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서울지역 電車교통의 변화양상과 의미(1899~1968)

        최인영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47

        이 논문은 식민지시기와 해방 이후를 포괄하는 1899년부터 1968년까지의 약 70년 동안 서울지역을 운행한 전차의 변화양상과 의미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대한제국시기에 도입된 전차는 한국병합 이후 경성의 식민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노선의 신설과 복선화가 이루어졌다. 1920년대 후반에 버스가 등장하면서 전차와 경쟁관계를 형성하기도 했지만, 곧 서울지역의 교통체계는 전차를 중심으로 재편되었다. 1930년대 중반 이후 전차를 중심으로 한 교통체계는 서울지역에서 증가하는 교통수요를 감당하지 못하며 한계상황에 부딪쳤다. 이후 해방과 6·25전쟁을 거치면서 서울지역의 교통은 과도기를 맞이하였고, 전차는 철거되었다. 이 글에서는 도시의 성장에 따른 전차의 변화양상을 4시기로 살펴보고자 한다. 대한제국의 도시개조사업으로 부설된 전차는 도성의 중심 街路인 종로를 중심으로 홍릉과 용산, 마포 등의 조선인 거주지를 운행하였다. 하지만 식민지시기에 들어 京城이 식민도시로 재편되자, 전차노선은 청계천 남쪽의 황금정통을 중심으로 신용산과 본정 등의 일본인 거주지에 신설되었다. 1916년 총독부의 신청사 건립이 시작되면서 전차노선은 안국동, 통의동, 효자동까지 확장되었다. 1920년대 후반에는 총독부와 남대문을 잇는 전차 태평통선이 신설됨에 따라 용산까지의 직통노선이 완성되었다. 이처럼 漢城이 식민도시 경성으로 바뀌면서 전차노선도 식민도시의 중심지역을 기반으로 재편성되었다. 전차는 근대교통이 도입될 당시에 도시의 대중교통으로 처음 출현하였다. 하지만 1920년대 이후 기동성을 가진 자동차교통의 급속한 성장은 전차 중심의 교통체계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1928년 京城府의 府營버스와 1929년 京仁버스가 잇따라 등장하면서 그 동안 전차 중심의 독점체제였던 도시교통이 버스와의 경쟁체제로 바뀌게 되었던 것이다. 하지만 일본의 교통정책은 철도 중심의 궤도교통을 보호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자동차교통의 발달은 억제되었고, 전차를 중심으로 한 교통체계가 형성되었다. 결국 전차가 대중교통의 주도권을 잡게 되었던 것이다. 1920년대 이후, 경성의 인구가 증가하고 시가지 확장이 일어나면서 교통수요도 늘어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도심과 교외지역의 교통망 연결을 위해 전차·버스노선의 확충과 운행대수의 증가는 필수적이었다. 하지만 경성전기의 경영방침이 기존에 편성된 전차노선과 시설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1930년대 중반 이후 경성은 교통난에 시달리게 되었다. 대중교통은 공익을 위해 저렴한 요금과 시설 확충을 꾸준히 해야 하는 사업이었음에도 경성전기가 공익보다는 회사의 이익을 우선함으로써 교통문제가 해결될 수 없었다. 해방 후 서울의 인구는 100만 명을 넘어섰다. 하지만 전차의 운행대수는 100대에서 80대로 감소하는 등, 교통난은 나날이 극심해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1950년 서울에 도입된 미제전차는 1956년까지 36대로 늘어났다. 이렇게 일제전차와 미제전차가 뒤섞여 다니는 모습은 독립국가의 수도로서 독자적인 교통시스템을 갖추지 못한 서울의 상황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것이었다. 이것은 ‘식민지 유산’을 청산할 수 없었던 당시의 정치적 혼란과 6·25전쟁의 발발, 戰後 복구과정 속에서 전차를 대체할 수 있는 교통기관이 나오지 않음으로써 도시교통의 난맥상이 지속되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전차는 1930년대 중반부터 이미 도시의 교통기관으로서의 역할이 한계에 이른 채, 1968년까지 운행될 수밖에 없었다. 서울지역 전차교통의 양상은 대한제국시기, 식민지시기, 해방 이후시기까지 정치 변혁으로 인해 변화되지 않았다. 오히려 도시의 성장에 따라 도입기, 경쟁기, 한계기, 쇠퇴·철거기를 맞이하였다. 이것은 전차교통에 정치체제를 뛰어넘는 연속과 단절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 국민국가와 이방인 : 이주노동자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고찰

        최인영 계명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글은 이방인의 사회학의 관점에서 한국의 이주노동자를 조망하고자 한다. 이방인의 사회학의 문을 연 짐멜은 이방인을 가까움과 멂의 관계를 조합시킴으로써 애매한 상황을 만드는 존재로 정의한다. 짐멜은 이방인을 돌아갈 고향과 나아갈 미래 영토를 상실한 채 현재 거주하는 영토에서 떠나지도 그렇다고 견고하게 머물지도 못하는 존재로 보고 있다. 그러나 근대 과학이 삶을 안내해주는 초월적 존재를 완전히 추방하고 시장사회가 지역 공동체를 해체한 이후부터 이러한 짐멜적인 이방인성은 유대인과 같은 특정한 에스닉 집단에게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모든 근대인에게 적용된다. 근대는 사회적으로 전통적인 지역공동체로부터 뿌리 뽑히고, 문화적으로 초월적 존재와의 연결을 상실한 이방인들의 세계라 할 수 있다. 갑자기 전통적인 삶을 사는 것이 부조리하고 무의미한 것으로 돌변하였으며 세계는 혼란에 빠졌다. 이러한 ‘의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떠오른 것이 국민국가이다. 국민국가는 특정 지역에 특정 국민문화를 대응시키는 ‘영토화 과정’을 통해 초월적 존재의 영토로부터 탈배태된 근대인을 국민국가의 영토 안에 국민으로 재배태시켰다. 이때 국민국가는 단순히 제도적․물질적 차원에서 자신의 세력을 확보하는 것을 넘어 문화적 차원에서 삶의 의미를 상실한 근대인들에게 삶의 의미를 다시 부여해주었다. 그런 점에서 근대 국민국가는 초월적 존재를 상실한 무의미한 세계를 다시 의미가 가득한 세계로 만듦으로써 이방인을 국민으로 바꾸어놓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21세기부터 급증한 초국적 이주는 근대의 국민국가의 틀을 흔듦으로써 국민을 다시 이방인으로 전환시키고 있다. 이글은 근대 국민국가가 건설되는 과정은 동시에 국민국가의 틀에 맞지 않은 사람들을 이방인으로 건설하는 과정임을 밝힌다. 또한 작금의 이주의 지구화는 근대 국민국가 안에 재배태되었던 국민을 새로운 이방인으로 전환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주의 지구화로 인해 국민이 이방인으로 전환되는 것은 국적․민족․인종에 따라 동일하게 경험되지 못한다. 신자유주의 시장경제로 인한 노동의 지구적 분업은 국적․민족․인종별로 사람들을 재위계화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새로운 위계구조를 따라 이주자는 국민국가에 의해서 상이하게 대우받는다. 따라서 이러한 새로운 위계구조의 하위를 차지하는 사람들은 상위를 차지하는 사람들이 할 수 없는 일, 즉 에스닉 노동을 수행하기 위해 이주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주자가 어떠한 목적을 갖고, 어떠한 이주제도를 통해 들어오는지에 관계없이 위계구조의 하위를 차지하는 사람들은 에스닉 노동을 하도록 강제된다. 나는 민족적 차원과 시민권적 차원을 교차해서 한국의 국민국가에 의해서 이주자에게 주어지는 네 주체 자리를 구분했으며, 이 네 주체 자리에 해당되는 네 명의 이주자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구체적으로 이 글은 이들 네 이주자에 대한 두 가지의 분석을 진행한다. 