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고객이 지각한 단체급식 식당 선택속성의 중요도, 만족도 차이가 재방문의도 및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보윤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5 국내석사
논문요약 고객이 지각한 단체급식 식당 선택속성의 중요도, 만족도 차이가 재방문의도 및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 보 윤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생활수준 향상과 식품 및 외식산업의 발달로 수준 높은 음식과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원하는 근로자들은 급식에 대한 기대감과 욕구가 높아지고 있다. 단체급식 현장에서는 급식대상자가 더 이상 확보 고객이 아니라 외부 식당으로 옮겨 갈 수 있는 점을 인식하여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선택속성과 서비스품질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고객들의 만족감을 높여 주어야 한다. 단체급식에서 위탁급식이 증가 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위탁급식업체들은 고객들의 만족도를 높이지 못하면 계약 성사에 어려움을 겪게 되므로 고객 맞춤 선택속성과 서비스 향상을 위해 차별화된 급식 운영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객이 지각한 단체급식 식당 선택속성의 중요도·만족도 차이가 재방문의도와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단체급식 선택속성의 만족도가 고객의 행동의도(재방문, 추천, 구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식당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사후적 지각 만족도와 사전적 기대 중요도간에 차이에 초점을 맞추어 재방문의도와 전환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 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조사 대상은 서울과 인천에 위치한 산업체(오피스) 8곳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기법을 이용한 자기기입법을 통해 400부를 조사하였고, 회수된 설문지는 356부이다. 이중에서 응답이 불성실한 31부를 제외하여 총 325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활용하였다. 설문지를 구성하기 전 서울에 위치한 오피스 한 곳을 채택하여 고객 30명에게 사전 인터뷰를 하여 선행연구의 선택속성을 포함하고 새로운 선택속성들을 추가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과 빈도분석, 신뢰도, 요인분석, IPA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체급식 식당 선택속성별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에서는 전반적으로 중요도 속성 대비 만족도 속성 평균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특성을 보였다. 식당을 이용하는 고객들이 선택속성에 대한 사전적 기대(중요도)와 사후적 지각(만족도)에 많은 변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변화를 적절하게 파악하여 고객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선택속성에 대하여 만족도 역시 높은 수준으로 유지 할 수 있도록 단체급식업계에서는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선택속성요인별 중요도와 만족도간의 차이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 3개의 요인인 ‘이용의 편리성’ ‘건강한 음식 제공 및 청결한 식당 분위기’ ‘새롭고 다양한 메뉴’ 3개의 요인 모두 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개의 요인에 대해 사전적 기대감(중요도)보다 사후적 지각(만족도)이 높으면 높을수록 고객들이 식당에 대한 재방문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택속성요인별 중요도와 만족도간의 차이가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 3개의 요인 중 ‘이용의 편리성’ 요인만 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요인들은 전환의도에 비유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고객들이 식당 이용의 편리성에 대한 사전적 기대감(중요도)보다 사후적 지각(만족도)이 낮을 경우 고객들은 외부 식당으로 전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로는 단체급식업계에서는 다양한 신 메뉴 및 건강식 메뉴 제공을 하고 고객들이 식당을 이용함에 있어 편리하도록 충분한 좌석과 식사 후 휴식장소 마련, 신선한 이벤트, 판매 간식, 기획 상품 제공을 통해 외부 식당으로 전환하는 고객을 방지하고 식당을 재방문 할 수 있도록 꾸준한 개발과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서울과 인천에 위치한 산업체를 대상으로 연구 하였다는 점에서 전체적인 단체급식업계의 고객들의 재방문의도와 전환의도를 설명하는데 한계점이 있었다. 또한 조사한 산업체를 위탁하는 급식회사가 각각 다르고 운영방식과 메뉴가격 차이로 고객들의 중요도와 만족도 파악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향후 업체유형별, 메뉴별로 연구하고 공통적인 선택속성들로 단체급식식당과 일반식당을 비교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단체급식식당의 효율적인 운영과 마케팅 방향에 기초적 자료가 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보인다. 주제어: 단체급식식당 선택속성, 재방문의도, 전환의도 Abstract Customer's Perceived Gap between Satisfaction and Importance in company cafeteria Selection Attributes Influencing on Repurchasing intentions and customer switching intentions. Choi, Bo-Yoon Graduate School of Tourism Sejong University As of the living standard improvement and food and food service industry development, the expectation and desire of workers for high standard food and service is getting higher. The company cafeteria should recognize those eligible for meals are no more secured customers, but are customers movable to outside restaurants, and should actively introduce the selection attribute and service quality those can fulfill the customer's desire, so that can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As currently the contracted foodservice has been growing in company cafeteria, the contracted foodservice company may have to face difficulties to sign the contract without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level, so it is necessary to adopt differentiated feeding operation to improve the customer oriented selection attribute and service quality. Thus in this study customer's perceived gap between satisfaction and importance in company cafeteria selection attributes influencing on repurchasing intentions and customer switching intentions has been researched. Most of previous studies were related to the influence of company cafeteria selection attributes to satisfaction to customer's behavior intention (repurchasing, recommendation, word of mouth). But in this study the focus was on the gap between customer's priory expected importance and customer's post perceived satisfaction, and the purpose was to study the kind of influence that could affect to repurchase intention and switching intention. A selfreported type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employees of 8 companies in Seoul and Incheon was carried out, andamong 400 papers distributed total 356 papers were collected. After excluding