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직장인의 사업장부설 문화센터 프로그램 참여 동기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수연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업장부설 문화센터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직장인들의 참여 동기와 삶의 만족도 수준을 검증하고, 이러한 참여 동기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사업장부설 문화센터를 찾는 직장인들의 특성을 반영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기획과 그를 둘러싼 다양한 담론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부산지역 사업장부설 문화센터에서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직장인 수강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총 232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 자료로써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을 거쳐, 기술통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업장부설 문화센터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직장인들의 참여 동기는 평균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지향형 참여 동기, 활동지향형 참여 동기, 목표지향형 참여 동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들의 삶의 만족도 또한 평균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는데, 긍정적인 사고, 자기효능감, 자기존중감, 삶의 활력감, 삶의 만족감, 정서적 안정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장인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참여 동기와 삶의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업장부설 문화센터 프로그램 참여 횟수가 많은 직장인일수록 학습지향형 참여 동기와 활동지향형 참여 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장인들의 사업장부설 문화센터 프로그램 참여도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기획 방향에 학습지향적이거나 활동지향적인 동기 자극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셋째, 사업장부설 문화센터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직장인의 참여 동기와 삶의 만족도는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직장인들의 참여 동기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짐을 예측할 수 있어, 이들 간에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직장인의 사업장부설 문화센터 참여 동기 중에서 학습지향형 동기와 활동지향형 동기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목표지향형 동기는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지향형 참여 동기와 활동지향형 참여 동기가 직장인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사업장부설 문화센터에서 직장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들의 참여를 확대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다. 즉, 사업장부설 문화센터에서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참여 동기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반영한다면, 직장인의 수요가 있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며, 참여 직장인들의 삶의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 직장인, 사업장부설 문화센터, 평생교육 참여 동기, 삶의 만족도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otivation and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workers, who participate in a business establishment-attached cultural center program and comprehensively verify the effect of such motivation on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provides the basic data for planning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workers, who visit a culture center, as well as on various discourse surrounding the plan. This study surveyed employees participating in life long education programs of business establishment-attached culture centers located in Busan. And the responses for a total of 232 questionnaires were used as the final data for the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workers’ participation motivation regarding the a business establishment-attached cultural center program is higher than the average; the high level is in the order of learning-oriented, activity-oriented, goal-oriented participation motivation. The worker’s life satisfaction is also above the average, with high scores, in the order of positive thinking, self-efficacy, self-respect, life vitality, life satisfaction, and emotional stability. Secon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motivation according to individuals’ characteristics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In particular, the workers with a higher number of participations in culture center program tend to have the higher activity-oriented motivation and learning-oriented participation motivation. This implies that stimulating activity-oriented motivation and learning-oriented motivation must be considered highly important to vitalize workers’ participation of the culture center program. Third,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workers participating in a culture center program have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This implies that the higher participation motivation of workers can be used to predict higher life satisfaction, indicating a very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ourth, among the worker’s participation motivations for the culture center program, higher learning-oriented motivation and activity-oriented motivation lead to higher life satisfaction. However, goal-oriented motivation did not affect life satisfaction.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learning-oriented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activity-oriented participation motivation are important variable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 worker’s life satisfaction. To enhance the worker’s life satisfaction, these findings can be used by the business establishment-attached cultural center as the basic data to develop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expand their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if the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life satisfaction is comprehensively considered and reflected in the course of developing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at targets workers participating in the cultural center program, then it will be able to develop high-level,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with high participation. key words: workers, business establishment-attached cultural center,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motivation, life satisfaction

