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3차원 혈관촬영상의 전산유체역학: 두개내 혈관에서의 기술적 접근성과 임상응용의 가능성

        최서연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목적: 전산유체분석은 여러 공학분야의 연구들에서 활발히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의공학 및 의학분야에까지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상용화된 기계공학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제 임상상황에서 전산유체분석의 이용가능성 및 제한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3차원 혈관조영술로 경동맥 협착, 두개내 동맥류 및 정상 두개내 동맥영상들을 획득하여 모델로 이용하였다. 혈관조영장비에서 저장한 파일을 표면 및 체적 그물 편집 프로그램(surface and volume mesh program)을 사용하여 편집 후, 공학용 유체역학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혈류역학분석을 하였다. 결과: 정상혈관 모델을 변형하여 전산유체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근위부의 길이는 두개내 혈관의 주요 관심 부위인 원위부 내경동맥과 그 원위부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원위부의 길이를 다르게 하면 짧은 원위부로 대부분의 유동이 일어났다. 또한, 실제 혈관의 분석에는 여러 가지 기술적인 제한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이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 시도된 경동맥 및 두개내 혈관의 전산유체분석의 기술적인 접근으로써, 최근 의학 학술지에서 발표되고 있는 임상 질병 모델들의 분석 논문들에 대한 이해 및 제한점들을 알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 임상용으로 개발될 전산유체분석 도구들에 대한 기술적 평가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아동기 가정폭력을 경험한 성인의 도박중독과정 : 근거이론

        최서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아동기 가정폭력을 경험한 문제도박자의 도박중독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2020년 5월 1일부터 8월 30일까지 아동기에 가정폭력을 경험한 문제도박자 21명의 자료가 수집되었고 Strauss와 Corbin의 질적연구 근거이론 방법론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핵심 범주는 ‘아동기 가정폭력의 신체적·정서적 고통을 회피하고, 왜곡된 보상 심리로 도박중독이 됨‘으로 나타났다. 아동기 가정폭력을 경험한 문제도박자의 중심현상은 ‘폭력으로 인한 고통’이었고, 이는 ‘신체적 폭력’, ‘정서적 폭력’, ‘보호자 부재’, ‘무력한 존재’의 인과적, 맥락적 조건으로부터 도출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의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돈벌이를 함’, ‘정서적 고통을 회피함’, ‘고통을 잊기 위해 도박을 함’이었고, 이에 영향을 준 중재적 조건으로는 ‘가족의 중독문제’, ‘부모의 비도덕적 태도’, ‘돈에 대한 왜곡된 가치관’이었다. 결과적으로 연구참여자들은 아동기의 가정폭력의 고통을 회피하고 왜곡된 보상 심리로 도박중독의 결과를 초래하였다. 도출된 과정을 통해 축약한 단계는 외상기, 회피기, 중독기의 단계로 전개되었다. 결론: 문제도박자가 아동기의 가정폭력으로부터 받은 신체적·정서적 폭력 피해를 회피하고자 왜곡된 보상 방식인 도박에 중독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들이 어떻게 도박중독이 되는지 이해하여 문제도박자를 지원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 실질실효환율과 무역수지의 비선형성에 관한 고찰

        최서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analyzes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and trade balance by using Smooth Transition Autoregressives(STAR) model.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by tracing the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of Korean won against the currencies of the world’s top three trading nations: US dollars, Chinese yuan, and Japanese yen. In light of the structure of Korea’s market economy, both the trade balance and exchange rates are important components of macro time series. While as summing that the analysis of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will allow understanding of the variability in both trade and exchange rates, this paper has determined the weights of each of the worlds top three trading nations to apply to finding out the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for the analysis. In the adjustment process, this paper will attempt to find out the nonlinear aspect of the process and analyze the particulars of the nonlinear model and looking to the dynamic adjustment process. Secondly, this paper examines the adjustment process of trade balance to analyze the dynamic behaviors. In order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and trade balance, the Granger causation analysis is conducted. The analysis focuses on the data pertinent for December 2007 when Korea introduced the floating exchange rate system. The analysis of the increase rates of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and trade balance has revealed that the time series of each component are indicative of nonlinearity. Therefore, in order to grasp the nonlinear characteristics of each time series, the paper focuses on finding out the form of transition function.