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ergei Prokofiev의 Piano sonata No.3 in a minor, Op.28"의 分析

        최윤순 淑明女子大學校 1990 국내석사

        RANK : 247631

        Sergei Prokofiev(1891-1953), born in Russia, is widely known as a pianist and composer, who composed the most piano pieces since Debussy in the 20th century of various isms. It is helpful to understand him that we study his nine piano pieces composed for 40 years, from 1907 to 1953. The ≪Piano Sonata No.3≫, which was studied in this study, is the one of his early pieces and has some features. In its form, it takes the sonata of a single chapter. Its melody chiefly uses chromatique mode (upward and downward motion) and nonharmonic tones and its chord is expressed by dissonance along with 7th, 9th and 11th chord. In the form of rhythm, it is varied by the using of triplets, and is emphasized by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colorfulness and strained feeling. From these several features, it is found out that the main elements of its structural features are developed and enlarged from the traditional forms and the traditional tonality is not clear due to the nonharmonic tones. These features can be interpreted as a transitional phenomenon that functional harmony is gradually destroyed in the periodical situation which tonality music is changed into atonality music.

      • 정신질환 노숙인의 지역사회정착방안에 관한 연구 : 아침을 여는집 중심으로

        최윤순 명지대학교 지방자치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97년말 IMF이후 일반노숙인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지만, 오래전부터 우리사회에 존재하고 있었다. 그들 대부분은 대개 ‘부랑인’, ‘행려자’라고 불렸다. 그런데 갑자가 그 수가 늘어나면서 정부와 민간에서 관심을 갖고 대책을 세우게 되었던 것이다. 이제 노숙인 지원사업은 올해로 5년을 맞이했지만, 그 수는 쉽게 줄어들지 않고 있고, 새로 노숙인이 되는 사람들이 해마다 발생하고 있다. 이제 노숙인을 지원하는 체계에 변화가 불고 있다. 전문화·유형화 쉼터가 추진되고 있으며, 아웃리치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장기계획과 체계적인 시스템을 만들어가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바로 그 한가운데 정신질환 노숙인이 있다. 정신질환 노숙인은 정신질환 때문에 노숙을 하게 되었는지, 혹 노숙 때문에 정신질환을 갖게 되었는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그러나 정신질환은 제때 치료하지 못할 경우 사회기능이 퇴화되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질병이다. 더욱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마땅한 주거가 없는 상태에서 퇴원한 정신질환 노숙인은 제대로 된 사후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재발을 반복하며, 만성화가 진행된다. 정신질환은 만성화로 경제력을 상실하고 있어 주변의 도움을 필요로 하지만 정신질환 노숙인은 가족·친구·친척으로부터 단절되어 있어 사적 지지체계의 도움을 받는 것이 부재한 상황이며, 정신보건과 노숙인을 위한 사회복지체계에서 조차 소외되어 있다. 이제 정신질환 노숙인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과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그것은 정신질환 노숙인이 지역사회에서 정착하여 생활할수 있도록 주거, 의료, 일상생활관리, 직업재활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정신질환 노숙인의 지역사회정착에 관한 연구를 하기 위해, 첫째, 쉼터 가운데 정신질환 노숙인을 위해 서비스를 진행중인 보문동 아침을여는집은 전문지역자원과의 연계를 통해 적절한 의료서비스, 직업재활, 일상생활관리가 진행되고 있어서 그 운영상태와 서비스제공실태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둘째, 쉼터 및 자유의집 등에서 생활하는 정신질환 노숙인을 면접조사를 통해 발병에 다른 의료서비스 접근성과 사회지지체계의 지원여부, 주거문제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셋째, 정신질환 노숙인을 지지하는 사회지지자원과 면접조사를 통해 지역사회정착방안을 중심으로 의견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아침을여는집에서 제공한 서비스분석에서 퇴소사유로 알코올 문제가 표출되었다. 이것은 정신질환과 알코올중독을 중복장애로 갖고 있는 경우가 있었고, 초기 알코올 중독도 서비스대상으로 진행하다가 의료시스템의 부재와 인력부족등으로 서비스대상에서 제외되었기 때문이다. 또 직업재활은 정신질환이 만성화되어 직업능력을 상실하여 몇 명을 제외하고는 공동부업장과 공공근로에 치중되었다. 퇴소후 주거를 살펴보면 14명이 자유의집에서 입소하여 다시 9명이 자유의집에 재입소하였다. 이는 현재 노숙인 지원사업의 명확한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다. 한 쉼터에서 퇴소하였을 때 정신질환 노숙인이 머물수 있는 쉼터의 부재로 자유의집에 재입소하게 된 것이다. 정신질환 노숙인과의 면접조사를 실시하고 그 분석내용을 살펴보면 사회적 지지그룹인 가족, 친구, 친척 등의 지지가 상실되어 있었고, 적절한 시기에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해 만성화가 진행되었다. 실무자에게 지지를 받았으며, 의료와 일상생활에서 도움을 받았으며 개인별로 기능에 맞게 진행된 경우는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주거문제는 거주할 곳이 없이 쉼터·자유의집에 머무르고 있으나 증상으로 인해 안정적인 직업활동을 하지 못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로 인해 직업활동을 통해 저축하여 집을 구하겠다는 생각은 현실화되기 어렵다. 또 다른 해결책으로 정부에서 임대아파트를 지원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주장보다는 수동적인 자세를 갖고 있었다. 