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ICT 활용 현황과 과제

        최미정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학교급별 및 정보화 관련 자격증 소지 유무에 따른 특수학급 담당 교사의 ICT 활용의 실태, 인식,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대구시 초․중등 특수학급 담당교사 128명(초등 65명, 중등 6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교사는 수업 시간에 주로 활용하는 ICT 자료로는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고, 교육용 웹사이트 중에 초․중등 모두 손오공을 가장 많이 활용하나, 2순위에서 초등 교사는 아이스크림을, 중등교사는 에듀넷을 선택하여 집단 간 차이를 보인다. 정보관련 자격증을 소지한 교사는 자격증이 없는 교사보다 더 자주 ICT 활용 수업을 하였다. ICT 활용을 가장 많이 하는 교과로 초등교사는 국어, 중등 교사는 진로직업 교육이다. ICT 활용 실시 방법으로 초등 교사는 IEP와 관계된 수업자료의 활용을 선호하나 중등 교사는 쉽게 수정, 가공하여 활용하는 수업을 선호하였다. 둘째, ICT 관련자격증 유무와 상관없이 대부분의 교사는 ICT의 중요성과 활용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학교 교장들은 ICT의 중요성과 교육에서의 지원을 강조하였다. 대부분의 교사는 ICT 활용성에서 중간단계 정도의 점수를 부여하였다. ICT를 활용한 수업을 하는 이유는 동기유발과 주의집중의 지속이었다. 셋째, 초․중등 특수학급 담당 교사의 ICT 활용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학생 측면에서의 ICT 활용의 문제점으로는 초등 교사는 ‘학생의 ICT 활용 능력 부족’과 ‘학생의 ICT 활용 능력의 개인차’였다. 중등 교사는 ‘학생의 ICT 활용 능력의 개인차’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개인의 교육적 욕구에 맞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부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ICT를 활용한 교육과정을 활용함으로써 개인의 교육적 욕구에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 앞으로 더 많은 교사 교육, 교수 자료와 전략 개발 및 사례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초․중등 특수학급 담당 교사의 ICT 활용에 대한 개선 방안을 분석한 결과, ICT 활용을 위한 제도적 지원으로는 연수 강화 및 자료 제공이 요구되었으며 학습자료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자료의 형태로는 문제해결형이 가장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사회연령과 교육중점이 다른 중등 교육의 ICT 활용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해서는 중등에 특화된 인터넷 자료의 개발이 요구되며, 교사측면에서는 ICT 활용 교육에 익숙하지 않은 교사들을 위한 지원과 교사 교육의 강화가 요구된다. 또한 개인간의 능력차와 개인내차를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형태를 고려한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가장 중요한 이슈는 중등 특수학급 학생들을 위한 특화된 자료의 개발과 지원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ICT use, teachers’ perceptions,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ment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128 special education teachers by mail working a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Daegu. It consisted of items including domains of current state of utilizing ICT, teachers’ perception about using ICT,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teachers prefer using web based teaching materials. The most frequently used site is Son-o-gong. Concerning secondary used si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hoose the IceCream site while middle school teachers usually use Edunet. Teachers who have certificates more frequently use ICT in class than teachers without certificates.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efer teaching Korean while secondary school teachers prefer teaching vocational skills. About their methods,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efer IEP-connected teaching material, and secondary school teacher prefer materials, which can be easily modified. Second, most teachers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need of making use of ICT regardless of having ICT connected certification. Also most school principal even stress the importance and support ICT use in education. The teachers rated the usability of ICT teaching materials in the middle range. The main reason to use ICT material is motivation and increased attention. Third, regarding the limitations of using ICT, elementary school teachers feel that the problems are the students’ lack of utilizing ability and the difference in utilizing abilities between students. Secondary school teachers are only concerned with the difference in utilizing abilities between students. There is a lack of hardware and software which can meet personal needs. Also, an ICT utilizing curriculum which can meet individuals’ needs is necessary. More teacher training, teaching materials, developing of strategy, and case studies are needed. Fourth, to utilize ICT, teachers need to take more training about making teaching materials. The most in-need software is one that can help with problem-solving. Basis on this conclusion, the suggestions were as follow. Regarding the difference of social age, experience, interests, and educational goals, development of more teaching materials which can satisfy secondary school students’ needs is necessary. More training programs should be provided for teachers who are not accustomed to ICT materials. Software should be developed which helps reflect interpersonal ability. Systemic support is needed, in the form of software which considers personal ability difference. Finally, the most important issue is providing teaching material that is specifically geared towards secondary student traits.

