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군조형'(group form)의 linkage개념으로 바라본 한·중대학 캠퍼스 변용에 관한 연구 : 한·중대학 11개 대학을 중심으로

        팡단 동국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15

        In this study, South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campuses are adopted as the transformation form to explore its meaning through the concept of group form linkage, so as to enrich and clear the context of university campus design. The reason for doing so is that the campuses of South Korean and Chinese universities are not dominated by axis or the academic style of symmetry between any walls; instead, their buildings show variations. We can say that a university, as an antinomic space to guarantee various activities, has a system similar to a city or a settlement.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the unified form rendering relationships between a unit (element, house, and college) and the whole (a city, a settlement, and a campus) in comparison with the theory of collective form presented by Maki Fumihiko at the Washington University as a methodology to show relationships between a unit and the whole. In particular, among 3 forms about such collective form, this thesis intends to investigate the group form and the Chinese campus transformation from the group form in view of the notion of linkage as an indispensible manipulation to build the group form, to find out the meaning and then. In other words, this study investigates that like Korean universities, Chinese universities also go through such process to create a hide-and-seek(알른거림) and flexible-order(낭창낭창한 질서) campus that guarantees various activities. Furthermore, it aims at finding the differences of Chinese universities and Korean universities to find more leads for campus planning according to inherent factors rather than external factors in the future. Moreover, this study examines the degree of campus openness (social service level) based on such concepts as independence, comprehensiveness and coexistence that were classified by Minobe Yukio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ildings and the periphery of foundations on campus. Minobe Yukio start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hole building on campus and the surrounding area of foundation, and divided the buildings on campus into three categories. Category 1: independent type which separates the building from the surrounding area of foundation to present staggered layout and endow the entire building with a complete character. Category 2: comprehensive type which combines connecting elements of buildings which traverse the campus, links the inside and outside of foundation, and endows the building and the foundation with an incomplete character. Category 3: coexistent type which regards quad as the medium to integrate the building clusters and chain these clusters on the entire land. Therefore, based on the concepts of these types, this paper will explore the degree of openness of South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campuses. The research subjects in this study were Korea: Yonsei University (1885), Korea University (1905), Dongguk University (1906), Seoul National University (1924), Ewha Womans University (1935), China: Wuhan University (1893), Tianjin University and Xi`an University of Architecture and Technology: It was established in 1895 as Tientsin University/ Imperial Tientsin University and later Peiyang University(Beiyang University), Peking University (1898), Tongji University (1907), Tsinghua University(1911). These 11 universities were chosen in consideration of the founding body, the timing of the establishment, the size of the campus. In other words, it is believed that South Korean and Chinese universities vary in spatial characteristics of campus due to these different features, and will create different experiences for everyone sharing the campus. Despite such differences, Chinese campuses, just like South Korean campuses, have witnessed a changing process of segmentation, openness and guarantee of sense of community which match the internal factors of universities. Besides, even under such diverse antinomies operations and heterogeneity, it is still possible to create a graceful and distinctive campus space that meets the inherent demand of universities for multiple human activities on campus. This fact can be confirmed by the campuses of South Korean and Chinese universities. 본 연구에서는 한국·중국대학캠퍼스의 변용을 군조형의 결절개념에 비추어 그 의미를 살펴보고 대학캠퍼스 계획의 실마리를 좀 더 명확하고 풍성하게 하고자 한다. 그 이유는 한·중대학의 캠퍼스는 축선이 지배하여 어떠한 성장에도 대응하는 보자르형이 아닌 변용을 나타내고 그렇다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지 않은 캠퍼스 형으로 전개되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인간 환경을 보장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대학은 이율배반적이 면서도 다양한 활동을 보장하는 공간으로 도시나 취락과 유사한 체계를 지녔다고도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별적인 요소(주택, 단과대학)와 전체(도시, 취락, 캠퍼스)의 관계를 부여하는 통합형식을 마키 후미히코(Maki Fumihiko)가 워싱턴대학에서 발표한 개별적인 요소와 전체의 관계성을 나타내기 위해 방법론적으로 제안한 집합체(Collective Form)이론과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그러한 집합체에 관한 세 개의 전형 중 군조형(group form)과 그러한 군조형을 형성하기 위해 불가결한 조작인 결절(Linkage)의 개념에 비추어 한·중대학캠퍼스의 변용을 살펴본다. 즉, 이러한 연구 절차를 통하여 한·중대학 모두 다양한 활동을 보장하는 알른거림(hide and seek)과 낭창낭창한 질서(flexible order)의 캠퍼스를 창조하고 있음을 살펴본다. 더불어 한·중대학들 간의 상이점도 도출하여 외적 계기(external factors)가 아닌 내발적 요인(inherent factors)에 따른 캠퍼스계획을 하는 데 있어 그 실마리를 좀 더 풍성하게 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미노베 유키오(美濃部幸朗)가 캠퍼스 내 건물과 대지주위의 관계로부터 유형분류한 독립, 통합, 병존형의 개념을 이용하여 캠퍼스의 개방성 정도(사회봉사정도)를 살펴본다. 즉, 미노베는 캠퍼스 내 건물전체와 대지주위의 관계로부터, 건물이 대지주위로부터 이격되어 완결된 성격의 독립형, 건물을 통합하는 접속요소가 캠퍼스 내를 횡단함으로서 대지 내․외로 연속되는 비완결적인 성격의 통합형, 중정공간(Quad)을 매개로 하여 건물들의 클러스터(Cluster)들을 중합(重合)시켜, 그러한 클러스터들이 대지 전체에 연쇄하여 배치된 구성의 병존형으로 유형을 분류하고 있다. 이러한 유형 분류한 개념을 바탕으로 한·중대학 캠퍼스의 개방성정도를 살펴본다. 한편 연구에서의 연구대상은 한국: 연세대(1885), 고려대(1905), 동국대(1906), 서울대(1924), 이화여대(1935) 선정하였고 중국: 무한대(1893), 천진대와 서안건축과기대의 전신이 되는 북양서학학당(北洋西學學堂 1895), 북경대(1898), 동제대(1907), 청화대(1911) 총 11개 대학을 선정하였다. 그러한 설립주체, 설립시기, 캠퍼스 규모와 인원수, 기후 등을 고려하여 선택되었다. 상기에 서술하였던 결절개념과 미노베의 대지주위와 관계성을 바탕으로 살펴본바, 한·중캠퍼스는 1. 결절조작수법에 따른 유형이 한국과 중국은 상이하였고, 2. 한국 각 대학은 유형이 각각 상인한 반면 중국은 각 대학별로 상이한 유형으로 편성되지 않고 유형을 공유한 경우를 확인 할 수 있었으며, 3. 한국에서 살펴볼 수 있었던 개별적인 결절수법만으로 편성된 유형은 중국대학캠퍼스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4. 중국대학캠퍼스는 원형을 그 기점으로 하여 유형들의 결합이 이루어져 새로운 유형을 파생시키고 있으며, 5. 한국대학은 일원적인데 중국대학은 다원적인 캠퍼스 유형들의 결합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경우가 존재하며, 6. 조작요소의 적용에 있어서의 사용방법의 상이로 인하여 한·중은 상이한 캠퍼스 특성이 발현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즉, 한·중대학은 상이한 이러한 특성들로 인하여 캠퍼스의 공간적 성격도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캠퍼스를 공유하는 일원들에게 상이한 경험을 부여하리라 판단된다. 그러나 이렇듯 상이점이 도출되었다고 하더라도 한․중 캠퍼스 모두 세분화, 개방성, 공동체의식 확보라는 대학의 내발적 요인을 만족시키는 공간으로 변용되는 과정을 거쳤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또한, 이렇듯 다양한 이율배반적(結節)인 조작이 적용되어 상호 이질적이며 다양한 인간활동을 요구하는 대학의 내발적 요인을 만족시키는 낭창낭창하고 알른거림의 공간을 특성으로 하는 캠퍼스 공간을 창조하고 있다는 사실을 한·중대학 캠퍼스에서 확인 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