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최정훈의『현악3중주를 위한 "내면(內面)"』의 분석

        최정훈 단국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79

        21세기를 시작하는 시점에서 수많은 젊은 작곡가들은 각자 자신의 ‘소리 찾기’에 노력하고 있다. 이는 앞선 시대의 선구자적인 역할을 한 작곡가들에서 비롯된 특정한 음악적 사조나 작곡기법에 편승하여 음악사적 유행을 만들었던 시대적 흐름과는 다른 것 이다. 이렇듯 이 시대는 작곡가들이 특정한 음악양식에 구속되지 않고 자신의 개성 있는 소리와 작곡기법을 추구하는 ‘다양성’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자신의 작품을 작곡자 스스로 분석하여 자신만의 작품 활동에 이론적 체계를 세워 가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기위해서 분석 되어졌다. 이 작품은 크게 나누어 Part I, Part II, Part III, Part IV의 네 부분으로 분류된다. 분석을 통해 얻어진 곡 전체의 내용을 작품의 형식과 구조, 화음 및 음정관계, 리듬, 음색 등으로 분류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형식 및 구조(Form and Structure) Part I은 주제 제시와 변형 및 발전에 의해 A - B부분으로 구분되고 PartII는 하모닉스, 하모닉스를 동반한 글리산도, 복합리듬 등 다양하고 효과적인 현악기 주법을 사용한 C - D - C′로 구성되었으며 Part III는 현악기의 특수주법에 의한 음향효과를 사용한 E부분으로 구분하여 독립적으로 사용되었고 Part IV는 Part I과 Part III가 반복· 변형된 부분으로 A′- E′- B′로 구분되어 있다. 2. 화음 및 음정(Chord and Interval) 이 작품은 반음이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주제선율의 진행과 복합화음, 단2도(장7도), 증4도(감5도) 음정관계에 의한 불협화음이 곡 전체에서 통일성 있게 나타나고 있다. 불협화음의 밀도는 작곡자의 의도에 따라 세 악기들의 음역별 음색 특징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화되며 나타나고 있다. 3. 리듬(Rhythm) 이 작품의 리듬요소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 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기대하며 쓰여 졌다. 각 악기들의 동일한 리듬진행에 의한 주제리듬의 강조효과, 엑센트 이동(shifting accent)에 의한 리듬의 대위법적인 효과, beamed accelerando 기법을 사용하여 리듬에 운동감을 실어주는 효과, tie에 의한 리듬진행으로 박절감을 모호하게 하여 긴장감을 유발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려 하였다. 4. 음색(Tone color) 현악기가 가지고 있는 음색의 특징 중 전통적인 기법에 의한 음색과 현대적인 특수주법에 의한 음색을 다양하게 조화시켜 작곡자의 음색에 대한 상상력을 표현하려 하였다. 이러한 음색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현악기 주법으로는 double stop, triple stop, pizzicato, handnail pizzicato, bartok pizzicato, glissando, 하모닉스를 동반한 glissando, trill, harmonics, tremolo, tremolo를 동반한 glissando, sul ponticello, consordino 등이 사용되었다. 이 작품의 분석은 자신의 작품을 제 3자의 입장에서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재평가함으로써 좀더 개성 있고 창의적인 소리를 찾을 수 있는 시도가 되었다. At the point of starting the 21st century, lots of young composers are concentrating on the creative activity to find their own sounds. This is a totally different phenomenon compare to the pre-composers who had an important role of pioneers and jumped on the bandwagon for some specific trend of music or the composition techniques. In this way, the composers of this time are not placed under specific forms of music and pursue the characteristic sounds and composition techniques, so they are living what is called, in an era of variety. In the topic of this thesis, 「 "Inner Mind" for String Trio」, I gave an expression to my will to be helpful theoretically to make the composers own characteristic sounds as they analysis their own works by themselves. This work is largely sorted to four parts, from Part I to Part IV. I sorted the whole content of music to a form and structure of the music, a chord and interval, a rhythm and tone color. And the contents are as follows. 1. Form and Structure Part I is divided into A - B by presenting an intention, transforming and developing and Part II is divided into C - D - C′ by variable and effective ways of a string instrument such as a glissando with harmonics and poly metric rhythm. Part III is divided into E and used independently and the last one, Part IV is the repetition of Part I and Part III and is divided into A′- E′- B′as the variation part. 2. Chord and Interval The chord and interval used in this music made the use of not only proceed the remarkable melody and compound chord by playing a semitone continuously and also the dissonant by minor 2nd interval (major 7th interval), and Augmented 4th interval (diminished 5th interval) systematically. The density of this sort of dissonant is being processed through a variable change as considering each tone color of three instruments by the intent of a composer. 3. Rhythm The character of the rhythm in this music can be divided largely into four and it is used to have an effect on those follows: First, the effect of emphasizing on the main rhythm by a simultaneous proceed of each instrument Second, the effect of rhythms counterpoint by shifting accent Third, the effect of expressing the sensation of movement by using the beamed accelerando technique Fourth, the effect of causing a tension by dividing the rhythm of tie and making the heartlessness obscurely 4. Tone color Of the characters that a string instrument has, I tried to express the composers imagination about the tone color by harmonizing variably the tone color by a traditional techniques and one by a modern and special way of playing. I used double stop, triple stop, pizzicato, handnail pizzicato, bartok pizzicato, glissando, glissando with harmonics, trill, harmonics, tremolo, glissando with tremolo, sul ponticello, consordino and so on as the way of a string playing to express this sort of tone colors effectiveness Through analyzing this music, I could evaluate my own music at a logical point of view as a third and also it was the opportunity to find more characteristic and creative sounds as I analyzed and reevaluated it theologically.

