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진로장벽, 진로포부, 진로태도성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숙현 원광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relation among obstacles to the future, aspiration for the future, mature attitudes toward the future, and the behaviors to prepare the future, find out what has an effect on preparing the future,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guidance of the future and consultation. To attain this goal,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run as follows. First, in case of undergraduates, according to sex,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obstacles to the future, aspiration for the future, mature attitudes toward the future, and behaviors to prepare the future? Second, what effects do obstacles to the future, aspiration for the future, and mature attitudes toward the future have on behaviors to prepare the future? Third, what effects do sub-elements of obstacles to the future have on behaviors to prepare the future? Fourth, do patterned obstacles have direct or indirect effects on behaviors to prepare the future by the medium of aspiration for the future, and mature attitudes toward the future? Fifth,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direct or indirect effects of patterned obstacles on behaviors to prepare the future by the medium of aspiration for the future, and mature attitudes toward the future? Measurement tools are the measure of obstacles to future exploration (Kim Eun-young, 2001), the measure of future aspiration (Choi Su-wook, 2002), the measure of mature attitudes toward the future (Lee Ki-hong and Han Jong-cheol, 1997), and the measure of behaviors to prepare the future (Lee Myoung-sook, 2002).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2.0 program and the Amos 5.0 program. To test reliability, Cronbanch α was calculated,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 among variables, independent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the relation between cause and effect was analyz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nd cours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difference in future obstacles and behaviors to prepare the future according to sex. In case of mature attitudes toward the future and future aspiration, female students care much more than male students. Second, future obstacles, mature attitudes toward the future and future aspiration have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s to prepare the future. The higher future obstacles, the lower behaviors to prepare the future. And the higher mature attitudes toward the future and future aspiration, the higher behaviors to prepare the future. Third, sub-variabl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behaviors to prepare the future. It is shown that age obstacles have major effects, and the lack of job information, the anxiety of the future, and the lack of self clarification have minor effects. In case of male students, age obstacles are the most difficult in preparing their futures, and then the lack of job information and the anxiety of the future in order. In case of female students, age obstacles are the most difficult in preparing their futures, and then the lack of job information. Fourth, major and minor future obstacles have direct or indirect effects on behaviors to prepare the future by the medium of mature attitudes toward the future and future aspiration. Major future obstacles are not using mature attitudes toward the future and future aspiration. Minor future obstacles have direct effects on behaviors to prepare the future, while they have indirect effects by the medium of future aspiration. Fifth, direct or indirect effects of major and minor future obstacles on behaviors to prepare the future by the medium of mature attitudes toward the future and future aspiratio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ex. In case of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major and minor future obstacles already have direct effects on behaviors to prepare the future without medium variables. But in case of female students, there are no indirect effects on behaviors to prepare the future, while in case of male students, major and minor future obstacles are using future aspiration as a medium variable in the process of having effects on behaviors to prepare the future.-

      • 어릴 적 생태경험이 생태유아교사에게 미치는 영향

