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최정훈의『현악3중주를 위한 "내면(內面)"』의 분석

        최정훈 단국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79

        21세기를 시작하는 시점에서 수많은 젊은 작곡가들은 각자 자신의 ‘소리 찾기’에 노력하고 있다. 이는 앞선 시대의 선구자적인 역할을 한 작곡가들에서 비롯된 특정한 음악적 사조나 작곡기법에 편승하여 음악사적 유행을 만들었던 시대적 흐름과는 다른 것 이다. 이렇듯 이 시대는 작곡가들이 특정한 음악양식에 구속되지 않고 자신의 개성 있는 소리와 작곡기법을 추구하는 ‘다양성’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자신의 작품을 작곡자 스스로 분석하여 자신만의 작품 활동에 이론적 체계를 세워 가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기위해서 분석 되어졌다. 이 작품은 크게 나누어 Part I, Part II, Part III, Part IV의 네 부분으로 분류된다. 분석을 통해 얻어진 곡 전체의 내용을 작품의 형식과 구조, 화음 및 음정관계, 리듬, 음색 등으로 분류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형식 및 구조(Form and Structure) Part I은 주제 제시와 변형 및 발전에 의해 A - B부분으로 구분되고 PartII는 하모닉스, 하모닉스를 동반한 글리산도, 복합리듬 등 다양하고 효과적인 현악기 주법을 사용한 C - D - C′로 구성되었으며 Part III는 현악기의 특수주법에 의한 음향효과를 사용한 E부분으로 구분하여 독립적으로 사용되었고 Part IV는 Part I과 Part III가 반복· 변형된 부분으로 A′- E′- B′로 구분되어 있다. 2. 화음 및 음정(Chord and Interval) 이 작품은 반음이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주제선율의 진행과 복합화음, 단2도(장7도), 증4도(감5도) 음정관계에 의한 불협화음이 곡 전체에서 통일성 있게 나타나고 있다. 불협화음의 밀도는 작곡자의 의도에 따라 세 악기들의 음역별 음색 특징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화되며 나타나고 있다. 3. 리듬(Rhythm) 이 작품의 리듬요소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 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기대하며 쓰여 졌다. 각 악기들의 동일한 리듬진행에 의한 주제리듬의 강조효과, 엑센트 이동(shifting accent)에 의한 리듬의 대위법적인 효과, beamed accelerando 기법을 사용하여 리듬에 운동감을 실어주는 효과, tie에 의한 리듬진행으로 박절감을 모호하게 하여 긴장감을 유발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려 하였다. 4. 음색(Tone color) 현악기가 가지고 있는 음색의 특징 중 전통적인 기법에 의한 음색과 현대적인 특수주법에 의한 음색을 다양하게 조화시켜 작곡자의 음색에 대한 상상력을 표현하려 하였다. 이러한 음색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현악기 주법으로는 double stop, triple stop, pizzicato, handnail pizzicato, bartok pizzicato, glissando, 하모닉스를 동반한 glissando, trill, harmonics, tremolo, tremolo를 동반한 glissando, sul ponticello, consordino 등이 사용되었다. 이 작품의 분석은 자신의 작품을 제 3자의 입장에서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재평가함으로써 좀더 개성 있고 창의적인 소리를 찾을 수 있는 시도가 되었다. At the point of starting the 21st century, lots of young composers are concentrating on the creative activity to find their own sounds. This is a totally different phenomenon compare to the pre-composers who had an important role of pioneers and jumped on the bandwagon for some specific trend of music or the composition techniques. In this way, the composers of this time are not placed under specific forms of music and pursue the characteristic sounds and composition techniques, so they are living what is called, in an era of variety. In the topic of this thesis, 「 "Inner Mind" for String Trio」, I gave an expression to my will to be helpful theoretically to make the composers own characteristic sounds as they analysis their own works by themselves. This work is largely sorted to four parts, from Part I to Part IV. I sorted the whole content of music to a form and structure of the music, a chord and interval, a rhythm and tone color. And the contents are as follows. 1. Form and Structure Part I is divided into A - B by presenting an intention, transforming and developing and Part II is divided into C - D - C′ by variable and effective ways of a string instrument such as a glissando with harmonics and poly metric rhythm. Part III is divided into E and used independently and the last one, Part IV is the repetition of Part I and Part III and is divided into A′- E′- B′as the variation part. 2. Chord and Interval The chord and interval used in this music made the use of not only proceed the remarkable melody and compound chord by playing a semitone continuously and also the dissonant by minor 2nd interval (major 7th interval), and Augmented 4th interval (diminished 5th interval) systematically. The density of this sort of dissonant is being processed through a variable change as considering each tone color of three instruments by the intent of a composer. 3. Rhythm The character of the rhythm in this music can be divided largely into four and it is used to have an effect on those follows: First, the effect of emphasizing on the main rhythm by a simultaneous proceed of each instrument Second, the effect of rhythms counterpoint by shifting accent Third, the effect of expressing the sensation of movement by using the beamed accelerando technique Fourth, the effect of causing a tension by dividing the rhythm of tie and making the heartlessness obscurely 4. Tone color Of the characters that a string instrument has, I tried to express the composers imagination about the tone color by harmonizing variably the tone color by a traditional techniques and one by a modern and special way of playing. I used double stop, triple stop, pizzicato, handnail pizzicato, bartok pizzicato, glissando, glissando with harmonics, trill, harmonics, tremolo, glissando with tremolo, sul ponticello, consordino and so on as the way of a string playing to express this sort of tone colors effectiveness Through analyzing this music, I could evaluate my own music at a logical point of view as a third and also it was the opportunity to find more characteristic and creative sounds as I analyzed and reevaluated it theologically.

