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최민석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In computational linguistics, a corpus is a large and structured set of language samples collected from real world text for a specific purpose. There are be various types of errors in the corpus because most corpus are built manually and/or semi-automatically and the errors are caused by human intervention. Such errors make corpus-based learning systems worse in performance. Many studies have therefore been conducted to detect and correct such errors in various ways and most studies have been done from pre-built corpus. Human intervention is, however, still required. In addition, error correction is not only very tedious as well as laborious and cost-expensiv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detecting corpus errors using GMM clustering algorithm.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detect errors under the small size of corpus. That is,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in developing corpus by integrating into annotation tools. The proposed method consists of three steps. The first step is to make word embedding vectors of some error-prone context. The second step is to reduce the dimension of the vectors because clustering with a large dimension of vectors is time-consuming. The third step is to group the reduced vectors and to detect outliers as errors. For experiments, we have used two kinds of corpora: Korean dependency corpus and Korean semantic role labelling (SRL) corpus of which each one comprises only 1000 sentences. Our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serve as a error detector in early stage of corpus development. Our best results achieve recall of 65.15% for Korean dependency corpus and recall of 69.46% for Korean SRL corpus. In the future, we will do research on representing features for detecting errors and also on correcting errors as well as detecting errors. Motivated by the proposed method, we will start to investigate error detection in case that there is a large tagged corpus. 말뭉치란 특정 목적을 가지고 언어 표본을 추출한 집합을 의미한다. 이런 말뭉치에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대부분의 말뭉치는 사람의 수작업으로 구축되기 때문에 다양한 오류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오류가 포함된 말뭉치를 사용하는 시스템은 좋은 성능을 기대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오류를 탐지하고 수정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방법들이 이미 제작된 말뭉치를 학습하여 오류를 탐지하고 수정한다. 이러한 작업을 여러 번 수행하여야 하며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이 문제를 다소 완화시키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GMM(Gaussian Mixture Model)을 이용한 군집화를 통해 오류 탐지 방법은 제안한다. 군집화는 비지도학습의 한 방법으로 표지가 부착된 학습데이터가 없거나 적더라도 오류 탐지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 제작된 말뭉치가 아니라 말뭉치를 구축하는 과정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으로 수행된 오류 탐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문분석 말뭉치와 의미역 말뭉치를 사용하였다. 성능 평가의 척도는 정보검색에서 널리 사용되는 정밀도와 재현율을 사용하였다. 구문분석 말뭉치와 의미역 말뭉치에서 각각 65.15%와 69.46%의 재현율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제안한 모델을 사용하여 다양한 말뭉치의 오류 탐지를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재현율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자질 확장 등의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말뭉치 구축 도구에 직접 적용하여 제안된 시스템이 얼마나 효율적인지도 평가할 계획이다.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의 부양가족가구 의료비 지출과 의료이용 영향
본 연구는 2013년부터 2019년까지 5개년도 한국 의료패널 조사를 활용하여 과거 정부뿐만 아니라 현 정부에서도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으로 제시하고 있는 4대 중증질환(암, 뇌혈관질환, 심장병 및 희귀난치병 등), 중증 치매, 난임치료, 15세 이하 아동입원비 등 범위를 확대하여 혜택이 주어지는 65세 이상 부모와 15세 이하 아동이 있는 가구를 대상으로 각 소득 수준에 따른 의료비 지출과 의료이용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료의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는 SPSS 23.0, 잠재성장모형 분석은 AMOS 23.0을 이용해 연구대상자의 의료비 지출, 의료이용 등의 선행요인과의 상호관련성 탐색과 가구별 변화와 변화 간 차이를 설명하는 선행요인 분석 및 요인 간 변화와 변화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대상자는 총 3,354명으로, 65세 이상, 15세 이하 부양가족을 가진 건강보험가입자로 구성되어 있다. 분석결과 주요 내용은 총의료비, 외래방문횟수, 외래회당본인부담금은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해당자와 비해당자 총의료비와 외래방문횟수는 모두 증가 추세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외래회당본인부담금의 경우 해당자는 증가하다 감소하였고, 비해당자는 증가 추세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중증질환/중증치매/불임에 따른 총의료비, 외래방문횟수 및 외래회당본인부담금에서도 총의료비 및 외래방문횟수에서는 증가 추세를 보였지만, 외래회당본인부담금은 증가세에서 감소세로 나타났다. 