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빛의 조화를 통한 연(蓮)의 도자조형 연구

        하경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1855

        자연은 우리에게 삶의 터전이 되고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무한한 대상을 제공해 주기 때문에 시대와 사조, 표현 매체를 초월해서 예술가들에게 끊임없이 영감을 주고 있다. 인간이 자연에서 본능적으로 아름다움을 느끼고 예술적 상상력을 얻는 이유는 자연이 가지고 있는 강한 생명력 때문이며, 예술가는 자신의 작품에 이러한 생명력을 이미지화 하고자 한다. 예술가의 대상에 대한 직관적인 체험은 자신의 내면 의식과 만나는 것이며, 그것은 자연의 본질로 환원하는 것이다. 인간은 언어형식, 예술적 심상, 신화적 상징, 종교적 의식에 둘러싸여 자기 스스로가 이루어 놓은 것에 의해 구속되고 해방되며, 인간의 표출은 어떠한 형태로든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연(蓮)은 자연적 사물 가운데 하나에 지나지 않으나 인간의 표출의 하나로 새로운 의미를 지니며, 동서양에서 종교와 연결되어 빛, 탄생, 태양숭배사상과 관련되어 내세의 무한한 생명을 상징하며, 빛은 비물질적인 성격의 빛이 밝음과 어둠의 대조로부터 심리적인 개념을 갖게 되는데 서로의 생성, 소멸로서 존재하는 대조의 관계는 인간에게 흑과 백, 밤과 낮, 생과 사라는 본능적인 상징체계를 정신적 차원으로 옮겨와서는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 선과 악이라는 형이상학적 체계를 마련해 주었다. 본 연구는 인류 문명의 발상과 더불어 신앙적 상징물로 숭배되어 오고, 우리 문화사에서 고대부터 현재까지 종교적이며, 장식적 문양으로 사랑 받아 온 연(蓮)의 이미지를 추구하고 빛의 상징성으로 의미를 표출하여 유기적인 형태의 도자조형으로 표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론에서는 연(蓮)의 특성을 알기 위해 상징성에 대해 고찰해 보고, 연(蓮)의 형태적 특징과 상징성을 알아보고, 빛의 의미와 상징성을 살펴보았고, 연(蓮)을 표현한 선행 작품들을 제시하면서 조형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작품의 조형화 과정에서는 연(蓮)의 꽃, 잎, 연밥을 통해 사실묘사와 변형과정을 통해 유기적인 곡선과 빛과의 조화를 통해 조형화 하였다. 제작 방법으로는 연(蓮)의 유기적인 곡선의 미를 표현하기 위해 코일링 기법과 물레 성형기법을 사용하였고 형태에 따라 캐스팅과 가압 성형기법을 사용 하였다. 태토는 연(蓮)의 형태에 따라 연구자의 감성 표현에 적절한 고려 도토, 자기질 점토, 석기질 점토를 사용하였다. 유약은 발색효과를 높이기 위해 부분적으로 초벌 후 화장토를 얇게 발랐고, 형태에 따라 연(蓮)을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색상의 색유를 분무 시유 하였으며, 부분적으로 테라시질레타를 사용하였다. 소성은 1.5㎥ 가스가마에서 900℃를 마침온도로 8시간 동안 1차 소성 한 후, 2차 소성은 1.5㎥ 가스가마에서 9시간동안 1250℃를 마침온도로 산화염 소성 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표현 대상으로의 자연이란 무한한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표현하는 사람에 의해 그 대상이 지닌 특성을 조형화 시킬 때 예술적 가치가 확대 될 수 있으며, 자연의 일부인 연(蓮)은 흙을 통해서 본래의 특성이 새롭게 재창조 될 수 있으며, 나아가 자연에 속해 있는 빛과 상호보완 하여 더욱 새로운 작품으로 조형화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e flow of nature affects the method of our lives. Human beings are influenced by the changes in nature and they have different images of how they would like to compose their lives. Here, we must consider the fact that time changes our requirements and preferences. Human beings constantly strive to meet their ideal. Artists experiment with this concept. So humans are attracted to the beauty of nature and they are inspired by it. Artists translate such inspiration into their work. The innermost psyche is expressed in their work. Through civilization, humans have become trapped in the language, art, mythical symbolism, religion and the society that they have created. They live their lives trying to escape these different boundaries. Furthermore, each of their actions and preferences symbolize their character. For this study, research was done on the lotus. Since the ancient times, the lotus has been a religious symbol, associated with Buddhism. It is also a part of nature that is closely related to our lives. Here, it has been examined