      • 이혼을 경험한 여성의 성장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최수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experiences of women in the process of art therapy designed for the growth of women who have experienced divorce. To this end, a qualitative case study is applied in this research to explore in-depth the significance of the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 of this research. The participant of this research is a 41-year-old female who had an agreed divorce in January 2020 after about 15 years of marriage. In this case, twice a week from July 16, 2020 to August 20, 2020, a total of twelve art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for 90 minutes. The researcher obtained the consent of the research participant to record videos and audios in every session and to take photographs of the artwork to gather data for in-depth understanding and research of the research participant and the case. In addition, verbatim records of transcriptions of video and audio recordings were collected as original data. Observations made as the therapist while conducting the case first-hand was recorded as a treatment log. And through the original data and the treatment log, the observation of nonverbal behavior and verbal expression were analyzed and transcribed into a docume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 total of four main topics and fourteen subtopics were derived. The categories of experience in this art therapy case are <facing and recognizing emotions experienced by divorce>, <discovering the meaning of divorce for oneself>, <experiencing con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he heart through art therapy>, <materializing a positive future and gaining confidence to live on one’s ow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conclusions on what women experienced in art therapy designed for the growth of women who have experienced divorce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 could objectively recognize negative emotions experienced in the divorce process and integrate the divorce into a part of her life through art therapy designed for the growth of women who have experienced divorce. Second, the participant who has experienced divorce could safely express the oppression caused by divorce through artworks, thereby purifying her emotions and providing healing experiences of metaphoric comfort. Third, the participant of the research could experience emotional support through art therapy and discover her own sources of support. Through this, the participant could gain a positive perception of herself and others thereby gaining new strength and courage in facing the future. Fourth, through art therapy designed for the growth of women who have experienced divorce, the participant could rebuild her broken psychology and reconstruct her life in the process of accepting and understanding the past and rea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women who are experiencing psychological pain due to divorce could objectively recognize negative emotions experienced in the divorce process, integrate divorce as part of their lives, and eliminate the oppression caused by divorce through art therapy for growth. The research participant could experience emotional support through art therapy and discover her own sources of support, and in the process, the participant could gain a positive perception of herself and others and could gain new strength and courage in facing the future. The research participant could rebuild the psychology broken due to divorce and reconstruct the story of her life in the process of accepting and understanding the past and reality. Correspondingl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revealed that art therapy designed for the growth of women allowed the expression and relief of negative emotions experienced in the divorce process as they are, allowed the acceptance of divorce as a part of life and the positive perception of oneself helped the process of growth. 본 연구의 목적은 이혼을 경험한 여성의 성장을 위한 미술치료 과정에서 여성이 어떠한 경험을 하였고,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가 경험한 것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하여 질적 사례 연구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약 15년간의 결혼생활을 마치고 2020년 1월 조정이혼을 한 만 41세 여성이다. 본 사례는 2020년 7월 16일부터 8월 20일까지 주 2회, 90분간 총 12회기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와 사례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연구하기 위하여 연구 참여자의 동의를 받고, 매회기 비디오로 녹화 및 녹음하였고 작품 사진을 촬영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녹화 및 녹음을 전사한 축어록을 원자료로 수집하였으며, 치료사로서 직접 사례를 진행하면서 관찰한 내용을 치료일지로 기록하였다. 그리고 원자료와 치료일지를 통하여 연구 참여자의 비언어적인 행동 관찰 및 언어표현을 분석하여 문서로 전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4개의 상위 주제와 14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미술치료 사례의 경험 범주는 <이혼으로 인해 경험하는 감정을 마주하고 인식함>, <이혼이 나에게 주는 의미를 발견함>, <미술치료를 통해 마음의 정화와 위로를 경험함>, <긍정적인 미래를 구체화하며, 스스로 살아갈 자신감이 생김>이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혼을 경험한 여성의 성장을 위한 미술치료에서 여성이 경험한 것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혼을 경험한 여성의 성장을 위한 미술치료를 통해 참여자는 이혼 과정에서 경험하는 부정적인 감정을 객관적으로 인식하여 자신의 이혼을 삶의 일부로 통합할 수 있었다. 