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AI를 활용한 그룹별 과제개발

        최광락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 여건과 교육 체제가 가지고 있는 가장 큰 문제는 대규모 집단 학습과 교사의 단방향적인 강의식 수업이 진행되다 보니 개개인의 능력 차이가 매우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별화 수업이 절실히 요구된다. 학생 개개인에게 맞는 맞춤식 수업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학습 매체 이외에 컴퓨터를 이용한 쌍방향 수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CAI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교사가 학생들에게 적절한 과제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학생들의 수준을 각 집단에 맞게 분류한 후, 각 집단에 맞는 피드백을 제공한다면 학생들의 학습능력이 얼마나 신장되는가를 알아보는데 중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CAI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흥미도 및 학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Currently, the main problem in Korea’s education system is there are differences of the abilities among the students increasing because there are too many students in one class and the lessons presented to them are one-sided lecture from a teacher. To solve this problem, students need a personalized and interactive lecture based on computer. Based on this study, teacher provided proper tasks to students, and divided students into each levels based on their academic performance, provided them with proper feedback that suits each group, and then analyzed with an emphasis on how much students’ learning abilities has been progressed. As a consequence, the lessons bases on CAI program have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interesting and learning ability.

      • 초등학생용 온라인 협동학습 환경설계

        최광락 全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A ultimate purpose of education is to develop their ability that learners is able to solve present or future immediate problem well. In order to, the educator checks question settlement conditions and leads steadily, the learner needs various data and information for question settlement, and needs communication with many various people. By the way, WEB becomes the source of various data and information that it is necessary to solve problem for freedom navigation of internet, because accelerates interaction quality communication needed question settlement process, offers the best studying environment for problem solution drilling. A methodlogical tactics for acceleration learner's question solution activity is helped by small-group action drill. According to, this treatise develops system of question solution drilling with web for a basis by small group action drill, applies the fifth grade it experimentally. This study intend to design and implement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 and work out procedure of the system. Unlike traditional way that the teacher teach the student knowledge focusing on individual reward structure, the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 depends largely o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promote everyone to solve learning problems with common learning goal by social interaction. Therefore, the author haved devised of a system that enables effective collaborative learning by integrating scattered interaction tools and by letting learners do smooth interaction on web without additional application programs is needed.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ve learning, it is important that environment in which learners can solve learning problems by smooth social interaction with common learning goal should be fostered. Though collaborative learning using web that transcend time and place is effective, various interaction tools should be provided to support and apply the collaborative learning. So tools that can help to develop of social personality are insufficient for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and even if kind of tools exist, they are mostly chat room types. Therefore, this study made up for original interaction tools' defects that largely depends on text, developed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 integrating various interaction tools that can be used effectively for the collaborative learning and worked out collaborative learning procedure for the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

