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양화 '6대가'의 탄생 : 《십명가산수풍경화전》(1940)과 《동양화 여섯분 전람회》(1971)를 중심으로

        최우경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aims to trace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six traditional korean-style painters from their emergence as artists to their recognition as masters, collectively known as the 'Six Great Masters'. To accomplish this, I concentrated my research on the exhibitions that recognized these artists as "masters" or "masters of art," the writings of art historians, exhibition organizers, and critics about each of them, and their position in the art market. In particular, this thesis examines the establishment of the ‘Six Great Masters’ by focusing on the exhibition, an art system that solidified the ‘Six Great Masters’ as the dominant 'tradition' of Traditional Korean-Style Painting. In other words, it focuses on how the reputation of the ‘Six Great Masters’ was established through the exhibition event and aims to broaden the framework of the ‘Six Great Masters’ to include their relationship with the art system. In this context, the emphasis is not on tracing the lineage of Sanshou paintings based on style, but on exploring the history of their appreciation, consumption, and enjoyment as a collective body recognized as the 'Six Great Masters' and the concept of 'masters' or 'renowned masters'. The Exhibitions have dubbed them the 'Six Great Masters', their work has sparked discussions in criticism, establishing them as the most significant 'tradition' of orientalization. Therefore, this thesis focuses on two exhibitions that presented them as 'masters', “Ten Great Masters Sansu Landscape Paintings Exhibition”(1940) and “Six Great Masters of Traditional Korean-Style Painting Exhibition”(1971), to explore the interactions between exhibitions, the discourse surrounding 'masters', curators, media, and markets. First, it focused on the “Ten Great Masters Sansu Landscape Painting Exhibition” in 1940, also known as the "Ten Great Masters Exhibition". We traced the formation of the "Ten Great Masters" by examining the way the curator, Oh Bong-bin historicized the trend in the 1940s, as well as articles and reviews based on the activities of the Ten Great Masters. In addition, “Six Great Masters of Traditional Korean-Style Painting Exhibition”, which showcased the ‘Six Great masters’ who were already acknowledged as masters, will be analyzed. Secondly, this thesis analyzes the influence of the growth of the Korean economy in the 1970s on the reputation of the ‘Six Great Masters’, and how the concept of the Six Great Masters differs from that of the 1940s when they were first celebrated. This involves comparing how the exhibition's curators, Oh Bong-bin and Lee Gu-yeol, contextualized the 1940s and 1970s. Finally, this thesis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he ‘Six Great Masters’ in the 1980s art market, as well as the exhibitions organized after the“Six Great Masters of Traditional Korean-Style Painting Exhibition” and the discourse surrounding them. The aim is to comprehensively reveal the art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Six Great Masters’ from modern to contemporary times. 본 논문은 ‘6대가’라 불리는 이들을 중심에 놓고 6명의 동양화가가 신진작가에서 대가의 반열에 오르게 되기까지의 역사적 궤적을 추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필자는 이들 작가를 ‘대가’ 혹은 ‘명가’로 호명한 전시와 각 ‘대가’들에 대한 미술사가 및 전시 기획자, 비평가의 글, 그리고 미술시장에서 이들의 위치에 초점을 맞추어 조사를 진행했다. 그중에서도 본 논문은 ‘6대가’를 한국 동양화의 가장 강력한 ‘전통’으로 만든 미술제도인 ‘전시’를 중심으로 6대가의 성립과정을 추적한다. 즉 6대가의 명성이 전시라는 이벤트를 통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집중하며 6대가에 대한 분석의 틀을 미술제도와의 관계로 확장시켜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양식에 입각하여 산수화의 계보를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6대가’라는 명칭하에 이들을 ‘대가(大家)’ 혹은 ‘명가(名家)’라는 개념으로 호명해서 하나의 그룹으로 감상·소비·향유되어 온 역사에 초점을 맞춘다. 전시는 이들을 ‘6대가’로 소환했고, 비평은 이들에 대한 담론을 생산함으로써 이들을 동양화의 가장 중요한 ‘전통’으로 만드는 결정적 계기를 제공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들을 ‘대가’로 호명한 두 전시인《십명가산수풍경화전》과《동양화 여섯분 전람회》를 중심에 놓고 전시와 ‘대가’와 관련된 담론, 기획자, 매체, 시장이 연동하는 방식에 대해 탐색했다. 먼저 1940년 ‘10대가’를 호명한《십명가산수풍경화전》을 중심으로 기획자 오봉빈이 1940년대의 흐름을 역사화시킨 양상과 함께 10대가의 활동 내역을 토대로 그에 대한 기사와 평론을 살펴보며 ‘10대가’의 형성에 대해 추적했다. 이와 더불어 이미 거장으로 불렸던 6대가를 한자리에 모은《동양화 여섯분 전람회》(1971)를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 먼저 1970년대 한국 경제의 성장이라는 배경하에 형성된 6대가의 명성과 나아가 6대가 개념이 처음 이들을 호명한 40년대와 비교했을 시 나타난 차이점에 대한 분석 또한 검토했다. 이는 전시의 기획자인 오봉빈과 이구열이 1940년대와 1970년대의 흐름을 역사화 시킨 관점의 비교 또한 포함한다. 끝으로 1980년대 미술시장 속에서의 ‘6대가’의 의미와《동양화 여섯분 전람회》이후 기획된 대가 관련 전시와 그와 관련된 담론을 통해 근대부터 현대까지 이룩된 ‘6대가’에 대한 미술사적 의의를 밝히려 한다. 근대화라는 명제 속에서 계승과 동시에 발전을 시도한 동양화단에서 ‘6대가’의 존재의 의미는 시기별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1940년 이들은 동양화단 내 새롭게 등장한 현대적인 신진 작가였지만, 1970년대부터 오늘날까지도 이들은 동양화단 내 전통의 ‘정통’을 대표하는 노대가로 위치해있다.