      • 중개 거래특성이 아파트 분양권 거래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미정 영산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used as analysis data the articles for which apartment pre-sale contracts were concluded from January 2018 to July 2023 through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actual transaction price disclosure system. We would like to find out what factors affect the transaction price of pre-sale apartments, unlike the pre-sale price of apartment pre-sale rights, targeting 25 districts in the entire Seoul metropolitan area. In addition, through transaction type data, we aim to empirically present the factors that influence brokerage transaction characteristics on the transaction price of apartment pre-sale rights through direct transactions, brokerage transactions (brokerage transaction type), and information on the brokerage area of brokerag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 brokerage transaction type (direct transaction, brokerage transaction), brokerage area (same autonomous district, other autonomous district), contract year, exclusive area, transaction floor, adjacent road width, total number of households, number of parking spaces per household, number of highest floors, br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setting the variables of use area, subway station distance, elementary school distance, park distance, supermarket distance, department store distance, and autonomous distri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were brokerage transaction type, brokerage area, exclusive area, adjacent road width, total number of households, number of parking units per household, number of highest floors, brand, use area, subway station distance, elementary school distance, supermarket distance, department store distance, and autonomous district, appeared to be the contract yea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action floor and the park was found to b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type of brokerage transaction, which is a key variable, the transaction amount per unit area was higher as the direct transaction was higher, and the transaction amount per unit area was lower in the brokerage area in the same area than in other areas. This analysis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re was a lack of data on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of apartments in Seoul because no pre-sale rights were traded due to strong real estate regulations. In addition, in the case of direct transactions, the transaction type data has been disclosed only for transactions since November 2021, so it seems that sufficient data has not been based on it. Therefore, in the future, when real estate regulations are relaxed, the economy improves, and pre-sale rights transactions become active, follow-up research will be needed by accumulating more transaction type information data. 중개 거래특성이 아파트 분양권 거래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미정 영산대학교 부동산대학원 부동산전공 지도교수 송선주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통하여 2018년 1월부터 2023년 7월 까지 아파트 분양권 계약이 체결된 물건들을 분석 데이터로 사용하였고, 서울특별시 전 권역인 25개 구 대상으로 아파트 분양권이 분양가격과는 달리, 분양된 아파트 분양 권의 거래가격이 어떤 요인들에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거래유형 데이터를 통해 직거래와 중개거래(중개거래유형), 중개거래의 중개지역 정보를 통해 중개 거래특성이 아파트 분양권 거래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 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다중회귀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단위면적당 거래금액을 종속변수로 하였다. 독립 변수로는 중개거래유형(직거래, 중개거래), 중개지역(동일자치구, 타 자치구), 계약년 도, 전용면적, 거래 층, 접면도로폭, 총 세대수, 세대당 주차대수, 최고층수, 브랜드, 용도지역, 지하철역거리, 초등학교거리, 공원거리, 마트거리, 백화점거리, 자치구 변 수를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중개거래유형, 중개지역, 전용면적, 접면도로 폭, 총 세대수, 세대당 주차대수, 최고층수, 브랜드, 용도지역, 지하철역거리, 초등학 교거리, 마트거리, 백화점거리, 자치구, 계약년도로 나타났다. 