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정규 품질특성을 위한 다중 공정 능력 분석 차트 설계

        추성엽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ulti-Process Capability Analysis Chart(MPCAC) can be us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 multi-process as well as a single process. It contains some decision limits on process capability indices for each process quality characteristic to satisfy the requirements on the entire process capability. The MPCAC, however, is usually constructed and us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terest are normally distributed and they are independent. In real applications, however, it is well known that the quality characteristics do not always follow the normal distributions and they are dependent. Since the process capability indices developed under normality assumptions are sensitive to non-normality and they tend to overestimate the real value of process capability, it may not be appropriate to use MPCAC designed under these assumptions of normality and independence. In this study, the MPCAC under non-normality is propos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 multi-process containing smaller-the-better, lager-the-better and nominal-the-best quality characteristics for both cases with independent and dependent quality characteristics. C_(pk)^(WSD) can be used to obtain the process capability, since it can be easily obtained with a handled calculation from small samples and performs better than the other PCIs based on assumption of non-normality. To make a strict decision for the entire process, the lower confidence limit of C_(pk)^(WSD) is also used and the bootstrap method is adopted to find it. An illustrative example shows that MPCAC using C_(pk)^(WSD) with standard bootstrap method performs better than the other methods under non-normality.

      • 대학의 산학협력 연구관리 운영상의 문제와 개선방안 : 5개 산학협력단을 중심으로

        추성엽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정부의 대학 연구개발비 지원규모는 매년 큰 폭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산학협력사업 지원확대는 대학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확산과 대학의 연구개발능력에 대한 신뢰성 제고 측면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대학의 연구개발비 관리의 투명성에 대한 외부 연구비 지원자들의 관심이 높아감에 따라 이에 대한 대응으로 산학협력단에서는 연구개발비 관리의 투명성 개선을 위한 일련의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산학협력단 연구개발비 관리의 투명성 및 효율성에 대한 의문을 해소하고, 각 대학 산학협력단의 연구개발비 관리 실태를 비교ㆍ분석하여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산학협력단의 연구관리체제를 제시함으로써, 연구자에게는 연구개발사업비 회계 관리의 부담을 덜어주고 대학의 산학협력단에는 연구관리 분야에 투명하고 효율적인 개선책을 제시하고 있다. 제Ⅱ장에서 대학의 산학협력단 설립 및 연구관리제도에 대하여 검토하였고, 제Ⅲ장에서는 연구력이 우수하고 연구비 수주액이 최상위권에 있는 전국 거점 국립대학교의 5개 산학협력단의 연구관리 중심으로 ①연구관리 조직, ②연구기획, ③과제선정(사업공고 및 신청), ④연구비관리 및 정산(협약 및 정산), ⑤성과관리(지식재산권의 관리와 기술이전), ⑥전문인력 양성분야 등 연구관리 운영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분석하여 투명하고 효율적인 연구개발비 관리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산학협력단 연구관리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과 산학협력단의 관계에서 현재까지도 모호하게 위치하면서 잠재적인 문제의 소지를 안고 있는 부분인 인력, 시설 및 에너지 사용, 시설⋅장비의 소유권 귀속, 재원 사용문제 등에 대해 재정리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각 대학 산학협력단의 상황에 가장 적합한 모델을 개발하고 특성화시켜 적용해 나갈 필요가 있다. 각 대학의 장은 현실에 맞는 가장 적합한 모델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제도 정비를 해 줄 필요가 있다. 셋째, 대학 또는 산학협력단이 보유하고 있는 특허권 등의 기술을 양도하거나 대여하여 발생하는 수익에 대하여 현재 등록된 특허에 대해서만 면세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특허가 출원이 된 상태에서도 기술이전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빈번하며 그 만큼 그 해당기술의 수익성, 신규성, 창의성, 시장성 등이 뛰어나다는 것을 반증하는 경우이므로 산학협력 활성화에 대한 동기부여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라도 그 발명자에 대한 원천세를 면세해 주는 것이 타당하다. 넷째, 산학협력단 소속 전담직원에 대한 직업의 안정성을 보장해 줄 필요가 있다. 학교 직원에 대해서는 산학협력업무의 전문성을 인정해 주고 그에 따른 인센티브를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각 대학 산학협력단과 연계하여 연구 및 산학협력 전문 인력 Pooling System을 구축하거나 산학협력단 간 인력 순환 협조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다섯째, 산학협력단 연구행정업무의 효율화 및 전문화를 위해 심도 있고 지속적인 산학협력 전담직원에 대한 관련 연구행정업무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여섯째, 산업체와의 연계업무 활동 강화를 위해 산학협력단 내에 연구기획과 네트워크 연계기능을 담당하는 조직을 갖출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산학협력단 내의 연계조직들과 전체 산업체와의 연계․협력․정보교류의 역할을 담당하는 전국연합조직을 구성하여 교류를 활성화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줄 필요가 있다.