      • 시뮬레이터 복잡성에 따른 인적 수행도 차이에 대한 실험적 연구

        최정훈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확률론적안전성평가(Probablistic Safety Assessment)에서 인적요소로 인해 발생 가능한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예측하는 인간신뢰도분석(Human Reliability Analysis, HRA)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를 위해 타 산업에서의 데이터나 전문가의 판단 또는 훈련용 시뮬레이터 연구 등으로 인간신뢰도 데이터를 수집하여 인적오류 확률을 추정하려고 시도해왔다. 현재, HRA 분야에서의 중요 연구는 Full-Scope 시뮬레이터에서 실제 운전원의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INL에서 개발한 SHEEP을 기반으로 Full-scope 데이터 수집 연구를 지원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프로젝트의 일부이다. 벤치마크 실험에서 보다 단순화된 시뮬레이터(예: Rancor Microworld)와 복잡한 시뮬레이터(예: Compact Nuclear Simulator)를 사용할 때의 인적 수행도를 비교한다. 무작위 요인 실험 설계는 시뮬레이터 유형과 시나리오 유형 두 가지 독립 변수로 설정했다. 4가지 인적 수행도 즉, 1) 시간, 2) 오류, 3) 작업량, 4) 상황 인식을 측정하였다. 그런 다음 두 시뮬레이터에서 수행할 몇 가지 시나리오(정상/비상)와 관련 절차서를 개발했다. 실험에서 수집된 데이터는 분산 분석(ANOVA) 테스트 및 상관 분석과 같은 여러 통계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인적 수행도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단순화된 시뮬레이터와 학생 데이터를 기반으로 Full-scope 시뮬레이터 환경에서의 운전원의 인적 수행도를 유추하는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소형도서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최적 운영에 관한 연구