to be expressed in clay with all its meanings. Its historical background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then its different forms were closely observed. The organic shapes of the lotus leaves, stems and flowers were transformed into clay pieces. Different shapes required different skills in making. The pieces were coiled, wheel thrown and slip-cast depending on the forms. The celadon clay body, a stoneware clay body and a porcelain clay body were used. Different colour glazes and slips were used. The glazes were sprayed and dipped depending on the effect. The first firing was for 8 hours in a 1.5㎥ gas kiln. It reached a temperature of 900ºc. The second firing oxidized at 1250ºc and it was fired for 9 hours. People interpret images differently. Through this study I have touched the very basic aspects of symbolizing a chosen object. Nature holds incessant possibilities therefore, one needs to experiment with them. The lotus too holds many expressions and this study has endeavored to show some of them.

      • 수원 화성의 전래동요와 민요의 지역화 교재 개발 방안

        하경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Culture Art Education on the basis of tradition is becoming important as culture is getting more diverse and is globalized. Among various kinds of traditional culture art, it seems that folk songs is the genre that we can easily and friendly approach, because they have been passed on orally, by expressing our emotions and feelings honestly throughout long history. The purpose of the Folk song Education is to understand traditional music, to cultivate cultural sensibility and imagination about traditional music and eventually to succeed our tradition creatively. Regretfully, traditional Culture was dismantled and disconnected due to fast economic growth and social changes; thus, educational absence on folk music is the reality of our music education. This study aims at localized teaching methods about nursery song and folk song transmitted at Suwon and Hwaseong(part of old Suwon) and these methods are applied to 3rd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To this effect, I collected the local folk songs and nursery rhymes at Suwon and Hwaseong to find ways for localization of the traditional music. The methods of this study includes documentary research, and method of analysis about style and specific character which is one of research methods of ethnomusicology. Also I carried out a field study, after developing teaching-learning method, in order to apply to 3rd grade students’school hours. For documentary research, I referred to documents related to local folk songs and nursery rhymes, by studying the history, geography and local materials of Suwon and Hwaseong simultaneously. Also in order to study recorded songs, I used the method of analysis about style and specific character, by which I could analyze the features of scales, tempo, and tune of these songs. In relation to nursery songs, most of them are used as their original tune are, except some songs rearranged for students at their developmental stages. In case of local folk songs, I arranged them in a way to simplify and unify by keeping the lyrics and melody of original tune. Most of the musical scores were transformed by using changed staff notation and ‘Junganbo(井間譜)’ to sing music by seeing using the Junganbo or the staff notation and sing to see them pitch. In some cases, some of the songs were using the Junganbo and the staff notation in parallel.