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다층적 위계에 따른 상호텍스트적 시 읽기 교육 연구

        최경화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시 교육에 상호텍스트성의 개념을 도입하고, 그 개념의 교육적 적용을 위해 ‘다층적 위계’의 방안을 구상하여 학습자들의 시 이해력 증진에 도움이 되도록 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무한히 확장되기 쉬운 상호텍스트성의 범위를 텍스트 표층에 드러나는 내적 요소로 한정하고, 이에 따라 다층적 위계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상호텍스트성을 드러내는 다중 텍스트는 다층적 위계가 낮은 텍스트에서 높은 텍스트의 순서로 조직하여 텍스트 간의 반복되는 요소와 상이한 요소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를 상호텍스트적으로 이해한다는 것은 개별 텍스트에 드러난 내적 요소를 바탕으로 다중 텍스트에 잠재한 상호텍스트성을 발견하고, 나아가 학습자가 스스로 유기적인 의미망을 만든다는 것을 뜻한다. 이를 위해 학습자는 부단히 다중 텍스트를 상호텍스트적 맥락으로 읽으려고 노력해야 한다. 기존의 시 교육은 단일 텍스트에 대한 꼼꼼히 읽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개별 텍스트에 대한 내·외적 정보를 광범위하게 학습하였지만, 그러한 학습 내용이 다른 시 텍스트에 전이되어 학습자의 시 읽기 능력을 증진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대한 반성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여러 시 텍스트의 내적 정보를 연관성 속에서 이해하는 것을 시 텍스트 이해 능력의 하나로 보고, 제한된 범위 내에서 학습자가 여러 시 텍스트를 관련지어 읽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다면 학습자들이 시를 좀 더 쉽게 이해하고 텍스트 간의 다각적 탐색을 통한 통찰력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먼저 시 텍스트 수용 과정에서의 상호텍스트성의 의미와 상호텍스트적 요소를 바탕으로 다중 텍스트 구성에 대해 정리하였다. 그리고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시 교육에서 학습자의 주체적인 시 텍스트 의미 수용을 돕고자 텍스트 표층에 드러나는 내적 요소를 기준으로 다층적 위계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다층적 위계는 텍스트의 난이도와 관련이 있으나 텍스트 내적 요소들과 학습자의 수준을 함께 고려한 개념이다. 상호텍스트적 요소를 매개로 구성된 다중 텍스트를 내적 요소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학습자의 의미 실현 층위로 구분한 것이다. 이때 각 단계의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텍스트와 학습자 변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학습자가 실제적으로 인식하는 시 텍스트의 난이도를 결정하는 요인을 선행연구를 통하여 추출하였다. 학습자들이 언급한 내용에는 어휘적인 측면과 형식적인 측면, 내용적인 측면이 모두 포함되었으나 이 중 특히 시어와 형식적 요소를 어렵게 인식하였다. 어휘적인 측면은 어려운 시어나 모르는 한자어, 모호한 시어가 많을수록, 형식적인 측면은 고도의 비유와 상징을 사용하거나 길고 복잡한 의미 구조일수록 시 텍스트를 더 어려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추출한 요인을 의미 실현의 방식과 의미 실현의 층위로 나누어 다층적 위계 설정의 기준으로 삼았다. 그리고 의미 실현의 방식은 텍스트언어학에서 다루는 문장의 결속구조와 결속성, 그 외에 의미구조와 어휘로 다시 세분화하였다. 의미 실현의 층위는 의미 실현의 방식을 바탕으로 한 읽기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실현되는 의미가 텍스트 표층에 있느냐 이면에 있느냐에 따라 구분하였다. 다층적 위계에 따른 다중 텍스트 배열은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하여 텍스트 간 의미가 반복되는 구성과 의미가 확장되는 구성으로 나누어 조직하였다. 시 텍스트는 인생의 방향 설계에 고뇌하는 고등학교 학습자들의 삶과 연관될 수 있는 주제의식을 담으면서 특정 모티프나 특정 표현방식이 반복되는 것을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중 텍스트의 다층적 위계를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시 읽기 교육에 적용하기 위해 교수·학습 방안을 설계하였다. 다층적 위계에 따른 상호텍스트적 시 읽기 교육의 의의를 점검하고, 특정 요소를 기준으로 상호텍스트성을 발견한 후 다중 텍스트 전체를 거시텍스트로 인지하여 통합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해 단계에서 상호텍스트적 시 읽기 교육이 끝나고 나면 다시 텍스트를 재배열하여 상호텍스트적 시 읽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상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시 이해력을 증진할 수 있는 활동으로 상호텍스트성의 활용을 제안하고, 이를 위해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이는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기존의 시 교육에서 다중 텍스트 배열에 큰 의미를 두지 않았던 것과 달리 다층적 위계를 설정하여 다중 텍스트를 단계적으로 조직하여 동시에 읽을 수 있도록 구상함으로써 학습자가 보다 쉽게 의미 실현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intertextuality in poem education, and to help learners develop their poem-reading comprehension through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a multi-level hierarchy concept.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the intertextuality range apt to be extended indefinitely was defined in the inner element, revealing the text surface, and therefore, the concept of a multi-level hierarchy was established. Multiple texts revealing the intertextuality were to be organized in order from the lowest multiple layered text to the highest ranked one, so the recurring elements and the different elements between text would be able to be found. Understanding a poem as an intertextual meaning means that you discover the potential intertextuality in the multiple layers of text based on the internal components exposed to the individual text, and further learners make the organic meaning networks for themselves. In order to reach this stage, learners should strive constantly