      • 시뮬레이터 복잡성에 따른 인적 수행도 차이에 대한 실험적 연구

        최정훈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확률론적안전성평가(Probablistic Safety Assessment)에서 인적요소로 인해 발생 가능한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예측하는 인간신뢰도분석(Human Reliability Analysis, HRA)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를 위해 타 산업에서의 데이터나 전문가의 판단 또는 훈련용 시뮬레이터 연구 등으로 인간신뢰도 데이터를 수집하여 인적오류 확률을 추정하려고 시도해왔다. 현재, HRA 분야에서의 중요 연구는 Full-Scope 시뮬레이터에서 실제 운전원의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INL에서 개발한 SHEEP을 기반으로 Full-scope 데이터 수집 연구를 지원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프로젝트의 일부이다. 벤치마크 실험에서 보다 단순화된 시뮬레이터(예: Rancor Microworld)와 복잡한 시뮬레이터(예: Compact Nuclear Simulator)를 사용할 때의 인적 수행도를 비교한다. 무작위 요인 실험 설계는 시뮬레이터 유형과 시나리오 유형 두 가지 독립 변수로 설정했다. 4가지 인적 수행도 즉, 1) 시간, 2) 오류, 3) 작업량, 4) 상황 인식을 측정하였다. 그런 다음 두 시뮬레이터에서 수행할 몇 가지 시나리오(정상/비상)와 관련 절차서를 개발했다. 실험에서 수집된 데이터는 분산 분석(ANOVA) 테스트 및 상관 분석과 같은 여러 통계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인적 수행도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단순화된 시뮬레이터와 학생 데이터를 기반으로 Full-scope 시뮬레이터 환경에서의 운전원의 인적 수행도를 유추하는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산업단지내 자원순환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연구 : 전남 동부지역 중심으로