첫 번째 분석은 국민과 이방인의 이념형을 사용하여 연구참여자들의 이주의 행로를 현상학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에서 추적해본다. 두 번째 분석은 연구참여자들이 이주를 통해 처하게 되는 다양한 문제적 상황에서 어떤 문화자원을 가지고 어떤 서사를 구성해서 헤쳐 나가는지를 살펴본다. 북한이주자 련정희는 북한에서 인민으로, 중국에서 절대적 법적 이방인으로 살았으며 남한에서 북한 에스닉 집단으로 살고 있다. 련정희는 한국에서 온전한 국민으로 대우받기 위해 노력하였지만 그녀의 북한 에스닉 속성으로 인해 그녀는 대한민국 일반으로부터 온전한 국민으로 대우 받지 못함을 일상적으로 경험한다. 이러한 문제적 상황에서 련정희는 ‘진보 민족주의 서사’를 사용해서 통일운동가로 자신을 정체화한다. 그녀가 이러한 서사를 사용하는 이유는 남북이 통일이 되어야만 자신이 온전한 근대 국민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임장춘은 파키스탄의 신실한 종교 공동체 안에서 자라났다. 그런 점에서 그를 조건적 이방인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그는 한국으로의 이주로 인해 잠시 절대적 법적 이방인의 상태로 남게 되지만, 곧 한국 여자를 만나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게 됨으로써 한국 국적을 취득하게 된다. 그러나 그의 제도적 위치가 이주에 의해 어떻게 변화되든지 간에 그의 삶은 지향은 언제나 이슬람이라는 초월적 영역에 있었다. 그에게 문제적 상황은 한국에서 그의 무슬림 정체성을 공적으로 유지하고 인정받는데 제약을 받는 것이다. 따라서 그는 이러한 문제적 상황을 헤쳐 나가기 위해 ‘다문화주의 서사’를 사용한다. 배정숙은 중국의 조선족 마을에서 에스닉 집단의 성원으로 살았다. 이주 후에는 중국과 한국의 합법적 체류자격을 모두 갖고 있기 때문에 중국과 한국을 순환하는 초국적 이주자로 살고 있다. 그녀에게 한국은 돈을 벌 수 있는 곳이고 중국은 자신의 가족들이 있는 곳이다. 그녀에게 문제적 상황은 신자유주의적 지구적 경제질서 속에서 자신의 아들이 밑바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그녀는 중국에서 친밀성을 유지하고, 한국에서는 이윤을 추구하는‘초국적주의 서사’를 사용한다. 마이너리는 전근대 왕조국가에서 근대 국민국가로의 전환이 일어나고 있는 시기 네팔에서 절대적 이방인으로 살았다. 그는 경찰이라는 신분 때문에 마오이스트들로부터 경고를 받고 한국으로 노동 이주를 감행하게 된다. 그는 짧은 합법적 체류기간을 지나 곧 절대적 법적 이방인으로 한국사회에 남게 된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평등한 사람들’이라는 근대적 이상을 어떻게 실현시킬 수 있을까에 대해 고민했으며, 민주적인 한국에 오면 이러한 이상이 실현되어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실제로 절대적 법적 이방인으로 그는 공장과 공공장소에서 한국민들로부터 부당한 대우를 일상적으로 받게 된다. 그는 이러한 문제적 상황에서 만인이 태생지에 관계 없이 평등하다는 ‘코즈모폴리터니즘 서사’를 사용한다. This dissertation is an endeavor to highlight migrant workers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ology of strangers. Simmel, who first articulated the sociology of strangers, defines the stranger as a being that creates ambiguous situations by synthesizing the relationship of nearness and remoteness. Simmel views the stranger as a being that cannot leave the territory in which he resides and yet cannot stay firmly rooted there because he has no homeland to return to and no future territory into which he can advance. But such Simmelian strangeness is not limited to certain ethnic groups such as the Jewish but rather applies to all modern men since modern science completely banished the Transcendent Being that had used to provide guidance in life and market society deconstructed local communities. In that sense, the modern is a world of strangers who were socially uprooted from traditional local communities and culturally lost the connection with the Transcendent Being. Suddenly, living traditional life became absurd and meaningless, which brought chaos into the world. The nation-state rose to the surface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of meaning.’ The nation-state reembeds into the nation-state’s exclusive territory modern men disembedded from the Transcendent Being's territory through the ‘process of territorialization’ that equates a specific territory with a specific national culture. The nation-state, at this time, more than simply gathered power at the institutional and material levels but gave back meaning in life to the modern man who has lost the meaning of life at the cultural level. In that sense, the modern nation-state can be said to have changed strangers into nationals by recreating a world full of meaning out of a meaningless world that has been disconnected from the Transcendent Being. Since the twenty-first century, however, rapid increase in transnational migration is transitioning nationals into strangers again by shaking the frame of the modern nation-state. This dissertation argues that the process of building a modern nation-state is also the process in which those who do not fit into the framework of the nation-state are construed as strangers. Moreover, recent globalization of migration is transforming nationals who have been reembedded in the modern nation-state into a new kind of strangers. But this process may not go through the same experience according to the person's nationality, ethnicity, and race. Global division of labor based on neoliberal