정신보건법을 보면 정신질환자는 스스로 활동능력에 문제가 있으므로 타인의 보호를 받아야 한다는 규정을 두고 있다. 보호의무자로 민법상의 부양의무자 또는 후견인을 두고 있지만, 사적 지지체계가 붕괴된 정신질환 노숙인에게는 무의미한 조항일 뿐이다. 또한 이들은 이미 만성화로 경제력을 상실하여 사회적 지원체계 없이는 직업재활을 하기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어서 개인의 능력으로 주거를 마련하는 것은 요원한 상태이다. 사회지지자원을 면접조사하여 분석한 내용을 보면 정신질환 노숙인은 가족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으나 정신질환자에게 필요한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며, 의료서비스면에서는 이미 질환이 만성화되어 단기치료가 아닌 장기치료가 진행되어야 한다. 사례관리와 다양한 사회자원과 연계를 통해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정신질환 노숙인의 주거문제를 풀기 위한 노력은 전무한 상태이다. 그나마 최근 진행되고 있는 정신질환 노숙인 전문쉼터는 전문인력 보강이 우선되어야 한다. 정신질환 노숙인의 주거문제는 우선 소규모 정신질환 노숙인쉼터의 부재로 인해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곧 사회복귀시설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장 큰 원인은 빈곤의 심화와 주택문제로 보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숙인 지원사업 전체를 보는 관점의 변화가 필요하다. 특히 만성화된 질환으로 경제력을 상실한 정신질환 노숙인에게 지속거주 가능한 주거가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한 지역사회정착방안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Ⅰ. 정신질환 노숙인이 지역사회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정신질환 노숙인 전문쉼터 기능확대가 필요하다. 즉 정신질환 노숙인을 위한 서비스 센터의 기능이 부여되어야 한다. 쉼터에 입소한 정신질환 노숙인에게 필요한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정신건강센터 등 전문기관과 지원체계 구축, 자활의집을 활용한 그룹홈을 지속적인 사례관리를 진행한다. Ⅱ. 2002년 현재 정신질환 노숙인을 위한 전문쉼터는 한곳만이 진행되고 있다. 정신질환 노숙인의 규모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전문쉼터를 확대하여 지원체계를 다양화하고 체계화해야 한다. Ⅲ. 정신질환 노숙인 쉼터와 그룹홈에 거주하면서 증상이 안정화되고 독립주거가 가능한 경우에 임대아파트 혹은 장기거주주택등 장기적인 주거가 제공되어야 한다. We concerned with the general homeless since the late 1997, IMF, but they had existed in our society for a long time. Most of them were usually called 'vagabond' or 'sleeper in the open air'. But a government and a NGO took a measure about the homeless, increasing the number of homeless unexpectedly. Now the task of supporting homeless has been for five years. But the number becomes worse, and year after year we can see the new homeless. Now then the system which we support them is changing. We are progressing the specialized and typical shelters, developing the out-reach programs, and promoting a long-range plan and a reasonable system. Here the most essential problem is the homeless who have a mental illness. We don't know which reason is right. One becomes a homeless because of a mental illness, the other becomes a mental patient because of a out-camping. But if they are cured lately, they take pains because they can't accomplish the social activities. More serious thing is what the illness returns and becomes chronic, if they leave hospital without a shelter. Because chronic mental patients cannot earn their living, they need to be supported to others. But because they are isolated from their family, friends, and relatives, the homeless who have a mental illness have no private assistance, and even the social welfare system neglects them. We must provide them with the systematic out-reach and service. The solution must be approached from the various ways such as the providing residence, medical service, normal assistance in life and job self-support for them to be familiar with a community. To research how the homeless of mental illness live in the community First, I analyzed operation condition and the actual state of service supply of "the House Opening Dew in Bomun-dong", one of the shelters, with the its programs such as an appropriate medical services, a job self-support and the normal assistance in the life linked with the special local sources. Second, I researched problems focusing on how we can access the medical services according to a cause of illness, whether we provide the social assistance or not and how we solve the problem of housing based on interviewing them who live in shelter or "The Seoul Freehouse for Homeless". Third, I summarized a solution from the interviewing them who are the social supporting source specially focusing on the way of how to