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트형 마스크 팩에 대한 인식 및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최보윤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recent years, women have grown to become interested in their appearance, making skin care included in their daily routine at home. As beauty salons and cosmetic procedures have become popular, a growing number of women today are doing skin care similar to specialist treatment at home. This social trend and sluggish economy play a role in inducing consumers of expensive cosmetics and users of esthetic salons to the home-care market. As a result, consumers have come to choose ‘mask sheet pack’ as a home esthetic product, which has led to a sharp growth of the mask pack market. In this respect, this study examines materials and types of ‘mask sheet pack’, as a mainstream type of mask pack which continues to be on the rise and investigates consumer perceptions and status of use and purchase with the aim of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ompetitive product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666 women in their 20s through 40s living in and around Seou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via a χ2 (Chi-square) test, frequency analysis, and One-way ANOVA with a SPSS WIN 21.0 program, with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s far as type-wise mask pack preferences of the women were concerned, consumers were found to prefer gel type mask sheet pack at 3.66 in the 5-point preference scale, fabric type sheet mask pack at 3.61, and sleeping type mask pack at 3.33, all of which are beyond the average, while wash off mask pack, peel off mask pack, powder mask pack, which is mixed in water before applying over the face and washed off were found to have preference levels below the average, as they are inconvenient to use. Second, when asked how they perceived mask sheet pack, most of the respondents replied that they prefer mask sheet pack whose ‘ingredients are nutritional and enriched like ampoule’ at the highest level of 3.99, followed by ‘Mask sheet pack should be used differently by skin type in terms of frequency of use’ and ‘Mask sheet pack is more effective to the skin than common essence’ in order, which shows that consumers appear to perceive mask pack as similar to intensive care like ampoule or as professional home care different by skin type and to consider it more effective to the skin than common essence. Third, in respect of additional functions to moisturizing as its original function, most of the women chose ‘quick skin soothing,’ followed by intensive nutrition supply, wrinkle care and skin firming, whitening and skin tone enhancement, sebum care and pore tightening, in order. The most important improvements they wished were found to be enhanced safety by means of dermatologist testing and certification, followed by improved mobility, need of pre- and post-care raising the effect of mask sheet pack, short use time, and diversity of ingredients and sizes, in order. Fourth, when it came to the status of use and purchase of mask sheet pack, a majority of the women replied that they used it once a week and while ‘taking a rest.’ They appeared to use ‘moisturizing’ mask sheet pack most often at 53.4%, followed by ‘nutritional/anti-aging, skin soothing, and whitening and tone up, in order. Many women pointed out ‘unfolding and complicated ways of using it’ as the most inconvenient aspect, followed by looseness and being inconvenient to move, which reveals that inconvenience of use is highly related to materials of mask sheet pack. In regards to important considerations in purchasing mask sheet pack, most respondents answered ‘efficacy/effect’,’ followed by ‘fitness to skin’ and ‘brand recognition’ in order. Most popular price ranges turned out to be 2,000 won per sheet, and over majority of the women seemed to perceive 1,000 to 3,000 won as appropriate no matter how effective mask sheet pack was, indicating that there existed a line of price resistance for consumers to buy mask sheet pack. Fifth, when asked if they would buy mask sheet pack with additional functions, many of the women at 4.06 in the 5-point scale said that they would buy if ‘mask sheet pack has an effect of skin tone adjustment, followed by ‘I would buy if mask sheet pack