market economy is re-hierarchizing people according to nationality, ethnicity, and race, and the migrant is treated differently by the nation-state according to such a new hierarchical structure. Therefore, those at the bottom of this new hierarchical structure migrate to perform the work those at the higher level cannot, i.e., ethnic labor. Those at the bottom of this new hierarchical structure are coerced into performing ethnic labor, regardless of what the goals of the migrants are and through which migration systems the migrants migrate. I am dividing the subject positions assigned to migrants by the nation-state of Korea into four categories by cross-referencing the national and citizenship dimensions, and I have conducted interviews with four migrants who fall into these four subject positions. Specifically, two analyses of these four migrants are dealt with in this dissertation. The first analysis traces the migrant path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from the phenomenological and social dimensions by using the ideal types of nationals and strangers. The second analysis examines what cultural resources are used and which narratives are constructed by research participants as they make their way through diverse problematic situations they are faced with due to their migration. Ryeon Jeong-hui, a North Korean migrant, lived as ‘In-min,’ one of the people in North Korea, as an absolute juridical stranger in China, and as part of an ethnic North Korean group in South Korea. Ryeon Jeong-hui did her best to be treated as a full citizen in South Korea, but in her experience, she is not treated as a complete citizen by the Republic of Korea on a daily basis due to her North Korean ethnic characteristics. Under such a problematic situation, Ryeon Jeong-hui identifies herself as a unification activist through the usage of the ‘progressive nationalist narrative.’ She is using such a narrative because she can only become a full modern citizen when the north and the south are unified. Im Jang-chun was raised in a devout religious community in Pakistan. In this respect, he can be considered a conditional stranger. He remained as an absolute juridical stranger when he migrated to South Korea, but he soon obtained South Korean citizenship after he met and married a Korean woman and had a child by her. No matter the changes in his institutional status due to migration, his orientation in life has always been toward the transcendent realm called Islam. For him, the problematic situation is the limitations he faces in publicly maintaining and being acknowledged in South Korea for his Muslim identity. Hence, he uses a ‘multicultural narrative’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atic situation. Bae Jeong-suk lived as a member of an ethnic group in a Korean Chinese village in China. After migration, she lives as a transnational migrant who goes back and forth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because she has legal residentship in both countries. To her, South Korea is a place where she can earn money and China is where her family is. The problematic situation for her is not letting her son fall to the bottom amidst the neoliberal global economic order. She uses a ‘transnational narrative,’ which allows her to maintain intimacy in China and pursue profit in South Korea. Maineori lived as an absolute stranger in Nepal at a time when the pre-modern dynastic state was transitioning into a modern nation-state. He ventured to migrate to South Korea as a laborer after receiving a warning from the Maoists because of his status as a policeman. He remains as an absolute juridical stranger after a short period of having legal status. He has cogitated over how to realize the modern ideal of "people who are equals" since he was young, and he anticipated this ideal to be realized in democratic South Korea. In reality, however, he, as an absolute juridical stranger, is mistreated unfairly by Korean nationals everyday at the factory where he works and in public places. In dealing with his problematic situation, he utilizes a ‘cosmopolitan narrative’ of everyone being equal regardless of one’s native home.

