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在부산 중국유학생들의 경제생활에 관한 사회학적 조사 분석

        풍정 부산외국어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산지역 중국유학생들의 학비 및 생활비 수입과 (장학금, 아르바이트 포함), 지출 (학비 및 일반소비활동 등)에 관한 경제활동을 조사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부산지역 중국 유학생들의 경제활동 특징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조사 기간은 학기중 조사(2008.11.15~12.19)와 방학중 조사(2009.1.1~2.28) 두 부류로 나뉘었다. 조사 대상은 부산에 소재한 대학교 중에 비교적 중국인 유학생들이 많은 부산외국어대학교, 신라대학교, 동명대학교, 부경대학교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표본의 수는 학기중 200명과 방학중 100명으로 총 300명이다. 학기중과 방학중의 특징을 나누어 분석하려고 한다. 결과 분석을 통해 지금 현재 부산지역의 중국 유학생들에게 있어서 경제 활동을 정확히 이해하고 부산지역사회에서의 중국 유학생들의 현 위치를 이해 할 수 있었다. 중국인 유학생들은 학비와 기타비용을 학업과정에서 소비하기 때문에 자신이 처해 있는 경제적 여건에 관심을 쏟는다. 특히 경제적 여유가 없어 가족의 희생을 담보로 대학에 다녀야 하는 학생, 가장이면서 학업을 진행시켜야 하는 만학도 , 낮은 경제적 여건에도 불구하고 타국에 유학 온 학생은 경제적인 문제를 학교생활을 영위하는데 수반되는 중요한 어려움으로 인식하게 된다. 그들의 경제활동은 연구의 필요성을 더욱 크게 만들고 있다.

      • 한국어 연속동사 구문과 중국어 연동문의 대비 연구

        馮晶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aper mainly studies the difference and similarities of Chinese and Korea serial verb construction in syntactic characteristics and semantic function. Verb plays an important role in sentence. Generally speaking, there is one subjective and one verb in the simple sentence. However, it is common to see two verbs existing in some Chinese and Korean specific simple sentence. The study scope is just focus on serial verb construction in linguistics. First of all, we analyze related literature reviews, criticize and compare other similar serial verb construction, to explore the definition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and Korean serial verb construction. Furthermore, we certify the single sentence of Korean serial verb construction, by use the theory of combination of ending and stem, to explore the single sentence basis of Chinese serial verb construction and its difference. We find that the deep structure of Chinese serial verb construction is single sentence, whereas the surface structure of Korean serial verb construction is changed from complex sentence to single sentence through restruction. We also summarize the common syntactic structure of Chinese and Korean serial verb construction, and serial verb construction which just exits in Chinese sentence. Last but not least, we also testify the semantic function of Chinese and Korean serial verb construction , which is alike to Chinese and Korean in linguistics. Aside from the above, Chinese serial verb construction also has other semantic functions.

      • 라이브 커머스 및 인플루언서의 특성이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의 라이브 커머스 시장을 중심으로

        풍정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언택트 경제 시대가 도래하였고, 이에 따라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쇼핑으로의 전환과 연령층의 변화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라이브 커머스가 등장하여 실시간 판매 및 홍보 활동이 가능해졌다. 이에 관련된 연구는 라이브 커머스의 특성, 정보원 속성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플루언서와 소비자 특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태이다. 이 연구는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라이브 커머스와 인플루언서의 특성이 소비자의 태도와 지속적인 이용 의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라이브 커머스의 상호작용성과 '대신 실험 가능성', 그리고 경제성은 소비자의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요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편의성과 오락성은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인플루언서의 전문성과 매력성이 소비자의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요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소비자의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요소가 라이브 커머스 플랫폼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려는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라이브 커머스 기업들이 인플루언서 선정과 플랫폼 특성 강화, 소비자의 요소 고려를 통해 전략을 수립할 때 중요한 가치를 제공한다. 또한, 실무적인 측면에서는 인플루언서의 전문성과 매력성을 강화하고, 라이브 커머스 플랫폼의 특성을 개선하며, 소비자의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요소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전략적 접근은 라이브 커머스 사업의 성공과 고객의 참여 및 구매 의도 증대에 도움이 될 것이다.

