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 분석 : '사회적기업 아시안허브 교육사례를 중심으로'

        최진희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1990년대 말 하계에서부터 국내에 '다문화'라는 용어가 서서히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 용어는 주로 급속히 변화되어가는 세계화 현상에 대응한 정체성 교육, 포스트모더니즘적 접근 방식의 문화적 다양성 인정, 외국인 노동자 유입과 한국 사회 내 뿌리 박혀 있는 단일민족주의적 방식과 연관되어있다. 현재 한국사회 다문화 특성별 범주는 크게 4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외국인근로자, 결혼이민자, 입국재외동포, 새터민 등이다. 이들은 우리사회에서 취약계층으로 분류되어 국가의 지원을 받고 있다. 2005년 2월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의 설립과 그 해 12월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의 제정 후 정부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일상화, 지역화, 내실화’를 비전으로 제시하여 현실적인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정작 사회적 취약계층은 기초생활보장, 의료보장 등 다른 복지 역역에 비하여 문화예술 영역에 대한 관심도가 크지 않다1)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들이 문화예술교육에 어느 정도 참여를 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참여자들이 느꼈던 만족도를 중심으로 심층인터뷰를 통해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의 문제점 분석 및 효과성 증진 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재 진행 중인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공통적인 특성은 아래와 같다. 첫째 ‘다문화사회’가 요구하는 다중적소통의 의미를 진지하게 고민하는 대신 이주민들을 단순 정책적 대상으로만 파악하고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둘째 모든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들의 출신국과는 무관하게 한국문화 교육프로그램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한국음식, 전통예술, 예절, 문화유산답사 등 한국문화예술체험프로그램으로 동질화된 교육을 학습시킨다. 셋째 정부 각 부처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프로그램들은 내용적인 면에서 부처별 특성 없이 한국어를 중심으로 공통적이고 중복되는 프로그램이 많다. 넷째 순수문화예술 향수프로그램의 부재이다. 문화향수는 문화의 여러영역 중 일부이지만, 문화의 소비와 생산이 엄격하게 구분되지 않는 오늘날 가장 기본적인 문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전체 인터뷰 결과 한국에 거주한지 5년 이상 된 결혼이주여성들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신뢰도가 없었고 무료니까 다닌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8회 이상 넘기지 못하는 지속성이 배제된 성과위주의 프로그램, 일대 다수식의 수업방식, 이주여성의 거주기간과 상관없는 늘 동일한 수준의 프로그램, 어딜 가도 똑같은 중복프로그램, 결혼이주여성들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는 센터의 무관심과 무시하는 태도 등의 문제점들을 제기하였다. 무엇보다 가장 큰 문제점은 교육 대상자인 결혼이주여성들의 의견을 들어주는 곳이 없다는 사실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의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증진 방안으로 다음과 같이 접근하였다. 먼저 결혼이주여성들을 집단화시키고 대상화 시키는 것이 아니라 한국 인과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구성이 필요하고, 더 나아가서는 결혼이주여성 개개인이 능동적인 자기 주도적 성장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특히 결혼이주여성들의 출신국가별 문화의 다양성을 고려한 전문적인 콘텐츠 개발도 시급하다. 또한 문화예술교육들은 원칙적으로 이성적 지속적 효과를 담보할 수 있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단기성 활동으로 편성되어 있는 프로그램들을 지양하고 다문화축제 및 행사프로그램의 경우도 전시행정적인 이벤트성 행사가 아닌 장기적인 안목과 기획으로 연계성 있는 프로그램이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문화는 개인의 . 정체성을 확인하고 창조성을 표현하는 영역이며 동시에 집단으로서 삶의 방식을 규정하는 영역이기에 삶의 질을 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결혼이주여성들의 문화적 여건을 고려한 향수의 기회가 확대되어져야할 것이다. 이처럼 장기적이고도 거시적인 목표를 염두에 두고, 정부의 각 부처들이 각 부문에서의 필요로 하는 제도적 지원을 파악할 뿐만 아니라 보다 효율적인 지원이 될 수 있도록 협력과 조정의 방법을 보다 적극적으로 모색할 때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이 효과성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 late 1990‘s, the term 'multiculturalism' gradually began to emerge from academia to domestic. This term is mainly related to identity education in response to the rapidly changing globalization phenomenon, recognition of cultural diversity in post modernist approach, and the introduction of foreign workers and a single nationalistic system rooted in Korean society. Currently, there are four categories of Korean society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These are the foreign workers, marriage immigrants, overseas Koreans, and North Korean defectors. They are classified as vulnerable in our society and are supported by the natio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 Culture and Arts Foundation in February 2005 and the enactment of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Support Act" in December of the same year, the government has emphasized the real need for "vision, localization, and realization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for the socially vulnerable classes, there is not much interest in the area of culture and art as compared to other welfare areas such as basic livelihood security and medical security." Lee, Hye-seung, [Analysis on the Promotion of the Cultural Welfare Project for the Vulnerable Classes], Seoul: Audit Reasearch Institute2 2011. The point is continuing.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married immigrant women participate in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conduct an in-depth interviews focusing on the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and analysis of cultural arts educ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cultural arts educ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currently ongoing are as follows. First, instead of seriously worrying about the meaning of multiple communications required by 'multicultural society', we are learning migrants as a simple policy object and conducting education. Second, all programs focus on Korean cultural education programs regardless of the country of origin of married migrant women. They learn the homogenized education through Korean culture and arts experience programs such as Korean food, traditional arts, etiquette, and cultural heritage exploration. Third, there are many programs in government departments that are common and overlapping in the Korean language. Fourth, the absence of pure cultural art enjoyment program. Cultural enjoyment is a part of many areas of culture, but today's most basic cultural activities in which consumption and production of culture are not strictly separated.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marriage immigrant women who have lived in Korea for more than 5 years have no confidence in the programs they had at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and that they go because it’s for free. Raised problems are the performance-oriented program with no persistence that can not exceed 8 times, one-to-many teaching method, same level of program regardless of residence period of migrant women, same duplication program wherever you go, and the neglected attitude of the center which ignores the opinions of married immigrant women. The biggest problem is the truth that there is no place for married immigrant women to listen to their opinions. Therefore, this study approached as follow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First, it is not about collecting and targeting marriage migrant women but we need a program structure that can be done with Korean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support each marriage migrant woman to be the subject of active self-directed growth. Especially, it is urgent to develop professional contents considering the cultural diversity of the countries where marriage migrant women come from. In additi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should be educated in principle to ensure rational and sustainable effects. Therefore, programs that are organized as short-term activities should be avoided, and multicultural festivals and even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a long-term perspective and plan, rather than exhibition administrative events. Culture is an area that identifies individual identity and expresses creativity and at the same time, it defines the way of life as a group.