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리암을 위한 哀歌 : 출애굽기(15:19-21)와 민수기(12:1-16)를 중심으로

        최현덕 감리교신학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國 文 草 綠 역사는 많은 것들을 담고 있으며, 많은 것들을 전해 준다. 하지만 이러한 역사 안에는 사실과 함께 역사가의 개입이 어느 정도 존재한다. 성서라고 이를 피할 수 없으며, 성서에 나온 인물이라고 해서 예외라고 단정 지어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본 논문이 선택한 미리암 역시 이에 해당되는 인물이라고 말 할 수 있다. 출애굽기(2:1-10, 15:19-21)와 민수기(12:1-16, 20:1)에서 너무나도 상반된 이미지로 등장하는 미리암은 우리에게 혼란을 안겨주며, 미리암에 대한 보도가 사실만을 담고 있는 이야기인지 한 번쯤은 의심하게 만든다. 본 논문이 선택한 본문(출2:1-10, 15:19-21, 민12:1-16, 20:1)을 공시적으로 읽어 가면 미리암은 그가 서있는 배경에 바뀜에 따라 그의 모습 역시 변화한다. 우선 그는 강가에서 등장한다(출2:1-10). 멀리서부터 계속적으로 갓난아기인 모세를 바라보며 동생의 생사를 확인한다. 그러던 중 바로왕의 딸에게 모세가 건짐을 당하자 모세의 누이인 미리암은 즉시 바로왕의 딸에게 달려가 유모로 모세의 친어머니를 소개시켜 주고 모세의 친어머니와 양어머니를 이어주는 중요한 역할, 즉 출애굽의 시작을 가능케 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 후 미리암의 이야기는 홍해 바다가 나올 때까지 조용하다. 바닷가에서 다시 등장하는 미리암은 출애굽을 가능케 한 하나님을 찬양하는 여예언자로 등장한다(출15:19-21). 출애굽 이후 이스라엘 백성 모두가 하나님을 찬양하게 하며 출애굽의 마무리를 장식하는 예언자로 등장하는 것이다. 이렇게 미리암은 출애굽기에서 모세와 아론보다도 먼저 하나님을 찬양하는 예언자로서 묘사되며 어떤 이보다도 이스라엘 백성에게 중요한 인물이며, 으뜸가는 지도자로 그려진다. 하지만 광야에서 등장하는 미리암은 전과는 상당히 반대되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우선 그는 마치 주도적으로 모세에게 대항하여 하나님께 벌을 받는 자처럼 그려진다(민12:1-16). 그가 주도적이지 않았음에도, 그리고 그가 모세에게 대항하는 자리에 없었을지 모름에도 불구하고 본문은 마치 미리암이 중죄인인 것처럼 이야기 한다. 이것도 모자라서 본문은 그의 매장지에서 미리암을 쓸쓸히 죽어가게 만든다(민20:1). 미리암의 죽음은 아론의 죽음과 너무나도 큰 차이를 갖고 있다. 죽은 이들을 위한 애도의 유무, 죽음을 표현하는 단어 까지도 아론과는 너무나도 큰 차이를 갖고 있다. 미리암은 이렇게 비교당하며, 외면당하는 비운의 주인공으로 잊혀지게 되는 것이다. 이런 출애굽기와 민수기에서의 혼란스러운 미리암의 모습은 결코 그의 참 모습이라고 할 수 없다. 결론부터 말하면 미리암은 제사장문헌 속에서 큰 피해를 입은 자이다. 민수기에서의 미리암의 모습은 P기자에 의해 어느 정도 재구성 되었다고 이야기 할 수 있다. 민수기 12장과 20장의 기자인 P기자는 이스라엘의 큰 지도자인 미리암을 이용해 이스라엘의 신앙이 하늘의 여왕, 즉 여성으로 부각되어지는 신을 받아들이는 우상숭배 풍습을 몰아내기 위해 처벌 받는 여인으로 그렸다. 또한 P기자에게 있어 제사장 아론이 미리암보다 뒤처지는 인물이 되는 것은 허락될 수 없기에 같은 민수기 20장 안에서 현저하게 비교되는 죽음을 이야기 하고 있는 것이다. 미리암이 아무리 으뜸가는 지도자였다고 한들 우리의 기억 속에는 역사가에 의해 편집된 미리암만을 인식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런 미리암을 모세에게 대항하고, 처벌받으며, 외면당해버린 여인으로 기억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할 것이다. 미리암은 피해자이며, 변호 받아야 하는 여인이다. 그는 그가 처음 등장 할 때부터 죽음을 맞이할 때까지 이스라엘의 가장 큰 지도자 가운데 한 사람으로 기억되어야 한다. 미리암은 결코 지도자에서 외면당하는 자로, 예언자에서 대항자로 기억 되서는 안 된다. 그렇기에 본 논문의 작성자는 그를 위한 변호, 그리고 그를 위한 애도와 애가를 이 논문에 싣는다. Abstract History embraces and at the same time, transfers many things. However, it is inevitable that historian's subjective intervention coexists along with actual facts within the history itself. Similarly, Bible cannot avoid this and also characters in the Bible are no exceptions. Miriam, the subject in this dissertation, is also classified as such. Appearing in the most contrasting images throughout the Exodus (2:1-10, 15:19-21) and Numbers (12:1-16, 20:1), Miriam presents the audience with much confusion and makes the readers doubt whether the story of Miriam is really factual. Upon reading the Biblical texts this