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습내용기반 시뮬레이터 인터페이스의 설계 및 적용

        최윤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뮬레이션은 매우 효과적인 교육적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활용빈도는 매우 낮은 실정이다. 이러한 현상의 주된 요인 중의 하나로 대부분의 시뮬레이션 환경이 학습자에게 너무 많은 인지적 노력을 요구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로 인해 학습자는 학습과정에서 어려움을 느끼게 되고 시뮬레이터에 대한 흥미 또한 잃어버릴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측면을 고려한 시뮬레이션 설계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시뮬레이터들의 분석을 통하여 시뮬레이션 학습환경 속에서 학습자가 느끼게 되는 인지적 부담의 원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러한 인지적 노력을 가능한 한 줄여줄 수 있는 학습내용기반 시뮬레이터 인터페이스를 설계 및 적용해 보고자 한다. 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학습자는 학습내용을 보다 쉽게 습득할 수 있고, 시뮬레이터 사용에 있어서의 어려움을 줄여줄 수 있을 것이다.

      • 零形態로 實現되는 文法格助詞의 統辭∙意味論的 硏究

        최윤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本考는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省略’이라고 생각해오던 文法格助詞의 빈자리에 관해 그 빈자리가 생략이 아닌 零形態 實現이며 零形態 實現形態가 문법격조사 실현의 기본 형태임을 증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생략’이 아닌 ‘영형태 격조사 실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며 文章이나 構文에 ‘-이/가’나 ‘-을/를’ 등의 문법격조사가 드러날 때 ‘具體的 格助詞 實現’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본고의 見解를 증명하기 위해 영형태 격조사가 어떤 環境에서 실현될 수 있으며, 統辭的․意味的으로 어떤 역할을 하는지 硏究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助詞目錄을 정리하여 연구 방향에 맞게 이들을 格助詞와 特殊助詞로 分類하고, 격조사는 다시 文法格助詞와 意味格助詞로 분류하였다. 이후에 문법격조사들의 다양한 실현 환경을 알아보았다. 가능한 모든 실현환경을 알아보기 위해 다른 격조사들과 문법격조사의 結合을 분석하였다. 문법격조사 單獨 實現뿐 아니라 문법격조사와 의미격조사의 결합, 문법격조사와 특수조사의 결합까지 살펴보고 각 결합에 맞는 代表 例文을 만들었다. 그리고 그 예문을 통해 구체적 문법격조사 실현형과 영형태 문법격조사 실현형의 통사적․의미적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영형태 문법격조사와 구체적 문법격조사 사이에 통사적․의미적 差異가 있음을 確認하였다. 또한 영형태 문법격조사 실현형은 구체적 문법격조사 실현형이 가지는 意味와 情報를 모두 包含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 격조사 실현이 문장의 내용 중 特殊한 情報를 强調하는 기능을 가지는 반면, 영형태 격조사 실현형은 特殊한 意味를 드러내지 않는 一般的 情報 傳達을 目的으로 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分析되었다. 또한 연구결과 영형태 격조사 실현형이 문장의 統辭構造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에는 문법격조사가 실현될 수 있는 모든 환경에서 영형태 격조사가 자연스럽게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以上을 綜合해 보면, 零形態 格助詞 實現形은 統辭的 構成에 影響을 주지 않는 範圍 內에서는 格助詞 實現形의 意味와 情報를 包含하는 意味領域을 가진다. 따라서 言語生活에서 零形態 格助詞 實現이 文法格助詞 實現의 基本이라고 認識되어야 한다. People have been thinking of vacancy of Grammatical case particle as a ellipsis. But this thesis is for the purpose to prove the true that a form of realizing Zeromorph is a basic form of a realizing Grammatical case particle, and that vacancy is not a ellipsis but a realizing Zeromorph. Thus, I use the term 'Realizing Zeromorph Case Particle' not exactly 'Ellipsis' in this thsis. And I use the term 'Realizing Zeromorph Case Particle' when there is Grammatical case particle like ‘-이/가’, ‘-을/를’, etc in the sentence or construction. To prove opinion of thesis, I studied how Zeromorph case particle play a syntatic and semantic role and what situation make it realize. For this reason, first of all, I listed files which is investigated and according to study they are divided into two classes, a case particle and special particle. Then, a case particle is divided into two parts again, 'Grammatical case particle' and 'Meaning case particle'. After that, I investigated a variety of realization-situation of Grammatical case particle. To study all the realization-situation as possible as I can, I did an analysis of something combined a Grammatical case particle and Meaning case particle. I studied not just solo realizing Grammatical case particle, but also union between Grammatical case particle and Meaning case particle, moreover combination between Grammatical case particle and special particle, and I made some representative sample sentences. And, I compared The syntax and semantic difference of the realizing type of specific-Grammatical case particle with the realizing type of zeromorph-Grammatical case particle. As a result, I confirmed that there is a syntactic and semantic differnce between the Grammatical case particle and Specific Grammatical case particle. Also, I confirmed that 'The realizing type of zeromorph-Grammatical case particle' contains meaning and information which are from 'The specific realizing type of Grammatical case particle'. Whereas 'realizing specific case particle has a function of emphasizing special unformation It is analized that 'The realizing type of zeromorph-Grammatical case particle' is used with the object of providing general information that presents special meaning. Also, with the result that I studied, in case 'The realizing type of zeromorph case particle' dosen't influence on syntax structure, it is assured that 'Zeromorph case particle' is realized naturally in all situation that can be realized the Grammatical case particle. Putting it up together, 'realizing type of zeromorph case particle' has meaning-range which includes meaning of realizing type of specific Grammatical case particle and information, according to be unaffected by syntactic construction. Thus, it must be known correctly that 'realizing zeromorph case particle' is the basic of realizing Grammatical case particle.