        최숙현 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유아교사가 어린 시절 경험한 생태적 경험 유무에 따라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전반적 이해정도와 그 하위요인인 생태유아교육의 사상적 관점의 이해, 생태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실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생태유아교사의 역할을 이해하고 그 중요성을 인식하는 데 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유아교사의 어릴 적 생태경험 유무에 따라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정도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생태유아교사의 어릴 적 생태경험 유무에 따라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사상적 관점의 차이가 있는가? 셋째, 생태유아교사의 어릴 적 생태경험 유무에 따라 생태유아교육과정의 인식 정도는 차이가 있는가? 넷째, 생태유아교사의 어릴 적 생태경험 유무에 따라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실천 정도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 소재에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생태유아교사 154명이고, 이들을 대상으로 생태유아교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 문항은 어릴 적 생태경험을 묻는 문항,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사상적 관점을 묻는 문항, 생태유아교육과정의 이해를 묻는 문항,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실천정도를 묻는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검사 도구는 SPSS를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T검정으로 나온 결과를 통하여 생태유아교사의 어릴 적 생태경험의 유무에 따라 두 집단으로 분리하고, 두 집단의 생태유아교육의 사상적 관점, 생태유아교육과정 인식,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실천정도의 유의미한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유아교사의 어릴 적 생태경험 유무에 따라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정도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유아교사의 개인적 자질을 형성하는 교사 자신의 유아기에 어떤 형태의 놀이 경험을 가지고 있는가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둘째, 생태유아교사의 어릴 적 생태경험 유무에 따라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사상적 관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유아교육의 이해 요인 중에서 생태유아교육의 사상적 관점을 이해하는 것은 생태유아교육과정 인식이나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실천보다 좀 더 깊이 있는 이론적 지식과 풍부한 생태 경험을 통해 오랜 기간을 거쳐 형성되기 때문에 유아교육기관의 구성원 중 교사보다 원장의 영향이 더 클 수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 셋째, 생태유아교사의 어릴 적 생태경험 유무에 따라 생태유아교육과정의 인식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유아교육에서 교육과정을 실천하는 교사는 체계적으로 미리 계획된 교육내용을 가르치고 수업을 하는 것이 아니라 유아들과 함께 놀아 주고 돌보고 기르는데 중점을 두고, 먹는 것, 자는 것, 입는 것, 놀이하는 것 등의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교육이 이루어진다. 즉, 생태유아교육과정은 수업보다는 삶을 통하여 교육이 이루어지므로, 교사가 어릴 적부터 몸과 삶으로 경험한 생태적 경험은 생태유아교육과정의 인식과 실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생태유아교사의 어릴 적 생태경험 유무에 따라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실천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교육 프로그램은 강의나 교육을 통해 그 종류와 방법을 학습 할 수는 있으나, 생태프로그램은 교사와 아동이 일상적인 생활에서 익숙한 습관과 몸에 베임으로 자연스럽게 다가가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교사의 어릴 적 생태경험은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실천할 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위와 같이 어릴 적 생태 경험은 생태유아교육 교사로 근무함에 있어 생태유아교육의 전반적인 이해정도, 생태유아교육의 사상적 관점, 생태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좋은 생태유아교사에게 생태적인 경험을 하며 자란 아이들이 생태유아교사가 되어 다시 우리 아이들과 자연 속에서 더불어 살아간다면, 이것이 진정한 ‘자연의 순환성’이며, 생태유아교육의 미래가 될 것이다.

      • 유아 영어 학습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최숙현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effects of early English learning on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ir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discussed. First, what kinds of effects does English language learning in the early childhood have on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satisfaction, immer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ward English learning? Second, does early English learning affec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erms of qualitative research. To examine the qualitative aspect, I used interviews, the teacher's diary, field notes and questionnaires. Four kinds of affective factors questionnaire were designed and measured student's level of affective factors in the pre-session and post-session. Parent's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to investigate about their perception about early English learning.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eight weeks. For this program, I selected eight students who are in the first grade. I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 group with early English learning and a control group with no previousEnglish learn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 group showed higher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post-session data analysis. Second, the experiment group's attitude was more positiveand had a higher confidence and enjoyment. Third, the experiment group indicated higher satisfaction. Both groups indicated that they felt strong satisfaction they were good at English. Fourth, both groups indicated similar concentration level. But a control group indicated less concentration when they met a more difficult topic. Fifth, the experiment group's parents wanted their children to acquire English language naturally, while, the control group's parents to achieve a high academic level. Nonetheless the experiment group's academic level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s. Based on this study, the following pedagogical suggestions are made:1)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verify multidimensionally the effectiveness of early English education; 2) English teachers should look into an eclectic method to improve English skills of early learners in various conditions.