        최정훈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세계 주요 선진국들은 온실가스의 배출량과 흡수량 같게 해 순(Net) 배출을 0(Zero)도 만드는 넷제로(Net-Zero)를 선언하였다. 넷제로(Net-Zero)는 CO2를 포함한 모든 온실가스의 순배출을 제로화하는 개념인 기후 중립과 같은 개념이다. 특히 국가별로 넷제로(Net-Zero)를 선언하였다고는 하나, 정확히 말해서 넷제로(Net-Zero)의 범위가 탄소 중립인지 아니면 기후 중립인지를 명확히 언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2020년 6월 현재 국가별 법률 또는 공식문서에서 Net-Zero 목표가 채택된 국가들이다. 이에 따르면 부탄은 이미 Net-Zero 목표를 달성한 국가이고, 노르웨이를 시작으로 핀란드, 노르웨이, 오스트리아, 아이슬란드, 스웨덴, 코스타리카, 덴마크, EU, 피지, 프랑스, 헝가리, 마셜군도, 포르투갈, 슬로베니아, 스위스, 영국, 일본, 싱가포르는 기후 중립을 선언한 국가이며, 뉴질랜드는 탄소 중립을 선언한 국가로 분류된다. 우리나라도 법률이 제안된 국가의 반열에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Net-Zero 목표가 탄소 중립인지 기후 중립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1][2][3] 국가별로 제시한 Net-Zero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솔루션으로 10가지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순서대로 보면, 석탄발전의 단계적 감축, 청정에너지와 에너지효율 개선에 투자, 건축물 개축, 소재의 탈 탄소화, 친환경 자동차로 전환, 대중교통 증가, 항공과 해운의 탈 탄소화, 산림복원, 음식물 폐기물 및 쓰레기 감량, 육식 감축 및 채식 증가 등 10가지이다. [1][2][3] 이러한 배경에서 우리나라는 경제·사회 분야에서의 녹색 전환을 이루기 위해 2020년 7월 그린뉴딜 사업 추진을 발표하였다. [4] 그린 뉴딜 사업은 2020년~2025년까지 3대 분야 8개 추진과제를 위해 73.4조 원을 투자하기로 하였으며, 그린뉴딜 사업 세부 과제 중 그린 스마트 스쿨, 스마트 그린 산단, 그린 리모델링, 그린에너지,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를 5대 대표과제로 내세우고 있다.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과제를 10대 대표과제로 선정발표 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전력공사에서는 도서 지역 그린뉴딜 사업으로 42개 도서 지역에 신재생에너지 등 친환경 발전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소형도서 신재생에너지 자립화 추진,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구축, 대기질 개선 환경설비 구축하기로 하였다.[5] 이중 소형도서 신재생에너지 자립화 추진은 발전설비용량이 0.45MW 미만의 34개 도서를 대상으로 디젤엔진을 태양광, ESS를 설치하는 사업으로 대부분 대상이 디젤엔진은 비상용으로만 사용되는 형태로 설비개선을 추진한다. 현재 일반 상용계통이 공급되지 않는 도서는 1965년「농어촌전화 촉진법」에 의해 한전을 주관 기관으로 하여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농어촌에 전기를 공급하고 있으며, 관리 주체가 한전, 지자체, 민간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도서들은 전력계통이 소규모로 전기요금으로 비용을 충당하는 원가 보상률이 10% 수준이며, 대용량 발전 설비의 운영이 어렵고 고가의 경유를 사용하여 판매 원가가 매우 높다. 또한, 지리적 특성상 단일 전원, 배전선로로 디젤발전기 고장시 복구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등 설비 유지관리가 어렵다. [6] 도서 지역의 전력 공급 설비들은 25년 이상 된 디젤엔진을 사용한 발전으로 운영비용뿐만 아니라 온실가스감축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재생에너지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필연적이다. 그러나 도서 지역 계통에 연계되는 재생에너지의 용량은 지리적 특성으로 한계가 있고 재생에너지의 특성인 간헐성 때문에 발생하는 전력계통 불안정이 가장 큰 문제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서 지역에서는 재생에너지와 에너지저장장치와 에너지관리시스템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의 제어 및 최적화는 일반적인 전력 시스템과 비교해 볼 때 시스템모델링, 운전 및 계획 등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융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의 주목표는 다양한 에너지원과 에너지저장장치, 전력계통과 운전이 조화롭게 하는 것이다. 에너지자립 섬이라는 일반적인 도서 특성에 맞추어 설계된 융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은 운영단가를 줄이고 최적의 경제적인 운전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제어 방법, 최적화 방법, 성능분석, 계획 및 예측기법을 활용한 방법들이 있다. [7][8][9] 그러나 초기에 구축된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은 EMS로 디젤발전기 제어 불가능하고 출력 및 부하 감시기능을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 권고치를 알람을 띄우는 형태이다. 또한, 디젤발전기가 계통 전압을 형성하고 재생에너지나 ESS 등이 연계 형태로 전력을 공급하는 형태로 디젤발전기가 24시간 정 출력 동작을 하고, 재생에너지와 ESS는 부하의 상태에 따라 전력을 계통에 공급하는 방식이다. 