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e opportunity of enjoyment should be expanded considering the cultural conditions of married migrant women. In view of this long-term and macroscopic goal, the government departments not only identify the necessary institutional support in each sector, but also expected to provide more efficient support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cultural arts educ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 전남 완도군 보길도 초등학생에서 새로운 음식에 대한 수용도 조사

        최진희 조선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학령기에는 체 조직이 증대함에 따라 성장을 지속적으로 하여 제2의 성장과 성적 성숙을 하는 단계로 정상적인 발육을 하기 위해 균형적인 영양소를 섭취해야 한다. 초등학교 시기에는 신체적 성장과 자아개념의 발달됨에 따라 이시기 식습관은 성인이 되어 건강하고 올바른 영양 상태를 유지하는데 기반이 될 것이다(1). 식습관은 개인적 상황, 생리적, 심리적, 식품의 성분과 특성, 사회와 문화적 여건으로 인해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인간의 습관중 하나다(2). 식생활은 환경적, 문화적, 자연적 요인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형성되고, 어린 시절 형성된 식습관은 지속적이고, 변화에 저항이 강하기 때문에 변화시키기 어렵다(3). 성장과정동안 학교, 가정, 사회교육, 개인의 체험, 학습에 따라 형성되며, 형성된 식습관은 바꾸기 어려울 뿐 아니라 잘못된 식행동, 기호는 일생을 통해 건강을 지배 할 수 있다. 이런 문제점이 남기 때문에 식습관이 형성되는 시기에 영양교육의 효과는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 하는데 중요하다(4). Brich(5)는 성인들의 식품 섭취와 식품기초 및 식행동을 형성 하는데 어린 시절의 식품의 경험이 중요한 요인이 된다고 하였고, 아동의 식습관의 중요성을 그 외 많은 연구들이 강조하고 있다(6-12). 최근 국민 소득이 증가하고,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가족생활의 내용이 끊임없이 변화되고 있다. 가정규모가 축소되고, 그 형태도 많은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이런 변화로 인해 생활양식 또한 전반적인 변화를 보이고, 가족의 식습관의 변화도 주어 학령기 아이들의 식생활도 변화하고 있다. 세계 문화적 교류가 활발해 지고 있는 최근, 음식문화도 확대되고, 새로운 다양한 세계음식에 대해 관심이 증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새로운 음식을 받아들이고 소비하는 경향은 차이가 있는데, 음식 신증후군은 새로운 음식을 거부하고, 회피하는 경향을 뜻 한다(13). 현대사회의 핵가족화, 외식산업, 인스턴트식품의 발달, 여성의 사회 참여 등으로 전통적 가정 식생활에 큰 변화를 가지고 왔다(14). 하지만 대도시가 아닌, 읍․면 지역 특히 도서벽지 지역에서는 확대가족이 핵가족의 비율 보다 높다. 서울 강남지역 초등학교, 충북 면지역 초등학교의 식생활, 식습관을 비교하는 연구에서 도시 아동이 농촌 아동 보다 식습관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15). 이를 통해 지역적인 특성으로 인해 새로운 음식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다른 도시 지역 아이들 보다 적어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지 못 한 것을 알 수 있다. 도서벽지라는 지역적 특성, 확대가족이라는 전통적 가족 구성으로 인해 새로운 음식을 거부 하는 음식 신증후군의 비율이 높을 것으로 본다. 그동안 식생활에 대한 연구는 초등학생의 식습관, 편식 위주로 이루어지고, 지역 또한 도시지역위주로 이루어 졌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벽지 지역 초등학생의 기호도와 푸드 네오포비아의 정도를 알아보고, 확대가족과 핵가족으로 분류해 가족구성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 봄 으로써, 도시벽지 지역의 초등학생들의 새로운 음식 거부도를 낮추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새로운 음식을 접해 보고, 간접적으로 새로운 문화를 체험해 봄으로써 어린 시절 식습관을 잘 형성해 주고, 이로 인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가정과 학교에서 학령기 아이들이 새로운 음식을 거부하는 푸드 네오포비아 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general environmental factors, eating habits and behaviors, refusal to eat new kinds of food, preference of school meal service, and food intake targeting 81 elementary students of grade one to six living in Bogilmyon, Wandogun, Jeollanamdo.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analysed differences according to categories of the subjects, extended family and nuclear family.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10.5±2.5 and the rates of extended family and nuclear family were 83.9% and 16.1% respectively. The subjects did not understand unbalanced diet very well and few answered they had education on nutrit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subjects should have nutrition education which will help them to understand unbalanced diet and decrease refusal to eat food.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the score involving a new syndrome that there was some food they did not want to eat when they saw it was significantly hig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preference between food they could have frequent access to and that they could not have easy access to. It was affected by a regional characteristic that new kinds of food were not easily introduced and in case of there were more extended families, they took in more salt and preferred traditional food to new kinds of food. As the area investigated was limited, comparison with other areas was not allowed, there were only a few samples and nutrients of school meal service were not investigated, a significant and exact investigation was not made. It is suggested that more opportunities to have access to new kinds of food should be provided for students from regions with g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is study will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decrease in refusal to take in new kinds of food through education on nutrition.

      • 국내 대중음악축제의 연구 : 자라섬 국제 재즈페스티벌을 중심으로

        최진희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odern society is shifting from a creative society led by culture, from a agricultural society and an industrial society; the quality of life is valued more than any other times in history and the value of culture and arts has never been higher. With the increase in national income per capita, the five-day-a-week work system, and the change in the lifestyle, which focuses leisure and labor activities in culture and arts, many festivals of culture and arts have been created. In particular, pop music festivals can become a genre of pop culture where performers and audiences can form a music community and pop music festivals are growing fast as great opportunities for the modern people to satisfy their cultural desire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major cases of pop music festivals in Korea so that the popularity of pop music festivals can be used for the revitalization of music industry and can develop into world-class music festivals. The cases studied for the theoretical discussion and case study of pop musical festivals were “Ssamji Sound Festival”, “Incheon Pentaport Rock Festival”, “Grand Mint Festival,” and “Jarasum International Jazz Festival”. The study was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gram and of Jarasum International Jazz Festival.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sustainable growth and development of pop music festivals in Korea.