둘째, 이혼을 경험한 참여자는 미술 작품을 통해 이혼으로 인한 억압을 안전하게 표현함으로써, 감정을 정화하고 은유적으로 자신을 위로하는 치유의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를 통해 정서적 지지를 경험하고 자신의 지지 원천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통해 자신과 타인을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면서 미래에 대한 새로운 힘과 용기를 획득하게 되었다. 넷째, 이혼을 경험한 여성의 성장을 위한 미술치료를 통해 참여자는 자신의 과거와 현실을 수용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무너진 심리를 재건하고 삶을 재구성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이혼으로 인해 심리적 고통을 경험하고 있는 여성에게 성장을 위한 미술치료는 이혼 과정에서 경험하는 부정적인 감정을 객관적으로 인식하여 자신의 이혼을 삶의 일부로 통합하고, 이혼으로 인한 억압을 미술 작품을 통해 안전하게 표현함으로써, 감정을 정화하고 은유적으로 자신을 위로하는 치유의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를 통해 정서적 지지를 경험하고 자신의 지지 원천을 발견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자신과 타인을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었으며, 미래를 살아갈 새로운 힘과 용기를 획득하게 되었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는 자신의 과거와 현실을 수용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이혼으로 인해 고통받으며 무너졌던 심리를 재건하고 자신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긍정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이혼을 경험한 여성의 성장을 위한 미술치료는 이혼으로 인해 경험하는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하고 해소함으로써 자신과 삶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혼을 자기 삶의 일부로 통합하여 받아들이고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갖게 됨에 따라 성장으로 나아가는 과정에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일반계 여자고등학생의 진로결정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수연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개인의 일생에서 매우 중요한 발달과업 중의 하나인 진로결정을 일반계 여자고등학생들이 어떻게 경험하였고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 탐색해 보고 그 현상을 들여다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된 연구이다. 고등학교 시기는 진로발달 단계상 구체화 시기에 해당되며, 각자 고려해왔던 직업들 중에서 특정한 직업을 선택해야 하는 때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일반계 여자고등학생의 진로결정 경험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여자고등학생의 진로결정 경험의 과정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하였으며 연구 문제는 ‘일반계 여자고등학생은 진로결정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는가?’와 ‘일반계 여자고등학생의 진로결정 과정에서의 경험은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이다. G시에 위치한 일반계 G고등학교의 2, 3학년 여학생 60명 중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학생들의 확고한 진로결정을 측정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확고한 진로결정을 하고 연구에 동의한 학생 60명을 모집하여 진로결정척도(CDS/Career Decision Scale)를 활용하여 검사척도 점수가 높은 상위 20% 학생 중 연구 참여를 희망하는 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차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코로나 19의 여파로 마스크를 착용하고 거리를 유지하며 면대면으로 만나기도 하고, 화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면담은 2회 이상 실시하였고 시간은 매회 40-50분으로 하였다.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진로결정 과정의 경험에 관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연구 참여자의 동의하에 면담을 녹음하여 축어록을 작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Giorgi 현상학적 연구 방법의 4단계로 수행하였고,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도출된 의미와 본질을 탐색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총 213개의 의미 단위와 27개의 하위구성요소, 5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구성요소를 이루는 각 경험의 의미는 경험의 맥락 속에서 복합적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일반계 여자고등학생의 진로결정과정 경험에 대한 5개의 구성요소로는 ‘나의 진로에 대한 단서를 포착함’, ‘의미있는 타인이 존재함’, ‘적극적인 자세로 임함’, ‘가족의 진로지지를 받음’, ‘진로 장벽에 대해 자각함’으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첫째, ‘나의 진로에 대한 단서를 포착함’ 하위구성요소로 도출된 것은, ‘칭찬과 긍정적 피드백 받는 분야가 존재함’, ‘나의 특성이 내 진로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게 됨’, ‘진로에 관심을 가지고 정보를 찾아 스스로와 매치해 봄’, ‘진로 관련 체험을 통해 진로결정에 확신을 가짐’, ‘우연한 생활 경험을 진로와 연계해 진로에 흥미를 더함’이다. 둘째, ‘의미있는 타인이 존재함’ 하위구성요소로 도출된 것은 ‘원하는 진로에 종사하는 역할 모델과의 만남을 통해 모델링함’, ‘역할모델 관련 정보(자서전, 강의청취, 소식정보 등)’, ‘장·단점을 파악해 조언해주는 가족, 또래친구, 선생님 등의 존재’, ‘또래와의 대화, 선의의 경쟁을 통한 진로결정’, ‘가족과 선생님, 선배 등을 통해 직업정보를 수집함’이다. 셋째, ‘적극적인 자세로 임함’ 하위구성요소로 도출된 것은 ‘진로결정을 위해 주도적으로 계획하고 실행함’, ‘스스로 상황을 판단하고 결정함’, ‘진로를 결정하기 위한 적극적인 자세’, ‘진로관련 활동(동아리, 학생회, 봉사, 사회적공동체)을 통해 보람을 느낌’, ‘진로에 관심을 갖고 여러 정보에 귀를 기울임’, ‘여러 장소에서 진로 관련 활동을 몸소 체험함’, ‘자신에 대해 생각해 봄’이다. 넷째, ‘가족의 진로지지를 받음’ 하위구성요소로 도출된 것은 ‘부모의 정신적, 물질적 지원’, ‘학생 자신의 가시적 성과로 가족에게 인정을 받음’, ‘부모와 같이 진로 관련 정보를 보고 진로결정에 대해 토론함’이다. 다섯째, ‘진로 장벽에 대해 자각함’ 하위구성요소로 도출된 것은 ‘부모의 안정적 직업으로의 진로결정 강요’, ‘자신의 현재 성적으로 원하는 대학 진학의 어려움’, ‘갈수록 심해지는 취업난’, ‘여성으로서 불리한 취업시장, 작업환경’, ‘개인, 학교마다 진로결정 관련 환경이나 정보가 다름’, ‘실패하면 안된다는 압박감’, ‘자기 미래에 대한 두려움’이다. 본 연구를 통해 일반계 여자고등학생들의 진로결정 경험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를 높이고 진로결정 경험에 대한 후속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다매체 시대 방송사업자의 저작권법상 지위와 그 동향에 관한 연구

