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의한 정보교과서의 인지적 영역 학습목표 분석 : 중학교 정보교과서를 대상으로

        최연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창의ㆍ융합적 미래 인재양성을 위해 국가 차원의 대응으로 소프트웨어 교육 활성화가 모색되고, 사회 전 분야에 전반적으로 확산되어 우리 모두의 삶과 생활방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교과서는 학교교육의 본질을 구성하고, 교육은 학습자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기 위한 실천적 행동이다. 교육목표는 교사에게 교육의 방향을 결정해 주고, 학습자에게는 학습대상을 명확히 하고 학습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2015정보 교육과정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정보문화 소양을 갖추고, 보다 창의적이고 효율적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역량을 갖추기 위해 교과서가 올바르게 기술되어 있는지를 연구하고 나아가서 개선할 사항이 있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015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중학교 정보교과서 7종을 임의로 선정하고, 정보교과서 학습목표의 인지적 영역 301개를 추출하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 분석방법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분석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교육목표를 분석한 결과 지식차원의 “개념적 지식” 50.2%, 인지과정 차원의 “이해하다” 46.8%로 저차원적 요소의 쏠림현상이 2015개정 교육과정 이후에도 기존 선행연구와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출판사별” 비교 분석 결과 지식차원에서는 “개념적 지식”, “절차적 지식”,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이해하다”, “창안하다”가 출판사마다 비중을 많이 차지하고 있어 “출판사별” 인지적 영역 교육목표는 차별성이 없게 나타났다. 셋째, “단원별” 비교 분석 결과 지식차원에서는 “개념적 지식”, “절차적 지식”,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이해하다”가 비중을 많이 차지하고 있고, “이해하다” 다음으로 단원마다 “적용하다” “분석하다” “창안하다” 등이 진술되어 있어 “단원별” 인지적 영역 교육목표는 차별성이 있게 나타났다. 넷째, 중학교 정보교과서 목표가 컴퓨터과학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어 문제해결력을 키우고, 창의적인 역량을 갖추려면 지속 발전 가능한 메타인지지식 유형의 교육목표를 지향해야 한다. 다섯째, 학생들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로 하는 구성주의 학습이 가능한 인재가 되기 위하여 교육 인프라를 활용한 교육목표의 끊임없는 연구가 필요하다.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order to foster creative and convergent future talents, software education is being sought as a national response, and it is spreading across all sectors of society, which has a great impact on our lives and lifestyles. Textbooks constitute the essence of school education, and education is a practical action to lead learners in the desired direction. The educational goal determines the direction of education for the teacher, and serves to clarify the learning object and promote learning for the learne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if there are any improvements to the textbooks in order to equip the information culture literacy to pursue in the 2015 information curriculum, and to have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more creatively and efficiently. There is a purpose. Seven types of middle school information textbooks reflect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randomly selected, and 301 cognitive areas of the information textbook learning objectives were extracted and classified as Bloom's new education target classification analysis method. The summary of the research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verall educational goals, 50.2% of the “conceptual knowledge” at the knowledge level and 46.8% of the “understand” at the cognitive process level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studies aft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econd, many publishers have been describe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by “publishers”, “conceptual knowledge”, “knowledge level procedural knowledge”, cognitive process level “understanding” and “creation”. There was no discrimination in regional education goals. Thir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by “unit”, “conceptual knowledge”, “procedural knowledge” and “understanding”, many cognitive processes and “understanding” are “applied” for each unit. Analysis”, “Creation”, etc. were mentioned, so the goal of cognitive domain education was differentiated. Fifth, in order to be a talent capable of learning constructivism that students nee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study educational objectives using educational infrastructure.