      • 명제적 손글씨 쓰기 프로그램이 주관적 기억장애 성인의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우경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주관적 기억장애를 호소하는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인지능력과 우울감, 쓰기 능력의 현황을 파악하고, 쓰기와 인지, 우울감과 인지, 우울감과 쓰기 간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는 가정하에 명제적 손글씨 쓰기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쓰기 활동을 통한 인지 자극을 통해 주관적 기억장애 중장년층들의 인지능력 및 우울감, 쓰기 능력의 변화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전 선별검사를 통해 주관적 기억장애 선별 기준에 맞는 중장년층 3인을 선별하였고, 총 35일간의 명제적 손글씨 쓰기 프로그램을 통해 중재를 시행하여 중재 기간 내 불규칙 저빈도 단어 받아쓰기 검사를 통해 쓰기 능력의 변화를 체크하였다. 사전, 사후검사로는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 평가(K-MOCA), 서울신경심리검사(SNSB) 내 단어 즉각 회상 검사, 단어 지연 회상 검사, 선행 연구에 사용되었던 단어를 통해 제작된 저빈도 단어 반응 검사, 다요인 기억 설문지-기억력에 대한 만족도 검사(MMQ-C) 등을 사용하였으며 해당 검사들을 통해 인지능력 및 쓰기 인출, 우울감의 평가 및 변화 정도를 체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명제적 손글씨 쓰기 프로그램은 중장년층 SMI 대상자들의 인지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중재 후 대부분의 사후검사 결과에서 대상자 모두 사전검사에 비해 유의미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으며, 대상자 모두 정상 범위의 점수를 기록하였다. 다만 저빈도 단어 반응 정확도 검사에서는 사후검사 결과와도 큰 차이를 보이지 못하며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명제적 손글씨 쓰기 프로그램은 중장년층 SMI 대상자들의 불규칙 저빈도 받아쓰기 능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 모두 유의미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으며 단어 오류, 문장 오류, 전체 정답수 모든 영역에서 점진적인 상승이 나타났으며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냈다. 셋째, 명제적 손글씨 쓰기 프로그램이 중장년층 SMI 대상자들의 우울감 회복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 후 실시한 사후검사에서 사전검사에 비해 기억력에 대한 자기만족도 총점이 높게 나타났으며, 선행 연구 결과에 따라 우울감 회복에서도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명제적 손글씨 쓰기 프로그램 중재가 주관적 기억장애 중장년층 대상자들의 인지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사전 사후검사들을 통해 주관적 기억장애 중장년층 대상자들의 실제 인지 저하 수준과 쓰기 인출 능력, 우울 등을 파악하고 상호 간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에 따라 논의점을 살펴보고 앞으로 진행될 후속 연구에서 필요한 추가적인 연구방향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esent status of cognitive abilities, depression and writing skills in the middle-aged with subjective memory impairment(SMI) and the effect of writing activity-based cognitive stimulation of propositional handwriting program on changes in cognitive abilities, depression and writing skills,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writing and cognition, between depression and cognition and between depression and writing. For this study, 3 middle-aged persons, who were appropriate for the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selection criteria were selected through a prior screening test, and a propositional handwriting program was applied for a total of 35 days to check changes in writing abilities during the intervention with an irregular low-frequency word dictation test. As pre- and post-tests, Korean Version of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MoCA-K), Word Immediate Recall Test of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SNSB), Word Delay Recall Test, Low-Frequency Word Response Test using the words used in the previous studies and Multifactorial Memory Questionnaire-Contentment(MMQ-C) were conducted to assess cognitive abilities, writing fetch and depression and check changes in cognitive abilities, writing skills and depressio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ositional handwriting program influenced cognitive abilities of middle-aged SMI patients. After the program intervention, all the subjects showed a significant score increase in most post-tests and they all obtained scores within the normal range. But the results of low-frequency word response accuracy test did not highly differ from the result of post-tests and no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Second, the propositional handwriting program influenced irregular low-frequency dictation abilities in middle-aged SMI patients. All the subjects displayed significant changes with a gradual increase in all of word error, sentence error and total answer number domains. Third, the propositional handwriting program affected depression recovery in middle-aged SMI patients. The total score of self-contentment for memory was higher in the post-tests after the intervention than in the pre-test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depression recovery too depending on the result of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propositional handwriting program on cognitive abilities in middle-aged SMI patients, understand real cognitive decline levels, writing fetch abilities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SMI patients through pre- and post-tests and analyze mutual influences.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issues to discuss and additional research tasks required for further research.

