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포트폴리오 적용 사회과 수업이 학업 성취도와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6학년 1학기 역사영역을 중심으로

        최종훈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사회과 6학년 역사영역의 단원으로 포트폴리오 수업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학습 태도 및 포트폴리오 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전라북도 고창군 G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포트폴리오 적용 수업을 받는 학습 집단과 강의식 수업을 받는 학습 집단으로 각각 구성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학업 성취도 및 학습 태도의 효과를 비교하여 보았다. 실험집단에는 포트폴리오 인식 검사를 실시하여 포트폴리오 적용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비교를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 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고, 사전, 사후 검사지의 분석 방법은 학업성취도와 학습 태도에 공변량 분석(ANCOVA)을, 포트폴리오 인식 검사에 일원변량 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역사영역인 6학년 1학기 단원에 대한 포트폴리오 수업을 적용한 결과, 실험집단의 평균 점수가 통제집단의 평균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고,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또한 포트폴리오 적용 수업을 받는 실험집단이 강의식 수업을 받는 통제집단보다 학업 성취도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포트폴리오 적용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이 강의식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보다 학업 성취도 검사에서 보다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습 태도 검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포트폴리오 적용 수업이 강의식 수업보다 사회과 역사영역에 대한 학습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생들은 포트폴리오 적용 수업이 실시된 후에 포트폴리오 수업에 대한 인식에 있어 수업 태도면이나 수업 효과면에서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특히 상위 집단일수록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포트폴리오 적용 수업 집단은 학업 성취도 면에서 강의식 수업을 받은 집단보다 효과적이었고, 하위 집단보다는 상·중위 집단에서 포트폴리오 적용 수업이 더욱 효과적이었다. 포트폴리오 적용 수업은 학습 태도 면에서 강의식 수업보다 흥미나 성취 동기 등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포트폴리오 인식 검사에서도 포트폴리오 적용 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일반화하기에는 몇 가지 제한점이 있지만 사회과 역사영역에서 교수·학습과 평가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포트폴리오 적용 수업은 학업 성취도를 높이고 사회과에 대한 학습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더 나은 효과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수업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교실에서 사회과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긍정적인 발전을 위해 포트폴리오 적용 수업 방법이 더욱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pply portfolio-based class to the history part of social studies in the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examined its effect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 and students’ perception of portfolio-based cla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wo 6th-grade classes at G Elementary School in Gochang, Jeollabuk-do.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having portfolio-based classes and a control group having traditional classes. A pretest and a posttest were performed in order to compare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 took a portfolio perception test, which was about the students’ perception of portfolio-based class. In comparis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using SPSS. In addition, ANCOVA was performed to analyze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 in the results of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and one-way ANOVA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portfolio perception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applying portfolio-based class to the 6th-grade 1st-semester unit of the history part of social studies, the mean score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portfolio-based class had a very positive effect.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portfolio-based clas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from the control group who had traditional class. This suggests that portfolio-based class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an traditional class.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attitud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is shows that portfolio-based class has a higher positive effect on change in learning attitude toward the history part of social studies than traditional class. Third, after having portfolio-based class, the students showed a very positive response to portfolio-based class in terms of class attitude and class effect. The positive effect was particularly high in the high group. In conclusion, the portfolio-based class group show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traditional class group, and the effect of portfolio-based class was higher in the high and middle groups than in the low group. Portfolio-based class had a higher positive effect than traditional class in terms of learning attitude, in particular, interest and achievement motive. Accordingly, although this study has a number of limitations in generalization, its results suggest that in the history part of social studies portfolio-based class, which performs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simultaneously, enhances academic achievement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learning attitude toward social studies and consequently draws out a more effect of learning. In the future, portfolio-based class methods need to be expanded further for the positive development of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social studies class.