        최정훈 목포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유럽의 선진국들은 환경ㆍ에너지ㆍ자원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1990년대부터 자원순환사회로 전환하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산업구조를 개편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광물자원의 90%, 에너지의 97%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매립되거나 단순 소각되는 폐기물 중에서 자원이나 에너지로 회수가능한 양이 5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국제 환경의 변화 속에서 우리나라도 자원순환사회로의 전환이 필수불가결한 상황임을 인식하고, 우선적으로 산업단지에서의 자원순환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생태산업단지의 조성을 통해 산업단지내에서 발생하는 부산물, 폐자원, 폐에너지 등을 다른 기업의 원료나 에너지원으로 재사용함으로써 자원효율성을 높이고 오염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하고자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로, 전남 동부지역의 2개 국가산업단지(여수, 광양)와 2개 일반산업단지(순천, 광양초남)에 입주한 101개 업체로부터 ‘자원순환 기초 조사’와 ‘폐기물 및 자원화 양 조사’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원자재는 고상(고체)이 68%이며, 주요 원료명은 고상은 가성소다/모래/목재/자갈/철판/골재/코일/시멘트 등, 기체는 /수소+메탄/이산화탄소 등, 액상(액체)은 폐유/염산/페인트 등으로 나타났다. 부산물은 고상이 76%, 액상이 16%, 기체가 8%이며, 주요 부산물명은 고상의 경우 철가루/톱밥 등, 기체는 가스/메탄. 액상은 연료유/폐유 등이었다. 일반 폐기물은 월평균 186톤 정도가 발생되고 있으며, 주요 일반 폐기물은 폐합성수지/생활폐기물/오니류/톱밥/포장재/광재/분진/폐목재류/폐수처리오니 등으로 나타났다. 지정폐기물은 월평균 80톤이 발생하며, 주요 지정 폐기물은 고상폐유/기름걸레/윤활유/공정오니/폐유기용제/폐유액상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원자재의 총 구매량은 월평균 64,951톤, 이 중 신자재 양은 월평균 56,927톤, 재활용재 양은 월평균 7,411톤으로, 원자재 중 재활용재의 비중은 13%에 불과하였다. 제조 후 발생한 폐기물을 재활용 시킨 양은 월평균 1,522톤이었으며, 자원화 비용은 월평균 83,841만원으로 나타났다. 부자재의 구매비용은 월평균 25,041만원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부자재명은 안료/안정제/염산/가성소다 등 이다. 부자재의 총 구매량은 월평균 19,702톤, 부자재 중 신자재를 사용하는 양은 월평균 19,701톤으로, 부자재는 거의 100% 신자재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생태산업단지 주관 하에 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이나 폐기물들을 재활용하는 기술을 적용하여 실제로 사업화 시키는 15가지 사례를 분석하여 재활용물질의 자원화에 따른 비용과 경제적 효과 및 환경적 효과를 측정하였다. 신규 투자비용은 약 628억원, 경제적 효과는 약 967억원, 환경적 효과는 부산물 저감이 381,250톤/년, 저감이 242,365톤/년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한 비용/편익 분석의 결과 순현재가치가 약 1,944억원이며 편익/비용 비율이 1.890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전남지역내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와 전남지역 이외의 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구하였다. 그 결과 전남지역내ㆍ외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는 약 1,300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257억원, 수입유발효과는 365억원, 취업유발효과는 283명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자원순환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실제 조사와 사업화된 재활용물질에 대한 분석을 통해 경제성 분석을 하였다. 그러나 조사 대상 업체의 답변 거절 등으로 비응답의 오차가 발생한 한계가 있다. 향후에는 하나의 산업단지를 넘어서 산업단지간에 자원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Developed countries in Europe has been converted into resource circulation society to get over the crisis of environment, energy and resource. They are also changing their industrial structur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urrently our country depends on imports for 90% of mineral resources and 97% of energy. The recollectable things from waste materials which are going to be thrown away into landfills or burned away amounts to 56%. Recognizing that the conversion towards resource circulation society is inevitable in the change of international environment, we are making lots of efforts for resource circulation in the industrial complex in the first place. Particularly in the making of an eco-industrial park, we are improving resourse-efficiency and minimizing the emission of pollutants by utilizing its fallouts, by-product, wasted resources and energy production from energy resources which are being produced in the industrial complex.  Firstly, this thesis analyzed the findings out of the followings : ‘the groundwork of resource circulation’ and ‘the research of quantity of wasted material and its recycling’ from 101 companies stationed in the two of national industrial complex and two general industrial complex of the eastern parts of Jeonnam province. In the case of raw materials, solid is 68% which is called  caustic soda/sand/lumber/pebbles/iron plate/coil and cement. Hydrogen/hydrogen+methane/carbon dioxide are in the form of gases. Waste oil/hydrochloric acid/paints are in the shape of liquid. By-products were produced 76% of solid, 16% of liquid and 8% of gases. Major by-products are metal shaving and sawdust in a solid, gas/methane in the gas, fuel oil/waste oil in a liquid. 186 tons of general waste material is averagely being produced in a month. Principal general waste materials are these : synthetic resins, necessity waste, sawdust, wrappings, fine dust, wood waste and so on. 80 tons of hazardous waste material has been produced in the forms of oilcloth, lubricant, oil waste and its container. Total amount of  monthly raw material purchase comes to 64,951ton among which new material is 56,927ton and reusable are 741 ton in a month. Reusable make up about 13 % out of it. The amount of recycling waste material which was arisen after manufacturing amounts to 1,522 ton which cost 838.41 million won. They paid 250.41 million won for the purchase of subsidiary materials such as pigments, stabilizer and hydrochloric acid. Their total purchase is 19,702 ton and the newly purchased items  accounts for most of it (19,701 ton).  Secondly, this thesis measured the cost accrued by recycling and the economical and environmental effectiveness through the followings : analysis of 15 cases which has proven to be successful in the start-up businesses by applying waste-material recycling technology which are being used in the industrial complex under the control of eco-industrial park. Newly investment expenses for it come to approximately 62,800 million won and the economic effectiveness by it comes to 96,700 million won. Environmental effectiveness emerged like these things : 381,250 tons of its by-products reduction and 242,365 tons of carbon dioxide reduction.   The consequence of its benefit/cost analysis are like these : net present value amounts to 194,400 million won and its benefit/cost ratio is 1,890. Economic spill-over effects with the use of inter-regional input output statistics in and out of Jeonnam province are like the followings : Production-inducing effectiveness which is affecting in and out of Jeonnam province is worth about 130,000 million won. Value added-inducing  effectiveness is around 25,700 million won,  imports-inducing effectiveness 36,500 million won and employment-inducing effectiveness is 283 people.  This thesis has focused on analyzing the economical efficiency through the actual research of industrial complex and play by play analysis of recycling material business in the aspect of resource circulation. However, this thesis has a limitation of difficulty of getting the response from the group of people such as a rejection of answering the questionaires on the study. In the future, I believe that the study on the possibility of resource circulation between inter-industrial complexes will be needed all the more beyond just one industrial complex.