to read the multiple texts in the intertextual context. Learners have absorbed a wide range of internal and external information because existing poetry education focused on the close reading of an individual text. However, such a learning method was limited when transferred to another to promote learner’s poem reading skills. Thus, on reflection, I considered understanding the intratextual information of several pieces of poetry in correlation as one of the poem text comprehension skills, then the learners would more easily understand poems, and also gain an insight into multifaceted text investigation between the text, if measures are established for learners to read poems in relation to various poem text within a limited range. First, I examined the meaning of intertextuality in the process of poem text acceptance and organization of multiple texts based on intertextual elements. In addition, I established the concept of a multi-level hierarchy through internal factors revealed in the text surface for learners’ subjective poem text acceptance. Multi-level hierarchy is a concept related to the difficulty of the text so I divided variables that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each stage into the learner variables and text variables. Next, I extracted factors that determine the level of difficulty that learners recognize through the previous studies. According to learners’ statements, the factors included lexical aspects, formal aspects, and content aspects, but learners were aware that poetic words and formal elements were especially difficult parts out of them. The more difficult or ambiguous poetic words and unlearned Chinese characters appeared, the more difficulties learners had in lexical aspects, and the more use of metaphor and symbols, or long and highly complex semantic structures existed, the more learners tended to have a difficulty understanding poetry texts. Based on these results, I divided factors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into the method and the level of meaning realization in order to set up the standard of multi-level hierarchy. In addition, the method of meaning realization was subdivided into cohesion and coherence which is covered in textlinguistics, and further meaningful structures and vocabularies. The level of meaning realization was classified according as the meaning which is finally realized in a reading process based on the way of meaning realization was in the text surface or the depths. Arrangement of multiple texts in keeping with the multi-level hierarchy was divided into a repetitive meaning configuration with similarities between text utilizing intertextuality and an extensive meaning configuration. As concrete poetry text, it was selected that the text can be associated with the lives of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struggling with their life plans, repeating a particular motif or a specific expression. Finally, I designed a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order to apply a multi-level hierarchy of multiple texts to intertextual poem reading education. Moreover, I inspected the objective that intertextual poem reading education in keeping with a multi-level hierarchy pursues, discovered intertextuality based on the standard of specific elements, and made it possible for learners to perceive total multiple texts as macro text integratively. In addition, I formulated a plan for learners to accomplish intertextual poem reading by rearranging text after the intertextual poem reading was primarily complet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utilization of intertextuality as a part of an effort to promote poem comprehension and provided a detailed plan to support this suggestion. It set multi-level hierarchy and made learners read multiple texts at the same time by organizing them in stages unlike the existing poem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intertextuality which was not a task of great significance in the multiple text alignment. Therefore, you can find significance in that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that learners can advance meaning realization more easily.