      • 센서 노드의 데이터 병합을 통한 LEACH 프로토콜의 에너지 효율 향상 방안

        최종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LEACH (Low Energy Adaptive Clustering Hierarchy) has been proposed as a routing protocol with a hierarchical structure in order to achieve the energy efficiency that is of primary importance in the wireless sensor networks. A wireless sensor network adopting LEACH is composed of a few clusters, each of which consists of member nodes that sense the data, and head nodes that deliver the collected data from sensor nodes to a sink node that is connected to a backbone network. Although LEACH benefits in energy saving by aggregating the collected data, this process is carried out only by head nodes, thus eliminating the additional potential energy saving that might be attained by the sensor nodes. This motivates our work, in which each sensor node is allowed to aggregate the sensed data to the extent of meeting the tradeoff between attaining energy savings and losing the delay performance of delivering data from sensor nodes to a sink node that would be inevitable when exploiting the data aggregation. By using the ns-2 simulator,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in comparison with the original LEACH.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give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original one in terms of the number of outliving nodes and the amount of energy consumed over the network as time evolves. LEACH (Low Energy Adaptive Clustering Hierarchy)는 효과적인 클러스터 구성과 데이터 병합 등을 사용하여 최소한의 에너지 소비를 목표로 제안된 대표적인 계층 기반 구조를 갖는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LEACH는 하나의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클러스터로 구성하고, 각 클러스터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멤버 노드와 각 멤버 노드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모아 데이터 병합 기법을 이용하여 싱크 노드로 전송하는 헤드 노드로 구성된다. LEACH에서는 클러스터 내에서 헤드 노드만 데이터 병합 기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최대 네트워크 수명을 보장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수명과 데이터 지연의 trade-off 관계를 고려하여 클러스터의 평균 에너지 량에 따라 각 멤버 노드에서의 데이터 병합 여부를 결정하고 수행함으로써 전체 네트워크 수명을 연장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NS-2 시뮬레이터 기반의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 방식의 성능을 확인한 결과, 기존 LEACH 방식보다 제안 방식이 전체 생존 노드 수 및 전체 에너지 사용량 면에서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讓渡所得稅가 住宅價格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 2002년 住宅 讓渡所得稅 强化政策을 中心으로

        최종훈 漢城大學校 不動産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pital gain tax effects on the housing price. This study proceeds as below; Firstly, what is the meaning and general economic effect of capital gain tax? Secondly, why Goverment's capital gain tax policy changed? Finally, Goverment's capital gain tax policy in 2002 actually have pulling down effect on housing price? I establised hypothesis about the economic effects of capital gain tax, and testified the hypothesis by structural change test method on the time series price of APT since 2000. The objects of analysis includes two APT cathegoris that divided between Seoul, Gwachun, five new towns in capital-area and expensive house. According the analysis, Goverment's real-estate policies including capital gain tax have little effects on housing price. It means, according to hypothesis, that pulling down effect of housing price by the Goverment's capital gain tax is latent yet because of the 'lock-in-effect'. In conclusion, the policy about capital gain tax must keep consistency and gain the confidence from the people, so the policy about capital gain tax must be carried on in perspectives and general rule. And the general rule must reduce the 'lock-in-effect'.