        최수연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KBS와 MBC가 과점하던 방송시장에 90년대 민영방송 SBS와 종합유선방송 개국과 이후 tvN, IPTV와 위성 방송, 종합편성채널 개국 등으로 참여자들이 다양해졌으며, 모바일 기기를 통해 시공간의 제약 없이 다양한 장르의 방송영상 콘텐츠를 즐길 수 있게 되면서 OTT서비스가 발달하고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OTT사업자들까지 국내에 진출하여 그 수가 더욱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다양한 사업자들이 생산하는 콘텐츠들이 다양한 기기로 소비되면서 제작과 유통방식 또한 달라졌으며, 방송과 통신의 융합으로 기술의 구분만 있을 뿐 제공되는 콘텐츠의 종류와 이용 방법 등에 대한 구분은 점차 무의미해지고 있다. 과거에는 방송 이후 방송프로그램 재전송 창구로 활용되던 인터넷, 모바일 서비스가 OTT의 발달로 방송 플랫폼과 동시에 콘텐츠가 공개되기도 하고 OTT 플랫폼 등을 통해 선 공개된 콘텐츠가 방송에 편성되기도 하고 OTT플랫폼에서만 볼 수 있는 오리지널 콘텐츠가 큰 화제가 되기도 하면서 방송사업자의 경쟁상대를 넘어 기존 방송사업자를 대체하는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또한 콘텐츠 소비 방식의 변화에 따라 기존 문법에서 벗어난 짧은 길이의 숏폼 콘텐츠가 인기를 끌자 모바일 전용 숏폼 콘텐츠가 만들어지기도 하는 등 플랫폼과 동시에 콘텐츠 영역에서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OTT 서비스가 발달하고 성장하는 과정에서 저작물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 다양한 분쟁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저작권법 개정 필요성이 논의되고 있기도 하다. 방송사업자는 플랫폼사업자와 콘텐츠제작자로서 저작권법상 저작인접권자 내지는 저작권자에 해당한다. 따라서 방송사업자의 방송과 방송프로그램은 저작권법상 보호를 받는다. 이와 동시에 방송사업자가 제작하는 방송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저작물의 최대 이용자로서 영상저작물 제작에 참여하는 다양한 권리자들의 권리를 처리하고 있다. 이와 같은 권리자와 이용자로서의 방송사업자의 지위는 방송 산업의 변화에 따라 변모해왔으며, 근래에는 더욱더 큰 변화를 맞게 되었다. 방송사업자는 영위하는 기본적인 사업구조(제작-편성-유통)가 각 단계마다 변화를 맞게 되면서 방송사업자의 지위와 의무에 대한 조정이 필요한 시점이 온 것이다. 다양한 사업자가 방송 제작 및 유통에 참여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방송프로그램이 이용되면서 시장이나 여타 다른 영역에서의 방송의 범위는 확장된 반면 기존 저작권법상의 범위는 여전히 제한적이어서 이러한 변화에 맞게 범위를 확대하고, 이에 수반되는 방송사업자의 권리에 대한 조정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방송의 정의와 방송사업자의 지위에 대해 알아보고 과거부터 최근까지 이와 관련된 저작권법적 쟁점사항들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또한 새롭게 등장한 OTT서비스 현황과 저작물 이용과 연관된 분쟁에 대해 살펴보면서 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Past KBS and MBC are oligopolistic was broadcast market in the 90 's private broadcasting SBS and after a comprehensive cable TV countries, tvN , IPTV and satellite , were participants vary a comprehensive channel countries such as , mobile variety of genres, without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through the device, As OTT service has developed as it is possible to enjoy the broadcasting video contents of Korea, the number of OTT service has increased further by entering the domestic market as well as overseas OTT operators . As the contents produced by various companies are consumed by various devices,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methods have also changed , and due to the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there is only a classification of technology,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types and usage of the provided contents is gradually becoming meaningless. . In the past, the Internet that were utilized by program retransmission counter after the broadcasting , mobile services OTT simultaneously broadcast platform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ontent is often public and OTT public line through such platforms, content is also organized in the broadcast and OTT can be seen only on platforms As original content has become a big topic, there is a phenomenon that goes beyond the competitors of broadcasters to replace existing broadcasters . In addition, the content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he consumption patterns of a short length away from the traditional grammar syotpom content kkeulja popular mobile -only syotpom content and at the same time, such as platforms, accentuated create content in the area is taking place many changes . The OTT and services and the development and growth process various disputes related to the use of the asset occurred in , it itgido discussed the related copyright laws need revision . Broadcasting business operators are platform business operators and content producers, and correspond to copyright holders or adjacent rights holders under the Copyright Act . Therefore, broadcasters' broadcasts and programs are protected under copyright law . At the same time , it handles the rights of various rights holders who participate in the production of video works as the largest user of the work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oadcast programs produced by broadcasters . The status of broadcasters as such rights holders and users ha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 and in recent years , it has undergone even greater changes . As broadcasters' basic business structure ( production - organization - distribution ) changes at each stage, it is time to adjust the status and obligations of broadcasters . As various operators participate in broadcast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nd broadcasting programs are used in various ways, the scope of broadcasting in the market and other areas has expanded, but the scope of the existing copyright law is still limited , so the scope has been expanded to accommodate these changes. It seems that there is a need to adjust the rights of the accompanying broadcasters . Accordingly,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definition of broadcasting and the status of a broadcasting business operator, and reviewed the issues related to copyright law from the past to the latest .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status of newly emerged OTT services and disputes related to the use of works, we tri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is .

      • 니체 사상에 함축된 '존재를 위한 평생학습'의 의미에 관한 연구

