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집단미술치료가 모와 분리를 경험한 제 3국 출신 북한이탈가정 아동의 정서적 불안과 소외감에 미치는 영향

        최지혜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모와 분리를 경험한 제 3국 출신 북한이탈가정 아동의 정서적 불안과 소외감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모와 분리를 경험한 제 3국 출신 북한이탈가정 아동의 정서적 불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모와 분리를 경험한 제 3국 출신 북한이탈가정 아동의 소외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과정에서 나타난 제 3국 출신 북한이탈가정 아동의 정서적 불안과 소외감의 변화양상은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S시에 소재한 G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제 3국 출신 북한이탈가정 만 11∼12세 아동으로, 학교선생님이 교우관계 및 심리적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아이들을 위해 의뢰하였고 이중 참여의사를 밝힌 8명을 실험집단에 다른 8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매 회기 80분씩 12회기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도 실시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는 Spielberger(1970)가 제작한 특성불안검사(Stat-Trait Inventory: STAI)를 김정택(1987)이 번안한 특성불안검사(STAI-Ⅱ)와 Dean(1961)의 소외감 척도(Dean's Alienation Scale, 1961)를 문진명(2000)이 한국적 상황에 맞게 번안하고 한영신(2003)이 초등학교 아동에 적합하게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집단 간 동질성 검증을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에 대해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였고 설문 문항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의 ⍺를 사용하였다. 또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사전‧사후의 정서적 불안과 소외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 18.0을 사용하여 Wilcoxon의 부호 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활동 과정 중에 나타난 정서적 불안과 소외감의 변화사항을 프로그램의 단계별 과정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는 모와 분리를 경험한 제 3국 출신 북한이탈가정 아동의 정서적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z=-2.53, p<.05). 둘째, 집단미술치료는 모와 분리를 경험한 제 3국 출신 북한이탈가정 아동의 소외감 감소에 효과적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z=-2.52, p<.05). 셋째,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제 3국 출신 북한이탈가정 아동의 정서적 불안과 소외감의 변화는 통계적인 변화와 함께 질적인 변화양상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제 3국 출신 북한이탈가정 아동들은 회기가 진행될수록 다양한 매체를 통해 내면의 불안을 인식하고 표현하며 안정적인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같은 경험을 한 집단원 간 불안을 함께 나누거나 협동작업을 통하여 심리적 지지기반을 형성하며 공동체의식을 느끼는 변화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제 3국 출신 북한이탈가정 아동이 어머니와의 분리경험이라는 개인의 심리내적 측면에 초점을 두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 있으며 이 결과를 기초로 제 3국 출신 북한이탈가정 아동이 겪게 되는 심리적 문제와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발달상의 문제에 대해 정책 지원 및 심리적 개입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is study were conducted to examine influences of the group art therapy on emotional anxiety and alienation of North Korean defected children who were born in 3rd country and experienced separation from mother. The ques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effects the group art therapy has on the emotional anxiety of North Korean defected children who were born in 3rd country and experienced separation from mother? Second, what effects the group art therapy has on the alienation of North Korean defected children who were born in 3rd country and experienced separation from mother? Three, how are the changing patterns of emotional anxiety and alienation during group art therapy in the North Korean defected children who were born in 3rd countr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attending G elementary school in Guri, and were 11∼12 years North Korean defected children who were born in 3rd country. These children who were having difficulties in the peer relationship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were committed by their teacher. 8 children of them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were assigned in experimental condition, and other 8 children were assigned in control conditio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hat composed of 12 sessions of 80 minutes per sessions was conducted in experimental group, while control group was not given any treatment.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completed Stat-Trait Inventory-Ⅱ(STAI-Ⅱ) and Dean's Alienation Scale. Man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Cronbach’ɑ value was used to examine the internal consistency. Also, the Wilcoxon’s signed-ranks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pre-post differences on emotional anxiety and alienation by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SPSS 18.0. Finally, based on each stages, the changing patterns of emotional anxiety and alienation appeared during group art therapy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 group art therap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s on reduce of emotional anxiety of North Korean defected children who were born in 3rd country and experienced separation from mother(z=-2.53, p<.05).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s on reduce of alienation of North Korean defected children who were born in 3rd country and experienced separation from mother(z=-2.52, p<.05). Third, the qualitative changes of emotional anxiety and alienation appeared during group art therapy were significant as well as statistic changes. The North Korean defected children who were born in 3rd were changed in a stable manner through awareness and expression of internal anxiety in various ways during sessions. Also, the social support bases and senses of community were cultivated through cooperative activity and sharing among group members who experienced same thing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cusing internal aspects was effective in the North Korean defected children who were born in 3rd country and experienced separation from mother. Given results of this study, the policy supports and psychological interventions on psychological and developmental problems of the North Korean defected children who were born in 3rd country are needed.