      • 우리나라 영·유아 보육시설 운영제도상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최인영 한성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infancy is a fundamental period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one's whole life, the infant nursing is very important. This infant nursing aims at taking care of infants for their maturer life. Comprehensive diagnosis and prescription of the existing activitie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nursing work, This diagnosis can discover problems of the existing works and give opportunities to find ways to settle them. To build more efficient nursing programs, parents' needs and human, physical, and institutional resources to meet the needs must be provided. When the parents' needs, resources of nurseries, and legal and administrative devices are in harmony, more rational nursing programs will be provided. Therefore, this study aimed at suggesting activation schemes to provide genuine welfare service institutions giving infants in nurseries good nurture and inducing parents to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by comparing infant nursing system in advanced countries with that in Korea and especially examining problems of governmental support and various equipments of nurseries. To improve administrative system of infant day care centers, first, considering that it is a social welfare work required of positive governmental support contrary to other fields including schools, annex preschools, private preschools, religious facilities, and welfare centers, private nurseries need support for all the administrative costs at the same level of national and public facilities and check for substantial administration to elevate the quality of nurture; second, personal expenses and operational costs for facilities among nursing costs as the finance of nurseries must be paid with public finances in that they nurture members of society for the next generation, and graded nursing costs must be applied according to household circumstances; third, nurture appropriate for infancy and more concrete and systematic curricular programs built by experts are required, for which operational policies for nurture must be consistent; and fourth, programs to elevate the quality of teachers are required and their pay and career approval system must be improved in order to allow those working in nurseries to have more enhanced participation consciousness. Most of all, since financial problems of nursing facilities are the greatest reason that qualitative nursing service can't be provided, nursing teachers must be improved qualitatively and given better treatment. As the infancy is a critical period for one's physical, emotional, linguistic, cognitive, social, and personal development, proper nurture in this period can form the basis of the most important human development in one's whole life. This nurture in the infancy is an important issue that can influence one's lifetime. Therefore, it is urgent that welfare policies which enable anyone to be benefited by various and superior nurture service must be provided for child welfare.

      • 초등학교 수업에서 수학 교과 역량으로서의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지도방안 탐색

        최인영 한국교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들의 문제 해결 지도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 해결 지도방안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초등수학교육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수학 교과 역량으로서의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지도방안을 구성하여 실제 수학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현장 교사들에게 수학 교과 역량으로서의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도방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문제 해결 지도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지도 실태는 어떠한가? 1) 문제 해결 지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2) 문제 해결 지도에 대한 실태는 어떠한가? 나. 초등학교 수업에서 수학 교과 역량으로서의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지도방안은 무엇인가? 다. ‘쌓기나무’ 단원에서 문제 해결 지도방안을 반영한 수업의 실제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을 실시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문제 해결 지도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지역별로 초등학교 교사를 편의표집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303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둘째, 문헌 조사 및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수학 교과 역량으로서의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지도방안을 구성하였다. 셋째, ‘연구문제 나’에서 도출한 지도방안과 선행연구를 반영하여 6학년 2학기 쌓기나무 단원의 10차시 수업을 재구성하여 문제를 개발하고 수업 지도안을 마련하였으며 수업에서 나타난 특징적인 교수․학습 활동과 교사의 역할 및 행동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 해결 지도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실태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문제 해결 지도의 필요성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개방형의 문제가 문제 해결 지도에 적절하다고 하였으나, 실제 문제 해결 지도에서는 교사 주도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문제 해결 지도에서의 가장 큰 어려움을 학생들의 개인차라고 답하여 인식과 실태 사이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수학 교과 역량으로서의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지도방안으로서 문제 선정 기준, 수업 모형 및 교수․학습 활동, 교사의 역할 및 행동을 도출하였다. 수학 교과 역량으로서의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지도방안을 고려하여 문제를 선정하거나 재구성할 수 있고, 수업 모형 및 교수․학습 활동을 반영하여 수업 지도안을 작성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 지도에 적절한 교사의 역할 및 행동을 반영할 수 있다. 셋째, 지도방안을 반영한 수업에서 교수․학습 방법에 따라 특징적인 교수․학습 활동과 교사의 역할 및 행동이 나타났다. 협력적 문제 해결을 반영한 수업에서 특징적인 교수․학습 활동은 ‘협력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알기’, ‘해결 방법 공유 및 비교하기’였으며 교사가 협력적인 행동에 대해 구체적이고 지속적으로 안내함으로써 학생들은 자신의 해결 방법을 설명하였고 다른 사람의 해결 방법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 질문을 하였으며 자신의 해결 방법을 개선하는 모습을 보였다. 