      • 운수회사 특별교통안전진단 효과에 관한 연구

        최종훈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동차 운수사업은 국민생활과 직결되며, 공익사업으로서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런 자동차 운수사업이 교통안전관리의 부실로 발생하는 교통사고로 인해 국민의 생명을 위협하거나 경제발전을 저해한다면 공익적 사업으로서의 기능이 퇴색될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는 경쟁력 향상 등을 도모하기 위해 운수회사의 규제를 완화하는 추세에 있고, 더불어 정부의 규제개혁 방칙에 따라 운수회사의 안전관리가 부실하게 될 우려가 높아지고 있어 타 사업에 비해 우선적인 정책 제안이 요구되고 있다. 사업용 자동차는 비사업용 자동차와 대비해 보면 높은 사고율을 보이고 있다. 이는 사업용 자동차의 주행거리가 많은데도 기인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요인은 운수회사의 구조적 결함으로 사고 위험이 내재되어 있다는데 보다 큰 원인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별교통안전진단을 통해 운수회사의 교통안전 관리 실태분석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교통사고는 운수회사와 운전자 그리고 도로환경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운수회사의 교육과 환경, 운전자의 습관, 도로의 안전시설 및 부대시설이 교통사고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운전자의 습관이 교통사고의 발생과 상관성이 높다고 밝혀진 바 있다. 이러한 운전자의 습관은 일정 부분 운수회사의 안전교육으로 사고를 줄일 수 있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안전교육은 법정교육의 형태로 되어 있어 변화없는 내용과 틀에 짜여진 교육방식으로 인해 운전자의 의욕을 저하시키고, 소극적인 교육 참여를 유발할 뿐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운전자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다양한 교육방법 및 컨텐츠 개발과 홍보가 있어야 하며,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전문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수이다. 또한 운수회사의 운전자 확보율을 높이고, 장시간 운행과 무리한 배차 등 열악한 근무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안이 모색 되어야 한다. 아울러 운수업계 종사자들의 자격요건 부합여부에 대한 관리 감독을 보다 강화하여, 부적격 운전자의 운수업계 진입이 억제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경영자의 교통안전에 대한 의식전환도 조성되어야 할 때이다. 사업용 자동차의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노력은 보다 거시적인 안목으로 운수회사에서 운전자 스스로가 안전의식을 가질 수 있는 풍토를 조성해야 하고, 운행기록분석 등을 통한 운전자 관리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 관계기관에서도 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과 엄중한 교통단속이 병행되어야 하며, 교통안전에 투자할 수 있는 재원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특별교통안전진단 제도가 본 연구의 분석에도 나왔듯이 교통사고 감소에 상당히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제도를 앞으로 발전 시키고 강화시키기 위해서 개선할 사항을 다음과 같이 제안할 수 있겠다. 첫째, 운수회사가 형식적이고 행정지향적인 수동적 자세에서 회사의 문제점을 진단하여 개선하는 계기로 받아들이고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진단의 필요성을 홍보해야 할 필요가 있다. 과거의 진단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타파시켜야 진단의 부실화를 방지시킬 수 있다. 진단제도가 과태료를 받아내기 위한 수단이 아닌 회사를 컨설팅 하는 개념으로 이해시키는 것이 시급하다 하겠다. 둘째, 진단보고서의 툴이 필요하다. 진단자의 업무량으로 보면 질적으로 우수한 보고서를 단시일 내에 만들어내기 어렵다. 또한 현재의 보고서는 운수회사에서 활용도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현재의 진단 프로세스를 토대로 실용성과 활용성을 동시에 만족시켜줄 수 있는 분석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셋째, 진단받는 운수회사에 필요한 전문분야를 선정하여 진단 실시자 외에 해당 분야 전문가가 참여하는 진단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진단 실시자는 회사의 전반적인 분야를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전문가는 회사에 처한 문제점을 보다 구체적이고 심층적으로 접근하여 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넷째, 진단회사의 사후관리 사업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관리지원시스템을 도입하여야 한다. 운수회사 교통안전진단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진단회사의 교통사고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교통사고 관리가 미흡한 점에 대해서는 전폭적인 안전 지원이 필요하다. 운수회사의 업종, 규모, 경영여건에 따라 안전관리의 현실적 한계가 있을 수 있으므로 회사의 안전 증진을 위한 맞춤형 요구를 파악한 후 지속적이고 구체적인 지원을 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 개방 권선 전동기의 공통모드 전압 제거를 위한 3상 HERIC 인버터 토폴로지 및 제어 알고리즘 연구

        최종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전자파 장해 및 절연 파괴를 유발하는 공통모드 전류와 베어링 전식 현상의 원인이 되는 축 전압 성분을 공통모드 등가 회로 관점에서 해석하고, 이러한 문제들의 근본적인 원인이 되는 공통모드 전압을 제거하는 인버터 토폴로지 및 제어 방법을 제시한다. 3상 교류 전동기 내부에 존재하는 기생 커패시터를 분석하여 공통모드 등가 회로를 구성하고, 인버터가 생성하는 공통모드 전압 변동에 의해 나타나는 공통모드 전류 및 축 전압을 분석하며, 이를 저감하기 위해 근본적으로 공통모드 전압을 0으로 제어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통모드 전압 제어의 자유도를 높이기 위해 3상 개방 권선 전동기를 대상 전동기로 삼고, 영상분과 공통모드를 통합한 등가 회로를 정의한다. 또한, 기존 영상분 전류 저감 제어 방법을 공통모드 전압 관점에서 분석하여 한계점을 제시한다. 영상분과 공통모드 전압을 동시에 저감하기 위해 3상 HERIC 인버터 구조를 제안하여 개방 권선 전동기 제어에 적용한다. 기존 영상분 전류 저감 제어 방법을 HERIC 인버터에서 구현하기 위한 PWM 방법을 제시한다. HERIC 인버터의 특성에 따른 비선형성 전압 왜곡을 분석하고, 전압 왜곡 보상 방법을 제안하여 영상분 전류 및 공통모드 전압 저감 효과를 달성한다. 마지막으로, 3상 HERIC 인버터 도입으로 인한 인버터 손실의 증감을 이중 3상 인버터와 비교하여 분석하고, 실험적으로 검증한다. In this study, a common-mode current that causes the EMI and insulation breakdown, and a shaft voltage that causes the bearing fault are analyzed. And, an inverter topology and a control method for eliminating the common-mode voltage that is a fundamental cause of them are presented. The parasitic capacitors inside the three-phase AC electric machine are analyzed to form a common-mode equivalent circuit. And it is analyzed that the common-mode current and shaft voltage caused by the common-mode voltage fluctuations. The need to fundamentally control the common mode voltage to zero, is raised. In order to increase the degree of freedom in the common-mode voltage control, a three-phase open winding motor is used as a target motor, and the equivalent circuit that integrates the zero-sequence and common-mode is defined. In addition, limit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mmon-mode voltage are presented by analyzing the existing zero-sequence current reduction control method. A three-phase HERIC inverter structure is proposed and applied to the control of the open-end winding machine to simultaneously reduce the zero-sequence and common mode voltage. A new PWM method is suggested for implementing the existing zero-sequence current reduction control method in the HERIC inverter. A nonlinear voltage distor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RIC inverter is analyzed and a compensation method is proposed to achieve the zero-sequence current and the common-mode voltage reduction. Finally, the increase of the inverter loss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three-phase HERIC inverter is analyzed by comparing it with a dual three-phase inverter and is verified experimentally.