insincerely answered 31 papers, total 325 papers were used as effective papers for the study. Prior to construct questionnaire one office in Seoul was selected and prior interview with 30 customers was made, then new selection attributes were added on top of selection attributes of previous studies to construct questionnaire paper. To analyze this paper,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IPA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rom the result of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nalysis of company cafeteria selection attributes, the general characteristic was that the average score of satisfaction attributes was lower than that of importance attributes. It is understood that there were many changes in customer's prior expectation (importance) and post perception (satisfaction) of selection attributes. So it is necessary for a company cafeteria company to keep the continuos effort to maintain higher standard of satisfaction to selection attributes, importantly considered by customers, by properly identifying these changes. Second, from the survey result of the influence of gap betwee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by factors of selection attributes to repurchasing intention, all 3 factors, 'convenience of usage', 'providing healthy food and clean atmosphere', and 'new and variable menu', made 5% level of positive(+) and significant influence. In case the post perception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past expectation (importance), it was proved that customer's repurchasing intention was high. Third, from the research result of the influence of gap betwee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by factors of selection attributes to customer switching intention, only one factor, 'convenience of usage', among 3 factors, made 5% level of negative(-) and significant influence. It was proved that other factors made no significant influence to customer switching intention, and this result could be interpreted that the customers switched to outside restaurants in case the post perception (satisfaction) was lower than past expectation (importan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o prevent customer's switching to outside restaurants and to induce repurchasing, company cafeteria industry should continuously develop and do utmost efforts, such as providing various new and healthy food menu, enough tables and relaxation place for customer's convenience of using cafeteria, fresh events, snack sales, providing special offer, and so on. The limit of this study was the location of target industries, only in Seoul and Incheon area. So there was limit to explain customer's repurchasing intention and switching intention of overall company cafeteria industry. Also, as the contracted foodservice company was different from each surveyed company, there were limit from perception gap to understand customer's importance and satisfaction cause from different managing system and price of menu. In the future, additional study, by type of company and menu and comparison analysis of company cafeteria and other restaurant by common selection attributes, would be necessary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management and marketing direction of company cafeteria. Key-Word: Company Cafeteria, Selection Attributes, Repurchasing intention, customer switching intention.
이 연구의 목적은 학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학부모의 교육열, 자녀의 배경특성, 대중매체 노출에 따라 학부모의 교육정책에의 관심 여부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어떠한 요인이 학부모가 교육정책에 관심을 가지는지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그 상대적인 영향력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대상은 중학교, 일반고, 실업고 학부모 3,511명이다.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C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how social economic status(SES), education fever, background attributes of student, and exposure to mass media make a difference in parent’s interest in educational policy.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
시트형 마스크 팩에 대한 인식 및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최보윤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16 국내석사
In recent years, women have grown to become interested in their appearance, making skin care included in their daily routine at home. As beauty salons and cosmetic procedures have become popular, a growing number of women today are doing skin care similar to specialist treatment at home. This social trend and sluggish economy play a role in inducing consumers of expensive cosmetics and users of esthetic salons to the home-care market. As a result, consumers have come to choose ‘mask sheet pack’ as a home esthetic product, which has led to a sharp growth of the mask pack market. In this respect, this study examines materials and types of ‘mask sheet pack’, as a mainstream type of mask pack which continues to be on the rise and investigates consumer perceptions and status of use and purchase with the aim of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ompetitive product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666 women in their 20s through 40s living in and around Seou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via a χ2 (Chi-square) test, frequency analysis, and One-way ANOVA with a SPSS WIN 21.0 