      • 近代改革期 함경도 儒ㆍ鄕 갈등과 養士 機關의 변환

        최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조선말 함경도 향촌 사회의 질서 변동을 배경으로 대한제국기 함경도 내 전통 교육 기관이 신식 학교로 변환되는 과정을 밝힌 글이다. 조선 시기 함경도에 대한 정책 방향은, 邊境에 위치해 있는 지리적 특징에 따라 文보다는 武 위주로 설정되었다. 함경도의 士族은 경제력도 크지 않아 儒學에 매진하여 科擧에 급제하기가 어려웠고, 대신 그들은 향촌 職任을 차지하고자 노력하였다. 조선말 기존 鄕任을 다수 차지하고 있던 鄕儒層에 의해 직임 경쟁에서 밀려난 世儒層은, 養士 機關의 설립과 鄕約․鄕禮의 시행을 통해 향촌 사회에서의 영향력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갑오개혁으로 신분제와 과거제가 철폐되면서 함경도 향촌 사회에 새로운 사회 변동 세력이 등장하여 세유와 향유의 기득권이 위협받게 되었다. 이에 儒鄕層은 연대하여 중앙에 上疏하고 舊例의 회복을 청하였다. 이후 중앙으로부터 ‘鄕憲’이 내려진 일을 기념하여 鄕飮酒禮를 베풀었다. 그러던 가운데 韓日議定書 체결 등 국난에 봉착하면서, 함경도의 유향층을 포함한 주요 인사들은 향음주례를 베풀었던 咸鏡道京約所에서 漢北興學會를 설립하고 교사를 양성하는 등 교육의 진흥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한북흥학회의 교육 지향은 新舊折衷이었다. 한북흥학회 설립 이후 함경도 내 많은 양사 기관은 신구절충에 입각한 교육 기관으로 변환되어갔다. 교육 활동의 주체는 점차 民人 전체로 확대되었고 공공성을 띤 新式 學校의 확산은 가속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양사 기관으로 대표되는 함경도의 전통적인 교육 기반 위에서, 함경도 민인 일반이 國亡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학문을 적극 수용하려 한 결과였다. This paper examined how the tradi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converted to modern schools in Hamkyung-do during the Korean Empire as the social orders shifted in local communities in Hamkyung-do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Policy directions towards Hamkyung-do during the Joseon dynasty focused on the military aspects rather than the scholarly aspects as the region was situated in the border area. The aristocratic class in Hamkyung-do wielded relatively weaker economic powers, and it was, therefore, difficult for them to focus on studying Confucianism in preparation for the national examination. Instead, the Confucian scholars made an effort to hold official posts in the local communities. By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most of the posts in the local communities were occupied by the local functionary class, whereas the Confucian scholars who were pushed out of such positions aimed to gain more influence within the local communities by establishing educational institutions to foster scholars and implement hyangyak (local community pacts, 鄕約) and hyangnye (local rituals, 鄕禮). As the status system and the national examination were abolished after the Kabo Reform, new groups calling for social change appeared in the local communities in Hamkyung-do, threatening the social order established by the Confucian scholars and the local functionaries. The Confucian scholars united and appealed to the central government, asking for the restoration of the old traditions. Later, they held a local wine-drinking ritual (hyangeumjurye, 鄕飮酒禮) to commemorate the central government’s response of sending the “hyangheon” (a book that recorded the local pacts, 鄕憲) to the region. After the country faced national crisis after the signing of the Japan-Korea Treaty of 1904, influential figures in Hamkyung-do, including the Confucian scholars, established the Hanbukheunghakhoe (North Han River Association for the Promotion of Learning, 漢北興學會) at the Hamkyung-do Gyeongyakso (京約所), where they had hosted the hyangeumjurye, and trained more teachers to overcome the impending crisis by promoting education. The motto of the Hanbukheunghakhoe was to find harmony between the new and the ol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Hanbukheunghakhoe, many educational institutions in Hamkyung-do were converted into institutions that were based on both the traditional and modern school systems. The agents of educational activities were soon expanded to the public, and the spread of modern schools with public missions accelerated. This transition was possible through the joint effort of the people in Hamkyung-do, who openly accepted modern studies on top of their traditional educational foundations, most noticeably the Confucian institutions, to overcome the fall of their country.