      • 국공립대학교 학생생활관의 기록관리기준표 작성에 관한 연구 : M대학 학생생활관 사례를 중심으로

        최종훈 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우리나라의 기록관리는 10여년이라는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2006년 공공기간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의 개정 등의 괄목할 만큼의 성과를 이루어 냈다. 특히, 정부에서 효율적인 기록관리를 위하여 여러 방안들을 고안하였고 이를 법제화하는 등의 발전을 일구어냈다. 기록관리가 도입되기 이전의 시기보다 공공기관의 기록관리의 효율성과 기록관리를 밑바탕으로 하여 업무효율성은 제고되었다. 기록관리에서 기록물을 분류하는 방법에서도 기존에 활용되었던 기록물분류기준표를 대신하여 기록관리기준표가 도입되었다. 정부의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2009년부터 도입되어 운용중이며, 대학과 공공기관 등에서도 도입하여야 하는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공공기관의 기록관리는 기록물분류기준표에 의해 잘 이루어지고 있는가? 어떤 이유로 기록관리기준표가 도입되었을까?’ 라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다. 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현재 기록물분류기준표를 사용하고 있는 국공립대학교의 학생생활관, 한 곳을 선정하여 기록관리기준표를 직접 작성해 보는 것을 목표하였다. 먼저, 기록물분류기준표와 기록관리기준표가 어떠한 것인지를 비교․대조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기록물분류기준표의 구조 및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동시에 기록관리기준표가 도입되게 된 배경과 도입하였을 때의 성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두 번째로 선정한 대학의 학생생활관의 기록물분류실태와 기록관리기준표 작성을 위한 예비단계로서 업무분석에 관하여 논설하였다. 대학의 학생생활관의 특징과 업무에 대해 분석하여, 기관의 성격을 규명하였다. 이를 근간으로 하여 기록물분류기준표를 적용하고 있는 학생생활관의 기록물현황을 살펴보았고 기록물에 대한 분류 실태에 대하여 지적하였다. 문제의 해소를 위하여 여러 업무분석 방법론을 참고로 하여 새로운 업무분석방법론을 제시․적용하였다. 세 번째로 학생생활관의 업무분석을 통하여 기록관리기준표를 직접 작성해 봄으로써 국공립대학 학생생활관의 전범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단위과제 설정 시 유의사항과 보존기간 및 보존기간의 책정사유 등 기록관리기준표 작성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점검하였다. 다음으로 업무에 대하여 소기능과 단위과제를 설정하였고, 단위과제설명과 하위 기록물철을 선정하였다. 단위과제의 보존기간을 책정하였고 그에 따른 근거로서 책정사유를 작성하였다. 기록관리의 효율성과 동시에 업무효율성을 제고하며, 기록의 활용과 투명행정의 성과를 불러 올 수 있는 기록관리기준표는 조속히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기록관리기준표를 작성함으로써 국공립대학 학생생활관의 기록관리기준표 라는 통일되고 표준화된 기준을 제시한 점, 둘째, 기록관리기준표의 작성과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Abstract> The records management of Korea has accomplished a remarkable performance like new 2006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etc. in spite of its short history of about 10 years. Especially, Korean government has made several plans for the purpose of efficient records management and then developed it such as legislation and so on. So, the efficiency of records management at public institutions and their job efficiency based on records management has been improved more than before the introduction of records management. In the viewpoint of the way to classify records in records management, a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was induced instead of the existing Records Classification Scheme. The central departments and ministries of Korean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s has operated it since its introduction in 2009, and now is the time that universities and public institutions should induce it. This study was examined from the critical mind that 'is the records management of current public institutions operated according to a Records Classification Scheme?' and 'What is the reason that a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was induced?'. To clarify them, this study aimed at making directly a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by selecting one student dormitory of a national university which is currently using a Records Classification Scheme. Firstly, this study analyzed both a Records Classification Scheme and a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through the comparison and contrast and then examined the structure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Records Classification Scheme based on the analysis. At the same time, the background of the induction of a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and the performance after the induction was investigated. Second, this study editorialized the actual status of records classification at the student dormitory and a job analysis as a preliminary stage to make a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The characteristics of an institution was clarified by analyzing the features and jobs of a student dormitory. Based on these investigations and analysis, the current status of records that a student dormitory is applying a Records Classification Scheme was examined and the classification status of the records was pointed out. Also, this study suggested and applied a new work analysis methodology with reference to the existing several work analysis methodologies for the sake of resolution of a problem. Third, this study tried to suggest a standard model for student dormitories of national universities by making directly a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via the job analysis of a student dormitory. For this, requirements to make a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such as cautions in fixing a unit task, a preservation period and a reason to fix the preservation period and etc. were examined. Next, a function and a unit task were fixed, a unit task was explained and then a sub records folder was selected. In addition, the preservation period of a unit task was fixed and the reason was also mad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records management and job efficiency, a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which is able to cause application of records and the performance of transparent administration should be induced as soon as possibl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is respect that it suggests a united and standard model for student dormitories of national universities by making a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and the procedure to make it.