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nursery rhyme and folk songs is composed of 18 lessons and they were applied to 3rd grade students. The program intended to help understanding Jangdan(長短), Butimsae(붙임새), Sikimsae(시김새), which are major components of Korean classical music, and it offered students to experience all fieldsincluding singing, instrumental music, composition and listening to music. Moreover, teaching was not limited only to music class and integrated teaching with diverse subjects such as language, sociology, physical education, and art in consideration of relationship with the current curriculum. In order to verify the result and effect of study, analysis of teaching program, self assessment and poll survey were take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I designed helped students to understand Korean classical music and offered them interest and satisfaction through various activities for "enjoying music."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results, it shows that 70-80% students evaluated "well-done" on different activities, based on which we can conclude that studying traditional folk songs with play is effective to encourage sociability and self-satisfaction. Among creative activities, repetition of making a melody of the tune and Butimsae helped students to become more skilled in organizing Butimsae in appropriate to tunes. As for play, more than 70% of students evaluated themselves "well-done" after they became skillful through repeated exercise, which indicated the importance of sufficient time and gradual instruction for traditional music. Self-assessment showed that students' interest and satisfaction in Korean Classical Music and traditional culture as well have been increased. Second, interest in Korean Classical Music and traditional culture was high,as survey result indicated that experimental groups are more positively than comparison group on at least 15 to 40% of survey lists. Both groups ranked high in terms of regional identity and cultural identity about Suwon. The difference is that comparison group was proud of his own region with no specific reason. On the other hand, experimental group was proud of details of Suwon such as dance, songs, play as a result of study effect. Therefore this program has contributed to shape cultural identity. Third, it made a contribution to conserve our traditional culture and to succeed in our classical music through experiencing our traditional songs. Fourth, we've seen the possibility of the change of Grown-up’s childhood culture according to current trend and to plat key role to communicate between students on culture permanently. Lastly, under current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localized teaching materials are required, I expect this study to encourage teachers to develop teaching programs on nursery song and folk songs, passed on at different regions other than Suwon and Hwaseong. 