      • 하점호와 진강의 Violin Concerto <The Butterfly Lovers>에 관한 연구

        최경화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하점호와 진강의 Violin Concert <The Butterfly Lovers>에 관한 연구 하점호(何占豪, 1933~)와 진강(陈钢, 1935~)은 서양음악의 민족음악화를 시도했던 중국 현대 음악의 대표적인 작곡가들이다. 그들은 1959년 서양음악과 중국 전통음악의 특징을 결합시켜 violin concerto <The Butterfly Lovers>를 함께 작곡하였는데 하점호가 solo violin의 선율을 쓰고, 진강은 orchestra part를 담당하여 이 곡을 완성시켰다. 이들은 중국 전통 설화 <양산백과 축영태>의 이야기와 월극(越劇, Yue-Ju) <양산백과 축영태>에 나타나는 주요선율과 리듬을 소재로 하여 작곡하였고, 중국 전통악기로 표현되었던 음악을 서양악기인 violin을 통해 완벽하게 표현해 냄으로써 서양음악의 민족음악화에 성공하여 독특한 작품 영역을 확보하게 되었을 뿐 아니라 중국 현대음악계에서 큰 의미를 남겼다. 본 논문에서는 월극<양산백과 축영태>의 주요선율과 리듬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의 진행과 발전이 solo violin과 orchestra part를 통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살펴보고, 중국의 전통적 정서를 표현해낸 solo violin의 다양한 연주기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주제어: 하점호, 진강, <The Butterfly Lovers>, <양산백 과 축영태>의 이야기, 월극

      • 블록체인 활성화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에 관한 연구

        최경화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A Blockchain allows a network of peer computers to proof, settle, and agree on a record of transactions. It prepares a form of trust between parties that may not otherwise trust each other, and does so without depends on traditional centralized services, or trusted 3rd parties. Blockchain provides trustless decentralized data management in a pellucid, auditable and immutable manner. Blockchain technology is expected to be the innovation of the industry such as copyright, logistics, health care, financial services and public services, but we isn’t ready for blockchain adoption. The technology is still its relative infancy, and to reach its true potential the Blockchain must be able to successfully substitute existing systems. It is necessary to monitor and examine the technology by governance system. This thesis deals with the way and methods of Blockchain governance in order to respond Blockchain revolution successfully. This thesis is organized as follows. In section Ⅰ introduction, purpose and contents of study are described. In section Ⅱ theoretical consideration, key principles and assumptions related to the blockchain based governance is presented. In section Ⅲ, case studies of major countries including EU, US, Japan, Estonia and Switzerland are investigated. In section Ⅳ,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Korean governance for activation of blcokchain are analyzed. In section Ⅴ, directions of blockchain governance are suggested.

      • 중증장애아 어머니의 삶과 정체성 : 자녀의 생애주기를 중심으로

        최경화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중증장애아를 낳고 양육하는 장애아 어머니의 삶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한다. 장애아 어머니는 장애아의 어머니라는 점에서는 동질적인 집단이지만, 성격, 소득, 학력, 사회적 지지 등 어머니가 가진 자원이 다르다는 점에서는 이질적인 집단이다. 이런 인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장애아 어머니가 자녀를 양육하면서 맞닥뜨리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 어머니가 동원하는 자원은 무엇이며 선택하는 전략은 무엇인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어머니의 정체성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자녀의 생애주기에 따라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연구는 장애아 어머니 15명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방법인 심층면접을 통해 수행되었다. 