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in the increase rates of both time series, the transition function changes to the ESTAR model in symmetrical format. The analysis of dynamic behaviors is employed in examining the adjustment process of each time series, and it is shown that the increase rate of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reveals considerable moves in both contraction regime and expansion regime; the increase rate in trade balance has revealed changes in the outer regime, which would be considered as outer regime, while the middle regime shows a stable trend. The increase rates of both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and trade balance are us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Granger causation based on both nonlinear and linear models. The analysis based on the linear model has resulted in no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crease rates of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and trade balance. On the other hand, the increase rate of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has had some meaningful impact on that of the trade balance in the analysis of the nonlinear Granger causation. The economic growth of Korea has been highly influenced by the exchange rates and trade balance due to its heavy dependence on external circumstance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ensure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implication of exchange rates and trade balance and to procure out appropriate responses to any change in the exchange rate for sound policies. 본 논문에서는 실질실효환율의 증가율과 무역수지의 증가율을 평활전이자기(Smooth Transition Autoregressive : STAR)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우리나라와 무역거래 상위3개국인 미국, 중국 그리고 일본의 원/달러 환율, 원/위안 환율 그리고 원/엔 환율로 실질실효환율을 추정하여 실질실효환율의 특성을 파악한다. 우리나라의 시장경제 구조를 볼 때 무역거래와 환율이 모두 중요한 거시 시계열이다. 이에 실질실효환율을 분석함으로써 무역 거래의 변동성과 환율의 변동성을 동시에 알아 볼 수 있다는 판단 하에 무역거래 상위3개국과의 가중치를 계산하고 그에 따라 실질실효환율을 추정하여 분석에 사용한다. 그리고 그 조정과정이 비선형성을 밝히고 비선형 모형이 갖는 특성을 분석하고 그 동태적 조정과정을 알아본다. 두 번째로 무역수지의 조정과정을 살펴보고 그 성질을 바탕으로 동태적 행태 분석을 한다. 그리고 실질실효환율과 무역수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그랜저 인과관계 분석을 실시한다. 이에 안정적 시계열인 실질실효환율의 증가율과 무역수지 증가율을 각각 사용한다. 분석 시점은 우리나라가 자율변동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기 시작 한 1997년 12월을 시점으로 한다. 실질실효환율의 증가율과 무역수지 증가율의 분석 결과, 각각의 시계열은 비선형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시계열의 비선형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전이함수의 형태를 파악한다. 그 결과 두 시계열의 증가율은 전이함수가 ESTAR모형으로 대칭적인 국면 전환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 동태적 행태를 분석하여 각 시계열의 조정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본 결과 실질실효환율의 증가율은 수축국면과 확장국면 모두 폭발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무역수지 증가율은 확장국면이라 할 수 있는 외부국면에 발산하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반면, 중간국면에는 안정적인 성향을 보인다. 각각의 시계열 증가율을 선형모형에 기초한 그랜저 인과관계 분석과 비선형 모형에 기초한 그랜저 인과관계 분석을 통해 각각의 변수사이에 관계를 살펴본다. 선형 모형에 기초한 분석은 실질실효환율의 증가율과 무역수지 증가율 사이에 어떤 인과관계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선형 그랜저 인과관계 분석에서는 실질실효환율 증가율이 무역수지 증가율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었다. 대외의존도가 높고 우리나라는 환율과 무역수지가 경제성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더욱이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금융업이 빈약하고 국제 금융에 전문 인력이 부족하여 외환 시장의 변동에 대처할 능력이 미약하다. 따라서 환율과 무역수지가 갖는 특성을 정확히 파악해 보고 환율의 변동에 탄력적으로 대응하여 경제, 사회적으로 지나친 위기감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본다.