또한, 총의료비는 연구대상 그룹의 경우에서는 t2이후, 비해당자 그룹에서는 꾸준히 증가했으며, 외래회당본인부담금 변동도 연구대상집단에서 t2와 t4에서 다소 감소하였으나,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총의료비, 외래방문횟수, 외래회당본인부담금의 발달궤적 분석에서는 연구대상자 간에 초기치의 개인차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의료비, 외래방문횟수, 외래 회당본인부담금 모두에서 최초값이 적은 대상자는 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반대로 초기값이 높았던 대상자는 보다 낮은 증가율을 보여, 결과적으로 개인차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총의료비의 변화율을 예측하는 변인으로는 결혼경험은 초기치에, 연령, 가구소득, 민간보험 유형, 질환 코드(중증질환/중증 치매/불임) 해당 여부는 초기치와 변화율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래방문횟수의 변화모형에서는 성별은 초기치, 연령, 결혼경험, 경제활동 유무, 경제활동인원수, 질환코드(중증질환/중증치매/불임) 해당 여부는 초기치와 변화율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외래회당본인부담금에 연령은 초기치에, 민간보험 유형은 변화율에, 가구소득은 초기치와 변화율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비, 외래방문횟수, 외래회당본인부담금의 발달궤적 분석에서는 연구대상자 간에 초기치의 개인차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의료비, 외래방문횟수, 외래 회당본인부담금에서 개인차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보험 제도의 정책적 핵심관리 대상인 중증질환 및 보장성 확대 정책의 실질적 혜택이 주어지는 65세 이상, 15세 이하 부양가족을 대상으로 실질적 건강보험 제도의 보장성 확장에 혜택이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현재까지 시행된 건강보험의 보장성 강화정책은 의료비 지출과 의료이용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인부담금 감소에도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건강보험제도의 보장성 확대로 인해 제도의 목적을 어느 정도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의료비 지출과 의료이용의 증가는 국민건강보험의 재정의 한계성을 야기시킬 수 있어 적절한 본인부담과 이에 따른 적정 건강보험율에 대한 논의와 검토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고령화, 소득의 증가,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에 따라 더욱 가파르게 의료비는 증가할 것이다. 의료재정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재원조달 방안에 대해 구체적인 계획이 수립돼야 할 것이다. 주요언어 : 국민건강보험,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 의료비 지출, 의료이용, 한국의료패널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olicy to enhance the coverage of NHI on the expenditure of medical expenses and medical use according to each income level using the five-year Korean medical panel survey from 2013 to 2019. The policy to enhance the coverage of NHI includes four major severe diseases (cancer, cerebrovascular disease, heart disease and rare incurable disease), severe dementia, infertility treatment, and hospitalization for households with dependents over 65 and under 15 years old as suggested by past governments to current government. For this, SPSS 23.0 was used for data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s, and AMOS 23.0 was used for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The interrelationship with the prior factors such as medical expenditure and medical use was investigated, and the anticipant factors explaining the differences of each households and the changes were analyz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nd the changes were analyzed.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included in the analysis was 3,354, and the subjects are NHI subscribers with dependents over 65 and under 15 years old. As a result of analysis, the total medical expenses, the number of outpatient clinic visits, and cost sharing per outpatient clinic visit tended to increase. The total medical expenses and the number of outpatient clinic visits of all subjects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The cost sharing per outpatient visit increased and decreased again in the study group, and the trend of increase in the non-study group was not clear. The total medical expenses and outpatient clinic visits also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in total medical expenses, outpatient clinic visits, and cost sharing per outpatient clinic visit due to severe disease/severe dementia/fertility. However, cost sharing per outpatient clinic visit increased and decreased again. In addition, the total medical expenses increased after t2 in the study group and steadily increased in the non-study group. The outpatient cost sharing fluctuations decreased slightly in the study group at t2 and t4, but showed an overall increase. In addition, in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analysis of total medical expenses, number of outpatient clinic visits, and cost sharing per outpatient clinic visit, individual differences in initial values between the study subjects were distinct. In addition, in the total medical expenses, the number of outpatient clinic visits, and the cost sharing per outpatient clinic visit, the subjects with the smallest initial value showed a high increase rate. Conversely, the subjects with the high initial value showed a low increase rate, resulting in a decrease in individual differences. Finally, as a variable that predicts the rate of change in total medical expenses, the marriage experience had an impact on the initial value. Age, household income, type of private insurance, and disease code (severe disease/severe dementia/infertility) affected both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In the change model of the number of outpatient clinic visits, gender influenced the initial value. Age, marriage experience, economic activity status, number of people in economic activity, and disease code (severe disease/severe dementia/infertility) affected both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Finally, in the cost sharing per outpatient clinic visit, age influenced the initial value. The type of private insurance influenced the rate of change, and household incom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both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In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analysis of medical expenses, number of outpatient clinic visits, and cost sharing per outpatient clinic visit, individual differences in initial values between the study subjects were distinct. It was confirmed that individual differences are reduced in total medical expenses, outpatient clinic visits, and cost sharing per outpatient clinic visit.