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천연물을 이용한 클렌징오일이 여자중학생의 피부상태에 미치는 영향

        최영란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천연물을 이용한 클렌징 오일이 여자중학생의 피부상태에 미치는 영향 최영란 지도교수:정숙희 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피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기초인 세안제품 중 클렌징 오일을 선택하였다. 화장품의 화학성분에 대한 부작용으로 인해 천연물에 대한 관심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청소년기의 피부 최대 고민인 피지조절에 중점을 두고자 천연 그레이프시드 캐리어 오일에 라벤더, 티트리, 캐모마일 에션셜 오일이 조합된 천연 클렌징 오일을 적용하여 피부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연구 대상 및 기간은 안면에 여드름이 진행 중인 14세∼16세의 여중생 30명을 대상으로 총 5주간 실시하였다. 피부측정은 실험 전, 실험 3주 후, 실험 5주 후를 관찰하였으며, 피부의 포피린, 피지, 모공,피부 톤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포피린은 T존(p < .05)과 U존(p <.05)에서 실험 전과 실험 3주차,실험5주차 세 결과 치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 포피린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포피린은 T존(p< .05)과 U존(p< .05)에서 실험 후 3주차부터 포피린이 감소하였다. 둘째,피지는 T존(p< .05)과 U존(p< .05)에서 실험 전,실험 3주차,실험 5주차 세 결과 치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 피지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피지는 T존(p> .05)과 U존(p> .05)에서 실험전과 실험 3주차 간에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T존(p< .05)과 U존(p< .05)에서 피지는 실험 후 5주차부터 피지는 감소하였다. 셋째,모공은 T존(p < .05)과 U존(p < .05)에서 실험 전,실험 3주차,실험 5주차 세 결과 치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 모공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T존(p< .05)에서는 실험 전과 실험 3주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실험 후 5주차 간에 T존(p < .05)과 U존(p < .05)모두에서 유의한 차가 있었다.T존에서는 3주후 모공의 크기 변화가 나타났으며 5주 후에는 더욱더 모공의 크기가 감소하였다. U존에서의 모공은 5주 후 크기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넷째, 피부 톤은 T존(p > .05)과 U존(p > .05)모두 세 그룹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피부 톤의 밝기 변화는 효과가 있다고 말할 수 없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천연 그레이프시드 캐리어 오일에 라벤더,티트리, 캐모마일 에센셜 오일을 조합한 오일 클렌저로 매일 세안함으로써 지질 성분인 피지를 적절히 제거하고 피지에서 P.acne 대사물질로 생성되는 포피린을 감소시키며 모공의 수축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에 청소년의 적절한 피부세안으로 효과적인 피부상태 유지와 청소년 초기 피부변화 중 가장 민감한 여드름을 개선시키는 방안으로 천연물 클렌징 오일을 제시할 수 있음을 시사 하였다.

      • 자기생산(Autopoiesis)활동으로서의 자기주도적 학습 원리탐구

        최영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Although the society today extensively demands spontaneousness, creativity, and diversity according to the new world spirit, certain number of schoolrooms seem to be full of troubles, which are apathy, spiritlessness, anxiety, selfishness, and competitive spirit. The source of these troubles can be the school, society, system, government structure, etc, but when the scenes of classroom is put centered to analysis, the most notable problem is the cramming education. One reason why it is the most serious problem is that it fundamentally makes the students passive; it paralyses innate desire and passion for learning. The large demands of self-directed learning these days are related to this trouble. This demand is based on the educational anthropology, which means people, as a living thing have inner motives for spontaneous learning that is extracted from themselves. However the self-directed learning is not embodied properly in the schoolrooms of Korea; it is in not understood rightly. Present writer considered the cause of this is Pedagogical Anthropologic error. In other words, teaching without understanding the nature of human as a learner caused the problem. It can be overcame by understanding learners accurately as a human being. Therefore, this research tried explain - through the living system point of view - how the people are originally given motives and will for learning. It tried to come up with a solution how the learning itself be fulfilling its goal; also, it explained its premise, conditions and principals. The main topics of this paper are as following: First, what is the basis of the 'self-directedness' and what is its nature? Second, what is the principal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which is based on self-directedness? These researches above could be done by studying the literature and it proceeded by four parts. First, Present writer examined what does it mean to 'self-directedness' in the concept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what is the limit of the existing analysis. Second, I explained the basis of the 'self-directedness', which people have as living thing, by principals of autopoiesis in living system. Third, I tried to answer the question 'How does the self-directedness be embodied in our real life and when does it expedite?' by investigating two special phenomenons, flow and communication which occurs in active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I considered what is autopoiesis of people as a conscious living thing. Fourth, I analyzed the condition and principal of a true self-directed learning that is centered around flow and communication. The results that is produced through these process are written below: First, I pointed out the misunderstood concept of self-directed learning which as a studying program that only concentrate on individual learners and their knowledge; also, to understand it more soundly, I brought up the necessity of a weighty meaning model that can relight its meaning within a life of a person as a living thing. I tried to find the meaning model in the process of Autopoiesis in living system, because all the living things produces them by themselves. As a living being, people grows up by themselves through self-transform, which is done self-recursively through interaction and voluntary feedback. This process is it of the living things' Autopoiesis. The core idea of this is all living things decides their growth themselves. I analyzed the scenes of flow and communication, which are the two phenomenons that appears in active participation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 How does the self-directedness be realized in our life? These phenomenons indicate special interactions - the contacts with environment and feedback - which occur in conscious living thing and these lead to signifying phenomenon. Signifying phenomenon is a procedure of mental maturation, and flow and communication are signifying phenomenons that take place inner level(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and outer level(social and cultural) respectively. Furthermore, in the