발전원이 각각 독립되어 운영되어야 하나, 디젤발전기가 계통을 형성함에 따라 디젤발전기 고장시 재생에너지도 사용을 못 하거나, ESS의 SOC나 기상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디젤발전기의 출력을 제어하여 ESS의 SOC에 따라 재생에너지의 출력이 제한되어 발전량에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10][11] 본 논문에서는 해남 삼마도(상, 중, 하마도)에 구축된 재생에너지의 간헐적인 특성에 따른 전력 공급 방식의 불안정성과 디젤발전기 상시 가동으로 인한 디젤발전기의 효율 저하, 재생에너지 출력제한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양방향 인버터의 기저 발전원 사용과 도서 부하, 재생에너지 발전량, ESS의 SOC의 상태 따라 디젤발전기의 on/off 제어가 필요하다. 양방향 인버터를 기저 전원으로 사용하기 위해 Grid Formming 방식의 양방향 인버터와 디젤발전기의 on/off 제어를 위한 Digital Genset controller를 적용하여, 디젤발전기를 기저 발전원으로 사용하는 DC grid를 ESS와 Grid Formming 방식의 양방향 인버터를 기반으로 재생에너지를 기저 전원으로 사용하는 AC grid로 운용하는 방식을 통해 디젤발전기의 운전 최소화와 재생에너지의 출력제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시스템의 검증은 PISIM을 통해 시스템을 시뮬레이션하고, 최종적으로 제안한 시스템을 도서에 실증 운전을 통해 운영한 결과를 바탕으로 타당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In accordance with the 「Rural Electrification Promotion Act」 in 1965, the islands have not been supplied with electricity from KEPCO were established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improve living in rural areas by supplying electricity to rural areas without electricity with KEPCO as the lead agency. Currently, most diesel generators are aged 25-26 years, installed in 1995-96, making it difficult to meet the increasing demand for electricity and steel towers and so on have critical issues such as chloride-induced corrosion and strong wind, especially of a geographical nature. In korea, energy self-reliant islands have been promoted based on renewable energy and ESS starting with Gapado in 2011, and then promoted an eco-friendly energy self-reliant island in 2015. However, the island models have been suspended or canceled since Ulleungdo project became stranded due to the fact that the business model was not capable of properly returning on investment. The small-scale energy self-sufficient island was promoted as an R&D project centered on KEPCO and a convergence support project promoted by the Korea Energy Agency. Such a complex energy system supplies power to islands using two or more renewable energies and stores the surplus power in an energy storage device, ESS, to supply power during times of high power consumption. However, in the complex energy system built in the early days, the diesel generator forms the grid voltage, and renewable energy or ESS supplies electricity to the grid depending on the demand of loads. As the diesel generator forms a system, renewable energy cannot be used in the event of a diesel generator failure, or the user controls the output of the diesel generator according to the SOC of the ESS or weather conditions, and the output of renewable energy is limited according to the SOC of the ESS. It causes a loss in power generation. In this study, to solve the instability of the power supply method due to the intermittent characteristics of renewable energy,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complex system are analyzed, and based on this, it is suggested that the DC grid using the existing diesel generator as the base load is used as the PCS-based AC grid. The system is to verify through PISIM, to finally perform the demonstration, and then to prove the validity based on the result.