program, with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s far as type-wise mask pack preferences of the women were concerned, consumers were found to prefer gel type mask sheet pack at 3.66 in the 5-point preference scale, fabric type sheet mask pack at 3.61, and sleeping type mask pack at 3.33, all of which are beyond the average, while wash off mask pack, peel off mask pack, powder mask pack, which is mixed in water before applying over the face and washed off were found to have preference levels below the average, as they are inconvenient to use. Second, when asked how they perceived mask sheet pack, most of the respondents replied that they prefer mask sheet pack whose ‘ingredients are nutritional and enriched like ampoule’ at the highest level of 3.99, followed by ‘Mask sheet pack should be used differently by skin type in terms of frequency of use’ and ‘Mask sheet pack is more effective to the skin than common essence’ in order, which shows that consumers appear to perceive mask pack as similar to intensive care like ampoule or as professional home care different by skin type and to consider it more effective to the skin than common essence. Third, in respect of additional functions to moisturizing as its original function, most of the women chose ‘quick skin soothing,’ followed by intensive nutrition supply, wrinkle care and skin firming, whitening and skin tone enhancement, sebum care and pore tightening, in order. The most important improvements they wished were found to be enhanced safety by means of dermatologist testing and certification, followed by improved mobility, need of pre- and post-care raising the effect of mask sheet pack, short use time, and diversity of ingredients and sizes, in order. Fourth, when it came to the status of use and purchase of mask sheet pack, a majority of the women replied that they used it once a week and while ‘taking a rest.’ They appeared to use ‘moisturizing’ mask sheet pack most often at 53.4%, followed by ‘nutritional/anti-aging, skin soothing, and whitening and tone up, in order. Many women pointed out ‘unfolding and complicated ways of using it’ as the most inconvenient aspect, followed by looseness and being inconvenient to move, which reveals that inconvenience of use is highly related to materials of mask sheet pack. In regards to important considerations in purchasing mask sheet pack, most respondents answered ‘efficacy/effect’,’ followed by ‘fitness to skin’ and ‘brand recognition’ in order. Most popular price ranges turned out to be 2,000 won per sheet, and over majority of the women seemed to perceive 1,000 to 3,000 won as appropriate no matter how effective mask sheet pack was, indicating that there existed a line of price resistance for consumers to buy mask sheet pack. Fifth, when asked if they would buy mask sheet pack with additional functions, many of the women at 4.06 in the 5-point scale said that they would buy if ‘mask sheet pack has an effect of skin tone adjustment, followed by ‘I would buy if mask sheet pack has a size adjusting function depending on face size and contour’ and ‘I would buy if mask sheet pack has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From the findings from the study, it is considered that given that simple sheet-type mask pack, among other types, is more popular among women and is gaining popularity as much as basic items like lotion, mask sheet pack has great development potential. Nevertheless, continued development requires improvement of usability and enhanced safety to gain trust of consumers. Consequently, industries should make sustained efforts to develop safer and convenient mask sheet pack items and ingredients and do their best in the automation of mask sheet pack production and improvement of sanitation processes.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of the study will help set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materials and functions of mask sheet pack and provide data necessary for ongoing research and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for mask pack makers. 현대 여성들의 외모에 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집에서의 피부 관리 또한 일상이 되어가고 있다. 피부 관리실이나 피부과 시술의 대중화와 함께 집에서도 전문적 관리와 유사한 피부 관리를 하는 여성들이 증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와 경기침체 요인 등이 고가 화장품과 에스테틱 이용자들을 홈 케어 시장으로 이끄는데 한 몫을 하고 있으며, 홈 에스테틱 상품으로 소비자들이 ‘마스크 팩’을 선호하는 현상은 마스크 팩의 급속한 시장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속적 성장세의 마스크 팩 중에서도 주류를 이루고 있는 ‘시트형 마스크 팩’의 소재와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 사용자들의 인식과 사용 및 구매실태를 조사하여 경쟁력 있는 상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수도권에 거주하는 20∼40대의 여성 666명을 설문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χ2(Chi-square) 검증과 빈도분석, 그리고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를 실시하였다. 이로써 얻어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들의 마스크 팩 종류별 선호도를 알아본 결과, 소비자들은 선호도 5점 만점 중 ‘겔 타입 시트 마스크 팩’이 3.66, ‘원단형 시트 마스크 팩’이 3.61, ‘슬리핑 타입 마스크 팩’이 3.33으로 보통 이상의 선호도를 보였고, 물로 씻는 워시 ‘오프 마스크 팩’, 도포 후 떼어내야 하는 ‘필 오프 마스크 팩’, 물에 섞어 도포 후 세안하는 ‘가루 마스크 팩’ 등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는 마스크 팩은 보통 이하의 선호도를 나타냈다. 둘째, 시트 마스크 팩의 인식을 측정하는 문항에는 ‘시트 마스크 팩의 내용물은 앰플처럼 영양감이 있고 농축적인 것이 좋다’가 3.99로 가장 높았고, ‘시트 마스크 팩은 피부 타입에 따라 사용 횟수를 달리해야 한다’와 ‘시트 마스크 팩은 일반 에센스보다 피부에 효과적이다’ 순으로 나타나 소비자들의 마스크 팩에 대한 인식은 앰플과 같은 집중케어와 유사하거나 피부 타입별로 구분된 전문적 홈 케어로 인식하며, 일반 에센스보다 피부에 효과적으로 느끼는 등 비교적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트 마스크 팩의 기본 기능인 보습 외에 가장 원하는 기능을 알아본 결과는 ‘빠른 피부 진정과 수딩’이 추가되길 원하는 여성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집중적인 영양공급’, ‘주름개선과 탄력 강화’, ‘피부 미백과 톤 개선’, ‘피지케어와 모공 타이트닝’ 순이었다. 