      • 프란시스코 고야의 추의 미학 연구 : ≪Los Disparates≫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최진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추(醜)라는 개념은 미(美)라는 빛나는 형상의 어두운 측면에서 미적 가치를 발견하는 것이다. 가장 추한 추를 들자면 자기저주라 할 수 있는 교활하고 뻔뻔함을 말하며 꾸짖는 오만함, 범죄의 광기에서 미친 증세에 빠져나가지 못하는 것이다. 고야는 흑백의 조화를 이루는 판화 작업으로 악마적이고 강렬한 가장 솔직하고 깊이 있는 작품을 남긴 화가이기에 그를 선택하였으며 '추'가 가진 부정적인 이미지가 역설하는 매력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다. '미의 지옥'이라는 것은 추를 설명해주는 좋은 예가 되는데 왜냐하면 어두운 지하세계에 무시무시한 지옥이 존재한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죄에 굴복하고 신들을 시험하려 하며 신들의 자비에 어긋나는 행동을 하고 이성을 상실한다. 그의⟪검은그림⟫회화는 ‘귀머거리 집’ 벽화에 그려진 것으로 1층과 2층에 총 14작품이 있다. 그 주제는 악령과 마법이 주가 되고 그 다음이 성과 욕망이다. 이들은 인간의 본성과 공포에 대한 두려움이 나타난 작품들로 추의 형상들을 발견할 수 있다. 고야가 탄생시킨 괴물들은 우리에게 ⟪어리석음⟫이라는 판화집으로 다가오며 어리석음이 가진 근본적 특성은 추의 양상을 띤다. 인간의 위치와 무능함, 불신자와 군중의 스스로 알지 못하는 죄에 대해 깨우치기를 권고하는 내용을 담은 선지자적 역할을 하기도 한다. 추의 형태와 범주로는 로젠 크란츠의 몰형식성, 부정확성, 왜곡을 참고하여 고야의 ⟪어리석음⟫에 구현된 추를 규명했다. 먼저 몰형식성에 근거하여 첫 번째 주제인 삶과 죽음의 경계로 작품을 분류하여 잘못된 대조들이 모여 있으며 그들은 허공에 대고 소리친다. 공포와 동정심에 정화된 내적 단절은 모순이 된다. 비극의 전율을 동경하는 부조화를 볼 수 있다. 두 번째는 부정확성의 규명으로 타락과 퇴폐로 분류된 작품들에서 우스꽝스러운 부정확성의 발견이 이어진다. 그들 안에는 두 얼굴의 가면이 존재하며 정신의 자유를 원하고자 하는 갈등으로부터 무시무시하고 터무니없는 동화적 그로테스크한 현상들은 자연의 상상물을 넘어서고 있다. 세 번째 쾌락과 고통을 주제로 분류한 작품들은 왜곡의 범주 중 비속과 연약의 추가 담겨 있다. 현실에서의 고통을 잊고자 그들은 서로를 의지하며 기쁨을 찾는 어리석음을 마주하는데 여자의 연약한 가면은 지옥의 세계로 추락하게 하는 마력이 추의 미적 예술혼을 담았다. 네 번째 주제가 되는 왜곡의 범주 중 혐오와 희화를 중심으로 분류하였다. 부조리하고 억압된 현실로부터 벗어나 행복을 추구하는 자들이 벌이는 온갖 추태와 잡종 교배적 본성을 무지의 괴물들로 나타낸다. 인간과 동물의 혼융, 잔인할 정도로 사실주의적 묘사는 공포와 어두움으로부터 주는 코믹한 풍자를 보인다. 추한 환상으로 인해 희화적 비극을 볼 수 있다. 추의 미학이란 학문은 점잖고 우아함을 미의 척도로 삼는 연약함이 아닌 정신이 완전한 상태로 진지하고 강인한 것을 요구하곤 한다. 자칫 잘못하면 무기력해지기 쉬우나 그것은 희극과 코믹함으로 극복이 가능하다. 추 안에서 아무리 혐오스럽고 구역질나는 것들을 언급한다거나, 입에 올리기만 해도 훌륭한 것인데 그 이유는 추의 부정은 미가 추구하는 가치 부흥의 부정으로만 존재하는 동일적 불균제함이기 떄문이다. ⟪어리석음⟫은 단순 풍자를 넘어서 그의 생애에 걸친 통찰이 응집되어 있다. 그의 창작은 관람자로 하여금 경악과 섬뜩함을 갖게 하며 인간 본성의 진실성에 또 한번 소름이 끼친다. 추의 미학적 접근으로 인해 더욱 다양한 해석의 연구가 이어지길 바란다. The concept of ugliness is an aesthetic value discovered from a dark side of the glittering beauty. In terms of the ugliest ugliness, there are insidiousness and impudence which can be said to the self-curse and arrogance, and being driven by the madness of crime. Goya created devilish, strong, and in-depth engravings in harmony with white and black. That's the reason why I chose him, and I became interested in an irony that the negative image of 'ugliness' gives us. The 'hell of beauty' is a good example to illustrate the ugliness as we all know that hell exists in a dark underworld. Nevertheless, humans surrender to guilt and try to test Gods, act against God's mercy and lose their senses. There were 14 ⟪Black Paintings⟫ in total, which decorated the walls of first and second floors in 'House of the Deaf Man'. The main theme is evil and magic, with sex and desire. These paintings show human nature and fears of frights, and the forms of ugliness. We can meet Goya's monstrous creatures with ⟪Los Disparates⟫ which is a series of engravings, and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the follies appears to be ugliness. These also fulfill their role as a prophet to realize human position and incapacity and make disbelievers and crowds realize their guilt that they fail to recognize themselves. This study identified the forms and categories of ugliness embodied in ⟪Los Disparates⟫ based on Rosenkranz's three concepts of ugliness, non-form, inaccuracy and distortion. First, this study classified artworks according to the first theme 'a boundary of life and death' based on non-form. Wrong contrasts are found and they shout out into the void. Inside disconnection cleaned up with fear and sympathy becomes a contradiction. Incongruity which admires a thrill of tragedy is found. Second, ludicrous inaccuracy can be found in the artworks which are classified according to corruption and decadence. They have two-faced masks in them, and terrible, unreasonable and fairy-tale grotesqueries resulted from conflicts over the freedom of mind are beyond the natural imagination. Third, the artwork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heme of pleasure and pain contain the ugliness of vulgarity and flaccidity under the distortion category. People rely on each other and try to find pleasure in order to forget their pain of reality foolishly, the power which makes woman's weak mask go to hell contains an artistic spirit of ugliness. Fourth, artwork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hatred and comedy in the distortion category. All kinds of bad behaviors and instinct of hybridization of people seeking happy away from the absurd reality are described as monsters in the works. Hybrids of human and animal and brutally realistic descriptions show a comic satire from fears and darkness. A comic tragedy can be found through an ugly illusion. Aesthetic of ugliness is the study which requires serious and strong things of a complete mental state as a key aesthetic measure, not flaccidity which adopts elegance as an aesthetic measure. It's easier to be lethargic, but it can be overcome with a comedy. Mentioning or speaking of anything hateful and disgusting of ugliness can be a great thing because the repudiation of ugliness is a identical unevenness that exists only with the repudiation of revival of aesthetic values. ⟪Los Disparates⟫contains Goya's insights throughout his life, not just a simple satire. His creations shock and frighten the audience and the truth of human nature freak them out. It is expected that studies with a variety of interpretations will continue through an aesthetic approach to ugliness.