has a size adjusting function depending on face size and contour’ and ‘I would buy if mask sheet pack has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From the findings from the study, it is considered that given that simple sheet-type mask pack, among other types, is more popular among women and is gaining popularity as much as basic items like lotion, mask sheet pack has great development potential. Nevertheless, continued development requires improvement of usability and enhanced safety to gain trust of consumers. Consequently, industries should make sustained efforts to develop safer and convenient mask sheet pack items and ingredients and do their best in the automation of mask sheet pack production and improvement of sanitation processes.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of the study will help set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materials and functions of mask sheet pack and provide data necessary for ongoing research and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for mask pack makers. 현대 여성들의 외모에 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집에서의 피부 관리 또한 일상이 되어가고 있다. 피부 관리실이나 피부과 시술의 대중화와 함께 집에서도 전문적 관리와 유사한 피부 관리를 하는 여성들이 증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와 경기침체 요인 등이 고가 화장품과 에스테틱 이용자들을 홈 케어 시장으로 이끄는데 한 몫을 하고 있으며, 홈 에스테틱 상품으로 소비자들이 ‘마스크 팩’을 선호하는 현상은 마스크 팩의 급속한 시장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속적 성장세의 마스크 팩 중에서도 주류를 이루고 있는 ‘시트형 마스크 팩’의 소재와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 사용자들의 인식과 사용 및 구매실태를 조사하여 경쟁력 있는 상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수도권에 거주하는 20∼40대의 여성 666명을 설문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χ2(Chi-square) 검증과 빈도분석, 그리고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를 실시하였다. 이로써 얻어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들의 마스크 팩 종류별 선호도를 알아본 결과, 소비자들은 선호도 5점 만점 중 ‘겔 타입 시트 마스크 팩’이 3.66, ‘원단형 시트 마스크 팩’이 3.61, ‘슬리핑 타입 마스크 팩’이 3.33으로 보통 이상의 선호도를 보였고, 물로 씻는 워시 ‘오프 마스크 팩’, 도포 후 떼어내야 하는 ‘필 오프 마스크 팩’, 물에 섞어 도포 후 세안하는 ‘가루 마스크 팩’ 등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는 마스크 팩은 보통 이하의 선호도를 나타냈다. 둘째, 시트 마스크 팩의 인식을 측정하는 문항에는 ‘시트 마스크 팩의 내용물은 앰플처럼 영양감이 있고 농축적인 것이 좋다’가 3.99로 가장 높았고, ‘시트 마스크 팩은 피부 타입에 따라 사용 횟수를 달리해야 한다’와 ‘시트 마스크 팩은 일반 에센스보다 피부에 효과적이다’ 순으로 나타나 소비자들의 마스크 팩에 대한 인식은 앰플과 같은 집중케어와 유사하거나 피부 타입별로 구분된 전문적 홈 케어로 인식하며, 일반 에센스보다 피부에 효과적으로 느끼는 등 비교적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트 마스크 팩의 기본 기능인 보습 외에 가장 원하는 기능을 알아본 결과는 ‘빠른 피부 진정과 수딩’이 추가되길 원하는 여성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집중적인 영양공급’, ‘주름개선과 탄력 강화’, ‘피부 미백과 톤 개선’, ‘피지케어와 모공 타이트닝’ 순이었다. 마스크 팩 사용 시 가장 개선되길 원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임상실험, 공인기관 인증 등의 안전성이 높아지길 원한다’는 여성이 가장 많았으며, 자유로운 활동성과 시트 마스크 팩의 효과를 높이는 전·후 케어의 필요성, 사용시간 단축, 내용물의 다양성, 사이즈의 다양성 순이었다. 넷째, 시트 마스크 팩의 사용 및 구매 실태를 살펴본 결과, 주 1회 사용하는 여성이 가장 많았고 시트 마스크 팩을 사용하고 싶은 상황은 ‘휴식을 취할 때’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시트 마스크 팩의 기능은 ‘수분공급·보습’ 기능으로 53.4%였고, 다음으로 ‘영양공급·안티에이징’, ‘피부 진정·수딩’, ‘피부 미백·톤업’ 순이었다. 시트 마스크 팩 사용 시 가장 불편한 점은 ‘펼쳐 붙이는 과정과 복잡한 사용법 등의 사용성’ 이라고 밝힌 여성들이 가장 많았으며, ‘밀착성이 떨어지는 것과 불편한 활동성’ 순으로 나타나 소비자가 사용상 불편함을 느끼는 부분은 마스크 팩의 재질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트 마스크 팩 구매 시의 중요 고려 요인으로 가장 많은 응답자가 ‘효능·효과’라고 답했으며, 다음으로 ‘피부 적합성’과 ‘브랜드 인지도’ 순이었다. 주 구매 가격대는 1장당 2천원 대가 가장 많았고, 효능이 우수하더라도 시트 마스크 팩의 적정가격은 1천∼3천원이 적당하다고 인식하는 여성이 과반수를 넘어 시트형 마스크 팩에 대한 소비자의 가격 저항선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시트형 마스크 팩의 추가 기능에 관한 구매의사를 묻는 문항 에 5점 만점 선호도가 가장 높았던 항목은 ‘시트 마스크 팩에 피부 톤 보정 기능까지 있으면 구매하고 싶다’로 4.06점이었으며, ‘얼굴 크기와 굴곡에 맞추는 사이즈 조절 기능’과 ‘시트 마스크 팩에 온도 조절 기능까지 있으면 구매하고 싶다’ 순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마스크 팩 중에서 간편한 타입의 시트형 마스크 팩에 대한 여성들의 선호도가 높고, 로션 같은 기초 품목만큼 사용이 대중화 되었다는 점에서 앞으로도 발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지만, 소비자들이 원하는 사용성 개선과 안전성 우려에 관한 신뢰를 회복해야만 더 큰 발전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업계에서는 산업 전반적으로 피부에 안전하고 편리한 사용성의 시트와 내용물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마스크 팩 생산의 자동화 및 위생공정 개선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마스크 팩에 대한 다양한 소재와 기능 개발의 방향이 제시되고, 지속적인 연구와 더불어 마스크 팩 업계의 마케팅 전략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한국영화에 사용된 한국음악적 요소의 고찰 : 1986년부터 2006년을 중심으로