장애아 어머니의 자원과 전략, 정체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장애아 어머니는 건강, 성격, 학력, 소득이라는 개인적 자원과 가족의 지지, 사회적 연결망 지지, 법과 제도라는 환경적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건강 자원은 자녀의 생애주기에 따라 점차 줄어드는 특성을 가지며 성격과 소득은 전략과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컸다. 남편의 적극적인 지지는 장애아 어머니에게 무엇보다 큰 힘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정식구들과는 지지가 두드러진 반면 시집식구들과는 갈등 및 무(無)지지가 두드러졌다. 장애아 어머니의 주요 지지원은 대개 가족과 같은 장애아 어머니로 나타나, 혈연과 동병상련을 떠나서는 여전히 장애인과 그 가족에 대한 편견과 무관심이 크다는 것을 반증하였다. 법과 제도적 자원은 장애아 어머니에게 객관적인 환경으로 존재하는 자원으로서 기준에 부합하는 장애인은 물론 장애아 어머니의 삶의 조건을 변화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 장애인 관련 법과 제도의 선별적이고 제한적인 성격 때문에 법과 제도를 자원으로 활용하는 가정역시 제한적으로 나타나 법과 제도의 외형을 확대시키는 것이 절실히 요구된다. 둘째, 삶의 위기에 봉착한 장애아 어머니는 장애자녀와 함께하는 삶에 적응하기 위해서 다양한 대처노력을 기울인다. 유아기에는 장애아 어머니는 자녀의 장애를 완치 및 개선시키겠다는 강렬한 열망으로 문제해결 전략을 주전략으로 선택하였다. 그리고 자녀의 장애를 자신의 탓으로 돌리기, 울기, 대인관계 회피하기 등 정서의존 전략을 보완전략으로 선택하였다. 학령기(학교 다니는 시기)는 자녀의 학교생활과 관련해서 문제해결 전략을 주전략으로 선택하고 있다. 특히 자녀의 학교를 중심으로 형성된 사회적 연결망 속에서 전략을 구사하는 것이 특징이다. 성인기에 나타나는 수많은 재가장애인 어머니는 주로 정서의존 전략을 구사한다. 자녀가 대학 및 직장에 취업하는 경우 문제해결 전략을 구사하기도 한다. 셋째, 장애아 어머니의 정체성은 자원과 전략의 차이에 따라 정체성 유지형, 정체성의 긍정적 변화형, 정체성의 부정적 변화형 등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정체성 유지형은 ‘당당형’으로, 정체성의 긍정적 변화형은 ‘투쟁형’ ‘성찰형’ ‘종교형’으로, 정체성의 부정적 변화형은 ‘고통침잠형’으로 나타났다. 정체성의 각 유형마다 장애아 어머니들이 동원하는 자원과 선택한 전략이 달랐다. 이 논문은 가족지원의 필요성을 자원과 전략, 정체성을 중심으로 분석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정책적 함의를 가진다고 보겠다. 그리고 장애아 어머니의 삶이 장애자녀라는 변수로 수렴되어 유사할 것이라는 사회적 인식과 달리,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장애아 어머니의 삶을 다양한 맥락에서 사회학적으로 규명하였다. 또한 장애아 어머니들의 삶을 분석할 수 있는 자원과 전략을 개념화하고, 장애자녀 어머니의 정체성을 몇 개의 대표적인 유형으로 범주화 낸 점도 이 연구의 사회학적인 의의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엘 그레코(1541-1614) 종교화의 반종교개혁적 도상 연구

        최경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그리스의 크레타에서 태어나 비잔틴 화가로 교육을 받았던 엘 그레코는 이탈리아로 건너가서 베네치아와 로마에서 르네상스와 매너리즘 양식을 익혔으며 스페인으로 이주하여 톨레도에서 400점에 가까운 종교화와 초상화들을 제작하였다. 엘 그레코가 화가로서의 전성기를 보낸 스페인에서 가톨릭은 이교도들로부터 국가를 재정복한 정신적 원동력이었고, 종교개혁 이후 이에 대한 반동으로 열린 트리엔트 공의회의 법령은 스페인에서도 널리 받아들여졌다. 트리엔트 공의회의 목적은 종교개혁으로 인하여 권위가 약해질 위기에 처한 가톨릭 교리를 정리하고 재확인하는 것이었다. 종교개혁자들은 미술을 통하여 신심을 고취시키는 것을 우상숭배로 간주하였고 성모 마리아를 비롯한 성인 공경과 고해성사를 비롯한 가톨릭의 성사를 비난하였으며 인간은 선행으로 인하여 구원받을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공의회에서는 이러한 종교개혁자들의 공격에 맞서 가톨릭의 교리를 재정립하고자 하였는데 그 중 반종교개혁 시기의 가톨릭 미술과 관련하여 직접적인 영향을 준 부분은'성인 유해의 공경과 성화상의 사용'에 대한 것이었다. 이 법령을 통해 미술을 종교에 활용하는 것이 합법화됨과 동시에 반종교개혁의 사상에 맞는 새로운 종교화들이 제작되었다. 또한 같은 시기에 스페인 가톨릭 내부에서는 교육을 중요시하고 자선을 베푸는 것을 장려하며 아빌라의 성녀 테레사의 신비주의의 영향으로 신자 개인의 기도와 묵상을 권장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따라서 많은 자선 단체와 병원 등이 건설되었고 성직자들의 교육 수준은 높아졌으며 기도문을 외며 스스로 기도하고 묵상할 수 있는 평신도들의 수가 증가하여 신자들의 기도와 묵상을 돕는 종교화가 제작되었다. 그리하여 엘 그레코는 마리아 공경과 성인 공경과 같은 트리엔트 공의회의 내용과 스페인 가톨릭 개혁의 정신을 담은 종교화들을 제작하였다. 