      • 육군 초급간부의 좌절된 대인관계욕구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연구

        추성엽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As seen in the recommendation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to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ce on Sep 1, 2020, the extreme choice of junior leaders continues to increase. As countermeasures, various suicide prevention programs, mandatory education of suicide prevention, and mandatory counseling for junior leaders by professional counselors are implemented, but problems are raised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of systems. In addition, the current military organization are facing new challenges such as a decrease in military resources due to the decrease in population, a shift from conscription system to volunteer military system, increased relative deprivation of junior leaders in the process of the military culture innovation and increased fatigue due to COVID-19.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theoretical plan to prepare countermeasur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xact cause of the suicide rate increase problems of junior leaders. Through previous studies, interpersonal needs, future time perspective,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were selected as variables that influence suicidal ideation, and a hypothesis was established on how the process affects suicide ide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on suicide ideation of junior leader in Army. In this process, it was attempted to confirm whether the future time perspective acts as a mediating factor between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and suicidal ideation and whether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has a moderating effect. A questionnaire was created using the scales of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suicidal ideatio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A total of 512 members of the Army TRADOC students and junior leaders working in the field were surveyed, and the collected results were used for analysis. Here, the junior leader refers to the staff sergeant, sergeant first class, second lieutenant, first lieutenant, and captain.. In this study, rank, unit, MOS (military occupational specialities), affiliation, marital status, children’s existence, and final academic background were checked in order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officers and NCO(non-commissioned officer)s within 4 years after commission. To confirm the correlations, mediating effects and moderating effects between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suicidal ideatio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PROCESS macro model 5 were used for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Bootstrap was used for verifying the control effects and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suicidal ideatio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showed correlations. Suicidal ideation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future time perspective and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It was found that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future time perspectiv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It was found that the future time perspectiv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This shows the possibility that improvement of future time perspective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can contribute to reducing suicidal ideation. Also, the regulation of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is related to the regulation of suicidal ideation. Seco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the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influenced the future time perspective and suicidal ideation. This indicates that as the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increases, the future time perspective decreases, and it means that the fulfillment of the interpersonal needs can positively improve the prospect for the future.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increase of the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has an effect on the increase of suicide accidents. In addition,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the future time perspective had a negative effect on suicidal ideation. Considering these results, it shows the possibility of reducing the risk of suicide by improving the future time perspective through the improvement of a positive future outlook. Thir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This shows that suicide accidents are likely to be affected by external and future-oriented factors such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future prospects, but less by internal factors. This means that external frustrations and pessimistic outlooks for the future have a greater impact on suicide than self-awareness. The same was found in the results of a study on adolescents from Seo (2011) and military soldiers from Shim (2017). Fourth,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future time perspective acts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and suicidal ideation. This shows a linear relationship in which the future time perspective is improved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and through this, the suicidal ideation is reduced.