문화가 다양화되고 세계화될수록 전통에 바탕을 둔 문화예술교육은 중요하다. 전통문화예술 중 민요는 오랜 역사 속에서 민중의 입을 통해 전해져 내려오면서 우리의정서와 사상, 감정을 솔직하게 담고 있어서 학생들이 가장 친근하고 흥미롭게 다가갈 수 있는 영역이다. 민요교육은 무엇보다도 우리의 전통음악을 이해하고 전통음악에 대한 감수성을 기르며 창조적으로 전통을 계승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빠른 경제 성장과 변화 속에서 문화는 해체되고 단절되어 향토음악의 교육적 부재가 우리 음악교육의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원과 화성 지역의 전래동요와 향토민요를 중심으로 전통음악의 지역화 교재를 개발하고 초등학교 3학년에 적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전통음악의 지역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원과 옛 수원지역 중의 하나인 화성의 향토민요와 전래동요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종족음악학의 한 방법인 양식적 ․ 특성 분해적 방법으로 연구하였고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현장연구를 하였다. 문헌연구는 수원과 화성시에 관련된 역사, 지리, 향토 자료 등을 통하여 수원 화성 지역의 향토민요, 전래동요에 관련된 자료, 음반자료를 문헌 연구하였다. 또 기존의 채록된 곡을 음계, 박자, 장단 등의 음악적 특성을 분석하고 추출하여 연구하는 양식적․특성 분해적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전래동요의 경우 대체로 원곡을 사용하되 일부 곡들은 학생들의 발달단계에 맞게 편곡하였다. 향토민요의 경우 원곡의 가사와 가락을 살리면서 단순화, 통일화 시키는 방향으로 곡을 편곡하였고 대부분의 악보는 오선보와 정간보를 변형시킨 악보를 사용하여 음길이와 음높이를 보고 부르며 경우에 따라서는 정간보, 오선보를 병행하며 지도하였다. 전래동요와 민요지도를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은 18차시로 구성하여 개발하였고, 총 18차시의 수업을 초등학교 3학년 학생에게 적용하였습니다. 국악의 중요한 특징인 장단, 붙임새, 시김새 등을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과정안에 나타나도록 하였으며 가창, 기악, 창작, 감상 등의 영역을 모두 체감하도록 하였으며 음악수업에 국한하지 않고 현재의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음악, 국어, 사회, 체육, 미술 등의 교과와 통합 지도하였다. 연구의 결과 및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단위시간의 학습지 분석, 자기 평가,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지도결과는 첫째, 본 연구자가 개발한 교수-학습 과정안이 다양한 활동의 ‘음악하기’를 통해 학생들이 국악을 느끼고 이해하며 즐거움과 만족감을 주었다. 학습지에서 수업결과를 분석해 보면 기능과 놀이 활동 등에서 70~80% 학생들이 잘했다고 평가하여서 전래동요나 민요학습과 놀이하면서 사회성을 키우고 자기 만족감 등을 충족시켜 교육적 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창작활동 중 붙임새는 학습을 거듭할수록 점차 장단에 알맞은 붙임새 붙이기에 능숙해졌음을 알 수 있었다. 극놀이는 차시를 거듭하여 기능이 보다 숙달되었을 때 70%가 넘는 학생들이 자신이 극놀이를 잘 하였다고 평가하여서 전통음악의 교수-학습지도에 있어서 충분한 시간과 단계적 지도로 지도를 해야 됨을 시사하였다. 자기평가에서도 국악과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도과 흥미,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설문결과 대부분의 문항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거의 모든 항목에서 적게는 15% 정도에서 많게는 40%정도가 더 긍정적으로 나타나서 국악과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도가 높게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수원에 대한 지역정체성, 문화정체성이 높게 나타났지만 그 내용으로 볼 때 비교집단은 막연하게 수원을 자랑스럽게 하는 것에 비해 실험집단은 학습결과로 수원의 춤, 노래, 놀이, 전통문화에 대한 자긍심이 높아진 것을 살펴볼 때 정체성 형성에도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엇보다도 우리 지역 전통이 살아 숨쉬는 노래를 접함으로써 단절되고 외면해오던 국악과 전통문화의 보존과 계승에서 큰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넷째, 배움을 통해 어른들의 어린 시절 놀이문화가 이제는 요즘 세대에 맞게 조금 변화되어 노래하고 놀이하면서 학생들끼리 소통하는 문화로, 세대를 초월하는 문화로 자리매김하게 되는 가능성을 보았다. 지역화 교재가 필요한 데도 여건이 되지 않는 교육 현실에서 수원과 화성 지역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도 전래동요와 향토민요에 있어서 교수-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현장 교사들에게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 황동규 시의 문학 교육적 가치 및 활용 방안