      • 한·중 비교 구문의 대응 표현 연구 : '만큼, 처럼, 같이'를 중심으로 : 以'만큼, 처럼, 같이'为中心

        풍정 동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15

        本文针对韩国比较文句‘만큼, 처럼, 같이’对应的中文表现进行了研究。首先整理了比较的意义及比较文的分类,其次是‘만큼, 처럼, 같이’对应的中文表现。 比较的目的是通过两者或两者以上相互之间的较量从而得到关于比较本体的实际性情报。比喻的目的则通过较量能够更形象地突显主体的特征。比较句和比喻句的特性区分本文主要归纳为一下4点。1.在比较中根据比较主体和比较对象是否具有同质性而进行判断。比较句中比较主体和比较对象需要有同质性。相反,比喻句中不要求比较主体和比较对象具有同质性。2.在比较中根据互换比较主体和比较对象的位置而进行判断。比较句中即使互换比较主体和比较对象的位置,句子也会成立。虽然互换位置后句子的着重点改变了,但是比较的结果没有改变。相反,在比喻句中不可以互换比较主体和比较对象的位置。如果互换位置塬句意义完全改变,句子不成立。3.在比较中根据句子的否定句是否具有重意性而进行判断。比较句的否定句具有重意性,相反比喻句的否定句不具有重意性。4.在比较中根据句子谓语的主观或者客观意义而进行判断。在比较句中谓语的意义通常是客观进行叙述。相反,在比喻句中谓语的意义通常是主观进行叙述。 其次,本文针对比较句‘만큼, 처럼, 같이’的意义与语法特征进行了整理。归纳整理词典意义,‘만큼’的意义整理如下: 表示比喻, 表示比较, 表示程度, 表示塬因或根据。‘처럼’的意义整理如下: 表示比较, 表示比喻, 表示‘意思’。‘같이’的意义整理如下: 表示比较, 表示比喻, 表示‘一起’。本文选取‘만큼, 처럼, 같이’所具有的共同意义‘比较和比喻’为中心进行论述。 ‘만큼, 처럼, 같이’的异质性,本文主要归纳为以下5点。1.‘만큼, 처럼, 같이’在部分句子中虽然可以互相替换使用,但是句子所强调的重点不同。2.‘처럼’在句子中可以与程度副词一起出现使用,但是‘만큼’和‘같이’在句中不可与程度副词一起使用。3.‘만큼’在句子中可以与数字名词一起出现使用,但是‘처럼’和‘같이’在句子中不可以与数字名词一起出现使用。4.‘만큼, 처럼, 같이’在各自的惯用表现句中不可以互相替换使用。5.在比较句中不同的后置词句同时出现在一个句子里时,‘처럼/같이’后置词句要出现在‘만큼’后置词句的前面,句子才成立。 本文通过韩国小说所对应的‘만큼, 처럼, 같이’的中文对应现象进行了研究。本文分析的叁本小说中,‘만큼’在小说中出现的意义中,比较频率比比喻频率要高。相反,‘처럼’和‘같이’在小说中出现的意义中,比喻频率比比较频率要高。‘만큼, 처럼, 같이’的意义不是一一对应的,各自都有对应不同的中文意思。尤其是在‘처럼’表示比喻的意义情况下,所对应的中文表现要比‘만큼, 같이’表示比喻的意义情况下,所对应的中文表现要多。而且,本文也对韩国小说的翻译版中‘만큼, 처럼, 같이’出现的新的对应表现进行了分析研究。‘만큼’还可以翻译成‘只有…般’。‘처럼’还可以翻译成‘亦如, 活像, 活像…那样, 恰似, 宛若…一样, 几近’。‘같이’还可以翻译成‘如此相似, 差不多, 跟…差不多’。除此之外,本文还对新闻中‘만큼, 처럼, 같이’出现的比较及比喻意义进行了研究。在小说中为了生动形象的进项描写,所以比喻意义出现的频度比比较意义高。与此相反, 在新闻中为了真实客观的叙事,所以比较意义出现的频度比比喻意义高。 比较句分为同等比较和差等比较,本文以同等比较为中心进行研究。今后会在本文的研究基础上更全面的研究比较句。 본 연구는 한국어 비교 구문 ‘만큼, 처럼, 같이’의 중국어 대응 표현에 대한 논의로, 비교의 의미와 비교 구문의 분류를 먼저 알아보고 ‘만큼, 처럼, 같이’의 의미와 통사에 바탕으로 이질성을 살펴본 후, 한국어 비교 구문 ‘만큼, 처럼, 같이’의 중국어 대응 표현을 제시하는 순서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비교의 의미를 제시할 때 비교 구문과 비유 구문의 차이점도 정리하였다. 첫째, 비교 구문에서 비교주제와 비교대상의 동질 요소인지 이질 요소인지에 대해 구분할 수 있다. 비교 구문에서 비교 주체는 비교 대상과 동질성을 지닐 필요가 있다. 비유 구문에서 비유 주체는 비유 대상과 동질성을 지닐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둘째, 비교 구문에서 비교 주체와 비교 대상이 위치가 서로 바꾸어도 된다. 비교의 초점이 다르지만 비교 결과가 같다. 비유 구문에서 비유 주체와 비유 대상이 위치를 바꿀 수 없다. 바꾸면 비문이 된다. 