dissertation has carefully selected (Exodus 2:1-10, 15:19-21, Numbers 12:1-16, 20:1), one would notice that Miriam's character changes along with her backgrounds. Miriam first appears at the riverside (Exodus 2:1-10) and checks on her brother's life as she consistently observes the baby Moses from distance. Then, when Moses is scooped up by King Pharaoh's daughter, Miriam rushes to her side and introduces her Moses’ real mother as the potent nanny. She thus plays a critical role of connecting Moses’ birth-mother and step-mother, triggering the start of the Exodus. Afterwards, Miriam's story does not rise to surface until that of the Red Sea. Miriam again appears at the seaside as the female prophet, praising the glory of God who enabled the exodus possible (Exodus 15:19-21). Therefore in the Exodus, Miriam is described as the prophet praising God even before Moses or Aaron and also portrayed as the prominent leader of the Israelis. However, Miriam later emerges at the desert as completely opposite character. She is depicted as if she is being punished by God for rebelling against Moses (Numbers 12:1-16). Though she did not play a leading role in this revolt or was not at the place at all, the text speaks as if she committed a felony. Furthermore, Miriam pathetically dies alone at the cemetery (Numbers 20:1). Miriam's death significantly differs from that of Aaron. It differs in terms of the presence of people's lamentation and even the vocabularies used for expressing death. Compared in such ways, she becomes gradually forgotten as mere tragic heroine. Such shifting characters of Miriam throughout the Exodus and Numbers are not alone accountable to her real personality. In nutshell, Miriam is greatly victimized at the Priestly writings. It can be said that the character of Miriam at the Numbers is somewhat reformulated by P. P, the narrator of Numbers chapter 12 and 20, takes advantage of Miriam, the great leader of Israel, to portray her as the woman being punished in order to drive away the custom of idolatry which worships the queen of the heaven. Also, because P cannot admit Aaron, the chief priest, being lagged behind Miriam, P elabor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aths of two characters in the Numbers chapter 20. Though Miriam was a prominent leader, we the readers have no other options than to perceive her figure as distorted, under the deliberate editing of historians. Thus, it is not advisable to remember Miriam as a mere woman who revolted against Moses, then punished and disregarded by God. Miriam is a victim to be defended. From her first appearance to her final death, she should be remembered as one of the greatest leaders of Israel. She should never be recalled more as a sufferer than leader, and more as an antagonist than prophet. Thus, the author intends to write this dissertation for the sake of her defense and lamentation.

