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감정노동자의 감정부조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금융종사자를 중심으로

        최지형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감정노동자가 경험한 감정부조화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감정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를 위한 상담 및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J와 K 지역에 근무하는 금융 종사자 2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자료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4년 3월 1일부터 3월 10일까지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Pearson 상관분석, 단순 및 중다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의 방식으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노동자가 경험하는 감정부조화와 직무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노동자의 감정부조화와 자아탄력성의 상관관계에서는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 또한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노동자의 감정부조화가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감정노동자가 경험하는 감정부조화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았다. 감정노동자의 감정부조화가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은 낮았으며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았다. 셋째, 감정노동자의 감정부조화,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을 중다회귀 분석한 결과, 자아탄력성은 감정노동자의 감정부조화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다. 자아탄력성의 하위 요인인 자신감, 대인관계 효율성, 낙관적 태도, 분노조절은 감정부조화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감정노동자의 감정부조화,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에 대한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개인의 내적요인인 자아탄력성이 부분매개 한다는 것을 밝혔다. 자아탄력성은 감정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를 이해함에 있어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심리·정서적으로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직무스트레스변인과 관련된 후속연구와 감정노동자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상담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녹차 건분이나 항산화 비타민 보충이 연령이 다른 흰 쥐의 부위별 뇌조직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최지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녹차는 예로부터 널리 음용되어 온 차로서 최근 항산화 기능이 알려지면서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녹차의 항산화 기능을 담당하는 성분은 polyphenol로 알려져 있고, 이 외에도 녹차는 비타민 A, C, E 등의 항산화 기능을 가진 비타민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뇌의 산화적 손상을 예방해 줄 수 있는 물질로 대두되고 있다. 본 실험의 목적은 녹차와 녹차에 함유된 항산화 비타민의 항산화능 증진 효과를 알아보고, 항산화능 효과가 연령이나 뇌 부위별 조직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을 위해 9개월령과 12개월령의 Sprague-Dawley종 수컷 흰 쥐를 3% 녹차 건분 식이, 3% 녹차 건분에 함유된 수준으로 항산화 비타민을 보충한 식이, 대조 식이로 3주간 사육한 후 급성으로 알코올을 투여하고 뇌조직의 malondialdehyde (MDA)의 함량과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 (SOD), glutathione peroxidase (GSH-Px)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 결과 녹차 건분이나 항산화 비타민 보충은 cortex와 striatum의 MDA 함량을 감소시키고 GSH-Px 효소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녹차 식이군과 항산화 비타민군 사이에는 MDA 함량과 항산화 효소 활성에 있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과산화지질 함량이나 항산화 효소활성은 연령이나 뇌 부위별 조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변화를 보면, 모든 뇌 부위별 조직의 MDA 함량은 12개월령 쥐가 9개월령 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 cerebellum을 제외한 모든 조직의 SOD와 catalase 활성은 연령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GSH-Px 활성은 12개월령 쥐가 9개월령 쥐에 비해 낮았는데, 특히 cerebellum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뇌 부위별 조직에 따른 차이를 보면, MDA 함량은 cerebellum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SOD를 제외한 항산화 효소활성 역시 cerebellum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 뇌의 부위별 조직 중 알코올 투여에 의해 가장 영향을 받은 조직은 hippocampus였다. 알코을 투여는 hippocampus에서 9개월령 쥐의 MDA 함량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고, 12개월령 쥐의 catalase활성을 감소시켰다. 본 실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녹차 건분의 공급이 뇌의 지질 산화를 감소시키고 항산화 효소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녹차의 항산화 효과는 항산화 비타민을 보충한 군의 항산화 효과와 차이가 없었다. 아울러 연령과 뇌 부위에 따라 과산화지질 함량이나 항산화 효소 활성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een tea or antioxidant vitamins on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nt enzyme system in various regions of rat brain aged 9 and 12 month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ised on the experimental diets; 3% green tea powder diet, antioxidant vitamins diet containing the same vitamin A, C, E in the level same as in the 3% green tea powder diet(β-carotene100㎍/g, vitamin C 1mg/g, vitamin E 100㎍/g) and control diet for 3 weeks. We measured concentrations of malondialdehyde (MDA) and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e(GSH-Px) in various brain regions such as cortex, cerebellum, striatum, and hippocampus. Green tea powder or antioxidant vitamin supplemented diet decereased MDA concentrations and increased GSH-Px activities in the cortex and striatum. Green tea powder or antioxidant vitamin supplemented decreased significantly MDA concentration in cortex and striatum.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bserved antioxidant effects above between the green tea powder and antioxidant vitamin die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MDA concentrations and GSH-Px activities in all regions of rat brain and also SOD and catalase activity in cerebellum between 9 month- and 12 month-old rats. The sensitivity of specific brain regions in reaction to oxidative stress or diet is a variability in lipid peroxdation and antioxdant system activity. MDA concentration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except SOD were the highest in cerebellum. SOD activity was the highest in cerebellum at 9 month old group, but in hippocampus at 12 months old group. Ethanol administration was found to influence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dant enzyme activities variously among the brain regions. A significant increases in MDA concentrations and decreases in catalase activities were found in the hippocampus and our result suggests that hippocampus might be more susceptible to ethanol-induced oxidative stress compared to other brain regions. In conclusion, green tea powder can have protective effects against ethanol induced oxidative stress on various regions of rat brain and the effects of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nt system are different by age. In inhibiting lipid peroxid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een tea powder and antioxidant vitamin.