        하경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이 논문은 문학 교육의 관점, 세부적으로는 시 교육의 일반 목표를 통한 황동규 시들이 지닌 가치가 무엇인지 밝히고, 실제로 교육 현장에서 그의 주요 작품을 통한 교육적 가치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는 황동규 시 작품들이 현대 시사에서 높은 문학적 성취를 보였음은 물론, 이러한 작품을 통해 교육적 의의를 재정립하려는 시도이며, 더 나아가 실질적으로 교육적 방안을 적용하고 고찰해보고자 하는 노력이다. 우선 시 교육에 관한 기존의 논의들과 시교육의 목표와 방법에 관련된 이론들을 살펴봄으로써, 시 작품에서 어떠한 문학 교육적 가치에 주목해야 하며, 각 단계는 어떻게 효율적으로 구성할 것인지에 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먼저 시교육의 일반 목표를 ‘①시를 학습함으로써 학습자의 언어 예술에 대한 시야를 고양시킨다. ② 시를 읽고 쓰면서 감수성을 길러 내면세계를 풍부하게 확장시킨다. ③ 시와 소통함으로써 자신의 삶에 대한 성찰은 물론, 사회와 세계에 대한 인식을 넓힌다.’라는 세 가지 목표로 정하고, 시 교수 - 학습의 일반 목표를 ‘읽기 전 활동(학습 목표 설정 ⟶학습자료 선정 및 분석) → 읽기 중 활동(낭독 및 묵독, 작품의 세부적 분석, 동료 학습자와 상호작용, 작품의 종합적 감상, 공감 및 내면화 단계) → 읽기 후 활동(학습활동의 평가, 이해 및 감상 능력 평가)와 같이 체계화하여 보았다. 먼저, 황동규의 시는 시 교육 일반 목표의 측면에서 바라 볼 때, ‘언어 예술에 대한 시야를 고양’시킨다는 측면에서 가치를 지닌다. 문학의 다양한 장르 중에서도 고급 언어를 통한 절제된 가치를 구현하는 것이 시라 볼 수 있는데, 이는 일상 언어를 바탕으로 한다고 볼 수 있다. 학습자는 ‘시’라는 장르를 통하여 세련된 언어 감각에 의한 공감을 얻고, 인간과 자연 더 나아가 세계에 대한 성찰을 제시한다. 문학 교육적 관점에서 바라보면 이해와 표현을 포함하는 언어 능력의 향상 측면에서도 중요한 영역이라 볼 수 있다. 황동규는 언어의 감각적 활용에 뛰어난 시인이었던 것만큼, 그의 시들은 언어 교육의 측면에서 중요한 학습 자료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절제된 감수성을 통한 언어 사용은 감각 기능과 관련된 이미지 학습으로 교육적 효과가 크다는 점을 주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그의 시에서 시각적· 청각적 이미지를 비롯한 다양한 감각적 이미지들이 성공적으로 형상화되어 시적 정서를 구체화하며 이는 학생들로 하여금 언어 감각을 세련되게 해주는 교육적 효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둘째, 황동규의 시는 ‘정서적 능력 고양’이라는 시 교육 일반 목표에 비추어 볼 때도 중대한 가치를 지닌다. 정의적 영역의 한 부분으로만 간주되기 쉬운 ‘정서’를 ‘인지와 결합된 정서’로써 정서의 개념을 다시 재정립하고 이를 황동규 작품을 활용하여 교수-학습 활동을 구안하였다. 시 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감동을 내면화함으로써 정서를 풍요롭게 해주는 것과 동시에 간접적 체험을 통한 다양한 시각을 제공한다. 즉, 이를 통해 시 교육의 관점에서 바라보자면, 공감의 능력을 매개로 하여 ‘깨침’과 ‘울림’을 통한 정서적 능력 발달에 도움을 주며 궁극적으로 내면세계를 풍부하게 확장시키고 전인 교육적 효용성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황동규의 ‘죽음의 정서’를 매개로한 간접적 체험과 서정성은 큰 의미가 있다. 인류는 태어날 때부터 죽음으로 향해가는 과정이라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삶의 가치와 방향성의 제시는 학생들로 하여금 ‘교육적 가치’로서의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는데 그런 의미에서 황동규의 70편의 ‘풍장’의 연작시는 이러한 자질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황동규의 시는 ‘소통 능력 계발’이라는 시 교육의 일반 목표에 비추어 볼 때도 가치가 있다. 시를 읽고 공감하는 활동은 작품에 대한 소통은 물론, 시적 화자와 그가 바라본 현실 사회에 대한 소통 능력을 기르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시 교육을 통한 방향적 가치를 바람직한 자기 형성적 주체를 도달점으로 상정할 수 있고, 학생들이 문화적 실천 양태인 시 텍스트를 이해 · 해석 · 평가하는 가운데 어떻게 가치관을 형성해 가는가 하는 것을 중요한 현안으로 삼을 수 있다. 본 논문은 훌륭한 문학 작품의 본질적 정신을 구현하고 있는 황동규 시들이야 말로 교수-학습 자료로서 지금보다 한층 값지게 활용되어야 할 가치가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발판으로 하여, 문학 교육적 측면에서 좋은 작품에 대한 문학 작품의 가치를 정당하게 평가받고 다양한 교육적 활용 방안을 찾을 수 있게 되길 바라며, 이를 통해 문학 교육의 구체적인 방향성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로 나아가길 기대하여 본다.

