양한 집단프로그램의 결과 변인에 따른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구체적인 치료 효과와 치료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위논문, 학술지 논문들을 PICOS(Participants,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Study designs) 선정기준에 맞추어 최종 선정된 31편(학위논문 17편, 학술지 논문 14편)을 중심으로 전체효과크기와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대피해아동을 대상으로 한 집단프로그램의 정적 심리적 발달 효과크기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보았을 때, 전체효과크기는 SMD=1.48로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에 해당하며, 하위변인별로는 자기통제능력(1.82), 자아존중감(1.22) 모두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로 자기통제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각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주당 프로그램 진행 횟수가 주 1회 진행이 주 2회 진행보다 높은 효과를 나타냈고, 학대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는 단일학대가 중복학대보다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그 외 조절변인의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대피해아동을 대상으로 한 집단프로그램의 부적 심리적 발달 효과크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보았을 때, 전체효과크기는 SMD=-1.11로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에 해당하며, 하위변인별로는 스트레스(-1.49), 내재화(-1.46), 문제행동(-0.82) 모두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로 스트레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각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보호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는 원가정보호가 다른 보호유형보다 높은 효과를 나타냈고, 학대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는 중복학대가 단일학대보다 높은 효과를 나타냈으며, 출판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는 학술지 논문이 학위논문보다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그 외 조절변인의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대피해아동을 대상으로 한 집단프로그램의 사회적 발달 효과크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보았을 때, 전체효과크기는 SMD=1.72로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에 해당하며, 하위변인별로는 대인관계(1.73)가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를 나타냈으나 사회적응은 효과크기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보호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는 시설보호가 다른 보호유형보다 높은 효과를 나타냈고, 프로그램 활용 매체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는 예술 매체가 다른 유형의 매체보다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출판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는 학술지 논문이 학위논문보다 높은 효과를 나타냈고, 주당 프로그램 진행 횟수에 따른 효과크기는 주 1회 진행이 주 2회 진행보다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그 외 조절변인의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대피해아동을 위한 집단프로그램은 아동기 학대 경험으로 인한 후유증 치료 및 완화에 효과적이므로 학대피해아동의 심리지원에 집단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대피해아동에게 집단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경우 개입의 효과가 일관성 있게 측정될 수 있도록 ‘학대피해아동 마음건강척도’의 측정항목에 대한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셋째, 학대피해아동을 위한 집단프로그램은 일시보호시설의 아동을 대상으로 수행할 때 특히 제공자 중심이 아닌 참여자 중심의 특별한 고려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넷째, 학대피해아동을 대상으로 특화된 집단프로그램이 모듈화되어 보급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학대피해아동을 위한 국내 기존 연구의 한계점이 존재하여,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 시키는 데에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논의하였다. 향후 더 다양한 변인들과 치료적 환경들을 포함한 국내외 집단프로그램 개입 효과를 통합적으로 메타분석 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주제: 아동학대, 집단프로그램, 심리적 발달, 사회적 발달, 체계적 고찰, 메타분석

      • 달크로즈의 이론을 적용한 음악 개념 이해도 향상 프로그램 개발

        하나영 경인교육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lessons·learning information to practical use effectively for teachers to teach the Music concept by development·application and verification of its effect for improvement of Music concept comprehension based on Music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4th grade and Dalcroze's Music education. First of all, it is examined the definition and importance of Music concept, Dalcroze's Musical education method from related literature or previous thesis. In order to check the improvement progress of Music concept comprehension. Music concept comprehension improvement program is developed based on Dalcroze's 34 levels, textbook theme music in the curriculum and before after check list is made out. Music concept comprehension of current students is checked by before check list and class model applied with Dalcroze's theory is progressed 20 minutes in total 20 times. After applying it to the class, music concept comprehension progress and attitude is measured through atrer check list. This study is proceeded with 33 students in 4th grade from Y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uwon, Korea. Music concept comprehension of students is measured through before check list and developing program is applied to the class time and morning self-control class 4times per week for 5weeks. Once application of program is done, after checking the check-list, statistics is analysed by SPSS and music concept comprehension improvement progress is measured. Also, it is checked how musical attitude of students is changed. Accordingly, statistics is analysed by music concept comprehension improvement progress and attitude change about music. After statistics of all students is done, statistics of music concept comprehension and attitude change by gender and school score is processed. As a result of analysis of statistics, it is found that music concept comprehension of all students is improved and in terms of gender, both girls and boys are improved, but the boys show higher improvement. Both high scored students and low scored students show music concept improvement, but low scored students have higher degree of improvement. Additionally, after application of program, musical attitude is more positive and confidence.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 It is found that program in application of Dalcroze's theory influences the music concept comprehension improvement in positive way. Music concept class should be processed by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arious problem which students can accept the music concept in pleasant and active attitude through physical activity. There is change on the reaction of the student by various physical activity. Students who felt embarrassed and shy are getting confident and pleased. As being shown on the students, teacher's report, music study through physical activity influences positively to improve the concept comprehension and study attitide.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음악 교육과정과 달크로즈의 음악교육 이론을 토대로 음악 개념 이해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교사들이 음악 개념 지도를 하는 데 있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수 ․학습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음악 개념의 정의와 중요성, 달크로즈의 음악교육 방법을 관련 문헌이나 선행 연구논문에서 고찰한다. 음악 개념 이해력의 향상도를 알아보기 위해 달크로즈의 34단계, 교육과정 내의 교과서 제재곡을 중심으로 음악 개념 이해도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음악 개념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한 사전, 사후 검사지를 작성한다. 사전 검사지를 통해 현재 학생들의 음악 개념 이해도를 측정하고, 달크로즈의 이론을 적용한 수업 모형을 단계별로 20분씩 총 20차시로 개발한다. 수업 적용 후 사후 검사지를 통해 음악 개념 이해도 향상 정도와 태도 변화를 측정한다. 본 연구는 수원에 위치한 Y초등학교 4학년 학생 총 33명을 대상으로 한다. 사전 검사지로 학생들의 음악 개념 이해도를 측정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는데 2010년 3월부터 일주일에 네 번씩 총 5주에 걸쳐 적용하며 수업 시간과 아침 자율학습 시간을 활용한다. 적용이 끝나면 사후 검사지 측정 후 SPSS로 통계를 내고, 음악 개념 이해도의 향상 정도를 측정한다. 음악 개념 이해도와 더불어 음악적 태도 변화도 알아본다. 이에 따라 음악 개념 이해도 향상과 음악에 대한 태도 변화를 통계처리 하였다.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통계처리 한 후, 성별과 성적에 따라 음악 개념 이해도와 태도 변화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도 통계처리 하였다. 통계처리 결과 전체 학생들의 음악 개념 이해도가 향상되었고, 성별에 따라서는 남녀 학생 모두 향상되었으나 그 정도는 남학생이 더 컸다. 상위 학생과 하위 학생들 모두 음악 개념 이해도의 향상이 있었고, 그 정도는 하위 학생이 더 컸다. 또한 음악적 태도 역시 사전보다 사후에서 좀 더 긍정적이고 자신감을 보임으로 음악적 태도가 점차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보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달크로즈의 이론을 적용한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음악 개념 이해도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는 결론을 얻었다. 학생들이 신체 활동을 통해 즐겁고 적극적인 태도로 음악 개념을 받아들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적용됨으로써 자연스러운 음악 개념 수업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신체 활동을 하면서 학생들의 반응에 변화가 있었다. 어색해하고 부끄러웠던 학생들이 점차 자신감을 갖게 되면서 재미를 느끼게 되었다. 학생, 교사 일지에서 보이듯 신체 활동을 통한 음악 학습이 개념 이해의 향상은 물론이고 학습 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 시사용어 표현연구