make homeless live in a community. My thought based on this research is following. There was the problem related to a alcoholic in the analysis of service which "the Opening Dew House" provided. It is because homeless are suffering from the alcoholic and mental disease simultaneously, and even a alcoholic in the first stage was excluded from the service object due to the shortage of the medical systems and a manpower. Once more a job self-support was concentrated in the common side job and the public work except for some, because they lost a job ability due to the chronicity of mental illness. After leaving shelters, observing them, 9 out of 14 re-entered "the Seoul Freehouse for Homeless". This reveals the obvious limitation of homeless support. Because we have no enough shelter for them, they are obliged to re-enter "the Seoul Freehouse for Homeless". If we analyzed the outcome from the interviewing them, we would know that they had no assistance of family, friend and relative, so called the social supporting group, and their illness was chronic due to late cure. In the case of them who were supported properly according to their situations including an appropriate support by the manager and the medical and life service, it was said to helpful to them. Even though they stayed at the shelter, "the Seoul Freehouse for Homeless", they had troubles economically, because a mental illness made them impossible to make money with own themselves. So it is true that it is impractical for them to save and buy a house getting a job. The other way which government supplies a rental apartment is not positive but passive. "The law of mentality and health" states the mental patients can do nothing for themselves voluntarily, so they have to be supported by others. It states that they should be supported on the basis of civil law, but the clause is of no use to them because the private supporting system for them are broken. And they cannot buy a house for themselves, because the chronic mental disease cannot make them obtain a job without the social supporting system. When I analyzed it based on interviewing the social supporting source, they were not supported by their family. So we must provide them with an appropriate services. As the aspect of the medical service the chronic illness must get cured for a long time not for a short time. We must appropriately serve them based on linking to a case study and a various social source. However, we make no efforts to solve their problem of housing. The latest special shelters for them must fill up a special manpower prior. Because of the absence of the small-scale shelters for them, their problem of housing occurs. The crucial problem stems from the view which should be changed from a narrow view which regards the main problem as the worse poverty and the shortage of house to wide one which should be approached throughout the related field all to solve it. Particularly we must provide them with a house to reside continuously, because they can't earn their living for themselves due to the chronic illness. My proposal based on this research is following. First, it needs to enlarge the role of the shelter so as to for them to live in the community. Namely, the shelter should add the role as the service center for them. We must provide them enter shelter with a special service, construct an institution in their charge and supporting system like "the Local Mental Health Center" and progress the continuous case study based on the group-home which put to practical use "the House of Self-support" Second, in 2002 the special shelter for them is only one. We must know how big the scale of them is and diversify and systematize supporting system concerning with the proper special Shelter. Third, we must provide the continuous house like a rental apartment or a house to live in for a long time, if their shelter and a group-home make them stabilize a illness and be possible to reside for a long time.