      • 먼지와 질소산화물의 동시처리를 위한 촉매필터의 질소산화물 제거특성에 대한 연구

        최현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실제 발전소 등에서 집진공정과 NOx저감 SCR공정이 함께 설치된 공정에서 나타나는 촉매의 활성저하 및 plugging 현상과 재 가열해야하는 에너지 손실 등의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열효율 향상과 처리비용 절감 및 장치설비 공간, 설치비용 등의 절감 등의 효과를 얻기 위해 질소산화물 제거를 위한 촉매공정과 먼지제거를 위한 집진공정을 일체화한 hybrid system의 촉매필터를 고안하여 제작하였다. 일차적으로 촉매필터의 NOx 전환율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에 따른 필터에 담지된 촉매의 양, NH₃/NOx 몰비, Face velocity, 시간, 온도 등에 대해 각각 NOx 전환율 test 및 slip되는 NH₃ 검출 등 기초적인 실험을 실시하여 실험결과를 토대로 NOx 저감용 촉매필터개발에 필요한 조건들을 알아보았다. 촉매를 코팅시키기 위해서는 필터의 표면뿐만 아니라 내부까지 코팅하기 위해 코팅장치를 제작하여 실시한 결과 SEM분석을 통해 필터의 각 fiber에 촉매가 내부까지 고르게 코팅이 되었으며, 필터의 pore를 막는 현상은 없었다. 하지만 바인더의 영향으로 고정층에서의 실험과 비교하여 전환율이 낮아졌으며, 이점에 대해서는 새로운 바인더의 개발을 필요로 한다. 촉매필터의 반응성 실험결과 먼저 face velocity 결과로부터 촉매필터는 불규칙하게 구성된 fiber에 의해 유체의 흐름이 불규칙하여 반응gas와 촉매와의 mass transfer를 증가시키게 되므로 honeycomb에 비해 space velocity가 2.5배 크더라도 같은 전환율을 얻었다. 촉매의 담지량은 필터의 압력손실을 감안하여 그 양을 결정해야하며, 촉매의 담지량별 실험결과 촉매의 담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전환율을 보였으나 그 담지량을 10.97g 이상 증가시킬 경우 증가율이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촉매의 최적 담지량을 10.97g로 결정했으며, 단위면적당 촉매코팅양은 0.46g/㎠이다. 반응온도는 230℃이상에서 NH₃가 자체산화와 고온에서의 NO₂생성으로 인해 반응에 필요한 NH₃의 감소로 전환율이 약간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으며, NH₃의 배출은 온도전역에서 NH₃/NOx mole ratio 1.0부터 배출되기 시작하므로 NH₃로 인한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0.9 이하에서 결정해야한다. 또한 face velocity 실험결과 0.8에서 2.0사이에서 90~82%의 전환율을 얻었다. 따라서 0.46g/㎠의 촉매를 코팅한 필터에, 반응온도 190~230℃, face velocity 0.8~1.6m/min, NH₃/NOx mole ratio 0.9로 실험조건을 할 경우, NOx를 85%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NH₃에 의한 2차 오염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typical air pollution control devices (Bag filter or Selectively Catalyst Reactor) were used to have some troubles, such as plugging, catalyst activity drop, and energy loss for flue gas re-heating, during the operation to control the particulate matters and NOx from power plant as the emission source.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energy, cost, and spatial effective process which referred as hybrid system; combined process of catalytic process for NOx and particulate matter control. The NOx conversion rate and detection of slipped NH₃ were investigated to estimate the appropriate amount of catalyst, NH₃/NOx mole ratio, face velocity of flue gas, residence time, and temperature. To coat filter with catalyst, the coater, which was available to coat not only surface but also inner space of filter fiber, was needed. It was regarded that the catalyst was fluently coated on surface and inside without any stopping pore of filter as the result of SEM analysis. However, the NOx conversion rate in the experiment of coated filter was lower than the fixed bed experiment's because of the binder. The advanced binder will be required in further research. Even though the catalytic filter had 2.5 times faster space velocity than honeycomb's, it showed similar NOx conversion rate with honeycomb type because of its irregular flow by porous fiber. The amount of catalyst loaded on the fiber must be decided with the consideration of pressure drop of filter. The NOx conversion rate was increased with the amount of catalyst loaded on the filter; however, after more than 10.97g of catalyst loaded, the conversion rate was decreased. Thus, the optimum amount of catalyst loaded was regarded as 0.46g catalyst per unit area of filter. The NOx conversion rate was decreased at the temperature 230℃ and above, because NH₃ was oxidized by itself and was decreased by forming NO₂ under the high temperature. The drawing off of NH₃ was observed after the NH₃/NOx mole ratio 1.0 in all experimented temperature (150-230℃), so that the mole ratio must be below 0.9 to prevent secondary contamination. Additionally, the NOx conversion rate showed 90% and 82% at the mole ratio 0.8 and 2.0, respectively, as results from the face velocity experiment. As the conclusions, the optimum conditions of NOx control in hybrid system were regarded to the conditions such as 0.46g catalyst coated per unit area of filter, 190~230℃ of reaction temperature, 0.8~1.6m/min of face velocity, and 0.9 of NH₃/NOx mole ratio to eliminate 85% of NOx and to prevent the secondary contamination.

      •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의 공동주택 외부공간 평가 연구

        최현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재 공동주택은 급속한 경제발전과 지속적인 주택건설로 인해 도시주거의 5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대표적인 주택형태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이용자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채 양적 측면에 치우쳐 보급됨으로써, 거주자의 삶의 질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공동주택 외부공간은 일반 성인 기준의 설계원리 및 관련법규에 명시된 규모를 적용함으로써 어린이, 임산부, 고령자, 장애인 등 다양한 이용자의 특성이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어린이에 대한 관심과 노인 인구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사용자의 다양한 연령과 신체적 능력을 수용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 보급이 공동주택 외부공간에 적용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공동주택 외부공간을 평가하기 위해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구성요소를 크게 동선적 요소와 공간적 요소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유니버설디자인의 주요 개념을 고찰하고 매뉴얼, 보고서, 선행문헌을 통하여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이를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구성요소와 취합하여 평가틀을 만들어 현재 공동주택 외부공간에 어느 정도 적용되고 있는지 현황을 파악하고, 평가 및 분석을 통하여 향후 공동주택 외부공간에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계획에 있어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하이트 맵에 의한 3D 지형생성을 위한 맵툴의 설계 및 구현