        하나영 선문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화와 개방화의 물결 속에서 우리는 이제 만국의 공통어가 영어라 해도 과언이 아닌 시대에 살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모든 인적 물적 교류를 좀 더 활성화 하기 위해서 통역사의 역할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그 역할을 충실히 하기 위해서는 통역사는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회화 영어와는 다른 좀 더 정확하고 논리적으로 상대방의 언어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많은 읽기와 듣기를 통해 좀 더 정확하고 최신의 표현을 숙지해야 하며, 많은 배경지식과 최근의 시사에도 정통해야 한다. 따라서 이번 논문은 일반 회화에서 사용되는 표현보다 한 단계 높은 표현을 정확히 습득하고 각 분야에서 쓰이는 용어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정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단순히 용어 정리가 아닌 예문을 통해 정확한 쓰임새를 알 수 있도록 하였으며 출처는 연설문, 신문, 잡지, 방송을 위주로 하였다. Carried along by a wave of globalization and openness, we live in an era in which English is a universal language. In this age, the role of the translator is necessary to boost personal and material exchanges. To play such a role, accordingly, translators should deliver the meaning of the language translated sophisticatedly and logically. That requires them to read and listen intensively, and to command a wide range of expressions and background knowledg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mpile a list of more sophisticated and perfect expressions than those normally used in English conversation. This thesis contains not just simple terms, but a variety of expressions from speeches, newspapers, magazines and broadcasting.

      • Development of scrub typhus vaccine using an autotransporter protein of Orientia tsutsugamushi

        하나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Introduction: Scrub typhus is an acute febrile illness caused by O. tsutsugamushi infection. Recently, the rapid increase of scrub typhus incidence and sporadic outbreaks in several countries of endemic Asian-pacific region has become a serious public health issue. Despite the wide range of preventative approaches that have been attempted in the past 70 years, all have failed to develop an effective prophylactic vaccine. Currently, the selection of the proper antigens is one of the critical barriers to generating cross-protective immunity against antigenically-variable strains of O. tsutsugamushi. Methods: Based on the functional genomic analysis, a group of genes encoding autotransporter proteins has been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in the genome of O. tsutsugamushi. The sequences of surface cell antigen (sca) genes were compared among diverse genotypes of O. tsutsugamushi and the potential role of Sca proteins in the bacterial interaction with host cells was examined. In addition, the antigenicity of them was investigated using scrub typhus patients’ sera. Finally, I screened Sca antigens for vaccine development after immunization and subsequent lethal challenge of diverse strains in mice infection model. Results: Five sca genes (scaA-E) encoding autotransporter proteins were identified in the genome of O. tsutsugamushi. Among them, ScaA and ScaC have been well conserved in diverse genotype of O. tsutsugamushi. I found that these two bacterial proteins are involved in the bacterial adhesion to host cells and induced specific immune responses in scrub typhus patients. Furthermore, immunization of ScaA could provide significant protective immunity not only against to homologous strain infection but also to the lethal challenge of heterologous strains. Conclusions: Immunization of ScaA proteins provides protective immunity in mice when challenged with the homologous strain and significantly enhanced protective immunity against infection with heterologous strain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most promising result of scrub typhus vaccination trials against infection of heterologous strains in mouse models thus f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