      • 다문화 시대 문학 교육을 위한 이주노동자의 타자성 연구

        최진희 서강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global trend of capitalization, the concept of unity such as race, nationality, and country is collapsing or experiencing the crisis of identity. Against this backdrop, we need to look at the position of “others” which Korean literature focuses on at the moment. An increasing number of Korean novels about migrant laborers are gaining attention.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how “others,” recognized as the opposite concept of the mainstream, are described in those novels. I will also examine how the otherness in the novels can be defined and classified at the view of topics and characters, and accordingly, which educational approach would be possible when it comes to readers. Migrant laborers have unique characteristics; they are closely related to the current Korean society and can be classified in some classes or social positions. Migrant laborers in Korea refer to people who have certain jobs—workers—under the Korea’s market economy. In novels, they are described as the main or sub characters. Even if the characters do not lead the story, they certainly affect thoughts and emotions of main characters and play major roles as the story unfolds. In this paper, I will look into the following novels: Elephant by Kim Jae-yeong, A Sip of Water by Lee Hye-kyeong, Namaste by Park Beom-shin, The Huge Root by Kim Jung-mi, The Python Hunter by Sohn Hong-kyu, The Roommate by Hong Yang-sun, and Happy New Year for Everyone by Kim Yeon-su. The otherness of migrant workers studied in this paper has the following features: First, migrant laborers appear in the novels as the isolated “others” to reveal social injustice. As the current society changes, new social problems emerge, and new minority groups are created under the global capitalization. Accordingly, their “otherness” is caused by power relations with major groups, which means their otherness is created by the mainstream of society. Meanwhile, as the analysis of Namaste shows, social injustice is disclosed and reflected by the Korean narrator who speaks for the point of the migrant worker’s view. Second, others, or migrant workers, feel rejected and scared in the Korean society which emphasizes racial homogeneity, the result of experiencing collapse of the unity and ethnic identity by strangers. Rejection for alterity and difference shown in the analysis of The Roommate and The Python Hunter indicates stigmatization of migrant laborers as the cause of fear or target of exclusion. By contrast, however, as collapsed borders appear in the novels together with the rejection, the theme of the novel about migrant workers goes beyond the simple “fear which breaks the unity.” In other words, “breaking borders of others” makes sure of the self-recognition of individuals, and introduces a new direction for the creation of homogeneity which surpasses the border of others. Third,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migrant others play as messengers who lead change and communication and have unique otherness. This is most vivid in Happy New Year for Everyone by Kim Yeon-su. Communication between “I” and “SatbirShingh” shows weakness and distortion of language communication. However, communication between Shingh and the wife “Hye-jin” shows what real communication with others is. “I” transform into a person who can try to communicate with others by “Shingh.” Others, or migrant laborers, have certain features that can never be harmonized with those of ours. They all have the same name “migrant laborers,” but they have totally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from us in politics, ideology, economics, history, and language. Based on these differences, we need to identify their absolute otherness. Moreover, they are people who will create a new culture as they reside, work, get married, have babies, and receive education in Korea. Therefore, Korean literature needs to open the field to communicate and sympathize with them under the new multicultural environment created by them. Under this circumstance, I will examine introducing the topic of migrant laborers into literature education. Literature education using the topic of migrant laborers which I will analyze in Chapter 4 is essential for the discussion about the multicultural society. I will analyze a research that how well the topic of migrant laborers can play in a new unit “Literature and Community” in the revised education course. Also, I will propose a model, so-called “conversation-oriented literature education,” designed to enhance cross-cultural sympathizing ability. I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migrant worker’s otherness and contribute to literature in education in this multicultural era. 전 지구적 자본주의라는 세계 체제 속에서 인종과 민족, 국가라는 단일성은 해체되거나 해체의 경계를 경험하고 있으며 주체성의 위기를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 속에서 한국 문학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타자의 위치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 중 이주노동자를 다룬 소설의 등장이 주목할 만하다. 본고에서는 흔히 주체의 반대 개념으로 인식되는 타자가 이 소설들에서 어떻게 형상화되었는가를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소설에서 재현되는 이주노동자의 타자성(otherness)을 어떻게 정의하고 구분할 수 있는지 주제론적 층위, 인물 층위에서 논의한 후 독자 층위에서 어떤 교육적 접근이 가능한지 연구하였다. 