      • 미용 고등학교 학생들의 사교육 경험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에 대한 연구

        최지형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용 고등학교 학생들의 사교육 경험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 성취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자의 성별, 학교 급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 성취도, 성적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 성취 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미용고등학교 2, 3학년 재학생 150명(남 26명, 여 1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설문지를 통해 얻어진 자료는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Alpha),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sample t-test) 및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Scheffe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교육의 참여 유무를 현재 사교육을 받고 있는 경우, 과거에 사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지만 현재는 받고 있지 않은 경우, 사교육을 한 번도 받은 적이 없는 경우 세 가지 방법으로 분류하여 조사한 결과 150명 중 사교육을 현재 받고 있지 않지만, 한 번이라도 사교육을 경험한 학생과 현재 받고 있는 학생이 전체 107명(71.3%)으로 사교육 참여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으며, 특히 이 중 헤어과목이 68명(33.5%)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둘째, 성별에 따라 사교육 경험 영역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성별에 따른 사교육 경험에 따른 자기효능감, 사교육 경험에 따른 학업성취도, 사교육의 학업성적 영향정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년에 따라 사교육 경험 영역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한 분석 결과, 학년에 따른 사교육 경험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2학년(m=3.69)이 3학년이(m=0.40)보다 사교육 경험에 따른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사교육 경험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 또한 2학년(m=4.25)이 3학년(m=3.52)보다 사교육 경험에 따른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에 따른 사교육의 학업성적 영향정도의 차이도 2학년(m=4.35)이 3학년(m=4.09)보다 사교육의 학업성적 영향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적에 따라 사교육 경험 영역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분석 결과는 성적별로 사교육 경험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에 따른 사교육 경험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와 성적별로 사교육의 학업성적 영향정도의 차이 또한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를 통해서 미용 고등학교 학생들이 사교육을 받은 학습자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가 사교육을 경험하지 않은 학습자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우리의 공교육이 사교육보다는 좀 더 접근해 있으며 공교육과 사교육은 상호보완적 관계 속에서 발전하여야 한다. 학교는 공교육기관으로서 수행할 역할과 기능을 다하고, 사교육은 공교육의 보완에 주력하면서 학교 교육이 미치지 못하는 부문에 자기영역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학교는 학생들이 다닐 수 있는 즐겁고 유익한 곳이어야 한다. 따라서 공교육과 사교육은 상호보완적 관계 속에서 발전하여야 한다.