      • 본인 작품에 나타난 이원론적 현상에 대한 연구

        최정훈 목원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1998년-2001년 사이에 제작되어진 본인의 작품과 작업방향을 중심으로 그 전개과정을 분석하고 그 동안 제작한 작품들의 표현 방법과 제작과정 그리고 앞으로의 작업방향을 연구한 것이다. 먼저 본인의 작품에서 나타내고자 했던 것은 인간의 체험을 통해 일어나는 여러 가지의 이원론 적인 현상의 표현이다. 그리하여 본인의 내면 안에서 존재하는 이중성을 파악하고 이것을 토대로 하여 음양의 이원론적 현상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체험 속에서 대립되는 양면성, 그 안의 내면적인 사고를 도출하여 일상적인 사물에 부합함으로써 의인화 내지 인체 변형적인 모습으로 나타내었다. 조형적으로는 두 개의 양립 적인 고리 안에 공존(共存)내지는 대립되어 있는 양면적인 사고를 통해 이원론적인 현상의 모습을 화면 안에 병치와 대비 등을 통해 전혀 다른 차원의 언어(본인이 만든 언어)로 전달하는 방법을 썼다. 눈에 보이고 존재하는 세계와 눈에는 보이지 않으나 분명하게 존재하는 세계-즉, 흑(黑) 과 백(白), 존재, 유(有)무(無), 음(陰)과 양(陽)이라는 이원론적인 현상에서 상반되는 듯하나 동일한 존재이기도 한 이러한 현상을 화면이라는 틀 안에서 형상화하고자하였다. 서론에서는 연구 목적과 연구방법의 범위를 밝히고 본론에서는 동양과 서양 철학에서 나타나는 이원론적 현상을 살펴보고 나의 작품과 비교하여 나타나는 공통점을 서술하였다. 끝으로 나의 작품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작업과정을 분석하였다. This thesis covers my own works painted from 1998 through 2001, dealing with the direction and process of painting them to point to my future orientation. What I intended to portray first and foremost in my landscapes was a variety of dualistic works occurring in human experiences. Grasping my inner duplicity, I tried to pursue my dualistic works of yin and yang. By finding the counterparts in everyday life of conflicting double-facedness in my life experience and the inner thinking in it I portrayed them through personification or deformation of human figures. Formatively speaking, by means of juxtaposition or contrast I tried to communicate the dualistic works of coexisting or conflicting duplex thinking independently existing in two rings in a totally different dimensional language of my own. Explicate Order (Visible world) and Implicate Order(invisible but palpably extant world), i. e, black and white, existence and non-existence, yin and yang, seemingly conflicting in dualistic works but identical things ... I tried to turn them into figuration in the framework of pictures. The introduction explains the object of this thesis and the range of research. The main discourse deals with the dualistic phenomena in Oriental and Occidental philosophies and my works' characteristics common to them. The conclusion concretely analyzes my works and the process of painting.