성서만이 신앙의 원천이라고 한 프로테스탄트에 반박하여 가톨릭은 성서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의 가르침이나 성령으로 인하여 사도들에 의해 전해 내려온 전승 또한 신앙의 근거로서 권위를 가진다고 주장하였다. 성서에는 언급되어 있지 않으나 초기 가톨릭 교회로부터 전해 내려온 전승 중에는 마리아 공경을 비롯한 성인 공경이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반종교개혁 시기에는 성모 마리아에 대한 신심이 더욱 강조되었고 이는 시각예술로 표면화되어 엘 그레코는 무염시태나 수태고지와 같은 마리아 공경을 주제로 한 작품을 그의 생애에 걸쳐 반복하여 제작하였다. <무염시태>는 성모 마리아가 어머니 안나의 몸에 아무런 죄의 흔적을 가지지 않고 잉태되었다는 믿음으로 여러 신학자들의 논쟁의 대상이었으나, 16세기에 미술을 통하여 가톨릭 교리를 천명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지지했던 예수회가 이 믿음에 찬성함으로써 17세기 스페인 미술에 활발히 등장하게 되었다. 마리아가 두 손을 모으고 신비로운 구름과 케루빔, 천사들과 함께 천상에 있는 듯한 모습은 17세기 무염시태의 전형적인 모습으로 정착되었으며 화면 하단의 풍경 부분에는 다윗의 탑, 천국의 문, 레바논의 삼나무, 담으로 둘러쳐진 정원, 장미, 떠오르는 태양, 구름 사이의 달 등 마리아의 순결함과 원죄 없음을 의미하는 모티브들이 포함되어 있다. 엘 그레코의 무염시태는 이후의 스페인 화가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또한 엘 그레코는 기존과는 전혀 다른 화면구성을 가진 <수태고지>를 제작하였는데, 르네상스 시대의 수태고지가 자연주의적인 실내 배경과 풍경과 함께 나타났다면 엘 그레코의 수태고지는 마치 천상에서 일어나는 사건처럼 표현되었다. 베네치아와 비잔틴 문화권의 영향하에 화가는 환상적인 색채의 빛과 꿈틀대는 듯한 구름을 통하여 반종교개혁의 종교적 영성을 표현하였다. 한편 그의 수태고지는 점차 원근법적 공간묘사를 버리고 마리아와 가브리엘 대천사가 만나는 사건으로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며 사실적인 배경 묘사가 사라진다. 특히 1590년대 후반의 수태고지는 예전의 작품과는 다른 표현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고 화면이 상하로 구분되어 천상의 부분을 강조하게 되며 도상학적인 관점에서도 독창적인 방식을 보여준다. 또한 트리엔트 공의회를 통해 확인된 성인 공경 사상 역시 엘 그레코의 회화에서 여러 가지 주제를 통해 나타난다. 그 중 자신의 죄를 참회하는 성인의 모습을 통하여 가톨릭에서 옹호한 고백성사의 주제를 시각화하였다. <참회하는 마리아 막달레나>는 광야에서 긴 머리에 지물인 향유병과 함께 나타나는데 배경의 아이비와 전경의 해골은 죽음을 상징하는 모티브로써 생명의 유한함을 깨닫고 신께 구원을 청하며 자신의 잘못을 뉘우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엘 그레코의 마리아 막달레나는 구성면에서 베네치아 르네상스의 영향을 받았으나 종교적 신비로움을 표현하는 금욕적인 마리아의 모습으로 변모하여 나타났다. 또한 화가는 <눈물을 흘리며 참회하는 베드로>를 통해서도 반종교개혁 시기의 특성인 내적인 영성을 표현하려는 시도를 계속하였다. 가톨릭에서 강조했던 선행과 함께 성인들의 중재를 통하여 구원에 가까이 가려는 노력은 <오르가스 백작의 매장>으로 시각화되었다. 이 작품은 선행을 자주 베풀던 14세기의 귀족이 성인들의 중재를 받아 영혼의 구원을 받는다는 내용을 나타내기 위하여 마리아와 세례자 요한이 인간의 영혼을 위해 그리스도에게 간청하는 데이시스 모티브를 사용하였다. 데이시스는 중세 비잔틴과 서유럽의 미술에서부터 나타나던 모티브로써 중개자로서의 성인의 역할을 강조한 반종교개혁에 의해 더욱 강조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성인 공경 사상은 기도하고 묵상하거나 종교적인 환영을 체험하는 성인의 모습으로도 나타났다. 엘 그레코는 성 프란시스코가 홀로 기도하거나 해골이나 십자가를 바라보며 기도, 묵상하는 작품을 자주 제작하였고 그의 작품은 신앙심을 고취시키기 위해 미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던 반종교개혁의 사상과 일치하게 되었다. 반종교개혁이 가시화된 트리엔트 공의회의 법령에서 종교화의 사용이 합법화되면서 반종교개혁의 기준에 맞는 종교화들이 새롭게 제작되었다. 그리고 엘 그레코는 무염시태, 수태고지 도상 등을 통해 트리엔트 공의회에서 강조된 마리아 공경 사상을, 중재자로서의 성인, 신앙의 모범이 되는 성인의 모습 등을 통해 성인 공경 사상을 그만의 독창적인 방법으로 시각화하였다. 그러므로 엘 그레코의 종교화에 나타난 양식적, 도상적 변화는 가톨릭의 반종교개혁과 밀접한 영향관계에 있었으며 반종교개혁의 정신은 그의 종교화를 통하여 더욱 강조되었다. After the Council of Trent(1545-1563), many religious paintings were made to spread the Counter Reformatory doctrine through the art. El Greco(1541-1614) painted religious paintings with new Christian iconography and in case of painting with the traditional Christian iconography, he made a new composition. El Greco was born in Crete and trained as a Byzantine painter. He went to Venice and Rome, there he learned Italian Renaissance and Mannerism. After moving to Toledo where he lived until his death, El Greco painted