      • 언어와 북한이탈주민 사회통합 : 동서독 언어통합과의 비교연구

        최연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북한이탈주민 사회통합에 대한 논의는 일방적인 적응을 넘어 상호적인 사회통합으로 나아갔다. 그러나 언어가 문화적인 통합에 가지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정체성은 크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으며, 언어통합정책은 일방적인 언어 동화에 머물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뱅크스의 문화 정체성 발달 이론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언어 정체성 발달 단계를 정리했다. 언어 정체성 발달 단계에 기반해 북한이탈주민과 남한 선주민의 언어 정체성을 분석했을 때, 현재 북한이탈주민은 언어적 고립 단계에, 남한 선주민은 북한어에 배척적인 제한적 언어 수용 단계에 있다. 북한이탈주민의 언어적 고립은 남한 선주민이 북한어에 가지는 거부감에서 기인하며, 이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언어 동화 요구로 이어져 상호적인 사회통합을 어렵게 만든다. 다음으로 한국과 마찬가지로 분단으로 인한 언어 분열을 경험한 독일 사례를 분석했다. 동서독 언어 차이가 증가하면서 동독이탈주민은 언어적 고립 단계에 있게 되었다. 통일 이후에는 구 동독지역 주민이 언어적 고립 혹은 언어적 캡슐 단계에, 서독지역 주민이 동독어를 배제하는 제한적 언어 수용 단계에 있게 되었다. 통일독일 언어통합정책은 언어 동화를 목표로 했는데, 이처럼 일방적인 동화를 강조하는 통합정책은 언어 정체성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사회통합을 저해한다. Discussions on social integ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have gone beyond unilateral adaptation to mutual social integration. However, despite the importance of language to cultural integration, there are not much emphasis on the language ident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Also, the language integration policy remains to be a assimilation policy. Thus, this paper examined Banks theory of cultural identity development and organized five stages of language identity development. The language ident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South Korean defectors was analyzed based on the language identity development stages. Currently, North Korean defectors are in the stage of linguistic isolation, while South Korean are in the stage of accepting limited languages. The linguistic isol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stems from the attitude of South Korean mainstream society, which does not accept North Korean. This led to the demand for language assimil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made mutual social integration difficult. Germany is another case that experienced language split due to the division. The language differences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placed East German defectors in linguistic isolation stage. After unification, the former East German population were in either linguistic isolation or linguistic capsule whereas West German population were in a limited language acceptance stage, which denied East German language. Unified Germany implemented a West German-centered linguistic integration policy. This language assimilation policy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language identity, obstructing social integration.

      • 무용전공 대학생의 지도자신뢰, 무용능력성취 및 전공지속활동의 관계

        최연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 대학생의 지도자신뢰, 무용능력성취, 전공지속활동의 영향관계와 지도자신뢰와 전공지속활동의 관계에서 무용능력성취의 매개효과를 구명하기 위함이다. 편의표집(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J시와 D시에 위치하고 있는 무용전공 대학생을 조사대상의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2020년도 1월부터 3월까지 총 309부의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자기평가기입법(Self- administration method)을 통해 작성하도록 하였다. 그 중 신뢰성이 결여(이중기입, 무기입, 부실자료 등)되었다고 판단되는 8부를 제외한 301부의 설문지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었다. 연구의 측정도구는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 절차를 거쳐 총 45문항으로 5단계 평정척도(Likert scale)를 사용하였다. 