      • 세라믹 3D 프린팅용 Silicate 기반 고 유동성 복합분말 및 바인더 잉크 제조에 관한 연구

        최정훈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3D printing technology has introduced a new paradigm in manufacturing, in which the application and convergence of this technology are rapidly happening across the entire industry. In 3D printing, a digital object designed using a computer is created into a real object by stacking multiple layers at a certain thickness. This technology is being applied and converged in an array of industries, extending beyond its limits. Attempts for 3D printing in ceramic manufacturing are also continuously being made. However, unlike other materials, ceramics manufacturing processes require heat treatment in which organic matter that gets removed during the heat treatment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adopting the 3D printing technology. Due to this issue, ceramic products manufactured using 3D printing often exhibit lower density than products manufactured using traditional methods. Therefore, an optimization and a synthesis process of materials must be performed considering the sintering process as well as basic conditions required depending on the 3D printing types. In this work, we studied material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ing silicate ceramics having similar properties as products manufactured using traditional methods, by examining Binder Jetting type 3D printing that uses powder-type materials. To ensure the flowability of powders which is required for Binder Jetting type 3D printing, we replaced feldspar with glass beads in the basic composition of silicate ceramics, which includes clay, feldspar, and silica stone, as well as added fumed silica. We also added sodium silicate for of powders that meet the flowability requirement. For improving the density of ceramics manufactured by 3D printing technology, we a glass frit binder that could be used in the ink-jet printer head for molding. Glass frit binder was melted during the sintering process to fill the pores and facilitate liquefaction, thereby improving the density. The results showed that a high angle of repose (approximately 59°) was observed in the initial set of powders consisting of clay, feldspar, and silica stone. The replacement of feldspar with glass beads with an average grain size of 86㎛ and the addition of 3 wt% of fumed silica reduced the angle of repose to 49.5° and 45.8°,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molding hardness before the addition of sodium silicate was 0.105 MPa, whereas the specimen to which 4wt% of sodium silicate was added showed a molding hardness of 0.20 MPa, which is almost double of that observed before the addition of sodium silicate to the specimen. binder was determined after the heat treatment at 1300°C, which showed that the specimen manufactured using an existing liquid binder had a density of 2.16 g/㎤, which was lower compared to that of a specimen manufactured using a traditional method (having the density of 2.5 g/㎤). In contrast, the density after sintering of a specimen, where glass frit binder was used for molding, increased to 2.32 g/㎤. This value is 95% of the density of white porcelain (2.42 g/㎤) manufactured using a traditional method, proving that the limitation of low density observed in 3D printed ceramic objects is partially overcome. Through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silicate ceramics can be manufactured using Binder Jetting type 3D printing technology, and their physical properties are similar to those manufactured using traditional technolog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manufacturing processes of silicate ceramics.