        최현덕 東亞大學校 産業情報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지형의 연구는 활발하게 꾸준히 진행되고 있고, 하드웨어의 발전 덕분에 2D뿐 아니라 계산이 많은 3D에 더욱 집중되고 있다. 현재 가상현실부터, 게임, GIS, 항공관련 등 다양한 범위에 3D관련 연구는 필수가 되었고 그 중요도는 높아지고 있다. 특히, 지형은 방대하고 넓은 범위의 3D 계산을 요구하기 때문에 무엇보다 중요한 분야이며, 새로운 지형 개발 시에 모든 지형이 자동적으로 생성되는 것은 제한이 된다. 더 효율적으로 지형을 설계할 수 있고 쉽게 개발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쿼드트리와 LOD 등 지형생성기법에 대해 고찰하고, 하이트 맵(height map)을 이용한 지형 생성기법들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쉽고 빠르게 지형을 생성할 수 있는 맵툴을 설계하고 구현함으로써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3D 지형 생성 툴을 제공한다. The study of terrain has been progressed actively and steadily, as hardwares are developing, which is concentrating both 2d and 3d. 3D related study is essential to VR, Game, GIS, etc, and it is getting more important. Study of terrain requires complex 3D calculation, so 3D study is very important but it has wide scope. Therefore when developing new terrain, there is a limitation to generate. Eventually we should be able to design the terrain more efficiently and easily. The paper will consider the terrain generation techniques like Quadtree, LOD and the others, and introduce the terrain generation techniques using a height map as well. Finally,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Map Tool which is able to generate a terrain easily and fast, we offer efficient and effective 3D terrain generation tool.

      • 민간투자사업의 재정사업 전환에 대한 타당성검토 연구 : 운영중인 BTO 교통시설을 중심으로

        최현덕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나라에서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사업은 정부 재정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활발하게 시행되어 왔으나 낮은 시설이용수요와 ‘최소운영수입 보장제도(MRG)'로 인해 오히려 시설 준공후 운영기간 동안 매년 막대한 재정부담을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민간투자시설의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부의 재정부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민간투자사업을 재정사업으로 전환하는 경우에 대해 그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민간투자사업의 재정사업으로의 전환에 대한 타당성은 각 시설의 이용수요가 앞으로도 현재와 같다는 가정 하에 민간투자사업으로 계속 운영할 경우 예상되는 정부의 재정부담 규모와 재정사업으로 전환하여 운영할 경우 예상되는 정부 재정부담 규모를 추정하여 양자를 비교함으로써 판단하였다. 분석결과 현재와 같이 민자사업으로 계속 운영할 경우에는 사업별로 수천억원의 정부 재정이 필요하며, 특히 시설이용 수요가 극히 저조한 인천국제공항철도 한 개 사업에서만 12조원 이상의 정부 재정부담이 발생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정부가 민간투자사업을 인수하려면 실시협약 규정에 따라 민간사업자에게 ‘해지시 지급금’을 지급해야 하는데 그 규모는 평균적으로 민자 운영시 재정부담의 2배에 이르러 현실적으로 재정사업으로 전환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재정사업으로 전환된 이후의 운영수지는 민자 운영시에 비해 대폭 개선되어, 재정전환 시점에서 조달한 해지시지급금 전액을 상환하고도 상당 규모의 순이익이 발생하거나 정부 재정부담 규모가 크게 절감되어 분석대상 모든 사업이 재정사업 전환의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재정전환의 타당성이 높은 이유는 근본적으로 재정 운영시의 자본비용이 민자 운영시의 자본비용에 비해 상당히 낮은 데에 기인한다. 다만 재정전환의 타당성 정도는 재정전환 방법에 따라, 또 사업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다. 끝으로 민자 운영시 정부 재정부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첫째, 시설이용 수요가 낮은 사업에 대해서는 시설운영 초기에 재정사업으로의 전환여부를 의무적으로 검토하도록 하고 둘째, 민간사업자가 조달한 타인자본에 대한 조달비용이 하락하는 경우에는 이로 인한 이익을 측정하여 정부 재정부담 완화 등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하다. The Private Infrastructure Project(PIP) has actively been implemented to ease the fiscal burden of government but it has caused the tremendous fiscal burden each year over the period of operation after the completion of its facilities due to low demand for facility use and ‘minimum revenue guarantee(MRG)'.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economic feasibility of switching the PIP into the Government Infrastructure Project(GIP) as the scheme to ease the fiscal burden of government occurring in the operating process of PIP facilities. The economic feasibility of switching the PIP into the GIP could be judged by estimating and comparing between the scale of the fiscal burden of government predicted in the case that it continues to be operated as the PIP and in the case that it will be switched into the GIP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future use demand of each facility would be the same as the current one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it would be needed hundred billions of won in each facilities when they operated as the PIP. Especially, it is predicted that the fiscal burden of government would surpass 12 trillion won only in one project of INCHEON AIRPORT RAILROAD. On the one hand, the 'cancellation payment' that government should give to the PIP promoter when government break the contract according to 'concession agreement ', predicted to mount to double the fiscal burden of the PIP operation. That means the switching over from PIP to GIP is very difficult. But the operation balance after the switching of the PIP into the GIP was greatly improved compa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IP and fiscal burden of government greatly reduced after all. The high validity about switching from the PIP to GIP basically originates from the low capital cost of the GIP operation comparing to the PIP operation. Finally, it is necessary to take the following measures to improve the problem of fiscal burden of government: First, every PIPs which have low demand of use should be mandatorily examined about the necessity of switching to GIP. Second, the institutional mechanism so that the benefit from the reduction of the cost of borrowed capital in PIP to adjust fiscal burden of government should be implemented.