        최보윤 이화여자대학교 실용음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Culture industry, as the top knowledge based industry in service industry field, is to produce and distribute cultural products and services through media and modern scientific technologies. That is, it is a high value added industry that can make a great fortune only with knowledge and ideas without huge facilities and capitals. And the highest value added and the integrated contents producing industry of culture industries is visual industry and film industry making movies, as the original form of visual industry, plays a big role in visual industry. Especially with a specialty of film, combined with visual technology in this multimedia age, 21st century, it is a field making a big improvement in a short time with a quick development of visual technology, compared to other art field. Film music is not exceptional. It recognized an importance and effects of music for more successful film as a 'composite art', got out of a background music level, a simple assistant tool, and now it is receiving much recognition on its value as an independent art. Desirable film music is to set one or a couple of themes in one film and present them repeatedly, appropriately for scenes, mood, emotions and feelings of characters so that it finally delivers the musical images matching visual images to an audience. Therefore, it should be matched with images and remembered as a film of musical images by audience. A music of <Charioits Of Fire> (1981) that gave Vangelis the best film music award in Academy Award or A piece of Ennio Morricone that makes people realize <A Fistful of Dollars> if they listen to the music even though they do not know what the film said are typical models. Then, how can Korean film imprint Korean film music on as an image? It is, to add Korean musical elements in film music. Of course foregoing film music did not succeed in musical imagination with national elements added, I assumed that it can not be better to make an audience have images of film music remembered in case that foreigners watch Korean film. Korean musical elements are elements that can make Korean color with the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sound, traditional 5 musical scales, Si-Gim-Sae and Nong-Hyun. These Korean musical elements are our own unique ones that no other countries can follow and I think it is the best way to entrust these Korean musical elements with creating our unique music. Together with a rapid development of Korean film industry, after 1990s for the first time, it started to get out of film music as a picked up seasoning appropriately for shots. In 1997, the success of <The contact> O.S.T. planning film music, Original Sound Track with a guiding motif of Old Pop at the planning step of film showed the commercial possibility of Korean film music. So the music in film is given much weight and various creative attempts are coming to strengthen the functional side with music. This research will find out how Korean musical elements inserted in film to describe a historical background and characters' emotions among Korean films from 1986 - after 'the fifth film law revision'- to 2006. At first, I explain Korean music, a history of Korean film music, Korean film music director and Korean film director and seek out the present position and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film music through an actual analysis on Korean musical elements. The research is progressed as follows. After selecting films containing Korean musical elements made in from 1986 to 2006 among the entire Korean films registered in 'Korean film database', I will analyze the musical features and trends used in film music around films showing the excellent musicality with the efficient Korean musical elements even though it is not awarded in film music, a big run, or awarded in film festival. Film music in film plays a function that explains the historical and spatial backgrounds or connects a character's emotion or images' timing skip or omission, besides delivers a story like words and sound effects. The cases using film music containing Korean musical elements are mostly to show a historical background of a historical drama. Though it is to show a historical background in common, it shows Korean musical elements in different expressions and it seems that the function and effect are also much