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whether there are practical benefits for households with dependents aged over 65 and under 15, who are given substantial benefits of coverage enhancing policy, which are the core targets for NHI policy management. The policy to enhance the coverage of NHI implemented so far affects expenditure of medical expenses and medical use, and also contributes to cost reduction. In other words, the expansion of NHI coverage has achieved some of the objectives of the system. However, an increase in expenditure of medical expenses and medical use can lead to financial limitations of the NHI.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and review appropriate cost sharing and appropriate health insurance expenses. With the aging population, increasing incomes, and expanding NHI coverage, medical expenses will increase more rapidly. In order to maintain the continuity of medical finances, specific financing plans should be established. Key Words : NHI, Effect of the Policy to Enhance the Coverage, , Use of Medical Expense, Medical Use, Korea Health Panel
최민석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0 국내석사
전 세계적으로 비정부조직의 활동이 활발해지는 가운데 1980년대 이후 우리 나라에서도 비정부조직이 급성장하고 있다. 보건의료 분야에서 활동하는 단체들은 120여 개에 이른다. 이들은 대개 보건정책, 보건의료서비스, 의료교육 등의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의 보건의료 발전을 위해 비정부조직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전제하에 이들 조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보건의료 분야의 비정부조직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사례연구를 한 결과 크게 회원, 조직, 재정, 사업의 측면에서 각각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재기되었다. 회원의 수가 적고 회원의 참여범위가 제한적이고, 조직의 규모가 적고 체계적이지 못하며 재정이 부족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자연히 그 조직의 본연의 목표달성을 위한 사업의 위축으로 연결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비정부조직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회원확보, 조직구조 개선, 재정확충과 사업활성화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회원의 확보를 위하여 시민들이 공감하는 사명, 비전과 목표의 설정, 회원으로 참여하는 시민들에 대한 참여동기 유발 방안 개발과 적절한 홍보가 필요하다. 조직구조 개선을 위해서는 리더쉽의 확보와 사회저명인사의 참여 유도, 업무분장 체계화와 조직성원들에 대한 적절한 보상이 필요하다. 재정확보를 위해서는 회비의 확보, 후원금 조달 활성화와 기업 참여를 유도, 공공기금의 활용과 수익사업개발이 필요하다. 또,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기부금에 대한 세제상의 유인책을 비롯한 각종 제도적인 개혁이 필요하다. 사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개발, 국제적 비정부조직 및 유사 비정부조직들간의 연대 구축, 종교계, 학계, 연구기관, 언론계와의 연계방안 마련과 시민들의 보건의료 관련 요구에 대한 모니터링 체계구축 등이 필요하다. Since 1980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hereafter 'NGOs') are growing rapidly in Korea, and there are nearly 120 NGOs in health care. These NGOs are working on the problems of health care policy, health care support and health education for the vulnerable social groups like elderly, poor people, and handicapped.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identify these NGOs' activities and their problems to be solved, and also to suggest some ways for activating those organizations on the assumption that their role is very important in national health promotion. By a couple of method including a questionnaire survey to 86 NGOs (30 NGOs responded) and another depth interview survey to 3 NGOs in health care, a few problems in current NGOs were identified in the phases of organization structure, financial aspect, and activities. Most NGOs have problems in that the number and scope of participation as members is too limited to achieve their objectives, and also the financial capacity is too small and make the NGOs' activities shrinking. Here are suggested some ways to solve these problems and activate the NGOs in health care. There are including increase and expansion of the participating members, improvements in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fund raising methods, and so on. To increase the number of participation, NGOs need to develope more socially persuadable mission, vision, and goals, and advertise them effectively. For more fund-raising, the number of member should be increased, more public funds and businessmen induced, and the national tax system reformed. To activate NGOs' programs, some attempts are needed to develop solidarities with international NGOs, religious, academic institutes, and media. And also it's desirable to make monitoring systems to follow up people's needs on the health care problems.