      • 남자간호사의 직무만족, 소진, 이직의도 및 관련요인

        최정훈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남자간호사의 직무만족, 소진, 이직의도 및 관련요인 Related Factors the Job Satisfactio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Male Nurses 간호학과 최 정 훈 지도교수 김 은 영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간호사가 인지하는 직무만족, 소진, 이직의도를 파악하고 관련 요인을 밝힘으로서 남자간호사 인력관리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영남지역과 제주지역의 200병상 이상 32곳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남자간호사 18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대상자의 직무만족 평균은 2.95점이었으며, 영역별로 보면 ‘상호 작용’ 3.25점, ‘전문직상태’ 3.21점, ‘간호사와 의사관계’ 3.05점, ‘자율성’ 2.98점, ‘업무요구도’ 2.60점, ‘보수’ 2.55점, ‘행정’ 2.42점 순이었다. 2) 본 연구 대상자의 소진의 평균은 3.49점이었으며, 영역별로 보면 ‘정서적 고갈’ 3.89점, ‘비인격화’ 3.27점, ‘자아 성취감 저하’ 3.18점 순이었다. 3) 본 연구 대상자의 이직의도는 평균 3.31점이었으며, 영역별로 보면 ‘직종 이직’ 3.34점, ‘직장이직’ 3.28점 순이었다. 4) 본 연구 대상자의 직무만족 관련요인은 군복무를 마친 경우가 군복무 면 제인 경우보다 직무만족은 높고, 부서가 일반병동인 경우에 비하여 수술 실/마취과, 진료지원(PA), 기타인 경우 직무만족은 낮았으며, 교대 근무 인 경우가 아닌 경우 보다 직무만족은 낮았다. 또한 남자간호사실이 있 는 경우가 남자간호사실이 없는 경우보다 직무만족이 높았다. 5) 본 연구 대상자의 소진 관련요인은 종교가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소진은 낮았으며, 군복무를 마친 경우가 군복무 면제인 경우보다 소진은 낮았다. 또한 부서가 일반병동인 경우에 비하여 진료지원(PA)인 경우에 소진은 높았고, 남자간호사실이 있는 경우가 남자간호사실이 없는 경우 보다 소진은 낮았다. 6) 본 연구 대상자의 이직의도 관련요인은 종교가 없는 경우 보다 종교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이직의도가 낮았다. 부서가 일반병동인 경우에 비하 여 수술실/마취과, 진료지원, 기타인 경우 이직의도가 높았고, 교대 근무 인 경우가 아닌 경우보다 이직의도는 높았다. 또한 종합병원인 경우가 상급종합병원인 경우보다 이직의도는 높았으며, 간호 4등급인 경우가 간 호 5등급인 경우보다 이직의도는 낮았다. 이상의 남자간호사의 직무만족, 소진, 이직의도에 미치는 주요 요인의 결과에 초점을 맞추어 원인을 분석하고 직무만족을 높이고, 소진과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대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어 : 남자간호사, 직무만족, 소진, 이직의도