different. to strengthen the functional side with music. This research will find out how Korean musical elements inserted in film to describe a historical background and characters' emotions among Korean films from 1986 - after 'the fifth film law revision' - to 2006. At first, I explain Korean music, a history of Korean film music, Korean film music director and Korean film director and seek out the present position and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film music through an actual analysis on Korean musical elements. The research is progressed as follows. After selecting films containing Korean musical elements made in from 1986 to 2006 among the entire Korean films registered in 'Korean film database', I will analyze the musical features and trends used in film music around films showing the excellent musicality with the efficient Korean musical elements even though it is not awarded in film music, a big run, or awarded in film festival. Film music in film plays a function that explains the historical and spatial backgrounds or connects a character's emotion or images' timing skip or omission, besides delivers a story like words and sound effects. The cases using film music containing Korean musical elements are mostly to show a historical background of a historical drama. Though it is to show a historical background in common, it shows Korean musical elements in different expressions and it seems that the function and effect are also much different. On this research, I realized that the use of Korean musical elements in Korean film is limited to a historical drama. There is a saying ‘Whichever countries, the more going through developments, it can finally find its own national music.’ Something Korean, it will be us, Korean to develop and express it for creating its real value and flavor, not any of nations of the world. It is not common to use Korean musical elements in Korean film but till the day the use of Korean musical elements in Korean film becomes popular and international, the more efforts and researches are necessary by people working in film industry. 문화 산업은 서비스산업 중 으뜸가는 지식기반 산업으로 현대의 과학기술과 미디어매체를 통하여 문화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ㆍ유통하는 산업을 말한다. 즉, 거대한 생산설비나 자본이 없이도 창의적인 지식과 아이디어만으로 엄청난 부를 창출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의 산업이다. 이러한 문화산업 중 가장 부가가치가 뛰어나고 종합적인 콘텐츠를 생산하는 것이 영상산업이며, 그 중에서도 영상산업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극영화 제작의 영화산업은 영상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역할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멀티미디어 시대인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영상기술과의 결합이라는 영화의 특성상, 영상기술의 신속한 발전에 힘입어 다른 예술 분야에 비해 짧은 시간에 비약적인 발전을 거두고 있는 분야라 하겠다. 영화음악도 예외는 아니다. ‘종합예술’로써의 영화를 보다 성공적으로 만들기 위한 음악의 중요성과 효과를 인식하고, 과거 단순한 영상 보조 수단인 배경음악의 차원에서 벗어나 이제는 하나의 독립된 예술로써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바람직한 영화음악이란 한 작품 안에서 하나 또는 몇 개의 테마를 설정하고 그것을 정경 ·무드 ·등장인물의 감정과 심리 등에 맞추어 반복해서 제시함으로써 관객에게 영상에서 받은 이미지에 어울리는 음악적 이미지를 전할 수 있는 것이라 하겠다. 즉, 화면과 잘 어우러지면서도 관객으로 하여금 영화를 보고 난 후에도 음악적 이미지로의 영화로도 기억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반젤리스에게 아카데미 시상식 최우수 영화음악상의 영예를 안겨 준 <불의 전차>(1981)의 음악이나 영화의 내용은 모르더라도 음악만 들으면 대번에 <황야의 무법자>(1964)임을 알 수 있는 엔니오 모리꼬네의 곡이 그 대표적인 예라 하겠다. 그렇다면 한국영화가 이미지로써의 한국영화음악을 각인시킬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영화음악에 한국음악적 요소를 첨가시키는 것이다. 물론 앞서 예로 들었던 영화음악은 민족적인 요소를 첨가하여 음악적 이미지화에 성공한 것은 아니지만, 다른 나라의 관객이 한국의 영화를 볼 경우 기억에 남는 영화음악의 이미지를 갖게 하는 데에는 더없이 좋은 방법이 아닐 수 없을 것이라는 생각에서 유추해본 것이다. 한국음악적 요소란 한국 전통악기의 음색이나 전통적 음계인 5음 음계, 한국 고유의 시김새나 농현 등으로 한국적인 색채를 만들어낼 수 있는 요소를 뜻한다. 이러한 한국음악적 요소는 세계 그 어느 나라에서도 흉내낼 수 없는 우리만의 것이며, 이러한 한국음악적 요소만이 우리의 독특한 음악을 창출해 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 여겨진다. 우리나라도 영화산업의 급격한 성장과 더불어 1990년대 이후 비로소 영화음악을 화면에 맞춰 적당히 만들어 넣거나 골라 넣는 조미료 차원으로부터 벗어나기 시작했다. 1997년에는 영화의 기획 단계부터 올드 팝(Old Pop)을 주요 모티브로 사용하여 상품으로 영화음악 Original Sound Track(이하 O.S.T.) 음반을 기획한 <접속> O.S.T.의 성공이 국내 영화음악의 상업적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에 따라 영화에서 음악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짐은 물론이고, 음악을 이용해 기능적 측면을 강조하려는 참신한 시도들이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제 5차 영화법 개정' 이후인 1986년부터 현재(2006년)까지의 한국영화 중 시대적 배경이나 등장인물의 심리 묘사 등을 위해 한국음악적 요소를 사용한 영화에 어떠한 방법으로 한국음악적인 요소를 삽입하였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한국음악과 한국영화음악의 변천사 및 한국영화음악감독과 한국영화감독에 대하여 설명한 뒤 한국영화에 쓰인 한국음악적 요소의 실질적인 분석을 통해 한국영화음악의 현 위치와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본다. 