approximately 400 religious paintings and portraits. In Spain Catholic was mental standard of the nation and people so Decrees of th Council of Trent was accepted generally. The purpose of the Council of Trent was confirmation and arrangement of catholic catechism. In the twenty-fifth session of the Council, there was 'decree on the invocation and veneration of saints, on the relics of saints, and on sacred images' that influenced directly on the christian art of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Through this decree, use of the art to the christian religion got the legitimacy. Against the Protestants, catholic church and the Council of Trent insisted that both of the Scripture and the Tradition have authority of the christian faith. One of the Tradition from early christian church is veneration of the Virgin Mary and Saints. Therefore El Greco painted about the veneration of the Virgin like 'Immaculate Conception', 'Annunciation', 'Coronation of the Virgin' and about saints in penitence, in meditation, doing a good deed, etc. Immaculate Conception is totally Counter-Reformatory subject and El Greco painted the Virgin with mystic clouds, cherubs, angels and symbols of Mary like tower of David, cypress of Lebanon, enclosed garden, roses, rising sun, moon in the clouds, etc. His Immaculate Conception influenced to the spanish painters in the seventeenth century like Vela´zquez, Zurbara´n and Murillo. Also El Greco painted the Annunciation with new composition in contrast with Italian Renaissance Annunciation. Fifteenth century's Annunciation was painted with natural interior and landscape but El Greco's Annunciation was depicted like an event in the heaven influenced by Byzantine and Venetian paintings. Gradually El Greco's Annunciation abandoned perspective depiction of the space and concentrated to the Virgin and the Archangel. Especially in the late 1950s, the canvas divided vertically so it was possible to accentuate the heavenly part with expressive character. Another Counter-Reformatory subject, the veneration of the saints was depicted of penitence, good deed, meditation and vision of the saints. El Greco painted lots of Mary Magdalene in penitence and St. Peter in Tears that typical saints in penitence during the age of the Counter-Reformation. The Burial of the Count of Orgaz represented the saints as mediators through the motif 'Deesis' and stressed the good work for the justification. Also he painted uncountable St. Francis in meditation and experiencing the religious vision or ecstasy. In Spain El Greco got his best days as the painter and there Counter-Reformation was powerful for Spanish church and people. So the religious paintings of El Greco represented directly the creed of Counter-Reformation of the catholic with his own typical manner that never had been appeared before. Therefore stylistic and iconographic changes of El Greco's religious painting were influenced by the Counter-Reformation of catholic church also the spirit of the Counter-Reformation was emphasized by El Greco's paintings.