      • 사막의 의미 확장과 의의 고찰 : 샤를르 드 푸코의 ‘사막 영성’을 중심으로

        최정훈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new meaning of the desert by Charles de Foucauld and its influence on the history of Christian spirituality. The new meaning of the desert has begun with Charles de Foucauld. Foucauld's life seems like the lives of the Desert Fathers' in early Christianity, however Fouauld's purpose is different from Desert Father's. Accordingly, this thesis shows the desert's meaning has expanded by comparing how Foucauld and Desert Fathers understood the desert and desert spirituality. Desert Fathers thought that desert is the place of extreme situation cut off from the world, the suitable place to purify and train, and the place to battle against evil. Through these things the desert becomes a place to meet God (Chapter 2). The meanings of desert understood by Foucauld summarize into two. One is that desert is the poorest and humblest place. The other is that it's the place of practicing love and mission. The lowest place is not only to stay, but also to practice love for the afflicted. We can learn how Foucauld understood the desert through his life and spirituality. Foucauld's unique vocation, "Nazareth life", guided him to the desert, the lowest place. Desert change "Nazareth life" spirituality from contemplative spirituality to unified spirituality of contemplation and action. Foucauld practiced love and mission enthusiastically and actively in desert(Chapter 3). The life of Foucauld has began to emphasize new aspect of desert. Entering the desert is not separating from the secular world, but entering into its lowest place. Accordingly, we can regard the lowest place of secular world as desert, and we can think whole world as one great desert because of the structural imbalance, reality of poverty and idolization of material. This is desertification of the city. The Foucauld's understanding of desert implies that the desert is not only a contemplative place but also a practicing place. This conversion of meaning indicates that the life of practicing love is important in Christian spirituality life. Foucauld's life progressing from contemplative life to active life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active life. Foucauld didn't neglect contemplative life, which indicates the desert has both contemplative and active meaning. Therefore the desert is mystic place which requires to live unified life of contemplation and action. Foucauld's desert spirituality contributes to the world through many movements of the communities following his instructions. Their character is living among the poorest in everyday life and helping them. They emphasize city desert, and live to be an oasis in it. Finally, this new desert spirituality present christian to live a desert spirituality within the life of this world(Chapter 4). 본 논문에서는 샤를르 드 푸코에 의해서 새롭게 조명된 사막의 의미와 이 의미가 그리스도교 영성사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고찰했다. 사막의 의미가 새로운 강조점을 지니게 된 것은 샤를르 드 푸코로부터 시작된다. 푸코의 삶은 초기 그리스도교 시대의 사막 교부들과 비슷한 모습을 보이지만 다른 목적으로 사막에 들어갔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샤를르 드 푸코가 이해한 사막과 사막 영성이 사막 교부들이 이해한 것과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면서 사막의 의미 지평이 확장되었음을 밝힌다. 사막 교부들의 사막 의미는 세상과 단절된 극한 상황의 장소이며, 정화와 훈련에 적합한 장소이고 악마와 투쟁하는 장소이다. 사막은 이 모든 것을 통해서 하느님을 만나는 장소가 된다(2장). 샤를르 드 푸코가 이해한 사막의 의미는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가장 가난하고 가장 비천한 장소이며 애덕 실천과 선교를 행하는 장소이다. 가장 낮은 자리는 단순히 그곳에 머물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곳에서 고통 받는 이들을 위한 애덕 실천의 장소가 된다. 샤를르 드 푸코의 사막을 어떻게 이해했는지는 그의 삶과 영성을 통해 알 수 있었다. 푸코의 독특한 성소인 ‘나자렛 삶’은 그를 가장 낮은 곳인 사막으로 이끌었다. 그리고 사막은 ‘나자렛 삶’ 영성을 관상적인 영성에서 관상과 활동이 통합된 영성으로 변화시켰고, 푸코는 사막에서 적극적이고 활동적인 애덕 실천과 선교 활동을 한다(3장). 푸코의 삶에 의해서 사막의 새로운 측면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사막에 들어가는 것은 세상으로부터 단절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세상 속의 가장 낮은 곳으로 들어가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이 세상 속의 가장 낮은 곳을 사막으로 여길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구조적 모순, 실질적인 가난, 하느님 자리에 다른 물질적인 우상이 들어선 이 세상을 하나의 거대한 사막으로 볼 수 있게 하였다. 이것을 도시의 사막화라고 할 수 있다. 푸코의 사막 이해는 사막이 관상적인 장소뿐만이 아니라 활동적인 장소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환은 그리스도교 영성 생활 안에서 애덕 실천의 삶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관상적 삶에서 애덕 실천의 삶으로 나아간 푸코의 삶은 영성 생활에서 관상 생활 못지않게 활동 생활이 중요함을 드러낸다. 하지만 푸코가 끝까지 관상 생활을 소홀히 하지 않았던 것처럼 사막은 관상적인 의미와 활동적인 의미 모두를 품으면서 관상과 활동이 통합된 삶을 살아가게 하는 신비의 공간이 된다. 푸코의 사막 영성은 푸코의 영성을 명시적으로 따르는 수도회와 그의 영성에 영향을 받은 공동체들을 통해서 세상에 기여하고 있다. 이들의 특징은 세상 한 가운데의 일상 속에서 세상에 가장 낮은 이들과 같은 삶을 살면서 그들에게 도움을 주는 영성을 살아간다는 것이다. 이들은 사막인 도시를 강조하며 그 안에서 오아시스가 되는 삶을 살아간다. 이러한 새로운 사막 영성은 우리 그리스도인들에게 세상의 삶 안에서 살아갈 사막 영성을 제시한다(4장).