연구방법은 ‘한국 영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전체 한국 영화 중, 1986년~2006년 사이 제작된 한국음악적 요소 포함 영화들을 선별한 뒤 음악상 수상 경력이 있는 작품 또는 흥행에 성공한 작품, 수상작이나 흥행 성공작이 아니더라도 한국음악적 요소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뛰어난 음악성을 보여준 작품을 위주로 영화음악에 사용된 음악적 특징과 경향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영화에 있어서 영화음악은 대사나 음향효과 같이 줄거리를 전달하는 기능 외에 시간적ㆍ공간적 배경을 설명해 주거나 등장인물의 내면 심리 또는 영상의 시간적 도약이나 생략을 자연스럽게 연결시켜주는 연결고리 역할 등을 한다. 그 중 한국음악적 요소가 포함된 영화음악을 사용하는 경우는 주로 시대극의 시간적 배경을 나타내기 위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시간적 배경을 나타낸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각기 다른 표현 방법으로 한국음악적 요소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기능과 효과 또한 매우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하면서 한국영화에서 한국음악적 요소의 사용이 시대극이라는 지극히 제한적인 분야에서만 이루어지고 있음을 더욱 확실하게 느끼게 되었다. ‘어떤 나라든지 발전을 거듭하면 할수록 고유의 민족음악을 찾게 된다.’는 말이 있다. 한국적인 것은 세계 그 어느 민족도 아닌 우리 즉, 한국인이 발전시키고 표현해내어야 진정한 가치와 맛을 살릴 수 있을 것이다. 아직은 극소수인 한국영화 속 한국음악적 요소 사용이 장르의 구분을 막론하고 확산되고 대중화되면서 세계화 되는 날까지 영화산업 종사자들의 보다 많은 노력과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원격공동분석 모델이 디지털포렌식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연구

        최보윤 아주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New trend called ubiquitous leads the recent business by standardization and integration. It should be the main issue how to guarantee the Integration and accountability on each business. The ubiquitous surroundings bring the change in the field of criminal investigation. The needs of digital forensics are increasing on every crime scene not just on computer crime. The court ask for more accurately analysed results. Investigators in the crime scene need real-time analysis for against the crime armed with new technology. It seems to be needs of Real-Time-Enterprise on business. Digital forensic system in present status depends on know-how of each investigator and is hard to expect professional analysis on every field. I set up a hypothesis "Co-working of professional investigators on each field will rise Performance and Integrity" and suggest "Online co-work analysis model." At the conclusion, it proved the statistical research that is performed by forensic specialists. 유비쿼터스로 대표되는 현대의 비즈니스는 표준화와 통합화로써 변화의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다. 현대 사회의 주요한 이슈는 개별 비즈니스에 대한 비즈니스 무결성(Integrity) 또는 책임추적성(Accountability) 유지방안이 될 것이며, 이미 정부는 “정보시스템의 효율적 도입 및 운영등에 관한 법률”을 공표하여 정보시스템감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해 운영 중이다. 디지털세상으로의 변화는 범죄수사 분야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디지털포렌식 수요는 컴퓨터범죄에 국한되지 않고 강력범죄, 경제범죄, 보안&#8228;외사범죄 등 모든 범죄수사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최근 한국의 ○○도 지역 경찰관서에서 압수한 12만건의 디지털매체 중 디지털증거분석 의뢰한 것은 고작 0.5%에 해당하는 640 여건뿐이었다. 먼 미래가 아닌 현 시점에도 약 200배 가량의 분석수요가 더 잠재되어 있다는 점은 놀라운 사실이다. 포렌식 결과에 대한 질적요구 수준도 높아지고 있다. 법원은 더 높은 신뢰수준의 분석결과를 요구하고 있다. 범죄자들은 새로운 범죄수법과 증거인멸 방법을 연구하고 있어 수사현장 실무자들은 실시간의 분석결과를 요구하고 있다. 마치 실시간 기업경영(Real-Time-Enterprise)의 이슈와 맥락을 같이 하는 것이다. 하지만, 현행 한국경찰의 디지털포렌식 조직 구조하에서는 분석관 개인의 경험과 지식에 의존하고 있어 모든 분야의 전문성을 기대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아무리 우수한 분석관이라고 할지라도 모든 정보통신분야의 전문지식과 형사소송 법률체계 및 수사실무 경험을 고루 겸비할 것을 기대하기 곤란하기 때문이다. 전문성 부족은 분석결과의 오류와 직결되어 억울한 피의자가 발생하거나 중요한 증거를 유실하여 결국 실체적 진실을 밝히지 못하게 된다. 이렇듯 디지털포렌식 분야에는 수요의 급증, 실시간분석 필요성, 엄격한 법률적 신뢰수준 부담, 전문지식 공유부족 등과 같은 위기가 도래하였다. 이러한 디지털포렌식 분야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서 분야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다자간 원격공동분석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모델은 증거수집 및 증거분석 단계에서 해당분야 전문가가 원격제어 기능을 이용하여 협력 지원을 할 수 있는 방법이다. 피터 드러커는 “지식경영이란 조직구성원 개개인의 지식이나 노하우를 체계적으로 발굴하여 조직내 보편적인 것으로 공유함으로써, 조직 전체의 문제 해결능력과 기업가치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경영방식” 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모델을 적용하였을 경우 디지털포렌식의 생산성과 무결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분야별 전문가들이 상호간 전문지식과 숙련된 경험을 공유하게 되면 디지털포렌식의 정확성, 객관성, 신속성 등 3대 생산성 향상에 영향을 주고, 이를 통해 표준절차 준수 기회도 늘게 되어 결국 무결성도 향상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詳註聊齋志異圖詠』 삽화 연구 : 소설, 삽화, 시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최보윤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는 이미지의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90년대 초부터 시작된 인문학계의 시각문화에 대한 관심은 텍스트를 위주로 이루어졌던 문학의 연구 영역을 이미지로까지 확장시켰고 이에 텍스트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소설 삽화가 활발하게 연구된다. 