      • 다가구주택화에 따른 진입요소 배치와 가로경관 변화 : 삼양동 우진주택 단지를 사례로

        최지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Woojin Housing Complex, which was developed as a detached housing complex at 839 Samyang-dong, Seoul in 1967, was the first planned and developed by the private sector in Samyang-dong at the time. At that time, the Woojin Housing Complex, which was divided into lattices, was different from the residential organizations of each state, and the land divided with a certain size, although about 60% of the circular houses were changed into multi-family houses, the site remains intact. In the 1990s, the Woojin Housing Complex rapidly developed multi-family housing, which was a common phenomenon in multi-family housing construction at that time, resulting in the installation of exterior stairs and gate divergence, and the differentiation of entry elements was placed in front of multi-family housing. The street view of the Woojin Housing Complex is formed by external stairs and gates, and multi-family houses where the outer stairs and gates are parallel or placed in the vertical horizontal direction were built collectively in 1992. The collectiv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se multi-family houses, the land structure and slope of the Woojin Housing Complex, meet, and the same types of houses are built continuously along the street. The multi-family houses built in the Woojin Housing Complex have three gates and two vertically parallel staircases on the front, and the collective construction of these multi-family houses influenced the street landscape of the Woojin Housing Complex. Accordingly, the street landscape of Woojin Housing Complex was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street by the arrangement of external entry elements such as exterior stairs and gates, forming a linear regular street landscape, and representing the street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Woojin Housing Complex. 1967년 서울 삼양동 839번지 대에 단독주택 단지로 개발된 우진주택 단지는필지단위로 개발된 우진주택 단지는 당시 삼양동에서 민간에 의해 계획 개발된 첫 번째 단지라고 할 수 있다. 당시 격자형으로 구획된 우진주택 단지는 주별 주거조직들과는 차별성이 있는 단지였으며, 일정한 크기를 가지고 구획된 대지는 원형 주택의 60% 가량이 다가구 주택으로 변화했음에도 그 필지구조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우진주택 단지는 1990년대에 들어서 다가구 주택화가 급격히 일어나게 되는데 이때, 당시 다가구 주택 건축에 있어 보편적인 현상이었던 외부계단의 설치와 대문의 분화가 일어나게 되고 이러한 진입요소의 분화는 다가구주택 전면에 배치되면서 새로운 가로경관을 형성하게 된다. 우진주택 단지의 가로경관은 외부계단 및 대문에 의해 형성되며, 외부계단과 대문이 수직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거 배치된 다가구주택이 1992년에 집단적으로 지어진다. 이러한 다가구주택의 집단적 건축 특성과 우진주택 단지의 필지구조 및 경사지형이 만나 우진주택 단지에서 동일한 형태의 주택들이 가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집단성을 띄며 지어지게 된다. 우진주택 단지에 지어진 다가구 주택들은 전면에 세 개의 대문과 두 개의 수직방향으로 평행한 계단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다가주 주택의 집단적 건축은 우진주택 단지 가로경관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따라서 우진주택 단지의 가로 경관은 외부계단 및 대문 등의 외부 진입요소들의 배열방식에 의해 외부계단과 대문이 가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선형의 규칙적인 가로경관을 형성하며 우진주택 단지만의 가로경관 특성을 나타내게 되었다.