구성된 설문지는 인구통계학적특성(4문항), 지도자신뢰(15문항), 무용능력성취(16문항), 전공지속활동(10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자료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와 자료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1) 성별에 따른 지도자신뢰와 무용능력성취는 남성이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학년에 따른 지도자신뢰의 일관성은 2학년이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전공에 따른 전공지속활동의 교육 및 훈련프로그램 참여와 자신의 역량에 대한 평가는 현대무용(컨템포러리)전공이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무용 경력에 따른 무용능력성취의 이해능력성취는 5년~7년미만이, 실기능력성취는 3년미만과 5년~7년미만이, 창작능력성취는 5년~7년미만이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지속활동의 자신의 역량에 대한 평가는 7년이상이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지도자신뢰, 무용능력성취, 전공지속활동은 영향관계를 가진다. 1) 무용전공 대학생의 지도자신뢰는 무용능력성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자신뢰의 성실성, 능력, 이타성, 개방성은 무용능력성취의 이해능력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능력, 이타성, 개방성은 실기능력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방성은 창작능력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능력성취는 전공지속활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능력성취의 이해능력성취, 실기능력성취는 전공지속활동의 교육 및 훈련프로그램 참여와 자신의 역량에 대한 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무용전공 대학생의 지도자신뢰는 전공지속활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자신뢰의 성실성, 능력이 전공지속활동의 교육 및 훈련프로그램 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성실성, 이타성이 자신의 역량에 대한 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지도자신뢰와 전공지속활동의 관계에서 무용능력성취의 이해능력성취와 실기능력성취는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대학생의 자아분화수준이 대인행동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최연주 영남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MA Thesis The Effect of the University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on Interpersonal Behavior and Career Maturity Youn - Ju Choi Department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eungnam University (Advised by Professor Joon-Heo) Abstract This study had been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on interpersonal behavior and career maturity. For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does university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level correlate with interpersonal behavior and career maturity? Second, does university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level influence interpersonal behavior? Third, does university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level influence career Maturity? For this study, students attending university or community college located in Daegu and Kyungbook answered questionaire based on Self-Differentiation Scale by Jae seok bong(1989), Career Attitude Maturity Inventory by Lee Gi Hack and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by Kim Jung Uk(2000) through Google. Data collected in this survey were analyzed by SPSS and process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correlations between self-differentiation level and self-differentiation level, and self-differentiation level and career maturity. A high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helps students to decrease problems with interpersonal behaviors and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differentiation level and career maturity. Second, high levels of sub-factors of self-differentiation, which are cognitive ability versus emotional function factors and self-integration reduce problems with interpersonal behavior. Third, sub-factors of self-differentiation, which are cognitive ability versus emotional function factors and family regression factors positively influence career matur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enhancing self-differentiation level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students who take part in counseling related to interpersonal behavior and career search program.