      • 팬데믹, 그리고 한국교회의 대응과 성찰 : 코로나19와 교회사에 나타난 감염병 대응을 중심으로

        최정훈 일반대학원 신학과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코로나19 이후 한국교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관한 연구로, 코로나19가 한국 사회에 끼친 영향과 변화, 로마시대와 중세시대, 조선말 감염병이 교회와 사회에 가져온 변화들, 코로나19가 한국교회와 사회에 끼친 영향 등의 내용에 대해 다루었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에 대한 이해를 통해 코로나19 이후 한국교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네 가지로 제시해 보았다. 첫째로 초기 교회공동체의 감염병 대응의 모습을 통한 한국교회의 변화와 방향성 제시, 둘째로 중세 종교개혁자들의 관점에서 바라본 감염병과 이에 따른 새로운 방향성 제시, 셋째로 조선 후기 우리나라를 위해 헌신한 선교사들의 감염병에 대한 대처 모습을 통한 새로운 방향성 제시, 마지막 넷째로 현재 코로나19를 겪고 있는 한국교회가 이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통한 새로운 방향성 제시이다. 이 네 가지 관점을 통해 한국교회는 전 세계적 재난인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내가 속한 교회공동체만이 아니라 고통 속에서 가난을 경험하고 소외된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나가야만 할 것이다. 또한 개교회 중심의 한국교회가 교파를 초월한 모든 교회공동체 간의 연대를 통해서 현재 겪고 있는 위기를 극복해야함을 강조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코로나19를 한국교회의 위기로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 교회를 갱신하고 개혁을 이루는 소중한 기회로 삼으려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때이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은 교회사 연구를 통해 더 올바르고 확실한 해답을 찾을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논문이 한국교회가 겪고 있는 코로나19라는 위기의 상황 속에서 한 단계 더 성장해 나가기 위한 밑거름이 되기를 원한다.

      • 실시간 리눅스에서 효율적인 태스크 스케쥴링을 위한 프레임웍 설계 및 구현

        최정훈 수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리눅스는 POSIX.1b 표준의 일부 지원으로 연성 실시간 시스템을 지원한다. 현재 경성 실시간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해 리눅스를 확장한 여러 운영체제가 개발된 바 있지만, 다양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및 스케쥴러의 지원이 부족하다. 현재까지 실시간 리눅스를 위한 스케쥴러는 RMS와 EDF 두 가지의 스케쥴러가 별도로 구현되어 있다. 이 두 가지 스케쥴러 중에서 사용자가 각각의 스케쥴링 알고리즘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두 가지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실시간 시스템의 스케쥴링 가능성 검사의 미수행으로 종료시한 miss rate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현재 실시간 리눅스에서는 스케쥴 불가능한 태스크를 스케쥴함으로 시스템이 정지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현상은 경성 실시간 시스템에서는 매우 치명적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된 스케쥴링 가능성 검사를 통하여 RMS와 EDF 스케쥴링 방법의 특성에 맞게 적절한 스케쥴러를 사용함으로서 마감시간을 보장하고 또한 스케쥴이 불가능한 경우 태스크 스케쥴로 인해 발생되는 시스템 정지 현상을 제거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태스크 집합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개선된 스케쥴링 가능성 검사 알고리즘과 스케쥴러 선택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Linux supports part of POSIX.1b standard and can be used for the soft real-time systems. By now, there are several experimental extensions of the Linux for the hard real-time systems. But these lack the diversity of programming interfaces and the support for the scheduler. By now, Schedulers for RMS and EDF are implemented for RTLinux Scheduler. These Schedulers are used for do not consider there's characteristics. Missing Schedulability-test cause result that increase deadline miss rate. Also The present RTLinux causes system halt Because of scheduling for unschedulable tasks. These appearances are very fatal for real-time system. Therefor, In this paper, The peaceful schedulability-test use scheduler which is proper characteristics of RMS and EDF scheduling methods. This scheduler keeps deadline and eliminates system halt from scheduling unschedulable task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schedulability-test algorithm and scheduler select algorithm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tasks sets.