오토캠핑장 관광동기가 만족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성별과 체류기간에 따른 조절효과
국내 오토캠핑장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관광목적지 선택에 있어서 관광객의 욕구와 내부적인 심리적인 요인에 해당하는 일상탈출, 휴식, 휴양 등 사회적 상호작용 등과 관광목적지에 대한 외부적인 상황이나 인식에 대한 매력성에 해당하는 접근성, 편리성, 환경성, 다양성 등 관광동기의 push-pull동기가 오토캠핑장의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를 통해 만족과 삶의 질 관계를 이론적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주요 개념인 오토캠핑장 관광동기, 만족, 삶의 질에 대한 기존 문헌들을 토대로 개념을 정립하고자 한다. 둘째 push-pull동기가 만족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변수의 정의와 측정변수를 선정하고, 셋째 만족과 삶의 질 요인을 구체화시키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관광동기와 만족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 위의 관계에서 만족의 역할을 검증하기 위해 실증분석을 통해 체류기간에 따른 조절효과와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오토캠핑장을 방문한 고객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설문지를 수정 및 보완을 통해 부산 인근의 밀양(3곳)과 김해(2곳), 양산(1곳) 지역의 오토캠핑객들을 대상으로 사이트가 50개 이상, 온라인/오프라인 예약이 가능한 오토캠핑장을 선정하여 오토캠핑 활동을 가장 많이 하는 봄, 여름, 가을의 계절성을 극복하기 위해 1차(여름) 2017년 6월 30일부터 7월 30일 까지, 2차(가을) 9월 1일부터 10월 29일까지 주말을 이용하여 진행하였으며, 응답자가 직접 기입하는 자기기입식 설문방식으로 최종 379부를 가지고 SPSS 22.0와 AMOS 22.0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측정도구의 집중 타당성과 판별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측정하는 도구로 Cronbach's α계수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출된 관측변수와 잠재변수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축, 오토캠핑장 이용 동기가 만족을 통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오토캠핑장의 동기(push동기, pull동기요인)는 만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오토캠핑 활동의 만족이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오토캠핑장의 동기인 push요인과 pull요인이 만족과의 인과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 검증결과, 부분적인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오토캠핑장의 동기인 push동기요인과 pull동기요인이 만족의 인과관계에서 체류기간에 따른 조절효과 검증결과, 체류기간에 따라 부분적인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론적 시사점을 살펴보면 첫째, 오토캠핑장의 체류기간을 1박2일과 2박3일간의 조절변수를 사용함으로서 지자체나 민간사업자들에게 오토캠핑장들이 발전적인 방안 모색과 마케팅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와 향후 진행될 연구에 대한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와, 둘째, 선행연구에서 push요인과 pull요인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있어 왔지만 오토캠핑에 적용시킨 연구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본 연구는 오토캠핑의 관점에서 push요인과 pull요인을 접목하여 상호관련이 있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확인하였다. 실무적 시사점으로 첫째, 오토캠핑활동은 주로 가족단위로 참가하는 오토캠핑 참여자들에게 가치를 느낄 수 있도록 심리적인 즐거움뿐만 아니라 실용적 가치에 해당하는 어린이 편의시설과 참여자를 위한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특별한 이벤트 프로그램 개발 등 다양한 마케팅 방안을 수립해야 만족을 향상시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오토캠핑장 운영사업자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새로운 형태 시설의 오토캠핑장을 개발함에 있어서 실용적인 가치를 보다 더 느낄 수 있도록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시사점을 제안함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연구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본 연구의 표본선정이 부산 근교의 캠핑장 6곳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모집단의 대표성을 지적할 수 있다. 둘째, 오토캠핑의 이용객들은 크게 봄, 여름, 가을에 가족단위로 많은 캠핑활동을 하고 있으며, 또한 최근에는 캠핑용품의 발달로 겨울에도 캠핑활동을 많이 하고 있으나 본 연구의 조사시점이 가을과 여름에 한정되었고, 봄(3월∼5월)과 겨울 계절에 조사를 하지 못한 점.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오토캠핑 이용객의 의사결정과정을 이해하고, 산업적 측면에서 지방자치단체 및 민간사업자가 운영하고 있는 오토캠핑장의 향후 마케팅 방안 및 개발방안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교통카드 솔루션의 제품속성과 서비스품질이 서비스 이용자의 지속사용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product attributes that is internalized in the product and the service quality provided by the company are important elements to consider for a consumer when deciding on which product to purchase and use. Therefore, many companies have contemplated on how to match the product attributes and service qualities with the consumers' interests to continuously use the product, and further on the management strategies to expand the product's market with the utilization of word of mouth marketing. Focusing on the understanding of an individual's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by Davis(1989)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concept of service quality, presented by Parasuraman, Zeithamal & Berry(1985), has been extended to the verific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s satisfaction and re-purchasing intention and thus it has been utilized in diverse academic fields until now, but empirical study that is applied to product attributes in the marketing perspective as an external factor is evidently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n regards to transportation card solution(terminal), verifies the overall route of influence of product attributes and service quality on the consumer's continuance and word of mouth intention, and present an integrated model extended