      • 새터민 청소년의 사회심리적 적응 실태 : 한겨레중고등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최연주 북한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새터민 청소년의 특성화학교인 한겨레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새터민 청소년의 사회심리적 적응실태를 연구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겨레중고등학교에 입학하여 생활하고 있는 새터민 청소년들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고, 학교생활적응·인성교육프로그램인 창의교과 과정 만족도·자아존중감·남한사회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사회적 지지에 따른 사회심리적 적응 실태를 조사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는 한겨레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4세부터 23세까지의 새터민 청소년 전체이다. 설문지는 한겨레중고등학교를 여러 차례 방문하여 문항을 완성하였고, 150부를 배부·조사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120부는 SPSS 11.5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요인분석·상관관계분석·다중회귀분석 등의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교생활과 인성교육 프로그램인 창의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높았으나, 개인의 일반적 특성과 각 척도와의 연관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다양한 인성교육프로그램의 영향과 친구와 선생님, 주변의 도움 등 사회적 지지는 학생들의 심리적 안정이나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한겨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사회심리적 적응 실태를 알아보았다. 사회심리적 적응 변수 3개(긍정적·부정적 자아존중감과 우울감)를 종속 변수로 하고, 학교생활에의 적응도, 실용적·순수예술적 창의 교과과정 만족도, 문화적응 스트레스 그리고 주변·친구·선생님으로부터의 사회적 지지를 독립변수으로 하여 분석 모델에 삽입하였다. 먼저 긍정적 자아존중감에는 주변·친구·선생님의 도움이 큰 영향을 주고 있었다. 즉, 학생들의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모델에 포함된 다른 요소들(학교생활에의 적응도, 실용적·순수예술적 창의 교과과정 만족도, 문화적응 스트레스) 보다도 주변이나 친구들의 사회적 지지에 의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정적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즉, 학생들의 부정적 자아존중감이나 우울감은 모델에 포함된 다른 요소들(학교생활에의 적응도, 실용적·순수예술적 창의 교과과정 만족도, 주변·친구·선생님으로부터의 사회적 지지) 때문이 아니라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주요한 요인이었다. 따라서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학생들의 부정적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중고등학교 학생들은 높은 자아존중감을 갖고 밝게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부정적 자아존중감이나 우울감 또한 지니고 있다. 새터민 학생들 역시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서 건강한 인격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받을 권리가 있다. 따라서 이들 개인의 사회적 적응을 위한 제도의 중요성이 재고되어야 하며, 이와 함께 남한사회 구성원들의 끊임없는 배려와 관심이 요청된다. 또한 새터민을 더 이상 북한인으로 색안경을 끼고 바라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다문화를 지닌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 끌어안을 수 있도록 세대별·계층별 교육이 시급히 모색되어야 한다. 아울러 정부 차원의 정책 지원과 교육 연구, 남한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관심과 이해, 전문 인력 확보에 의한 특성화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등 이러한 각계각층의 협력을 통해 대한민국의 한 구성원인 새터민 청소년들이 건강한 미래 사회의 주역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test the social-psychological adaptation of students in Han-gyoreh mid-high school for North Korean Youth Refugees. The stu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ir socio-psychological adaptation were examined. Survey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the North Korean Youth refugees at Han-gyoreh mid-high school. Their age ranged from 14 to 23. 1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20 returned. Frequency was examined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were checked for the measure. To test the relationship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socio-psychological adaptation, cross-tabs and multiple regressi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taken, As dependent variables, positive/negative self-esteem and depression were used for measuring the socio-psychological adaptation of the students. And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adaptation of school life,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artistically creative curriculum, stress from cultural adjustment and support from friends, teachers and neighbors were inserted into the model. Its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it turns out that the students have been satisfied with the creative curriculum for school life an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regardless of the stu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it was the effect of the various personality programs and social support from friends, teachers and neighbors that have provided the students with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elf-esteem. Second, it was revealed that support from friends, teachers and neighbors gave meaningful influence to the students in terms of positive self-esteemt. That is to say, support from the community is more influential on forming positive self-respect than any other factors. And negative self-respect and depression were caused mainly by stress from cultural adaptation. Therefore, it showed that where the higher stress from adaptation exists the higher negative self-respect and depression are there. While the subject students are highly self-esteemed and live with passion, they also have to some degree negative self-respect and depression. They have a right to education for their own development since they are a member of this society. Therefore, for their adaptation, importance of the institution must be reconsidered and there has to be constant concern from South Koreans. Moreover, it is required to provide people with multi-culturally and generationally designed educational programs to get rid of prejudice they might have. Finally, the students would play a vital role in this society as a part of it by cooperating with each other. In order to do so, they need governmental policy support, educational studies, promotion of people’s concern and consensus and job training programs.