      • 숲 체험 미술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와 부모 상호작용 연구

        최서연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s the aspe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preschool children and parents and the meaning of narrative interaction between them as they take forest art activiti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ata that contributes in improving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rough deep understanding of their interaction during forest art activities. The features of art activity using natural object with forest experience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using artificial object indoors. Therefore, this study observed changes in interaction between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rough free and uncontrived forest experience as their environment changes. Also, interaction between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the meaning of forest art activities in their interaction through various uncontrived forest art activities have been investigated. Main subjects of this study are: First, how does interaction between preschool child and their parents manifest itself? Second, what is the meaning of narrative of forest art activities in their interaction? Ten pairs of preschool children with one of their parents living in Daejeon and its surrounding areas have been chosen as subjects for this study. With the subjects’ consent, their interviews have been recorded, transcribed, coded, categorized, and their meaning analyze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1) Experience of interaction between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manifesting itself in forest art activities. First,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started conversation about small things like flowers, as they were naturally getting familiar with forest. They started feeling empathy for each other in their continuous conversations and their conversations became more animated. In this process, they could enjoy every minute together through flowers as playthings that revealed their common interest. Second, through vis-à-vis conversation and by talking to each other from the other’s viewpoint, they were together during the forest art activities as friends. The parents could feel that their children were opening their mind and could heal their children’s wounded heart that didn’t know before. Third, the parents were able to take a peek into their children’s mind when their children did not behave the way they wanted. Parents became aware that their interaction in the forest art activities were opportunities to take a load off their mind from their children. Also, the parents came to realize that their authoritative stance originated from their misguided desire towards well-being of their children, felt sorry and thankful for them, and tried to take their excessive mind off of their children. Fourth, through forest art activities, the parents were able to admit the difference between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and kn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way of thought through accommodation and respect. The time they focused on each other in the forest art activities brought parents and child the value of ‘being together’. Fifth, in the forest art activities, the parents and their children became vitamin of life as travel companions for each other. They were so happy being together in the forest art activities and had a unique unforgettable time together through one-on-one date with each other. 2) Meaning of forest art activities in terms of the interaction between pre-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First, the parents gave their children various experiences, rather than knowledge. They helped their children make a playground for themselves in the classroom called nature. Also, the parents wanted their children to see the ever-changing nature and wanted them to enjoy the given time for themselves. It was shown that parents wanted their children to live along with the nature, at the pace of the nature, according to the old adage ‘百聞而 不如一見 (Seeing is Believing)’ from now on at least. Second, the parents were regretful that there were so little time to spend doing the forest art activities together with their children in the precious space of woodland, so they made the memories of their