      • 지방자치단체 수의계약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최숙현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수의계약 현황을 살펴보고 공무원들의 인식조사를 통해 수의계약의 문제점과 올바른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계약, 지방계약법의 개념, 지방계약법의 구성체계 및 특성, 계약제도의 유형별 분류 및 절차등의 수의계약과 관련된 이론 정리를 실시하였으며, 수의계약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수의계약이 가지고 있는 장점과 단점, 개선방안을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실증분석을 위한 연구모형과 설문지 작성을 실시하였으며, 작성된 설문을 서초구 공무원을 통해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4장에서는 인식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공무원들은 현행 수의계약 제도에 관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었으나, 언론 및 여론에서 문제 삼고 있는 비리, 유착, 비용낭비와 같은 문제는 없다고 응답하고 있었으며, 탄탄한 계약상대와 지역경제 활성화, 절차의 간소화와 같은 성과는 높다고 응답하고 있다는 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업무 특성에 따른 인식차이를 분석한 결과도 빈도분석과 유사하게 집단별 인식차이가 거의 없이 모두 비리와 같은 문제점은 낮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성과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제도 개선에 대한 필요성을 동일하게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개선방안으로 감사 및 통제 규정 강화, 계약의 공개, 교육과 같은 행정기능 강화를 제시하고 있었다. 5장에서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현행 수의계약이 가지는 장점을 살릴 수 있는 방향으로 절차의 간소화 등의 제도 개선을 추진하되 공개를 통한 투명성 강화와 법적 제도적 감시·통제기제의 마련이 시급하다고 볼 수 있으며, 담당 공무원들의 교육을 통한 청렴도 향상에도 힘써야 할 것이라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 다문화가정 영유아의 교육에 관한 실태 :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최숙현 군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국제화. 개방화라는 조류를 타고 각 국가 간 인적교류의 활성화로 다인종, 다문화로 변모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우리나라도 국제결혼 다문화가족 형성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 같은 국제결혼의 증가는 국제결혼 가정에서 출생하는 영. 유아의 증가로 이어진다. 이와 같은 추세에서 알 수 있듯 전북지역의 다문화 가정도 급증하고 있다. 결혼이민자와 그 자녀의 수도 5년 만에 두 배로 늘었다. 특히 이들 자녀의 62% 6세 이하의 영유아로 초기 한국어 및 정체성 교육이 절실하지만 현장의 실정은 미흡하다. 다문화 가족은 아버지 또는 어머니의 이중 문화로 인하여 서로 다른 가치관과 생활습관으로 인하여 일반가정의 아동과는 달리 혼란과 갈등을 경험할 수 있는 요건이 많다. 유아교육이 일반적인 아동 초기 교육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의미가 있는 이유는 초기경험이 아동기뿐 아니라 성인기까지 장기 영향을 미치는데 있다. 특히 다문화가정에 대한 초기 교육은 초기 한국어 습득과 정체성, 가치관 형성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재는 소수이긴 하지만 다문화 가정의 영유아를 위한 다문화교육을 외면한다면 이들이 초. 중. 고교로 진학할 때에는 더 큰 사회적 비용을 치르게 되고 결국 사회 통합에도 걸림돌이 될 것은 분명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육시설에서의 다문화가정 영·유아교육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고 다문화가정 영·유아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보육시설의 질적 향상을 위한 지원을 수립을 위한 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전라북도 지역 보육시설의 다문화가정 영유아를 위한 교육 및 교사, 관할기관 지원 관련 실태를 직위, 다문화가정 영유아의 교육 경험,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경험에 따른 배경변인별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이에 따른 전라북도지역 보육시설에서의 다문화가정 영유아교육을 위해 요구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보자 하였다. 연구의 구성은 1장 서론으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방법 및 범위로 구성하였으며, 2장 이론적 배경으로 다문화가정과 다문화교육, 외국 다문화가정 교육지원 정책을 살펴보고. 3장 연구방법, 4장 결과 및 해석, 5장 결론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다문화가정 영유아를 유아교육기관에서 지도함에 있어 첫째, 다문화교육의 자료 부족. 둘째, 다문화교육에 대한 지식이나 이해 부족, 셋째, 언어소통의 어려움이었고 기타 인종에 대한 편견과 부모협조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가 또는 관할 기관의 지원 요청 사항으로는 다문화 프로그램을 위한 예산 지원, 둘째 현장에 맞는 다문화교육자료 개발 및 보급, 셋째, 다문화가정 영유아교육을 위한 연수였고 기타 다문화가정 부모교육 프로그램 보급과 교사지원으로 나타났다. 해마다 늘어나는 다문화가정 영유아를 위해 국가 및 관할기관은 다문화가정 영유아를 적절히 교육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교육 연수의 확대 및 행·재정 지원과 지원에 대한 홍보로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즉 국가는 멀지 않은 미래에 우리 사회 구성원 가운데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게 될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위해 최선의 노력과 지원을 해야 하고, 영유아를 교육하는 교육기관에서도 이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운영해야 할 것이다.