process, symbolic and transcendental mental phenomenon is revealed. Present researcher seized this as practical principals of self-directed learning. As I considered the method to realize self-directed learning which contains flow and communication as its motive power, it requires individual participation thorough flow and communication. By doing so, individual character and personality grows as well as their knowledge. To make this possible, ecological learning community as open system is essentially required. What the study above suggesting is as following: Firstly, since the self-directed learning is a meaningful chance to maturate one's thought, it should be closely related to individual students' concrete life. The flow and communication here make the flow of energy happen which is essential for Autopoiesis. Secondly, self-directed learning can be furthered under a open system, which is ecological learning system. An autonomous environment that does not contain artificial and oppressive factors is needed. The teacher's job here is to fulfill these conditions and promote the Autopoiesis of each individuals. Thirdly, self-directed learning is a study that maturates one's thought, which progresses with least outward show. Therefore, to prevent disorder and panic, supervisor should make the individual students' experience shared in class, so the learning energy flows. Lastly, whether the accomplishment is successful or not, can be answered by individual students' participation and their growth of their inner thoughts. Therefore the procedures of the study can not be decided outside, and neither they can not judge the results. When the self-directed learning is understood as a opportunity to maturate one's inner thought, teaching or learning may not be one standardized skill; it is more likely to be artistic activity that makes meaningful experience happen every moments. Learning will be creative itself if and only if when their class community offers unrestricted but serious communication as well as flow. This will reform the diseased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는 새로운 시대정신에 따라 능동성, 창조성, 다양성 같은 가치들이 중요하게 요청되고 있으나, 그에 비해 학교 교실 현장은 무관심, 무력감, 불안, 이기심과 경쟁심 같은 병리현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상황을 유발시킨 원인으로 학교, 사회, 제도, 정치적 구조 등 다양한 맥락을 지적할 수 있겠으나, 교실의 학습 상황을 중심으로 생각해 볼 때 가장 두드러진 문제는 바로 주입식 교육이다. 주입식 교육이 가지는 오류는 그것이 학습자를 끊임없이 수동적 위치로 전락시켜 생래적인 학습의 욕구와 힘을 마비시켜 버린다는데 있다. 현 시점에서 다양하게 표출되고 있는 자기 주도적 학습에 대한 요구는 이런 문제 상황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하나의 교육 인간학적 전제, 즉 자라나는 생명체로서 인간 안에는 자기 스스로 능동적 학습에 대한 내적 동기가 작용하고 있다는 인식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나 자기 주도적 학습은 실제 우리나라 학교교실 상황에서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의미가 불분명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고자 하는 동기와 의지가 생명 시스템적 관점에서 어떻게 인간 본성 안에 근거 지워지며 작용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아울러 이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학습상황에서 자기 주도적 학습이 어떻게 의미충족적인 자기 생산 활동으로 실행될 수 있을 것인지, 그 전제 조건과 실행 원리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자기 주도적 학습의 핵심을 이루는 자기주도성의 근거와 성격은 무엇이며 이는 인간의 삶 안에서 어떻게 구현되는가? 나아가서 그러한 자기주도성에 근거한 자기 주도적 학습 원리는 무엇인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가지고 본 논문은 다음 네 단계를 통하여 문헌연구로 진행되었다. 첫째, 자기 주도적 학습 개념에 내재한 자기주도성의 의미가 지금까지 어떻게 해석되어 왔으며 그 한계를 분석함으로써 자기주도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틀이 필요함을 살펴보았다. 둘째, 생명체로서의 인간이 가진 자기주도성의 근거를 생명시스템의 자기생산(Autopoiesis) 원리로서 설명하였다. 셋째, 생명의 자기주도성은 인간의 일상적 삶 속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촉진되는가를 능동적 참여 활동에서 나타나는 두 가지 현상인 몰입과 대화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이로써 생명체로서의 인간이 어떻게 자기생산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가를 고찰하였다. 넷째, 몰입과 대화가 중심이 되는 자기 주도적 학습이 실제 학습 상황에서 어떻게 촉진될 수 있는지, 그 조건과 실행원리를 탐구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연구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자기 주도적 학습 개념이 오늘날 학습자의 개인적이고 인지적인 차원에 초점을 둔 효과적인 학습 방법 정도로 인식되고 있음을 지적하고 이를 보다 온전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생명체로서의 인간의 삶을 전체성 안에서 조명할 수 있는 새로운 유기적 해석 틀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해석 틀을 생명 시스템의 자기 생산 과정에서 찾고자 하였다. 왜냐 하면 모든 생명은 살아있는 동안 환경과의 구조접속과 자율적 피드백을 통해서 스스로를 생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과정의 핵심은 유기체 스스로 자기 성장을 결정해 가는 자기주도성에 있다. 자기주도성이 인간의 삶에서 어떻게 구현되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능동적 참여가 수반된 인간 활동에 뚜렷이 나타나는 두 가지 현상, 즉 몰입과 대화 현상을 분석하였다. 이는 인간이 의식적 생명체로서 환경과의 구조접속과 피드백을 통해서 독특한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과정으로서 여기서 의미화 현상이 나타난다. 의미화 현상이란 비가시적인 차원에서 진행되는 인간의 자기생산 과정이다. 인간의 내적 차원, 즉 생리・심리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의미화 과정이 몰입이고, 외적 차원, 즉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진행되는 의미화 과정이 대화이다. 이 과정에서 상징적이고 초월적인 정신 현상이 나타난다. 몰입과 대화 행위 안에서 발견되는 다차원적 의미화 과정이 비가시적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인간의 자기 생산 과정임을 발견하였다. 자기 생산 활동으로서의 자기 주도적 학습은 몰입과 대화를 통한 전 인격적 참여 행위를 요구하며 그 결과 지식 뿐 아니라 개성과 인격을 창조하게 된다. 자기 생산적 학습이 촉진되기 위해서는 열린 시스템(Open System)으로서의 생태적 학습 공동체(Ecological Learning Community)가 필요하다. 자기 주도적 학습을 인간의 자기생산, 혹은 자기창조 과정으로 이해할 때, 교수・학습 활동은 단순히 하나의 정형화된 기술일 수 없으며, 오히려 매순간 의미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예술행위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유기적으로 연결된 학습 공동체 안에서 자유로우면서도 진지한 몰입과 대화 활동이 개성적으로 발현될 때, 학습 활동은 그 자체로서 생산적이고 창조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 이는 교실의 병리 현상을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하며, 나아가서는 학습자들 자신과 그들이 속한 사회 구조를 점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의 원천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학습 활동에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 주도적 학습은 인간이 생존을 위해 벌이는 자기생산 과정으로 학습자의 구체적인 삶과 긴밀하게 연결되어야 한다. 여기서 몰입과 대화는 자기생산을 위한 에너지의 흐름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자기 생산적, 자기 주도적 학습은 열린 시스템, 즉 생태적 학습 공동체 안에서 촉진될 수 있다. 인위적이고 억압적인 요소들이 제거된 자율적인 학습 환경이 필요하다. 교사의 역할은 바로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고 학습자의 자기생산을 촉진시키는데 데 있다. 셋째, 자기 주도적 학습 활동은 불확실성 안에서 진행되는 자기 창조 과정이다. 불확실성에 따른 무질서와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서, 몰입에 의해 생성되는 개별학습자들의 고유한 체험들을 대화를 통해 학습 공동체의 공적 자산으로 교류하게 함으로써 학습 에너지가 순환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한 학업 성취 여부는 개인의 실질적인 참여 활동과 의미 체험에 근거한 내적 성장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따라서 학습 과정은 외부에서 일방적으로 결정할 수 없으며, 그 결과에 관해서도 타자가 일방적으로 평가할 수 없다.