      • 이종망간 끊김없는 핸드오버 제공을 위한 MIH 기반의 이동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최지형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들어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가 우리의 생활로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고, 기차나 버스 등과 같은 운송 수단을 통한 이동 중에도 휴대폰과 같은 단말을 통해 실시간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도 많아졌다. 이동 중에도 끊김없는 서비스를 받기 위한 사람들의 요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고, 현재 여러 표준 단체, 업체, 대학 등에서도 이동성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성을 지원해주는 프로토콜로는 크게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Mobile IP, 네트워크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NEMO 기본 지원 프로토콜 등이 있다. NEMO는 Mobile IP의 확장 개념으로 이동 네트워크의 이동 라우터의 하부에 속해 있는 모든 단말들에게 이동성을 보장해준다. 하지만 NEMO는 핸드오버 시 발생하는 지연 시간이 크기 때문에 Vo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에는 부적합하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NEMO와 FMIPv6를 결합시켜 이동 네트워크의 빠른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FNEMO가 중국과 일본의 대학교에서 연구되었다. FNEMO는 FMIPv6의 특징을 살려 2계층 핸드오버와 3계층 핸드오버가 거의 동시에 일어나게 함으로써 발생하는 지연을 감소시켰다. 그리고 현재 다양한 망들이 우리 생활에 자리 잡고 있으며, 대표적인 망으로는 무선랜, 3G HSDPA, 와이브로 등이 있다. 머지않은 미래에는 이러한 망들 간의 연동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현재 각각의 망은 서로 다른 시그널링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QoS 보장 수준도 다르며, 인증, 과금 체계도 서로 다르다. 이러한 이종망간의 상호연동을 위한 프로토콜로는 MIH 프로토콜이 있다. MIH는 IEEE 802.21 워킹 그룹에서 2008년 11월 최종 규격으로 승인되었으며, IEEE 802 계열의 무선랜, 유선랜, 와이브로 뿐만 아니라 3GPP/3GPP2 무선 데이터 망 등 여러 이기종 유․무선망간의 핸드오버를 지원한다. 그리고 링크계층 정보와 연관 네트워크 정보를 상위계층에 제공하여 이종망간 핸드오버 최적화를 가능하게 한다. 본 논문은 국내/외 이동성 관련 표준화 현황을 파악하고, 기존의 몇 가지 핸드오버 관련 기술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이종망간 핸드오버 지원을 위한 필수 프로토콜인 MIH와 이동 네트워크의 빠른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FNEMO를 연동하는 실험을 한다.