      • 희곡 교육이 청각장애 학생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최종훈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희곡 교육을 통해 청각장애 학생의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운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아래와 같다. 첫째, 희곡을 활용한 교육이 청각장애 학생의 사회성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본다. 둘째, 희곡을 활용한 교육이 청각장애 학생의 대인 관계 기술에 도움이 되는지 살펴본다. 셋째, 희곡을 활용한 교육이 청각장애 학생의 문장 이해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본다. 이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선정한 연구 대상은 보청기와 인공와우를 착용하였으나 주 언어로 수어를 사용하는 청각장애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교 1학년 청각장애 학생 6명으로, 2020년 5월부터 9월까지 주 1회 희곡 교육 활동을 12회기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청각장애로 인해 어휘학습 및 문장 표현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를 희곡 교육의 이미지화 및 극으로 표현해봄으로써 학생들에게 어휘 표현의 자신감과 사회성을 함께 발달시킬 수 있도록 진행하였으며, 사전, 사후에 각각 어휘력 검사와 사회성숙도 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희곡 교수 학습 자료와 교사의 관찰, 연극 공연 준비 학생들의 반응과 대답을 기록한 영상물, 학생들의 활동지 등의 결과물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희곡 교육이 청각장애 학생의 문장 이해력 및 사회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희곡 교육은 청각장애 학생의 시각적 문장이해 과정을 통해 문장 이해력 향상에 긍정적 효과를 보이고 결과적으로 문장의 전체적인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는 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희곡 작품 속 인물에 대해 사실적이고 추론적인 생각을 통해 대인 관계 기술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다. 셋째, 희곡 작품의 극화 작업 중 청각장애 학생의 맡은 배역과 대사는 학생의 수어 및 구화의 구사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었으며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결론적으로, 희곡 교육은 학생들에게 시각적 흥미를 제공하여 문장 이해력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는 것, 극화를 통해 다양한 반응과 언어 표현을 끌어냄으로써 표현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점, 그리고 이러한 언어 활동이 바탕이 되었을 때 청각장애 학생들의 사회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play education on the sociality of deaf students, and specific research problems established to achieve this goal are as follows. First, we look at whether the education using play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ocial improvement of deaf students. Second, we look at whether the training using plays helps the interpersonal skills of hearing-impaired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Third, we look at whether the training using play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sentence comprehension of deaf students. To verify this problem, six first-year hearing-impaired students in middle school who wore hearing aids and artificial wares but were attending a special hearing-impaired school that uses sign language as their main language were conducted 12 times a week from May to September 2020.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students were able to develop vocabulary expression confidence and sociality together by imaging and dramatically expressing problems with vocabulary learning and sentence expression due to hearing impairment. In addition, the results were analyzed, including materials for learning plays and teachers' observations, videos recording responses and answers from students preparing for theatrical performances, and activities of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drama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sentence comprehension and sociality of deaf students. Specifically, the following is a summary: First, play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entence comprehension through the visual sentence comprehension process of hearing-impaired students and consequently was effective in understanding the overall context and content of sentences. Second, it gave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interpersonal skills through realistic and reasoning thoughts on characters in plays. Third, the roles and lines of hearing-impaired students during the dramatization of the play helped students improve their ability to use sign language and spoken language, and positively affected their social skills. In conclusion, drama education helped students improve their comprehension of sentences by providing visual interest, positively influenced their expressiveness by drawing various reactions and language expressions through dramatization, and improved the social skills of hearing-impaired students based on these language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