      • 미술요소에 기초한 자연친화활동이 유아의 미술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영란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미술요소에 기초한 자연친화 활동이 유아의 미술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 미술요소에 기초한 자연친화 활동을 경험한 집단(실험집단)의 유아와 누리과정 예술경험영역의 미술활동(비교집단)을 실시한 유아간에 미술 표현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1. 미술요소에 기초한 자연친화 활동의 경험유무는 미술요소 중 선의 항목에서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가? 2. 미술요소에 기초한 자연친화 활동의 경험유무는 미술요소 중 색의 항목에서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가? 3. 미술요소에 기초한 자연친화 활동의 경험유무는 미술요소 중 모양의 항목에서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가? 4. 미술요소에 기초한 자연친화 활동의 경험유무는 미술요소 중 질감의 항목에서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가? 5. 미술요소에 기초한 자연친화 활동의 경험유무는 미술요소 중 공간의 항목에서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가? 이 연구의 대상은 인천광역시 소재의 사립유치원 두 곳에 각각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실험집단 32명, 비교집단 21명이었다. 실험집단은 인천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Y유치원이며 월 1회 숲학교(호봉산)와 나들이 산책(주 2회 이상)을 실시하는 유치원이고, 비교집단은 인천광역시 남동구에 위치한 H유치원으로 월 1회 숲학교(관모산)와 나들이 산책(주 3회 이상) 활동이 이루어지는 유치원이다. 연구과정은 예비연구, 교사교육,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자료의 처리로 구성되었다.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미술요소에 기초한 자연친화 활동을 하였고, 실험처치는 2015년 9월 7(화) ~ 10월 29일(목)까지 8주 동안 주 2회씩 총 15회 이루어졌으며, 비교집단의 유아들에게는 누리과정 예술경험영역의 미술활동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미술요소에 기초한 미술표현능력 평가도구>는 임경애(2000)가 기술한 미술의 기본요소인 색, 선, 모양(형태)에 관련된 항목을 발췌하여 구성한 것에 김선월(2003)의 미술의 기본요소인 질감, 공간과 관련된 항목들을 더 첨가하여 재구성한 검사도구이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검사에서 미술표현능력을 구성하는 하위요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사전 검사의 평균의 차가 의의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술요소에 기초한 자연친화 활동을 한 실험집단과 누리과정 예술경험영역의 미술활동을 한 비교집단 간 유아의 미술표현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미술요소에 기초한 자연친화 활동을 한 유아의 미술표현능력은 미술요소중 선, 색, 질감의 요소에서 비교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미술요소에 기초한 자연친화 활동이 아동의 미술표현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 초등학생의 감성지능과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연구

        최영란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quotient(EQ) and social characteristic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wo psychological factors were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children's emotional health, including interpersonal relations, personality, behaviors, attitude and sociol development. Ultimately this study was attempt to be of use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school guidance and counseling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 to help improve education for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children in their fifth and six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at Kangwon Province. A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 series of questionnaires that included three different variables(sex, grade, local) to objectively assess EQ & social characteristics. After statistical data o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obtained, t-test was implemented to track correlational relationship.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sex, the difference of emotional quotient between boys and girls were statistically very wide significant, but in terms of local, home environment, and school achievemen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soci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local, home environment, and school achievement variables. Third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quotient and social characteristics was much close interrelated. And so, in elementary school it is necessary for children's emotional education program to develop social characteristics. Furthermore we must elaborate for children to have a desirable attitude and behavior of self-awareness, emotional control, optimistic value, and interpersonal relations.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the school teachers and parents should offer to improve the home environment and school climates in various ways for sound development of childre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mote social campaigns and educational movements to construct a good societal, moral, cultural program, which will be used in elementary school. Simultaneously, school staffs should try to develop the guidance and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emotional quotient and social characteristics.