셋째, 비교 구문에서 부정문의 중의성이 있는데 비유 구문에서 부정문의 중의성이 없다. 넷째, 비교 구문에서 서술어의 의미는 객관적인 판단을 요구하게 된다는 것에 대한 설명이다. 반면에 비유 구문은 대체로 주관적인 판단을 하게 하는 어휘가 서술어로 오게 된다. ‘만큼, 처럼, 같이’의 의미적 특징은 ‘비교와 비유’의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만큼, 처럼, 같이’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비교와 비유의 의미를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만큼, 처럼, 같이’의 통사적 특징은 ‘선행체언 특징, 서술어 특징, 부정문과의 결합적 제약, 굳어진 관용어’ 등 4가지를 살펴보았다. ‘만큼’은 구체적으로 측정하는 어휘와 결합할 때 제약이 없는데 ‘처럼’과 ‘같이’는 측정할 수 없는 어휘와 결합하는 경향이 있다. ‘만큼’이 특정 가능 선행 요소와 결합되는 서술어에는 ‘늘어나다, 가지다, 벌리다, 담다, 가지다, 자라다’ 등이 있다. ‘처럼’과 연결하는 서술어로는 ‘따스하다, 하얗다, 활기차다, 깨끗하다, 민첩하다’처럼 사용될 때 물건의 일정한 행위 혹은 어떤 상태를 기술하는 의미의 서술어가 많다. ‘만큼’과 ‘같이’는 부정문에서의 제약이 없다. ‘만큼/같이…지 않다’, ‘만큼/같이…없다’, ‘만큼/같이…지 못하다’라는 세 가지 부정형식의 구절은 사용할 수 있다. 반면에 ‘처럼’은 ‘…없다’와 연결할 때 제한이 있다. 특정 체언과 ‘만큼/처럼/같이’가 결합하여 관용적인 표현으로 굳어진 경우이다. 통사적 특징을 살펴보면 ‘같이’는 ‘만큼’과 ‘처럼’보다 통사적 제약이 별로 없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의미와 통사에 바탕으로 ‘만큼, 처럼, 같이’의 이질성도 살펴보았다. ‘만큼, 처럼, 같이’에 대해 제시한 이질성은 다음과 같이 5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만큼, 처럼, 같이’는 상호 교체가 가능한 구문이 있지만 문장에서 초점이 다르다. 둘째, ‘처럼’은 정도부사와 결합할 수 있는데 ‘만큼’과 ‘같이’는 정도부사와 결합할 수 없다. 셋째, ‘만큼’은 구체적인 수치명사와 결합할 수 있는데 ‘처럼’과 ‘같이’는 수치명사와 결합할 수 없다. 넷째, ‘만큼, 처럼, 같이’는 관용어로 굳어진 때 서로 교체가 불가능하다. 다섯째, 비교 구문에서 서로 다른 후치사구가 한 문장에 나오면 ‘처럼/같이’ 후치사구가 ‘만큼’ 후치사구에 앞설 때만 가능하다. 다음은 ‘만큼, 처럼, 같이’의 중국어 대응 표현을 한‧중 사전, 선행연구, 한국 소설, 신문과 중국어 번역본을 통해서 제시하였다. 소설은 문학 작품이기 때문에 사물을 더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자주 비유를 사용한다. 그래서 선정한 소설에서는 비교 구문의 총 횟수 중에 비교 의미보다 비유 의미의 빈도수가 더 높다. 반면에 신문은 사건의 진실성을 강조하고 객관적인 묘사를 위해서 자주 비교를 사용한다. 그래서 선정한 신문에서는 비교 구문의 총 횟수 중에 비유 의미보다 비교 의미의 빈도수가 더 높다. 그리고 ‘만큼, 처럼, 같이’의 중국어 대응 표현은 다양한 표현과 대응할 수 있다. 특히 ‘처럼’은 문장에서 비유 의미로 나타날 때 ‘같이’, ‘만큼’보다 더 활발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소설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대응표현도 제시하였다. ‘만큼’은 ‘只有…般’으로 대응할 수 있다. ‘처럼’은 ‘亦如, 活像, 活像…那樣, 恰似, 宛若…一樣, 幾近’으로 대응할 수 있다. ‘같이’는 ‘如此相似, 差不多, 跟…差不多’로 대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아쉬운 점을 말하자면 비교 구문은 동등 비교와 차등 비교로 분류하는데 본고에서 동등 비교에 속하는 ‘만큼, 처럼, 같이’의 중심으로만 연구하였다는 점이다. 앞으로 본고의 연구를 바탕으로 더 많은 비교 구문에 대한 연구를 이루어졌으면 한다.