      • 군 부적응 병사를 위한 점토중심 미술치료의 스트레스 완화 효과

        최경화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군 부적응 병사를 위한 점토 중심 미술치료의 스트레스 완화 효과 본 연구에서는 군 부적응 병사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점토 중심 미술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G시에 있는 군부대를 주 1회 방문하여 점토 중심 집단 미술치료를 실행하였다. 총 10회기의 프로그램을 2017. 8. 11일에서 9월 13일까지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부대 내에서 대인관계에 문제가 있거나 직무능력이 부족하여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의 상담을 받고 있는 병사 4명이다. 스트레스가 군 부적응의 주요 원인임을 연구자가 진행했던 다른 병사의 미술치료를 통해 알게 되었고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했다. 그래서 스트레스 완화를 연구주제로 설정했고 스트레스 완화 효과가 검증된 점토를 주요 매체로 선택하였다. 점토는 값이 싸고 쉽게 구할 수 있으며 재활용도 가능한 매체이기 때문에 향후에 군대에서도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스트레스 검사와 ‘빗속의 사람(PITR)' 심리검사를 이용하여 점토중심 미술치료의 스트레스 완화 효과를 알아보았다. 스트레스 검사는 유형식(2015)의 스트레스 척도를 이용하였다. 프로그램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평균 차이를 비교하고,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스트레스 검사 결과 사후검사에서 사전검사보다 평균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1). 스트레스 점수와 스트레스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점토 중심 미술치료는 군 부적응 병사의 스트레스 완화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빗속의 사람’심리검사 결과는 양원영⦁원희랑(2013)의 스트레스지표와 스트레스대처자원 지표를 이용하여 수치화하여 양적 분석을 했다. 프로그램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평균 차이를 비교하고,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사후검사에서 사전검사보다 평균이 증가하였다.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것이 검증되였다 (p<0.1). PITR 점수와 스트레스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점토 중심 미술치료는 군 부적응 병사의 스트레스 완화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스트레스 사전사후 검사와 PITR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점토 중심 미술치료가 군 부적응 병사의 스트레스 완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의확률이 비교적 높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그림을 질적 분석하고 참여자들을 관찰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점토 중심 미술치료가 군부적응 병사의 스트레스 완화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군 부적응 병사에게 점토중심 미술치료를 실행할 수 있다면 그들이 군 생활 적응에 도움이 될 것이다.

      •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결합 습득 연구 :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최경화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quisition of Korean Josa's combination for Japanese learners of Korean. The studies on Korean Josa's combination have been steadily conducted in both the Korean language field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There have been a good number of research studies on this topic, especially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among these studies, there is only some research that focuses on the formative features of Korean Josa's combination. Moreover, these studies on the acquisition of particle combination have targeted only Chinese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Japanese learners who use Japanese, which is linguistic typologically similar to Korean. Chapter I shows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 advanced research related to the studies of particle combination. It proposes the necessity of a new study based on the advanced research and also presents the research problems.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ly, compared to Korean native speakers, what does Japanese learners’ acquisition of particle combination in terms of combination forms look like? Secondly, Can fluency be taken as a variable in this study of particle combination? In chapter II,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s demonstrated in chapter I, Korean case markers have been classified into grammatical case markers, semantic case markers, post positions, and particles, in accordance with Im Dong Hoon(2004)’s viewpoint on the subclassification of Korean Josas based on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Moreover, each particle combinatio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4 forms, or subdivided into a total of 16 forms, according to order of arrangement. Continuously, the characteristics of formative features and theoretical background are presented. Also, each Japanese expression equivalent to the Korean in formative features has been organized and the equivalent ones have been taken into examination as well. Chapter Ⅲ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the research instrument. In order to examine the acquisition of Josa's combinations of Japanese learners of Korean, a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was developed as a measure. Sixty-four questions were created according to each form of Josa's combination used in the experi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 students who are: firstly, Japanese learners of Korean with higher proficiency than level 4 who are studying Korean at Korean Language Institutes of the universities in a metropolitan area; and secondly, current undergraduat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of