그리고 거래 층과 공원 거리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 변수인 중개거래유형에서 직거래가 단위면적당 거래금액이 더 높게 나왔고, 중개지역은 타 지역중개보다 동일지역중개가 더 낮게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서울시 아파트 분양권이 강력한 부동산 규제로 인하여 분양권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분양권 실거래가 자료가 부족하였다. 또 한, 직거래인 경우는 거래유형 데이터가 2021년 11월 이후 거래분에 대해서만 공개되 어서 충분한 자료가 바탕이 되지 못한 것 같다. 그래서 향후 부동산 규제가 완화되고 경기가 좋아지고 분양권 거래가 활발할 때, 거래유형 정보데이터를 더 많이 축적하 여 향후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Betaine 생성반응에서 Triphenylphosphine의 치환기 효과

        최미정 동아대학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47

        Mitsunobu 반응 중 1,1'-(azodicarbonyl)dipiperidine과 m-위치와 p-위치에 치환기를 갖는 triphenylphosphine과의 반응으로부터 중간체의 확인과 반응 메카니즘을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1'-(Azodi-carbonyl)dipiperidine과 p-substituted triphenylphosphine의 반응 몰 비를 각각 1:1, 1:2, 1:5로 변화 시켰을 때 EPR스펙트럼은 농도 변화에 관계없이 각각 3462G, 3487G 및 3494G에서 나타났다. 1,1'-(Azodi-carbonyl)dipiperidine과 p-substituted triphenylphosphine이 반응할 때 치환 triphenylphosphine의 인 원자에 있는 비워 있는 궤도함수에 있는 두개의 전자중 한개가 ADP의 질소 원자로 이동하여 양이온 라디칼, Ph_(3)p^(+·)가 생성되는 동시에 1,1'-(azodicarbonyl)dipiperidine의 아조기에 한개의 전자가 첨가된 후 생성된 음이온 라디칼, -N·-N--이 생성되었다. 1,1'-(Azodicarbonyl)dipiperidine과 p-substituted triphenylphosphine의 반응몰 비가 1:1, → 1:2 → 1:5로 증가할수록 EPR의 스펙트럼의 피이크 크기가 작아졌다. 이것은 1,1'-(Azodicarbonyl)dipiperidine에 반응하는 p-substituted triphenylphosphine의 양이 당량비 이상일 때 양이온 라디칼의 생성이 방해되어 중성의 Ph_(3)P가 음이온 라디칼의 생성을 억제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었다. 1,1'-(Azodicarbonyl)dipiperidine과 p-substituted triphenylphosphine과의 반응을 반응속도론적으로 연구한 결과에 의하면 p-substituted triphenylphophine의 치환기가 전자받게기에서 전자주게기로 갈수록 속도상수가 증가하였다. 전이상태에서 p-substituted triphenylphosphine의 반응중심원자인 인(P)원자가 친핵체로 작용하여 1,1'-(azodicarbonyl)dipiperidine의 반응중심원자인 질소원자에 전자를 공급한 후 1,1'-(azodicarbonyl)dipiperidine의 아조기는 일시적으로 음(-)하전이 증가된 전이상태를 나타내었다. The reaction intermediates are investigated for the reactions of 1, 1'-(azodicarbonyl)dipiperidine with m-, and p-substituted triphenylphosphine and their reaction mechanisms are also studied using kinetic method. The EPR spectra show at 3462G, 3487G and 3494G invariably at any concentration even though the reaction molar ratio of 1, l'-(azodicarbonyl) dipiperidine and p-substituted triphenylphosphine is changed to 1:1, 1:2 and 1:5. The cation radical, Ph_(3)P^(+·) and the anion radical, -N-N- are produced during the reaction of 1, 1'-(azodicarbonyl)dipiperidine and p- substituted triphenylphosphine occurs. The cation radical is formed through the process which one electron among two electrons in the vacant orbital of phosphorus moves to the nitrogen atom of ADP. The anion radical is formed that after one electron is added to the azo radical of 1, l'-(azodicarbonyl)dipiperidine. The intensity of the EPR spectra becomes smaller increasing with the molar ratio of 1,1'-(azodicarbonyl)dipiperidine and p-substituted triphenylphosphine 1:1 → 1:2 → 1:5. This phenomenon is caused by that the process of the cation radical forming is interfered and then the forming reaction of the anion radical is retarded concurrently. The reaction rate constants reveal higher from moving the electron withdrawing group to electron donating group of the substituents of p-substituted triphenylphosphine in the reaction of 1,I'-(azodicarbonyl)dipiperidine with triphenylphosphine. The transition state is in accord with which the structure of electron density is developed at the nitrogen atom of azo group, while the positive charge is developed at the phosphorous atom of triphenylphosphine.