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of reducing suicidal ideation is greater by improving the future time perspective rather than directly affecting suicidal ideation through improvement of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This means that in the process of improving the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to improve the future time perspective, suicidal ideation is also reduced, resulting in a positive double effect. Fifth, the moder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and suicidal ideation. This shows that although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does not directly affect suicidal ideation independently, it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uicidal ideation if it works with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when controlling suicide accidents, it is more effective to improve the external factors together that affect the target beyond personal problem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some but not the entire military organization and found that despite gender differences and various limitations of cross-sectional investigations,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future time perspective,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were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In solving the suicide problem, it was found that it was possible not only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internal factors of the individual but also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relational aspect of the individual. This study was conducted only for junior leaders, but it seems that the intervention and responsibility at the organizational level beyond the individual level are also required for the soldiers. In order to prevent suicide and solve problems in military organiz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be reflected in the cause of analysis and current education contents,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elp establish military policy and improve suicide-related systems in the future. 국방부에 대한 인권위의 권고(2020.9.1)에서 보듯이 초급간부들의 극단적 선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른 대책으로 각종 자살예방 프로그램과 자살예방교육 의무화,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에 의한 초급간부 집단상담 의무제등이 실시되고 있으나 각종 제도의 실효성 측면에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 밖에도 현재 군 조직은 인구 감소에 따른 병역 자원의 감소, 다문화장병의 군 입대, 징병제에서 모병제로의 전환 논의, 병사 위주로 진행되는 병영문화혁신 과정에 대한 초급간부들의 상대적 박탈감과 코로나로 인한 피로감 증가 등의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따라서 초급간부들의 자살률 증가 문제의 정확한 원인 파악을 위해서는 대응책 마련을 위한 이론적 방안 제시가 필요하다. 선행연구를 통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대인관계욕구, 미래지향 시간관,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선정하였고, 자살생각에 어떠한 과정으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육군 초급간부의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함이다. 이 과정에서 미래지향 시간관이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와 자살생각 사이에서 매개요인으로 작용하는 것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에서 확인된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 자살생각, 미래지향 시간관,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육군 교육사 예하 병과학교 교육생과 야전에서 근무하는 초급 간부 중 총 51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결과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여기서 초급간부란 하사 중사 소위 중위 대위의 계급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는 임관 후 5년 이내 장교 및 부사관을 대상으로 그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서 계급, 부대, 병과, 성별, 소속, 결혼여부, 자녀유무, 최종학력을 확인하였다.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 자살생각, 미래지향 시간관,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 상호간의 상관관계, 매개효과,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요인분석, 상관분석을 위해 PROCESS macro model 5를 이용하였고 조절효과와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랩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 자살생각, 미래지향 시간관, 무조건적 자기수용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살생각은 미래지향 시간관,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와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지향 시간관은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래지향 시간관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향상이 자살생각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무조건적 자기수용은 미래지향 시간관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와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의 조절이 자살생각을 조절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가 미래지향 시간관과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가 증가할수록 미래지향 시간관이 감소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대인관계 욕구의 충족이 미래에 대한 전망을 긍정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의미이다. 또한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의 증가가 자살사고의 증가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 더해서 미래지향 시간관이 자살생각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볼 때 긍정적인 미래 전망의 향상을 통해 미래지향 시간관을 개선하여 자살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셋째, 무조건적 자기수용은 자살생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이는 자살사고가 대인관계나 미래에 전망과 같은 외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요소에 영향을 받지만 내면적인 요소에 영향을 덜 받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외부로부터의 좌절과 미래에 대한 비관적 전망이 자기 스스로에 대한 인식보다 자살에 더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서미아(2011)의 청소년과 심태경(2017)의 군 병사 대상 연구결과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넷째, 미래지향적 시간관이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와 자살생각의 사이에서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를 개선하는 것을 통해서 미래지향적 시간관이 향상되고 이를 통해서 자살생각이 감소하는 선형관계를 보여준다. 따라서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의 개선을 통해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보다 미래지향 시간관을 함께 개선함으로서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미래지향 시간관의 개선을 위해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를 개선하는 과정에서 자살생각도 감소하게 되는 긍정적인 이중효과를 갖게 된다는 의미이다. 다섯째,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와 자살생각 사이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독립적으로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와 함께 작용하면 자살사고를 개선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자살사고를 조절할 때 개인적인 문제를 넘어서 대상에게 영향을 미치는 외적인 영향요인도 함께 개선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군 조직 전체가 아닌 일부를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성별의 차이 및 횡단적 조사라는 여러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육군 초급간부를 대상으로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 미래지향 시간관,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자살생각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살 문제 해결에 있어 개인의 내적 요인뿐만 아니라 개인이 처한 관계적 측면의 외적 환경 개선을 통해서도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육군의 초급간부만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나, 장병들을 대상으로도 개인적 차원을 넘어 조직적 차원에서의 개입과 책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군 조직 내 자살 예방 및 문제 해결을 위해 본 연구 결과를 원인 분석 및 현재 실시하는 교육 내용에 반영해야 할 것이며, 이 밖에도 향후 군 정책 수립과 자살관련 제도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AI 챗봇 기반 영어 그림책 다시 말하기 수업 모형 개발 연구