이주노동자는 독특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우선 현대 한국 사회라는 시․공간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으며, 일정한 계급적․사회적 지위로 분류하여 설명할 수 있다. 이주노동자는 한국의 시장 경제 구조 하에서 특정 직업(노동자)을 가진 인물이다. 소설에 따라 중심인물과 주변 인물로 등장하고 있는데, 비록 주변 서사를 형성한다 할지라도 중심인물의 내면세계에 많은 영향을 끼치며, 사건 전개에 매개체로서 없어서는 안 될 인물로 등장한다. 본고에서는 김재영의 「코끼리」, 이혜경의 「물 한모금」, 박범신의 『나마스테』, 김중미의 『거대한 뿌리』, 손홍규의 「이무기 사냥꾼」, 홍양순의 「동거인」, 김연수의 「모두에게 복된 새해」를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논의된 이주노동자의 타자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모순 고발을 위해 사회 구조적으로 소외된 타자로 등장한다. 현대 사회의 구조가 변한 것처럼 사회적 모순 상황도 변화했고, 전 지구적 자본주의 상황 아래서 새로운 소수자가 등장했다. 따라서 이들의 타자성은 주체와의 권력 관계에 의해 설정된 것으로, 주체에 의해 규정된 타자성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나마스테』 분석에서 나타난 것처럼 이주노동자의 시선에 잠재한 한국인 내포작가의 시선을 통해 사회의 모순을 고발하고 반성하고 있다. 둘째, 이주노동자라는 타자는 단일 민족이라는 한국 사회의 상황 속에서 거부와 두려움, 공포 등의 심리적 반응을 일으킨다. 이는 낯선 것에 의해 단일성 또는 동질성이 무너지는 것을 경험한 결과다. 「동거인」과 「이무기 사냥꾼」 분석에서 드러난 낯설음과 다름에 대한 거부는 그들을 공포나 경계의 대상으로 형상화하게 한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그 거부와 함께 허물어진 경계가 제시됨으로써 이주노동자가 등장하는 소설의 주제 의식은 단순히 ‘나와 우리의 단일성 와해 공포’를 넘어선다. 즉, ‘타자의 경계 허물기’가 주체의 자기 인식을 뚜렷하게 하고, ‘타자’라는 경계를 떠난 동질감의 생성이라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셋째, 다문화 담론 속에서 이주노동자라는 타자는 변화와 소통을 이끌어나갈 매개자이며, 고유한 타자성을 지닌 존재로 제시된다. 이는 김연수의 「모두에게 복된 새해」에 가장 뚜렷하게 드러난다. ‘나’와 ‘사트비르 싱’의 교감은 언어가 가진 나약한 소통력과 왜곡을 보여준다. ‘싱’과 아내 ‘혜진’의 소통은 타자와의 진정한 소통이란 무엇인지 재고하게 한다. ‘나’는 ‘싱’을 통해 다른 인물과의 사이에 부재했던 소통을 시도할 수 있는 상태로 변화한다. 이주노동자라는 타자는 결코 우리와 같은 성질로 용해될 수 없는 고유한 면을 가진 존재다. 그들은 이주노동자라는 같은 이름만 주어졌을 뿐, 정치․이데올로기․경제․역사․언어 등의 전혀 다른 문화적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다. 그러한 차이에 근거하여 타자의 절대적 타자성을 파악해야 한다. 또한 그들은 앞으로 한국 사회에 거주하며 노동을 하고 결혼을 하고 출산을 하며 교육을 받고 새로운 문화를 형성해 낼 존재다. 따라서 그들에 의해 펼쳐질 새로운 다문화 환경 속에서 문학 담론은 타자와 소통하고 공감하는 장을 열어야 한다. 이러한 맥락의 연장선에서 살피고자 한 것이 바로 이주노동자라는 제재와 문학 교육의 만남이다. 4장에서 다룬 이주노동자 제재를 통한 문학 교육은 다문화 담론에 있어 꼭 필요하다. 개정 교육과정 문학 과목에 새롭게 추가된 ‘문학과 공동체’라는 영역별 내용이 이주노동자라는 제재와 만나 어떻게 의미 있고 합목적적인 단원이 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화 중심 문학 수업 방안’이라는 구체적 모형을 통해 다문화적 공감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수업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필자의 이러한 연구가 이주노동자의 타자성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키고, 다문화 시대 문학 교육을 위한 올바른 실천에 보탬이 되길 소망한다.

      • 1910년대 시조의 변화 양상과 그 의미

        최진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1910년대 시조 자료의 실상을 살피고 나아가 형식과 내용 면에서 변화 양상을 고찰하여 1910년대 시조의 시조사적인 위상을 밝히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그 동안 시조 연구사에서 홀대 받아 왔던 1910년대 시조 자료의 정확한 규모와 창작 양상을 살피고, 나아가 향유층이나 향유 방식의 변화가 시조의 형식과 내용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는지를 1910년대 발간된 중요 매체를 중심으로 살폈다. 여기서 중요 매체로 활용한 매체들은 시조 자료가 게재된 분량이나 지속성을 중심으로 선정되었으며, 1910년대 초반부터 발간된 『매일신보』와 『소년』, 중반에 발간된 『청춘』, 그리고 비슷한 기간 창간된 『신문계』 마지막으로 1910년대 후반에 미국에서 발간된 『신한민보』가 그 매체들이다. 논의된 바를 각 장별로 정리하면, Ⅱ장에서는 앞서 제시된 매체들의 전반적인 성격과 특징, 각 매체가 발간되고 창간된 시기 등을 알아보고, 개별 매체마다 창간 목적과 편집진의 구성 현황, 게재된 시조들의 전반적인 성격을 정리하여 1910년대에 시조가 게재되어 있는 중요 매체들의 전체적인 특징과 함께 개별 매체의 개성적인 면모를 살펴보고자 했다. 또한 각 매체별로 형식적인 면과 내용적인 면에서 세부적인 특징이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가를 살폈는데, 이를 알아보기 위해 각 매체별로 형식별 시조 유형과 주제별 시조 유형을 분류하여 각각의 특징이 각 매체의 시조 자료에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지에 관해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형식적인 변화와 주제적인 변화가 1910년대 시조에 있어 어떠한 변화 양상을 보여주는가를 살핀다. 발생했을 때부터 창을 전제로 한 시조와 달리 읽는 것을 전제로 한 근대시 사이에서 근대의 시조는 그 중간 지점에 위치하며, 그러면서도 점차 시조 쪽에서 시 쪽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1910년대 시조는 문장 부호를 사용하거나 행갈이가 보편적으로 인식되는 등 시조의 형식이 변화하면서 시적인 리듬감이 시각적으로 확보되어 나가며, 작가 표기나 개제 형태 등 작품 외적인 면에서도 점차 외형적인 형식을 존중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념과 가치관, 심지어는 향유 방식마저 달라진 1910년대에 창작된 시조들의 경우 그 이전의 시조와는 작품 내적으로도 확연히 달라진 양상을 보인다. 기존의 소재를 활용하면서도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작품들이 나타나는 한편, 완전히 새로운 외국의 언어나 신문물을 주제나 소재로 사용함으로서 당대적 공감이나 흥미를 얻고자 한 시조들을 볼 수 있다. 또한 1910년대의 특수한 시대적 변화에 대응하여 특정한 목적을 지향하거나 지극히 개인적인 서정을 노래하는 방향으로 점차 시조의 주제가 전환되는 양상을 보인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연구한 1910년대 시조의 변화 양상을 종합하여 결과적으로 1910년대 시조가 각 대표 매체와 관련하여 노래 문화에서 시 문화로 소통방식에 변모가 나타난 양상을 살핀다. 18세기에서 19세기에 이르기까지 시조 창작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던 계층은 전문 가객이었으며, 그들은 주로 가집을 편찬함으로써 시조를 발표하였다. 그러나 신문 등의 대중 인쇄 매체의 발달로 인해 활자 중심의 시조로 변이되는 현상이 1900년대 초반에 급격하게 일어났다. 한정된 사람만이 볼 수 있었던 가집과는 달리 대중에의 접근성이 뛰어나다는 점에서 이들 매체는 급속도로 그 세력을 확장해 나가게 된다. 대중매체, 특히 신문의 등장은 시가사의 흐름을 ‘노래하고 듣는 것’에서 ‘읽는 것’으로 바꾸어 놓았다. 본래 화자와 청자의 관계 속에서는 즉각적으로 서로 소통할 수 있었던 시조 갈래는 작가가 특정한 매체를 통하여 독자에게 일방적으로 이야기하는 시 문화로 변화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하여 본 연구는 그동안 홀대받아 온 1910년대의 시조 자료가 매체에 게재된 실상을 살피고, 개별 시조의 분석을 통하여 시대적 변화 양상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시조는 한일 병합 조약이 맺어져 본래의 이념적 기반과 향유층을 잃어버린 1910년대 이후에도 꾸준히 창작되어 왔으며, 이전 시기의 시조를 그대로 답습한 것이나 일정 정도 변화를 시도하고 있는 시조, 상당한 변형을 거친 시조 등이 혼재되어 나타나는 등 시조의 전변을 예고하는 시발점으로서 흥미로운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1910년대의 시조는 학술적으로 연구되고 의식적으로 부흥하고자 하기 전 단계로, 그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았을 때 20세기 초의 변화하는 시대상에 대응하는 능동적인 형식적·내용적 변화 양상이 확인된다는 점에서 시조사적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overview the resource used for Sijo (traditional korean poem) during 1910's and to study the position and contribution of 1910's Sijo to the entire history of Sijo by reviewing how 1910's