      • 조직의 커뮤니케이션 도구가 구성원의 커뮤니케이션, 갈등관리,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정훈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업 조직 구성원들의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도구가 구성원의 커뮤니케이션, 갈등관리, 의사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함으로서 커뮤니케이션 도구의 효율적 이용과 도구들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 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커뮤니케이션과 의사결정 갈등관리의 이론을 바탕으로 커뮤니케이션 도구의 선택과 이용 정도, 갈등관리와 의사결정에 관계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고찰했으며, 실증적 분석을 위하여 기업 조직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문제의 가설 검증을 위해 SPSSWIN Ver.17.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 빈도분석, 분산분석 등의 통계분석을 사용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조직 구성원들의 표본구성 빈도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도구 이용 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이메일은 대졸일 경우 가장 많이 이용하고, 직무분야가 사무직인 경우에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신저는 모집단의 특성인 성별, 연령, 최종학력, 근무경력, 회사규모, 직급, 직무분야에 따라 다르지 않고 고르게 사용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그룹웨어는 회사규모가 적을수록 사용하지 않거나 덜 사용하고, 1000명 이상의 회사에서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둘째,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면대면 대화와 이메일, 메신저 이용이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왔는데, 특히 면대면 대화, 이메일, 메신저의 사용이 많은 사람이 자신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높다고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커뮤니케이션 만족도는 많은 메신저의 이용이 커뮤니케이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결과가 나왔다. 특히 메신저는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부적합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넷째, 커뮤니케이션 도구의 이용정도가 갈등관리에 미치는 경향을 분석한 결과 면대면 대화, 전화, 메신저, 그룹웨어는 갈등간리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이메일의 이용은 갈등관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메일의 많은 사용은 갈등을 해결하는데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커뮤니케이션 도구의 이용정도가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한 결과, 메신저의 이용정도가 높을수록 의사결정과정에 정적인 영향이 아니라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난 것이 특징적이라 할 수 있다. 메신저의 사용이 효과적인 의사결정에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커뮤니케이션 도구에 대한 이용정도와 의사결정, 갈등관리에 관한 연구 결과, 조직 내에서 면대면 대화, 전화, 이메일, 그룹웨어 등은 공식적인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메신저는 공식적이 아닌 사적인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메신저의 의사소통의 범위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소리를 듣지 않고 구어체의 글로서 표현하기 때문에 오해가 생길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메신저의 사용이 의사결정에 좋지 않은 결론을 도출하게 되었다. 또한 이메일의 이용 정도가 높을수록 구성원의 갈등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ffects of In-Company Communication Media on the Employee's Communication, Conflict Management, and Decision Making.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reviewed Employee's Communication, Conflict Management, and Decision Making and thereupon, examined the preceding studies about employees' choices and uses of in-company communication media and thereby, surveyed the business employees for their uses of communication media, motives for using them and Employee's Communication, Conflict Management, and Decision Making.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the SPSS 17.0 program was used for such statistical analysis as frequency analysis, Cronbach's alpha, ANOVA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uses of communication media depending on demographic variables, it was found that E-mails was used much at the college graduates and at the white-collars. Groupwares were used much at large-scale companies with over 1000 employees. Second, it was disclosed that the more the employees used the face -to-face dialogue, e-mails and messengers, employees have more the communication ability. In addition, this finding may well suggest that it is required of future studies to research into uses of in-company communication media from not a media-determinism perspective but a user-centered perspective. Third, it was disclosed that the more the employees used messengers, employees have more the satisfaction of the communication. Fourth, it was disclosed that the more the employees used e-mail, the more helpful for employees to solve the problem regrading conflict managements. However, messengers have no influence on conflict managements. Fifth, it was disclosed that the more the employees used messengers, the more ineffective for employees to make a decision. It is the most characteristic feature that messengers have a bad influence on the communication, conflict management, and decision making.

      • 청정개발체제(Clean Development Mechanism)에 관한 연구

        최정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청정개발체제(Clean Development Mechanism; 이하 CDM)는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기후변화 예방과 저개발국의 지속가능한 성장 지원이라는 두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획기적인 기제로 자리매김했다. 다만, CDM의 경제적?환경적 측면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진 반면 법적?제도적 측면에 대한 연구는 다소 부족한 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은 CDM이라는 제도의 의 근거가 되는 교토의정서 및 후속 합의문을 검토하는 한편, 개별 CDM 사업의 성질을 확인한다. 연구에 따르면 CDM은 새로운 형식의 국제투자규범으로, 그리고 CDM 사업은 일종의 투자행위로 이해할 수 있다. 그렇다면 CDM 및 CDM 사업은 기존의 국제투자규범상 투자자보호조치, 특히 비차별원칙과 충돌할 가능성이 발생한다. 따라서 CDM 사업에서 생겨날 수 있는 분쟁의 양상을 정리하되, 내국민대우(national treatment)와 최혜국대우(most-favoured-nation)의 위반 가능성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CDM은 새로운 형식의 투자를 예정하는데, 아직 명확한 분쟁해결절차가 마련되지 못한 실정이다. 기존의 국제투자규범을 원용하는 것이 당장은 편리할 수 있겠지만, 기후변화협약 및 교토의정서의 취지를 감안한다면 새로운 분쟁해결절차를 설립하거나 CDM의 특성을 반영하여 미래의 국제투자규범을 개선하는 것이 바를 것으로 여겨진다.