        최수연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Nietzsche(1844-1900) 사상에 함축된 평생교육의 본질로서의 존재를 위한 평생학습의 의미를 '앎'을 위한 평생학습, '행함'을 위한 평생학습, '더불어 삶'을 위한 평생학습, '존재'를 위한 평생학습의 관점에서 고찰하는 데 있다. Nietzsche 사상을 학교 교육적 측면에서 논의한 연구는 국내외 소수의 교육철학자들을 중심으로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Nietzsche를 성인교육 혹은 평생교육 관점에서 분석 및 고찰한 연구는 국내는 물론 국제학계에서도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에서 본 논문은 탐색적 연구의 성격을 지닌다. '앎'을 위한 평생학습을 위해 Nietzsche는 먼저 본질을 포착하는 사유방식을 제시한다. 그 사유방식에 의거해 앎을 위한 학습의지를 인간의 본질인 힘에의 의지로 상정한다. 학습의지의 대상인 지식의 이해는 서양 전통 인식론과 대척점에 놓인 Nietzsche의 인식론에서 도출된다. 플라톤적 및 유대-그리스도교적 지식관을 반(反)실재적, 반(反)자연적이라 비판하며 해체시킨 Nietzsche에게 실재란 생성 변화하는 '삶'이다. 실재에 기반한 지식, 진리는 시대에 따라 차이와 특수성을 지니며 생성.소멸하는 상대적, 가변적 속성을 지닌다. Nietzsche의 인식론은 지식에 대한 관점주의로 귀결되며, 평생교육에서의 구조주의적, 포스트모던적 학습개념을 통한 새로운 지식창조의 가능성을 상정한다. '행함'을 위한 평생학습은 학습의 실용성인 '쓰임새'와 실천을 강조한다. Nietzsche는 전통 형이상학에 기초한 교육의 선험적, 형식적 목적을 거부하고 삶과 연관이 없는 교육을 사이비교육으로 비판한다. 학습의 실용성은 Delors 보고서가 강조하는 예측학습 역량 개발과 연계되며, 이를 위해 Nietzsche는 행위의 주체인 '나'가 중심이 되고, 노예도덕 아닌 주인도덕을 갖출 것을 촉구한다. Nietzsche는 서양전통철학에서의 영혼과 신체의 이원론적 인간관을 해체시키고 이성과 육체, 힘에의 의지를 포괄하는 통일적 존재로서의 '신체적 인간'관을 제시한다. Nietzsche는 신체적 인간의 행함과 실천을 위한 조건으로 '해방'에 절대적 가치를 부여한다. 계몽을 통한 해방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보면 Frankfurt학파보다 반세기 앞서 비판이론의 철학적 준거를 제시한 것이다. '더불어 삶'을 위한 평생학습을 위해 Delors 위원회는 먼저 학습자 개개인의 자아인식 학습이 선행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같은 맥락에서 Nietzsche는 '너 자신이 되라'는 학문의 목표이자 전부라고 말한다. 그러나 서양 근대철학이 주창하는 유아론(唯我論)적 주체성에 입각한 실체론적 철학을 부정한다. 주체적 존재인 '나'의 본질은 사고하는 인간 혹은 선험적 주체가 아니라 이성과 육체, 욕구하는 부분이 통일체를 형성하는 존재이며, 그런 인간을 '신체(Leib)' 혹은 '자기(das Selbst)'라고 상정한다. 또 다른 자아인식은 실존적 존재로서의 '나'이다. 인간은 고정된 존재(Being)가 아니라 끊임없이 되어가는 생성(Becoming)의 존재이며 과정적 존재다. 그 과정에서 자유로운 선택에 의해 짐승으로 퇴행할 수도, 위버멘쉬로 상승할 수도 있는 존재다. Nietzsche의 위버멘쉬는 존재로서의 평생학습의 의미와 목적, 이상이 된다. Nietzsche는 자신에 대한 긍정만큼 타자에 대한 인정과 수용을 세 가지 면에서 강조한다. '다름'은 주체의 다양성에서 기인한다는 점, 모든 인간의 본질적 특성이자 차이는 힘에의 의지라는 점, 타인은 나와 다른 가치평가를 하는 존재라는 점이다. Delors 보고서와 같이 Nietzsche는 타자에 대한 진정한 이해와 사랑은 자신에 대한 이해와 사랑을 전제로 함을 강조한다. 자기애가 없는 이타적 사랑은 주어지고 강요된 가치를 따르는 수동적 행위이거나 자신에 대한 도피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Nietzsche는 영원회귀 사상을 통해 타자와의 조화로운 삶의 중요성을 암묵적으로 반문한다. '지금 여기'의 삶에서 '왜소한 인간'으로 산다면 그 왜소한 인간의 모습으로 영원히 되돌아온다는 저주이기 때문이다. Nietzsche늬 사유에서는 동일한 것의 영원회귀는 운명애와 필연적으로 결부된다. '지금 여기'의 삶을 사랑하는 자만이 영원회귀를 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존재'를 위한 평생학습의 목표는 '온전한 인간(complete person)'의 개발이다. 그러나 Nietzsche에게 자아는 '실현'의 당위적 목적을 본래적으로 구비한 고정된 존재가 아니기에 자아실현이란 허구적 관념이다. Delors 보고서와 같은 맥락에서 Nietzsche의 생성철학은 인간은 짐승에서 위버멘쉬로 끊임없이 생성 변화하는 주체이기에 자아는 실현의 대상이 아닌 창조의 주체임을 강조한다. 변화하는 주체이기에 자아는 실현의 대상이 아닌 창조의 주체임을 강조한다. 창조의 주체는 제도에 편입될 수 없는 개인성의 복원을 전제로 하며, 힘에의 의비로서의 학습의지를 동력으로 온전한 인간 혹은 위버멘쉬로 끊임없이 되어가는 과정적 존재이다. 그 과정은 짐승에서 위버멘쉬로 나아가는 밧줄이며, 낙타에서 사자 그리고 사자에서 어린아이로의 세 단계에 걸친 정신의 여행이다.

      • 놀이를 통한 효과적인 유아음악교육 지도방안

        최수연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se days interests of early education in music are increasing steadily, so musical education is important enough to emphasize. Doctor Benjamin Bloom of Chicago Universit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arly education, because 80 percent of learning ability is formed before the age of eight. Especially musical education is highly related to other education. Emotion is stabilized through music, emotional stability brings cognitive development, besides cognitive development is closely related to moral intelligence. So, with these things, infants have a rising effect of an aesthetic sense. Like other education, infants who have been closed at hand since young are familiar with music, develop the musical ability fast, and have high emotional quotient. Peoples' Interests and passions in music are amazing, but the ways of musical education are not developing. It's true that adults implant difficult musical concepts in infants' head without consideration of their developmental stage and interest. The educator Bruner, using the spiral theory, insisted that any knowledge should be taught at a proper level. Therefore,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 corresponding with learners' thinking ability and learning ability, educational effect should be maximum. Infants are still immature cognitively and developmentally. To achieve the effective education of infant, we should considerate infants' developmental degree, circumstance, the teachers' quality. With the harmony of these elements, the educational effect will be great. It's hard to evaluate some teaching principles based on specific measurement instruments, but this study is showing and specifying an appropriate education method according to real experience of infants' cognitive and bodily development. The followings are the main contents. First, this study is about the general developmental feature, Piaget's main notion of cognitive developmental theory and each stage's feature, and the importance of general musical feature and education of infants. Second, this is about the notion and feature of play, the relation between play and cognitive development, and proper circumstances of infant music. Third, integrating above all, this study divided musical plays which are appropriate to infants into rhythm play, sound play, musical game, song play and impression play, and formulated a teaching plan. Through this study, it becomes to know that musical development is remarkable in infancy and to know that it's very important to conact various musical experiences depending on developmental stages. The former infants' musical experience and notion affect the next stage. Therefore teachers should offer infants the field of learning to go through lively music with pleasant minds and develop exciting activities. At the time infants feel and experience exciting activities, they will find music attractive. The aim of true infants' musical education is to find internal musical abilities in mind, and potentiality and imagination when infants sing favorite children's songs or move hands and legs unconsciously when listening to exciting music.