      • 동시대 소리미술의 공간과의 상호적 관계성 연구

        최지혜 한국예술종합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미술사의 영역 안에서 소리미술의 이론적, 역사적인 계보를 추적하며 소리가 공간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구성함을 밝힌 연구이다. 소리미술은 2000년을 전후로 개최된 전시들을 통해 제도권에 등장한 이후 현재까지 시각예술 안에서 흥미로운 이슈로 자리하고 있다. 그러나 음악과 미술의 경계선상에 있는 위치상의 이유로 소리미술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는 아직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소리미술을 미술사안에서 해석할 수 있는 위치를 마련하기 위하여 소리미술이 등장하게 된 이론적 배경과 미술사 내에서의 역사를 추적해보았으며 동시대 소리미술작업들이 공간과의 다양한 관계를 형성하는 양상들을 고찰해보았다. 연구자는 소리미술이 아직까지 하나로 합의된 개념적 정의가 부족하다는 사실을 전제로 하면서 ‘공간성’에서 그 해답을 찾고자 하였다. 19세기 말 기계화와 도시화로 인해 소음이 등장하면서 소리에 대한 인식이 확장되었고, 소리를 기록할 수 있는 기술 또한 발전했다. 이러한 사회적, 경제적 배경을 바탕으로 20세기 초 미래주의자들은 소음을 예술의 영역으로 가져왔다.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의 반-예술적 태도에서 나타난 우연성에 기반한 소리의 등장은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매체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주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작곡가 존 케이지(John Cage)는 미래주의자들에 의해 예술적 가치가 부여된 소음을 자신의 작업 속에서 활용하면서 청취자의 개념을 탄생시키는데 일조하였다. 케이지에게 영향을 받은 백남준은 당시의 기술적 발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소리콜라주를 만들어내기도 했다. 또한 과정을 작업의 중요한 부분으로써 제시하는 가운데 소리가 등장하기도 했고, 비-물질적인 미술의 매체로써 소리가 이용되기도 했다. 1960년대의 이후 등장한 막스 뉴하우스(Max Neuhaus)와 빌 폰타나(Bill Fontana), 그리고 앨빈 루시에(Alvin Lucier)등으로 대표되는 1세대 소리미술가들은 소리라는 매체를 공간과의 연관성 아래에서 본격적으로 탐구하기 시작했다. 최근에 이르기까지 소리미술가들은 소리를 통해 추상적인 공간(space)에서부터 사회적, 문화적인 맥락을 가진 장소(site)까지 다양한 공간의 특성들을 드러냈다. 소리는 공간을 물리적으로 규정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장소를 체험하고, 재현하는 역할 또한 하게 되었다. 나아가 기술매체의 발전을 활용한 소리미술은 소리를 장소와 분리시켜 재편성하고, 연출적 요소를 삽입하여 변형된 공간의 경험을 만들어 냈다. 현재 소리미술은 실험음악과 미술의 경계에 위치하여 심도 있는 연구나 논의가 부족한 상황이며 이러한 측면에서 소리미술의 개념을 ‘공간성’에 주목하여 공간과의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작업들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은 미술사에서 소리미술의 위치를 구축할 수 있게 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소리가 공간 안에서 단순히 존재하는 것 이상의 상호적 관계를 만드는 과정들을 살펴보면서 공간과 장소를 표현하는 매체의 하나로써 소리의 가능성을 재고해 보았다. This dissertation reveals that the sound art creates diversified listener-audience experience through interplay between sound and spatiality, while tracing theoretical and historical genealogy of sound art within the framework of art history. Introduced through exhibitions held around 2000, Sound Art has marked its position in art world as an interesting field of art practice. However, for Sound Art is considered to be on the borderline between Art and music, theoretical study on Sound Art has not yet been done extensively. Therefore, this dissertation aims to examine sound art under the scope of art history, and to elaborate upon diverse aspects of relationship between spatiality and sound in works of contemporary Sound Art. Based on the preposition that there is no current agreed theoretical definition of sound art in the art historical narrative, this dissertation pays attention to the notion of spatiality. Followed by mechanization and urbanization in the ninetieth century, the concept of noise had been introduced and broadened awareness towards sound. Technology for sound recording was developed as well. With this socio-economic background, Futurist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brought Noise into the realm of Art. The idea of aleatory sound, which is in alignment with Marcel Duchamp’s anti-art attitude, proposed that noise can be used as an artistic medium. Composer John Cage, too, used noise in his works and made contribution in making the concept of ‘listener’. Nam June Paik, with the influence of Cage, created sound collage by making us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the time. In addition, sound has either been discussed with the approach to present the artistic process as crucial part of artworks, or been used as a Dematerialistic artistic medium. The first generation of sound artists-such as Max Neuhaus, Bill Fontana, and Alvin Lucier, who had emerged in late 1960s-started to explore Sound as a medium, focusing on its correlation with spatiality. Until recently, sound artists have revealed various aspects of spatiality with sound, from ‘space’: abstract existence; and ‘site’: construed from socio-cultural context. Sound not only defines a physical site but also represents a space, enabling audiences to experience it. Furthermore, taking advantage of development in media technology, sound art rearranges sound by detaching sound from the space it is generated from, and gives listeners an experience of altered space by inserting staged elements. This dissertation aims to situate sound art into the narrative of art history by examining artworks in light of relationship between sound and spatiality. Sound is not an element merely exists in space, but one of artistic mediums for expressing ideas on space, or site, generating mutual interaction with space itself.