      • 원자력 발전소 분산제어시스템과 검증용 시뮬레이터간 I/O 인터페이스 장치 개발

        최정훈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원자력발전소용 DCS(Distribute Control System)는 1,2,3차 기기검증과 성능검증을 통하여 그 성능 및 기기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받았으며, 개발된 원전용 DCS의 Tool과 시스템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현장에 적용할 고리2발전소 ”순수처리계통“의 제어로직이 개발되어 있다. 이렇게 개발된 현장 제어로직의 기능과 동작을 검증하고 제어 파라메타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현장에 직접 설치하여 시험해야 하지만, 현장설비를 직접 시험에 사용할 수 없으므로, 실제 현장과 똑같은 환경으로 계통을 모의하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여 이것을 가지고 마치 현장과 같이 DCS를 연결하여 다양한 시험과 검증, Tuning등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DCS-I/O의 신호를 시뮬레이터가 실제 현장처럼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시뮬레이터측도 DCS측과 동일한 규모의 I/O시스템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즉 DCS와 시뮬레이터간 양측의 I/O를 물리적으로 접속하여 상호 교환신호의 입출력 처리작업을 수행하고, 통신노드를 통하여 시뮬레이터에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반의 통신 입출력 인터페이스 작업을 총괄하는 중간 인터페이스 장치가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원전용 DCS와 시뮬레이터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 두개의 시스템을 물리적으로 접속하는 하드웨어 I/O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축하고, 구축한 하드웨어가 목적에 맞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It is approved through several instrument and performance tests the safety of DCS(Distributed Control System) for NPP(Nuclear Power Plant), and it is developed the control logic of "pure water treatment system" for Gori-2 nuclear power plant which is supposed to be applied to the site finally using the developed tool and system of DCS for Nuclear Power Plant. Actually, DCS should be installed and tested at the site in order to prove the function and movement of the control logic, and adjust control parameters, but it is impossible to use the equipment at the site for the test. Therefore various tests, verifications and tunings are being carried out using the simulation model that simulates the system in the environment the same as the site. The simulator should be equipped with the equivalent size of I/O system to receive the DCS-I/O signals like the site. In other words, it is needed the mediate interface instrument that connects both DCS and simulator I/Os physically, conducts the I/O treatment of mutually exchanging signals, and generalizes every communication I/O interface operation which exchanges signals with simulator through the communication node. In this thesis, analyzed are DCS and simulator for NPP, built is hardware I/O interface instrument which connects these two systems physically, and made is a program that helps the hardware func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 최적 LQR 제어기법을 이용한 이륜형 도립진자 로봇의 제어에 관한 연구

        최정훈 대진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proposes a control method for a two-wheeled inverted pendulum robot using Linear Quadratic Regulator controller. In this paper, we designed LQR controller which is appropriate for the MIMO system using equation of dynamics based on Lagrange mechanics. And, its superiority and appropriateness was demonstrated in comparison to a single PID method. Simulation results verify the possibility of upright balancing, rectilinear motion and position control. Moreove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it guarantees performance to apply the LQR controller to two-wheeled inverted pendulum robot. 최근 환경오염 및 화석 에너지 고갈로 인한 에너지 부족에 대한 불안은 전 세계적으로 해결해야 할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 대처하기 전기에너지를 기반으로 한 이동수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고, 이같은 배경에서 개발된 이륜형 도립진자 로봇이 새로운 모바일 로봇 플랫폼으로 주목받게 되었다. 두 개의 모터로 구동력을 갖는 이륜형 도립진자 로봇의 간략한 구조적 특징은 저중량과 저전력에 따른 고효율성과 점유하는 공간이 협소하고 유사 전방향 진행이 가능하다는 뛰어난 장점이 되는 반면, 2개의 입력이 6개의 상태 출력을 내는 MIMO(multi-input multi-output) 시스템이고, 제어 대상이 되는 상태변수의 개수보다 액추에이터의 개수가 적은 언더 액추에이티드(underactuated)한 시스템으로 제어 구조가 간단하지 않다는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직면하여 이륜형 도립진자 로봇의 플랫폼 개발과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진 상황이지만, 기존의 연구는 다변수 시스템에 대해 단일변수제어에 적합한 제어기를 적용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다변수 시스템에 맞는 다변수 제어기로써 최적 LQR 제어기를 적용하여 이륜형 도립진자 로봇이 갖는 모든 상태 출력 변수의 제어가 가능하고, 제어 성능도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이륜형 도립진자 로봇에 PID 제어기와 최적 LQR 제어기를 적용하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어성능을 비교 분석하고,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최적 LQR 제어기의 가중행렬이 우수한 성능과 설계 사양을 만족하는 것을 증명하였다. 또한, 이륜형 도립진자 로봇을 제작하여 실험적 결과를 최종적으로 확인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