수학적 모델링을 반영한 수업에서 특징적인 교수․학습 활동은 ‘주어진 수학적 요소와 관계 찾기’와 ‘해결 방법 및 결과 공유하기’였으며 교사가 문제 해결 결과를 원래의 문제 상황에 비추어 확인해보도록 발문함으로써 학생들은 ‘확인하기’의 과정의 필요성을 알게 되었고, 교사가 학생들이 도출한 여러 가지 모델 중 공유할 모델을 선정하고 논의의 순서를 계획함으로써 학생들은 문제 해결에 효과적인 모델을 인식하고 자신의 모델을 개선하게 되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문제 해결 지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교사들은 문제 해결 지도에 대한 인식과 지도 실태가 일치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학 교과서에 있는 각 활동과 문제를 지도하는 것을 문제 해결 지도라고 인식하는 경향도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적절한 문제는 무엇이고, 어떻게 지도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문헌 조사 및 델파이 조사를 통해 도출한 수학 교과 역량으로서의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지도방안은 문제 선정 기준, 교수․학습 활동, 교사의 역할 및 행동으로 이루어져 문제 해결 지도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로 활용할 수 있다. 지도방안의 구성은 문제 해결 지도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조사에서의 초등학교 교사들의 요구와 문제 해결 지도에서의 중요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선행연구를 반영한 것으로 문제 해결 지도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사들의 문제 해결 지도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분석하였고, 수학 교과 역량으로서의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지도방안을 구성하였으며, 실제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수학 교과 역량으로서의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지도방안이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문제 해결을 반영하는 데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의 개정방향

        최인영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구구성의 변화는 사회 전분야에 걸쳐 지각변동을 가져온다. 한 국가의 전체적인 인구구성의 변화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전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 국가적으로 높은 출산률과 생산가능인구가 많은 경우는 국가도 성장세를 띌 수밖에 없으며, 저출산 고령화로 생산가능인구가 적은 경우는 국가도 저성장을 할 수 밖에 없다. 우리사회는 유래없이 저출산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급격한 변화에 따라 2005년 근로자의 노후생활의 대비를 목적하는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으로 제정되었다. 2005년 제정된 법은 법정퇴직금제도와 퇴직연금제도중 제도를 선택할 수 있었는데, 근로자의 노후생활의 대비를 위해서는 연금제도가 활성화 될 수 있는 법적장치들이 마련되어 있어야 함에도 그러한 장치들이 부족하였다. 이에 2011년 전면개정을 통하여 퇴직금 중간정산의 사유제한, 신설사업장의 퇴직연금 도입 의무화, 이직 시 퇴직급여의 개인형퇴직연금으로 의무이전, 수급권 보호를 위한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의 최소부담금액 한도의 단계적 확대,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의 지연이자제 도입, 근로자 교육 의무등이 강화되었지만 근본적으로 근로자의 노후 소득보장장치로 그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충분치 않다. 근본적으로 퇴직금제도와 퇴직연금제도가 병존하면서 법정근로조건이라는 성격과 사회보장이라는 성격이 정리되지 않아, 퇴직금에 대해서는 노동법으로 규율하나, 퇴직연금에 대해서는 금융기관에 대한 감독의 방식 외에 사외적립의무이행 및 수급권보장에 대해 충분한 감독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은 기존의 퇴직금제도에서 퇴직연금제도가 병합되면서 기존의 고용노동부가 관장하는 근로기준 또는 근로복지프로그램의 하나가 아니다. 오히려 이는 국민 노후소득보장의 한축을 담당하게 될 국가적 제도이고 사회보장시스템의 한 축이므로 국가가 사회보장장치의 하나로 자기역할을 명확히 규정하고 그에 걸맞도록 연금지급기간, 방식 등 연금제도에 대한 청사진과 지급보장기구 및 보장장치 등 수급권 보장과 관련한 내용 및 사회보장의 성격에 맞는 관리감독이 될 수 있도록 행정체계를 일원화할 수있도록 관계법령이 제·개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른 세부적 개정방안으로 먼저, 현재는 퇴직금제도와 퇴직연금제도의 사용자 부담금 기준이 상이한 바, 제도상 사용자 부담금의 기준이 다를 명확하고 구체적인 이유가 없는 한, 사용자 부담금은 “매년 평균임금의 30일분”으로 통일되어야 한다. 둘째, 확정급여형연금제도에 있어서 사용자 부담금 수준이 기준책임준비금의 60%로서 절대적으로 부족한 수치로서 100%수준으로 상향화되어야 한다. 셋째, 사용자가 부담금을 제대로 납부하고 있었다 하더라도 사용자의 도산이나 퇴직연금사업자의 도산시 근로자의 퇴직연금은 수급권을 보장받기가 어려우므로 현재의 “계약”형식이 아닌 별도의 근로자퇴직연금기금형식으로 사용자와 퇴직연금사업자와 분리하여 운영하도록 해야 한다. 넷째, 사용자 도산 및 퇴직연금사업자의 도산에 따른 지급보장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바, 지급보장장치를 마련하고 단기적으로 예금자보호제도 및 임금채권보장법을 통한 지급보장 근거를 마련하여야 한다. 다섯째, 당장 별도의 근로자퇴직연금기금을 설치하는 것이 어렵다면, 현실적으로 확정급여형 연금제도를 이해하고 운영할 수 있는 인적, 물적 여력이 있는 규모의 사업자에만 확정급여형 연금제도를 도입할 수 있도록 제한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현재 전체 적립금의 73%이상이 확정급여형이므로, 연금수급권 보호장치가 위와 같이 불충분한 상태에서는 입법목적인 근로자의 안정적인 노후생활대비는 이룰 수 없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퇴직연금이 근로자 노후생활 대비라는 사회보장시스템의 일환임에도 우리의 사회보장법과 제도는 그를 위해 정비되지 않고 있기에, 각 부처별로 흩어져있는 행정체계를 일원화 하여 소위 “사회보장청”이나, 별도의 퇴직연금감독기구를 설립하여 행정책임의 통일을 기해야 할 것이다. A change in the composition of the population brings about a upheaval all over the society. A change in the whole composition of the national population affects all the areas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 country with the high rate of birth and the high percentage of economically active people is expected to show high growth, while the one with the small number of economically active people due to aging and low birth rate is expected to record low growth. Our society sees the unprecedented low birth rate and aging rapidly occurring, which led to the enactment of workers' retirement payment security act in 2005 designed to provide for retirement. The law enacted in 2005 enabled the workers to choose between legal retirement system and retirement pension system. But in order to provide for their retirement, a legal device invigorating the pension system needed to be provided, but there was a lack of devices like that. For such, in 2011, the complete revision strengthened the limitation of early retirement benefits, the obligation of the introduction of retirement pension for new establishments, the required transfer of retirement payment to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 in turnover, the escalation of the limit of the minimum amount of charge in defined benefit retirement pension to protect beneficiary rights, the introduction of penalty interests system for defined contribution retirement pension, and the obligation of educating workers. Basically, however, it is not enough to serve as an income security device for workers' retirement. Basically, as retirement allowance system and retirement pension system coexist, legal working conditions and social security are obscurely characterized. Retirement allowance is regulated by labor law; retirement pension is not fully supervised for the performance of outside accumulation obligation and beneficiary right guarantee besides the supervision on the part of financial institutions. Workers' retirement payment security act is not one of the existing labor standard laws or work benefit programs that are controlled b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s the retirement pension systems are combined from the existing retirement allowance systems. Instead, it is a national system that will