      • 청소년의 부모·또래요인, 인터넷음란물 접촉, 성인지 감수성 간의 관계 및 성교육의 조절효과

        하경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1823

        본 연구는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되고 발달단계상 성에 대한 호기심이 증가하는 청소년 시기의 인터넷음란물 접촉에 주목하였다. 인터넷음란물 접촉의 선행요인으로 사회유대이론에 초점을 맞추어 청소년의 가장 주요한 체계로 작용하는 부모와 또래로부터의 유대약화 요인을 선정하여 이들 요인이 청소년의 인터넷음란물 접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최근 주요한 사회문제로 등장한 여성혐오 및 성폭력 문제 등 성인지감수성과 관련된 문제가 청소년의 인터넷음란물 접촉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에 대해 사회학습이론과 관련 선행연구를 근거로 이들 변수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을 완전히 통제할 수 없는 현실과 가부장문화가 뿌리 깊은 한국 사회의 성차별적 문화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성교육이 효과적인 해법일 수 있다는 점에서 성교육이 부모 및 또래요인이 인터넷음란물을 거쳐 성인지 감수성에 이르는 경로 각각을 조절할 수 있을지를 경험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즉 부모 및 또래요인이 인터넷음란물 접촉을 거쳐 성인지 감수성으로 연결되는지 유기적 관련성 및 이들 경로에서 성교육의 실증적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부산지역 소재 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연구에 도움을 주기로 한 학급을 대상으로 설문지로 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9월 한 달 동안 실시되었으며, 배포된 설문지 850부 중 응답이 불성실한 46부 설문지를 제외한 804부가 최종분석에 포함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와 AMO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가설검증은 구조방정식을 통해 검증되었으며, 조절효과는 다집단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가설검증의 모든 분석은 청소년의 인터넷음란물 접촉 및 성인지 감수성의 주요 예측변인으로 보고된 성별과 학년을 통제한 상태에서 이루어졌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또래요인은 인터넷음란물 접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인터넷음란물 접촉은 성인지 감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터넷음란물 접촉은 또래요인과 성인지 감수성 관계에서는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성교육 만족도의 조절효과에서는 부모요인이 인터넷음란물 접촉에 이르는 경로와 또래요인이 인터넷음란물 접촉에 이르는 경로 각각은 성교육 만족도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성교육 대상 단위의 조절효과에서는 부모요인이 인터넷음란물 접촉에 미치는 영향은 학급단위와 학교단위의 성교육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래요인이 인터넷음란물 접촉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학급단위와 학교단위의 성교육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인터넷음란물 접촉과 성인지 감수성 관계에서는 학급단위와 학교단위에서, 그리고 학급단위와 학년단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섯째, 성교육 강사유형에서는 부모요인이 인터넷음란물 접촉에 미치는 영향에서만 ‘학교교사’ 집단과 ‘학교교사+외부강사’ 집단 그리고 ‘외부강사’ 집단과 ‘학교교사+외부강사’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청소년의 인터넷음란물 접촉 및 성인지 감수성에 대한 사회복지 정책 및 실천 그리고 이론적 제언이 이루어졌으며,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중심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이 이루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whether parent and peer factors lead contact with internet pornography to gender sensitivity through organic correlation and also sex education has positive effects on the paths. To address the goal, this researcher collected data through a survey conducted to the classes in middle and high school located in Busan that had agreed to provide support for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or a month of September, 2017. Among the questionnaire sheets distributed, unreliably answered sheets were excluded, and 804 sheets went through final analysis. Data analysis was done by using SPSS and AMOS. To verify hypothes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and moderating effects were examined through multi-group analysis. All the analyses needed to verify hypotheses were done while sex and grade that have been reported to be the major predictors of adolescents’ contact with internet pornography and gender sensitivity were controll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found that peer factors influence contact with internet pornography significantly. Second, contact with internet pornography influences gender sensitivity significantly. Third, contact with internet pornography has mediating effects in correlation between peer factors and gender sensitivity. Fourth,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satisfaction with sex education, the path that peer factors lead to contact with internet pornography are moderated by satisfaction with sex education respectively. Fifth, regarding moderating effects in the units provided with sexuality education, the effects of parent factors on contact with internet pornography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class-unit and school-unit sex education groups. About the effects of peer factors on contact with internet pornography, too,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in class-unit and school-unit sex education groups. In correlation between contact with internet pornography and gender sensitivity,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between class-unit and school-unit and between class-unit and grade-unit sex education groups. Sixth, about the types of sexuality education instructors, only the effects of parent factors on contact with internet pornography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chool teacher’ group and the ‘school teacher + visiting instructor’ group and between the ‘visiting instructor’ group and the ‘school teacher + visiting instructor’ group. Based on discussion over the results above, this author provides theoretical suggestions and examines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e about adolescents’ contact with internet pornography and gender sensitivity. Considering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this researcher also gives implications for follow-up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