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년 여성의 호흡순환기능이 대사성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최홍기 경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MS) risk factor and its components in different levels of aerobic fitness in middle aged women. 30∼39 (n=40, 36.9±1.8 yrs), 40∼49 (n=76, 44.9±3.0 yrs), and 50∼59 yrs (n=53, 54.0±2.7 y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revalence of MS risk factors was evaluated as the number of MS risk factor, according to the diagnostic criterion for NCEP-ATPⅢ. Aerobic fitness was quantified as maximal oxygen uptake (VO2max).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e three groups by aerobic fitness level based on ‘reference values’ and ‘range’ established in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Reference for Health Promotion 2006 (EPAR2006); 1) high fitness group (H); VO2max (mL/kg/min) is higher than ‘reference value’, 2) medium fitness group (M); VO2max is below ‘reference value’ but within ‘range’, 3) low fitness group (L); VO2max is lower than ‘range’.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Number of risk factor for MS indicated significantly higher with increasing aged (30∼39 yrs: 1.73±1.0, 40∼49 yrs: 1.78±1.2, 50∼59 yrs: 2.77±1.3, P<0.05). 2) 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risk factors for MS than H and M groups (L: 2.53±1.2, M: 1.58±1.2, H: 1.53±1.1, P<0.01). 3) Waist circumference and blood glucos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for H than L group (P<0.01, respectively), and HLDC showed significantly lower for L group than H group (P<0.05). 4)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age and VO2max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low risk group (r=-0.22, p<0.05). )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age and VO2max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high risk group (r=-0.39, p<0.01). 5)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age and VO2max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of the middle aged women (r=-0.35, p<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higher MS risk appears when the VO2max is lower than ‘reference values’ and below ‘range’ in middle aged women. 본 연구는 남성 보다 대사성중후군의 위험인자에 쉽게 노출되어 30~59세의 중년여성 169명(30대 40명, 40대 77명, 50대 52명)을 대상으로 호흡순환기능의 평가척도의 하나인 VO2max을 측정하고, 연령대별 전신지구력등급을 3등급(상·중·하)로 분류하여 대사성증후군 위험인자와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대사성증후군 위험인자 보유수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높게 나타났고, 전신지구력등급과 신체구성에 따른 위험인자 보유수는 등급이 높을수록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전신지구력이 건강증진을 위한 연령 및 성별에 따른 VO2max의 기준치 및 범위에 현저하게 미치지 못하는 경우는 대사성증후군 위험인자의 주요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호흡순환기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신체활동을 장려하는 근거자료로서 유용하게 쓰여 질 것이다

      • 아브라함 카이퍼와 헤르만 바빙크의 일반은총에 관한 비교연구와 현대적 의의

        최홍기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헤르만 바빙크와 아브라함 카이퍼의 일반은혜 사상을 비교분석하고 일반은혜 사상이 갖는 현대적 의의를 제시한다.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deas of common grace of Hermann Bavinck and Abraham Kuyper and presenting the modern significance of the ideas of common grace.

      • 한국과 일본의 사회복지시설 평가체계 비교 연구 : 3단계 모니터링 평가체계의 모색

        최홍기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한국의 사회복지시설에서도 이용하는 지역사회 주민들과 복지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클라이언트들의 복지욕구는 날로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복지시설로 지원되고 있는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여 활용하고자 하는 것은 국가적 관심사가 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이를 실천하는 사회복지시설의 운영 및 효율성과 서비스의 제공 정도 등을 판단하기 위한 평가제도의 필요성이 제기되기 시작하였으며, 공공자금에 대한 책무성(accountability) 확보와 클라이언트가 적절한 양질의 서비스를 제대로 받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평가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사회복지시설의 평가를 통하여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발전을 촉진시키고자 하는 의도와는 달리 평가과정에서 예상치 못 한 요인들이 시설들에 대한 불만을 쌓게 되었다. 특히 사회복지사업실천현장에 대한 고유성(locality)을 고려하지 않은 일률적 평가방법은 시설의 서비스를 질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권고 및 지도보다는 지적 위주로 평가결과들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한국의 평가제도체계를 OECD 공공관리 평가체계 영역의 틀로 비교·분석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의 평가체계 모형을 도출하여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OECD 자료인 ‘In Search of Results: Performance Management Practices’의 평가보고서를 중심으로 국내외 평가체계 수립과 방법, 체계이론을 근거로 한 평가이론자료들을 참고하여 OECD 공공관리 평가체계의 이론적 근거를 밝히고 기술적인 범위를 6가지 영역으로 열거하였다. 총 6가지 영역과 각각의 소 영역들에 포함된 지표들 중 한국과 일본의 사회복지시설평가지표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영역과 지표를 추출하여 새로운 분석틀로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3단계 모니터링 평가체계를 볼 때, 투입에 의한 피드백이 3가지 과정으로 발생되어 특히 투입예산에 대한 책무성과 투명성 효과가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특화된 시설의 휴먼서비스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투입된 예산과 목표치 효율성의 여부를 판단하여 추후 유사한 프로그램 실행에 대한 투입의 결정이 된다. 또한 투입된 사전조사 및 공청회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서비스 질의 산출물인 보고서 및 만족도 조사 등을 재확인함으로써, 유사한 실행에 대한 서비스 질 향상 측정 시 시행착오를 찾아내어 수정 할 수 있다. 