from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order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corporate marketing strategy. For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a survey on Seoul citizens who have had experience of using the transportation card terminal was conducted with 580 final samples being collected, and as the analysis tool, the SPSS and Amos 18.0 were used. As an analytical conclusion, first, the product attributes of the transportation card solution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expectation-confirmation, which is contributed by the simplicity of terminal use and repetition of consumer's behavior. Also, the conclusion can be interpreted that when designing the new product, making the product's attributes complex by including diverse functions showed weaker preferences than a product which concentrated on core functions. Second, for the service qua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ase of use and expectation-confirmation showed to be positive, and among the service qualities, the immediate response of the terminal and the 'responsiveness' in terms of the immediate response capacity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expectation-confirmation while the 'tangibility' which represents the provision of the latest product and convenient environment, had the weakest impact. Third, the perceived ease of use has negative impact on the expectation-confirmation, and the a positive impact on the continuance, and this can be interpreted so that people may consider using the transportation card to be easy and convenient than using cash, but the heightened expectations from the consumers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s not necessarily satisfied. Fourth, it has been identified that expectation-confirmation gives positive impact on continuance, and continuance gives positive impact on word of mouth intention.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attributes and word of mouth intention which was additionally set, showed to have meaningful relationship, and results showed that aesthetics had the greatest influence among the product attributes. Fifth,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expectation-confirmation had mediating effect through the continuance route on the product attributes and service quality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product attribute's impact on perceived ease of use was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the impact of continuance on word of mouth intention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brand awarenes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rticulated as follows. First, the distinguishable product attributes and service quality as a system's characteristic variable of the external characteristic variables, had a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ased on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particular, the fact that the composition concept of the product attributes is significantly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the characteristic variables to consider on top of the exist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 of Davis(1989) which was actively applied and used for extension studie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system utilization. Second, the fact that there were cause-and-effect relationships for the perceived ease of use with the expectation-confirmation and continuance, and the expectation-confirmation with the continuance respectively, corresponds with the results from Bhattacherjee(2001), based on the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that the confirmation of expectation and perceived usefulness ha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intentions for continuance through satisfaction. In particular, in terms of perceived ease of use, the social influence (subjective norm, image, voluntariness) and the cognitive instrumental (job relevance, output quality, result demonstrability, perceived ease of use) were all meaningful with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had influence on intention of use, which supports the results of the extended studies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rom Venkatesh & Davis(2000). For the aspect of data collection, had 51 questions in the survey and used rather diverse measurements, which leaves the questionable limitation that the survey respondents could have answered the questions without sincerity and that the refinement for the measurement items of the service quality was insufficient. Also, in Korea, the transportation card terminal is already widely used. Therefore, the models presen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performing empirical studies on the countries that will adopt the transportation card solution in the future. 