      • 고LDL-콜레스테롤 혈증 여자노인에서 식이섭취상태와 혈중 지질 및 항산화능과의 관계

        최지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중 뇌심혈관계질환 위험군의 혈중 지질, 항산화능 및 식이섭취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여자노인 41명이였으며, 혈중 LDL-콜레스테롤 160mg/dl 이상인 15명은 고 LDL-콜레스테롤혈군(뇌심혈관계질환 위험군)으로, 160mg/dl 미만인 26명은 대조군으로 정하여 나눈 뒤, 위험군과 대조군의 체위와 체구성 성분을 측정하였고, 건강상태 및 음주, 흡연, 운동여부와 같은 건강 관련 습관을 조사하였으며, 24시간 회상법을 통하여 1일 영양소 섭취량을 조사하였다. 또한 혈압 및 혈액성분을 분석하였고, 혈장 TBARS(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LDL fraction내의 TBARS, TAS(Total Antioxidant Status), 적혈구의 SOD(superoxide dismutase)활성을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으며, 항산화능과 혈중 지질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해 영양소 섭취량, 식품 섭취량 및 혈액성분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위험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조사 대상자들은 모두 여자노인이였으며, 위험군과 대조군의 평균연령은 각각 68.5세, 65.5세였다. 체위 및 체구성 성분을 측정한 결과, 위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BMI와 체지방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전체 대상자의 73%는 퇴행성 관절염, 당뇨병, 고혈압과 같은 노인성 질병을 갖고 있었고,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노인은 위험군이 73.3%, 대조군에서는 80.8%로 대다수가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있었으며, 조사 대상자 모두가 여자 노인이였으므로, 음주나 흡연율은 매우 낮았다. 식이 섭취 조사 결과, 대상자들은 전체적으로 권장량과 비교해 봤을 때 비타민 A, 비타민 B₂, 비타민 E, 칼슘을 제외하고는 만족할만한 수준을 섭취하고 있었다. 에너지 섭취량은 위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나머지 영양소에서는 두 군간 유의적인 섭취량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항산화 영양소인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E의 경우 위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낮은 섭취 경향을 보였으며, 지방의 섭취량은 높은 경향을 보였고, 두 군 모두 비타민 A와 비타민 E의 섭취량은 권장량을 밑돌았다. 섭취 열량 중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의 비율은 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콜레스테롤 섭취량은 두 군간 차이는 없었으나, 두 군 모두 200mg 미만을 섭취하고 있었다. 포화 지방산과 다중불포화지방산의 섭취량 및 P/M/S ratio는 두 군간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식품군별 섭취량에서는 위험군에서 육류의 섭취량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았다. 혈압 및 혈액 성분의 경우, 위험군은 대조군보다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수준은 유의적으로 높았고, 공복시 혈당, H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emoglobin, hematocrit, 혈압에서는 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중 항산화능을 측정한 결과 LDL fraction내 TBARS 함량, TAS, 적혈구의 SOD 활성정도는 두 군간 차이가 없었으나, 혈장 TBARS 함량은 위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혈중 항산화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LDL fraction내의 TBARS 함량은 지방 섭취량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채소 및 식물성 식품 섭취량과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WHR과는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TAS는 혈중 중성지방 수준과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적혈구의 SOD 활성의 경우 섬유소 및 채소 섭취량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수축기 혈압, WHR과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혈중 지질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혈중 중성지방은 지방 섭취량과 체지방율간의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총 콜레스테롤은 체내 무기질, 체수분, 근육량과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LDL-콜레스테롤 수준은 체내 무기질, 체수분, 근육량과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HDL-콜레스테롤의 경우 WHR과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capacity and dietary intakes in female Korean elderly with high LDL-cholesterol. The study subjects were 41 women aged 60-80 year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risk group with LDL-cholesterol ≥160mg/dl and control group with LDL-cholesterol <160mg/dl. Anthropometry measurement, dietary intake, serum lipid and antioxidative capacity were measured. Dietary intakes were surveyed by 24-hour recall method. Antioxidative capacity was estimated by the TBARS levels of LDL-fraction and plasma, total antioxidant status(TAS), and activity of erythrocyte superoxide dismutase. BMI and percent body fat of risk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Average energy intake of risk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1704.7kcal and 1482.8kcal,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of energy from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Risk group had higher fat intake than control group. The intakes of vitamin A, vitamin C and vitamin E were lower in risk group than in control group. Cholesterol intake of