      • 조직의 커뮤니케이션 도구가 구성원의 커뮤니케이션, 갈등관리,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정훈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업 조직 구성원들의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도구가 구성원의 커뮤니케이션, 갈등관리, 의사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함으로서 커뮤니케이션 도구의 효율적 이용과 도구들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 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커뮤니케이션과 의사결정 갈등관리의 이론을 바탕으로 커뮤니케이션 도구의 선택과 이용 정도, 갈등관리와 의사결정에 관계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고찰했으며, 실증적 분석을 위하여 기업 조직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문제의 가설 검증을 위해 SPSSWIN Ver.17.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 빈도분석, 분산분석 등의 통계분석을 사용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조직 구성원들의 표본구성 빈도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도구 이용 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이메일은 대졸일 경우 가장 많이 이용하고, 직무분야가 사무직인 경우에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신저는 모집단의 특성인 성별, 연령, 최종학력, 근무경력, 회사규모, 직급, 직무분야에 따라 다르지 않고 고르게 사용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그룹웨어는 회사규모가 적을수록 사용하지 않거나 덜 사용하고, 1000명 이상의 회사에서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둘째,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면대면 대화와 이메일, 메신저 이용이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왔는데, 특히 면대면 대화, 이메일, 메신저의 사용이 많은 사람이 자신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높다고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커뮤니케이션 만족도는 많은 메신저의 이용이 커뮤니케이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결과가 나왔다. 특히 메신저는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부적합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넷째, 커뮤니케이션 도구의 이용정도가 갈등관리에 미치는 경향을 분석한 결과 면대면 대화, 전화, 메신저, 그룹웨어는 갈등간리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이메일의 이용은 갈등관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메일의 많은 사용은 갈등을 해결하는데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커뮤니케이션 도구의 이용정도가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한 결과, 메신저의 이용정도가 높을수록 의사결정과정에 정적인 영향이 아니라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난 것이 특징적이라 할 수 있다. 메신저의 사용이 효과적인 의사결정에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커뮤니케이션 도구에 대한 이용정도와 의사결정, 갈등관리에 관한 연구 결과, 조직 내에서 면대면 대화, 전화, 이메일, 그룹웨어 등은 공식적인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메신저는 공식적이 아닌 사적인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메신저의 의사소통의 범위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소리를 듣지 않고 구어체의 글로서 표현하기 때문에 오해가 생길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메신저의 사용이 의사결정에 좋지 않은 결론을 도출하게 되었다. 또한 이메일의 이용 정도가 높을수록 구성원의 갈등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ffects of In-Company Communication Media on the Employee's Communication, Conflict Management, and Decision Making.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reviewed Employee's Communication, Conflict Management, and Decision Making and thereupon, examined the preceding studies about employees' choices and uses of in-company communication media and thereby, surveyed the business employees for their uses of communication media, motives for using them and Employee's Communication, Conflict Management, and Decision Making.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the SPSS 17.0 program was used for such statistical analysis as frequency analysis, Cronbach's alpha, ANOVA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uses of communication media depending on demographic variables, it was found that E-mails was used much at the college graduates and at the white-collars. Groupwares were used much at large-scale companies with over 1000 employees. Second, it was disclosed that the more the employees used the face -to-face dialogue, e-mails and messengers, employees have more the communication ability. In addition, this finding may well suggest that it is required of future studies to research into uses of in-company communication media from not a media-determinism perspective but a user-centered perspective. Third, it was disclosed that the more the employees used messengers, employees have more the satisfaction of the communication. Fourth, it was disclosed that the more the employees used e-mail, the more helpful for employees to solve the problem regrading conflict managements. However, messengers have no influence on conflict managements. Fifth, it was disclosed that the more the employees used messengers, the more ineffective for employees to make a decision. It is the most characteristic feature that messengers have a bad influence on the communication, conflict management, and decision making.

      • 청정개발체제(Clean Development Mechanism)에 관한 연구

        최정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청정개발체제(Clean Development Mechanism; 이하 CDM)는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기후변화 예방과 저개발국의 지속가능한 성장 지원이라는 두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획기적인 기제로 자리매김했다. 다만, CDM의 경제적?환경적 측면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진 반면 법적?제도적 측면에 대한 연구는 다소 부족한 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은 CDM이라는 제도의 의 근거가 되는 교토의정서 및 후속 합의문을 검토하는 한편, 개별 CDM 사업의 성질을 확인한다. 연구에 따르면 CDM은 새로운 형식의 국제투자규범으로, 그리고 CDM 사업은 일종의 투자행위로 이해할 수 있다. 그렇다면 CDM 및 CDM 사업은 기존의 국제투자규범상 투자자보호조치, 특히 비차별원칙과 충돌할 가능성이 발생한다. 따라서 CDM 사업에서 생겨날 수 있는 분쟁의 양상을 정리하되, 내국민대우(national treatment)와 최혜국대우(most-favoured-nation)의 위반 가능성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CDM은 새로운 형식의 투자를 예정하는데, 아직 명확한 분쟁해결절차가 마련되지 못한 실정이다. 기존의 국제투자규범을 원용하는 것이 당장은 편리할 수 있겠지만, 기후변화협약 및 교토의정서의 취지를 감안한다면 새로운 분쟁해결절차를 설립하거나 CDM의 특성을 반영하여 미래의 국제투자규범을 개선하는 것이 바를 것으로 여겨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