      • Total Physical Response Storytelling(TPRS)을 적용한 수업이 듣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최영란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TPRS (Total Physical Response Storytelling)를 영어 수업에 접목시켜 초등학교 영어수업에 적합한 수업모형을 구안하고 교과서와 관련되는 이야기 자료를 재구성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TPRS를 활용한 영어수업에서 초등학교 3학년의 의사소통능력 즉 듣기 능력의 신장과 정의적 영역에 주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초등학교 3학년 2개 반을 각각 실험반과 통제반으로 선정한 후 실험반에서는 기존수업과 병행하여 TPRS를 적용하고, 통제반에는 교사용 지도서에 계획된 기존 지도안대로 수업을 실시하여 비교 적용해 봄으로써, 초등영어 현장에서 TPRS를 적용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3학년 영어 수업에서 TPRS의 적용은 듣기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TPRS를 적용한 실험집단이 일반 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에 비해 듣기능력 점수가 많이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초등영어 수업에서 TPRS의 적용은 성별로는 남자 집단에, 하위 집단별 수준에서는 하 집단의 듣기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이는 TPRS 활동이 흥미로운 이야기를 신체활동과 함께 함으로써 움직이기를 좋아하는 남자 아이들의 특성과 부합되어 남자 아이들이 즐겁게 수업에 참여했기 때문이며, 상 수준의 아동들은 학습능력이 전반적으로 높아 사전ㆍ사후 듣기평가에 차이가 많이 나지 않았으나 하 수준 아동들은 교사의 신체활동을 따라 반복하여 여러 번 이야기하기 활동을 통해 어휘에 대한 이해력과 기억력이 향상되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셋째, TPRS를 적용한 실험집단의 사전ㆍ사후 학습 흥미도와 불안감, 자신감, 참여도의 변화는 통제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학습 불안감이 현저하게 감소되고 흥미도와 참여도를 높이는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영어 수업에서 TPRS의 적용은 정의적 영역의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 소리극 <황진이> 연구

        최영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황진이’라는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소리극’을 통하여 시대를 초월하여 전승되는 현실 인식 방법과 인간의 진정한 사랑은 무엇인지, 가장 소중하고 가치 있는 삶은 어떤 것인지를 깨닫고, 소리극의 발전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소리극의 형성 과정을 살펴 소리극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소리극’은 문학성과 음악성과 연극성이 공존한 무대예술로서의 종합예술이다. 다시 말하면 ‘소리극’은 서울 경기와 서도 민요를 근간으로 하는 음악, 열린 소재의 이야기, 무대 위에서 펼치는 연기와 춤이 어우러진 종합 예술인 것이다. 그리고 소리극 <황진이>를 서사, 인물, 주제의 내용 측면과 무대, 의상, 무용 등 연출 양상의 형식 측면을 살펴 소리극이 종합 예술임을 분석하였다. 소리극 <황진이>의 내용 측면에서 등장인물을 분석할 때 황진이와 교유 인물들이 서로 애정 관계를 지속하며 그녀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에 주안점을 두고 인물의 유형을 분류하여 자연인, 교양인, 예술인, 이상형으로 제시하였다. 자연인은 황진이의 외모와 성격을 통하여 상사병 총각과 지족 선사와 영향을 주고받음을 살피고, 교양인은 황진이의 詩 書 畵를 통한 문인적 재능을 통하여 소세양, 벽계수와 이달, 임제와의 만남으로, 예술인은 황진이의 樂 歌 舞를 통한 예술적 재능에서 이사종의 영향 관계를 각각 분석하였다. 이상형은 내면에 진리와 자유를 갈구하는 이상을 지닌 사람을 의미하며, 황진이는 그녀의 외모와 성격을 종합하여 詩 書 畵 樂 歌 舞를 두루 섭렵한 자연인, 교양인, 예술인의 모습을 총괄한 종합 예술인으로서, 이상형 인물인 서경덕을 만나 지란지교(芝蘭之交)의 정신적인 사랑을 깨우치며 진정한 사랑과 삶의 가치를 깨닫는 것으로 표면화되어 나타남을 살펴보았다. 소리극 <황진이>는 각 장마다 두 명의 중심인물을 축으로 2막 6장의 에피소드 방식으로 사건을 전개하고 있다. 1막에서 ‘시서화’에, 2막에서는 ‘악가무’에 중점을 두고 표현하여, 각 장마다 황진이와 남성인물이 사랑의 밀고 당김을 하면서 긴장을 강화한 후 사건이 종결되면서 정서를 해방하는, 한 편의 독립적인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상사병에 걸릴 정도로 황진이를 사랑한 총각이야기에서부터 자연스러운 멋을 추구하며 기생의 재예를 가르치는 이사종, 친구들과의 약속을 어기고 황진이와 같이 있음을 선택한 소세양, 또 수행을 통하여 정신을 단련했던 지족 선사가 미색(美色)의 황진이에게 반하여 파계한 이야기, 명성과 권위 있는 가문의 소유자인 벽계수가 황진이에게 빠져 낙마(落馬)한 이야기, 마지막으로 인품과 학식을 겸비한 서경덕과 황진이의 정신적인 사랑 이야기를 적당한 분량의 마디로 각 장마다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이 극의 후반부에서는 전체적인 주연 인물인 서경덕과 황진이를 통하여 주제 의식을 구현하도록 짜져 있다. 황진이가 이상형 인물인 서경덕을 만나 진정한 사랑을 깨닫는 것인데, 이 극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각각의 면모와 그들이 지닌 사랑을 소개하며 서경덕을 통해 상대를 더욱 돋보이게 하는 지란지교(芝蘭之交)의 사랑이라는 주제로 집약된다. 특히 소세양의 ‘내기’를 통한 연이은 등장은 상대적으로 서경덕의 인품이 뛰어남을 우회하여 설명하는 효과와 함께 진정한 사귐에 대해 일깨우는 기회를 제공한다. 인류 보편의 공통 주제인 사랑을 다룬 이 극을 통하여 대중은 자신의 삶을 반추하고, 진정한 사랑에 대해 사색할 수 있어서 다른 어떤 공연물보다 쉽고 재미있게 주제의식을 구현한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이 극을 형식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소리극 <황진이>의 노래들은 현대인들에게 익숙한 화성으로 새롭게 작곡되었고 국악기와 서양 악기들의 조화로운 활용으로 기존의 전통극과는 차별화하여 무대에 올린 점이 특이할 만하다. 또한 황진이의 시조와 한시(漢詩)들 중 대부분을 전문가들의 공동 작업으로 시조 아리아로 새롭게 창작되어 무대에서 선을 보였다. 황진이와 선비들의 문학적 대결이 이루어지는 장면에서 잡체시의 등장과, 장례와 기생입문 등의 각종 의식(儀式) 문화를 첨단의 무대 시설과 조명 장비를 사용하여 시각적 효과를 높인 점도 또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더불어 전통 의복과 세련된 춤 솜씨 등이 배우들의 연기와 조화를 이루어 관객의 호응을 이끌어 낸 연출력이 돋보인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경· 서도소리를 중심으로 음악과 무용이 어우러져 현대적인 종합극으로 재탄생한 ‘소리극’은 전통문화의 진수(眞髓)를 종합하여 세계적인 보편 문화 가운데의 한국 문화의 가치를 잘 드러내고자 하는 목적 있는 문화의 총체로서 ‘종합 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황진이는 내면의 가치를 추구하고 시 서 화 악 가 무를 두루 섭렵한 자연인, 교양인, 예술인의 모습을 총괄한 종합 예술인으로서 면모를 지녔다. 또한 소리극 <황진이>는 우리 소리를 바탕으로 배우의 실감난 연기로 몸짓이나 말로써 제시되는 ‘연극’이요, 연주와 노래와 몸짓으로 전달되는 ‘음악극’이자 노래와 춤이 있는 ‘뮤지컬’로서 종합예술 그 자체로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황진이는 조선조 여인으로 과거에 머무르지 않고 현재와 시대를 거슬러 도전하고 개척하는 보편적인 인간으로 존재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과거의 전통적인 소리 방법에 현대적인 음악적 기법을 가미하여 ‘소리극’으로 창작한 <황진이> 공연은 인류 보편의 공통 주제인 사랑을 한 개인이 아닌 인간과 자연, 삶에 대한 사랑으로 확대하여 진정한 자유를 획득한 사랑으로 누구나 알기 쉽게 자연스레 깨닫도록 한 점이 문학사적으로 음악사적으로 매우 가치 있는 일로 여겨진다. 본 연구는 정확한 사실을 알 수 없는 역사적인 인물인 황진이를 대중적인 설화를 종합하여 재구성된 소리극을 통해 과거의 삶의 양식인 전통의 계승과 오늘의 새로운 황진이를 재조명하였다. 소리극은 분명 수준 높은 공연 예술로서 종합 예술로 자리매김 할 수 있다. 황진이 설화를 모티프로 하여 대중의 기호에 맞게 역사를 거듭하여 재해석된 서사물의 지속적인 움직임은 앞으로도 문화 전반에서 거듭되리라 여긴다. 황진이의 삶이 시대를 초월하여 전하는 보편적인 진리와 삶의 의미를 묻혀버리지 않게 후대에게 전승할 책임이 우리에게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전통을 기반으로 한 종합예술인 소리극의 발전과 확대를 기대해 본다.