제품에 내재되어 있는 제품속성과 기업에서 제공하는 서비스품질은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이다. 그로 인해 기업들은 제품속성과 서비스품질에 관하여 어떻게 하면 소비자의 관심에 일치시켜 제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할 수 있는 가에 대한 고민과 더 나아가 구전 마케팅을 활용한 제품의 시장 확대를 위한 경영전략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Davis(1989)의 기술수용모델은 개인의 정보기술 수용에 대한 행위를 이해하는 것을 초점으로, Parasuraman, Zeithamal & Berry(1985)가 제시한 서비스품질은 고객만족과 재 구매의도에 대한 관계 검증까지 확대되어 현재까지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지만, 외부변수로서 마케팅 관점의 제품속성을 적용한 실증연구들은 극히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통카드 솔루션(단말기)을 대상으로 제품속성과 서비스품질이 소비자의 지속사용과 구전의도에 미치는 전체 경로를 검증하고, 기존 기술수용모델을 확장한 통합적인 모델을 제안하여 기업 마케팅 전략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조방정식 분석을 위해 대한민국 서울에 거주하면서 교통카드 단말기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580부의 표본을 수집하였고, 분석도구로는 SPSS와 Amos 18.0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로서 첫째, 교통카드 솔루션의 제품속성은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기대충족에 부(-)의 영향관계로 나타났는데, 이는 단말기 사용의 단순함과 소비자 행동의 반복성에서 기인한다. 또한, 신제품을 설계할 때는 여러 가지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여 제품속성을 복잡하게 만드는 것 보다는 핵심기능에 집중한 제품들을 출시하는 것이 소비자들에게 더 선호 받을 수 있다는 결과로도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서비스품질은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기대충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품질 중에서 단말기의 즉각 반응과 신속한 반응 능력의 ‘대응성’은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기대충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최신 제품과 편리한 환경을 제공하는 ‘유형성’은 가장 낮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기대충족에 부(-)의 영향을 주고 지속사용은 정(+)의 영향의 결과가 나타났는데, 교통카드를 이용하는 것이 현금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쉬우며 편리하게 느껴지지만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소비자들의 높아진 기대욕구를 반드시 충족하지는 않는다고 해석할 수 있다. 넷째, 기대충족은 지속사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지속사용은 구전의도에 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본 연구에서 추가로 설정된 제품속성과 구전의도의 관계는 유의하였으며, 제품속성에서 심미성이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결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기대충족은 제품속성과 서비스품질에서 지속사용의 경로를 통해 각각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제품속성이 지각된 사용용이성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지속사용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브랜드 인지도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첫째, 외부특성요인 중 시스템의 특성변수로써 구분할 수 있는 제품속성과 서비스품질은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에 인과관계가 성립된다는 사실이다. 특히, 제품속성의 구성개념은 기존 정보시스템 활용분야에서 응용 및 확장 연구로 활발하게 다루어져 왔던 Davis(1989)의 기술수용모델에 새롭게 고려해야 할 특성변수를 제시하였던 점에서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기대충족과 지속사용에, 기대충족은 지속사용에 인과관계가 성립된다는 사실은 Bhattacherjee(2001)가 기대충족 모델을 토대로 기대충족과 지각된 유용성이 만족을 통해서 지속사용의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결과와 일치한다. 특히,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Venkatesh & Davis(2000)의 기술수용모델의 확장 연구에서 사회적 영향(주관적 규범, 이미지, 자발성)과 인지적 도구(직무관련성, 출력품질, 결과증명 가능성, 지각된 사용용이성)가 모두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하고,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자료수집 측면에서 설문지 문항이 51개로 다소 많은 척도가 사용되면서 설문 응답자가 무성의하게 답변을 하였을 수도 있다는 점과 서비스품질의 측정항목에서 정제화가 미흡하였다는 것이 한계점으로 남는다. 아울러 국내에서는 교통카드 단말기가 이미 널리 보급되어 사용하는 제품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설정된 모형은 향후 교통카드 솔루션을 처음 도입하여 사용하는 국가를 대상으로 다양한 실증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직무 소진과 작업 열의가 직무 스트레스관련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 직무 요구-자원 모형을 중심으로
조직은 경제의 글로벌화와 작업장의 다양성 증가 및 정신노동의 증가로 인하여 여러 변화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는 조직 내의 개인이 필수적으로 크고 작은 각종 스트레스에 직면하게 됨을 의미한다. 직무 스트레스는 오늘날 개인 뿐 아니라 조직과 회사에 대해서도 더욱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관리자는 작업장의 스트레스 요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Hobfoll과 Freedy(1993)는 자원 보존(conservation of resources: COR) 모형에서 개인은 자원을 획득하고 유지함으로써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려 한다고 주장했다. 직무 요구-자원 모형에 의하면 작업자에게 부정적이고 역기능적 행동을 하도록 압력을 가하고 긴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앱센티즘(absenteeism)은 일반적으로 일정이 잡힌 작업에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정의되는데, 조직에 다년간 발생시키는 비용과 작업 조정의 지표로서의 상태와 관련해서 오랫동안 연구되어 왔다. 작업장에서 증가하는 앱센티즘은 직무 스트레스의 영향에 비해서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프리젠티즘(presenteeism)은 앱센티즘의 반의어로 또는 개근을 암시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역사적으로 프리젠티즘은 다운사이징과 리스트럭처링이 종업원들로 하여금 고용이나 수입의 상실에 대한 공포에 의해 동기가 부여 되도록 이끄는 경제적 상황과 관련되어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현재의 경제 불안은 프리젠티즘이 증가하는 상황과 맞물려있다. 다운사이징은 심리적 계 약의 파기, 불공정의 지각, 작업 태도의 손상, 그리고 스트레스 관련 질병으로 인한 앱센티즘을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실직의 두려움이나, 결근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직무 설계의 변경, 작업 과부하의 증가, 또는 승진에 대한 경쟁을 증가시키고 헌신에 대한 눈에 보이는 표상을 요구하는 평평해진 조직구조는 앱센티즘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앱센티즘이 감소한,즉 출근이 늘어난 것 중 일부가 사람이 건강이 안좋음에도 불구하고 출근해서 긴 시간을 매우 비생산적인 상태에서 일을 하는 프리젠티즘을 의미함은 명확한 사실이다. 