      • 陶山書院 光明室 장서의 변천과 서지적 분석

        최우경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Dosanseowon(陶山書院) was built to admire and memorize the scholarship and virtue of Toegye(退溪) Leehwang(李滉, 1501-1570). It started as a name of Saaekseowon(賜額書院) in 1575, and became the head place of Confucianism in Yeongnam(嶺南). It was register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on July 6, 2019. Dosanseowon built Gwangmyeongsil(光明室) for th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the books. Gwangmyeongsil was a stack room(書庫), divided into west and east. Regulations were made for collection management. Dosanseowon had also published many books. Jangpangak(藏板閣) was also built to preserve tablets(冊板). Gwangmyeongsil's collections were collected mainly by donation or purchase. In the early days, mainly the basic books of the Confucianism and Chinese history books were collected, and these books were used as textbooks for teaching and thought books of the time. Later, many personal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were collected. The collections thus collected were regularly written in Gwangmyeongsil jeonjanggi(光明室傳掌記) regularly for management and preservation. Gwangmyeongsiljeonjanggi is a book created separately to check and manage the collections of Gwangmyeongsil. With this, the collection was regularly inspected and managed. This study attempts at the bibliographic analysis and the changes of the collection of the Gwangmyeongsil in Dosanseowon in the Chosun(朝鮮) Dynasty. This study researches the establishment of the Gwangmyeongsil and the library functions that have been collected, managed, and preserved. This study analyzes the books listed in the Gwangmyeongsiljeonjanggi that was written to inspect and manage the collection. Through such research and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features and inspection records of the Dosanseowon Gwangmyeongsil’s collection and to attempt a bibliographic analysis of the collection. The conclusion derived from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It was identified the place where books were stored Before the establishment of Gwangmyeongsil. DosanSeodang’s(陶山書堂) Wanlagjae(玩樂齋) bult by Lee Hwang(李滉), Hanjonjae(閑存齋) which kept the books after the establishment of DosanSeowon, Sangjae’s(上齋) Hyeopsil(夾室) and Chaekbang(冊房) which only have records. 2. To manage the collection of Gwangmyeongsil, 「Dosanseowonuijeolcho(陶山書院儀節草)」 stipulates the provision of Gwangmyeongsil entrance, takeover and management of books. It can be seen that this regulation places strict restrictions on entry and exit, general stocktaking of Gwangmyeongsil. 3. Currently, tablets in Dosanseowon are 28 kinds and 3,928 points. Hyeonpan(懸板), Sipan(詩板), Seopan(書板) etc. In total, 4,014 items of 59 species are collected. In addition, the records of tablets management showed that the tablets were managed and preserved for a long time. 4. DosanSeowon's Gwangmyeongsiljeonjanggi is a separate document written for the current status of Gwangmyeongsil and for the collection management. There are 21 species of Gwangmyeongsiljeonjanggi remaining. Including two 「Seochaekjil(書冊秩)」 written in the middle 17th century and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Seochaekchibu(書冊置簿)」 written on May 15, 1775, including from 1787 to 1900 over 120 years listed under the heading ‘Jangseochibu(藏書置簿)’, ‘Gwangmyeongsilseochaekchibu(光明室書冊置簿)’, ‘Gwangmyeongsiljeonjanggi’. 5. Gwangmyeongsiljeonjanggi produced a new list every 7 years on average and checked it up to 4 times a year based on it. In some cases, specific issues such as Danghoe(堂會), Poswae(曝曬), Hyangnye(享禮), Chunhyang(春享), Chuhyang(秋享), Jwibyeon(正謁) were specified. 