      • 초등학생과 담임교사의 상담역할수행 지각의 차이와 관계만족도

        최미정 진주교육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경상남도의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상담자로서의 역할수행에 대한 교사와 아동지각을 조사 분석하고 교사와 아동의 자각 차이에서 오는 관계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상담자로서의 역할수행지각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학생의 담임교사 상담자 역할수행에대한 지각은 어떠한가? 셋째, 담임교사의 상담자역할수행지각이 긍정적인 학생과 부정적인 학생 집단의 관계만족도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경상남도의 초등학교 5․6학년생 222명, 표집 학생의 담임 45명 표집 하였다. 검사 도구는 담임교사의 상담자로서의 역할수행지각과 아동의 역할수행지각 설문지 및 교사-학생 관계만족도 검사(TPRI)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상담자 역할수행에 대한 자기지각은 평균 3.70으로 긍정적이었으며, 하위 요인 중에서는 성격역할 가장 긍정적이었고 성문제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담임교사의 상담자 역할 수행에 대한 학생의 지각 정도를 보면, 전체 상담자 역할수행에 대한 담임교사 역할수행지각은 평균 3.69로 긍정적이었으며, 교사와 마찬가지로 하위 요인 중에서는 학습문제면에서의 상담자 역할수행에지각이 가장 긍정적이었고 성문제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성별에 따른 역할수행지각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셋째, 교사-학생 만족도는 모든 면에서 교사의 자기지각보다 긍정적으로 지각한 학생집단이 부정적으로 지각한 학생집단보다 교사-학생 관계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와 학생과의 역할수행지각 차이를 줄이기 위한 방법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것을 실천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그 예로 교사의 개인적인 노력 외에도 선행연구에서 꾸준히 지적되었던 담임교사가 상담활동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적극적인 재정적, 행정적 뒷받침, 교사에게 전문적인 자질을 갖출 수 있는 상담 연수를 실시, 학교상담의 활성화, 학생들이 상담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상담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는 적극적인 홍보 등이 있을 것이다. 이것은 상담에서 상담자와 내담자의 신뢰감과 이해공감, 레포형성이 등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 번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변인 중에 하나는 바로 각 학급의 교사이다. 보다 일반화 되고 신뢰할만한 연구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교사라는 독립변인을 연령, 지도유형, 성품, 성격유형 등과 같은 모든 요소를 비교적 동일한 집단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와의 관계만족도가 낮은 아동들이 교사와 어떻게 관계를 맺으며 여기에 따라서 교사와의 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과 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유아 특별활동 강사의 직무특성과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미정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 특별활동 강사의 직무특성과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직무특성과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 특별활동 강사의 직무특성, 자기효능감, 조직몰입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 특별활동 강사의 직무특성과 자기효능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유아 특별활동 강사의 직무특성과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2021년 7월 19일부터 9월 12일까지 서울과 경기도 지역(수원, 안산, 안양, 용인, 화성)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서 특별활동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유아 특별활동 강사 298명을 최종 선정하였다. 유아 특별활동 강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4가지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첫째, 직무특성은 Hackman과 Oldham(1975)이 개발하고 고동섭(2017)의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둘째, 자기효능감 측정도구는 국내에서 김아영과 차정은(1996)이 한국 상황에 맞게 개발하고 조형훈(2021)의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셋째, 조직몰입은 Allen과 Meyer(1990)가 개발하고 이상윤(2019)의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넷째, 직무만족도는 Bloom(1989)이 개발하고 이혜경(2017)의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 24.0과 AMOS 2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하였고, 신뢰도(Cronbach’s α)검사를 실시하여 측정문항의 예측 가능성, 정확성 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직무특성,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직무만족도 양상과 변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변인간의 평균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하였다. 측정문항과 잠재변인 간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해 모형적합도, 개념타당도,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직무특성과 자기효능감이 조직몰입을 매개로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구조경로분석을 하였다.