play a role in old-age income security and part of social security system. For such, the country should give a clear definition of its role as one of the social security devices, and enact and revise the related acts, so management and supervision can be made that fits the character of social security and the blueprint of pension system including the period and way of pension payment, and the contents related with beneficiary right guarantee, such as payment security organization and security devices and administration system can be unified. For detailed suggestions of revision, firstly, now as retirement allowance system is different in the standard of employers' amount of charge from retirement pension system, the amount should be unified into "30 days of average annual wages" unless there is no definite institutional reason for a different standard. Secondly, for the defined benefit pension system, the employers' amount of charge is 60% of mandatory reserve, which is absolutely insufficient, and it should be increased to 100%. Thirdly, even though management pays its charge properly, it will be difficult for workers to be guaranteed the beneficiary right for retirement pension in case of its bankruptcy or the bankruptcy of retirement pension business operators. So the workers' retirement pension needs to be operated as a form of workers' retirement pension fund, not a form of "contract," with employers separated from retirement pension business operators. Fourthly, since a payment security device should be provided against the employers' bankruptcy or the retirement pension business operators', it should be developed, and in the short term, grounds should be found for payment security through depositor protection system and wage claim guarantee act. Fifthly, if it is difficult to install a different workers' retirement pension fund for now, practically the defined benefit pension system should be limited to business operators who have personnel and money enough to understand and operate the system. The reason is that since over 73% of the total reserve is in the form of defined benefit, it is impossible to achieve a legislative purpose of making workers' old life stable, under the present insufficient conditions of the security device for the pension beneficiary right. Lastly, despite the fact that the retirement pension is part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 for providing for old life, the social security act and system of our society are not improved for it. Therefore, the administration system dispersed into the departments should be unified, and the so-called "Bureau of Social Security" or retirement pension supervision organization should be established so that the unification of the related administrative affairs can be made.

      • 청소년기 실행기능과 정서조절의 관련성 : 정서인식 명확성을 매개로

        최인영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5세 이상 19세 이하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행기능 수준이 정서조절 및 정서인식 명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지역 고등학생 및 대학생 108명에게 OSPAN 과제로 실행기능을 직접 측정하였고, 정서조질문지(ERQ)와 인지적정서조절질문지(CERQ) 그리고 특질상위기분척도(TMMS) 중 정서인식 명확성 문항을 사용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정서조절 전략과 정서인식 명확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실행기능은 억제와 부적상관을 보였고 정서인식 명확성과는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실행기능 수준에 따라, 실행기능 상위집단(1 표준편차 이상)은 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고 억제는 덜 사용했으며, 실행기능 하위집단(1 표준편차 이하)은 억제를 많이 사용하고 적응적 조절전략은 덜 사용했다. 연령 구분에 따라, 18세 미만 고등학생 집단은 실행기능이 높을수록 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을 더 많이 사용했으며, 18세 이상 대학생 집단은 실행기능이 높을수록 자신의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했고 재평가는 더 많이 사용하고 억제는 덜 사용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18세 이상 집단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은 실행기능과 재평가를 완전 매개했으며, 실행기능은 정서인식 명확성을 통해 적응적 조절전략과 부적응적 조절전략에 간접효과를 가진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로써 실행기능 수준이 높을수록 적응에 유리한 정서조절 전략의 사용을 예측하며 자신의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함이 밝혀졌다. 또한 정서인식 명확성은 실행기능과 정서조절을 매개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an executive function affects on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emotional clarity in adolescents aged 15 to 19 years who had developed the executive function. The executive function is measured using OSPAN task, whil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is identified through the Emotional Regulation Questionnaire(ERQ) and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 and the emotional clarity is determined with Trait Meta-Mooed Scale(TMM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xecutive function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uppression while having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emotional clarit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ppression and adaptive regulation strategy among higher-level executive function group(above one standard deviation) and low-level group(below one standard deviation). The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ecutive function and emotion regulation according to age classification has been verified. Executive function and adaptive regulation strategy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high school student group aged under 18 years old. On the other hand, the executive func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reappraisal and emotional clarity, during being negatively related to suppression in college students over 18 years of age. The results support a previous study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executive function, the more one uses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hich are more advantageous for psychological adaptation. This study's contribution i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executive function and emotional clarity.