risk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174.2mg and 150.8mg, respectively. Risk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erum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than control group,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in H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The TBARS level of LDL-fraction, TAS, and activity of erythrocyte superoxide dismutas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risk and control groups, but the TBARS level of plasma in risk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control group. The TBARS level of LDL-fraction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the consumption of fiber(r=-0.30) and vegetable(r=-0.40)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onsumption of fat(r=0.32) and WHR(r=0.44). TAS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triglyceride(r=-0.43). Activity of erythrocyte superoxide dismutase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systolic blood pressure(r=-0.41) and WHR(-0.43)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onsumption of fiber(r=0.42) and yellow vegetable(r=0.43). LDL-cholesterol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mineral mass(r=-0.40) and lean body mass(r=-0.40). HDL-cholesterol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WHR(r=-0.47).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consumption of vegetable was associated with antioxidative capacity in elderly. Therefore diets rich in fruit and vegetable seem to protect against th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 조선 후기 양반층의 가곡 향유 양상과 가집 편찬

        최지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고금가곡』과 『청구영언(이한진 편)』을 바탕으로 하여 편찬자의 면모나 가집의 수록 특성, 그리고 가집의 내용을 통해 드러나는 편찬 의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조선 후기 가집에 관련한 연구가 김천택의 『청구영언(진본)』이나 이후 김수장의 『해동가요』계열, 19세기 박효관․안민영의 『가곡원류』 계열 등 전문 가객(歌客)이 편찬한 가집 연구에 치중되어 양반이 편찬한 가집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그 실적이 미미한 실정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는 양반이 편찬한 가집과 전문 가객이 편찬한 가집이 각각의 편찬 의식에 따라 조선 후기 가곡 향유의 흐름에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였음을 찾아보았다. Ⅱ장에서는 17세기 양반이 가곡을 향유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먼저 17세기 이전 양반층이 가곡을 향유한 양상을 개괄적으로 검토하였는데, 가곡뿐만 아니라 그 이전의 상황부터 가기(歌妓)나 악공(樂工)을 통해 연행 문화를 즐기던 양상을 엿볼 수 있었다. 가기를 소유하는 것이 당시 문화 생활의 척도가 되었을 정도로 연행 문화에 관심이 많았던 양반의 모습과 음악적인 부분을 위해 연행의 자리에 함께 했던 가기와 악공의 모습을 통해 이후 18세기 양반 편찬의 가집이 탄생하게 되는 기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김천택의 『청구영언』이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가집이고, 또한 김천택과 같은 전문 가객이 가집 편찬에 주도적이었다는 기존의 연구에서 견해를 달리해 그 이전부터 이미 양반에 의해 가집 편찬의 움직임이 있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비록 개인이 편찬한 개인 작품집이기는 하지만 연행을 위해 수십 수(數)가 넘는 작품을 손수 엮어 가집을 낸 낭원군의 『영언』이나 김천택이 많은 부분 참고한 것으로 추측되는 홍만종의 『청구영언』과 『이원신보』의 서문을 통해 양반도 이미 가곡 향유 문화가 획기적으로 변하는 시기에 일정 부분 자기의 역할을 하고 있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18세기 이후 양반층이 편찬한 가집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게 되는 사회․문화적 배경에는 우선 도시 인구의 급증과 상업의 발달을 들 수 있다. 양 난(亂) 이후 피폐해진 도성을 재건하며 도시로의 인구 유입이 급증하고 상업이 발달하여 이로 인해 도시 문화가 발달한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서울이 지리적으로 분화되어 양반이 그 안에서 고유의 연행 문화를 구축해 나가고 있음을 개괄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이후 악곡의 세분화를 통해 가객이 조선 후기 전문 연행인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제반 요소를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앞 장에서 살펴본 내용을 바탕으로 『고금가곡』과 『청구영언(이한진 편)』의 구체적 가집을 통해 양반이 편찬한 가집의 면모를 살펴보았다. 『고금가곡』에 드러난 무반의 이념과 그 흥취를 살펴보았는데 먼저 가집 수록 체계에서 드러나는 가집 구성의 방향과 자작 작품의 내용 분석을 통해 가집 편찬의 태도를 살펴보았다. 이후 <단가이십목>의 주제 항목의 특징 분석을 통해 편찬자가 한적한 말년의 삶의 모습과 양반으로서의 세상에 대한 개탄, 그리고 편찬자의 개인 취향이 돋보이는 항목 구성으로 편찬 의식을 드러냈음을 알아보았다. 이후 『청구영언(이한진 편)』을 통해 양반의 흥취와 교유 양상을 살펴보았는데 먼저 가집의 수록 체계와 편찬자인 이한진의 자작 작품, 그리고 그에 관한 다양한 기록을 통해 편찬 의식을 살피고 편찬자의 면모를 알아보았다. 이후 특징적인 작가 표기나 작품의 변개(變改)를 통해 드러나는 가집의 편찬 의식을 살펴보았다. 앞선 시기의 가기(歌妓)와 같은 연행인이 조선 후기에 전문 가객인 문화과 기방 문화로 분화되고, 양반층 역시 창작 감상자의 계층과 가집을 편찬하기까지 하는 적극적 향유자의 두 층으로 나누어 보아 각각의 분화 양상을 살피는데 있어 『고금가곡』과 『청구영언(이한진 편)』이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것을 밝히고 그 시가사적 위상을 살피는데 본고의 의의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mpilation consciousness revealed by the features of compilers, the collection characteristics of anthologies, and the contents of anthologies based on Gogeumgagok and Cheongguyeongeon (Lee Han‐jin’s edition). Previous studies on anthologies in the late Chosun Dynasty have been focused on anthologies complied by professional singers such as Kim Cheon‐taek’s Cheongguyeongeon (original edition), Kim Su‐jang’s Haedonggayo and its other editions, and Park Hyo‐gwan‐Ahn Min‐yeong’s Gagokwonryu in the 19th century and its other editions, and not many studies have been made on anthologies compiled by yangbans (nobles).