마스크 팩 사용 시 가장 개선되길 원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임상실험, 공인기관 인증 등의 안전성이 높아지길 원한다’는 여성이 가장 많았으며, 자유로운 활동성과 시트 마스크 팩의 효과를 높이는 전·후 케어의 필요성, 사용시간 단축, 내용물의 다양성, 사이즈의 다양성 순이었다. 넷째, 시트 마스크 팩의 사용 및 구매 실태를 살펴본 결과, 주 1회 사용하는 여성이 가장 많았고 시트 마스크 팩을 사용하고 싶은 상황은 ‘휴식을 취할 때’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시트 마스크 팩의 기능은 ‘수분공급·보습’ 기능으로 53.4%였고, 다음으로 ‘영양공급·안티에이징’, ‘피부 진정·수딩’, ‘피부 미백·톤업’ 순이었다. 시트 마스크 팩 사용 시 가장 불편한 점은 ‘펼쳐 붙이는 과정과 복잡한 사용법 등의 사용성’ 이라고 밝힌 여성들이 가장 많았으며, ‘밀착성이 떨어지는 것과 불편한 활동성’ 순으로 나타나 소비자가 사용상 불편함을 느끼는 부분은 마스크 팩의 재질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트 마스크 팩 구매 시의 중요 고려 요인으로 가장 많은 응답자가 ‘효능·효과’라고 답했으며, 다음으로 ‘피부 적합성’과 ‘브랜드 인지도’ 순이었다. 주 구매 가격대는 1장당 2천원 대가 가장 많았고, 효능이 우수하더라도 시트 마스크 팩의 적정가격은 1천∼3천원이 적당하다고 인식하는 여성이 과반수를 넘어 시트형 마스크 팩에 대한 소비자의 가격 저항선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시트형 마스크 팩의 추가 기능에 관한 구매의사를 묻는 문항 에 5점 만점 선호도가 가장 높았던 항목은 ‘시트 마스크 팩에 피부 톤 보정 기능까지 있으면 구매하고 싶다’로 4.06점이었으며, ‘얼굴 크기와 굴곡에 맞추는 사이즈 조절 기능’과 ‘시트 마스크 팩에 온도 조절 기능까지 있으면 구매하고 싶다’ 순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마스크 팩 중에서 간편한 타입의 시트형 마스크 팩에 대한 여성들의 선호도가 높고, 로션 같은 기초 품목만큼 사용이 대중화 되었다는 점에서 앞으로도 발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지만, 소비자들이 원하는 사용성 개선과 안전성 우려에 관한 신뢰를 회복해야만 더 큰 발전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업계에서는 산업 전반적으로 피부에 안전하고 편리한 사용성의 시트와 내용물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마스크 팩 생산의 자동화 및 위생공정 개선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마스크 팩에 대한 다양한 소재와 기능 개발의 방향이 제시되고, 지속적인 연구와 더불어 마스크 팩 업계의 마케팅 전략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한국영화에 사용된 한국음악적 요소의 고찰 : 1986년부터 2006년을 중심으로
최보윤 이화여자대학교 실용음악대학원 2007 국내석사
Culture industry, as the top knowledge based industry in service industry field, is to produce and distribute cultural products and services through media and modern scientific technologies. That is, it is a high value added industry that can make a great fortune only with knowledge and ideas without huge facilities and capitals. And the highest value added and the integrated contents producing industry of culture industries is visual industry and film industry making movies, as the original form of visual industry, plays a big role in visual industry. Especially with a specialty of film, combined with visual technology in this multimedia age, 21st century, it is a field making a big improvement in a short time with a quick development of visual technology, compared to other art field. Film music is not exceptional. It recognized an importance and effects of music for more successful film as a 'composite art', got out of a background music level, a simple assistant tool, and now it is receiving much recognition on its value as an independent art. Desirable film music is to set one or a couple of themes in one film and present them repeatedly, appropriately for scenes, mood, emotions and feelings of characters so that it finally delivers the musical images matching visual images to an audience. Therefore, it should be matched with images and remembered as a film of musical images by audience. A music of <Charioits Of Fire> (1981) that gave Vangelis the best film music award in Academy Award or A piece of Ennio Morricone that makes people realize <A Fistful of Dollars> if they listen to the music even though they do not know what the film said are typical models. Then, how can Korean film imprint Korean film music on as an image? It is, to add Korean musical elements in film music. Of course foregoing film music did not succeed in musical imagination with national elements added, I assumed that it can not be better to make an audience have images of film music remembered in case that foreigners watch Korean film. Korean musical elements are elements that can make Korean color with the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sound, traditional 5 musical scales, Si-Gim-Sae and Nong-Hyun. These Korean musical elements are our own unique ones that no other countries can follow and I think it is the best way to entrust these Korean musical elements with creating our unique music. Together with a rapid development of Korean film industry, after 1990s for the first time, it started to get out of film music as a picked up seasoning appropriately for shots. In 1997, the success of <The contact> O.S.T. planning film music, Original Sound Track with a guiding motif of Old Pop at the planning step of film showed the commercial possibility of Korean film music. So the music in film is given much weight and various creative attempts are coming to strengthen the functional side with music. This research will find out how Korean musical elements inserted in film to describe a historical background and characters' emotions among Korean films from 1986 - after 'the fifth film law revision'- to 2006. At first, I explain Korean music, a history of Korean film music, Korean film music director and Korean film director and seek out the present position and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film music through an actual analysis on Korean musical elements. The research is progressed as follows. After selecting films