그리고 투입과 서비스 질 산출물의 효과적 측면을 분석·관리 하여, 추후 유사한 실행에 대한 일시적 또는 지속적 지원에 대한 효과성을 판단·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현재의 사회복지시설 평가체계는 지역과 시설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중앙정부에서 구성한 평가지표로 평가됨으로 추후에는 사회복지시설이 설치되어져 있는 환경과 지역의 특성을 먼저 파악한 후, 그 시설의 고유성을 인정하고 그에 맞는 적절한 평가기준 및 방법, 지침 등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결국 평가는 사회복지시설과 복지전문가의 자율성과 책무성을 바탕으로 이용자와 서비스의 질, 복지사업의 전문성을 중심으로 신뢰성을 가져야 하며, 매년 변화되는 지역사회주민들의 욕구에 따른 새로운 패러다임을 접목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시설들로 변화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 OECD 공공관리 평가체계를 기준으로 한 분석은 한국의 사회복지시설 평가체계에서 미흡한 부분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우리와 유사한 환경에서 오랫동안 평가체계에 대한 수정·보완을 해 온 일본과의 비교분석은 우리 평가체계가 나아갈 이정표를 설정하는 데 유용하다고 본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 평가체계 6개 영역의 평가내용 및 방향이 구체화 되었으며, 이 결과를 반영하여 새로운 사회복지시설 평가체계 모델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 모델에 대한 실증적 검증작업을 수행하지 못 한 것은 본 연구의 한계점이며, 향후 계속 연구가 필요한 부분임을 밝혀둔다. Recently residents in local provinces and welfare clients demand more welfare services. Given the fact that all provinces are struggling with limited resources, searching for the most efficient way of allocating limited resources is the key to policy developments. Therefore,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seek for evaluation systems that would provide the most efficient and effective services in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Due to the fact that public assets lack the sense of ownership by providers, the importance of equipping with an efficient evaluation system is profound for better services to welfare consumers. Although we have witnesses a progress in the welfare evaluation system, it is far cry from the satisfactory level. The main problem stems from the fact that the current welfare evaluation system does not fully accommodate locally specific characteristics that are essential to welfare facilities. Since an uniformed evaluation system is applied to all facilities, the assessments are often ignor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ose facilities. To bridge this gap, in this study, we evaluate the current Korean welfare evaluation system with the OECD performance management guidelines. Especially, we argue that the OECD guidelines would work as the criteria in evaluating the efficiency of the current Korean welfare evaluation system. Through this analysis, we try to suggest a modified Korean welfare evaluation system. In the OECD report named ‘In Search of Results: Performance Management Practices’, the OECD suggests six different fields to examine the welfare evaluation system. Among the six fields, we only use those ones that are readily applicable to both Korean and Japanese welfare evaluation systems. Through the analysis, a three-step monitoring evaluation system is proposed in this study: three feedbacks are provided in the proposed evaluation system. These feedbacks would provide 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in the budget allocation and usage. For example, in deciding on how to pursue human service program, considering both the budge constraint and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program would provide a basis for evaluating potential future endeavors that are similar to the current ones in use. The OECD report also emphasizes the investigation of the satisfaction level prior to the formal government inspections and public hearings. Voluntary investigation of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welfare systems would provide an opportunity to upgrade the service and make quality improvements. In addition, the service quality can be assessed by analyzing influential aspects of the evaluation system. Once the system is in place, future similar services can be effectively evaluated with the system. Since the current Korean evaluation system develop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s uniform in its application with little consideration to local differences, it is desirable to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he evaluation system. In short, accountability and sense of ownership is the key to the success of welfare system. Professionalism equipped with sense of ownership may shed a light on a better welfare system that would satisfy ever changing customer needs. Especially the OECD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provided a good basis in evaluating the current status of welfare facilities in Korea. In addition, comparison with the welfare facilities in Japan also shows that there is an ample room for improvements for the welfare system in Korea. Given that Japanese welfare system shares a similar developmental history, comparing Korean welfare system with that of Japan gives a clear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In this study, we have provided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welfare evaluation system in Korea through the six fields suggested by the OECD. I would like to note tha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provide empirical findings of the model suggested in the study.