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show that anthologies compiled by yangbans and those by professor singers played a certain role in the flow of song enjoyment in the late Chosun Dynasty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compilation consciousness. Chapter II investigated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that yangbans in the 17th century enjoyed gagok. First, we briefly reviewed the pattern in which yangbans enjoyed gagok before the 17th century and found that not only gagok but also performances presented by singing entertainers and musicians had been enjoyed. Through the life of yangbans, who were so interested in performance culture that owning singing entertainers was considered a barometer of cultural life, and the activities of singing entertainers and musicians who joined performing events for the part of music, we tried to look into the environment for the birth of anthologies compiled by yangbans in the 18th century. In addition, different from the view of previous studies that Kim Cheon‐taek's Cheongguyeongeon is the oldest anthology extant and professional singers like Kim Cheon‐taek led the compilation of anthologies, we found that there had been yangbans’ movements for anthology compilation. Although they were compiled personally, Yeongeon compiled by Prince Nangwon, who collected tens of songs for performance, and the preface of Hong Man‐jong’s Cheongguyeongeon and Iwonsinbo show that yangbans played their role in some part during the period when song enjoyment culture was changing radically.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for the active appearance of anthologies compiled by yangbans includes the rapid expansion of urban pop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ommerce. Thus, we examined the development pattern of urban culture promoted by the reconstruction of cities destroyed by the two great wars, the inflow of population to urban areas, and the prosperity of commerce. Furthermore, we saw that Seoul was divided geographically and each district established its own unique performance culture. In addition,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gagok, we identified factors for singers to find their position as professional performers in the late Chosun Dynasty.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previous chapters, Chapter III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anthologies compiled by yangbans using Gogeumgagok and Cheongguyeongeon (Lee Han‐jin’s edition). First, we examined the idea and taste of military yangbans revealed in Gogeumgagok, focusing on the attitude of anthology compilation through analyzing the direction of anthology compilation and the contents of self‐written works. Then,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mes in <Dangaisipmok> and found that the compilers expressed their consciousness through themes such as their leisurely old life, lamentations over the world, and personal tastes. What is more, yangbans’ taste and association were studied through Cheongguyeongeon (Lee Han‐jin’s edition). First, through the structure of collection, Lee Han‐jin’s own works, and various records about him, we inquired into the compilation consciousness and the compiler’s features. Moreover, the compilation consciousness was analyzed through characteristic marking of writers or modification of works. Performers, who were equivalent to singing entertainers in the previous period, were divided into professional singers and entertainers, and the yangban class was also divided into those who created and appreciated and those who even compiled anthologies active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ed the decisive role of Gogeumgagok and Cheongguyeongeon (Lee Han‐jin’s edition) in examining the cultural pattern of the two groups and inquired into their status in the history of poetry.