      • 한국어와 중국어 위치 관계어의 의미 대조 연구

        馮晶晶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국어학 전공 2017 국내박사

        RANK : 247615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언어학적 관점으로 한국어와 중국어 위치 관계어의 다양한 의미들을 분석하고 의미 확장 양상을 체계적으로 연구함으로써 각 언어 화자들의 인지 체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밝히는 데에 있다. 공간 개념이 그 언어의 기본적인 개념을 형성한다는 것은 언어 보편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공간 개념 자체는 보편적인 것이지만 공간과 공간 관계를 인지하고 개념화하는 방식은 언어마다 차별성이 있기 마련이다. 따라서 공간 개념이 언어화되는 양상은 언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국어와 중국어는 다른 언어 체계에 속하나 같은 문화권에 속하는 까닭으로 공간 개념을 나타내는 데에 있어서 많은 공통점을 보이기도 한다. 본고는 인간이 신체구조에 의해 공간을 개념화하는 방식에 따라 상하, 전후, 좌우, 측위, 내외 및 하위 개념인 표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한국어와 중국어 어휘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 다양한 의미들을 대조 연구하였다. 우선 2장에서 본격적인 의미 대조 연구에 필요한 탄도체와 지표, 바탕과 윤곽, 전경과 배경, 참조틀과 시점 등 위치 개념의 구성 요소에 대해 살펴봤고, 의미 확장 양상을 설명하는 데에 필요한 인지언어학의 의미 분석 방법론을 살펴봄으로써 대조 연구에 필요한 이론적 바탕을 마련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위치 관계어들의 공간 의미와 의미 확장 양상을 살펴봤다. 상하 위치 관계어들은 기본적으로 기준점보다 높거나 낮다는 공간 의미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탄도체와 지표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세분화된 양상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 의미는 시간 영역과 추상 영역으로 확장하기도 하는데, 그 과정에서 한국어와 중국어의 차이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는 개념적 은유의 이론으로 의미 확장의 경로를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전후, 좌우, 측위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의 공간 의미와 의미 확장 양상을 살펴보았다. 전후 위치 관계어의 공간 의미는 인간의 시선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의미는 은유의 기제를 통해 시간과 추상 영역으로 투사하기도 한다. 시간 영역에서는 시간의 선후 순서를 나타내는 데에 한국어와 중국어가 공통점을 보이는데 화자의 개념화 방식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본고는 신체화 이론으로 그런 의미가 보이는 원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좌우와 측위의 위치 개념어의 공간 의미와 추상 의미도 살펴보았는데, 이들의 공간 의미도 신체의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측위 위치 관계어의 의미에 있어서 한국어가 중국어보다 세분화된 개념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고, 또한 환유에 의해 추상 의미를 나타내는 양상도 관찰되었다. 5장에서 내외와 표리 위치 관계어의 대조 연구를 진행하였다. ‘경계’로 구분되는 내부와 외부의 공간을 나타내는 것이 한국어와 중국어의 공통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화자들이 공간을 인식하는 양상에 따라 유의 관계를 이루는 다른 위치 관계어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내부 공간을 나타낼 때 내부 공간이 비어 있는지, 또한 그 깊이, 폐쇄성, 경계의 모호성에 따라 ‘속’을 선택하기도 한다. 중국어의 경우, 주로 경계의 모호성 정도에 의해 구분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위치 관계어의 대립어 사이에 비대칭성을 보이기도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인지적 현저성의 이론으로 비대칭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각 영역의 의미를 비교해 보면, 그 다양한 의미들은 무질서하게 흩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영역 간의 유사성에 의해 일정한 순서나 체계를 지니고 확장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인지언어학적 관점으로 각 영역의 의미 특성을 분석하고, 개념적 은유와 환유의 이론으로 기본의미와 확장의미 간의 관련성을 해석하였다. 의미 확장의 과정에 있어서 한국어와 중국어 위치 관계어들은 공통점을 보이기도 하고 차이점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대조 연구는 해당 낱말의 이해뿐만 아니라 공간 개념에 관련된 언어 사용자들의 인지 체계를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 다양한 금속과 1,2-bis(4-pyridyl)ethylene linker를 이용한 고분자 화합물의 합성