사람들이 아픈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면, 비록 그 증상이 앱센티즘보다 낮은 비용을 발생시킴에도 불구하고 생산성에서 큰 손실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간접비용은 많은 사용자들에게 오랫동안 크게 인식되지 않아 왔다. American Productivity Audit에 의하면 미국에서 이로 인한 총 비용이 년간 1500억 달러를 상회할 것으로 추정된다. 직무 요구는 지속적인 신체적 및 정신적 노력을 필요로 하는 직무의 신체적, 인지적, 그리고 사회적 측면을 포함한다. Demerouti 등(2009)은 높은 수준의 직무 요구가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소진과 프리젠티즘에 영향을 미침을 발견했다. 그들은 요구가 높은 직무를 담당하는 종업원은 높은 수준의 성과를 유지하기 위해 아픔에도 불구하고 출근하려 할 것이라고 추론했다. 그런데 직무 요구-자원 모형의 관점에서 보면 직무 요구로 인한 직무소진을 자율성이나 사회적 지원과 같은 요인이 낮출 수 있다. 즉 직무 자원은 직무 소진을 야기하는 직무 요구의 부정적 효과를 완화하고, 작업 열의를 증가시키며, 궁극적으로 프리젠티즘으로 인한 직무 손실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본 논문은 프리젠티즘을 성과 손실 변수로 채택함으로써 Schaufeli와 Bakker(2004)에 의해 수정된 직무 요구-자원 모형을 확장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첫째, 프리젠티즘을 직무 스트레스와 관련된 것으로 한정하고, 프리젠티즘에 대한 직무 소진과 작업 열의의 영향을 규명한다. 둘째, 작업 열의는 직무 소진의 반대 개념으로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둘 사이에는 아직 개념의 정확한 차별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직무 자원이 스트레스와 관련된 직무 소진에 조절효과를 갖는다면 이는 조절효과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가 된다. 하지만 직무 소진에 대한 조절효과보다는 직접효과가 강하고, 동기부여 과정인 작업열의에 영향을 미친다면 이는 주효과 가설 을 지지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직무 요구-자원 모형의 관점에서 이를 검증한다. 셋째, 프리젠티즘으로 인한 생산성 손실에 대한 영향 요소로서 긍정적 관점의 작업 열의와 부정적 관점의 직무 소진을 함께 검토함으로써 직무요구-자원 모형의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높인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조직의 모습을 더욱 충실히 반영하여 궁극적으로 조직의 유효성을 높이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직무 스트레스와 프리젠티즘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을 포괄적으로 고찰하고, 이에 기초하여 연구 모형과 가설을 설정한 후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절차를 취했다.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설정된 가설은 다음의 문제에 초점이 주어졌다. 첫째, 직무 요구와 직무 자원이 직무 소진에 미치는 영향 둘째, 직무 자원이 작업 열의에 미치는 영향 셋째, 프리젠티즘에 대한 직무 소진과 작업 열의의 영향 위의 사항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도권지역에 근무하는 기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for Windows v22.0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직무 자원은 직무 요구가 직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 1은 부분채택되었다. 직무 자원의 주효과를 지지하는 결과라고도 볼 수 있지만, 완충효과 가설에 입각한다면 다음 두 가지 근거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첫째, 스트레스-지원 특정가설(stressor-support specificity hypothesis)의 관점으로, 직무 자원의 효과는 특정스트레스 상황이 부과하는 적응적 요구에 부합될 때만 나타난다. 둘째, 직무 자원의 효과가 개인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는 연구결과도 있는데, 스트레스 상황에서 직무 자원을 자신의 대처자원으로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능력 면에서 개인 차이가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는 그동안 스트레스-긴장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많은 스트레스 완충변인들을 고려해 왔으나, 스트레스-대처과정을 보다 포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간의 결합효과를 연구할 필요성을 시사해주는 것으로 여겨 진다. 직무 자원은 구성원의 직무 열의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는 채택되었다. 따라서 직무 자원이 작업 열의를 높이게 된다. 구성원으로 하여금 과업을 달성하는 속도, 순서, 그리고 방법을 결정하도록 자율권을 부여하고, 동료로부터 사회적 교환의 전반적 수준에 관련된 유용한 도움을 받고, 상사의 지지를 받게 되면 구성원은 어려움에 직면해도 높은 수준의 에너지로 인내력을 발휘하며, 업무에 열정, 자부심, 도전정신을 보이고, 자신의 업무에 전념하게 된다. 한편 직무 소진과 작업 열의는 직무 스트레스 관련 프리젠티즘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3은 부분채택되었다. 이는 부정적 사건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이 긍정적이거나 중립적인 사건보다 더 큼을 의미하는 결과이다. Taylor(1991)는 부정적인 사건이 중립적 또는 긍정적 사건보다 심리적, 정서적, 인지적, 그리고 행동적 활동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Newsom 등(2003)이 밝힌 바와 같이 부정적 정보나 사건은 적응적 의의를 가지며 더 많은 심리적 각성을 유도하고, 더 많은 인지적 처리를 촉발시키며, 더 큰 중요성을 갖는다. 따라서 프리젠티즘에 대한 직무 소진의 효과가 작업 열의에 비해 더 큼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직무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는 프리젠티즘에 직무자원이 작용하는 기제를 밝히는 데 기여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지금까지의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들은 직무 요구의 역기능적 효과를 직무 자원이 조절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데에 치중되어 왔다. 그러나 앞으로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들은 직무 자원이 작용하는 기본적 기제를 이론화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하며, 이론화된 기제의 경험적 측정이나 정의방법에 대한 개관이 따라야 하고 기본기제가 개인이나 환경변수들에 의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입증해야 한다. 이를 통해 직무 스트레스나 직무 소진에 대한 이해를 더욱 정교화하고 연구 결과의 실천적 의미를 배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점으로 인하여 결과의 해석에 주의해야 한다. 첫째, 직무 스트레스나 직무 소진, 그리고 작업 열의는 개인차 변수와도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직무 요구와 직무 자원이라는 직무 환경 변수에 한정하였다. 이는 직무 요구-자원 모형을 기반으로 했기 때문인데, 다양한 개인차 변수를 고려할 필요성을 간과한 것이다. 둘째, 인간의 생활영역에서 가정생활이나 일반생활에서 경험되는 스트레스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및 가족과 같은 조직 외부인의 지원을 고려하지 못했다. 셋째, 기업의 규모에 따라 직무 소진과 작업 열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기업군에 대한 고려가 포함되어야 한다. 넷째, 주요 변수들이 동일한 설문지에서 동시에 측정되었기 때문에 공통 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다섯째, 비록 시간과 비용 상의 제약 때문이라고는 하나 표본 추출 방법에서 편의적 추출법을 사용하였고, 응답자들의 주관적인 자기응답식 설문자료를 사용함으로써 조사 대상자들의 주관적인 평가치가 그들의 실제적인 지각 수준을 정확히 반영하고 있다는 보장이 없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연구 방법에 있어서 횡단적(cross-sectional) 연구라는 한계점을 갖는다. 스트레스란 스트레스 상황에 직면한 개인이 그 자신의 인적 및 사회적 자원을 활용하여 이에 대처해 나가는 과정이다. 제시된 변수들의 인과적 관계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해 종단적(longitudinal)인 연구가 필요하다. 주제어: 프리젠티즘, 직무 요구, 직무 자원, 직무 소진, 작업 열의, 직무 요구-자원 모형