containing Korean musical elements made in from 1986 to 2006 among the entire Korean films registered in 'Korean film database', I will analyze the musical features and trends used in film music around films showing the excellent musicality with the efficient Korean musical elements even though it is not awarded in film music, a big run, or awarded in film festival. Film music in film plays a function that explains the historical and spatial backgrounds or connects a character's emotion or images' timing skip or omission, besides delivers a story like words and sound effects. The cases using film music containing Korean musical elements are mostly to show a historical background of a historical drama. Though it is to show a historical background in common, it shows Korean musical elements in different expressions and it seems that the function and effect are also much different. to strengthen the functional side with music. This research will find out how Korean musical elements inserted in film to describe a historical background and characters' emotions among Korean films from 1986 - after 'the fifth film law revision' - to 2006. At first, I explain Korean music, a history of Korean film music, Korean film music director and Korean film director and seek out the present position and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film music through an actual analysis on Korean musical elements. The research is progressed as follows. After selecting films containing Korean musical elements made in from 1986 to 2006 among the entire Korean films registered in 'Korean film database', I will analyze the musical features and trends used in film music around films showing the excellent musicality with the efficient Korean musical elements even though it is not awarded in film music, a big run, or awarded in film festival. Film music in film plays a function that explains the historical and spatial backgrounds or connects a character's emotion or images' timing skip or omission, besides delivers a story like words and sound effects. The cases using film music containing Korean musical elements are mostly to show a historical background of a historical drama. Though it is to show a historical background in common, it shows Korean musical elements in different expressions and it seems that the function and effect are also much different. On this research, I realized that the use of Korean musical elements in Korean film is limited to a historical drama. There is a saying ‘Whichever countries, the more going through developments, it can finally find its own national music.’ Something Korean, it will be us, Korean to develop and express it for creating its real value and flavor, not any of nations of the world. It is not common to use Korean musical elements in Korean film but till the day the use of Korean musical elements in Korean film becomes popular and international, the more efforts and researches are necessary by people working in film industry. 문화 산업은 서비스산업 중 으뜸가는 지식기반 산업으로 현대의 과학기술과 미디어매체를 통하여 문화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ㆍ유통하는 산업을 말한다. 즉, 거대한 생산설비나 자본이 없이도 창의적인 지식과 아이디어만으로 엄청난 부를 창출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의 산업이다. 이러한 문화산업 중 가장 부가가치가 뛰어나고 종합적인 콘텐츠를 생산하는 것이 영상산업이며, 그 중에서도 영상산업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극영화 제작의 영화산업은 영상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역할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멀티미디어 시대인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영상기술과의 결합이라는 영화의 특성상, 영상기술의 신속한 발전에 힘입어 다른 예술 분야에 비해 짧은 시간에 비약적인 발전을 거두고 있는 분야라 하겠다. 영화음악도 예외는 아니다. ‘종합예술’로써의 영화를 보다 성공적으로 만들기 위한 음악의 중요성과 효과를 인식하고, 과거 단순한 영상 보조 수단인 배경음악의 차원에서 벗어나 이제는 하나의 독립된 예술로써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바람직한 영화음악이란 한 작품 안에서 하나 또는 몇 개의 테마를 설정하고 그것을 정경 ·무드 ·등장인물의 감정과 심리 등에 맞추어 반복해서 제시함으로써 관객에게 영상에서 받은 이미지에 어울리는 음악적 이미지를 전할 수 있는 것이라 하겠다. 즉, 화면과 잘 어우러지면서도 관객으로 하여금 영화를 보고 난 후에도 음악적 이미지로의 영화로도 기억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반젤리스에게 아카데미 시상식 최우수 영화음악상의 영예를 안겨 준 <불의 전차>(1981)의 음악이나 영화의 내용은 모르더라도 음악만 들으면 대번에 <황야의 무법자>(1964)임을 알 수 있는 엔니오 모리꼬네의 곡이 그 대표적인 예라 하겠다. 그렇다면 한국영화가 이미지로써의 한국영화음악을 각인시킬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영화음악에 한국음악적 요소를 첨가시키는 것이다. 물론 앞서 예로 들었던 영화음악은 민족적인 요소를 첨가하여 음악적 이미지화에 성공한 것은 아니지만, 다른 나라의 관객이 한국의 영화를 볼 경우 기억에 남는 영화음악의 이미지를 갖게 하는 데에는 더없이 좋은 방법이 아닐 수 없을 것이라는 생각에서 유추해본 것이다. 한국음악적 요소란 한국 전통악기의 음색이나 전통적 음계인 5음 음계, 한국 고유의 시김새나 농현 등으로 한국적인 색채를 만들어낼 수 있는 요소를 뜻한다. 이러한 한국음악적 요소는 세계 그 어느 나라에서도 흉내낼 수 없는 우리만의 것이며, 이러한 한국음악적 요소만이 우리의 독특한 음악을 창출해 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 여겨진다. 우리나라도 영화산업의 급격한 성장과 더불어 1990년대 이후 비로소 영화음악을 화면에 맞춰 적당히 만들어 넣거나 골라 넣는 조미료 차원으로부터 벗어나기 시작했다. 1997년에는 영화의 기획 단계부터 올드 팝(Old Pop)을 주요 모티브로 사용하여 상품으로 영화음악 Original Sound Track(이하 O.S.T.) 음반을 기획한 <접속> O.S.T.의 성공이 국내 영화음악의 상업적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에 따라 영화에서 음악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짐은 물론이고, 음악을 이용해 기능적 측면을 강조하려는 참신한 시도들이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제 5차 영화법 개정' 이후인 1986년부터 현재(2006년)까지의 한국영화 중 시대적 배경이나 등장인물의 심리 묘사 등을 위해 한국음악적 요소를 사용한 영화에 어떠한 방법으로 한국음악적인 요소를 삽입하였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한국음악과 한국영화음악의 변천사 및 한국영화음악감독과 한국영화감독에 대하여 설명한 뒤 한국영화에 쓰인 한국음악적 요소의 실질적인 분석을 통해 한국영화음악의 현 위치와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본다. 