        풍정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15

        가스나 이온의 저장소로 활용할 수 있는 MOFs(metal-organic-frameworks) 나 외부 물질과 결합할 시에 turn-on 이나 off가 되는 광학적 특성을 이용한 센서로서의 사용, 그리고 반응하는 용매에 잘 녹지 않아 수거하여 얼마든지 재사용이 가능한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촉매로서의 응용 등 고분자가 할 수 있는 역할은 무궁무진하다. 고분자를 합성하는 방법은 여러 종류가 있어왔지만 self-assembly에 의한 방법이 가장 손쉽고 안정적인 구조 형성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 유용하게 이용하고 있다. 이 self-assembly법 중에 하나인 layering 법은 결합시키려는 물질들을 용액화 시켜 vial 이나 얇은 관에 두 층으로 나뉠 수 있게 조심스럽게 흘려보내 방치해 두는 것으로써 시간이 지나면서 그들 스스로가 서서히 섞여 만나게 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그들을 합성하기 위해 기본 리간드로서 이중결합이 있고 연결 고리로 양쪽에 두 개의 N이 있어 다채로운 구조의 형성이 가능한 trans 1,2-bis (4-pyridyl)ethylene를 사용하였고 그 외 여러 가지 금속들을 사용하여 금속에 결합된 anion의 차이에 의해서, 또는 금속의 종류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구조적인 특성들에 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There are so many ways for polymer to applicate to other useful tools in the field of industry such as MOFs(metal-organic-frameworks) as storing gas or ion, sensor using the feature of luminescence turning on or off when it connects to other materials and an Eco-friendly and economical catalyst using the insolubility in the reacting solvent so that it can be used twice and more by being re-collected. There are some methods to synthesize of polymer. But the way of using self-assembly is the most easy and make the stable structure so that this method is still used a lot so far. one of the self-assembly methods, Layering is making the materials at least two become solution and layering these to separate them into over two compartments in vial or thin tube. In a few days or months there become a product blending themselves in the solution state. So I used the neutral ligand, trans 1,2-bis (4-pyridyl)ethylene having two N at the end of the structure and double bond between pyridyl rings and several metals with different anions to synthesize the polymer in this study.

      • GPT-vanishing 구조와 NP 작용소의 고유치의 조정가능성에 대한 분석

        풍정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15

        Two problems are studied in this dissertation. Firstly, we consider the GPT-vanishing structure problem. We provide a method of constructing GPT-vanishing structures using shape derivative for two-dimensional conductivity or anti-plane elasticity problem. We consider an optimization approach which solves the problem by minimizing a cost functional. We rigorously derive an asymptotic expansion of the perturbations of the GPTs that are due to small deformations of the boundaries of the coatings so that we can compute the shape derivative of this cost functional. We also present some numerical examples of GPT-vanishing structures for several different shaped inclusions. Secondly, we compute the eigenvalues of the Neumann-Poincar\'e (NP) operator for ellipsoids and investigate tunability of eigenvalues of the NP operator. The formula of eigenvalues of the NP operator on ellipsoids involves Lam\'e functions which are solutions of the Lam\'e equation. It is also of interest to consider the tunability problem that determining the shape of a geometry such that an eigenvalue of the NP operator is some specified value. We investigate the behaviors of eigenvalues of the NP operator when prolate spheroid tends to the needle shape and oblate spheroid tends to the disc shape. Based on this investigation we discuss the tunability question in three dimensions using prolate and oblate spheroids.