Sijo was changed in term of contents and structure. This is done with overview of scale and pattern of 1910's poem, which has been relatively neglected in the history of Sijo study so far. Furthermore, the thesis examined major media published during 1910's to identity how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Sijo was influenced as people who appreciate and/or manner of appreciation changes. We reviewed newspapers such as <Maeilsinbo> and magazines such as <Soneyon>, which were published in the beginning of 1910's through the latter half of 1910's. Chapter II investigates generally how the media addressed earlier were characterized, when the media was founded and published the first edition, who were editors of those media and what was mission of foundation for each media. We subsequently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Sijo published thru the media and also characterized the respective media by looking at what kind of Sijo was published. We also study how each media was differentiated in terms of structure and content of published materials. This is done with by categorizing the Sijo into type of format and type of subject and evaluating how the feature of each type appeared in each media. Chapter III analyzes change of the formats and themes in Sijo in 1910's. The use of the change of lines and symbols are increased for easy to read. Sijo in 1910's existed between song for sing and literature for read. And also Sijo in 1910's shows change of the themes or idea compared with previous works, which represents a sign of the times. On the contrary, more than half shows expressed to a personal impression than the social criticism. Chapter IV looks into the changes of communication methods from sing to read literature based on the integration of contents discussed in chapter III. There were various changes in format of a Sijo. Many works tried to use change of lines, symbols and restore abbreviation of tribrach for easy to read. Theme of a Sijo was about personal life which emphasizes on tracing the root of human being. These reflect that the writer fitted in time changes. In this vein, the aspects of the changes in the Sijo in 1910's are meaningful in that Sijo develope naturally and change actively, reflecting the phases of the times. To described the history of Sijo in 1910's generally and minutely, the exact study on the history of Sijo is a problem to be solved in the future.

      • 제주도 김녕-월정 해안사구 지역의 환경 변화 연구

        최진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sand dune whose inland is developed in Gimnyeong and Woljeong region among the coastal sand dunes of Jejudo, and to suggest the alternatives on a reasonable preservation plan of coastal sand dune through identifying a change of coastal sand dune's view caused by the change of land use and the problem of coastal sand dune management.] As the method of the study, a distribution range of sand dune was identified through 1:5000 topographical map, 1:25,000 topographical map, aerial photography and satellite photography of Gimnyeong and Woljeong region in Jeju-do. Then, the change of the land use and changed image of region's review were identified through a field research and literature survey including the photography by observation of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an interview with residents and the authority's officials. In order to identify the change of the region's environment, an indoor survey and field survey was conducted including Jeju press's related contents and news articles together. Based on it, the problem and preservation plan of coastal sand dune management was reviewed and then alternatives were suggested.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sand dune-related region, because the part of sand dune is destroyed by a road construction and sand is moved to the inland such as the road and farming land by the winter season's northwesterly wind, it not only gives inconvenience in the land use and life, but also brings about a damage of sand sweep of sand dune used as a beach. Also, the inland sand dune is severely damaged by the development of farming land, colony, private residence (pension house). In terms of the agriculture, Gimnyeong and Woljeong region was not good for farming because of too much sand in the past. But,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farming technique, the farm products such as a garlic, onion, sprout, carrot and sesame leaf is cultivated and it improves the farmers' revenues. In terms of the beach's sand sweep, the damage of coastal sand dune caused by the development business and an erosion caused by a cement retaining wall construction or breakwater construction was analyzed as the biggest cause. Such phenomenon has been expanded to all coasts of Jeju-do. Because of the development in the coastal area and an installation of artificial facility, the quantity of sand moved to the seabed by waves is more than the quantity of sand accumulated in the sand dune. Also, while the sand dune's sand is moved to the inland by wind, a balance of sand accumulation in the sand dune, sand beach and sand ridge is broken. In terms of the impact of human meddling in the stabilized inland sand dune, there is the change of region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coastal. road, pension