      • Greek verb aspect의 최근 논쟁에 대한 주석적 이해 : Porter와 Fanning을 중심으로

        최광락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신약 성경 헬라어 동사 상과 관련된 논의는 이제 막 각광을 받기 시작한 학문 분야다. 그러나 헬라어 동사의 시제성 인정 여부와 관련된 논의라는 점에서 성경 주석을 위한 도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기존의 헬라어 문법은 역사적 현재와 같은 시제 문제를 명확히 답해 주지 못했다. 다른 언어와 관련해서 일반 언어학 분야에서 동사의 시제성과 관련된 비교 언어 연구가 선행되었고, 이러한 시제의 문제를 해결하는 실마리가 제공되어 왔다. 포터와 패닝은 각각 이러한 언어학적 원리를 신약 성경 헬라어 동사 상의 이해를 위한 열쇠로 도입한다. 포터는 체계 언어학의 원리를 도입하여 헬라어 동사 형태의 모든 시제성을 부인한다. 그는 헬라어 동사 상의 시제 형태란 단순히 저자의 관점을 표시할 뿐 시제와는 무관한 것으로 정의한다. 포터에게 있어서 상은 완료상과 미완료상과 정적상의 세 개 범주로 분류된다. 부정과거는 배후논제로서 완료상이 되고, 현재와 미완료는 표면논제로서 미완료상이 된다. (과거)완료는 핵심논제로서, 정적상이 된다. 미래는 소망/기대를 표현하는 것으로 상으로 분류하지는 않는다. 패닝은 동사의 시제 형태가 직설법에서는 여전히 시제성을 가지면서 상성을 가지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동사형태의 시제성은 일차적이며 이차적으로 상적 특성을 통해서 저자의 관점이 표현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패닝은 직설법이외의 법에서는 동사형태가 시제를 전혀 표현하지 않는 것으로 주장한다. 패닝은 행동을 그 행동의 시작점 또는 결말점의 지시는 없지만, 대신에 그것의 내부적 구조/구성방식에 대해 강조하면서 그 행동 내에서 지시점으로 부터 관측하거나 그것의 내부적 구조에 대한 지시 없이 처음부터 끝 까지 이르는 전체 행동을 강조하면서, 그 행동의 밖에서 유리한 지점- 관점으로 관측될 수 있는 것이라고 상의 범주를 내부 관점과 외부 관점의 두 가지 범주로 나눈다. 그래서 패닝에게 상은 본질적으로는 시간적 일련의 과정/실제 상황이나 동사나 동사구의 과정적 특징/담화에서 탁월성과 관계가 없다. 대신에 상은 다소 주관적인 범주이다. 왜냐하면, 화자는 그 사건 자체의 성격에 관련 없이 한 상 또는 다른 상에 의해서 어떤 사건을 관측하거나 묘사하기 위해서 선택하는 것이 허용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간의 완전히 주관적인 선택은 일반적이지 않다. 왜냐하면 행동의 성격/동사 또는 동사구의 절차적 성격은 어떤 행동이 화자에 의해서 관측되는 방식을 한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그는 상을 ‘구조적 대립구조’로 설명한다. 그리고 패닝은 상과 동작상을 세밀하게 구분하기 위해서 벤들러와 키니의 분류법을 도입한다. 두 사람의 이런 주장은 각자 고유한 공헌이 있다. 포터의 논점은 다소 진보한 듯 하지만, 체계 언어학의 원리에서 예외없는 동사 형태의 설명을 위해서 노력하며, 성경 주석을 위한 동사 상의 기능을 잘 설명해 주었다. 패닝은 포터가 미처 다루지 못한 상과 동작상을 동사의 절차적 성격이란 면에서 잘 설명한다. 두 사람의 동사상 논의는 찬/반 양론으로 진행되었다. 그러한 논의 중에는 포터의 시제성과 동사상 만으로 시제형태를 결정하는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 문맥을 강조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또한 포터가 헬라어 동사의 시제를 파악하는 도구로 제시한 직시적 표시어의 한계도 문제 삼는다. 패닝에 대해서도 지나친 전통적 시제 관념에 얽매여서 언어학의 공헌을 성경 주석을 위해 소개하는 데 실패했다는 공격이 가해진다. 물론 두 사람의 논의를 성경 주석을 위한 유용한 도구로 찬성하는 의견도 많다. 본 논고는 이 두 사람 논의의 세부적 내용을 소개했고, 찬반양론에 대해서도 논했다. 그리고 동사 상 논의에서 취해야 할 부분을 성경 주석의 예증을 통해서 소개했다. The discussion related to the New Testament Greek Verbal Aspect is just sportlighted area to study. But in that whether admit the tensity of the greek verb, it may be a valuable method for the exegesis of the New Testament. The existing grammar of the greek couldn't answer clearly to the problem of the tense such as the historical present. But in the area of the general linguistics related to the other languages there are preceded the study of the comparable language. And it is afforded for a clue to solve these problems of the tense. Porter and Fanning all introduce these principle of the linguistics for a key to understand the verbal aspect of the New Testament Greek. Introducing the principle of the systematic linguistics, Porter denies on all tensity of the greek verb form. He defines the tense form of the greek verb aspect as to only present the aspect of the writer and not related to the tense. In porter, aspect can be categorized to three category: the complete aspect, the incomplete aspect, and the stative aspect. The Aorist form is defined as background the complete aspect, and the present and imperfect forms as foreground the incomplete aspect, and (plu)perfect as frontground the stative aspect. The Future form is not categorized as aspect. It presents a expectation or a hope. Fanning argues that in the indicative mood the tense form of the verb involve the aspectuality as well as tensity. He argues that the tensity of the verbal form is primary and secondly by the feature of the aspectuality the perspective of the writer can be notified. But Fanning argues that out of the indicative mood the verbal form not express at all the tense. He divides the action be viewed form a reference-point within the action, without reference to the beginning or end-point of the action, but with focus instead on its internal structure or make-up, or from a vantage-point outside the action, with focus on the whole action from beginning to end, without reference to its internal structure. And he observes that the two category of the aspect is the inner-viewpoint and outer-viewpoint. Thus, on fanning aspect has nothing inherently to do with temporal sequence, with procedural characteristics of actual situations or of verbs and verb-phrases, or with prominence in discourse. It is instead a rather subjective category, since a speaker may choose to view or portray certain occurrences by one aspect or another without regard to the nature of the occurrence itself. However, fully subjective choices between aspects are not common, since the nature of the action or the procedural character of the verb or verb-phrase can restrict the way an action is viewed by a speaker. In this point he explains the aspect as 'the structural opposition'. And Fanning introduces the classification of the Vendler and Kenny to classify with a detail between the aspect and the Aktionsart. These propositions of both has its own contribution. Poter tries to explain without exceptions the verb form on the systematic linguistics. And He also explains well the function of the verbal aspect for the exegesis of the New Testament. And Fanning explains well the procedural character of the aspect and the Aktionsart which Porter failed to treat. The argument of the verbal aspect of both was proceeded on the way to approve or to opposite. On those argument there are a proposal which focus the context to avoid the danger to decide the tense form only by verbal aspect. Also the limit of the dietic indicators which bought up by Porter as a tool to seize the tense of the greek verb become an issue. Fanning is attacked by the proposal that he failed to introduce well of the contribution of the linguistics, since he holds up the traditional concept of the tense too tightly. Of course there are a number of opinion to agree the augment of them. In my paper these opinion is treated. And In conclusion I introduced well-examined example of the biblical exegesis of this discussion of the verbal aspect which can be taken by New Testament interpre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