      • 조기영어 학습자의 음소 인식(phonemic awareness)과 문식성(literacy) 간의 연관성에 관한 질적·양적 연구

        최현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문식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초기 읽기 학습자(emergent, early reader)에게 있어 음소 인식(phonemic awareness)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는 음소(phoneme)의 인식 능력이 있는 아동이 이후의 읽기와 쓰기 능력에서도 높은 성취도를 보인다는 영미권의 선행 연구들의 결과에 기초한 것이다. 또한 국내에서도 특수교육과 유아교육 분야에서는 한글 교육과 관련해 영미권의 선행 연구들과 동일한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본 연구는 이런 선행 연구들의 결과에 착안, 영어 교육에 있어 음소 인식과 초기 문식성(early literacy)과의 상관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점차 실제적인 영어 학습의 시기가 미취학 아동으로 확산, 정착되어 가고 있는 현실임에도 불구하고, 그간 조기영어 교육에 있어서 초기 문식성, 즉 읽고 쓰는 능력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였다. 그러나 단순히 흥미 유발 위주의 구연동화(storytelling)식 책 읽기나 주입식 파닉스(phonics) 교육만으로는 실제적인 초기 문식성 지도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파닉스 교육 이전에 음소 인식 훈련이 충분히 이루어져야 하며 이런 훈련은 올바른 읽기 지도의 맥락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가설을 설정하고, 이 가설을 입증하기 위해 질적 ? 양적 실험을 실시하였다.우선 질적(qualitative) 연구에서는, 서울 강남에 위치한 한 어학원의 7세 아동 6명을 대상으로 영어 구전동요(nursery rhyme, mother goose)적 특성이 두드러진 그림책을 통해 3개월 동안 24차시(각 40분: 총 960분)의 문식성 수업을 관찰하며, 음소 인식 정도를 사전과 사후로 나누어 테스트하고 음소 인식과 관련된 발화나 행동을 기록하였다. 영미권의 선행 연구에 따르면, 이 시기 유아들의 음소 인식은 각운(rhyme), 첫소리 자음, 끝소리 자음 등의 인식에서부터 한 단어(word) 내에서 각 음소를 분리하고 조작(Phonemic manipulation)하는 단계로 발전하게 된다. 따라서 해당 시기에 맞는 음소 인식 훈련을 그림책 읽기 수업을 통해 실시했다.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1. 영어 구전동요적 특성이 두드러진 그림책으로 음소 인식 훈련을 하는 방식이 효과적인가?2. 실험반 아동(서울 지역 7세 아동 6명)의 음소 인식 발달 양상은 어떠한가? 영미권의 선행 연구와 같은 순서로 발달하는가? 혹은 다른 양상이 관찰되는가?3. 음소 인식 정도와 문식성 발달 정도는 상관 관계가 있는가? 있다면, 각각은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본 연구의 관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우리 나라 아동들에게서도 영미권의 선행 연구 결과와 마찬가지로 영어 구전동요를 활용하여 음소 인식 훈련을 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임이 관찰되었다. 음소 인식 훈련 중에 구전동요를 이용하여 운율이 일치하는 단어(rhyming word)를 찾는 활동을 하면 아동들이 더욱 효과적으로 소리를 인지하였으며, 문장 패턴이 일정하고 리듬감 있는 그림책을 통해서 이런 활동을 하면 마치 게임을 하는 것과 같은 인상을 주어 아이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둘째, 실험반 아동들의 음소 인식 능력 발달 범위와 순서는 영어권의 선행 연구와 대체로 일치하였다. 각운 인식률이 높고 음절 구분을 잘 할 줄 알며, 첫 자음과 끝 자음 순으로 인식률이 높았다. 단어 길이에 대해서도 예상보다 다소 높은 인식력을 보여주었다.셋째, 사후에 실시한 문식성 테스트에서는 음소 인식 정도와 관계 없이 알파벳 지식과 시각 단어(sight word) 인식 능력이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음소 인식 정도가 높아짐에 따라 단어 인식(word recognition), 글자 개념(concept of word) 등이 함께 높아졌는데, 이는 음소 인식이 아동들의 문식성 발달 정도를 측정하는 바로미터로써 역할 한다는 증거이다.한편, 본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보강하기 위해 추가적인 양적 실험을 실시하였다. 양적(quantitative) 실험에서는, 본 연구자가 관찰하고 있는 실험반의 아동들과 영어 교육 정도와 수준이 비슷한 7세 아동 39명을 대상으로 음소 인식 정도와 문식성 발달 정도에 상관 관계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강남, 마포 등에서 아동들을 임의표집하여, 음소 인식 훈련을 받고 있는 집단 A와 회화 교육을 받고 있는 집단 B로 구분하여 음소 인식 및 문식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이 실험은 7세 아동의 음소 인식 발달 경향이 어떠한지, 집단 A와 집단 B간에 음소 인식과 문식성에 차이가 있는지 등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그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1. 우리 나라 7세 아동의 음소 인식 발달 정도와 순서는 어떠한가? 또한 그림책을 통해 음소 인식 훈련을 한 집단 A와 회화 위주의 수업을 하는 집단 B 아동 간에 발달 양식의 차이가 있는가?2. 음소 인식 발달 정도와 문식성의 발달 정도에는 상관성이 있는가? 또한 집단 A, B 간에는 차 있는가?이상의 실험 과업의 결과는 SPSS 한글판 10.0을 이용해 상관도를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 분석과 상관통계 분석 기법, t-검정을 하여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같다.첫째, 우리 나라 7세 아동의 음소 인식 발달 양상은 영미권의 선행 연구와 대개 일치하였고, 부분적으로만 약간 다른 발달 양상을 보였다. 즉, 음절 수와 단어 길이에 대해서는 우리 나라 아동들의 발달이 다소 두드러졌다. 이러한 음소 인식의 발달 양상은 집단 A, B가 거의 대동소이했다. 또한 집단 간 비교에서는, 음소 인식 훈련을 한 집단 A의 점수가 유의미한 정도로 높았는데, 이는 다른 문식성 테스트에 있어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음소 인식도 아이들이 영어 발달 수준을 측정하는 하나의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둘째, 음소 인식은 여타 문식성 테스트와 대체로 높은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단어 인식(각운: r=.715, 끝 자음: r=.485, 단어 길이: r=.357, 가운데 모음: r=.567)과 단어 이해(각운: r=.480, 끝 자음: r=.385, 가운데 모음: r=.620)와 가장 높은 상관 관계를 보였다. 파닉스와 밀접한 단어 인식과 음소 인식이 상관도가 높다는 것은 음소 인식과 파닉스가 관련이 있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입증하는 것으로 파닉스 교육에 앞서 음소 인식 훈련이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단어 이해와 상관도가 높다는 것은 실제적인 영어 실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한편, 알파벳 지식은 음소 인식과 그다지 높은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점수가 지나치게 높은 까닭이다. 