      • 주거용 집합건물의 공급 및 관리제도 등에 관한 법정책적 과제

        최윤 대진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높은 인구밀도와 도시화로 한정된 자원인 토지의 효율적 이용이 절실한 우리나라에서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불가피성이 인정된다. 그러나 현재 공동주택은 사법인 집합건물법과 공법인 주택법에 의해 이원적 체계에 따라 규율되고 있다. 중복적 규정으로 인해 법해석과 적용상의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공동주택의 관리에 필요한 법 규정이 미흡한 측면도 있다. 현재 공동주택의 공급방식으로 통용되는 선분양 후시공 방식은 시대적 필요성에서 나타난 기형적인 제도이다. 주택공급확대에 기여한 바는 크지만, 시장 불안정성 및 분양가격의 상승, 분양자의 권리보호의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후분양제도로 점진적 개선이 요구된다. 분양계약의 법적 성격에 대한 논란이 있으나, 분양계약은 집합건물의 완성이라는 측면에서는 도급의 성질을, 완성된 각 구분건물의 구분소유권을 이전하고 인도한다는 측면에서는 매매의 성질을 갖는 혼합계약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사회적 보호대상인 수분양자의 구제책으로 가장 중심적인 제도가 하자담보책임이다. 분양계약에서 하자란 설계도서와 달리 시공된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하자담보책임의 내용으로 계약해제권, 하자보수청구권, 손해배상청구권이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공동주택의 하자담보책임에서도 이러한 권리들이 동일하게 인정되는지 그리고 청구권자 및 소송당사자 등을 둘러싼 법적 논의가 있다. 먼저 계약해제권과 관련하여 집합건물법 제9조 제1항에서 수급인의 담보책임규정인 민법 제667조 내지 제668조를 준용한다고 규정하고 있지만, 완공된 집합건물의 하자로 인하여 계약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경우에는 수분양자는 이를 이유로 분양계약을 해제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하자보수에 갈음하는 손해배상청구권은 사업주체와 계약관계가 없는 최초의 구분소유권자의 특정승계인인 구분소유권자에게 금전채권인 손해배상청구권을 귀속시킬 수 없다고 볼 여지도 있지만, 현재의 구분소유관계와 단계적 관리체계 하에서 분양자에 대하여 담보책임을 추급하기 위하여 특별한 규정을 둔 것으로 보아 집합건물법 제9조의 구분소유자는 현재의 최종 구분소유자로 볼 것이다. 공동주택의 관리의 측면에서도 법적 특수성이 나타나는데, 관리의 주체 및 권한 행사주체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먼저 관리단과 입주자대표회의의 상호관계에 대하여 여러 견해가 있다. 주택법상의 입주자를 집합건물법상의 관리단으로 보아 공동주택 관리업무는 관리주체가 하도록 하며, 입주자대표회의는 이를 견제 또는 감독하도록 하는 의결기관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다만, 이원화되어 있는 구조를 일원화할 필요성이 있다. 집합건물의 공용부분이나 그 대지 또는 부속시설에 대한 제3자의 불법적인 점유나 침해가 있거나 공용부분에 하자가 있어 방해배제나 부당이득반환 내지 손해배상 청구 등에 있어 구분소유자들이 개별적으로 권리를 행사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므로 집합건물 관리단에게 소송의 당사자자격을 부여하고 있다. 하자보수에 갈음하는 손해배상의 성격을 갖는 하자보수금 청구가 공용부분에 관한 경우에도 집합건물법 제25조의 취지상 공용부분의 관리와 관련하여 각 구분소유자들에게 귀속되는 권리를 집합건물 관리단이 단체적으로 행사할 수 있는 법정소송담당의 지위를 병존적으로 부여한 것이라 할 것이므로 공용부분에 관한 하자에 대하여 하자보수청구는 물론 하자보수에 갈음하는 손해배상청구권도 행사할 수 있다고 본다. 종래에 공법적 성격의 주택법과 사법적 특성을 지닌 집합건물법에서 각각 입법의 목적에 따라 집합건물의 관리에 관한 규정을 둠으로써 법체계 자체는 물론 법적용에 있어서도 혼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시정하고, 공동주택의 관리에 관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공동주택을 투명하고 안전하며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여 국민의 주거수준 향상시키기 위해 「공동주택관리법」이 제정되었다. 동법이 시행되는 2016년 8월 12일부터 공동주택의 관리에 관한 사항에 관하여는 「주택법」의 규정에 우선 적용되게 된다. The Aggregate residential buildings and collective residential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consist of large percentage of the types of housing that exist in Korea. Since aggregate residential buildings and collective residential buildings are similar and partially overlap with one another, many questions have been raised as to whether administration of such properties are governed under the Housing Act or the Ownership and Management of Aggregate Building Act. In spite of its importance, the council of occupants' representatives for collective housing have been riddled with conflicts, corruptions and complaints, making a splash in social media. So this study look into the present situation and Legal Problems of warranty against defects in Aggregate residential building under the Act on The Ownership and Management of Aggregate buildings and the Housing Act. In general, the contract for the sale of an aggregate building may be said to be a combination of the sale contract for assignment of the separate ownership of the aggregate building to be subsequently completed and the construction contract for completion of the aggregate building. Purchasers should be entitled to request repair and replacement under the warranty clause or dissolution of the contract, claim damages or reduction of payment against the seller. On 12. Oct. 2016 a Aggregate Residential Buildings Act will be enforced in order not only to unify management system of Aggregate residential buildings but also to resolve related legal problems.