      • 『주홍글자』에 나타난 호손의 상징기법 연구

        최영란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나다니엘 호손은 1804년에 태어나 청교도 집안에서 자랐다. 1850년에 그는 최초의 장편소설이자 성공작인 『주홍글자』를 집필하였으며, 이 소설은 그를 19세기 위대한 작가로 만들어 주었다. 『주홍글자』는 다양한 상징성의 사용과 더불어 기교면에서 많은 찬사를 받았는데 이는 호손이 집필한 모든 작품에 들어있는 기법들이 『주홍글자』에 모두 담겨있었기 때문이었다. 호손은 이러한 상징적 기법을 통해 청교도 사회를 비판하였다. 『주홍글자』의 배경은 뉴잉글랜드로 청교도 인들이 가장 이상적으로 여겼던 곳이었으나, 호손의 사상은 한번 저지른 죄는 다시는 용서받을 수 없다는 청교도의 사상과 대립하였다. 이 작품 속에는 헤스터 프린과 아서 딤즈데일, 로저 칠링워스, 그리고 펄이라는 4명의 주요 인물들이 등장한다. 펄을 제외한 모든 인물들이 죄를 범하는데, 헤스터가 항상 죄의 표시로서 그녀의 가슴에 달고 다니는 글자 A와 함께 그들의 죄는 각기 다른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칠링워스와 결혼을 했던 헤스터는 목사인 딤즈데일과 간통죄를 저지르며 그 결과 그녀는 그녀의 가슴에 A자를 달고 다녀야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A자의 의미는 헤스터의 봉사와 참회를 통해 바뀌어 가고 결국 그것은 천사를 의미하게 된다. 그러므로 헤스터의 죄는 용서받을 수 있는 죄를 상징하게 된다. 그것은 바로 그녀가 형대를 내려온 이후 7년 동안 마을 사람들로부터 비난을 받지만 봉사를 해서 그녀의 죄로부터 구원을 받았기 때문이었다. 딤즈데일의 죄는 드러난 죄를 상징한다. 그도 또한 은폐의 죄로 인해 고통을 받으며 그것 때문에 고통을 느낀다. 그러나 그는 마지막 장에서 많은 사람들 앞에서 그의 죄를 고백함에 따라 결국엔 구원을 받는다. 그리고 이 두 인물이 구원을 받도록 도와주었던 인물은 펄이었다. 헤스터와 딤즈데일사의 죄의 산물인 펄은 사랑과 구원의 상징이다. 펄은 헤스터와 딤즈데일로 하여금 그들의 죄를 상기시키게 하고 동시에 그들을 천국으로 안내한다. 반면에 헤스터의 남편인 칠링워스는 딤즈데일에게 복수를 하는 인물이다. 그의 죄는 호손이 가장 최악으로 여기는 딤즈데일의 영혼을 파괴하려 했기 때문에 용서받을 수 없는 죄를 상징한다. 호손은 이 소설을 통해 선과 악은 공존하며 인간이 반드시 선해야하고 죄를 저질러서는 안 된다는 청교도주의에 반대한다. 그는 또한 우리 인간들은 죄를 저지른 후에도 회개할 가능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우리들의 죄는 구원받을 수 있다고 믿었다. <Abstract> Nathaniel hawthorne was born in 1802 and was brought up in the religious tradition of puritanism. In 1850, he wrote The Scarlet Letter which was the first full-length and successful novel and it made him a great American writer in the 19th century. The Scarlet Letter was praised in the technical skills, especially by using various symbolism in it because it contained every skills Hawthorne had used in every his novels. Hawthorne criticized a puritan society through symbolic methods. The Scarlet Letter's background is New England which Puritans regarded as an ideal society and His thought was opposed to the puritan one that a sin cannot be forgiven once it has been committed. There are four leading characters in this story who were Hester Prynne, Arthur Dimmesdale, Roger Chillingworth and Pearl. All of them but Pearl committed their own sins, and they hold their own different symbolic meanings with the addition of the letter A which Hester always had to wear on her bosom as a token of her sin. Hester who had got married with Chillingworth committed adultery with Rev. Arthur Dimmesdale. As the result of that, she had to attached the letter A on her bosom. As time went by, the meaning of the letter A got changed by her service and expiation, and finally, it got thought as an angel. Therefore, Hester's sin represents the absolved one. It was because she did her bit although she took criticism from inhabitants for seven years since she had got off the scaffold and redeemed from her sin finally. Dimmesdale's sin stands for the revealed one. He was also suffered from the secret sin and felt a pain for it. However, he was redeemed in the end as he had confessed his sin before many people on the scaffold in the last chapter. Both sins of two made them mature spiritually through their purification. It was Pearl who helped in order to redeem two. Peal, the product of the sin between Dimmesdale and Hester, stands for love and salvation. She had them remind their sins at the same time as she guided their steps in the path of heaven. On the other hand, Chillingworth, Hester's husband, was revenged upon Dimmesdale. His sin stands for the unpardonable one because he tried to destroy Dimmesdale's soul which Hawthorne regarded as the worst sin. Hawthorne insisted through this novel that good and evil should coexist and rejected the puritan thought which human has to be good and must not commit a crime. He also believed that our sins can be redeemed because all of us have possibilities to repent even after having committed a sin.