      • 프란시스 쉐퍼(Francis A. Schaeffer)와 쟈크 엘룰(Jacques Ellul)의 문화관 비교연구

        최홍기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수께서는 기독교인들에게 ‘너희는 세상의 빛’이며 ‘소금’이라고 하셨다. 여기서 세상은 결코 ‘신성한 영역’과 ‘세속적 영역’으로 구분된 것 중 ‘세속적 영역’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며 빛과 소금 역시 ‘신앙’을 배제한 이성적 작용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며 빛과 소금 역시 ‘신앙’을 배제한 이성적 작용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세상은 우리가 나가서 문화적 책임을 수행해야 할 우리의 삶의 무대이며, ‘빛과 소금’은 기독교인의 변혁적 기능, 역량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곧 세상의 문화를 하나님의 나라로 변혁시켜가야 할 것을 보여주는 문화적 책임의 성격을 단적으로 드러내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예수님께서는 결코 세상을 떠나 자신의 사명을 수행하시지 않으셨으며 또 세상을 떠나 사시지도 않으셨다. 그는 ‘세상 가운데서’ 하나님의 나라를 전파하며 사셨다. 예수님의 모습에서 우리는 기독교인이 세상 가운데서 어떻게 문화적 책임을 수행하는 삶을 살아야 할 것인가를 배우게 된다. 즉 우리는 세상 안에 들어가서 기독교인으로서 문화 사명을 수행하는 삶을 살되 결코 그들에게 동화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변혁시킬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의 사실 또한 우리에게 어떻게 적극적으로 세상 안으로 들어가서 우리의 삶을 수행할 것인가를 보여준다. 그러나 분명히 기억해 둘 중요한 사실이 있다. 이는 개혁주의적 기독교 문화관의 사고를 가진 자는 결코 문화적 낙관주의에 취하거나 문화적 금욕주의에 떨어지지 않도록 항상 사명감에서 행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오히려 성경의 문화관과 반립하는 문화를 그리스도인의 삶에서 제거하기 위해서 늘 성경의 잣대로 문화를 대어보는 일을 쉬지 않을 때, 비로소 개혁주의 문화관에 충실한 성경적 삶을 일구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우리는 한국교회가 한국사회에서 질타와 멸시의 대상이 되고 있음을 지적했다. 이는 모든 그리스도인의 성경과 어긋난 삶의 자세와 태도에서 비롯되고 있음에 동의했다. 쉐퍼와 엘룰의 지적을 통해서 세상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그리스도인들의 문제점들을 신랄하게 지적하기도 했다. 하지만 변혁을 위한 그리스도인들의 입장에 대해서는 물질문명과 문화를 전적으로 부정하는 엘룰의 시각보다는 그것을 회복의 대상으로 보고 있는 쉐퍼의 시각이 성경에 입장에 충실한 개혁주의 입장과 맥락을 같이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러므로 한국교회는 쉐퍼가 제시하는 문화변증방법을 통해서 한국교회의 회복을 소망하여 볼 수 있을 것이다. 한국교회의 그리스도인들의 플라톤적인 이원론적 태도라든지, 지나친 경건주의적 영성으로 인해 비그리스도교인들로부터 받고 있는 따가운 눈총을 쉐퍼의 가르침으로부터 교훈을 얻어 갱생의 노력을 아끼지 아니할 때, 한국교회가 그리스도 없는 문화 속에서 희망이며, 대안이 될 수 있는 미래가 더욱 가까워 올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高齡社會와 高齡者 雇用促進法制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 최근 독일의 고령자 고용촉진법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최홍기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의학과 과학기술의 발전 등으로 말미암아 인구의 고령화는 각 나라별로 정도와 속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국가에서 맞게 될 공통의 사회적 현상으로서, 21세기의 도전이고 당면과제인 것이다. 우리나라도 물론 예외는 아니며, 세계에 유례가 없을 정도로 빠르게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급격한 고령화의 원인에는 크게 평균수명의 연장과 출산율의 저하 그리고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연령 진입에서 찾을 수 있으며, 급격한 고령화는 사회경제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인구의 고령화가 피할 수 없는 현상이라면 고령화의 속도를 늦추고 고령화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고령사회에 연착륙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즉 인구 고령화에 대한 다양한 방면에서의 정책적 대응전략이 마련되어야 하며, 그 가운데 고령사회에서 고령자의 고용은 고령화에 대응하는 핵심적인 정책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이미 고령화를 일찍 경험한 독일은 1970년대 이후 실업이 증가하기 시작하면서 실업률을 줄이기 위한 정책은 주로 고령자를 노동시장으로부터 조기에 퇴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즉 고령자의 조기연금의 수급을 통한 조기은퇴(Fr&uuml;hverrentung)와 단시간근로(Altersteilzeit)를 유도, 58세 이상의 실업자에게 구직노력 면제 등의 정책으로 중심으로 전개됨에 따라 독일의 고용상황은 주변국에 비하여 월등히 열악해졌으며 이는 인구구조의 변동과 함께 사회보장시스템의 재정악화, 고용시장의 악화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로 작용하게 되었다. 