      •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경험에 대한 연구 : 근거이론 연구방법 접근

        최윤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Brain lesions is a former great lifelong disability so it has an effect on the whole life of an individual. Therefore it makes a need on the medical and social management through the entire life. Due to the lack of specialized caring services and organizations in Korea, the only way to take care of the disabled person with brain lesions is by their families. This situation makes life difficult and exhaustion for the disabled families. Brain lesions is a chronic disability that lasts from the birth to the tomb, so it is necessary to have the social concerns and supports on. However, there are insufficient research study on the family experience of caring severe brain lesions children. For the above reason, this study made a plan to research on how the parents of disabled children with brain lesions experienced the maternal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ild-rearing experience of parents with brain lesions and understand their quality of lif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as 11 parents; 4 fathers and 7 mothers. After interviewed 11 parents, those was recorded and transcribed. The interview data, such called the raw data, were analyzed with the ground theory method of Strauss and Corbin. In this study, there appears 312 concepts, 80 subcategories and 20 categories. The specific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 felt not only gloomy and fear mood but also positively capacity of their children. Second, disabled families suffered from the running out of economic and emotional burdens and isolation. Third, most of the relatives including grandparents, cousins, and aunts showed an ambivalent attitude to parents of the disabled children. Fourth, there are the lack of the welfare service, early medical treatment, and appropriate education to the disabled children with the brain lesions. Fifth, the welfare policy and service is not concern about the individuality of the disabled children. Like this, this study is for understanding parents caring disabled children with brain lesions and suggesting the importance on development of the appropriate service and policy for their own needs. Moreover, this study will expand the speciality role and viewpoints in the social welfare practice. 