      • 디자인 룰 50나노 이하의 메모리 소자 제조 공정 중 구리 화학기계적 연마 공정에서 유기산화제가 연마율 및 평탄도에 미치는 영향

        최윤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ncrease of removal rate and surface uniformity of copper (Cu) film in Cu chemical mechanical planarization (CMP) was investigated by controlling the corrosion behavior of the Cu film. Butylamine (BA), ethanolamine (EA), hexylamine (HA) and tert-butylamine (TBA) were used as organic oxidizers of Cu film. The interaction between organic oxidizers and the surface of the Cu film was determined by potentiostatic measurement using a potentiometer and by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Organic oxidizers decreased the open circuit potential of Cu film, which resulted in thick oxidation layers. Cu CMP slurry with organic oxidizers showed higher removal rate (267.43%) and low within wafer non-uniformity (WIWNU) (78.61%), which resulted from soft Cu2O layers by organic oxidizers.

      • 에밀에 나타난 여성관

        최윤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Dans ce me′moire, nous avons e′tudie′ les images de femme de′crit par Jean-Jacque Rousseau dans l'E′mile. Comme nous le savons bien, le 18e`me sie`cle est un sie`cle de lumie`res en France. Montesquieu, Voltaire Diderot sont aussi les philosophes importants du sie`cle de lumie`res. Dans la me^me e′poque Jean- Jacques Rousseau' a bien essaye′ de de′crire la socie′te′ francaise par ses oeuvres (Discours sur l'origine de l'ine′galite′, Du Contrat social, Discours sur les Sciences et les Arts, l'E′mile). La caracte′ristique des ide′es d'e′ducation de Rousseau se base sur la nature. Dans l'ordre naturel, les hommes sont tous e′gaux et libe′raux. L'e′tat sauvage de nature se compose de la nouriture, la femelle et le repos. Les deux sexes sont tous e′gaux. Cenpendant les hommes civilise′s qui se sont e′vade′s de l'etat de nature doivent vivre ine′galement. Rousseau a e′te′ en rapport avec des femmes pendant toute sa vie. Il a eu en effet de l'amour maternel duns ce rapport. Nous rapportons ici les trois femmes qui ont exerce′ une grande influence sur lui : M^(me) Warens, M^(me) d'Houdetot et M^(me) Le Vasseur. M^(me) Warens, Rousseau 1'a conside′re′e comme sa me`re ; Le rapport entre les deux amants e′tait aussi celui d'une me`re et son fils. M^(me) d'Houdetot e′tait la partenaire de 1'amour le plus passionne′ et M^(me) Le Vasseur qui e′tait sa femme le′gitime e′tait celle de l'amour physique. Nous avons analyse′ conside′rer les syste`mes d'e′ducation des femmes, base′s sur la nature de Rousseau. pour lui toute l'e′ducation des femmes doit e^tre relative aux hommes. Elie doit e^tre instruite seulement pour l'homme. Mais le fait qu'il a traite′ la femme comme un cible d'e′ducation a` cette e′poque- la` est un e′ve′nement inoubliable. Au 19e`me sie`cle J, S, Mill a insiste′ que la domination d'un sexe a` l'autre est pernicieuse a` la soci′ete′. Crest a dire, La femme doit e^tre instruite e′gal l'homme. Il s'inte′resse aux droits politiques des femmes et a` leur participation politique. pour lui, la femme s'inte′resse a` bien-e^tre social aussi De nos jours, les deux sexes doivent partager leur me′nages et leur e′ducation. Les femmes ne peut plus obstacler au sexe ne′, s'exerce′es sa compe′tence et sa disposition. On participera a` la politique, la e′conomie, la civilisation dans tous les domaines.