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과 소벨테스트(sobel-test)를 사용함으로써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특별활동 강사의 직무특성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고, 조직몰입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둘째, 유아 특별활동 강사의 직무특성과 자기효능감은 각각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유아 특별활동 강사의 조직몰입을 매개로 직무특성이 직무만족도로 가는 경로는 유의하여 조직몰입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로 가는 경로에서도 조직몰입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직무특성과 조직몰입이 유아 특별활동 강사의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조직몰입이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서 완전매개 변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은 이 세가지 변인들 사이에 인과관계를 새롭게 밝혔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유아 특별활동 강사의 직무만족도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직무특성을 신장하여 조직몰입을 증대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유아 특별활동 강사의 자기효능감은 비록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조직몰입을 통해 직무만족도를 증대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유아 특별활동 강사의 조직몰입을 향상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관리 방안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regard to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and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an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related variables among early childhood extra-curricular activity teacher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and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among early childhood extra-curricular activity teachers?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the job characteristics and self-efficac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early childhood extra-curricular activity teachers? Third, what ar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regard to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and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among early childhood extra-curricular activity teacher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298 early childhood extra-curricular activity teachers who were teaching 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Suwon, Hwaseong, Yongin, Pyeongtaek, Ansan, Anyang, Gunpo, Gwangmyeong, Seongnam). Four measurement tools were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extra-curricular activity teachers. First, for job characteristics, a measurement tool based on the job characteristics theory of Hackman and Oldham (1975, 1976), applied later in the study of Dong-seop Koh (2017), was utilized. Second, the self-efficacy measurement tool developed in Korea, by Ah-Young Kim and Jeong-Eun Cha (1996), modified to suit the Korean education environment by A-Young Kim (1997), and applied in the study of Young-Hoon Cho (2021), was utilized. Thir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measured using the measurement tool applied in the study of Lee Sang-yoon (2019). Fourth, to measure job satisfaction, the measurement tool used in the study of Hyekyung Lee (2017) was utilized as it was based on the job satisfaction variables by Bloom (198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for Win. 24.0 and AMOS 24.0.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reliability (Cronbach's α) test was performed to confirm predictability and accuracy of measurement items. In addition,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of job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etween measurement items and latent variables, model fit, concept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confirmed. Lastly, structural path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and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as a medium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confirm the mediational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al effect was confirmed by using bootstrapping and Soberl-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job characteristic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but self-efficac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job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job characteristics and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the partial mediational effects on job characteristics in the path to job satisfaction throug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the full significant mediational effects in the path that self-efficacy leads to job satisfaction through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ve direc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mong early childhood extra-curricular activity teachers. The fact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acts as a fully mediating variable i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has academic significance as it newly reveal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three variables. Also,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verified as a partial mediating variable in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plays an important mediating role in enhancing the job satisfaction of the early childhood extra-curricular activity teachers. Therefore, in relation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management plan to increas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arly childhood extra-curricular activity