      • 충칭시의 경제정책과 한중산업단지의 발전

        풍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15

        중국은 개혁 개방기에 불균형 발전전략을 채택하여 동부 연해지역을 우선적으로 발전시키는 전략을 추진하였다. 따라서 대외경제발전도 동부연해 우선발전 전략으로 동서부 지역간의 불균형 격차는 심화되었다. 이 동부연해 우선발전 전략으로 심화된 지역간 불균형과 동부지역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 중국 정부는2000년대부터 서부대개발전략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서부지역의 대외경제개방 수준이 크게 향상되었다. 서부지역 중점 발전 도시인 충칭은 국가 경제발전정책의 대대적 지원을 받아 빠른속도로 발전해 왔다.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양국간의 경제무역교류는 지속적으로 확대되었다. 중국 개혁·개방 초기의 경제발전정책을 바탕으로 한국 기업의 대 중국진출은 주로 중국 동부 연해지역과 지리적 우위를 가진 동북부지역에 집중되었다. 그러나 2011년 중국 상무부와 한국 지식경제부는 ‘한중산업단지 건설 공동 지원 MOU’를 체결하여 충칭시에 한중산업단지를 건설하였다. 충칭 한중산업단지는 양국 정부가 충칭에 진출하는 한국 투자자를 위한 단지로 충칭 한중산업단지의 조성으로 중국 서부지역에 한국 기업이 진출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는 것이다. 조성 초기에는 많은 한국기업이 진출하고 활발히 발전하였는데 2015년 6월 한중 FTA체결 이후 양국 통상부 는 한중 간의 전략적 협력 파트너 관계를 강화하고 상호투자 및 산업협력 모델 창출 등을 위하여 중국 산둥성 옌타이, 장쑤성 옌청, 관둥성 휘저우에 한중산업단지를 건설하는 것을 결정하였다. 이는 충칭 한중산업단지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한중FTA를 체결 이후 한중산업단지 소재 도시들과 한국의 경제교류는 활발히 진행되는 반면 2011년 한중산업단지가 건설된 충칭시는 2014년에 비해 최근의 발전 추세가 하락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2016년 한국과 중국은 사드 배치 문제로 2017년 한국기업의 대 중국 투자가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나 한국기업의 대 충칭 투자는 2016년에 비해 상승하였다. 이러한 두가지 특이한 현상에 주목하고,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이러한 독특한 현상이 나타난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외국인이 중국에 투자 시 지역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주로 경제 발전 상황, 국가 경제정책 및 지방 정부 정책, 지리적 위치 등 몇 가지 주요 요소를 꼽았다.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수 년 간의 국가 경제정책과 지방경제정책이 한국기업의 대 충칭 투자 특히 한중산업단지 발전에 미치는 영향력이 중요하다는가정하에 충칭의 경제발전 정책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 가설의 정확성을 검증한다. 중국은 최근 수 년간, 중국은 서부대개발, 일대일로, 장강경제벨트, 경진기 협동발전, 동북진흥, 중부굴기 등 여러 중요한 경제발전전략을 세웠으며 충칭시는 서부대개발, 일대일로, 장강경제벨트 등 3대 경제발전전략 내에 포함될 뿐 아니라 국가급 경제발전계획으로 충칭 양강신구와 충칭 자유무역시험구를 설립하였다. 또한 중앙정부는‘자유무역시험구 외국인투자진입 특별관리조치(네거티브 리스트)(2018)’과 ‘서비스 중국(충칭) 자유무역시험구 조세우대정책 안내’를 발표하였다. 이들 정책들은 충칭의 경제발전에 큰 영향을 주어 충칭의 대외개방도가 상승하였다. 또한 충칭 지방정부가 제출한 경제발전 정책 중‘양강신구 4대 황금 10조 외상유치정책’은 한중산업단지의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것으로 예상되자만 현재까지 이 정책들의 활용도는 높지 않다. 향후 충칭 한중산업단지의 발전을 위해 이러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고, 한국기업의 중국 진출 시 충칭시가 유일하게 외상유치정책이 구비되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In the early stage of reform and opening up, China adopted an unbalanced approach which placed the eastern coastal areas ahead of other cities for development. This has led to an imbalance in economic growth between the eastern and western regions of China. Since 2000, Chinese government has conducted the ‘Western Development Strategy’ to solve the aforementioned imbalance problem present in China at the time. As a result, the degree of openness in China’s western region has greatly improved. Chongqing, one of key development cities designated by the country in the western region of China, has been developing at a rapid pace with the massive support from the nation’s economic development policy.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in 1992, bilateral economic and trade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have continued to expand. Based on the economic development policies of the early stage of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Korean companies’ investment in China was mainly concentrated in the eastern coastal area and the northeastern region due to its close geographical proximity. However, China’s Ministry of Commerce and Korean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signed the ‘MOU of understanding on jointly building Korea-China industrial park in Chongqing’, which has largely affected regional choices of Korean companies when investing in China. The Chongqing Korea-China industrial park is a complex for Korean invertors to make its way into Chongqing established by the two governments, it also worked as a gateway for Korean companies to enter the western market of China. Accordingly, many Korean companies have begun their investments in Chongqing and western regions. The industrial park has continued its development with active inflow of investments from 2011 to 2014. After the conclusion of the Korea-China Free Trade Agreement in June 2015, the two governments decided to build three more Korea-China industrial parks in Yantai, Yancheng, and Huizhou to strengthen the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to create a model for further mutual investment and industrial cooperation in the future. Since the signing of the Korea-China FTA, economic exchanges and trade communications between the three cities and Korea have been actively promoted. On the other hand, the Chongqing Korea-China industrial park has shown signs of decline as compared to 2014 in recent 5 years. In 2016, the overall investment of Korean companies in China has declined since the breakout of THAAD issue whereas the amount in Chongqing was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and describe the causes and implications of these phenomena. There are many possible explanations for these unique phenomena.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hoice of foreign investors when they invest in China mainly revolve around several factors such as the level of economic development of this region, national economic policy and local government policy, geographical location, labor cost, and so on. Therefore, this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influence of the national and the local government’s economic policy on the investment of Korean enterprises in Chongqing has been tremendous in recent years, especially the impact on the Chongqing Korea-China industrial park. Moreover,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the accuracy of this hypothesis through specific policy research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in Chongqing. In recent years, China has established several important economic policies and development strategies such as Western Development Strategy, One Belt and One Road Strategy, Yangtze River Economic Zone Development Strategy, Beijing-Tianjin-Hebei Coordinated Development Strategy, Northeast Promotion, and so on. Chongqing has not only been included in the three major economic development strategies of Western Development Strategy, One Belt and One Road Strategy and the Yangtze River Economic Zone Development Strategy, the central government has also set up a new state-level economic development area, Liangjiang New Area, in Chongqing in 2010 and the China(Chongqing) Polit Free Trade Zone in 2017. In addition, the central government announced the ‘Negative List(2018)’ and ‘Service China(Chongqing) Free Trade Zone Expert Preferential Policy Guide’, which have greatly influenced the economic development of Chongqing and increased the level of Chongqing’s economic internationalization by relaxing the regulations for foreign companies to invest in China’s Free Trade Zones. Chongqing, as one of the free trade zones, also benefits from these policies. Compared with other three cities, these policies have continually enabled the investment of a number of Korean enterprises in Chongqing even under the background of the reduction of overall investment of Korean companies in China after the THAAD incident in 2016. Moreover, among the economic development policies introduced by the Chongqing government, the four ‘Golden Ten Articles’ policies of Liangjiang New Area has provided good investment conditions for Korean companies from the aspects of land use and tax incentives. And it played a positive role in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Chongqing Korea-China Industrial Park. However, through research, it is found that not many Korean companies in Chongqing Korea-China Industrial Park are taking the advantage of these policies. It should be noted that it is necessary for Korean companies to actively utilize these policies for both their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the Chongqing Korea-China industrial park in the future. In particular, Chongqing’s current foreign investment policies are favorable for Korean companies in comparison with other cities in China.