house and restaurant. In the environmental change caused by the road construction, there are the damage of Got-ja-Wal, a reduction of wild animal passage, increase of the coast's low area flooding damage, the damage of coastline which is a tourism resource, the damage of ecological environment and the increase of natural disasters. In particular, because the coastal road and bypass in the coastal sand dune were constructed by blocking rivers to be drained at a localized heavy rain, it brought about the damage of village flooding. As the flooding and sweep of roads, houses and farming lands by guerilla heavy rain which is repeated per several years becomes severe, a necessity of the coastal sand dune preservation which functions as the natural drainage has become more stressed. Recognizing the coastal sand dune as the useless land and installing the concrete bank in the coastal sand dune without recognizing the fact that the coastal sand dune plays the big role in protecting the hinterland from typhoon & waves and maintaining the coastal area's underground water seems to be the result caused by not recognizing the environmental mechanism of the coastal sand dune. As the method for solving such problem, the coastal sand dune of high ecological value must be absolutely preserved through recognizing the geographical structure of coastal sand dune. If the region is unavoidably developed, the development must be done by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means to suggest the method to restore and maintain the damaged coastal sand dune. When the region's residents attempt to preserve the coastal sand dune and the government's support & civil organization's concerns are given, the coastal sand dune will seem to give helps to the regional society and residents' life as the future natural heritage to be continuable for a long term. 이 논문은 제주도의 해안사구 중에서 생활에 대한 영향이 가장 탁월한 김녕․월정 지역을 사례로 하여 내륙쪽으로 발달한 사구의 지형적 특색을 살펴보고, 토지 이용의 변화로 인한 해안사구의 경관 변화와 해안사구 관리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합리적인 해안사구 보전방안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먼저, 제주도 김녕리와 월정리 일대의 1:5,000 지형도와 1:25,000 지형도 및 항공사진과 위성사진을 통해 사구의 분포 범위를 파악하였고, 다음으로 지형 특색 관찰을 통한 사진촬영과 주민들과 관광서 담당자 인터뷰 등의 현지조사와 문헌조사를 통해 토지 이용의 변화와 지역의 경관 변화 모습을 파악하였다. 지역 환경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제주지역 언론 보도의 관련 내용과 신문 기사 등의 실내조사와 현지조사를 병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해안사구 관리의 문제점과 보존방안을 검토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사구와 관련된 연구 지역의 특성을 살펴보면 도로 건설에 따라 사구의 일부를 훼손되면서 겨울철 북서풍에 의해 모래가 도로와 농경지 등 내륙으로 이동하면서, 토지이용과 생활에 불편을 줄 뿐만이 아니라 해수욕장으로 이용되는 사빈의 모래 유실의 피해도 가져오고 있다. 또한 내륙 사구도 농경지, 취락, 민박집(펜션) 등의 개발로 인해 나타나는 훼손이 심각한 편이다. 농업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김녕-월정은 과거에 모래가 너무 많아 농사짓기에 부적합한 땅이었으나, 근래에 들어와서 영농법의 발달로 마늘, 양파, 파, 홍당무, 깻잎 등의 밭작물을 재배하여 농가 소득을 올리고 있다. 해수욕장의 모래유실을 살펴보면, 개발 사업으로 인한 해안사구의 훼손 및 시멘트로 옹벽을 쌓거나 방파제 축조로 인해 침식이 가중된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제주도내 전 해안으로 확대되고 있다. 해안지역에 대한 개발과 인공시설물의 설치에 따라 사빈의 모래가 사빈에 퇴적되는 양보다 파랑에 의해 해저로 이동되는 양이 많고, 또한 사빈의 모래들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이동되면서 사구, 사빈, 사퇴 간의 모래의 퇴적 균형이 깨어져서 일어나고 있다. 안정된 내륙 사구에 대한 인간 간섭의 영향을 살펴보면, 먼저 해안도로, 펜션, 음식점 등의 개발로 인한 지역 변화를 들 수 있다. 도로 건설로 인한 환경 변화에는 곶자왈의 훼손, 야생동물 생태 이동 통로의 감소, 해안 저지대의 침수 피해 증가, 관광자원인 해안선의 훼손과 해안사구 등의 생태환경의 훼손, 자연재해의 증가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해안사구에 조성된 해안도로와 우회도로 등은 집중호우 시에 배수되는 하천들을 가로 막으면서 건설되어 마을의 침수 피해를 가져왔다. 게릴라성 폭우로 몇 년마다 반복되는 도로, 가옥, 농경지 침수 및 유실이 심각해짐에 따라 자연적인 침수와 배수 기능을 하는 해안사구 보전의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었다. 해안사구가 태풍․해일로부터 배후지역을 보호하고 해안지역의 지하수 유지에 큰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고 해안사구를 쓸모없는 땅으로 인식하여 해안사구에 콘크리트 제방을 설치하는 것은 해안사구의 환경적 메커니즘을 인식하여 못한 결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해안사구의 자연지리적 구조를 인식하여, 생태적 가치가 큰 해안사구는 절대 보전토록 하고, 불가피한 개발에서도 최대한 지형에 적합하도록 하고, 훼손된 해안사구는 최대한 복원하고 관리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해안사구를 보전하려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 태도와 정부의 지원 및 시민단체의 관심이 함께 할 때 해안사구는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미래의 자연유산으로 지역사회와 지역주민들의 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조직공학적 디스크 재생을 위한 생분해성 고분자와 천연 고분자를 이용한 담체의 제조 및 응용

        최진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DBP 스폰지에서 BMP-2의 효과 확인 및 섬유륜 조직 재생 본 연구에서는 골형성 단백질(BMP-2)을 함유하고 있는 생체적합성 천연재료 중 하나인 탈미네랄화된 골분(demineralized bone particle, DBP)과 콜라겐을 이용하여 제조한 각각의 스폰지에 AF세포를 파종하여 골형성 단백질(BMP-2)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DBP 스폰지와 콜라겐 스폰지는 각각 2wt%를 첨가하여 EDC로 가교시켜 제조하였다. 디스크 세포중 하나인 섬유륜 세포는 4주령의 토끼의 척추로부터 분리 하였고 10%의 우태아 혈청이 포함된 DMEM/F12 배양액으로 배양 하였다. 