      • 어머니와 함께하는 감각놀이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어머니-유아의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미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An Infancy is important period for forming holistic development of body, emotion and sense etc. An educators have been reported that children in early development can quickly obtain information by environmental experience. Especially, supporting a proper environment is essential for an infancy because infant and children hav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through experience by a first contacted circumstance. The support in early development is offered from their family. Infants usually have various experiences through play and form social relationships. In other words, play is one of the most natural and efficient ways of teaching. Play also has an important meaning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In the cas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sensory sensitivity or delayed development may cause difficulties in play attempts and interaction with others. Thus, the research developed a sensory play program with mother.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Sensory Play Program with Mothers’ affect mothers’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mother-child interactions in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Sensory play programs were developed by analyzing kindergarten curriculum and referring to prior study. The program organized activities into three areas: play using the body, play using everyday objects, and play using food materials. The researchers planned play activities that reflect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disabled children and conducted programs in small group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nine pairs of development-delayed infants and mothers aged between 2 and 4 who attend kindergarten, daycare centers and special schools in Seoul.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lace of residence of the participant and the institution where the infant was attending. The two groups were given 12 sessions each, including orientation and completion ceremonies. In addition, three interviews were conducted individually for mothers. In addition, the researcher interviewed the mother three times individually. The sensory play program consisted of guiding, presenting, exploring, playing, extending and organizing. After each play activity, play materials were sent to households so that families could play together. After each play activity, the researchers provided discussion time among participants so that they could share their impressions and information about their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ecreas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was found in mother’s parenting stress who participated in the sensory play program.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mother’s parenting efficacy who participated in the sensory play program.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mother-child interactions who participated in the sensory play program. This program is meaningful in that the mother of a child with development delayed has developed a sensory play program that can be easily played with her children in the home and learned how to interact positively with child. In addition, this program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supported sensory play program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 delayed and their families and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mother-child relationship. 