      • 자동차 광고 마케팅에서 스토리텔링을 통해 구매 효과를 높이는 영향성 연구

        풍정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논문은 현대 미디어 환경에서 과학적 양적 연구로써 스토리텔링 마케팅을 바탕으로 활용하여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광고 마케팅에서 스토리텔링 마케팅을 활용하는 방법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스토리텔링 마케팅의 정의는 기업이 통합 채널을 통해 스토리를 주요 홍보 콘텐츠를 하여 대중 소비자에게 브랜드 콘셉트, 발전 전망, 제품 판매기점, 제품 특징 등을 전달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러한 방식을 통해 소비자의 인지도와 마케팅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1) 인터넷은 사람들의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사용되어 정보를 얻고 구매를 하는 것과 더불어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도 하고 있을 만큼 삶의 일부로 여기고 있다. 특히 세계 인구 1위 중국 네티즌 수는 한국의 전체 인구에 달하고 있으며, 중국의 젊은 세대 대부분이 필요한 정보를 모으고 전하는 데에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다. 인터넷을 사용하여 정보를 모으고 확산하는 방법은 편리하고 빠르다. 사람들은 필요한 물건을 구매하기 위해 직접 방문하지 않고 인터넷을 활용하여 필요한 물건을 쉽게 구매한다. 인터넷을 활용한 마케팅 전략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사항인 것이다. 최근 몇 년간 세계 경제 전반적으로 불안정하고 경기가 좋지 못한데다 자동차 업계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올해 전 세계적으로 퍼지는 전염병 코로나19 때문에 많은 업체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자동차 업계도 이를 피해갈 수 없는 상황에 놓여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업경영의 어려움과 부진함을 극복하기 위해 기업들은 광고 마케팅을 강화해서 판매 부진에 대비해야 한다. 시대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처하는 마케팅 전략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는 시점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자동차 광고 스토리 마케팅 성분을 분석하여 그 분석 결과가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를 통하여 향후 자동차 광고 제작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브랜드 문화 전파 경로가 급변하게 되고, 신기술의 전파 수단도 끊임없이 새롭게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브랜드 전파 방식도 그래픽의 변화 경로를 뒤따르고 있다. 스토리텔링 마케팅에 관한 선행연구가 아직은 많지 않아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스토리텔링 마케팅의 요소를 스토리인물, 스토리장면, 스토리 줄거리, 스토리특징으로 구분한다. 이러한 요소를 본 연구의 종속 변수를 규정하였다. 자동차 광고 마케팅에서 스토리텔링 마케팅 전략으로 상당한 수익을 얻은 성공한 사례가 많다. 본 연구는 영향력 있는 자동차 스토리 마케팅 광고 3편의 스토리텔링을 통해 구매 효과를 높이는 영향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스토리텔링 마케팅이 광고에서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Sheth-Newman-Gross는 소비자 가치 이론을 제시하며, 소비자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치를 기능적 가치, 조건적 가치, 사회적 가치, 정서적가치, 지적 가치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 수용성이나 충동성의 관점에서 직접적인 감수성을 검토하였다. 따라서 소비자 구매 의도의 영향 요인을 기능성 가치 감지와 감정적 가치 감지로 한정해 본 연구의 독립 변수로 규정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자동차 마케팅 광고 실례를 연구하고, 광고 성분 대응관계를 분석하여 자동차 마케팅 광고가 스토리텔링 마케팅 요소를 가지고 있음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스토리텔링 마케팅 요소를 자동차 광고를 통해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로 본 연구 모델을 구축하고, 소비자 구매 의도를 기능성 인지와 정서적 인지를 이론적인 바탕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유효 샘플 220부를 수집하여 데이터 분석을 전개하여 모델링 및 가설의 성립 여부를 연구하고, 연구 결론에 따라 본 연구의 연구 가치를 증명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스토리 캐릭터가 소비자 기능성 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2) 스토리 캐릭터가 소비자 정서적 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3) 스토리 장면이 소비자 기능성 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4) 스토리 장면이 소비자 정서적 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5) 스토리 줄거리가 소비자 기능성 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6) 스토리 줄거리가 소비자 정서적 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7) 스토리 특징 소비자 기능성 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8) 스토리 특징 소비자 정서적 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impact on consumers purc hase intentions based on storytelling marketing through scientific and qu antitative research in the modern media environment. Currently, how to u se storytelling marketing in advertising marketing occupies an important place. The definition of storytelling marketing is that a company commun icates the story to the public through an integrated channel through the main promotional content and conveys the brand concept, development pr ospects, product sales base, product characteristics, etc. through this met hod. It can be increased. People now view the Internet as a part of their lives as they use the I nternet to obtain and purchase information and interact with others throu ghout their daily lives. In particular, the number of Chinese netizens, the world's No. 1 population, reaches the total population of Korea, and most of the younger generations in China use the Internet to collect and delive r necessary information. The method of gathering and disseminating infor mation using the Internet is convenient and fast. People don't visit direct ly to purchase the items they need, but use the Internet to easily purcha se the items they need. Marketing strategy using the Internet is no long er an option, but a necessity. In recent years, the overall global economy is unstable and the economy is bad, and it has had a big impact on the automobile industry. In part icular, many companies are struggling with the pandemic corona19 that spreads around the world this year, and the automobile industry is also experiencing a lot of difficulties due to the corona19.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and sluggish corporate management, companies must prepare for sluggish sales by reinforcing advertising marketing. This is the time when it can be said that a marketing strategy sensitive to the changes of the times is essential.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the marketing component of the car advertisement story to study how the analysis result affects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It is hoped that the research will help in the production of automobile advertisements in the future. The path of brand culture propagation is rapidly changing, and the means of propagating new technologies are constantly changing. Therefore, the way of brand propagation is also following the path of change in graphics. There are not many prior studies on storytelling marketing yet, so this study divides the elements of storytelling marketing into story characters, story scenes, story plots, and story feature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se factors defined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In automotive advertising marketing, there are many successful cases where storytelling marketing strategies have made significant profits. This study identified the impact of increasing the purchase effect through storytelling of three influential car story marketing advertisements. Through this, we verified that storytelling marketing has a positive effect in advertising. Sheth-Newman-Gross presents the theory of consumer value, and divides the values that affect consumer purchase intention into functional values, conditional values, social values, emotional values, and intellectual values. This study examined direct sensitivity in terms of consumer acceptance or impulsivity. Therefore, the influencing factors of consumer purchase intention were defined as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by limiting the detection of functional value and detection of emotional value.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to study automobile marketing advertisement examples,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dvertisement components, and verify that the vehicle marketing advertisement has a storytelling marketing element, and through this, the storytelling marketing element is converted to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rough automobile advertisement. This study model was constructed as a theoretical basis to study the impact on the consumer purchase intention,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functional perception and emotional percepti on. 220 copies of valid samples were collected a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o study whether the modeling and hypothesis were established, and according to the conclusion of the study, the study value of this study was proved. As such,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tory characte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consumer functionality. The story character had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 emotional perception. The story scen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consumer functionality. The story scen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onsumer emotional perception. The storyline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consumer functionality. The storylin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onsumer emotional perception. Story features positively influenced the perception of consumer functionality. Story characteristics It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 emotional perception.