      • On grammaticalization of near, around, and by in English

        최인영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영어에는 형태가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뒤에 명사가 위치하면 전치사로, 명사가 위치하징 않으면 부사로 분류되는 특징을 가지는 언어 형태들이 다수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전치사와 부사는 많은 문법화 학자들의 관심을 끌어왔고 향후에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는 대상임에 틀림없다. 문법화에서 전치사는 폐쇄범주에 속하여 기능어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부사는 개방범주와 폐쇄범주 모두 속해있어 다양한 의미로의 발전과정을 보이기 때문에 문법화에서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 중에서도, near, around, by는 전치사, 부사로서의 역할을 하며 시간과 장소에서 가까움의 정도를 나타내는 공통점을 가진다. 이에 관한 연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논문은 두 가지 차별적인 논의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고대영어에서부터 기원한 어원을 분석하여 세단어의 의미변화 과정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둘째, 세 단어의 의미적 차이점을 문법화 과정과 인간의 인지적 과정(개념화)과 연관시켜 설명한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near, around, by의 가까움의 정도와 관련된 어원을 Oxford English Dictionary를 통해 분석하고, 현대영어에서 이들이 어떻게 유사한 의미로 쓰이는지, 또는 차이점을 나타내게 되는지를 문법화 기제를 통하여 연구하였다. 특히 문법화의 기제 중, 은유와 환유의 과정이 모두 공통적으로 나타났는데 의미변화의 점진적인 변화들이 주를 이루었으며 이를 통해 전반적으로 환유 과정이 의미변화과정에 큰 영향을 주었음을 주장하였다. 또한 환유적 과정과 더불어 의미변화를 설명하는 데에 있어서 나타나는 현상들이 인간의 인지능력(개념화)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되어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문법화론의 기제들이 설명적 타당성이 있으며 언어 형태의 의미의 구조화에 큰 영향을 주었음을 주장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제 1장 서론에서는 논문의 목적과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제 2장에서는 문법화의 정의와 문법화 기제들인 은유, 환유, 주관화에 대해 설명하였다. 제 3장에서는 Near, Around, By의 가까움의 정도를 나타내는 의미를 시간, 장소, 그 외의 분야로 나누어 고대영어에서부터 현대영어까지의 의미발전 과정과 문법화 기제들을 통해 문법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제 4장에서는 Near, Around, By의 유사한 의미로 쓰이는 예와 차이점을 나타내는 예, 그리고 단어의 특수한 의미를 나타내는 예들을 비교함으로서 은유적, 환유적 과정을 통해 전문화된 의미차이를 설명하였다. 마지막 제 5장에서는 결론에서 본 논문의 목적을 정리하고, 문법화 기제인 은유, 환유가 Near, Around, By의 의미변화 과정을 설명함에 있어서 우수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이고 특히 은유가 누적된 결과로서의 환유의 산물임을 주장하였다.

      • 周易의 互體論에 대한 硏究

        최인영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互體論은 『周易』을 폭넓게 해석할 수 있는 긴요한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互體에 대한 연구나 그 활용도에 대한 인식은 박약한 것이 현실이다. 이 연구는 易學史에서 互體가 어떻게 논의되어 왔는지 그 양상을 살펴보고, 本卦와 互體 그리고 互體의 互體(互互體) 사이에 이어지는 연관성을 규명함으로써 易의 구성과 해석에 있어서 互體가 갖는 중요성을 재조명하고 향후 互體論 연구의 발전방향 및 새로운 해석을 위한 互體의 의미를 제시해 보려는 목적에서 시도되었다. 『周易』 64卦의 互體는 乾・夬・姤・大過・坤・剝・復・頤・睽・解・歸妹・家人・漸 ・蹇・旣濟・未濟가 해당된다. 이 16卦의 互體는 乾・坤・旣濟・未濟 4개의 卦로 귀속된다. 본 논고에서는 이 4개의 卦를 互互體라 명명하였다. 결과적으로 64개의 卦는 乾・坤・旣濟・未濟 이 4개의 互互體를 근원으로 함을 알 수 있다. 互互體는 互體의 初爻와 上爻를 제외한 네 爻를 교호시켜 세운 中爻이다. 따라서 互互體는 本卦의 3爻와 4爻가 중심이 된다. 3爻와 4爻는 人才에 속하는 爻이므로 이로 말미암아 『周易』은 전적으로 사람 중심으로 매겨져 있음이 확인되는 계기가 된다. 또한 互體는 드러나지 않는 의미나 감추어진 복잡한 관계적 양상을 필요에 따라 끄집어내어 포괄적인 해석을 할 수 있으니 互體를 떠나서 易을 해석하기는 참으로 어렵다. 이처럼 호체는 象數的・占辭的 해석시 긴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卦의 구성 및 경문 해석에 있어서도 本卦・互體・互互體 간의 일정한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重天乾과 重地坤은 互互體・互體・本卦에 모두 존재하므로 本互體라 명명하였고 水火旣濟와 火水未濟는 상대에 근원을 두고 있으므로 對互體라 명명하였다. 『周易』은 中天乾・重地坤으로 시작하여 水火旣濟・火水未濟로 끝난다. 64卦 역시 4卦의 互互體로 귀결된다는 것은 이 4개의 卦가 시작과 마침을 주관하며 그 사이의 모든 卦들은 이 4卦의 범주 속에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互體가 『周易』 卦 성립의 중추적 원리로 조명해 볼 수 있는 여지를 열어주며, 동시에 『周易』 해석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互互體의 「彖傳」과 「大象傳」을 중심으로 互體 및 本卦에 드러난 공통적인 의미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互互體 重天乾의 互體와 本卦는 하늘의 위대한 시작에 참여하고 있으며 互互體 重地坤의 互體와 本卦는 만물을 생하고 이루는 大地의 역할에 참여하고 있으며 互互體 水火旣濟의 互體와 本卦는 처음엔 吉하지만 나중엔 어지러워지는 人事에 참여하고 있다. 互互體 火水未濟의 互體와 本卦는 자리가 맞지 않는 것들끼리 서로 應하며 마침이 계속되지 않는 인간의 삶이 內在되어 있다. 『周易』의 배열상 互互體・互體가 존재하는 구조에 따라 水와 火의 분포 양상을 전개해 보면 互互體・互體・本卦 가운데는 天・人・地 三才가 융합되어 있으며 이 융합되어 있는 森羅萬象을 운영해 나가는 것은 水와 火임을 알 수 있다. 徐命膺은 乾은 體가 되고 火는 用이 되며 坤은 體가 되고 水는 用이 된다고 한다. 茶山 丁若鏞은 八卦 演繹의 주체가 되고 四象(봄・여름・가을・겨울)을 생성하는 原質的 요소를 天・地・水・火라고 주장한다. 또한 八卦次序圖의 모순성을 지적하면서 陽이 陰陽을 낳고 陰이 陰陽을 낳으려면 ‘太極'은 陰陽의 ‘混合物’이라는 사실이 전제 되어져야 가능하다고 말한다. 