유아기는 신체, 정서, 감각 등의 전인적 발달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교육학자들은 흔히 유아기를 스펀지에 비유하며 발달초기 유아들이 환경적 경험에 의해 습득된 정보를 빠르게 흡수한다고 서술한다. 특히, 유아기는 자신이 처음으로 접하게 되는 환경에서의 경험을 통해 사회 및 정서적 발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아에게 적절한 환경적 지원을 제공하는 것은 중요하다. 발달의 초기에 이러한 지원은 유아에게 가장 밀접한 가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유아들은 놀이를 통해 다양한 경험을 얻고 사회적 관계를 형성해 나간다. 유아는 놀면서 성장하고 배우기 때문에 놀이 자체는 유아들의 삶 그 자체를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자신을 표현하고 배우는 가장 자연스럽고 효율적인 교육 방식 가운데 하나가 놀이이므로 유아 시절 경험과 학습은 주로 놀이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놀이는 발달지체유아에게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데 발달지체유아의 경우 자신이 가진 장애 특성으로 감각적 예민함을 보이거나 신체, 사회 등의 영역에서 지연된 발달로 놀이 시도 및 참여시간이 낮을 수 있고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에 있어서도 특이성이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와 함께하는 감각놀이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를 자녀와의 놀이 방법 및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발달지체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제공한 뒤, 감각놀이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어머니와 유아의 상호작용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감각놀이프로그램은 유치원교육과정(만 3세 누리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신체를 활용한 놀이, 일상생활 사물을 활용한 놀이, 식재료를 활용한 놀이의 세 가지 영역으로 감각놀이 활동을 구성한 것이다. 사전면담을 통해 발달지체유아의 감각적 특성이 반영된 놀이 활동을 계획하고 소그룹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회기 중 개별면담을 3회 포함하여 발달지체유아의 어머니가 필요한 피드백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특별시 소재 유치원 특수학급, 어린이집, 특수학교에 다니는 만 2-4세 발달지체유아와 어머니 9쌍이다. 참여자의 주거지 및 유아가 다니고 있는 기관에 따라 참여자를 두 그룹으로 구성하여 한 그룹은 ㄷ육아종합지원센터 소강당에서, 나머지 한 그룹은 ㄱ특수학교 교실에서 프로그램이 실시되었다. 감각놀이프로그램은 제3차 표준보육과정의 탐색 및 놀이 교수 단계를 참고하여 안내하기, 제시하기, 탐색하기, 놀이하기, 놀이 확장하기, 정리하기의 순서로 진행되었으며, 매 회기별 활동 후 가정연계 자료를 가정으로 배부하여 가족이 함께 가정에서 습득한 놀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회기가 끝난 후 연구자는 참여 어머니 간의 교류시간을 제공하여 활동에 대한 소감 및 양육정보를 나눌 수 있도록 하였다. 어머니와 함께하는 감각놀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은 양육스트레스 척도(Parenting Stress Index: PSI)와 양육효능감(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PSO) 검사지를 사용하여 사전-사후검사의 차이에 대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어머니와 유아의 상호작용행동은 어머니행동 평정척도(K-MBRS)와 아동행동 평정척도 (K-CBRS)를 사용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점수에 대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세 종속변인 모두 참여 어머니와 유아의 개별적인 점수의 변화를 막대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어머니와 함께하는 감각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와 함께하는 감각놀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총점은 프로그램 참여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하위영역인 ‘아동영역’과 ‘부모영역’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와 함께하는 감각놀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총점은 프로그램 참여에 따라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하위영역인 ‘인지적 차원’과 ‘정서적 차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와 함께하는 감각놀이에 참여한 어머니의 상호작용 행동의 총점은 프로그램 참여에 따라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모든 하위 요인(반응성, 효율성, 지시성 행동)에서도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어머니와 함께하는 감각놀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 상호작용 행동도 프로그램 참여에 따라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모든 하위요인(활동적, 사회적 행동)에서도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어머니와 함께하는 감각놀이 프로그램은 발달지체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양육효능감을 증진시키며 어머니-유아의 상호작용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본 프로그램은 발달지체유아의 어머니가 가정에서 쉽게 자녀와 실시할 수 있는 감각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점, 참여 유아의 개별적 감각 특성을 고려하여 놀이 프로그램을 구성한 점, 어머니가 자녀와 함께 감각놀이 활동에서 긍정적인 상호작용 방법을 익힐 수 있었다는 점, 가정연계 자료를 배부하여 가정에서 가족이 함께 감각놀이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던 점, 개별면담과 모바일 앱을 통해 활동에 대한 피드백을 실시하여 개별 어머니의 놀이 활동의 일반화를 촉진시켰던 점, 발달지체유아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감각놀이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어머니와 유아의 관계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확률적 지배 검정법을 이용한 중하위 소득 계층의 후생 변화 비교 분석