      • 부동산 간접투자상품을 결합한 포트폴리오의 연구

        최숙현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Until recently, most people have invested in a traditional portfolio consisting of stocks, bonds and real estates based on the three-division method of properties in Korea. However,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the composition of a portfolio combining representative real estate indirect investment products such as REITs and real estate funds on the investment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the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mean variance model, which is the most appropriate method for the portfolio composition, was used. For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mixed asset portfolios were classified into Portfolio A through Portfolio G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assets, and the price indices selected as KOSPI, KRX BOND, REITs, TRUS Y7, HanwhaLasal, and OFFICE(Seoul). In order to measure the return and risk of the mixed asset portfolio, correlation analysis, mean variance analysis, sensitivity analysi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ere performed to derive the efficient frontier, and along with the minimum variance portfolio and the optimal risky portfolio, changes in the risk and return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real estates and real estate indirect investment product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case of the minimum variance portfolio, Portfolio D, which combined bonds, stocks, REITs and real estate funds, and Portfolio G, which added the office, the actual real estate, were shown to have the lowest risk. On the other hand, it was shown that Portfolio C, which consisted of bonds, stocks and real estate funds, and Portfolio F, which added the office, the actual real estate, had the highest return. In case of the optimal risky portfolio, Portfolio B composed of bonds, stocks and real estate funds and Portfolio D with added REITs had the lowest risk while Portfolio F composed of bonds, stocks, offices and real estate funds, and Portfolio G with added REITs were the most profitable. Therefore, based on the optimal risky portfolio, it was found that Portfolio F and Portfolio G with low risks and the highest returns could be classified as risk preference while Portfolio B and Portfolio D with low returns and low risk could be classified as risk aversion. In addition, other portfolios could be classified as risk neutral. The analysis of sensitivity response of target return according to changes in the asset proportion showed that KRX BOND and KOSPI fluctuated generally depending on the asset composition. In addition, when the proportion of the real estate fund and the office, an actual real estate asset, increased, the return increased, and when that of REITs decreased, the return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efficient frontier showed that Portfolio G and Portfolio F were the most efficient since they were located at the upper left corner, and Portfolio A and Portfolio B were relatively inefficient since they were located at the lower right. As a result, it has been analyzed that it was more effective to compose a portfolio including REITs and real estate funds, which were real estate indirect investment products that eliminated the illiquidity limitation of real estates than real estates, the traditional three-division method of properties. Particularly, when real estate funds were included as investment assets, the overall risk and return of the portfolio were positively affec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risk of investors and reduce the cost of ownership of the real estate by solving the illiquidity problem that is the biggest disadvantage of the direct investment,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it is more necessary to reinvigorate the real estate indirect investment market where small amounts can be invested. Particularly,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a need for the system where investors are offered various opportunities by expanding investment institutions, developing various products and expanding new sales channels, and the companies receiving the investment stabilize businesses and generate profits to be distributed to investors through securing funds and new invest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