6. When inspecting the collection, the entire book was cataloged and the specifics of the book, such as its existence, loss, movement and origin, were recorded under the title. After the inspection, the next inspection does not create a new list and newly added books were recorded after the inspector's signature. In some cases, the inspector only signed, or the newly added book after the inspection was added after the inspector's signature. In addition, the inspector only signed if there were no special features in the added book or inspection. 7. DosanSeowon's collection was collected by how to be gotten books presented by the king, how to be gotten books donated by the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how to be gotten books donated by scholars or younger scholars, how to be gotten books donated by neighboring Seowon(書院), how to be gotten books donated by families, how to buy, how to send paper and printing, how to publish books, etc. books presented by the king 29 titles, books donated by neighboring Seowon 81 titles, books donated by Toegye family 5 titles, other donations 8 titles, purchase 39 titles, publication 24 titles were identified. 8. In Gwangmyeongsiljeonjanggi, the inspection records of the books have been examined andghl the inspection details of individual books were reviewed. It also specifically identified how change the annotations on the same book. 9.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osanSeowon's Gwangmyeongsil collection obtained 3,896 books of 775 titles until 1941 by edition, by subject, by the books of Toegye school(退溪學派) scholars and by acquisition date were as follows : ① The editi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601 titles(77.5%) of woodblock book(木板本), 82 titles(10.6%) of wooden type book(木活字本), 36 titles(4.6%) of metal type book(金屬活字本), 24 titles(3.1%) of manuscript(筆寫本), 24 titles(3.1%) of lithography book(石印本), 7 titles(0.9%) of lead type book(鉛活字本). ② The subject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565 books of 77 titles(9.9%) in the Philosophy division(經部), 789 books of 109 titles(14.1%) in the History division(史部), 412 books of 69 titles(8.9%) in the Master’s work division(子部), 2,130 books of 520 titles(67.1%) in the Literature division(集部). ③ Among books collected in Dosanseowon, It analyzed the books for major scholars in the Toegye school. This study analyzed the books of scholars who succeeded to Toegye Leehwang → Hakbong(鶴峯) Kimseongil(金誠一) → Gyeongdang(敬堂) Jangheunghyo(張興孝) → Seokgye(石溪) Leesimyeong(李時明) → Galam(葛菴) Leehyeonil(李玄逸) → Milam(密菴) Leejae(李載) → Daesan(大山) Leesangjeong(李象靖), who formed a school identity and was active in northern Gyeongsangbukdo(慶尙北道). A total of 529 books of 148 titles from 105 scholars were obtained.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total 775 titles obtained was 19.1%. This can be seen that a large portion of the Dosanseowon collection. ④ The acquisition dat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102 titles(13.2%) in the late 16th century, 80 titles(10.3%) in the 17th century, 133 titles(17.2%) in the 18th century, 223 titles(28.8%) in the 19th century, and 237 species(30.6%) in early 20th century. Books published by Dosanseowon and collections in Gwangmyeongsil greatly contributed to the dissemination and spread of the Confucianism. It was also importantly used in the education of seowon. This spread and dissemination of knowledge was possible because there were Gwangmyeongsil with many books based on socio-economic foundation and Gwangmyeongsiljeonjanggi written to manage and preserve.