      • ICT활용 수업에 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

        최영란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ave a survey about real classroom situations in which ICT is used and to figure out how the ICT instructions are conducted more effectively. I set 3 kinds of research project to achieve this purpose. They are as follows: First, what do the middle school teacher's know about real classroom situations in which ICT is used and do the differences of their gender, career, department of subjects affect them? Second, are they aware of the problems of ICT-based instructions and do they differ in the awareness, depending on their gender, career and department of subjects? Third, do they have any better idea about ICT-based instructions, and are there any differences depending on their gender, career and department of subjects again? I used questionnaires based on those of preceding thesis and of Incheon Education Information, with professor Kim's advice. Questionnaires are collected from public middle schools whose facilities are generally good enough to conduct ICT-based instructions. The total number of questionnaires was 250, and among them 234 copies were collected and 233 ones available were analyzed. 28 questions were calculated and the frequency was represented by percentage. The data were categorized, depending on their gender, career and department of subjects. I used x2 (chi-square) method to see the differences of variables (gender, career, and department of subjects) and the of significance was set at a= .05 to examine and prove the falsity of statistics. These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First, middle-school teachers think that ICT-based instructions are classes in which technolog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re used regardless of variables. Teachers are familiar with web-search, compared to other areas of ICT-based instructions. Their most frequently used method was web-search. They pointed out that the most important reason to recommend ICT-based instructions is that they trigger various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they thought the best effect of ICT-based instructions is to draw students' interest. This method was thought to be effective in part some units of their subjects. The teachers generally can use e-mail, chatting service and surf the net and male teachers are good at using internet and they are confident of using web-browser. They can use programs for writing documents well and for presentation. We need to notice that many teachers haven't had any workshop for ICT-based instructions yet. Second, one of the problems suggested by middle school teachers is that schools are not equipped with high-quality instruments good enough to help the instructions. They also think that ICT workshops are not helpful because they don't offer what they can use in a real classroom situation. One of the biggest instructional problems conducted by ICT is that schools should be equipped with updated instruments. It follows that there are not enough data to be used in classes. The differences of levels in which students are of access to and get the information count little. In fact, they play a less important role in classes conducted by ICT. The reason teachers don't use ICT a lot in classes is that teachers don't have confidence how to use the instruments. That is due to the fact that they are not offered enough workshops. The problem of writing teaching plans to use ICT is the lack of time, and that of instructions based on ICT is the differences of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ird, they do need data, textbooks for ICT-based instructions and a course for educating ICT-based instructions to improve ICT-based instructions. Also, they do need enough information. They use data provided by educational sites for their teaching plan for ICT-based instructions. Fourth, they pointed out the workshops need improving. First, teachers want enough budget, more chances, improved courses and the method for workshops. They want to have courses for internet and multimedia usage. They point out they should have courses based on their levels and go into the next steps. Concluding the results of the project, I put some proposals for the next step. First, the gender is sh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 think we need to evaluate students to see how the differences affect the classes. Second, teacher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less than 6 years, 6-16 years and more than 16 years according to their career. The teachers with more than 16 years' experience are usually involved in administration and I think it is worthwhile to consider their knowledge of ICT-based instructions. So, I think we need to study the effects of each subject. Fourth, the research were done at public schools whose facilities and equipments are good. Considering middle-school education is compulsory, private schools should be equipped with equal levels. Fifth, ICT-based instructions are also used in high-school classes. There are diverse types of high-schools such as vocational, ordinary and special-purposed high-schools. We need to consider how differently ICT-based instructions are used in each kind of schools. I believe that is necessary to keep the ICT research-based instructions going in the future.