따라서 독일이 향후 국제경쟁에서 선도적 지위를 유지하고 미래에 있어서 사회제도의 경제적 기반을 보호하기 위해서 연방정부는 다양한 정책분야를 아우르는 광범위한 전략개념을 제시함으로써 고령자 고용정책도 패러다임의 전환을 맞게 되었다. 즉 기존의 고령자 조기퇴출 정책으로부터 고령자의 고용촉진을 위한 적극적인 노동시장정책으로의 전환이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2007년 3월 9일 연금수급개시연령조정법(RVAGAnpG)의 제정으로 연금수급연령을 65세에서 67세로 점진적으로 상승시켰으며, 임금차액에 대한 일부를 지원해주는 임금보조금(Kombilohn), 50세 이상의 고령 실업자를 고용한 사용자에 대한 채용보조금(Eingliederungszuschuss), 고령자 직업훈련(Weiterbildung) 보조, 고령자에 대한 기간제 근로계약 요건의 완화를 내용으로 하는 일명 'Iniative 50plus'로 불리는 고령자 고용기회 개선에 관한 법률(AltBeschVerbG)도 2007년 5월 1일에 시행되었다. 더불어 사회법전 제3편 (SGB Ⅲ) 제428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58세 고령자에게 실업급여를 통한 조기퇴직을 유도하는 규정은 폐지되었다. 이러한 독일의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은 고령자가 노동시장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독일 고령자의 실업률 점진적인 감소를 비롯한 경제활동참가율, 고용률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독일의 경우를 참고로 인구의 고령화에 다른 노동력과 노동시장의 변화에 관한 전망을 통하여 향후 정책대응방안을 세우는 것은 필수과제라고 할 수 있다. 즉 최근 독일의 고령자 고용촉진법제와의 비교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고령자 고용촉진법제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할 뿐 아니라, 현재 우리나라의 사회적ㆍ경제적ㆍ문화적 배경 및 노동시장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적합한 고용정책의 방향을 모색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고령사회에서의 고령자 고용정책의 기본방향은 크게 노동시장 내부에 있는 고령자들의 정년연장을 통한 고용유지의 측면과 이와 더불어 퇴직한 고령자, 즉 고령실업자의 노동시장 재진입을 위한 고용촉진의 측면으로 나뉘어 볼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정년연장의 노력과 주로 임금피크제 등을 통해 고령자 고용을 가능하면 정년까지 유지시키도록 하고 있고, 후자의 경우 연령차별금지법제의 도입을 통해 고용상 연령차별을 금지하고 고령자에 대한 기간제 근로계약의 요건을 완화, 다양한 고령자 고용인센티브 부여 제도가 고용촉진을 위한 조치로서 이해될 수 있다. 독일의 경우 높은 실업률과 낮은 경제활동참가율로 인하여 고령자의 고용촉진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도하였으며,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OECD국가에 비해 높은 경제활동참가율로 주로 고용유지 측면에서 정책이 시행되었다. 하지만 향후 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될 경우 생산가능인구의 감소 및 경제활동참가율의 저하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고용촉진을 포괄하는 고령자 고용정책이 요구시 된다. 이하에서는 고용유지 측면과 고용촉진 측면으로 나뉘어 각 개별적인 정책의 입법방향을 제시한다. 우선 고용유지 측면에서 정년연장 방안이 다음과 같이 제시될 수 있다. 현행 고령자 고용촉진법이 제대로 기능을 발휘하려면 제19조의 사용자에 대한 정년 60세 노력의무 규정을 강행규정으로 개정해야 할 것이다. 예컨대 “사업주가 근로자의 정년을 정하는 경우에는 그 정년이 60세 이상이어야 한다”라고 규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년규정을 위반한 경우 처벌규정을 신설하여, 고령자 고용촉진법의 실효성을 제고하는 방안이 있다. 다음으로 고령자의 조기퇴직 현상이 지속됨에 따라 고령자의 고용안정과 기업주의 임금부담 감소를 동시에 달성하는 고령자 고용친화적 임금체계인 임금피크제를 활성화하여 고령자 고용연장기반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살펴본 정년규정(60세)를 기초로 일본과 같이 정년연장형 임금피크제가 적극 활용될 필요가 있다. 더불어 고용보험법상의 임금피크제 보전수당의 지급기준이나 지급요건도 개선될 필요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고용창출을 위한 수단으로 연령차별금지, 기간제 근로계약의 완화, 고령자 고용보조금 부여 등이 있다. 