프라이버시 보호 및 부인방지를 제공하는 택배 시스템 제안
최민석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13 국내석사
최근 택배산업의 성장과 물량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피해 사례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현재 택배서비스 이용 시 피해가 발생하였을 때 책임소재 입증불가 및 사업자의 책임회피로 택배 이용 고객들은 피해보상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다. 특히 운송물 분실 시 택배사업자와 수하인 또는 대리인의 책임소재를 입증할 수 있는 증거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책임이 불명확하고 책임소재 파악을 위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 관련된 증거를 생성, 수집, 유지, 활용, 입증 등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택배 운송장에서 발신자 정보와 수신자 정보를 암호화 및 코드화하여 개인정보를 보호한다. 또한, 피해 사례 발생 시, 정의된 발신 코드 및 수신 코드를 이용하여 발신․배송․수신에 대한 명확하고 신속한 책임 소재 파악이 가능하도록, 효율적이고 안전한 부인방지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우리나라 프로야구 구단의 SNS 활용 마케팅 현황과 전망
현재 한국은 전자제품 시장을 필두로 식품, 의류, 서비스 등 사회 각 분야에서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를 통한 마케팅이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외국의 프로 스포츠 구단이 SNS를 통하여 마케팅을 활발히 진행하는 것에 비하여, 한국 프로 스포츠 구단의 SNS를 통한 마케팅은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프로야구 각 구단은 모기업의 홍보비용만으로 운영되어 매년 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실정으로 마케팅 비용이나 고객 관리비용으로 추가적인 예산 책정을 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반면 SNS를 통한 마케팅은 기존 전통적인 마케팅 채널에 대비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마케팅 실시가 가능할 뿐 아니라 빠른 파급력을 가지고 있고 상대적으로 프로야구에 관심이 많은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하이퍼 타겟팅(Hyper Targeting)이 가능하기 때문에 프로야구 구단에 적합한 마케팅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 프로야구 구단이 현재 진행중인 SNS 마케팅 현황을 확인해 비교적 활발히 운영이 되고 있는 곳과 비교적 운영 잘 되고 있지 않는 곳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각 구단의 SNS 팬페이지를 지속 관찰하여 2011년 평균관중 점유율과 Facebook의 ‘좋아요’ 수치에 따라 높은 점수를 나타낸 삼성라이온스(395.9)와 기아타이거즈(289.7)을 우위 그룹으로 분류하고 낮은 점수를 나타낸 LG트윈스(6.8)와 두산베어스(47.8)를 열세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하여 반응성, 유대감, 정확성, 유용성 등이 SNS 이용 현황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실증을 통하여 반응성, 유대감, 정확성, 유용성과 구단 SNS 팬페이지 만족도와의 관계를 확인하여 보고, 구단 SNS 팬페이지의 만족도가 실제 구장 방문의도에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반응성(.020)을 제외한 유대감(.223), 정확성(.154), 유용성(.520)은 구단 SNS 팬페이지 이용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유용성은 구단 SNS 팬페이지 이용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구단 SNS 팬페이지 이용만족도(.505)는 실제 관람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시멘트공장 및 석회석광산 주변주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폐기능 손상
최민석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 국내석사
국문요약 시멘트공장 및 석회석광산 주변지역 주민들의 폐기능 손상 최 민 석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과학과 (지도교수: 최재욱, M.D., Ph.D) 목적: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공장 및 석회석광산이 운영되어 온 주변지역 주민들과 비노출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폐기능 검사를 실시하여 시멘트 공장 및 석회석광산 주변지역 거주주민들의 건강영향을 평가하고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12년 시멘트 공장 및 광산주변지역 4 km이내에 거주하는 주민 722명과 시멘트 공장으로부터 약 10 km이상 떨어진 지역의 40세 이상 주민 1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12년 7월부터 8월까지 폐활량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검사가 끝난 피험자를 대상으로 미국 흉부학회(American Thracic Society)권고안에 따라 유효성판정을 실시하였다. 폐활량 검사 시작 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검사자가 직접 면접 조사를 시행하였다. 지역별 폐기능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환기기능 장애 발생현황을 비교하고, 각 지역별 FVC(forced vital capacity), FEV1(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FVC ratio 결과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은 SPSS version 21.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사용하였다. 결과: 환기기능장애 발병유무를 종속변수로 하여 성별, 연령, 직업력, 흡연력을 보정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광산지역 주민들의 환기기능장애 발생위험이 비노출군 지역에 비해 aadjusted odds ratio(aOR) 값이 2.48(95% CI (Confidence Interval):1.03-6.01)로 다른 집단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연령의 경우, 40대에 비해 70대의 crude odds ratio(cOR) 값이 4.36(95% CI: 1.01-18.83)으로 높았으며, 여자보다는 남자에게서 그 위험이 4.07(95% CI: 2.48-6.70)으로 높았다. 폐기능검사 결과 FVC, FEV1, FEV1/FVC ratio의 경우 광산지역의 주민들이 다른 집단에 비해 폐기능이 저하되어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시멘트 공장 주변지역 또는, 오염원이 없는 일반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에 비해 석회석광산 주변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 환기기능장애 발생위험이 더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폐기능을 저하시키는 요인 중 하나가 광산지역과 같은 거주지역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