      • 켈러(Keller)의 학습 동기 이론을 적용한 학급음악회 지도방안 연구: 5, 6학년 학생들의 기악합주 활동을 중심으로

        최연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켈러(keller)가 설계한 ARCS 동기 이론으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의 동기향상을 위한 학급음악회 지도안을 제작하여, 입시 교육이 시작되기 전, 음악이 가진 가치와 유익함을 통하여 바람직한 가치관을 형성하고 인격적인 성장을 이루어가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 본 연구는 다음의 연구 내용을 정하여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였다. 첫째, 연구 주제인 학급음악회 수업을 통해 초등학교 5, 6학년의 음악 학습 및 전반적인 학습 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해 어떻게 수업을 진행할 것인지 이론적 배경을 통하여 방법들을 마련한다. 둘째, 학급음악회의 수업을 위하여 ARCS 동기 전략을 수업 전 미리 계획해두어 학습동기가 저하된 학생, 그리고 수업의 난이도를 쉽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을 중심으로 하여 지도안을 제작한다. 연구를 위해서 초등학교 고학년의 발달 단계, 최근에 진행되는 고학년의 실제 음악 수업, 학급 음악회의 성격과 의의, 학습동기와 ARCS 동기를 핵심 단어로 삼아, 문헌들을 살펴보았고, 이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통하여 본론의 지도안 제작의 근거들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흥미를 높일 수업 활동과 그동안 배운 내용을 음악 안에서 실행 할 필요성, 그리고 인지적 · 내재적인 동기의 결합을 통한 창의적 인성을 갖춘 인재 교육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현 시대의 동향을 반영하여 동기를 향상시킬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론에서는 학급음악회의 연주곡을 선정하여 학생들이 향후 겪게 될 여러 문제 상황들을 음악을 통해 풀어나갈 수 있도록 계획하였으며, 총 4차시의 학급음악회 수업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1차시에서는 학급음악회에서 할 기악합주 활동에 대해서 학생들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연주 할 악기를 소개하고 악기들의 특징에 대해 파악하는 활동을 한다. 2차시에는 총보를 읽는 시간을 가진다. 어떻게 총보를 읽고 연주할지 교사와 함께 살펴보며 총보에 익숙해지는 과정을 가진다. 교사가 총보의 선율들을 선창하면 학생들이 따라 부르며 연주곡을 익힌다. 3차시에는 연주할 곡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곡의 특징적인 몇 부분들을 함께 살펴본 후, 학생들이 악기를 정해서 자신의 선율을 연습해보는 시간을 갖는다. 마지막 4차시는 여러 악기들과 실제로 합주를 해보면서 음악 안에서 서로 소통하는 시간을 가져보고, 학급 음악회에서 연주곡을 다 같이 연주하는 것으로 수업이 마무리가 된다. 본 연구 및 앞으로 나오게 될 학습 동기 연구들을 통하여 학생들이 이론적인 내용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성취 할 뿐만 아니라, 음악교과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가치와 즐거움을 경험하여 학생들의 삶에 있어서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is focused on forming reasonable value systems and achieving personal growth through experiencing the values and benefits of music before pre-college education begins by developing class concert guidance to stimulate the motivation of fifth and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ARCS motivation theory devised by Keller. The study strives to achieve goals by determining the content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class concert class, which is the theme of the study, the efficient measures need to be equipp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discussing in which order the class will be proceeded to enhance their motivation on musical learning and the overall learning of fifth and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Second, in order to plan the class for a class concert, the guidance should be developed, centered on the students who have lower motivation than average and who consider the class too easy, by arranging the ARCS motivation strategy before the class. For the validity of the study, several references, including the keywords such as development stages of the upper grades, reality of the recent musical class for the upper grades, the characteristic and meaning of a class concert, learning motivation, and ARCS motivation, have been investigated, and the foundations in making the content of the guidance plan have been figured out based on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ory.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importance of educating talent with a creative personality through class activities that will elevate the students’ interests, the necessity to perform what they have learned so far in music, and the combination of cognitive and intrinsic motivation, has been verified. Therefore, the following research that will strengthen the motivation, reflecting current educational trends,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text, the guidance has been planned for students to resolve the several problematic situations that they may face in the future with music by selecting instrumental music for a class concert, and a total of fourth sessions of class concert guidance has been developed.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for the first session, the instruments to be played in a class concert will be introduced to the students with sufficient time to understand the class concert activity and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strument. For the second session, students will have time to read a full score. By discussing how the full score will be played with teachers, the students will be familiarized with the full score, in a manner that once the teachers lead the melody, the students sing along to learn the performance. For the third session, in order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performance, the students will get their own time to practice the melody with their instrument after looking into several distinguishing parts of the song to be played. Lastly, for the fourth session, the students will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music by performing together with several instruments, and the class will end by playing the song at the class concert. Through this study and the subsequent studies on learning motivation, it is hoped that students will be more interested in the theoretical content of music and achieve it by experiencing the values and excitement they can earn through the music course, helping their life.