activities with their children a ‘special event’. These activities gave the parents chances to get closer with their children and made them able to wait for their children and patiently watch over them. Third, the parents felt sorry that their children had to be so busy every day, so they invited their children to ‘restfulness’. The parents wanted their children to grow to be happy children. The parents and their children have been healed by just being in the forest, through pleasure from restfulness and feeling small happiness in daily life. Fourth, the parents gave their children chances to learn the wisdom of life. The parents wanted their children to develop the ability to find things out by themselves and to let their inner maturity to grow up. Also, it was shown that the parents wanted the forest art activities to become resources that could comfort their children as a ‘compass of life’ when they grow up to be adults and have to bear the weight of their lives. In summary, this study helped increasing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the parents and their children with the interaction between them in forest art activities offering the children diverse experiences through thorough observation and examination as the children utilizes all of their senses. Also, it became apparent that as the parents, who contributes to whol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walk through the woods together with their children and enjoy the changes, the emotional stability of the parents extended to become positive emotion of their children. 본 연구는 숲 체험 미술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와 부모 간 상호작용은 어떠한지, 숲 체험 미술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와 부모 간 상호작용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숲 체험 미술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와 부모 간 상호작용 경험을 깊이 있게 이해함으로써 유아와 부모 간 긍정적인 상호작용 향상에 기여하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내에서 인위적인 재료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미술활동과 숲 체험하며 자연물을 이용해 이루어지는 미술활동의 특징은 확연히 다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변환경에 변화를 주어 유아와 부모 간 자유롭고, 작위적이지 않은 숲 체험을 하면서 진행하는 미술활동을 통해 달라진 유아와 부모 간 상호작용을 관찰하였다. 또한 다양하고 자연그대로인 숲 체험을 토대로 한 미술활동에서 유아와 부모 간 상호작용은 어떠한지, 유아와 부모 간 상호작용에서 숲 체험 미술활동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숲 체험 미술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와 부모 간 상호작용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와 부모 간 상호작용에서 숲 체험 미술활동의 의미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 및 인근지역에 거주하는 유아와 부 또는 모 10쌍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동의를 얻고 면담내용을 녹음하였으며 이를 전사하고 코딩작업을 거쳐 범주화하여 의미를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숲 체험 미술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와 부모 간 상호작용 경험 첫째, 유아와 부모는 자연스럽게 숲과 친해지는 과정을 거치며 풀꽃 하나로 대화가 시작되었다. 유아와 부모 간 이어지는 대화 속에서 다양한 색깔의 공감대가 형성되어 이야기꽃이 활짝 피어났다. 이런 과정에서 유아와 부모는 둘의 공통점을 찾아준 풀꽃이라는 놀잇감을 통해 함께 한 그 순간을 최대한 즐긴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와 부모 간 마주이야기를 통해 서로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이야기를 나눔으로써 유아는 부모에게 또 다른 친구가 되어 숲 체험 미술활동에 동행하였다. 부모는 자신의 유아와 마음을 여는 시간을 마음껏 누리며 그동안 몰랐던 아이 마음의 상처를 치유해주는 시간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는 자신의 유아가 자신이 생각한 대로 움직여 주지 않을 때 유아의 마음을 다시 한 번 들여다보게 되었다. 부모는 숲 체험 미술활동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이 자신의 자녀로부터 마음의 여유를 찾게 해 준 기회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 부모는 자녀에 대한 욕심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알고 유아에게 미안하고 고마운 마음을 가졌으며 자녀에 대한 마음을 내려놓기 위해 노력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는 숲 체험 미술활동을 통해 자신의 유아와 서로 다름을 인정하게 되었고 수용과 존중을 통해 유아와 부모 간 생각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유아와 부모가 함께 숲 체험 미술활동을 하면서 서로에 대해 집중하는 시간은 유아와 부모에게 ‘같이’의 가치를 가져다 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숲 체험 미술활동에서 유아와 부모는 여행의 동반자로서 서로에게 삶의 비타민이 되어주었다. 유아와 부모는 숲 체험 미술활동을 함께해서 행복했고, 단둘만의 데이트를 통해 다시없을 ‘지금’을 위한 시간을 가진 것을 경험하게 되었다. 2) 유아와 부모 간 상호작용에서 숲 체험 미술활동 의미 첫째, 부모는 자신의 유아를 위해 지식보다는 다양한 경험을 주었다. 부모는 유아가 자연이라는 교실에서 스스로 만들어갈 수 있는 놀이터를 마련해주었다. 또 부모는 유아에게 자연스럽게 변화되어 가는 자연의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고 이렇게 주어진 시간만큼은 유아 스스로가 즐기기를 바라는 마음이었다. 부모는 지금부터라도 유아가 백문이 불여일견(百聞而 不如一見)을 통해 자연과 더불어 자연의 속도로 살아가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는 숲이라는 소중한 공간에서 자신의 유아와 함께 할 수 있는 시간이 얼마 되지 않는 것에 대해 아쉬움을 갖고 ‘특별한 사건’이라는 추억을 만들었다. 이를 통해 부모는 유아와 좀 더 가까워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유아를 기다림으로 지켜봐줄 수 있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는 유아가 매일같이 바쁘게 보내고 있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을 갖고 ‘쉼’으로 초대하였다. 부모는 유아가 행복한 아이로 자라나길 바라고 자연이 건네 준 숲이라는 선물로 유아와 부모는 둘만 있는 자체로도 휴식이 주는 즐거움이 되었고, 일상에서의 소소한 행복을 느끼며 힐링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는 유아가 일상생활에서 삶의 지혜를 배우도록 기회를 주었다. 부모가 자신의 유아에게 자연의 변화를 보여주고 유아가 스스로 발견하고 내면의 성숙이 키워지길 바라며, 부모는 유아가 후에 성인이 되어 힘든 일이 있을 때 부모와의 숲 체험 미술활동이 ‘인생의 나침판’으로써 위안이 되는 기회가 되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숲 체험 미술활동에서