여기에 맞추어 天・火・雷・風은 火로 치환하고 地・水・澤・艮은 水로 치환하여 水와 火의 분포량을 네 개의 互互體 별로 구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된다. 互互體 重天乾은 乾은 體가 되고 火는 用이 되며 旋互體 天風姤 속 澤山咸은 일점의 水水로써 核心卦로 존재한다. 互互體 重地坤은 坤은 體가 되고 水는 用이 되며 旋互體 山地剝 속 風雷益은 일점의 火火로써 核心卦로 존재한다. 互互體 水火旣濟는 水火가 지배적으로 많고 水水와 火火의 量도 동일하나 對〔旋〕互體 火水未濟 속 風山漸만은 일점의 火水로써 核心卦로 존재한다. 互互體 火水未濟 역시 火水가 지배적이다. 水水와 火火의 量도 동일하나 旋互體 風山漸 속 澤雷隨만은 유일하게 水火로써 核心卦로 존재 한다. 64卦를 互互體, 互體로 분류하여 위와 같은 과정으로 살펴본 결과 乾・坤은 體가 되고 水・火는 用이 됨을 확인할 수 있다. 旣濟와 未濟는 水火와 火水가 그대로 用이 됨을 발견할 수 있으며 동시에 乾坤은 陰陽의 혼합물임이 드러난다. 이상과 같이 살펴본 결과 ‘互體’는 『周易』의 폭넓은 解釋과 乾・坤・水・火의 體用을 밝히는 根幹으로써 드러나지 않는 의미를 찾아 규명하는 열쇠가 되고 있다.

      • 라이프스타일과 헬스&뷰티스토어 이용자의 태도가 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인영 창신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목적: 라이프스타일을 기준으로 소비자들을 세분화하여 각 세분화된 집단의 헬스&뷰티스토어에 대한 이용자의 태도와 화장품 구매행동을 파악함으로써 헬스&뷰티스토어 이용자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이용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을 유형화하여 각각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헬스&뷰티스토어 이용자의 태도와 화장품 구매행동의 차이를 살펴보고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부산, 경남지역 10대에서 50대 여성을 대상으로 편의 표본 추출방법에 의해 추출되었다. 설문지를 2019년 3월 1일부터 2019년 3월 15일까지 총 320부를 수집하여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3.0을 활용하여 변인 간 집단 차이 검증을 실시하기 위해 독립 t검증과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고, 신뢰도 검증 및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에 설정된 변인 간에 관계 및 영향관계를 살펴보고자 Pearson의 상관분석 및 다중 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 라이프스타일과 헬스&뷰티스토어 이용자의 태도를 살펴본 결과, 신뢰성과 쇼핑 흥미성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편집매장에 대한 이용자들의 태도는 기존 브랜드에 대한 믿음이 있었고, 다양한 제품을 쇼핑하는 즐거움과 트렌드를 느낄 수 있는 흥미성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국내 헬스&뷰티스토어에서 유통업계의 치열한 경쟁에 대비하여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라이프스타일과 이용자의 태도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에 대응하는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health&beauty store users by subdividing the consumers based on their lifestyle and then understanding the attitude and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of health&beauty store users in each subdivided group. Thus, this study also aim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attitude and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of health&beauty store users in accordance with their lifestyle after stereotyping the users’ lifestyle and then classifying them into groups. Methods: The women in their 10s-50s of Busan and Gyeongnam region were extracted through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otal 320 questionnaires including 170 online questionnaires and 150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 data analysis from March 1st 2019 to March 15th 2019. Using the SPSS 23.0, the independent t-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groups between variables. On top of performing the reliability verification and validity verification, this study also conducted th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correlations and influence relations between variables set up in the research model. Conclusions: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lifestyle and health&beauty store users’ attitude, there were significant results in the reliability and shopping interest. Thus, regarding the users’ attitude towards select shops, the users had trust in the existing brands while also showing the high interest to feel the trend and joy of shopping diverse products. Therefore, in order for the domestic health&beauty stores to secure the competitive advantage to cope with the intense competition in the distribution industry,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differentiated strategies to cope with the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in accordance with lifestyle and users’ attitu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