그러나 청대 단편소설 모음집인 蒲松齡의『聊齋志異』는 여전히 텍스트를 위주로 연구되고 있고 진행된『聊齋志異』삽화 연구 역시 초보적인 단계로 同文書局本『詳註聊齋志異圖詠』이 소설, 삽화, 시를 통합적으로 제시하는 출판물임에도 삽화를 단독으로 연구하거나 소설과 삽화의 관계를 단편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光緖 12년(1886) 上海 同文書局에서 출간된『詳註聊齋志異圖詠』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텍스트 위주로 진행되던 기존의『聊齋志異』연구 영역을 이미지로까지 확장하고 삽화와 소설의 관계뿐만 아니라 시가 소설, 삽화와 맺고 있는 관계까지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먼저 소설 분석을 선행하여 소설과 삽화를 대조하고 일치하거나 불일치 하는 부분을 찾아 삽화가 소설의 서사를 담는 원리와 삽화의 재현 유형을 분석했다. 다음으로 삽화에 수록된 시가 나타내는 소설의 비평적 관점을 파악하여 이들이 삽화, 소설과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여 나타내는 의미 작용을 확인했다. 삽화는 소설의 내용을 바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소설의 서사를 사실적으로 재현하는데 이는 單一 장면의 재현과 複數 장면의 재현으로 나눌 수 있다. 單一 장면의 재현에 해당하는 삽화는 하나의 장면으로 소설의 서사를 극대화하기 위해 절정 이전의 순간이나 절정 이후의 순간, 혹은 이야기의 주제, 인물의 성격과 예술적 정취가 잘 나타나는 순간을 선택하여 화면에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다. 複數 장면의 재현에 해당하는 삽화는 소설의 진술과 서사적 흐름을 반영하기 위해 강, 구름, 산세, 건물, 연기, 운무 등으로 화면을 분할하여 두 가지 이상의 사건을 병치해 서사의 단절과 연결을 나타냈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이 삽화가 소설을 단순히 기계적으로 모사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았다. 일부 삽화는 소설에 대한 능동적 이해를 바탕으로 소설의 진술과 다르게 주요 인물을 등장시키거나, 장소를 변경하고 또는 일련의 사건을 새롭게 배치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삽화가 소설과 끊임없이 소통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삽화가 소설의 서사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 다양한 연출 방식은 삽화의 수용자인 독자를 고려한 것으로『詳註聊齋志異圖詠』의 삽화는 당시 독자가 선호하던 심미적 취향과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는 단서를 반영하여 다양한 독자층을 획득할 수 있었고『聊齋志異』가 널리 전파되는데 큰 역할을 했다. 삽화 속에 수록된 시는 소설에 대한 감상과 비평의식이 담겨있어 평점의 측면에서 논의할 수 있는데 시가 소설과 맺는 관계에 따라 이야기의 압축, 주제 의식의 강화, 주관적 감상과 새로운 해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성격별로 분류된 시는 다시 삽화와 상호작용하여 다양한 의미 관계를 형성했다. 이야기를 압축한 시는 서사를 요약적으로 제시하여 삽화가 나타내는 장면을 이야기의 전체적인 흐름 속에서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했고 이야기의 주제 의식을 강조한 시는 포송령이 드러내고자 한 주제 의식을 강조해 삽화의 의미를 풍성하게 만들었다. 주관적 감상과 새로운 해석이 담긴 시는 소설의 저자와 상반되는 독특한 견해를 담아 독자가 능동적으로 소설과 삽화를 해석할 수 있는 틈을 만들어 독자가 독창적인 해석을 할 수 있도록 유도했다. 이처럼 소설의 서사를 시각화한 삽화에 시를 결합한 화면구성은 이미지와 텍스트의 상호보완적 관계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것으로 시는 소설의 메타 텍스트로서 삽화의 의미를 보완하고 소설에 대한 이해의 확장을 가져온다고 할 수 있다. 삽화는 다양한 관점을 매개하여 독자가 적극적인 독서 과정에서 자신만의 감상과 해석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결국『詳註聊齋志異圖詠』에서 삽화와 시의 결합은『聊齋志異』가 세대를 뛰어넘어 끊임없이 읽히고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는 생명력을 갖게 하였다. 『詳註聊齋志異圖詠』은『聊齋志異』라는 소설 자체가 지닌 시대적 보편성과 더불어 소설, 삽화, 시가 하나의 서적 안에서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소통하고 있다. 결국 이미지와 텍스트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은 독자의 흥미를 고취하고 무한한 상상력을 자극하여 소설을 끊임없이 읽게 하고 다양한 해석을 생산해『詳註聊齋志異圖詠』의 열린 텍스트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사회불안과의 관계 연구

        최보윤 한국외국어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사회불안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고,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사회불안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부부갈등이 사회불안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사실을 통해 부부갈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사회불안과 관련하여 청소년 지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중학교 2곳의 1학년 480명 중 이혼이나 별거와 같은 가족해체를 경험하지 않은 정상가정의 393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 척도(Grych외, CPIC, 1992)와 아동 청소년용 사회불안 척도(문혜신, 2002)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Cronbach a 계수를 산출하였다.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사회불안이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사회불안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은 전반적으로 남,녀 성별과 부모의 학력은 부부갈등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가정의 경제상태가 하류층에서 자녀가 부부갈등을 높이 지각하였다.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부부갈등을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내용에서 높게 지각하였고, 경제상태가 하류층에서 지각된 위협을 높게 지각했다. 아버지 학력은 고졸이하에서 대처효율성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어머니 학력은 대졸이상과 중졸이하에서 내용을 높게 지각하였고 고졸이하에서 대처효율성을 높게 지각하였다. 