        추성엽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초등영어 학습자를 위한 AI 챗봇 매개 영어 그림책 다시 말하기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야기 다시 말하기는 영어 학습자가 본인의 수준에 적합한 이야기를 읽고, 그 이야기의 내용을 재구성하여 이야기를 접해보지 않은 타인에게 구술하는 읽기-말하기 통합 학습 방법이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이러한 활동은 학습자로 하여금 정교한 영어 사용 능력을 습득하고, 배경지식을 활성화하며 읽기 활동에 대한 흥미를 갖도록 한다. 그러나 그것의 다양한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교실 환경에서 교사는 전통적인 형태의 다시 말하기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많은 현실적인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이러한 어려움을 부분적으로나마 경감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영어 그림책 다시 말하기 활동을 중재하는 기제로서 AI 챗봇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과정에서 아동 학습자가 보이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영어 학습자를 위한 AI 챗봇 매개 영어 그림책 다시 말하기 수업 모형과 AI 챗봇 설계 준거는 어떠해야 하는가? 둘째, 초등영어 학습자를 위한 AI 챗봇 매개 영어 그림책 다시 말하기 학습 과정에서 AI 챗봇에게 그림책 내용을 다시 말하는 학습자의 발화 양상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영어 학습자를 위한 AI 챗봇 매개 영어 그림책 다시 말하기 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자의 초인지적 특성과 흥미도는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연구 설계는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의 5학년 18명의 학생이고, 구글 다이얼로그플로우 앱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Google Dialogflow API)로 개발된 AI 챗봇의 중재를 받으며 3가지 영어 그림책에 대한 다시 말하기 활동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영어 그림책은 연구 참여자가 학습하는 교과서의 내용과 미국의 교육연구기업인 메타메트릭스(MetaMetrics)가 영어책 텍스트 난이도를 구분하기 위해 개발한 렉사일 지수(Lexile scales), 그리고 아동 학습자를 위한 동화책 선정 기준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 참여자의 수준에 적합한 3가지 그림책을 선정하였다. 또한, 연구자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우리나라 초등학교 영어 교육과정과 교실 현장의 특성에 맞게 영어 이야기 다시 말하기 학습 모형과 그 모형에서 중재 역할을 하는 AI 챗봇의 개발 준거를 고안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발화는 다이얼로그플로우의 자동 전사 기능인 ‘히스토리(history)’ 기능을 활용하여 전사되었고, 연구 참여자의 다시 말하기 수행 과정을 녹화한 영상을 보며 전사 자료의 정확성을 보완하였다. 마지막으로, 해당 활동의 수행 과정 중 연구 참여자가 보인 초인지적 특성과 흥미도를 탐구하기 위해 질문지와 심층 면담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 문제와 관련하여 나타난 연구 결과와 그에 대한 논의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다시 말하기 학습 모형은 총 80분의 2차시로 구성되며, 다시 말하기를 수행하기 전에 관련 어휘와 문장 패턴에 대한 사전학습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스캐폴딩(scaffolding) 자료로 관련 그림 자료와 그래픽 조직자(graphic organizer)가 필요하다. AI 챗봇 개발 준거는 언어적 관점(linguistic perspective)과 정의적 관점(affective perspective)으로 구성되는데, 각 관점마다 4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 둘째, 연구 참여자의 발화에서 나타난 다양한 발화 요소의 특징과 그 관계는 AI 챗봇이 제공하는 프롬프트(prompt)와 스캐폴딩의 구성 방식이 이야기의 수준과 함께 학습자의 발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더불어, AI 챗봇의 발화는 학습자의 영어 수준에 맞게 조절되어야 하고, 학습자의 발화를 점진적으로 유도해내기 위해 정교한 엔터티(entity)와 프롬프트(prompt)의 구성이 필요하다. 셋째, 초인지적 특성의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는 해당 활동의 수행 과정 중 적절하게 본인들의 학습 과정을 계획하고, 점검하며 평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활동과 그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것을 이후의 학습에 반영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본 활동에서 다른 요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흥미도를 보인 것은 어려운 어휘와 AI 챗봇의 과도한 발화량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되었음을 미루어 보았을 때, 연구 참여자의 발화가 AI 챗봇에게 전달되는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현 상황(pandemic situation)이 안정화되어 대면 수업이 가능해졌을 때 지금까지 논의된 부분에 대해 대면 방식으로 심도 있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을 연구자 이외의 다양한 교사들이 적용한 후 그에 따른 의견을 연구자가 반영하여 해당 모형의 활용 가능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의 수가 18명이고 서울시 소재의 초등학생인 점을 고려하였을 때, 본 연구를 통해 산출된 결과를 전국의 모든 아동 학습자에게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마지막으로, AI 챗봇과 자연어 처리 기술 발달의 현주소를 생각해보았을 때 AI 챗봇만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온전한 이야기 다시 말하기 학습을 기대하는 것은 시기상조이며 여전히 교사 주도의 안내와 지원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아동 학습자의 이야기 다시 말하기 활동을 중재하고 촉진하기 위해 교실 현장에서 AI 챗봇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다시 말하기 수업 모형은 현 상황이 극복된 이후 대면 방식의 수업 상황에서 실행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더불어, 본 연구를 초석으로 하여 다양한 교사 커뮤니티를 통해서 영어 읽기 학습을 위해 AI 챗봇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활발하게 연구되어야 한다. 