      • 1930년대 소설 한국의 『태평천하』와 베트남의 『쏘 도(Số đỏ)』비교 연구 : 풍자성을 중심으로

        최영란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So sánh tiểu thuyết “Thái bình thiên hạ” của Chae Man Sik (Hàn Quốc) và “Số đỏ” của Vũ Trọng Phụng (Việt Nam) : Về nghệ thuật trào phúng Luận án này tiến hành nghiên cứu so sánh tiểu thuyết trào phúng là “Thái bình thiên hạ” của Bạch Lăng Chae Man Sik và “Số đỏ” của Vũ Trọng Phụng. Cả hai tác phẩm đều phản ánh bối cảnh xã hội thời kỳ thuộc địa của chủ nghĩa thực dân: thực dân Nhật Bản ở Hàn Quốc và thực dân Pháp ở Việt Nam vào những năm 30 của thế kỷ XX. Trong hoàn cảnh đặc thù dưới ách cai trị của chủ nghĩa thực dân, hai nhà văn đều phê phán mâu thuẫn xã hội và hoàn cảnh đen tối mà nhân dân phải chịu đựng bằng ngòi bút trào phúng sắc bén và không khoan nhượng. Chae Man Sik và Vũ Trọng Phụng đều nỗ lực phê phán và điểu chỉnh xã hội đầy mâu thuẫn và bị bóp méo dưới bộ máy cai trị thực dân. Cả hai tác giả đều thông qua nghệ thuật trào phúng để gián tiếp xử lý vấn đề xã hội đương thời. Thời kỳ này cũng nở rộ rất nhiều tác phẩm phơi bày thực trạng xã hội đen tối và thối nát nhưng đây là hai tác phẩm tiêu biểu của văn học trào phúng Hàn Quốc và Việt Nam. Hai tác phẩm “Thái bình thiên hạ” và “Số đỏ” đã phê phán một cách cay gắt sự mâu thuẫn xã hội và sự vô lý của giai cấp thống trị bằng nghệ thuật trào phúng bậc thầy, vô cùng đa dạng và giàu sắc thái: hài hước, châm biếm, mỉa mai, nghịch lý v.v…; trở thành hai đỉnh cao nghệ thuật trong lịch sử văn học trào phúng hai nước. Luận án này đã xem xét về nhân vật, bối cảnh, cấu trúc, phong cách văn chương và chủ đề của hai tác phẩm. Về mặt nhân vật, ở “Thái bình thiên hạ” Chae Man Sik tạo ra nhân vật điển hình là ông Trực viên Yoon để đả kích những người được hưởng đặc quyền đặc lợi và những người thuộc tầng lớp địa chủ có quan điểm sống cá nhân ích kỉ và hưởng thụ trong hoàn cảnh khốn khổ của dân chúng và hoàn cảnh mất chủ quyền quốc gia mà vẫn thản nhiên như sống trong cảnh “Thái bình thiên hạ”. Còn Vũ Trọng Phụng đã tạo nên Xuân Tóc Đỏ trong tác phẩm “Số đỏ” là nhân vật hạ lưu, xuất thân và bản chất đều hạ lưu mà nhanh chóng trở thành một nhân vật lẫy lừng trong giới thượng lưu, hoá ra tinh hoa của giới thượng lưu toàn những nhân cách bịp bợm và hạ đẳng mà Xuân Tóc Đỏ chính là con đẻ của xã hội ấy. Về mặt bối cảnh xã hội, “Thái bình thiên hạ” nói về sự kiện xảy ra trong một ngày ở Ghê Đông thuộc Seoul vào năm 1937, còn “Số đỏ” là chuyện bắt đầu từ ở một sân quần tại Hà Nội vào năm 1936 và việc được xảy ra trong 5 tháng liền. “Thái bình thiên hạ” chứa đựng khoảng thời gian 60 năm thông qua bằng cách sự nhớ lại quá khứ của ông Trực viên Yoon, phản ánh xã hội phân chia giai cấp và hỗn loạn đương thời bằng nhiều bối cảnh khác nhau trong từng khoảng thời gian ngắn khác nhau. Còn “Số đỏ” lại được triển khai theo thứ tự dòng chảy của thời gian. Về mặt cấu trúc, “Thái bình thiên hạ” và “Số đỏ” đều là cấu trúc đoạn Episode, và các sự kiện được miêu tả trong từng bối cảnh khác nhau nhưng có mối liên hệ chặt chẽ với nhau. “Thái bình thiên hạ” có ba phân cảnh: ý chí làm rạng rỡ dòng họ của ông Trực viên Yoon, lối sống sai trái của các thành viên gia đình của ông Trực viên Yoon, và gia đình của ông Trực viên Yoon bị đổ vỡ, “Số đỏ” cũng có kết cấu ba phần: phần đầu tác phẩm đánh dấu bởi chi tiết ông thầy bói tiên đoán trước về số phận của Xuân, phần tiếp theo là sự củng cố và tăng tiến vị trí của Xuân trong gia đình cụ cố Hồng, và sự tăng tiến địa vị xã hội của Xuân. Điểm khác của hai tác phẩm nằm ở phần kết thúc, “Thái bình thiên hạ” miêu tả bi kịch xã hội thông qua một gia đình tan nát, còn “Số đỏ” lại kết thúc bằng sự kiện Xuân Tóc Đỏ diễn thuyết trước toàn thể dân chúng như một người hùng xuất chúng. Nhưng suy cho cùng cả hai cách kết thúc trái ngược này đều cho thấy thống trị thực tại xã hội là cái xấu, cái ác, sự đểu giả và méo mó. Về mặt phong cách văn chương, Chae Man Sik dùng ngòi bút hài hước và mỉa mai theo từng đối tượng khác nhau. Đối với nhân vật ông Yoon, nhà văn sử dụng ngôn ngữ với nghệ thuật hài hước và mỉa mai, còn đối với các nhân vật khác phần lớn được miêu tả thông qua ngòi bút hài hước như ẩn dụ, tương phản, lố bịch v.v. Bởi vì Chae Man Sik muốn phế phán những nhân vật thuộc tầng lớp địa chủ đương thời có nhận thức thời đại sai trái như ông Trực viên Yoon. Nhưng Vũ Trọng Phụng lại phê phán, đả kích, nhấn mạnh tính lố bịch các nhân vật với nghệ thuật đa dạng như ẩn dụ, tương phản, phóng đại, hài hước, mỉa mai v.v. Thế giới nhân vật của “Số đỏ" rất phong phú và đa dạng, vì thế Vũ Trọng Phụng phê phán không chỉ là tầng lớp thượng lưu mà còn bao gồm cả các tầng lớp khác trong xã hội ấy. Về mặt chủ đề, ở “Thái bình thiên hạ” từ quá trình hô hào ‘Thiên hạ thái bình” của ông Yoon đến quá trình con cháu ông ta phá nát sự nghiệp ấy, nhà văn Chae Man Sik muốn đích danh phê phán xã hội ấy không phải là xã hội thái bình. “Số đỏ” thì đi theo con đường ngược lại: ông miêu tả quá trình một kẻ hạ lưu, ma cà bông gặp “số đỏ" (gặp may) bước lên đỉnh cao danh vọng trong xã hội thượng lưu. Nhưng cái cách Xuân từng bước leo lên những bậc thang của xã hội thượng lưu chúng ta nhận ra chính Xuân Tóc Đỏ đã nhanh chóng phát huy bản chất lưu manh trong một xã hội lưu manh bịp bợm, xã hội thượng lưu với các phong trào Âu hoá thực chất chỉ có cái vỏ còn bên trong toàn những lố lăng, kệch cỡm. Qua nghiên cứu này, chúng tôi nhận thấy tuy tác giả Chae Man Sik và Vũ Trọng Phụng đều không trực tiếp thể hiện sự bất mãn xã hội nhưng cả hai tác giả đều có cái nhìn tỉnh táo về hiện thực và bộc lộ và thể hiện thái độ phê phán, đả kích thực tại đương thời. Chae Man Sik đã thể hiện sự tha hóa của tầng lớp địa chủ và thế lực địa chủ qua “Thái bình thiên hạ”, còn Vũ Trọng Phụng đã tố cáo và châm biếm tầng lớp hạ lưu và tầng lớp thượng lưu đã thối nát. Với nhận thức thời đại một cách tỉnh