둘째, 자녀의 사회불안은 전반적으로 남,녀 성별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가정의 경제상태와 부모의 학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사회불안을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회피행동 및 사고와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사회불안과의 관계는 자녀가 부부갈등을 높게 지각할수록 사회불안이 높게 나타났으며, 여자보다 남자가 사회불안이 높게 나타났다. 부부갈등의 하위영역 중에서 삼각관계, 지각된 위협, 대처효율성, 내용, 안정성이 사회불안의 모든 영역과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빈도와 강도는 사회불안과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고, 문제해결은 사회불안의 하위영역 중 거절에 대한 두려움과 비주장성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이 사회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of purpose is described to youth children's perception of marital conflict and social anxiety. So It is important to educational information which teach for youth children. The research range consist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research tool used to CPIC(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 Social anxiety(Korean version of Social Anxiet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data samples are made use of SPSS 14.0. According to organize t-test, Cronbach a, ANOVA, correlation analysis. First, it has sex and parent of education level about insignificant youth children's perception of marital conflict, pointed high perception at low class. And It has more perceptive man better than woman. Second, social anxiety has more generally known man than woman, also fearfulness. Third, It is related to a love triangle, serious three-cornered, self-criticism, efficiency counterplan, intensity, settlement. And solve-problem has related to fearfulness, social avoidance. In conclusion, youth children's perception of marital conflict effect directly to social anxiety.

      • 부모의 성취압력 및 진로지도가 아동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최보윤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진로인식 단계에 있는 초등학생 6학년을 대상으로 부모의 성취 압력 및 진로지도가 아동의 진로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초등학교 아동의 진로발달 과정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지도가 진로발달에 어떠한 설명력을 갖는지 알아보는 것을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59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성취압력, 진로지도, 진로발달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부모의 성취압력, 진로지도와 아동의 진로발달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발달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진로발달의 하위 영역인 직업의 이해, 자기이해, 자율성과도 정적 상관관계를 보고하였다. 또한, 진로지도와 아동의 진로발달 역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부모의 진로지도 하위 영역 중 정서적 지지를 제외한 영역들은 진로발달 하위 영역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의 성취압력은 초등학교 아동의 진로발달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이었다. 부모의 성취압력은 직업선택의 합리성, 직업적 성 편견, 자긍심에는 의미있는 설명력을 보이지 못했지만, 진로발달 총점, 진로지향성, 직업의 이해, 자기이해, 자율성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셋째, 부모의 진로지도는 초등학교 아동의 진로발달에 부모의 성취압력과 더불어 추가적인 설명력을 보였다. 진로지도는 자기 이해 영역과 진로발달전체를 성취압력과 더불어 4~9%를 추가 설명하였다. 부모에 의해 이루어지는 진로관련 지도가 아동들이 자신의 모습을 보다 정확하게 보게 하고, 이를 바탕으로 진로발달이 보다 잘 이루어지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다. 하지만 진로지도의 하위 영역인 정서적 지지는 진로발달에 부적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아동들의 진로발달에 부모를 포함한 사회적 환경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arent's accomplishment pressure and career guidance on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Added to this,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ours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For the study, research questions on influence of parent's accomplishment pressure and career guidance on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were set up. This study used three measured methods to check in parent's accomplishment pressure and career guidance on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9 six-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The study showed three findings: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arent's accomplishment pressure and career guidance and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parent's accomplishment pressure did impact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parent's career guidance showed additional impact on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First,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arent's accomplishment pressure, and career guidance and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Parent's accomplishment