본 연구는 중증뇌병변장애인 그동안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중증뇌병변장애인과 그 가족의 삶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기존 선행연구에서 주로 다루었던 어머니들의 장애자녀 양육경험 연구, 장애자녀 주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 연구 등에서 벗어나 부-모 모두가 경험하는 양육경험을 다각도의 시선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들의 양육경험은 어떠하였는가?”이다. 본 연구에는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아버지 4명, 어머니 7명, 총 11명의 부모가 참여하였고 일대일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는 수집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3월부터 2015년 8월까지였다. 면담내용은 Strauss & Corbin(1998)의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되었고, 분석된 내용은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유형분석, 상황모형으로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방코딩을 통해 총 312개의 개념을 도출하였고, 이 개념들을 유사하거나 공통적인 것들로 묶어 하위범주화 하여 총 80개의 하위범주를 구성하였다. 이를 다시 의미상 공통적인 것들로 정리한 결과 최종적으로 총 20개의 범주를 구성하였다.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들의 양육경험에 대한 범주는 ‘장애 부정하기’, ‘궤도를 잃고 방황하기’, ‘가족 딜레마’, ‘환영받지 못하고 떠도는 삶’, ‘순탄치 않은 지난한 현실’, ‘불안과 동거’, ‘사회로부터 자기 자신 가두기’, ‘개별성을 무시한 균일화’, ‘치료 소진’, ‘돌봄 소진’, ‘소외현실 속에서 혼자서기’, ‘장애인복지 후진사회’, ‘버티는 힘으로서의 가족’, ‘산전수전 다 겪은 후 바꾸어 변화하기’, ‘한계 상황에서 희망의 끈 부여잡기’, ‘연대하여 차별의 벽 넘기’, ‘두려움을 피해 우회적 벗어나기’, ‘평범하고 행복한 삶 바라기’, ‘장애자녀 본 모습과 마주하기’, ‘부모자녀 공동 운명체 인식’이었다. ‘소외현실 속에서 혼자서기’라는 중심현상의 발생 이후 시간의 흐름과 사회적 맥락 속에서 각 범주들의 연관성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흘러가는지에 대한 과정분석을 한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자녀의 장애진단 이후 〈충격단계〉, 〈추스르기 단계〉, 〈좌절 단계〉, 〈현실수용단계〉, 〈세상과 함께 가기 단계〉의 총 다섯 단계를 장애자녀 양육 속에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코딩에서 구성한 패러다임 모형과 과정분석을 통해 각 범주들을 수렴하는 또 하나의 범주를 밝힌 결과 핵심범주는 “장애자녀의 한계상황에서 선택과 집중의 전략으로 평범한 삶 꿈꾸기”로 도출되었다. 핵심범주에 따른 부모들의 양육 유형을 분석한 결과 ‘정면돌파형’, ‘우회형’, ‘회피형’,의 총 세 가지 유형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총 5가지의 논의와 제언을 언급하였다. 첫째, 주 양육자의 희망과 안녕에 대한 논의이다. 장애자녀의 양육은 부모에게 우울과 절망적 개념을 넘어서서 삶 속의 희망의 발견하게 하는 매개역할을 하였다. 둘째, 장애가족들의 양육소진과 경제⋅정서적 부담 및 사회적 고립에 대한 논의이다. 셋째, 가족의 이중적 태도에 대한 논의이다. 조부모, 비장애자녀, 친⋅인척을 포함하는 가족은 장애자녀 주 양육자에게 일차적인 지지체계이지만 동시에 장애자녀 포기압력이나 조언을 가하는 양육방해자의 역할을 하기도 했다. 넷째,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중증뇌병변장애인을 위한 이용자중심의 치료와 서비스 및 정책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이다. 마지막으로 장애진단명으로 제공되는 단일화 서비스가 아닌 장애인 개개인의 개별성을 강조한 복지서비스 및 제도에 대한 논의이다. 이렇게 본 연구는 11명의 부모들의 심층면담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근거로 장애자녀, 특히 중증장애인을 양육하는 부모들의 생생한 경험을 밝히고, 이를 통해 장애자녀 양육의 어려움과 그 속에서 존재하는 여러 구조적 문제들을 진단하였고, 이는 사회복지 차원에서의 실천적 개입방안을 연구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라고 사료 된다.