      • 궤환 신경회로망을 사용한 모듈라 네트워크

        최우경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로봇은 급속도로 발전을 거듭하여 인간의 생활의 많은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요즈음 로봇의 궁극적인 목표는 인공지능 로봇으로써 인간 친화형 로봇을 말한다. 그리하여 인간의 능력을 모방한 기술들이 로봇에 적용되면서 점차 인간 같은 로봇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인간의 기능만을 모방한 로봇이 인간 친화형 로봇이라 말할 수는 없다. 인간은 이성적인 판단에 있어서 감정의 영향을 받으므로 기본적인 환경정보에 의해 형성되는 일차적인 감정을 로봇에 첨가되면 더욱 인간 같은 로봇이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런 어려운 문제 해결을 위해 인간의 사고능력과 적응 능력을 모방한 지능형 기법이 제안되고 있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소프트 컴퓨팅으로 인간의 문제 해결 능력과 유사한 기법이라 할 수 있다.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신경망은 학습을 통해 시스템의 특징을 추출하는데 우수한 능력이 있다. 그러나 일시적 혼선(temporal cross talk)현상이 발생하고 지역 최소치에 수렴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하여 각각의 지역적인 매핑방법과 전역적인 매핑방법의 장점을 수용하고 복잡한 문제를 나누어 해결하는 방식으로 모듈화 네트워크가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특히 Jacobs와 Jordan이 제안한 모듈라 신경망(Modular Neural Network; MNN)은 작업 재구성과 학습, 재결합의 관점에서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고 있다. MNN은 복잡한 문제를 단순한 부문제로 나누어 학습시키는 엑스퍼트 네트워크(Expert Network; EN)와 출력을 조합하여 최종출력을 생성하도록 스위칭 역할을 수행하는 게이팅 네트워크(Gating Network; GN)로 구성된다. 지금까지 MNN의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EN과 GN을 구성하는데 SLNN이나 MLNN을 사용되었다. 학습에 있어서 전체 네트워크는 입력되는 값만큼 그 이전 상태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그리하여 궤환 루프를 통해 상황의 재 표현이 가능하고 작은 네트워크 구조로 그보다 큰 전방향 네트워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궤환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 RNN)을 MNN 구조에 적용하였다. 감정평가에 기반한 감각 정보의 학습 데이터 패턴들을 이용하여 학습한 결과 MRNN이 MNN보다 성능면에서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작은 네트워크에서도 우수하거나 거의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었다. 이것은 RNN으로 MRNN를 구성한 영향이라 생각되어 진다. 또 네트워크 크기를 줄임으로써 학습에 필요한 시간도 절약할 수 있었다.

      • Mössbauer 분광법을 이용한 조혈제의 철 원자가 상태에 관한 연구

        최우경 동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tomic valence states of the iron in Haematopoietic Agents was studied by Mössbauer spectroscopy. Iron in the body is an essential trace elements and it is a very important element of hemoglobin and enzyme products. The reference samples for the velocity calibration is sodium nitroprusside powder and Mössbauer Spectrometer is S-600 model. From Mössbauer parameters we were able to investigate the hyperfine interaction of Fe atoms with surrounding elements related to the oxidation states of Fe atoms. We can not find Fe^(+3) in sample 1 and 2. But Fe^(+2) and Fe^(+3) ion exist simultaneously in sample 3.