      • 오브제의 해체를 통해 본 무의식 표현의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최수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는 현대미술에서 일상의 사물로 채워진 설치미술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작가들은 개인의 이유와 방식으로 일상의 오브제를 재창출한다. 연구자는 일상의 사물을 재료로 인식하고, 오브제를 ‘해체-조합’하는 개체화 과정의 반복을 통해 무의식을 형상화 한다. 연구자는 주변에서 발견하는 사물의 시각적·촉각적 자극에 따라 오브제를 분해, 변형, 조합하여 의식화한다. 이는 종이와 물감이 아닌, 일상생활에서 발견한 물건을 재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드러나는 오브제의 형상과 물질성을 예술적으로 재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회화와 구별된다. 작품의 재료가 되는 오브제는 공사장이나 길거리에서 우연히 발견한, 버려진 각종 부품과 도구들이다. 나무 조각, 거울, 거즈, 볼트·너트, 렌치 등은 일상을 둘러싼 공간, 가구, 사물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연구자가 일상적 오브제를 재료로 사용하는 이유는, 그들이 놓인 공간, 형상과 질감이 잠재된 경험과 기억을 연상시키기 때문이며, 이 연상을 통해 오브제는 연구자 자신의 신체로, 의식과 무의식의 연결고리로 상징화된다. 또한 작업과정에서 오브제를 묶고-풀고, 붙이고-떼어내고, 채우고-비우고, 연결하고-분리하는 반복되는 행위는 무의식을 의식화하여 내면성을 표현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재료가 갖는 일상성과 작업과정은 작품을 내용적·표현 방법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실마리가 될 것이다. 본 논문은 융의 무의식이론을 근거로 무의식의 개념과 종류, 무의식의 의미와 중요성을 살펴본 후, 무의식의 상징성을 논할 것이다. 무의식 이론을 펼친 대표적인 정신분석학자는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와 칼 구스타브 융(C.G. Jung)이 있다. 프로이트는 무의식을 억압된 의식으로 한정지었으나, 융은 무의식을 인간이 의식하지 못한 정신세계 전부라고 말하면서 자율성과 창조성을 지닌 에너지로 보았다. 이러한 무의식에 대한 융의 긍정적인 관점으로 인해, 연구자는 무의식을 탐색해야하는 정신적 실재로 인식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융의 이론을 바탕으로 무의식의 개념과 상징성을 살펴 본 후, 연구자 작품에서 드러나는 개인적·집단적 무의식의 내용을 해석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자 작품연구에서 중요한 '해체‘ 의 개념정리 후, 니키 드 생팔(Niki de Saint Phalle)과 짐 다인(Jim Dine)의 작품에서 드러난 해체적 측면을 알아 볼 것이다. 니키 드 생팔과 짐 다인은 공통적으로 일상의 사물에 감정을 이입하여 무의식을 형상화하였다. 두 작가 모두 반미학적인 재료를 예술적으로 인식하였다는 점, 오브제가 내포하는 작품의 물리적 해체성 및 심리적 해체성, 그리고 작품을 통해 무의식을 형상화했다는 점은 본 논문에서 니키 드 생팔과 짐 다인을 관련 작가로 선정한 기준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자의 작품을 내용적· 표현 방법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해리된 의식과 억압된 성적 이미지의 내용을 오브제를 발견·변형하는 전체적인 작업과정분석을 통해 해석하고, 무의식과 오브제의 연계성 및 상징성을 방법론적·심리학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It is no longer unusual to see installations made out of everyday objects in contemporary art. Many contemporary artists for personal reasons and in individual ways recreate common objects as artworks. My work materials are ordinary objects, and I transform them through repetitive dissembling and assembling in order to give a shape to subconsciousness. Guided by the visual and textural qualities of common objects, I conscientize the process of dissembling, transforming, and assembling them. My work is differentiated from conventional painting in the respect that I perceive aesthetic appeal in the shapes and textures of found everyday objects, instead of colors and canvases. All sorts of fragmented parts and tools found in construction sites and streets are my work materials. Pieces of wood, mirrors, pieces of gauze, bolt and nuts, and wrenches are commonly found in everyday living space, and they once existed as parts of furniture and manufactured products. I use these ordinary objects because I associate them with memories and experiences as they once were associated with specific space, and their shapes and textures evoke something. My associations turn them into objects of symbolizing my body and linking my consciousness to subconsciousness. Through the process of tying-untying, attaching-detaching, filling-emptying, and connecting-disconnecting objects, I conscientize my subconsciousness so that I can express internal aspects. Thus, the objects’ ordinariness and my working method become the clues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 and the expression of my work. Based on C.G. Jung’s theory of subconsciousness, this thesis defines the concept and types of subconsciousness, explains its significance and importance, and then discusses symbolic attributes of subconsciousness. There are two psychoanalysts renowned for their theory of subconsciousness: Sigmund Freud and C.G. Jung. Freud confined subconsciouness to suppression, while Jung defined it more broadly, including all mental activities that people do without being conscious and regarded it as an autonomous and creative energy. Inspired by Jung’s positive viewpoint, I have come to recognize subconsciousness as something that I want to tackle. Thus, this thesis examines the concept and the symbolic connotation of subconsciousness based on Jung’s theory and analyzes individual and collective subconsiousness reflected in my work. This thesis also discusses works by Niki de Saint Phalle and Jim Dine with reference to the concept of deconstruction. Both artists use and empathize with ordinary objects, with which they represent subconsciousness. The criteria for my choice of the artists are based on that the artists recognize unaesthetic materials as artistic ones, explor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deconstruction of everyday objects, and their works are concerned with the representation of subconsciousness. Lastly, I analyze the content and representational method of my work. The analysis of the entire work process from discovering to transforming objects is discussed in relation to my work that expresses dissociated consciousness and sexuality. The symbolic meanings and the relationship of consciousness and objects are examined from a methodological and a psychological perspective.