연구방법은 ‘한국 영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전체 한국 영화 중, 1986년~2006년 사이 제작된 한국음악적 요소 포함 영화들을 선별한 뒤 음악상 수상 경력이 있는 작품 또는 흥행에 성공한 작품, 수상작이나 흥행 성공작이 아니더라도 한국음악적 요소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뛰어난 음악성을 보여준 작품을 위주로 영화음악에 사용된 음악적 특징과 경향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영화에 있어서 영화음악은 대사나 음향효과 같이 줄거리를 전달하는 기능 외에 시간적ㆍ공간적 배경을 설명해 주거나 등장인물의 내면 심리 또는 영상의 시간적 도약이나 생략을 자연스럽게 연결시켜주는 연결고리 역할 등을 한다. 그 중 한국음악적 요소가 포함된 영화음악을 사용하는 경우는 주로 시대극의 시간적 배경을 나타내기 위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시간적 배경을 나타낸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각기 다른 표현 방법으로 한국음악적 요소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기능과 효과 또한 매우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하면서 한국영화에서 한국음악적 요소의 사용이 시대극이라는 지극히 제한적인 분야에서만 이루어지고 있음을 더욱 확실하게 느끼게 되었다. ‘어떤 나라든지 발전을 거듭하면 할수록 고유의 민족음악을 찾게 된다.’는 말이 있다. 한국적인 것은 세계 그 어느 민족도 아닌 우리 즉, 한국인이 발전시키고 표현해내어야 진정한 가치와 맛을 살릴 수 있을 것이다. 아직은 극소수인 한국영화 속 한국음악적 요소 사용이 장르의 구분을 막론하고 확산되고 대중화되면서 세계화 되는 날까지 영화산업 종사자들의 보다 많은 노력과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원격공동분석 모델이 디지털포렌식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연구
최보윤 아주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9 국내석사
New trend called ubiquitous leads the recent business by standardization and integration. It should be the main issue how to guarantee the Integration and accountability on each business. The ubiquitous surroundings bring the change in the field of criminal investigation. The needs of digital forensics are increasing on every crime scene not just on computer crime. The court ask for more accurately analysed results. Investigators in the crime scene need real-time analysis for against the crime armed with new technology. It seems to be needs of Real-Time-Enterprise on business. Digital forensic system in present status depends on know-how of each investigator and is hard to expect professional analysis on every field. I set up a hypothesis "Co-working of professional investigators on each field will rise Performance and Integrity" and suggest "Online co-work analysis model." At the conclusion, it proved the statistical research that is performed by forensic specialists. 유비쿼터스로 대표되는 현대의 비즈니스는 표준화와 통합화로써 변화의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다. 현대 사회의 주요한 이슈는 개별 비즈니스에 대한 비즈니스 무결성(Integrity) 또는 책임추적성(Accountability) 유지방안이 될 것이며, 이미 정부는 “정보시스템의 효율적 도입 및 운영등에 관한 법률”을 공표하여 정보시스템감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해 운영 중이다. 디지털세상으로의 변화는 범죄수사 분야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디지털포렌식 수요는 컴퓨터범죄에 국한되지 않고 강력범죄, 경제범죄, 보안․외사범죄 등 모든 범죄수사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최근 한국의 ○○도 지역 경찰관서에서 압수한 12만건의 디지털매체 중 디지털증거분석 의뢰한 것은 고작 0.5%에 해당하는 640 여건뿐이었다. 먼 미래가 아닌 현 시점에도 약 200배 가량의 분석수요가 더 잠재되어 있다는 점은 놀라운 사실이다. 포렌식 결과에 대한 질적요구 수준도 높아지고 있다. 법원은 더 높은 신뢰수준의 분석결과를 요구하고 있다. 범죄자들은 새로운 범죄수법과 증거인멸 방법을 연구하고 있어 수사현장 실무자들은 실시간의 분석결과를 요구하고 있다. 마치 실시간 기업경영(Real-Time-Enterprise)의 이슈와 맥락을 같이 하는 것이다. 하지만, 현행 한국경찰의 디지털포렌식 조직 구조하에서는 분석관 개인의 경험과 지식에 의존하고 있어 모든 분야의 전문성을 기대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아무리 우수한 분석관이라고 할지라도 모든 정보통신분야의 전문지식과 형사소송 법률체계 및 수사실무 경험을 고루 겸비할 것을 기대하기 곤란하기 때문이다. 전문성 부족은 분석결과의 오류와 직결되어 억울한 피의자가 발생하거나 중요한 증거를 유실하여 결국 실체적 진실을 밝히지 못하게 된다. 이렇듯 디지털포렌식 분야에는 수요의 급증, 실시간분석 필요성, 엄격한 법률적 신뢰수준 부담, 전문지식 공유부족 등과 같은 위기가 도래하였다. 이러한 디지털포렌식 분야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서 분야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다자간 원격공동분석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모델은 증거수집 및 증거분석 단계에서 해당분야 전문가가 원격제어 기능을 이용하여 협력 지원을 할 수 있는 방법이다. 피터 드러커는 “지식경영이란 조직구성원 개개인의 지식이나 노하우를 체계적으로 발굴하여 조직내 보편적인 것으로 공유함으로써, 조직 전체의 문제 해결능력과 기업가치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경영방식” 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모델을 적용하였을 경우 디지털포렌식의 생산성과 무결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분야별 전문가들이 상호간 전문지식과 숙련된 경험을 공유하게 되면 디지털포렌식의 정확성, 객관성, 신속성 등 3대 생산성 향상에 영향을 주고, 이를 통해 표준절차 준수 기회도 늘게 되어 결국 무결성도 향상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마음챙김수준이 감사와 용서에 미치는 영향 : 자기자비와 타인자비의 매개효과 검증
최보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챙김이 타인자비, 자기자비를 매개로 감사와 용서에 미치는 심리적 구조를 검증하는 것이다. 심리적 과정과 이론적 구조에 기반을 두는 개념으로서 마음챙김을 알아차림(awareness)과 주의(attention)의 수준으로 국한하여 정의하였다. 그리고 과거의 부정적인 기억을 긍정적인 기억으로 대치하는 역할을 하고, 대인관계와 관련이 있는 감사와 용서에 대해 마음챙김 수준이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상담 장면에서 과거의 부정적 기억과 대인관계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내담자에게 마음챙김이 어떤 긍정적 효과를 줄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더불어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자비의 개념을 자애심, 연민심, 동락심, 평정심을 포함하는 확장된 개념으로 정의하고, 자비심을 베푸는 대상에 따라 자기자비와 타인자비로 구분하여, 마음챙김 수준이 자기자비와 타인자비를 증진시키는지, 자기자비가 높을수록 타인자비가 높은지, 자기자비와 타인자비가 감사와 용서에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해 검증함으로서, 자기자비와 타인자비가 마음챙김 수준이 감사와 용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해 의미있는 매개역할을 하는지 확인하였다. 이로써 상담장면에서 내담자의 심리적 어려움을 회복하도록 돕기 위해 자기자비와 타인자비 증진의 필요성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마음챙김이 감사와 용서에 미치는 영향을 타인자비와 자기자비가 각각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개별단계 다중매개모형을 구조모형1로 설정하고, 경쟁모형으로 자기자비가 타인자비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하여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다중단계 다중매개모형을 구조모형2로 설정하였다. 