      • 부모-자녀관계 회복 프로그램이 학업중단숙려 대상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최우경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업중단 숙려제 대상 청소년의 학업적응과 학교 밖에서의 생활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방식으로 학업중단 청소년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 마련의 차원에서 시도되었다. 현실치료를 활용한 부모-자녀 관계의 회복을 문제 해결의 핵심으로 보고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적용한 결과 심각한 갈등 관계로 규정될 만큼 역기능적이던 부모자녀 관계회복에 효과가 있었으며, 청소년의 자신감과 자기효능감이 의미 있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적용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제시하면 본 연구에서 주안점으로 파악한 것은 학업중단 학생의 가족관계 즉, 부모-자녀 관계의 회복이다. 학업중단 숙려제 상담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은 학업중단결정이라는 민감한 주제가 정해져 있고 학업중단 의사를 밝힌 상태에서 비자발적으로 상담에 임하게 되는 위기의 학생이다. 여러 가지 다양한 원인에 의해 학업중단결정을 선택하지만 자기효능감이 현저히 낮고 부모-자녀 관계가 통상 심각한 갈등 관계로 규정될 만큼 역기능적이다. 위기 청소년의 보호요인 중 가족요인은 청소년 문제해결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판단에 따라 중도탈락 위기에 있는 청소년의 부모-자녀 관계의 회복에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관계 회복에 필요한 전략적 차원에서 현실치료적 접근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고, 이에 기반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학생들의 부모-자녀 관계의 회복과 자기효능감 향상을 목표로 하여 적용하였다. 결과적으로 현실치료를 활용한 본 프로그램실시이후 부모-자녀 관계가 개선되어 참가청소년이 부모가 더 친밀하고 헌신적이라고 느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추후 학업중단 청소년을 대상으로 관련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노력이 반복적으로 이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학업중단 숙려제 대상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학업중단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교육 및 상담적 개입에서 현실치료를 활용한 자기효능감 향상 개선 노력이 적절한 중재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추후 반복 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효과가 추가적으로 확인되길 기대한다. 학업중단 숙려제의 시기적 필요성은 최근의 학생들의 학교 중도탈락률을 고려해 볼 때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더하여 본 연구는 학업중단 숙려 대상 청소년들을 조력할 구체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상담 현장의 실제적 요구에 의하여 시도되었다고도 볼 수 있다. 상담 현장에서는 학업중단 청소년에게 당장 활용할 자료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관련 연구 노력을 촉발하는 소중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학업중단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 자체가 미미한 실정에서 본 연구의 시도는 그 자체로 의미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학업중단 숙려제의 도입 시기를 감안하더라도 최근까지 관련 연구가 미진한 점은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이는 현실적으로 학업중단 청소년에 대한 접근 가능성이 지극히 제한적이라는 점에서도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즉, 학업중단이 예측하기 어렵고, 사회적 낙인 등을 이유로 장기간 결석을 동반한다는 점 등을 감안하며 대상 학생과의 접촉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대상 학생들을 사전에 선별하고, 학업중단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접촉이 가능하도록 제도적 장치가 구축될 필요가 있다. 학업중단 숙려제의 취지와 기능은 그 자체로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것이 성공적으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개인상담, 집단상담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 구체적인 개입 방안들이 마련되고어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자신의 선택에 대해 신중히 검토하는 기회제공과 심리적인 어려움을 극복하여 자신감과 자기효능감을 회복하도록 전문상담을 하여야한다.

      •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상록활엽수림 복원사업 모니터링