      • 兒童日本語敎育 커리큘럼 디자인에 관한 考察 : 第2言語習得 理論의 適用을 中心으로

        최연주 東國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desirable integrated curriculum for young Japanese leaners(aged 6 to 9) in order to improves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Both learning language with proper materials and finding or selecting good materials which are based on advisable syllabuses are difficult. Thus, it is required to provide how curriculum has to be contented and how to teach with it. Appropriate curriculum design can play an important role on Japanese education because it presents contents, methods and selection for good Japanese materials, especially on text books. Hereupon, in this research, child of verbal, examined physical, that present development status and curriculum that consider level by stage in language education the forefinger enemy and improves child's communication ability plan. Is as following if take conclusion summarizing this research simply. First, acquiring second language examined necessary background theoretically for child. Examined laying stress on teaching of English of Japanese education and Korea for foreigner mainly because in the Korea yet Japanese teaching material for child and curriculum are wholly lacking real condition, and examined necessary important items to Korean child because executes questionnaire to 'Gumon Japan' teacher. And make verbal, that consider forefinger red, property by stage of physical development etc.. word sealer bus for communication ability cultivation and curriculum of child and presented the example. This research includes theoretical basis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d request analysis and stage of design that is important basis frame because there is in Japanese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to child. Forward, child's forefinger enemy, physical, development and Japanese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for child through method of more special and realistic curriculum may have to be achieved filling child's specific Japanese education target this time, considering verbal making. To achieve the purpose, the relation between syllabus and curriculum was reviwed and the identification of syllabus and its models with their each strength and weakness were presented in chapter 2. From the view of the theoretical writings and other researches on the syllabuses, the present condition of Japanese materials was studied and some of syllabus in textbooks for young leaners were analysed. A survey of teachers' needs in Japanese curriculum for young loaners was also analysed. with these studies, the syllabus for young leaners(aged 6 to 9) was designed. The syllabus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child's linguistic, legal, and physical development. And it is also integrated competence in communication using a proportional approach. An integrated Japanese syllabus of young leaners at the age of six to nine was presented based on principals listed above, It combined grammatical syllabus, notional-functional syllabus, and communicative syllabus as its organizing bases. Each level for certain age contains 26 units and each unit is divided into two periods per week based on the teachers' need analysis and the Japanese materials which are being produced in the present. Each unit was presented topics, language objectives, key expressions, function, dialogues, vocabularies. And the phonic tasks are presented for the syllabuses at the age of two to three, four to five and six levels. One unit of each syllabuses at the ages of six to nine and the over aged was provided as an example of an lesson plan which is contented with activities and tasks, An example of a Japanese textbooks for one unit at the age of six was presented too. In conclusion, this study is for suggesting the adequate Japanese syllabus for young leaners and is also for giving standard directions for teachers or book writers to select or write good Japanese materials which are based on proposed syllabuses.

      • TV 광고언어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최연주 부산외국어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bout one of Korean teaching methods using TV advertising languages and it has the goal of providing teachers with the right instructional model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using TV advertising languages. TV advertisements can benefit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 TV advertisements persuade people to buy something, so they can develop speaking or writing strategies in persuasion. Second, there are rhythm and useful expressions repeatedly appeared in TV advertisements and they are effective in teaching pronunciations of Korean language. Third, TV advertisements use various Korean vocabularies that can be applied to teaching vocabularies. Fourth, there are various types of sentences and structures that are repeatedly presented in TV advertising languages. They are available for teaching grammar of Korean language. This study, based on selecting audio-visual materials for education, tried to devise appropriate criteria for selecting TV advertising languages largely from two aspects : one is for the linguistic functions of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nd the other is for the linguistic principles of pronunciation, vocabulary, and grammar. Korean culture in advertisements is excluded because it is fragmentary and temporary. Teaching the linguistic functions a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 teaching Korean for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Teaching Korean for Understanding deals with effective methods of teaching listening and reading with TV advertising languages and teaching Korean for Expression treats positive methods of teaching speaking and writhing with TV advertising languages. There are selected TV advertisements for education in three stages : Pre-task performing, While-task performing and Post-task performing. For each stage, teaching methods with the advertisements are given in detail. The part of teaching the linguistic principles is about methods of using TV advertising languages in 5 stages of Warm-up, Presentation, Practice, Use and Follow-up for teaching the linguistic principles of pronunciation, vocabulary, and gramma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contrive effective methods of teaching Korean with TV advertising languages in the aspects of the linguistic functions and principles. In addition, the research devises techniques of using TV advertisements as useful teaching aids during classes not confined just to understanding the situations and contexts in the advertisements. I hope this study to be a small step in teaching Korean language, helping Korean teachers and learners who are willing to utilize TV advertising langu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