20대부터 50대 남자성인 152명과 여자 성인 203명, 모두 355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을 통해 적합도와 매개효과, 효과의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기자비를 거쳐 타인자비를 매개로 하는 다중단계 다중매개모형이 마음챙김이 감사와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기자비와 타인자비 각각을 매개로 하는 개별단계 다중 매개모형이보다 더 적합하였다. 2. 연구가설1에 대한 결과로 채택된 가설 다중단계 다중매개모형의 적합도는 적절하였다. 3-1. 마음챙김과 감사의 경로에 대해 타인자비와 자기자비는 완전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3-2. 마음챙김과 용서의 경로에 대해 타인자비와 자기자비는 완전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4. 자기자비의 매개효과가 타인자비의 매개효과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최근 연구 동향인 마음챙김과 자비, 긍정심리를 연결하는 심리 구조를 확인하였다는데 있다. 마음챙김이 타인자비, 자기자비를 매개로하여, 감사와 용서에 미치는 심리 구조는 적절하였으며, 자기자비가 타인자비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함으로서, 상담과 심리치료 현장에서 과거의 고통으로부터 어려움을 겪는 내담자들에게 자기자비를 향상시킴으로서 부정적인 정서를 긍정적인 감사와 용서로 대치하기 위한 마음챙김훈련이나 자비명상등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psychological structure for mindfulness, self-compassion, compassion for other, gratitude and forgiveness and to examine mediation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compassion for other on mindfulness to gratitude and forgiveness. 355 adults(152 men, 203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questionary for the study included mindfulness(K-MASS; Kwan&Kim, 2007), ajou four immeasurables scale(AFIS, Park, Kim, 2015), self-compassion scale (K-SCS; Kim et, al. 2008), Korean Appreciation Scale(Noh, Lee, 2012) and Korean forgiveness scale(Oh, 2011). To choose the right structual model, there were two competitive structural model to compare each other base on theories. One model(model1) had paths mindfulness to gratitude, mindfulness to forgiveness and mediation of self–compassion, compassion for other was called by single-step multipul mediation model. Another model(model2) added a path of self-compassion to compassion for other at model1 was called multiple-step multiple mediation. Results showed that model2 had better model fit than model1(the path of self-compassion to compassion for other was significant), and mindfulness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gratitude and forgiveness then completely mediated by self-compassion, compassion for other. Further more, self-compassion was more powerful mediation effector than compassion for other.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mindfulness meditation and compassion meditation benefited to clients in counselling and clinical psychology.
본 연구는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사회불안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고,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사회불안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부부갈등이 사회불안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사실을 통해 부부갈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사회불안과 관련하여 청소년 지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중학교 2곳의 1학년 480명 중 이혼이나 별거와 같은 가족해체를 경험하지 않은 정상가정의 393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 척도(Grych외, CPIC, 1992)와 아동 청소년용 사회불안 척도(문혜신, 2002)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Cronbach a 계수를 산출하였다.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사회불안이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사회불안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은 전반적으로 남,녀 성별과 부모의 학력은 부부갈등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가정의 경제상태가 하류층에서 자녀가 부부갈등을 높이 지각하였다.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부부갈등을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내용에서 높게 지각하였고, 경제상태가 하류층에서 지각된 위협을 높게 지각했다. 아버지 학력은 고졸이하에서 대처효율성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어머니 학력은 대졸이상과 중졸이하에서 내용을 높게 지각하였고 고졸이하에서 대처효율성을 높게 지각하였다. 둘째, 자녀의 사회불안은 전반적으로 남,녀 성별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가정의 경제상태와 부모의 학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사회불안을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회피행동 및 사고와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사회불안과의 관계는 자녀가 부부갈등을 높게 지각할수록 사회불안이 높게 나타났으며, 여자보다 남자가 사회불안이 높게 나타났다. 부부갈등의 하위영역 중에서 삼각관계, 지각된 위협, 대처효율성, 내용, 안정성이 사회불안의 모든 영역과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빈도와 강도는 사회불안과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고, 문제해결은 사회불안의 하위영역 중 거절에 대한 두려움과 비주장성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이 사회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of purpose is described to youth children's perception of marital conflict and social anxiety. So It is important to educational information which teach for youth children. The research range consist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research tool used to CPIC(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 Social anxiety(Korean version of Social Anxiet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data samples are made use of SPSS 14.0. According to organize t-test, Cronbach a, ANOVA, correlation analysis. First, it has sex and parent of education level about insignificant youth children's perception of marital conflict, pointed high perception at low class. And It has more perceptive man better than woman. Second, social anxiety has more generally known man than woman, also fearfulness. Third, It is related to a love triangle, serious three-cornered, self-criticism, efficiency counterplan, intensity, settlement. And solve-problem has related to fearfulness, social avoidance. In conclusion, youth children's perception of marital conflict effect directly to social anxiety.