        최우경 호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상록활엽수림의 복원 모델에 대한 모니터링을 시행함으로서 그에 대한 복원 모델을 검증하여 복원공법을 확대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5개 시범녹화시험구에서 사면간의 차이, 섬크기의 차이, 방사가축의 유ㆍ무, 수종별 성장차이를 관찰하기 위하여 성장률을 조사하였고, 활착률을 2005년부터 2007년까지 모니터링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서사면 능선부에 식재한 상록활엽수림의 수고 생장량과 활착률이 북동사면 능선부에 식재한 상록활엽수림 보다 더 우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겨울철 북서풍이 상록활엽수 생장에 부정적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2. 큰섬에서 상록활엽수 활착률이 작은섬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수목이 토심이 얕은 가뭄기에 수분건조 피해를 받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3. 방사가축의 유ㆍ무에 따른 활착률은 방사가축이 있는 곳의 활착률이방사가축이 없는 곳보다 매우 낮게 나타났다. 방사가축이 식재한 상록활엽수 활착률에 매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4. 수종에 따른 수고 생장량은 남서사면 능선부에서는 붉가시나무, 구실잣밤나무, 광나무, 다정큼나무, 돈나무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북동사면능선부에서는 다정큼나무, 광나무, 붉가시나무, 구실잣밤나무 순으로 나타났다. 활착률은 남서사면능선부에서는 돈나무, 광나무, 다정큼나무, 붉가시나무, 구실잣밤나무 순으로 나타났으며 북동사면능선부에서는 구실잣밤나무, 광나무, 다정큼나무, 붉가시나무 순으로 나타났다. 큰섬과 작은섬의 수종에 따른 활착률을 보면 큰섬에서는 돈나무, 동백나무, 붉가시나무, 생달나무, 후박나무, 다정큼나무, 구실잣밤나무 순으로 나타났으며 작은섬에서는 돈나무, 다정큼나무, 광나무, 붉가시나무, 동백나무, 구실잣밤나무, 생달나무 순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s performed to verify the restoration work as operate monitoring about the restoration method of evergreen broadleaf forest and to magnify the restoration method of construction with verification. On the considering difference of slanting surface, difference of island size, existence of livestock, classification of trees in 5 example planting test districts, we have surveyed the difference of growth, examined the growth rate, and monitored the rate of taking root from 2005 to 2007. Main results of our research are followed. 1. Green broad leaf trees planted in south west line more taken root. This result is considered that in winter north westerly wind affect green broad leaf trees badly. 2. In large island green broad leaf trees are more taken root than Small Island. This result is considered that green broad leaf trees are harmed during drought term. 3. The rate of taking root of green leaf tree becomes very low. When live stocks exist, it is considered that the existence of live stock harm taking root of green broad leaf trees very high. 4. According to species of trees in southwest line, the order of the rate of growth was Quercus acuta, Castanopsis sieboldii, Ligustrum japonicum, Raphiolepis indica, Pittosporum tobira, and in northeast line, the order was Raphiolepis indica, Ligustrum japonicum, Quercus acuta, Castanopsis sieboldii. In the southwest line, the order of the taking root was Pittosporum tobira, Ligustrum japonicum, Raphiolepis indica, Quercus acuta, Castanopsis sieboldii and in the northeast line, the order was Castanopsis sieboldii, Ligustrum japonicum, Raphiolepis indica, Quercus acuta. In the rate of taking roots according to species of trees of Small Island and Big Island, in the big Island the order was Pittosporum tobira, Camellia japonica, Quercus acuta, Cinnamomum japonicum, Machilus thunbergii, Raphiolepis indica, Castanopsis sieboldii, and in the small island the order was from Pittosporum tobira, Raphiolepis indica, Ligustrum japonicum, Quercus acuta, Camellia japonica, Castanopsis sieboldii, Cinnamomum japonicum.