알파벳 점수가 높다고 단어 이해 등의 점수도 같이 높은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우리 나라 조기영어 학습이 알파벳을 아는 데에만 다소 편향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본 연구의 결론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첫째, 음소 인식 훈련이 초기 문식성 발달 교육의 하나로써 널리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둘째, 음소 인식이나 파닉스 학습은 그 자체로 따로 교수하는 것보다는 영어 그림책 읽기와 같은 맥락이 풍부한 문식 환경 내에서 교수해야 한다.셋째, 공교육에서 음소 인식 훈련을 포함한 조기영어 방법론에 대해서 신속히 연구하여 좀더 발 빠르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honemic awareness and the early literacy skills of Korean seven-year-old preschoolers. That is, it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onemic awareness instruction on the reading and writing development of preschoolers.Lots of studies based on the Balanced Approach to literacy say, phonemic awareness is one of the significant factors of reading success, and must be trained in a direct way in a literacy-rich environment. To verify this assertion,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Experiment 1 was a qualitative research that observed six preschoolers who were studying English with picture books in a certified preschool located in Seocho-dong, Seoul, and Experiment 2 was a quantitative measurement that assessed phonemic awareness skills and four different kinds of literacy skills of 39 randomly-selected preschoolers who lived in Seocho-dong and Mapo-dong, Seoul, and Ilwon-dong, Gyonggi-do. These 39 children were divided into Groups A and B; Group A who were trained in phonemic awareness and Group B who were not trained.Experiment 1: During the course of this experiment, an experimental group of six children received training in phonemic awareness twice a week for twelve weeks. They had a mean age of 5.9 years. During the course, the children received phonemic awareness training in recognizing rhyme & alliteration, and doing oddity tasks, and blending word parts. The students were taught through a variety of activities related to six picture books. The measuring tools were rating scale questionnaires, observation checklists, anecdotal notes, and the pre- and post- phonemic awareness assessment, etc.Experiment 2: The 39 children of Group A, B were administered the phonemic awareness test and four literacy skill tests on ① alphabet knowledge, ② word recognition, ③ concept of word, ④ word meaning. Additionally, an attitude survey was used to identify how each child feels about English.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phonemic awareness skill and four early literacy skills.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result, t-test technique was again employed.The major findings of these experiments were as follows:First, phonemic awareness is significantly related to word recognition (rhyme: r=.715, final consonant: r=.485, word length: r=.357, middle vowel: r=.567) and word meaning (rhyme: r=.480, final consonant: r=.385, middle vowel: r=.620). That is, phonemic awareness is a reliable yardstick to measure Korean seven-year-old preschoolers'' English language proficiency.Second, it must be noted that Group A significantly out-performed Group B, leading the researchers to conclude that phonemic awareness training does indeed contribute to achieve reading and writing success in young children.Third, it is recommendable and efficient to use easy and predictable picture books to train children in phonemic awareness.From these findings, it can be surmised that training in phonemic aware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early literacy skill development. Furthermore, phonemic awareness contributes to a child''s reading and writing achievement by assisting in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of phoneme-grapheme correspondence rules. Most of all,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ors including those from public schools should testify the effect of phonemic awareness training and then extend and apply its benefits to our classrooms.