      • 國際複合運送人의 責任에 關한 硏究

        최윤 경기대학교 대학원 1988 국내박사

        RANK : 247631

        I. Pref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researches on the International Multimodal Transport Operator's Liability relating to the UN Convention on International Multimodal Transport of Goods, which is one means of facilitating the orderly expansion of world trade. The phenomenal development of Containerized transport has made it easy to integrate different modes of transport on the basis of a multimodal transport Contract from a place in one country at which the goods are taken in charge by the Multimodal Transport operator to a place designated for delivery situated in a different country. Thus, for the international arrangement and unification of legal regime on that kind of transportation, the United Nations adopted the Convention on International Multimodal Transport of Goods on May, 1980. The instrument is significant and should be of interest to those who are concerned with the international transport of goods, especially those involved in international trade and transportation on an operational basis. The convention reflects the Variety of Contracts Concerned and represents a distinct departure from the earlier transportation liability Conventions, which were basically legal and technical documents. The Convention is also an integral part of a long term strategy of the developing Countries to realize maximum economic benefit from the international transport sector. For these reasons its coming into force will affect the world trade and transportation operating system. The major content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II. Identity of the Multimodal Transport Operator The Hague Rules stipulates only that carrier includes the owner or the charterer who enters into a contract of Carriage with a shipper. The Hamburg Rules defines that Carrier means any person by whom or in whose name a contract of carriage of goods by sea has been concluded with a shipper. Multimodal Transport Operator (MTO) means any person who on his own behalf or through another person acting on his behalf concludes a multimodal transport contract and who acts as a principal, not as an agent or on behalf of the consignor or of the carriers participating in the multimodal transport operations, and who assumes responsibility for the performance of the contract. Thus, under the UN Convention the responsibility of carriage is put upon the MTO only, and the MTO shall be liable for his acts and his servants, agents or other Subcontractor within the scope his employment. III. Basis of the Multimodal Transport Operator's Liability The basis of the MTO's liability, as in the Hamburg Rules,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presumed fault or neglect, but unlike the Hamburg Rules, there are no exceptions. UN Convention specifies the basis of the liability in article 16 that MTO shall be liable for loss resulting from loss of or damage to the goods, as well as from delay in delivery, if the occurrence which caused the loss, damage or delay in delivery took place while the goods were in his charge as defined in article 14, unless the MTO proves that he, his servants or agents or any other person referred to in article 15 took all measures that could reasonably be required to avoid the occurrence and its consequences. In case of delay in delivery, when the goods have not been delivered within the expressly agreed upon or, in the absence of such agreement, within the time which it would be reasonable to require of a diligent MTO, having regard to the circumstances of the case. IV. Limitation of the Multimodal Transport Operator's Liability Hamburg Rules Stipulates the Limitation of Liability of the Carrier, Limited to an amount not exceeding 835SDR per package or other shipping unit or 2.5 SDR per kilogramme of gross weight of the goods lost or damaged, whichever is the higher. On the other hand, Multimodal Transport Operator under UN Convention is liable for loss resulting from loss of or damage to the goods at an amount not exceeding 920 SDR per package or other shipping unit or 2.75 SDR per kilogramme of gross weight of the goods lost or damaged, whichever is the higher. Notwithstanding the above provision, if the international multimodal transport does not include Carriage of goods by sea or by inland waterways, the MTO's Liability is Limited to an amount not exceeding 8.33 SDR per kilogramme of gross weight of the goods lost or damaged. The Liability resulting from delay in delivery is limited to an amount equivalent to two and a half times the freight payable for the goods delayed, but not exceeding the total freight payable under the multimodal transport contract. V. Loss of the right to Limit Multimodal Transport Operator's Liability Multimodal Transport Operator is not entitled to the profits of the Limitation of Liability Provided for in UN Convention, if it is proved that the loss, damage or delay in delivery resulted from an act or omission of the MTO done with the intent to cause such loss, damage or delay or recklessly and with knowledge that such loss, damage or delay would probably result. VI. Conclusion As UN Convention shall enter into force 12 months after the 30 states have either signed it not subject to ratification, acceptance or approval or have deposited instruments of ratification, acceptance, approval or accession with the depository, I think it is difficult for it to come into force in the near future. It is because only a few countries have ratified this convention by these day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objectives of adoption of this Convention is to hold MTO Liability for Loss, damage or delay in delivery of the goods. and International practice, generally, MTO's Liability System is adopted Network Liability system in advanced countries, Uniform Liability System in developing Countries. As not a few foreign leading multimodal companies make aggressively inroads into our Korean shipping market, it is imperative that our domestic shipping Companies, especially multimodal enterprises, should take some productive measures, such as Capitalizing the industry Concerned, accelerating technical development, increasing international Competitive edge and placing priority to the extensive man power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