pressur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development, career comprehension and self-control of sub factors of career development. In addition, career guidance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The sub factors of career guidance, except for emotional support , were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ub factors of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Second, parent's accomplishment pressure did impact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Parent's accomplishment pressure didn't show significant effect on fitness of career choice, sex-prejudice and pride, but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otal career development, career directivity, career comprehension, self-comprehension and self- control. Third, parent's career guidance showed additional impact on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Other than accomplishment pressure, career guidance accounted additional 4~9% for self-comprehension and total career development. Career guidance by parents helps children to recognize and realized themselves more accurately. Furthermore, it helps children to achieve better their career development. But emotional support, which is the sub-fact of career guidance, had no correlation with career development. In conclusion, abov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s that the social environment including parents plays very important role in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 Application of a Channel Selection Algorithm for Unlicensed Spectrum : frequency sharing of Wi-Fi/LTE-U

        최보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5세대(5G) 이동통신 확산을 위하여 정부는 '비면허 5G' 주파수 대역인 6GHz 대역폭에 최대 1.2㎓ 폭을 공급할 예정이다. 4차 산업에 대응하여 기업이 스마트 공장에 적합한 맞춤형 5G망을 구축하기 위한 목적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는 6㎓ 대역 대상으로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5G 연구반을 가동, 주파수 분배 방안 수립과 기술 기준 제정에 착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비면허 5G(NR-U)는 정부가 개방한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5G 코어망과 기지국 등 표준 기술을 적용해 초저지연초고속 성능을 구현하는 기술로, 6월 국제민간표준화기구(3GPP)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그러나 5/6GHz 대역의 주파수는 와이파이와 LTE-LAA가 공존하게 될 영역으로 이해관계자들의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 LBT (Listen-Before-Talk)는 비면허 주파수를 공유하는 방법으로 기술적/행정적 방안으로, 채널을 분석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가장 적절한 주파수대역을 선출하는 방법중에 하나이다. 이 대역을 선출하기 위한 기술 방법은 CCA (Clear Channel Assessment)라고 한다. 이 기술은 LTE 통신사업자들이 개발한 기술로 구체화된 기술표준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이 기술을 와이파이 사업자 입장에서는 이 기술의 실제 실용가능 여부에 대해 의구심을 갖고 있다. 그 이유는 해당 기술이 지나치게 LTE 통신사업자들에게 유리하게 개발된 기술이라는 논쟁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통신기술정책 결정자는 양측이 공존할 수 있는 법 제정방안을 강구해야 하며, 이 논문에서는 기존 와이파이 사용자들을 보호하며 통신 사업자들 역시 주파수를 공유할 수 있는 제도 정책의 방법을 정책자 입장에서 연구해보자 한다. 비면허 주파수를 개방하게 되었을 때 채널 사용자 비율과 라이선스 배부 비율 사이의 효율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리고, 사용 가능한 채널을 비교하는 방법을 기존연구를 통해 비교하고 새로운 모델을 개발 했다. 또 기술 표준으로 이미 제정 된 노이즈 한계치가 실제 공유가 됐을 때 어떤식으로 작용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예측해 보았다. A spectrum-sharing policy is yet to be established for unlicensed bands. There are several controversies related to providing 5-GHz (5G) band service with the coexistence of Wi-Fi and LTE–LAA (License Assisted Access). LTE–LAA is a technical and political scheme for sharing spectrum bands. Using this technique, the channel can be evaluated, and a proper channel can be selected before data transmission. This mechanism is called “listen before talk” (LBT), and the channel selection procedure is called “clear channel assessment” (CCA). LTE service providers suggest standardizing this technology using an unlicensed band. However, existing Wi-Fi users are skeptical about the sharing process. In this paper, we describe proper spectrum-sharing mechanisms based on policy-based channel selection algorithms. Based on the results, proper regulation of the 5G LTE-U is required to avoid conflicts among service providers. This work uses a policy-based mechanism to understand the role of the government in managing these bands. The main idea is that stricter sharing-policy regulations and higher thresholds must be implemented to protect the rights of existing us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