      • 중학생의 식생활 단원에 대한 인식과 식행동에 관한 연구

        최현덕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중학교 가정 교과에서 식생활 단원에 대한 인식과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식행동을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중학생 480명 (남학생 287명, 여학생 243명으로 1학년 160명, 2학년 161명, 3학년 159명)이었고,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AS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등을 산출하였으며, t-test와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등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생활 단원의 교육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1학년에서는 ‘식생활 관련 영양 문제, 식품 선택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배운다’, 2학년에서는 ‘식생활 향상을 위한 식품 영양의 지식과 원리를 배운다’, 3학년에서는 ‘식단 짜기, 식사 준비와 같은 실질적인 식생활 기능을 배운다’에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p<0.001) 남녀 학생간에는 모두 ‘식생활 관련 영양 문제, 식품 선택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배운다’에 가장 높은 응답을 하였다. (p<0.05) 식생활 단원에 대한 흥미도는 학년이 낮을수록 높았고, (p<0.05) 남학생들보다는 여학생들의 흥미도가 더 높았다. 식생활 단원 중 가장 흥미로운 영역은 남녀 모든 학년에서 ‘음식 만들기’ 영역이 가장 흥미롭다고 하였다. 식생활 단원을 학습한 후 식생활에 대한 관심도의 변화는 1학년, 3학년, 2학년 순으로 높았다. 식생활 단원을 학습한 후, 자신의 식생활에 가장 변화가 있었던 영역은 1학년에서는 ‘균형 있는 식생활’, 2학년에서는 ‘청소년기의 식습관과 영양’, 3학년에서는 ‘음식 만들기’에 가장 변화가 있었다고 하였으며, 남학생이 더 변화가 있었다고 인식하였다. 식생활 단원이 실제 생활에 도움을 준 정도는 50%이상의 학생들이 도움이 된 편이다라고 응답하였고 학년이 낮을수록 도움을 더 준 것으로 나타났다. (p<0.05) 어머니 취업에 따른 인식은 어머니가 취업을 한 경우의 학생들이 식생활 단원의 학습 내용에 대해 ‘식단 짜기, 식사준비와 같은 실질적인 식생활 기능을 배운다’라고 인식했으며, 또한 ‘음식 만들기’ 영역에 흥미도가 높았다. 가족 규모가 클수록 식생활 단원이 실제 생활에 도움을 많이 주었다고 인식하여 가족원이 많으면 실생활에 식생활 교육 내용을 많이 활용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아침 식사에 대한 식행동은 학년이 높을수록 아침을 거르는 횟수가 많아졌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아침 식사를 거르는 경향이 많았으며, 아침 결식 이유는 ‘식욕이 없어서’였다가 첫 번째 이유였다. 아침 결식 후의 학업에 대한 지장 여부는 남녀 모든 학년 학생들이 대부분 지장이 있다고 하였다. 점심 식사는 남녀 모든 학년 학생들이 대부분 점심 도시락을 지참하여 해결하였으며, 저녁 식사의 형태는 대부분 밥식이었고, (94.9%) 저녁 식사 시간은 오후 7∼8시가 가장 많았으며 식사에 소요되는 시간은 10∼15분이었다. 또한 저녁 식사 후에 81%가 후식을 먹는다고 하였다. 간식 섭취 횟수는 전 학년 대부분이 1일 중 1∼2회였으며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간식 횟수가 더 많았고, 간식을 먹는 이유로는 모든 학년에서 공통된 이유가 ‘배가 고파서’였는데, 남학생은 ‘배가 고파서’, 여학생은 ‘심심해서’가 첫 번째 이유로 나타났다. 간식을 선택할 때 가장 중점을 두는 기준은 ‘맛’이었으며, 좋아하는 간식류로는 학년에 관계없이 과일류였다. 신장은 표준치보다 컸으나 체중은 표준치보다 적어 약간 마른 체형이었고, 건강 자각 증세는 모든 학년 대부분이 ‘좋다’라고 느끼고 있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좋다’라고 느끼는 정도가 많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Kwangju area about food and nutrition section of Home Economics `'course and eating behaviors. The subjects consist of 480 middle school students (287 boys and 243 girls; 160 students in the first grader, 161 students in the second grader and 159 students in the third grader) an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frequencies, percentages and mean' were calculated,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ere adapted. The mayor results are as follows. On the perception of food and nutrition section, the 1st graders learn 'how to settle the problems related to food and nutrition and food choices', The 2nd graders learn 'the knowledge and principle of food and nutrition for improving dietary life'. The 3rd graders learn 'actual dietary life functions like arranging menu and preparing meals'.(p<0.001) Consequentl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grade and all boy and girl students have the highest response to the item 'they learn how to settle the nutrition problem and foods choices'. (p<0.05) On the interests in food and nutrition section, lower graders and girl students have higher interest in it than higher graders and boy students. (p<0.05) The area which is considered as most interesting in food and nutrition sections is 'cooking' in all students. The perception of the concern on dietary life after learning food and nutrition section is highest in the 1st graders, 2nd highest in the 3rd graders, least high in the 2nd graders. On the perception of the area which there is a great change in their own dietary life after learning food and nutrition section, the 1st graders responded there was a great change in 'balanced dietary life', the 2nd graders in 'eating habit and nutrition of adolescence' and the 3rd graders in 'cooking'. Especially, it is shown that girl students have more changes. On the perception of degree which food and nutrition section gives a help to actual life, students over 50% responded that it gave a help to their actual life.(p<0.05) This shows that the lower the grades of the students are, the more help it gave to those students. On the perception of mother's job, the students with working mother consider that they learn 'actual dietary life functions like arranging menu and preparing meals' from the food and nutrition section. In addition, they have high interests in the area of 'cooking'. It is recognized that as the family size is greater, the food and nutrition section gives more helps to actual life. On eating behaviors of breakfast, higher the grade is, more frequent they don't have it, boy students have more frequencies of having breakfast than girl students and the first reason of not having breakfast is poor appetite. On whether going without a meal affects study or not, most of the lst, 2nd and 3rd graders whether they are boys and girls or not responded it affected their study. On eating behaviors of lunch, most of boy and girl students in the 1st, 2nd and 3rd grade have lunch box. On eating behaviors of supper, the type of meals is mostly rice, eating time is usually between 7:00 and 8:00 p.m and eating hour is mostly 10 or 15 minutes. In addition, 81% of students have dessert after supper. On eating behaviors between meals, frequency of eating between meals for a day is mostly once or twice and girl students have more frequencies of eating between meals is due to hunger commonly in boy and girl students and 'killing time' in girl students. The focus in getting the foods is 'taste' and favorite food is fruit regardless of the grade. Their height is taller than standard, but weight is smaller than the standard and they have slim physique. In the subjective symptom of health, most of the students feel 'good' and especially boy students feel better than girl students.