또한 콜라겐 스폰지는 BMP-2를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스폰지에 2x105 cell/스폰지의 농도로 파종하고 MTT를 통하여 1, 2, 4 및 7일에 섬유륜 세포의 증식률을 확인 하였으며, SEM을 통하여 스폰지의 다공도를 확인하였다. DBP가 섬유륜 세포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RT-PCR을 수행하였고, GAG도 수행하였다. MTT 분석 수행결과 DBP 스폰지에서 세포의 높은 증식률을 확인할 수 있었고, 세포의 morphology 확인 결과에서는 일반 배양액보다 BMP-2를 함유한 배양액으로 배양한 섬유륜 세포가 더 잘 자람을 확인할 수 있었다. SEM 분석 결과 스폰지의 횡단면과 표면 모두 높은 다공도를 나타내었고, 각 다공의 상호 연결 또한 좋았다. RT-PCR 결과 DBP 스폰지에서 섬유륜 세포의 특이적 유전자인 제 1형 교원질, 제 2형 교원질, 어그리칸의 발현이 강하게 나타났고, 골화 여부를 확인하는 오스테오넥틴의 발현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GAG와 콜라겐, 수분 흡수성 결과에서도 콜라겐 스폰지보다 BMP-2를 함유한 콜라겐 스폰지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이들보다 DBP 스폰지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은 세포의 성장과 증식 그리고 분화에 좋은 영향을 줄 것이고, 이러한 결과는 DBP 스폰지가 추간판 디스크(intervertebral disc, IVD)의 재생에 유용할 것이라 사료된다. The Effect of BMP-2 in DBP Sponge for Annulus Fibrosus Regeneration Demineralized bone particle(DBP) that affects to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has been used as biomaterials. In this study, we evaluated 3-dimensional DBP sponge and Collagen sponge on proliferation and phenotype maintenance of annulus fibrosus cells. DBP sponge were prepared by freeze-drying method after addition 2 wt% DBP solution. sponge was crosslinked with 1-ethyl-(3-3-dimethyl aminopropyl) carbodiimide hydrochloride(EDC) solution with 50 mM concentration for 24 hrs and lyophilized. We seeded cells in DBP sponge and Collagen sponge. Cellular viability and proliferation were assayed by 3-(4,5-dimethylthiazole-2-yl)-2,5-diphenyltetrazolium-bromide(MTT) test. DBP sponge and Collagen sponge were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was assessed to measure mRNA expression for type I collagen, type II collagen, aggrecan and osteonectin and glycosaminoglycan(GAG) quantity from annulus fibrosus cells in sponges. In MTT assay result, DBP sponges were higher cell viability. In SEM observation, we observed that DBP sponge has uniform porosity. In addition, annulus fibrosus stronly expressed their specific mRNA. and produced well sGAG in DBP sponge. This result indicates that DBP sponge is useful for intervertebral disc regeneration. 히알루론산을 함유한 PLGA 지지체와 섬유륜 세포를 이용한 디스크 재생 본 연구에서는 천연재료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과 분해도를 조절할 수 있고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PLGA(Poly(lactide-co-glycolide))를 이용하여 제조한 HA/PLGA지지체와 PLGA지지체에 각각 AF 세포를 파종하여 히알루론산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지지체는 PLGA를 methylene chloride에 용해시킨 후, 1% 히알루론산 수용액을 혼합하여 미리 급냉시킨 테플론 몰드에 부어서 제조하는 유화동결건조법으로 제조하였다. 섬유륜 세포는 4주령 된 토끼의 척추로부터 분리하여 10% 우태아 혈청이 포함된 DMEM/F12 배양액으로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지지체에 2x105 cell/지지체의 농도로 파종하였고, MTT를 통하여 섬유륜 세포의 증식률을 확인하였다. 또한 히알루론산이 섬유륜 세포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RT-PCR도 수행하였고, 세포외 기질을 구성하는 물질인 GAG의 함량도 측정하여 지지체 내에서 섬유륜 세포가 GAG를 잘 생성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MTT 분석 결과, PLGA지지체보다 HA/PLGA지지체에서 세포 증식률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고, RT-PCR 결과에서도 시간이 경과할수록 섬유륜 세포의 특이적 유전자인 제 2형 교원질과 어그리칸의 발현이 HA/PLGA지지체에서 더욱 강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GAG와 콜라겐 함량 분석 결과에서도 HA/PLGA 지지체가 PLGA지지체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히알루론산이 섬유륜 세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HA/PLGA지지체가 추간판 디스크의 재생에 유용할 것이라 사료된다. Regeneration of Biodisc Using Annulus Fibrosus Cell on Hyaluronic Acid Loaded PLGA Scaffold Tissue engineering strategies have the potential to improve upon current techniques for intervertebral disc repair. However, determining a suitable biomaterial scaffold for disc regeneration is difficult due to the complex fibrocartilaginous structure of the tissue. Poly(lactide-co-glycolide)(PLGA) has controllable biodegradability and good biocompatibility. hyaluronic acid(HA) called natural moisturizer can be used as biomaterials. In this study, we evaluated 3-dimensional HA loaded PLGA scaffold on proliferation and phenotype maintenance of annulus fibrosus cells. HA/PLGA scaffolds were prepared by emulsion freeze-drying method. Annulus fibrosus cells were seeded in HA/PLGA scaffold, and then cell viability and proliferation analyzed by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MTT) assa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was assessed to measure mRNA expression for type II collagen, aggrecan and glycosaminoglycan(GAG) quantity from annulus fibrosus cells in scaffolds. In MTT assay result, cell viability in HA/PLGA scaffolds were higher than PLGA scaffolds. In addition, annulus fibrosus strongly expressed their specific mRNA and produced well sGAG in HA/PLGA scaffold. This result indicates that HA/PLGA scaffold is useful for intervertebral disc regeneration.

      • 의료서비스에서 환자 신뢰가 관계몰입에 미치는 영향

        최진희 인제대학교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객의 신뢰 형성과 관련하여 보편적으로 탐구된 변수들의 유효성과 변수들 간의 관계를 의료서비스 영역에서 확인하고, 이 변수들이 의료서비스라는 특수성을 가진 시장에서 환자신뢰 및 관계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의료서비스에서 환자신뢰 및 관계몰입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제공자 특성 및 소비자 특성으로 분류하여 제공자 특성으로는 서비스품질, 소비자 특성으로는 고객만족도, 이용이력, 명성(평판)인식으로 변수를 설정하였다. 실증 연구 자료는 A지역 일개 대학병원의 환자 25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되었다. 실증 분석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각 변수별 변이를 살펴본 결과, 제공자 특성인 서비스품질에서는 연령과 소득에서, 소비자특성, 환자신뢰, 관계몰입에서는 연령부문에서, 소득에서는 고객만족 에서 유의한 변이를 보였다. 둘째, 환자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경로분석의 결과 제공자 특성인 서비스품질의 보장성, 공감성이, 소비자 특성 중에서는 고객만족과 명성(평판)인식이 환자신뢰 형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자신뢰는 관계몰입 중 재이용과 타인추천에, 명성(평판)인식은 재이용에, 고객만족과 명성(평판)은 타인추천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날로 치열해지고 있는 경쟁적 의료환경에서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환자신뢰 결정변수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한편으로 관계몰입을 유지하고 강화하기 위한 경영전략의 수립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