      • 영상번역의 사회학적 연구 :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중심으로

        최수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영상번역 과정에서 다양한 행위자들의 관계를 거시적으로 기술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ctor-Network Theory)를 기반으로 영상번역의 영상번역가, 연출가, 클라이언트, 성우, 시청자 등 다양한 인간 행위자들과 쌍방향 의사소통 기술이라는 비인간 행위자 간의 관계에 대해 분석한다. 사전 인터넷 조사를 통해 ‘영상번역의 행위자-네트워크 모델’을 개발하고, 추가 인터넷 조사, 더빙 녹음 현장 참관, 행위자 인터뷰, 텍스트 분석 등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한국 영상번역의 현장을 행위자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영상번역의 행위자-네트워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더빙번역과 자막번역 공통의 행위자-네트워크 특징 네 가지, 더빙번역 특유의 행위자-네트워크 특징 네 가지, 자막번역 특유의 행위자-네트워크 특징 네 가지로 분류된다. 더빙번역과 자막번역 공통의 행위자-네트워크는 ‘클라이언트-영상번역가’, ‘클라이언트-쌍방향 의사소통 기술-연출가-쌍방향 의사소통 기술-영상번역가’, ‘시청자-쌍방향 의사소통 기술-클라이언트’, ‘시청자-쌍방향 의사소통 기술-연출가-클라이언트’이다. 더빙번역 특유의 행위자-네트워크는 ‘클라이언트-연출가-영상번역가’, ‘클라이언트-연출가-성우’, ‘시청자-클라이언트-성우’, ‘시청자-쌍방향 의사소통 기술-성우’이다. 자막번역 특유의 행위자-네트워크는 ‘클라이언트-연출가-영상번역가’, ‘클라이언트-연출가-쌍방향 의사소통 기술-영상번역가’, ‘시청자-쌍방향 의사소통 기술-영상번역가’, ‘시청자-쌍방향 의사소통 기술-클라이언트-영상번역가’이다. 이 분석 결과를 통해, 영상번역은 수많은 행위자들로 구성된 복잡한 네트워크로 구성된 과정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영상번역의 연구는 ST와 TT 또는 번역가 뿐만 아니라 연출가, 클라이언트, 성우, 시청자를 비롯해 기술까지 포함하는 다양한 요소들에도 관심을 두어야 한다. This research aims at describing relationships of actors in Audiovisual Translation process.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combining insights from ANT, it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human actors ― translators, producers, clients, voice-actors and viewers ― and nonhuman actor ― interactive communication technology ― in the process of AVT. This article designs ‘audiovisual translation actor-network model’ with a pre-survey on internet. It analyzes data based on a web survey of on-line, observation of dubbing recording, text analysis and interview with actors of AVT. It maps relationships of actors and how these relationships work in AVT network.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mong the findings are: (1) There are four actor-networks in dubbing and subtitling : clients and translators; clients, interactive communication technology, producers and translators; viewers, interactiv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clients; viewers, interactive communication technology, producers and clients. (2) There are four actor-networks in dubbing : clients, producers and translators; clients, producers and voice-actors; viewers, clients and voice-actors; viewers, interactiv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voice-actors. (3) There are four actor-networks in subtitling : clients, producers and translators; clients, producers, interactiv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ranslators; viewers, interactiv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ranslators; viewers, interactive communication technology, clients and translators. Based on the finding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we should study AVT focusing on various factors such as clients, producers, viewers, technologies as well as ST, TT or translators. Because AVT is very complex network working with many actors.

      • 처방전달시스템과 퇴원환자분석시스템 정보의 효율적 관리와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진단과 수술 정보를 중심으로

        최수연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병원 정보시스템을 이루는 하위 시스템인 처방전달시스템과 의무기록관리시스템 정보의 관리 현황을 조사하였다. 의무기록관리시스템 중 환자의 진료정보를 보관하고 관리하는 의무기록과의 퇴원환자분석시스템과 처방전달시스템의 진료 관련 기본 정보 입력 항목들을 비교하고 입력 업무를 처리하는 담당자를 비교함으로써 동일 기관 내에서 이루어지는 정보의 입력과 관리의 문제를 파악함으로써 효율적인 병원 정보시스템의 정보관리에 대한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정착 단계에 접어든 처방전달시스템(OCS)의 정보를 양질로 관리하기 위해 처방전달시스템에 입력되어지는 진료 정보의 정확성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처방전달시스템(OCS)의 정보와 의무기록 퇴원환자분석시스템에 입력되는 기본항목 42개를 비교한 결과 환자의 기본적인 인적사항이나 입퇴원사항등의 원무과에서 입력한 12개 항목은 함께 공유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13개 항목에 있어서는 공통된 항목을 각각의 업무 프로세스를 통해 입력하고 있었다. 데이터의 입력 및 활용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중복되는 입력항목은 입력과 관리의 업무로 분리하여 더욱 입력되는 정보의 질을 높이도록 하고 각 시스템에 개별적으로 입력되는 항목은 상호 보완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2. 병원 처방전달시스템과 의무기록을 검토한 후 작성된 퇴원환자분석 시스템의 주진단과 수술관련 항목들의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주진단코드의 일치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요인으로는 입원경로, 생검 시행 여부, 입력한 의사의 직위, 퇴원 직전의 주진단코드의 삭제여부, 재입원 여부였다. 외래에서 입력된 주진단코드의 일치도는 60%미만으로 나타났다. 외래에서 주진단의 입력이 전문의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감안하여 생각하여 보면 이는 주진단의 개념의 차이가 가장 큰 요인으로 생각된다. 3. 수술관련항목의 일치도는 진단코드의 일치도보다 매우 높았다. 그러나 마취종류의 일치도는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병원처방전달시스템에 입력되는 마취종류의 구분과 의무기록 퇴원환자분석시스템에 입력되는 마취종류의 구분에 차이가 있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앞으로는 이러한 입력 데이터의 내용의 표준화를 이루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병원 처방전달시스템 정보의 정확성 확보를 위해서는 정보의 입력과 관리의 업무를 명확히 구분하여 중복되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 프로세스를 개선하여야 할 것이며, 저장되는 정보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방안을 계속적으로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병원정보시스템을 통해 양질의 정보를 얻어 이를 병원의 경영의 합리화와 효율성을 높이는데 활용하며, 환자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고, 교육기관이면서 동시에 연구기관인 대학병원의 기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보시스템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양질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정보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formation of OCS(order communication system) and MIS(medical record information system of hospital discharge) in HIS(hospital information system). Basic input items and person are compared in OCS and MIS. It is possible to solve how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and information input. Quality data makes quality information. So, it is important to take care of quality data in information system, especially in OCS.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facts of taking care of quality and accuracy. The following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obtained. 1. 