      • 성인기 발달장애인을 위한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지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As complex international issues in our lives begin to be deeply linked with changes in the time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paying attention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 to foster global citizens with global citizenship, problem-solving, and social empathy through community education. Howeve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DD) have been excluded from GCE due to social prejudice against their cognitiv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conducted a study to develop and apply 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GCEP) for DD in adulthood. GCEP for adults with D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in five stages. First, in addition to the universal elements of GCE, a basic surve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meaning, elements, and related topics of GC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DD in adulthood. Second, an analysis framework was developed and analyzed to analyze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to GCE at home and abroad through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analysis. Third, the core elements of GCEP for DD in adulthood were extracted and expert reviews were conducted. Fourth, a program draft was developed based on the extracted core elements. Fifth, expert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of the program draft and the final draft of the program was developed. The final program components consisted of 6 main subjects, 19 Subtopices, and 32 content elements, and consisted of a total of 20 classes. Since then, in this study, the GCEP was directly applied to DD in adulthood.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9 adults with DD attending S alternative schools in Seoul, and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analyzed the impact of the program on global citizenship, problem-solving, and social-emotional capabilities of adults with D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global citizenship of DD in adul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and all sub-areas of global citizenshi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Second, this program also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roblem-solving skills of DD in adulthood. Third, the social and emotional capabilities of adults with DD who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were found to have improved more in the post-test than in the pre-test,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changes in pre-and post-test scores for each study participant, there was an individual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core improvement. Most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scored above average in terms of global citizenship, problem-solving skills, and social-emotional capabilities, but some research participants' pre-and post-test scores were lower than the group average. However, research participants who scored below the group average also improved higher than the group average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showing that GCE and individual learning support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DD can improve global citizenship, problem-solving, and social-emotional capabilities. In addition, participants' experience in higher education, overseas stay experience, and personal learning pattern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differences in global citizenship, problem-solving ability, and social-emotional competency. Next, the social validity of this program was evaluated for research participants. The survey on social validity consisted of social validity test papers, open questions related to global citizenship, and individual interviews, and the results of the social validity surve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participant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this program, and seco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global citizenship, problem-solving and social-emotional capabilities, and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improved. In addition, participants in the study evaluate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is program was fruitful and interesting, and the difficulty level was appropriate. Third, research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 program operation method and execution strategy of this study, such as the application of various learning materials and gamification, as appropriate. This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GCE for DD by developing and applying GCEP for DD in adulthood. 시대적 변화와 함께 우리 삶 속에 복잡한 국제사회 문제들이 깊숙이 연계되기 시작함에 따라 국제사회는 공동체 교육을 통해 세계시민의식과 문제해결력, 사회적 공감 능력을 갖춘 세계시민을 양성하고자 세계시민교육에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발달장애인은 그들의 인지적, 행동적 특성에 대한 사회적 편견으로 세계시민교육의 대상에서 배제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성인기 발달장애인을 위한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성인기 발달장애인을 위한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은 5단계의 절차로 개발되었다. 첫째, 세계시민교육의 보편적 요소 외에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특성과 요구에 기초한 세계시민교육의 의미 및 요소, 관련 주제를 파악하고자 기초조사를 진행하였다. 둘째, 선행연구 및 문헌분석을 통해 국내외 세계시민교육 관련 교육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 틀을 개발하고 분석하였다. 셋째, 성인기 발달장애인을 위한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의 핵심요소를 추출하고, 전문가 검토를 시행했다. 넷째, 추출된 핵심요소를 기반으로 프로그램 초안을 개발하였다. 다섯째, 프로그램 초안에 대한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 및 프로그램 최종안을 개발하였다. 최종 프로그램 구성요소는 대영역 6개, 중영역 19개, 내용요소 32개로 이루어졌으며, 총 20회기로 구성되었다. 