      • 모바일 게임 속 내러티브 광고 전략에 관한 연구

        풍정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15

        현재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게임은 이용자 수나 경제적인 규모로 보아도 빠른 증가 속도와 상당한 경제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된다. 약 4억 명 이상이 인터넷을 이용한 게임을 경험하거나 즐기고 있고, 상위 10개의 게임 매출액은 2014년 통계로 이미 2조 원이 넘는 시장 규모를 보여준다. 인터넷상의 게임을 지칭하는 e-스포츠는 일정 규모의 국제 대회가 다양하게 열리고 있으며, 각국의 대학에서도 게임과 e-스포츠 전공 학과가 개설되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온라인 게임 산업의 발전은 국가 경제 시스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발전하고 있다. 1990년대에 등장한 새로운 서사학은 기존의 서사학 연구 범위를 문화적 의미의 서사적 작품으로 확장하여 새로운 형식의 서사물도 연구 범위에 포함하기 시작했다. 소위 포스트서사학이라고 명명된 이 서사학에서는 미디어 형식을 받아들이면서도 서사적인 구조를 일정한 시간의 범위를 넘어 초 단위의 서사에도 서사적인 이해를 도모한다. 이런 배경에서 광고는 현대 소비주의 사회에서 중요한 문화 콘텐츠 및 사회 텍스트로서 관련 분야의 새로운 경로가 되었다. 본 논문을 통해 동기 부여 이론적 모형을 구축한 후, 모바일 게임 속 내러티브 광고를 구축한 모형에 적용하여 모바일 게임 내러티브 광고의 구성 요소로서 모형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광고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4I 원칙에 따른 개성화와 동기 이론을 바탕으로 모바일 게임의 내러티브 광고 전략을 수립하여, 내러티브 광고의 제작이나 광고 정립에 있어 중요한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4I 원칙의 개성화에 따라 시청자의 관점으로 광고 전략을 수립하였다. 게임 동기를 구분하여 외적 동기와 내적 동기로 재정의하였다. 게임 외적 동기를 게임의 줄거리, 화면, 사운드, 게임 조작으로 구분하고, 내적 동기를 문헌 분석을 통해 성취, 사회적 상호작용, 몰입, 현실회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이를 증명하는 방법으로 과학적 게임 경험 설문지(GEQ)를 기반으로 시도하였다. 연구 내용을 토대로 구체적인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네러티브 광고의 중요성과 제한된 시간 내에 제품의 내용을 전달하는 방법에 대한 구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2022년 글로벌 게임 수익 순위 상위 4개 게임에 따라 인기가 높은 내러티브 광고를 사례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내러티브 요소를 스토리 캐릭터, 스토리 장면, 스토리 플롯 및 스토리 특징 등 4가지 측면으로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모형의 가설 결과에 따라 모바일 게임의 내러티브 광고 전략을 수립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게임 외적 동기에서 게임 화면, 게임 사운드 및 게임 조작 모두 플레이어의 게임 경험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게임 외적 동기에서 게임 줄거리만 플레이어의 게임 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게임 내적 동기에서 성취, 사회적 상호적용, 몰입, 현실회피 모두 플레이어의 게임 경험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플레이어의 게임 경험은 게임 동기와 플레이어 이용 의사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완전한 매개 역할을 하여 내러티브 광고가 게임 동기와 플레이어의 게임 경험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조절 효과가 있다는 점을 구체적으로 밝혀내었다. 내러티브 광고에서의 스토리 장면이 게임 외적 동기와 게임 경험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유의한 긍정적인 조절 효과가 있으며, 스토리 특징이 외적 동기와 게임 경험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유의한 긍정적인 조절 효과가 있는 것이 드러났다. 본 연구는 시청자의 요구와 선호도를 구체적인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요소와 이해도를 결합하여 다양한 해석을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시청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동시에 브랜드 선호도와 플레이어의 이용 의사를 크게 높일 수 있다. 그렇기에 이후 현재의 성과를 기반으로 광고 전략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Currently, online games using the Internet are evaluated as having a rapid rate of increase and significant economic value in terms of the number of users and economic scale. More than 400 million people experience or enjoy games using the Internet, and the top 10 game sales show a market size of over 2 trillion won as of 2014. E-Sports, which refers to games on the Internet, has been held in various international competitions of a certain size, and universities around the world have opened game and e-Sports departments and are actively operating them. The development of the online game industry is developing and occupying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national economic system. The new narration that appeared in the 1990s expanded the scope of existing narration studies to narrative works of cultural meaning and began to include new forms of narrative in its research scope. In this so-called post-narrative study, while accepting the media format, it promotes a narrative understanding of the narrative structure in seconds beyond the scope of a certain time. Against this backdrop, advertising has become a new path in related fields as an important cultural content and social text in the modern consumerist society. After constructing a motivational theoretical model through this thesis, narrative advertisements in mobile games were applied to the built model to analyze the effect on the model as a component of mobile game narrative advertisements. Based on the theory of individualization and motivation according to the 4I principles of advertising marketing communication theory, we established a narrative advertising strategy for mobile games to lay an important foundation for the production or establishment of narrative advertising. To this end, an advertising strategy was established from the perspective of viewers according to the individuation of the 4I principles of communication theory. Game motivation was redefined as extrinsic motiv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was divided into game plot, screen, sound, and game manipul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was divided into achievement, social interaction, immersion, and avoidance of reality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s a way to prove this, an attempt was made based on the Scientific Game Experience Questionnaire (GEQ).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study, a specific model was built, and through this, the importance of narrative advertising and the method of delivering the contents of the product within a limited time were sought to be structured.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top 4 games in the global game revenue ranking in 2022, popular narrative advertisement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of case analysis, and narrative elements were analyzed in detail in four aspects: story characters, story scenes, story plots and story features. According to the hypotheses of the model, a narrative advertising strategy for mobile games was established. Through this process, it was found that the game screen, game sound, and game manipulation all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layer's game experience in terms of extrinsic motivation, and only the game plo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layer's game experience in terms of extrinsic motivation.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it didn't. In addition, it was investigated that achievement, social interaction, immersion, and avoidance of reality all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layer's game experience in terms of in-game motivation. In addition, the player's game experience plays a complet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me motivation and the player's intention to use the game, and it is specifically revealed that the narrative advertisement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me motivation and the player's game experience. It was revealed that story scenes in narrative advertisemen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insic motivation and game experience, a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 of story features on extrinsic motivation and game experience. It was revealed that story scenes in narrative advertisemen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insic motivation and game experience, a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 of story features on extrinsic motivation and game experience. This study can produce various interpretations by combining elements and understanding of viewers' needs and preferences based on specific survey result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 needs of viewers and at the same time greatly increase the brand preference and the player's willingness to use. Therefore, based on the current results, we tried to suggest a new direction for advertising strategy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