42 data items are compared side-by-side between OCS and MIS. 12 in a total of 42 items are held in two information systems. These are desirable in data management systems. Otherwise, the remainder of the other 30 items are managed with the gathering and storage of data respectively. Since this is inefficient data management, this needs to be improved. 2. This study analyzes the consistency of items related to principal diagnoses and operations of MIS and OCS. A route of administration, biopsy, positions of doctors in charge of the input process, deletion of codes of principal diagnosis right before discharge and readmissio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onsistency rate of principal diagnoses of outpatients is less than 60%. The important thing to be noted is the difference of principal diagnosis concept. 3. Consistency of operation items is higher than that of principal diagnosis. But consistency of anesthesia is lower than other operation items. This is because classification of anesthesia in OCS is different than it is within the MIS system. Therefore there is a need of standardization of data input in the future. Finally, the working process should be improved to get data accuracy and to avoid data duplication in OCS. The effective usage of information should be continuously researched and developed. Quality information of HIS will be beneficial in promoting efficiency and rationalization of hospital management. It is also possible to improv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to patients and to maintain our reputation as a quality university hospital as a premiere educational and research facility. It is all important to educate people in charge about of information knowledge to produce quality information of achieving the basic goals of service at a university hospital.

      • Development of group program to prevent sexual violence on dating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 여자 대학생의 데이트 성폭력 예방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개발

        최수연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데이트 성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집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김창대 등(201)의 프로그램 개발 모형 절차를 따라 1회기에 75분, 총 6회기의 집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양적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회기별 경험보고서와 전체 프로그램 만족도 내용 분석을 실시하여 양적 분석 결과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P시의 여자 대학생 10명으로, 실험집단에는 5명, 통제집단에는 5명이 배정되었다. 실험집단에는 데이트 성폭력 예방 집단 프로그램을 회기 당 75분씩, 주 2회, 총 6회기로 하여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한 성적 자기주장을 사전 및 사후시기에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데이트 성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비모수통계방법 중 Man-Whitney U 분석과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데이트 성폭력 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여자 대학생들은 성적자기주장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성적자기주장의 하위요인인 원치 않는 성 행동 거부와 성행동 인식 그리고 성욕구 인정·표현도 마찬가지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회기별 경험 보고서 및 전체 프로그램 만족도 내용을 분석한 결과, 참여자들이 프로그램을 통해 도움을 받은 것으로는‘스스로를 지키지 못했던 모습을 발견, 고통의 보편성과 동질감을 깨달아 얻은 위로와 평안, 성폭력에 대한 잘못된 관념의 반성, 성폭력의 실상을 깨달음에 따라 건강한 연애를 분별할 수 있을 거라는 자신감, 피해자를 배려해주지 못하는 사회적 구조와 분위기에 대한 변화 고취, 데이트 성폭력 예방 교육의 필요성 절감’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데이트 성폭력 예방 집단프로그램은 여자 대학생의 성적 자기주장을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데이트 성폭력 예방 집단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에 대한 이론적 함의를 논의하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roup program to prevent sexual violence on dating, targeti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program development model procedure of Kim Chang-dae et al. (2011), a group counseling program of 75 minutes per session and a total of 6 sessions was developed,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verified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and subjective experience analysis was conducted. Thus, we tried to supplement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0 female college students from P city, 5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5 to the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dating sexual violence prevention group program was conducted for 75 minutes per session, twice a week, for a total of 6 sessions,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perform any treatment. The self-assertion and decision-making of grad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The Man-Whitney U analysis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among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ating sexua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emale college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dating sexua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exual self-asser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refusal of unwanted sexual behavior, recognition of sexual behavior, and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sexual desire, which are sub-factors of sexual self-assertion, were similarly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o the control group.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jectiv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in the program, the participants who received help through the program were'discovered the way they could not protect themselves, inspiring changes to the social structure and atmosphere that did not care for the victims, and the universality and homogeneity of pain. Consolation and peace gained by realizing the awareness, reflection of false notions about sexual assault, confidence that a healthy relationship can be discerned by realizing the reality of sexual assault, and reduction in the need for education to prevent sexual violence on dating.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group program for preventing sexual violence in dating developed in this study has a positive effect in promoting sexual self-asser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Finally,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group program for preventing sexual violence on dating and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were made for further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