      • 1920年代 一人稱 小說 硏究

        최지형 全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85 국내석사

        RANK : 247631

        本 硏究는 1920年代가 小說史的으로 보아 새로운 文學理論의 導入 形成期로 小說의 類型 確立에 많은 시도가 있어 왔으며, 갈등과 動搖를 겪었다는 전제 아래 1920年代의 一人稱 小說을 考察한 것이다. 따라서, 1920年代에 一人稱 小說이 頻繁하게 등장했던 要因과 特徵을 分析하고 視點理論에 비추어 당시 小說의 技巧的 技法과 構造를 理解하며 나아가 韓國文學의 새로운 理解를 돕는데 그 目的이 있다. 먼저, 一人稱 小說의 定義를 "小說에 있어서 이야기 全體의 話者가 「나」인 모든 作品"이라 내려 보았다. 그 類型으로는 「나」가 主人公으로 등장하는 '一人稱 主人公 視點', '「나」가 事件의 觀察者 乃至 附隨的 人物 인 '一人稱 副人物 視點', 「나」가 단순한 報告者에 머무는 '一人稱 客觀的 視點'의 셋으로 설정하였다. 이같은 基本 理論을 바탕으로 하여, 1920年代에 一人稱 小說이 많은 분량을 차지하게 된 그 登場要因을 밝혀 본 結果, 1) 日本 自然主義계 私小說의 告白要素나 生活 體驗期 및 社會性의 상실이라는 體驗이 일제 치하의 우리 現實과 비슷하였고, 1920年代 上半期의 젊은 作家들이 日本 留學을 다녀 왔으며, 그 當時 日本 文學의 最高 典型을 이룬 것이 私小說이라는 점을 들어, 日本 私小說의 影鄕을 받은 것으로 본다. 2) 1920年代 時代狀況으로 보아, 作家들이 歷史, 社會的 條件을 넓게 觀察할만한 知識을 가지지 못한 까닭으로 作中人物에 對한 歷史性 내지 철저한 社會性의 缺如에서 起因한 것으로 본다. 3) 日本을 通해서 들어온 西歐의 一人稱 小說이 直接 間接으로 번역되어 소개되었으므로 서구 문학의 影響을 받은 것이다. 이들의 類型을 살펴 보면, 主人公 視點의 경우 主人公의 內面心理 措寫에 치중하고 있으며, 心理措寫를 할 경우는 지나치게 영탄조에 흐른다는 特徵을 들 수 있다. 副人物 視點의 경우는 話者 「나」에 투영된 作家의 모습이 比較的 客觀化되고 劇化되어 있음을 보여 주며, 一人稱 客觀的 視點의 경우는 흔히 額字小說의 形態를 지니고 있는데 이는 三人稱 小說로 定着하기 爲한 過渡期的 形態로 보여진다. 그러나, 이 같은 類型을 단순한 틀에 박은채 把握하기 어려운 作品이 많으므로 視點의 類型理論은 그 단순화가 경계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特色을 바탕으로 하여 1920年代 一人稱 小說의 問題點을 살펴보면, 1) 話者 「나」에 作家가 지나치게 투영되어 있어서 「나」의 客觀化가 부족하다는 것. 2) 視點 使用에 一貫性이 결여되어 있다는 것. 3) 서투른 話者의 방식을 採擇하였다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1920年代 一人稱 小說이 이 같은 短點을 保有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小說史的으로 보아 그 價値와 意義를 認定할 수 있다. 1) 表現上 效果를 거두기 위해 당대의 作家들이 小說理論에 입각하여 새로운 技法을 시도하려 하였다. 2) 主人公 視點의 경우 作家의 視野가 넓어졌을 때 製作된 「答刑」, 「어즈러움」같은 作品은 現代 心理 小說에 못지 않게 人間의 心理가 냉철하게 그려졌다. 3) 이같은 小說들이 1930年代 李箱의 「날개」, 金裕貞의 「봄봄」, 朱耀燮의 「사랑 손님과 어머니」 같은 一人稱 小說을 낳게 되는 디딤돌이 되었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This is the study of 1920's first-person novel. On the assumption that they had tried to establish the type of novels, and experienced many conflicts, because 1920's was the period of introduction and formation of the new literary theory. So, I'm going to help you understand the technique and the plot of the novels in those days. Considering the factors and character of the appearance of many first-person novels in 1920's, we can understand the Korean literature from a new viewpoint. First, we can give a definition of the first-person novel 'all the novels whose narrator is 'I', In its patterns, there are 'first-person major character point-of-view' whose here is 'I', 'first-person minor character point-of-view', in which 'I' am the observer or peripheral character of the action, and 'first objective person point-of-view', in which 'I' am but a reporter. On the basis of this theory, I have studied the factors occupying the bulk of 1920's first-person novel. 1. 1920's first-person novel has been influenced by Japanese Ich-Roman, for Japanese naturalistic Ich-Roman bears a resemblance to the realities of the Korean life under the control of Japan. The confessioned elements, the story of personal experiences and the loss of social nature are the same kind of types. Besides, the young authors went to Japan to study abroad in the first-half of the 1920's, so Ich-Roman became the model of the Japanese literature in those days. 2. It was due to the lack of historical and social nature of the characters in the novel, because the authors didn't have enough knowledgement to observe the social situation widely. 3. It was influenced by European literature, for the European first-person novels were introduced, being translated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Japan. Now, let's study of the features of each pattern. In the 'first-person major character point of view', It deals with the outside action rather than the hero's inner mind. Though in the case of dealing with the mind, it has exceedly admiral rhythm. In the 'minor character point-of-view' the author reflected in 'l' is comparatively objectificated and dramatized. And in the 'first objective person point-of-view' it often has the form of Rahmennorelle. Maybe the form is the transitional one of entering through the third-person novel. However, we must be careful lest point-of-view patterns should be much too simplified, because there are many stereotyped writings which are difficult to understand. Here are the problems in 1920's first-person novel on the basis of those characters as above; 1. We feel something miss about the objectification of narrator 'I' 2. There is the lack of consistency in the use of point-of-view, 3. The method of narrator is clumsy. In spite of such demerits of 1920's first-person novel, it has the value and significance in the novel's history; 1. The authors in those days tried to use the new method to obtain the desired result in the expression of the novel on the ground of the theory, of the fiction. 2. In the first-person major character, the books like 「Taehyeo」 「Eocheureoum」, which were written when the author's range of vision became wide, in which they described human's mind cool-headedly. 3. I'm sure 1920's first-person-novel was the steep-stones of first-person-novel in 1930's, for example Lee Sang's 「Nalgae」, Kim Yu-Cheong's 「Bom Bom」and Chu Yo-Seob's 「Sararg Sonnim gua Eomeoni」