      • 초등학교 원격교육에서 다중감각 활용 수업 설계원리 개발

        최서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코로나 19 감염병 확산으로 인해 우리나라는 교육 역사상 처음으로 개학연기와 온라인 개학이 차례로 이루어졌다. 기존 천재지변이나 등교수업이 어려운 상황에 처한 학생들이 참여하던 일시적 원격수업에서 감염병으로 인한 지속적인 원격수업으로 수업 방식의 급격한 패러다임 변화가 일어났다. 이러한 상시적 원격수업 체제하에서 학생들은 원격수업의 긍정적인 면도 발견하였지만, 부정적인 면도 마주하게 되었다. 대면 수업으로 참여할 때보다 학생들은 수업에 집중하기를 어려워했으며, 수업 집중이 어려워지자 학업 격차도 더 늘어났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감각’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대면 수업에서는 학습자가 보다 감각을 다양하고 통합적으로 활용하는데에 비해, 원격 수업에서는 감각을 제한적이고 일정하게 활용하기 때문에 학습자는 쉽게 피로해지고, 원격수업에 지속적으로 집중하기가 어렵다. 예를 들어, 원격 수업에서는 화면 속의 교사얼굴과 ppt 화면과 같은 시각적 자극과 교사의 목소리 혹은 또래 학생들의 목소리와 같은 청각적 자극을 주로 받는다. 반면, 대면 수업에서는 시각, 청각자극 외에도 움직일 기회가 더욱 많고, 조작활동이나 운동감각을 동시에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중감각을 활용한 원격수업을 지원하기 위해 다중감각을 활용할 수 있는 원격수업 설계원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감각 활용 원격수업의 설계원리는 무엇인가? 둘째, 다중감각 활용 원격수업의 설계원리는 내적으로 타당한가? 셋째, 다중감각 활용 원격수업의 설계원리는 외적으로 타당한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설계, 개발 연구의 Type 2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선행문헌을 고찰하여 설계원리 초안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초안을 교육공학 원격교육 전문가 4명에게 2회 검토를 받아 설계원리를 수정하였다. 이후 초등학교 6학년 담임교사인 연구참여자가 수정된 설계원리를 이용해 지도안을 개발하고 개발된 지도안을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에 적용하였다. 학습자는 총 23명이 참여하였으며, 이후 3명씩 3그룹, 총 9명이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에 참여하였다. 수업 전에는 사전 설문과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업이 끝난 후에는 사후 설문과 사후 검사를 통해 학습자의 반응을 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로 나뉘며, 양적 자료는 기술통계를 통해 분석되었으며 질적 자료는 주제분석방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을 통해 최종적으로 총 7개의 설계원리와 21개의 상세지침이 개발되었다. 설계원리의 내용은 감각적 자극의 원리, 감각 통합성의 원리, 자발적 참여의 원리, 다중감각 테크놀로지의 원리, 자극 변화의 원리, 상호작용의 원리, 정서적 지지의 원리로 나뉜다. 설계원리가 적용된 수업에 대해 교사는 원격수업에서 다중감각을 활용하여 학습하게 했을 때 수업 내용의 기억유지에 도움이 되며, 학생 자기 주도성이 향상되고, 흥미로운 수업이 가능하다고 응답하였다. 반면 개선점으로는 테크놀로지를 매개로 한 상호작용의 어려움을 개선해야 한다고 밝혔고 교과와 맥락을 고려한 다중감각 활용이 필요하고, 원격수업 준비와 운영상의 문제점을 해결해야 한다고 밝혔다. 학생들은 다중감각을 활용하는 원격수업이 흥미 유발에 도움이 되며, 학습에 효과적이고,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되며, 자기주도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수업의 개선점으로는 테크놀로지 보완을 통해 학생들이 수업 참여에 제한이 없었으면 좋겠다고 밝혔고, 학습자의 다양한 학습스타일을 고려해주며, 원격수업의 한계인 가정마다 다른 환경과 상황을 고려해주었으면 좋겠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다중감각 관련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원격수업에서의 다중감각 활용에 대한 연구로서 차별점을 갖는다. 대면 수업에서의 다중감각 활용에 따른 효과는 많이 연구되었지만, 원격 수업에서 학생들이 다중감각을 활용할 때의 효과는 거의 연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교사들이 어려워하는 원격수업에서의 활동 중심 수업 개발에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다양한 감각을 이용해 활동하는 수업이 중요함은 알고 있지만, 그 방법을 몰라 어려워하는 교사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개발된 설계원리를 통해 학습자가 자신의 감각을 주도하여 활용하고, 자유롭게 탐색하는 원격수업을 개발함으로써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이고 흥미를 높이는데에 본 연구가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education in Korea, postponement of school opening and online school opening took place one after another. A rapid paradigm shift in the teaching method has occurred from temporary distance learning involving students in situations of difficulty or natural disasters to continuous distance learning caused by infectious diseases. Under this regular distance education system, students found the positive aspects of distance learning, but they also faced the negative aspects. Compared to participating in face-to-face classes, students had difficulty concentrating on the class, and as the concentration of the class became difficult, the academic gap widene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learner's 'sense'. In face-to-face classes, learners use senses more diversely and integrally, while in distance learning, senses are used limitedly and constantly, making it difficult for learners to easily get tired and continue to focus on distance learning. For example, in distance learning, visual stimuli such as the teacher's face and ppt screen on the screen and auditory stimuli such as the teacher's voice or the voices of peers are mainly received. On the other hand, in face-to-face classes, there are more opportunities to move, and there are many opportunities to use manipulation activities or motor senses at the same time.