táo hai tác giả phơi bày tinh thần của nhà văn trào phúng về mặt tiêu cực của xã hội đồi trụy qua những nghệ thuật trào phúng như mỉa mai, nghịch lý, hài hước. Qua đó, chúng tôi nhận định hai tác phẩm “Thái bình thiên hạ” của Chae Man Sik và “Số đỏ” của Vũ Trọng Phụng xứng đáng là những tác phẩm xuất sắc của thể loại tiểu thuyết trào phúng trong văn học sử Hàn Quốc và Việt Nam những năm 1930 – 1945 đồng thời hai nhà văn cũng có vị trí không thể thay thế trong nền văn học hai nước. Comparative study on novels from 1930s, Chae Mansik’s The Peaceful World anh Vu Trong Phung’s So do : on satiric focus This thesis is a study on comparison between Baekreung Chae Mansik’s(1902 – 1950) “The Peaceful World” and Vu Trong Phung’s(1912 – 1939) “So do”. Which are satirical novels that reflect the colonial times of Korea and Vietnam in 1930s. They both satire at the gloomy and irrational reality under invasion and colonization by foreign powers. Chae Mansik and Vu Trong Phung are writers who tried to criticize and restore distorted reality under foreign rule. They chose to satire at various social issues rather than to take a direct approach. Times when “The Peaceful World” and “So do” were written was semi-feudalism colonial era, which in turn lead to many novels that portrayed the gloomy side of the society such as corruption. Both novels position themselves as historic satirical novels that contains satirical techniques such as humor, irony, paradox, portraying a sharp criticism about irrational times and depraved ruling class. In this thesis, each pieces are studied based on background, structure, writing style, subject. “The Peaceful World” characterizes Yoon Jikwon, to criticize landowning class group that are filled with egoism who consider colonial rule a ‘peaceful world’. Vu Trong Phung characterizes Xuan Toc Do who represents high class group who are born as lowborn but with unjust methods rapidly rises to become a high class. On background setting, “The Peaceful World” tells the story of one single day’s incident that took place in 1937 at Gye-dong, Seoul, and “So do” is a story that spans 5 months, of the series of happenings that started from a tennis court at Hanoi in 1936. “The Peaceful World” travels back and forth 60 years through old man Yoon Jikwon’s memories, and segmentalizes time into short fragments to visualize chaotic and divided state of the society of those days. On the contrary, “So do” lets the incidents occur in consecutive order. On structural side, “The Peaceful World” consists of episodes based on Yoon Jikwon’s viewpoint, and “So do” on Xuan Toc Do’s viewpoint, and all the incidents are constructed into on big panorama which can be broken down into 3 connections. “The Peaceful World” focuses on Yoon Jikwon’s personal desire for revival of his household, and spoiled lifestyle of Yoon Jikwon and his family members, which then leads to fall of his household. Likewise, “So do” focuses on Xuan’s foretelling incident about his fate, and rising of status within Hong’s household, and finally rising of status in the society. However they show opposite ending, where “So do” sprouts hope with the bright future of a person, and “The Peaceful World” shows tradegy with collapse of a household. On style of writing, Chae man-sik separates humour and irony depending on the subject, for example, in the incident with main character Yoon’s appearance, and dialogue, both humor and irony is used, where the side characters are portrayed with humor such as figure of speech, contrast, ridiculousness, which was a euphemism to time’s irrationality. The reason being that Chae’s criticism was mainly targeted to landowning classes that lived with twisted awareness of times. On the other hand, Vu Trong Phung’s shows absurdity, sheer criticism, of all the characters with figure of speech, contrast, exaggeration, humor, irony due to the fact that his criticism is not only targeted at bourgeois class but to various class living at those times. On subject, the writer of “The Peaceful World” criticizes that the world is not actually ‘Peaceful’ by showing the fall of the landowning classes with Yoon Jikwon’s crying for ‘Peaceful World’, and his son and grandson’s physically experiencing ‘Peaceful World’. “So do” portrays a lowborn scoundrel, experiences a rise of social status with fortune. However the story gives an alert that this is not actually just fortune, but due to the two-faced high class society which only cries for Europeanization, and that are filled with absurdity and depravity that even a lowborn could rise up and succeed. Chae Mansik creates landowning class character with the conflict between rich and poor to criticize personal egoism, that does not consider the people and the nation. Chae Mansik emphasizes his awareness of the times, by showing fall of the household, that with anachronistic attitude such as family egoism, will not maintain a stable society. On the other hand, even though the means may not be totally just, rise of a lowborn to a high class, and to a national hero in such society filled with absurdity, Vu Trong Phung’s awareness of times asserts the importance about attending his people and his nation, however it may be done. From this study, we can recognize that both Chae Mansik and Vu Trong Phung did not directly show their grievance about the colonial times, but left satirical comment with realistic, and hard view of those times. Both pieces show writer’s spirit with humor, paradox, irony, about depraved society’s dark side, with Chae Mansik, showing corruption of landowning class in “The Peaceful World”, and Vu Trong Phung who satires at corrupt society in “So do”, and thus they are valued as both outstanding writers and satirical novel of the 1930 – 1945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