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금융화 시대 청년 여성의 주거불안정과 주거전략

        최고훈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housing precarity of young women and their housing and independence strategies,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using youth housing policies under neoliberal financialization. This study comprehensively examined the existing discussions of youth labor precarity, youth housing precarity, and housing precarity of young women. In this research, the most important background is the instability of young women’s fund mobilization, which includes family support, labor income, and loans. Based on this, the study examined youth women's housing precarity and strategies, focusing on three main areas. They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areas: securing safe residential spaces under gender-biased urban structures, the desire for independence and formal and informal financial activities, and young women's future plans in the context of neoliberal financialization. First, young women worked in a gender-unequal working environment, and by abandoning their surroundings, they tried to secure housing spaces where they could feel a little safer. However, attempts to secure a safe living space while using housing policies have made young women more unstable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housing and signing a contract. Young women felt intimidated by male brokers. They also paid more than the amount of policy support. Second, some young women relied on their parents when they tried to become independent because of their precarious working environment and low income, while others voluntarily refused parental support to get out of the pressure they felt from them. In the case of refusal of parent’s rental deposit support, they attempted to become completely independent through loans in the youth housing policy, but this was only a “Temporary Independence” through loans by proving their income and employment stability. In addition, young women paradoxically realized that they had to adapt to a male-centered financial order by using loan-oriented housing policies. Finally, the young women tried to build a new form of intimacy by attempting to form a community near the residential area while continuing to live in a single-person household, even though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a single-person household. Unlike this desire, young women were concerned about their future housing environment when their access to the youth housing policy would end, and they were forcing themselves to save money to prepare for this. In addition, the recent rental deposit fraud has made young women more anxious. This can be said to be a new housing precarity in the era of housing financialization, which paradoxically makes young women who cannot even imagine self-possession want to own their own house to not lose their rental deposits. 본 연구는 신자유주의적 금융화 하 청년주거정책 이용 경험을 중심으로, 청년 여성의 주거불안정성과 이에 따른 주거 및 독립의 전략을 함께 검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청년 노동 불안정, 청년 주거 불안정, 청년 여성의 주거 불안정 논의를 포괄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신자유주의 금융화 배경에서 원가족 지원, 노동 소득, 대출을 포괄한 청년 여성의 자금 동원의 불안정을 가장 큰 배경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청년 여성의 주거 불안정성과 전략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를 중점으로 살펴보았다. 크게 이는 젠더 편향적 도시 구조 아래 안전한 주거공간 확보, 독립 욕구와 공식 및 비공식 금융 행위, 신자유주의 금융화 배경에서의 청년 여성의 생애전망으로 나뉜다. 먼저 청년 여성은 성 불평등한 노동환경에서 일하며, 주변 환경을 포기함으로써 조금 더 자신이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는 주거공간을 구하려고 시도하고 있었다. 그러나 주거정책을 이용하면서 안전한 주거공간을 확보하려는 시도들은 주택을 탐색하고 계약하는 과정에서 더욱 청년 여성을 불안정하게 만들었다. 청년 여성들은 남성 중개인에게 위압감을 느끼고, 오히려 정책 지원 금액보다 더 많은 금액을 지불하고 있었다. 두 번째로 청년 여성은 자신의 노동환경이 불안정하고 소득이 높지 않기에 독립 시 부모에게 의존하기도 했으며, 부모에게 느끼는 압박감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발적으로 부모의 지원을 거부하기도 했다. 부모의 임차보증금 지원을 거부하는 경우 청년주거정책에서 대출을 통해 완전한 독립을 시도했다. 그러나 이는 자신의 소득과 고용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증명함으로써 대출에 의존해야 하는 ‘일시적인 독립’에 불과했다. 또한 청년 여성들은 대출 중심의 주거정책을 이용함으로써 자금 동원의 불안정을 해결하기보다, 남성 중심적인 금융 질서에 적응해야 함을 역설적으로 깨닫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청년 여성은 1인 가구로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1인 가구로 계속 살아가면서 주거지 근처에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자 하는 새로운 형태의 친밀성을 구축하고자 했다. 이러한 욕구와 달리 청년 여성들은 청년 주거정책 이용 기간이 끝나는 미래의 주거환경에 대해 걱정하고 있었으며, 이를 대비하기 위해 무리하게 목돈을 모으고 있었다. 이에 더해 최근 전세 사기 사태가 청년 여성들을 더욱 불안하게 만들고 있었다. 이는 자가소유가 상상조차 불가능한 청년 여성들에게 역설적으로 전세보증금을 잃지 않기 위해 자가를 더욱 욕망하게 만드는, 주택 금융화 시대의 새롭게 등장한 주거불안정성이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