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support distance learning using multiple senses, the design principle of distance learning that can utilize multiple senses was developed.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design principle of distance learning using multiple senses? Second, is the design principle of distance learning using multiple senses internally valid? Third, is the design principle of distance learning using multiple senses externally valid? As a research method to solve the above research problems, the Type 2 research method of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was used. Using this research method, a draft design principle was developed by examining prior literature, and the developed draft was reviewed twice by four educational engineering distance learning experts to modify the design principle. After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 who is a homeroom teacher in the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developed a instruction plan using the revised design principle and applied the developed instruction plan to synchronous distance education. A total of 23 learners participated, and since then, 3 people each participated in 3 groups, and a total of 9 people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FGI). Pre-survey and pre-test were conducted before class, and after class, the learner's response was examined through post-survey and post-test. The collected data were divided into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ubject analysis method. Through this research method, a total of 7 design principles and 21 detailed guidelines were finally developed. The contents of the design principle are divided into the principle of sensory stimulation, the principle of sensory integration, the principle of voluntary participation, the principle of multiple sensory technologies, the principle of stimulation change, the principle of interaction, and the principle of emotional support. Regarding classes to which design principles are applied, teachers responded that when learning using multiple senses in distance learning, it helps to maintain memory of the contents of the class, improves student self-direction, and enables interesting classes. On the other hand, as an improvement point, it said that the difficulty of interaction through technology should be improved, and that it is necessary to utilize multiple senses considering the subject and context, and solve problems in remote class preparation and operation. Students responded that distance learning using multiple senses help induce interest, are effective in learning, help maintain health, and help improve self-direction. A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lass, it was said that it would be nice for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class through technology supplementation, consider various learning styles of learners, and consider different environments and situations at home, which is the limit of distance learning. This study differs as a study on the use of multiple senses in distance learning that were not covered i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multiple senses. This is because the effect of using multiple senses in face-to-face classes has been studied a lot, but the effect of students using multiple senses in distance learning has rarely been studied. It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helps develop student-centered learning in distance learning that teachers feel difficult. Although we know that it is important for learners to use various senses, it can help teachers who are difficult to know how to do it. Through the developed design principl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nhancing learners' participation in classes and increasing interest by developing distance learning that allow learners to lead and utilize their senses fre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