      • The New Type of PPP Approach for Solving Air Pollution in Mongolia

        최지형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seems hard to take out private sectors’ participation and commitment for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in development assistance program. This is because environmental issues include externality, and thus, it does not guarantee any interests which private sectors would consider involving in partnership to solve environmental issues. Therefore, it is hard to solve environment problems by the method of existing PPP (Public-Private Partnership) (hereafter referred as PPP). Given this challenge,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innovative PPP approach to solve environmental issues. Specifically, the paper provides a critical assessment of ‘G-saver’ case which is a ‘social enterprise model’ that has been a partnership among civil society organization (Good Neighbors), University (KAIST) and public organization (KOICA) to solve air pollution in Mongolia. This study focuses on how incentive mechanism effectively worked in each players of G-saver case and how it could further foster innovative PPP. Based on case analysis, the paper goes on to suggest new type of PPP approach in dealing with global social problem which includes externality such as environment problem. 본 연구는 성공적인 KOICA의 민관협력 사례 중 하나인 몽골의 G-saver 사례 분석을 통하여 어떻게 인센티브 메커니즘이 적용되어 G-saver 민관협력에 참여한 민간 부문에게 이익을 보장하였고, 이로 인해 민간 부문이 몽골의 대기오염 문제 해결에 참여하고 기여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외부효과 이론과 연결하여, 민간 부문이 환경오염 문제와 같은 부정적인 외부효과를 내부화 할 수 있는 혁신적인 방법은 무엇일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결론을 이끌어 냈다. 이해관계자 분석을 통하여 G-saver 프로젝트에 참여한 모든 참여자의 이익이 보장되었고, 참여자들은 자신의 강점으로 프로젝트에 기여하는 한편, 다른 참여자의 강점으로 인해 프로젝트 전반에 미친 위협 및 위기를 극복할 수 있어 프로젝트의 지속성과 효율성을 높였음이 밝혀졌다. 이로써 몽골의 대기오염 해결을 위한 G-saver 사례는 다양한 참여자의 참여를 가져온 DAK프로젝트로서, Good Neighbors, Atrium, KAIST, Good Sharing과 같은 민간 부문의 이익을 보장함으로써, 민간부문의 참여 및 기여를 이끌어냈고, 이는 몽골의 대기오염이라는 부정적인 외부효과를 내부화하는데 드는 거래비용을 최소화시켰다는 점에서 혁신적이고 성공적임이 드러났다. 본 연구가 환경 오염 문제와 같은 부정적 외부효과가 있는 국제적인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의 민관협력 방식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것을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