이로써,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이 다양하게 보완되어 온라인 및 오프라인 환경에서 양수겸장으로 적절하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현장의 교사들은 AI 챗봇을 배척할 대상이 아니라,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교육을 위해 협력해야 할 대상으로 인식해야 한다. 그 결과, AI 챗봇은 더 이상 교사의 경쟁자(competitor)가 아니라 협력자(collaborator)로서 그 역할을 다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AI 챗봇이 인간과 동일한 수준의 대화를 구사하고, 한국인 영어 아동 학습자의 모호한 발음도 인식함으로써 실효성 있는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서 한국인 아동 학습자의 영어 발화에서만 나타나는 독특한 특성이 포함된 데이터를 학습한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처럼 지금까지 논의된 다양한 점들을 미루어보았을 때, 본 연구는 그동안 전통적인 방식의 영어 읽기 관련 수업을 진행해왔던 교사들에게 부분적으로나마 지원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 teaching model using English picture book retelling activities mediated by AI chatbots in elementary school. Participants were 18 students of the 5th grade and performed the retelling activity with 3 English picture books. The AI chatbots were built with the Google Dialogflow API, and the criteria for building the AI chatbot were developed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The learners’ productions were transcribed by the ‘history’ function of the Dialogflow and analyz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Finally, the learners’ meta-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interests were explored by a survey and an in-depth interview.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del was composed of 2 lesson periods of 80 minutes long, and learning vocabularies and patterns were required before retelling. In addition, pictures and graphic organizers worked as scaffolding. The criteria consisted of linguistic and affective perspectives, constituted with four elements for each. Second, various elements of the students’ productions showed that the way of designing AI chatbot's prompts and scaffoldings might affect the students’ production along with text levels. Moreover, the utterances of the chatbots should be controlled to the moderate level of the learners, and sophisticated entities and prompts were required to gradually elicit the end-users productions. Third, the participants appropriately planned, checked, and evaluated their learning while performing the activity. Furthermore, they identified difficult activities and their reasons and reflected them in later learning. However, the primary reason for the pupils’ relatively low interest was assumed to be the demanding words and the chatbots’ overwhelming utterances. As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re were many unexpected problems in delivering the students’ utterances to the chatbots. Therefore, additional in-depth study regarding the issues discussed so far is necessary when the pandemic situation becomes stable. Nevertheless, this study suggests integrating AI chatbots into classrooms to mediate and facilitate young learners’ story retelling so that it would be able to partially support instructors who teach English reading skills in regular classes.

      • SQLite3에서 WITH 절의 설계 및 구현

        추 성엽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83

        The WITH clause is a kind of subquery block that improve the performance of SQL. the WITH clause is formally called subquery factoring clause which is a part of SQL-99 standard. it is used as a global used temporary table. it provides powerful new syntax to allow users to understand SQL easier and to use SQL more effective. and when we use this clause on SQL, we can expect speedup by reducing the process of recomputing in complex queries. This paper introduces the WITH clause and proposes the implementation of the WITH clause into SQLite3 which is a relational embedded database. SQLite3 is a freeware. it is popular and wildly used in various fields. The implementation of the WITH clause has enhanced the performance of SQLite3. and it can be extended to recursive query by using the WITH cla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