      • 한국 의료보험의 본인부담금 보상금제도에 관한 연구

        최우경 단국대학교 행정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의료보험은 국민보건의 향상과 사회보장의 증진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국민의 최저생활을 보장하는 사회보장제도의 첫단계로서 모든 국민을 질병으로부터 해방시켜 복지국가 구현의 전기를 이룩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보험사고에 대해 보험급여비를 무한정으로 인정할 경우 피보험자가 많은 보험료를 부담하여야 하며 적정한 치료의 수준을 초과한 진료비 남용이 발생되어 의료수요의 증가와 의료가격의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 본인부담금 보상금 제도의 확대실시가 필요한 이유와 그 동안에 발생된 문제점을 현재 시행되고 있는 의료보험 본인부담금제와 연계시켜 본인부담금 보상금 제도의 확대실시에 따른 구체적인 개선대안과 확대에 따른 소요재정등 관련사항을 분석한 것이다. 현재의 본인부담금 제도는 의료서비스를 받을 때 요양기관에 과중한 본인부담금을 수납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인부담금의 일정한 한도를 정하고 그 이상은 보험에서 부담하는 본인부담금 보상금 제도가 전면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 검토한 본인부담금 보상금 제도는 다음과 같은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지급대상 진료비 규모는 의료보험법 시행령 제77조 4항에 의한 본인부담 보상율을 보험자 정관에 의하되 50% 이상으로 한다. 그리고 향후 보험자의 재정형편에 의하여 대상 진료비 규모를 단계적으로 하향 조정토록하는 점진적인 방안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제도 실시 대상은 현재 일부 직장조합에서 실시중인 본인부담금 보상금제도를 미실시중인 직장조합, 지역조합, 공.교의료보험조합의 피보험자 및 피부양자에게 단계적으로 확대 실시한다. 이 경우 재정기준은 준비금 적립율이 50% 이상인 조합을 대상으로 하되 그 이하의 조합에 대해서는 국고지원이나 재정공동사업에 의한 지원을 확대 실시하여 어느 시점에서는 전 조합이 실시하도록 한다. 특히 본인부담액의 지급기준은 본인부담금이 50만원(저소득자는 30만원)을 초과하는 금액을 전액 보상하고 저소득자는 이전의 의료보호의 의료부조대상자를 기준으로 하여 그 본인부담기준을 낮게 설정하는 것이 형평에 맞는 정책이 될 수 있다. 둘째 입원 진료비의 경우 비급여대상을 축소하여 실제적인 본인부담율이 20% 정도 되도록 유도한 다음 점차적으로 비급여대상 품목을 줄여간다. 셋째 장기입원치료자(60일이상 입원중인 자)를 저소득층과 동등한 본인부담금 보상금 대상자로 인정하여 질 높은 서비스를 받게한다. 이렇게 본인부담금 보상금 제도의 도입에 따라 소요되는 재정은 의료 보험 재정에 비추어 볼 때 현재의 적립율의 수준을 150%로 가정하더라도 재정소요가 약 1%에 이르는 본인부담금 보장금 제도의 도입은 그렇게 어려운 일이 아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의료보험제도는 비급여부문의 범위가 매우 커서 고액진료 장기 입원자의 경우에는 경제적부담을 고려하여 본인부담금 보상금 제도의 조속한 확대 시행이 필요하다. 그리고 본인부담율의 인하가 의료비 상승으로 연결될 가능성도 없지 않기 때문에 우선 의료보험의 신중하고 책임있는 이용을 유도하기 위하여 현행 본인부담율을 유지하되, 의료이용으로 인한 과도하게 발생한 본인부담을 상환해주는 본인부담금 보상금 제도의 전면적 실시가 효과적이다. 따라서 의료보험제도의 목적에 맞는 제도운영올 위하여 본인부담금 보상금 제도의 확대 실시와 본 연구를 기준으로 한 대안 모색이 필요하다. According to present Compansation System for Self-Imposing Amount(CSSIA), excessive self-imposing share should be paid to medical center when clinic service is offered, so that, to prevent it, it is necessary to practice extensively a new CSSIA which put a certain ceiling on self-imposing share and through which the amount beyond the limit would be compansated by insurance. The developing measures of new CSSIA investigated in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scale of consultation fee that may be supported, its self-imposing compansation rate shall follow Paragraph 4, Article 77 of enforcement ordinance of Medical Insurance Act, less than 50 precent. And it is desired that a progressive measure be adopted to adjust downwardly the scale according to financial condition of the insured. The method to practice it is to enlarge existing CSSIA operated in some workshop medical insurance associations into others that are not practicing it, that is, into the insured persons and their family of workshop, local, public and school associations. In the case of financial standard, their rate of reserve fund should be over 50%, but for the associations under 50%, support from government subsidy or common financial business should be enlarged, which could make extention into all associations in some time. In particular, as for the payment creteria of self-imposing share, it is suggested to perform a balanced policy with which the amount beyond 500,000 won(for the poorer, 300,000 won) of self-imposing money should be compansated at all, and the payment creteria should be lowered for the medically aided through existing medical insurance. Second, as for the hospital charge of inpatient, we should lead to reduce the non-paid items till real self-imposing rate may be under about 20%, and then, the non -paid items should be decreased step by step. Third, by adjusting downwardly the payment creteria of self-imposing share for long-stay patients into 300,000 won like that of the poorer, they could be served good medical care. The budget needed by the introduction of new CSSIA would be no more than 1% of the finance of total medical insurance even though we assume present level of rate of reserve fund as 150%, so that, it would not so difficult to introduce CSSIA. To operate a medical insurance system fit to its proper ai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CSSIA and seek for an alternative based on my study.

      • 안와 내하벽 골절에서의 안와벽 복원술

        최우경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An inferomedial orbital wall fracture is accompanied by a wide range of fracture and its surgical treatment remains a technically challenging to the orbital surgeon. We restored the orbital wall using combined transorbital and transnasal approaches with dual support from the maxillary and ethmoid sinuses. We compared surgical outcomes of this method to those of the conventional metho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all patients undergoing surgical treatment for a pure unilateral inferomedial orbital wall fracture between March 2007 and October 2012 was conducted. Twenty-five patients were treated with the conventional transorbital method (Group A, control group), whereas the other 25 patients underwent combined transorbital and transnasal approaches with the dual supporting method (Group B, experimental group). Surgical results were assessed by changes in Hertel scale and changes in orbital volume ratio (OVR). The decrease in OVR in group B (8.35%)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group A (3.04%) (p<0.05). No significant decrease in Hertel scale was observed in group A (0.16 mm) or in group B (0.12 mm). Orbital volume was more effectively restored following orbital wall restoring surgery with dual support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method for an inferomedial orbital wall fra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