VR을 활용한 음악치료가 지적장애인의 식사행동수정에 미치는 영향
최보윤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R applied music therapy mediated ‘stories of the situation’ in the feeding behavior modification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The case study objects were consisted of 3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attending daytime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located in Seoul K-district and multiple baseline designs were used between subjects. The initial research period was from May 2nd till May 31th, 2018, 5days a week using baseline and arbitration and observation of the maintenance phase was done on 11th, 12th, 14th of June in a 3 session. The therapist was recommended by three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to observe their eating habits. Since then, the therapist has compiled a list of 13 eating behaviors that 3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can perform and started observing the baseline. Observation and recording was performed with a wide angle camcorder documenting the daily meal time of the 3 client's baseline, arbitration and the maintenance phase. Afterwards the therapist used the event recording to indicate and record the moment at which the target behavior occurred. With the measured data, the 3 client's inter-subject baseline, arbitration and maintenance phases were analysed with the multiple baseline graph. The result revealed that all 3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showed increase in the quantity of the target behavior through music therapy intervention. Subject A performed at average of 3.4 actions out of 13 in the baseline, and 8.3 through the 6-20th arbitration phase and high results of 12 actions through the maintenance phase. Subject B performed at average of 2.2 actions out of 13 in the baseline, and 5.6 through the 9-20th arbitration phase and 10 actions through the maintenance phase. Lastly subject C performed at average of 4.2 actions in the baseline, and 7.3 through the arbitration phase and 11 actions through the maintenance phase. The three subjects performed an average of 3.2 items on the baseline, an average of 7 items in the mediation phase and an average of 11 items in the maintenance phase. The result was that all three people were able to naturally accept therapeutic content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such as repetitive structure of songs and familiar melody, and eventually, by applying the lyrics to the actual situation, increasing the number of target behaviors. So, in this study, the use of music for people with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has led to an opportunity for active learning in their social skills training. 본 연구는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을 활용한 상황이야기 음악치료 중재가 성인지적장애인의 식사행동수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K구에 있는 장애인 주간 보호시설에 다니는 세 명의 성인지적장애인이며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18년 5월 2일부터 5월 31일까지 주 5회 기초선 관찰과 중재를 실시하였다. 이후 6월 11, 12, 14일 총 3회기의 유지단계 관찰을 실시하였다. 치료사는 지적장애인 3명을 의뢰받아 이들의 식사 태도를 관찰하였다. 이후 3명의 지적장애인이 지킬 수 있는 식사태도 13가지 목록을 작성하였고 기초선 관찰을 실시하였다. 관찰은 광각 촬영이 가능한 캠코더를 사용하여 대상자 3명의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까지의 일상 식사시간을 촬영하였다. 그 이후, 촬영된 영상을 보면서 치료사가 목표로 정한 행동의 사건이 일어났을 때 표시하는 사건기록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자료들은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그래프로 기록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를 표기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세 명의 성인지적장애인 모두 음악치료 중재를 통해 목표행동의 개수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대상자 A는 기초선에서 13개 중 평균 3.4개를 수행하였고 6회기부터 20회기까지의 중재기간 동안 평균 8.3개를 수행하였다. 그 후 유지단계인 21회기부터 23회기까지는 12개의 높은 결과를 보였다. 대상자 B는 기초선에서 13개 중 평균 2.2개를 수행하였으며 9회기부터 20회기까지의 중재기간 동안에는 평균 5.6개, 유지단계에서는 총 10개의 항목을 수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대상자 C는, 기초선에서 4.2개를 수행하였고 중재 기간 중 평균 7.3개, 그리고 유지 단계에서는 11개를 수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세 명의 대상자는 기초선에서 평균 3.2개의 항목을 수행하는 모습을 보였고 중재 단계에서는 평균 7개, 유지 단계에서는 평균 11개의 항목을 수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결과는 대상자 세 명 모두 노래의 반복적인 구조, 익숙한 멜로디 등 음악이 주는 특징들을 통하여 치료적 내용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었고 결국, 가사의 내용을 실제 상황에 적용하여 목표행동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지적장애인을 위한 음악의 사용이, 이들의 일상사회기술훈련에 있어 능동적인 학습의 기회를 제공해주며 다감각적 요소를 통해 실제 상황에 대처하는 데 있어 도움을 줄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이처럼 VR을 사용한 상황이야기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성인지적장애인의 식사행동수정에 긍정적이고 효과적인 치료적 중재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