      • 모바일 카메라 폰에서 효과적인 영상 검출 워터마킹 기법

        최현덕 부산외국어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mobile phone of the high performance is come out recently, the amount used is increasing absurdly. Also uses like this mobile phone and the enterprise or the government the loss which is serious in personal private life week the abuse instances are increasing. The present paper proposes the watermarking technique will be able to search the unjust photographing person who abuses like this mobile phone and the first circulation person. The method which generally inserts a watermark on a large scale could be classified with the insertion from spatial domain[2-3] and the insertion from frequency domain[4-9]. In order loads a watermarking technique in the mobile phone from with PC does to know the feature of the mobile phone different. With feature of the mobile phone of embedded system bases, are to the processing rate and the data throughput they compare in PC and the efficiency is low, the storage space narrow, the image which is photographed makes pass by and basically JPEG compressions and Image signal processing. Considers like this feature and the real-time process comes to be possible. The watermarking technique which proposes from the present paper was embodied at the mobile phone jig-board, in order effective processing to be possible the feature of embedded systems, considered. With the technique which proposes consequently, hour of directory number and the phone terminal of the phone user information of the number which will freeze and photographing date etc. is necessary. Converts these information in Binary forms and uses detection these Binary cords decoding is as well and as the illegal photographing person to hide a possibility there is with watermark. Loads the proposed technique and the results of experiments, invisibility and robustness of watermark was satisfactory.

      • 모델 얼굴 매력도가 제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 : 자기 확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현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effect of Models' Facial Attractiveness is often studied, however it is still an important theme of research in advertising effect. Numerous studies indicate that an attractive model's face can bring positive effect on buying behavior, however in the real field, there are both attractive models, and vice versa (there exist non attractive model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ind out specifically which face triggers buying behavior more when analyzed along with consumers’ unique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his effect can be modulated by the consumers' characteristic of self-confidence. Using an actual model's face who is wearing a product as a stimulus, we compared 'high' attractive models, 'low' attractive models and ‘no’ face models to find the effect of the model's face on buying behavior. Also participants' self-confidence was expected to bring a modulating effect on buying behavior, so we evaluated buying intention, WTP(Willingness To Pay), and buying confidence on each condi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when a model's face is attractive people tend to buy more regardless of self-confidence levels; further, people are willing to pay more when there is no face on the product model as compared to when there is a non attractive model's face. Additionally, people who have lower self-confidence are willing to pay more, have higher buying intention and have higher buying confidence when they see an attractive model's fac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on WTP and buying confidence when consumers had high self-confid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