우선 연령차별금지법제가 고령자의 고용유지 및 고용촉진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실효성이 확보될 필요가 있으며, 그를 위해서는 정년제와 연령차별금지의 관계가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 예컨대 정년제와 관련해서는 경과규정을 통해 정년연령의 최저선을 55세부터 단계적으로 끌어올리도록 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서 정년제의 최저선을 55세부터 시작하여 현행 국민연금법상 연금수급개시연령인 60세를 잠정적 목표로 삼아 단계적으로 올리되, 궁극적으로는 향후 상향 조정될 연금수급연령을 최저정년연령으로 맞추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렇다고 하여 법상 최저 정년연령을 하회하는 정년제를 무조건 금지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단지 이 경우는 연령차별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하되, 이를 정당화하는 사유를 사업주가 제시할 수 있다면 연령차별이 아닌 것으로 보면 된다. 기간제 근로계약 요건완화의 대상인 고령자의 범위를 조정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현재 고령자 고용촉진법에서는 정년을 60세 이상으로 권장하고 있으므로 기간제법이 고령자의 조기정년을 촉진하는 효과를 방지할 수 있도록 60세 이상인 고령자에 대해서만 무제한 기간제 근로를 사용할 수 있도록 것이며, 더불어 현재 55세인 고령자에 대해서만 기간제 근로계약의 요건 완화하고 있는 것에서 비록 독일의 경우(52세)와 같이 준고령자일지라도 장기 실업상태에 있는 구직자의 경우에는 기간제의 기간상한의 제한을 받지 않고 기간제 근로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고용보험법에서는 고령자고용촉진 장려금을 비롯하여 다양한 고용보조금 제도를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인센티브 방식이 좀 더 효과를 가지려면 사업주에 대한 장려금 또는 보조금 말고도, 독일의 경우와 같이 직전 직장보다 낮은 임금으로 취업하는 고령자에게 감액된 급여 일부를 일정기간 보조하는 것(Kombilohn)도 하나의 방법이며, 그 밖에도 55세 이상의 고령 실업자를 채용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사회보험료 부담을 경감하는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법도 고령사회에 있어 고령자 고용촉진법제 개선방향으로 제시할 수 있다. 요컨대 앞으로 도래하는 고령사회에서는 과거 독일의 경우와 같이 실업률이 상승하고 생산가능인구가 부족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독일의 적극적인 노동시장 정책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즉 일할능력이나 의지가 있는 고령자의 고용유지 및 촉진을 위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고, 더불어 이러한 고령자 고용정책은 구체적인 노동시장 및 사회ㆍ경제적ㆍ문화적 경향을 파악한 후 이에 대응하는 정책의 수립을 통하여 실효성을 제고하는 것이 고령자의 고용유지, 고용촉진을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 경제에도 도움이 되며 더 나아가 인간의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것이다.

      • 요양병원환자의 병명, 연령, 성별에 따른 BMI 차이 분석

        최홍기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Body mass index(BMI) can assess health riske, including morbidity and mortality, such as diabetes, strok, and cardiovascular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MI on the body fat percentage in hospitalized patients by disease name, age and gender. The subjects were 200 patients(79.±11.5 years) who were hospitalized in B city, and diabetic patients (26.93 kg/㎡) showed higher BMI than Parkinson`s disease (18.34 kg/㎡). In the age group, BMI was the highest in the 40s (28.81 kg/㎡) and lowest in the 90s (18.07 kg/㎡). Man (21.18 kg/㎡) also had a higher BMI than women (19.93 kg/㎡).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can be used to manage health risk factors by identify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weight of the hospital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