      • 미국 무기이전정책의 변화 요인 분석 : 2008년 한국 FMS 구매국 지위 격상 사례를 중심으로

        최윤순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국은 무기이전정책(Arms Transfer Policy)을 대외정책의 핵심수단으로 사용해 왔다. 무기이전은 통상 무역과는 달리 경제적인 요인에 의한 영향 보다는 정치적, 안보적 요인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는다. 판매한 무기가 언제든 자국 안보에 직・간접적인 위협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기이전에 있어서는 경제적 요인뿐 아니라, 정치적・외교적・기술적 요인을 고려하여 정책을 결정한다. 한국은 미 군정시기부터 현재까지 군사력 건설에 있어 미국 무기이전정책에 많은 영향을 받아왔다. 특히 한국은 미국 무기이전 방식이 무상 지원에서 유상 구매로 전환한 1978년 이후, 세계에서 미국의 무기를 가장 많이 구매한 국가 2위일 만큼 미국의 우수한 고객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 속에서 2008년 미국이 한국의 FMS 구매국 지위를 상향 조정한 사건에 주목하였다. FMS의 우수 고객인 한국이 NATO + 3개국(일본, 호주, 뉴질랜드)이라 불리는 국가들과 동일하게 무기를 판매함에 있어 의회 심의대상 선정 조건의 완화, 의회 심의기간 단축, 부가비용 면제 등의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된 것이다. 이 사례는 미국이 무기수출통제법을 제정한 1976년 이래로 구매국의 지위를 조정한 첫번째 사례이며, 그 시기에 미국의 무기이전정책의 기조와 제도의 변화가 없었음에도 한국의 FMS 지위만 상향 조정되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요인을 분석하게 되었다. 연구 결과, 미국 무기이전정책의 변경 요인은 4가지로 축약해 볼 수 있다. 첫 번쨰는 동북아 역내에서 중국의 부상으로 한미 동맹의 결속력 강화가 필요한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중국의 상하이 협력기구(SCO) 창설, 러시아와의 최초 연합훈련 등으로 미국은 한국과의 유대감을 돈독하게 유지하기 원했기 때문에 한국의 요구사항을 수용한 것이라 볼 수 있다. 두 번째는 양국간의 복잡한 군사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유인책으로 사용했다는 것이다. 당시에는 주한미군의 감축,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 한국 전쟁예비물자(WRSA-K)의 폐기 등 군사적으로 양국 간의 협의사항이 굉장히 많았던 시기이다. 따라서 이러한 현안들의 협상을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이끌기 위한 레버리지로 활용했다는 것이다. 세 번쨰는 미국 방위산업의 양성을 위해 구매력이 있는 우수 고객에 혜택을 부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탈냉전 이후 미국 무기 판매량은 감소추세에 있었고 특히 1999년 이후 미국의 무기 수출량은 급감했다. 따라서 미국은 방위산업체의 활성화를 위해 우수고객에 대한 혜택을 제공하여 구매를 늘리고자 했을 것이다. 네 번째는 한국의 방위산업의 발전으로 대미 무기 의존도가 감소되는 현상을 우려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대미 무기 의존도가 감소되면 미국의 경제적 이익 뿐 아니라, 정치적 영향력 또한 감소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위 4가지 사항을 종합적으로 판단했을 때, 미국은 동북아에서의 영향력을 유지하고, 한국과의 군사적 현안 해결에 있어 유리한 여건을 보장 받기 위한 수단으로 무기이전정책을 활용하였다. 또한 무기판매량을 늘려 미국 방위산업을 증진시키는 등의 경제적 이익을 위해 무기이전정책을 변화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