        최미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의 중·하위 소득 계층의 후생 변화를 살피는 것으로서 제한된 확률적 지배 검정법을 응용하여 위기 전후의 후생변화를 검정하였다. 확률적 지배 관계는 경제주체의 합리적 행동에 대한 필요조건을 제시한 것에서부터 시작된 이론으로 두 비교 대상에 대하여 약한 선호(weak preference)를 반영해준다. 따라서 재무 경제학에서는 불확실성 하 포트폴리오 선택에 응용되고, 빈곤을 다루는 후생경제학에서는 시점이나 지역 간의 빈곤위계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후생경제학에 접목하면 합리적 빈곤선을 설정할 때 그 아래 영역에서의 확률적 지배 관계는 절대적 빈곤 위계와 같으며 이는 다시 후생 위계와 동일하게 된다. 제한된 확률적 지배 관계를 검정하기 위해 본 연구는 Kolmogorov-Smirnov type의 sup-통계량을 사용하였고 적절한 빈곤선 수준은 두 비교년도의 결합된자료(combined sample)로부터 얻어진 경험적 분위수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통계적 추론을 위하여 부츠트랩 방식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정하였다.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2006-2007년, 2010-2011년의 원자료를 사용하였고 먼저 2006년과 2010년을 비교했으며 위계 관계가 일관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2007년과 2011년을 다시 비교했다. 또한 금융위기 전후의 위계관계가 다른 사회적 현상이나 인구학적 특성변화에 기인한 것인지 구별하기 위해 보다 더 사회현상과 관련이 깊은 노인, 모자, 맞벌이 가구를 제외하고 일반가구를 대상으로 다시 검정하였다. 연구 결과, 금융 위기 전 해의 중·하위 소득분포가 위기 후의 것을 확률적 지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6년과 2010년을 비교했을 때, 하위 30%소득 분위수까지 2006년의 중·하위 소득 분포가 2010년의 것을 1차 확률적 지배하였다. 2차와 3차에 대해서는 하위 50% 소득 분위수까지 확장된 지배 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2007년과 2011년의 비교에서는 2007년의 중·하위 소득 분포가 하위 40% 소득 분위수까지 2011년의 것을 1차 확률적 지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위기 전의 중·하위 소득 분포가 위기 후의 것을 확률적 지배하므로 적어도 위기 전의 절대적 빈곤정도가 위기 후와 같거나 작은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중·하위 소득계층의 후생정도가 위기 후 최대한 위기 전과 동일하거나 더 악화되었음을 시사한다. 다음으로 노인, 모자, 맞벌이 가구를 제외한 일반가구만을 대상으로 재검정했을 때에는 2006년과 2010년, 2007년과 2011년 두 비교에서 모두 중위소득 값까지 모든 차수에서 위기 전 해의 중·하위 소득 분포가 위기 후를 확률적 지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하위 소득 계층의 후생 변화가 사회적 특성 변화보다도 경제위기 전후의 일반적 현상임을 시사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changes of social welfare of the middle and low income families after the recent global financial crisis using restricted stochastic dominance tests. Stochastic dominance concept was introduced to characterize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optimizing behavior of the decision maker. It is used to rank over two comparable alternatives by reflecting weak preference. Therefore, it has become a tool in the financial analysis of two portfolios under uncertainty and is also used to order the overall poverty level of two different segments of a population in welfare economics. Especially in poverty comparisons, the absolute poverty ordering corresponds to social welfare ordering under an appropriate poverty line. This study uses Kolmogorov-Smirnov type test statistics to test restricted stochastic dominance and sets the poverty lines to be the empirical percentiles of combined sample of two different years of incomes. And this study follows bootstrap method for the statistical inferences. The data comes from KOSTAT for the years 2006-2007, 2010-2011. First, income distribution of year 2006 is compared with year of 2010 and the comparison of 2007 with 2011 is followed to see the ordering is robust to previous one. Further, the comparison is tested except some particular families―elderly, female-headed, and dual-earner households―to see the financial crisis effect more clearly. If the significant result is due to the increase of some particular families from the changes in social structure, then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be interpreted differently. It is found that middle and low income distributions before crisis stochastically dominate the income distributions after crisis. For the comparison of 2006/2010, income distribution of 2006 stochastically dominates the 2010 income distribution at the first order up to the bottom 30% level. And the dominance is extended to the bottom 50% level at higher order stochastic dominance tests. Similar results arise for the tests of 2007/2011 comparison. The year of 2007 income distribution stochastically dominates 2011 income distribution at the first order up to the bottom 40% level. Overall,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level of absolute poverty is increased after the crisis and this can be viewed as welfare loss. And the similar results were found after controlling elderly, female-headed, and dual-earner households. The two comparisons(2006/2010, 2007/2011) both showed that the income distributions before crisis stochastically dominate after crisis income distributions at every order up to the median level. Therefore, the significant changes are attributed to general effect of financial cri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