이후 본 연구에서는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을 성인기 발달장애인에게 직접 적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서울시 S 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성인기 발달장애인 9명이었으며, 단일집단 사전·사후 검사설계를 사용하였고,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통해 해당 프로그램이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세계시민의식, 문제해결력,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세계시민의식은 유의미한 향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계시민의식 하위영역에서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본 프로그램은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문제해결력에서도 유의미한 향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사회정서역량은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에서 좀 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연구참여자별로 사전·사후검사 점수 변화를 살펴보면 점수 향상 정도에는 개인차가 있었다. 세계시민의식, 문제해결력, 사회정서역량에서 연구참여자 대부분이 평균 이상의 점수를 보였으나, 조망수용능력이나 사회적 참조 등의 어려움을 보인 일부 연구참여자의 사전·사후검사 점수는 집단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집단 평균 이하의 점수를 보인 연구참여자도 프로그램 참여 후 집단 평균 상승폭보다 높은 향상을 보여 발달장애인의 특성에 적합한 세계시민교육과 개별적인 학습지원을 통해 지원 요구가 높은 발달장애인도 세계시민의식, 문제해결력, 사회정서역량이 향상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외에도 세계시민의식, 문제해결력, 사회정서역량에서의 연구참여자별 변화의 차이와 관련하여 참여자들의 고등교육 참여 경험이나 해외 체류 경험, 개인 학습 양식 등이 논의되었다. 다음으로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본 프로그램에 대한 사회적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사회적 타당도에 대한 조사는 사회적 타당도 검사지, 세계시민의식 관련 개방형 문항, 개별 면담으로 이루어졌으며, 사회적 타당도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본 프로그램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둘째, 프로그램 참여 후 세계시민의식, 문제해결력 및 사회정서역량, 지역사회 참여 기회 등이 향상되어 프로그램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연구참여자들은 본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이 알차고 재미있었으며 난이도 또한 적절하였다고 평가하였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다양한 학습자료, 게이미피케이션 적용 등 본 연구의 프로그램 운영방식 및 실행 전략이 적절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기 발달장애인을 위한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발달장애인의 세계시민교육 가능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세계시민교육이 평생교육으로 확장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평생교육을 포함하여 다양한 교육환경의 발달장애인을 위한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국화과 식물 감국으로부터 염증성 호흡기 질환 항염증 생리 활성 유효 성분 및 효능 규명

        최지혜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업화의 가속화에 따라 호흡기 관련 염증 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호흡기 질환의 대표적인 문제인 점액의 증가는 활성산소, 염증, 뮤신의 발현 등을 통하여 발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감국은 6~10월경에 개화해 황색의 꽃잎을 띄며 항염, 항산화 등에 효과가 있다. 이러한 감국 추출물이 in vitro에서 항산화, 항염, MUC5AC 유전자 발현 저해를 통해 감국 추출물의 염증성 호흡기 질환 개선 소재로의 유효성 평가 및 기능성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감국의 활성 성분을 확인하기 위해 HPLC를 사용하였으며, 항산화를 평가하기 위해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항염증 검증을 위해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감국 추출물의 세포에 대한 독성을 평가한 결과, 감국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LPS로 유도한 RAW 264.7 세포에서 감국 추출물은 iNOS, COX-2, TNF-α 등 항염증 관련 단백질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감국 추출물의 세포내 항염증 신호전달 경로는 NF-κB 경로 및 MAPK의 활성화를 저해시켜 염증 관련 단백질이 감소하는 것을 밝혔다. 세포 내 항산화 신호전달 경로를 확인하기 위해 Nrf2/HO-1의 발현을 확인하였으며, Nrf2가 핵으로 이동함에 따라 HO-1의 발현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감국이 세포 내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감국이 점액 분비 유전자인 MUC5AC 유전자 발현 조절 효능을 밝히고자 A549 세포에서 RT-PCR을 이용하여 MUC5AC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감국 추출물은 저농도에서도 PMA에 의해 유발된 MUC5AC의 발현을 현저히 감소시켰으며, MUC5AC가 p38 인산화 억제 경로를 통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 의해 국화과 식물인 감국이 항산화, 항염증, MUC5AC 조절에 효과가 있음을 In vitro 실험에 의하여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감국의 염증성 호흡기 질환에 대한 기능성 신규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청소년의 여가활동과 여가만족와의관계

        최지혜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여가활동과 여가만족도와의 관계를 규명하여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여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현재 우리나라 청소년의 여가실태를 조사하여 확인하며, 청소년들이 바람작하고 유용한 여가활동을 하는데 있어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합리적인 청소년 여가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여 청소년의 바람직한 여가문화를 조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07년 현재 충청 지역의 C시에 소재하고 있는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군집추출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따라서 총 400부의 설문지 자료를 회수한 후 응답 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 21부를 분석 대상에서 제외시키고 분석 가능한 자료 379부를 SPSS 12.0을 사용하여 구체적인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는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과 여가만족도 1)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심리적, 환경적, 생리적, 사회적, 휴식적 만족도 요인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청소년의 학과계열에 따라 생리적, 교육적, 사회적 만족도 요인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청소년의 학년에 따라 교육적, 휴식적 만족도 요인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청소년의 종교에 따라 심리적, 생리적, 교육적, 사회적 만족도 요인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청소년의 참여특성과 여가만족도 1) 청소년의 참여기간에 따라 심리적, 환경적, 생리적, 교육적, 사회적, 휴식적 만족도 요인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청소년의 참여빈도에 따라 여가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청소년의 참여강도에 따라 여가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청소년의 여가비용에 따라 심리적, 사회적 만족도 요인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청소년의 여가활동유형과 여가만족도 (1) 청소년의 놀이·오락 활동유형은 심리적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청소년의 관람·감상, 놀이·오락, 취미·교양 활동유형은 환경적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청소년의 관람·감상, 놀이·오락, 스포츠 활동유형은 생리적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청소년의 관람·감상, 놀이·오락, 스포츠 활동유형은 교육적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청소년의 놀이·오락, 스포츠, 휴식 활동유형은 사회적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청소년의 관람·감상, 스포츠, 휴식 활동유형은 휴식적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