domestic universities. Chapter IV describe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conducted through the tool referred in chapter III. The result shows that: firstly, there appeared the difference in the percentages of correct answers regarding combination forms based on order of arrangement. Th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howed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Japanese learners of Korean in using Josa's combination. Moreover, the acquisition aspect of Josa's combination forms was also revealed. Contrastively, in Japanese the form pre-modified by a postposition is acquired differently from Korean. In actuality, Japanese learners of Korean showed the lowest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on the aforementioned form. Secondly, the results show whether or not fluency as a role of variable acquisition of Josa's combination has been taken into conside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the group of high-achieving students showed higher percentages of correct answers than the group of low-achieving students in all combination forms. With that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 we can draw a conclusion that the learners’ fluency in Korean is one of a variable in this research. Finally, chapter V draw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s well as refers to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investigated the formative features of Josa's combination as well as identified the acquisition aspect of Japanese learners of Korean. Based on this result, it is realized tha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instruction on the formative features of combination form needs to be imparted explicitly. Also, through the comparison to Japanese, there is a discussion about the combination form that needs to be well emphasized when acquiring Josa's combination. Moreover, there was a confirmation that the fluency variable did exist in the acquisi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Josa's combination. However,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number of the items of Josa's combination suggested is not inclusive. Moreover, since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formative features, that the change in the semantic function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Josa remains uncovered becomes a limitation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조사 결합의 습득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조사 결합은 국어학계나 한국어 교육학계에서 꾸준히 다루어졌다. 특히 한국어 교육학 분야에서는 조사 결합에 대한 습득 연구도 진행되어 왔는데 그중에서도 조사 결합의 결합 유형에 주목한 습득 연구는 많지 않다. 더욱이 그간 이루어진 조사 결합의 습득 연구는 주로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정되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연구는 언어 유형학적으로 유사한 일본어를 대조언어학적인 측면에서 검토한 후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가 과연 조사 결합에 대해 어떠한 습득 양상을 보이는지를 살피고자 한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목적을 밝히고 조사 결합을 연구한 선행 연구를 정리하였다. 선행된 연구를 토대로 새로운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연구문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조사 결합에 대해 결합 유형에 따라 일본인 학습자의 습득 양상이 어떠한가이며 둘째, 조사 결합의 습득에 숙달도 변인이 존재하는가이다. Ⅱ장에서는 Ⅰ장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어 조사를 분포상의 특성을 바탕으로 하위 분류한 임동훈(2004)의 견해를 받아들여서 조사를 문법격 조사, 의미격 조사, 후치사, 첨사로 분류하였다. 또한 각각 조사의 결합을 배열 순서에 따라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더 나아가서는 총 16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에 대해 결합 시의 특징을 기술하여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각각에 해당하는 일본어의 표현들을 정리하여 한국어의 조사 결합과는 어떻게 다른지 검토해 보았다. Ⅲ장에서는 연구도구를 개발하였다.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결합 습득 양상을 살피기 위해 개발한 도구는 문법성 판단 테스트이다. 각 조사 결합의 결합 유형별 특성이 나타날 수 있도록 64문항을 개발하여 실험을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 46명으로 수도권 소재 대학의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공부하고 있는 4급 이상의 학습자와 국내 대학의 학부 및 대학원에 재학 중인 학습자이다. 이어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시행한 실험의 결과를 기술하였다. 그 결과로는 첫 번째, 배열 순서에 따른 결합 유형에 대해 정답률의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서 한국어 모어 화자와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 사이에 사용 양상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나타냈다. 또한 조사 결합의 결합 유형별로 습득의 양상이 다르다는 것도 나타났다. 특히 일본어와의 대조에서 후치사가 전치하는 유형이 한국어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실제로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는 후치사가 전치하는 유형에서 가장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두 번째로는 조사 결합에 숙달도 변인이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모든 결합 유형에서 하집단의 학습자보다 상집단의 학습자가 높은 정답률을 보였으며 대부분의 조사 결합이 그 사용 양상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했기 때문에 숙달도 변인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언급하였다. 본 연구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조사 결합의 형태적 특성을 살펴서 습득 양상을 확인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결합 유형별로 형태적 특성을 명시적으로 교수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일본어와의 대조를 통해 조사 결합 습득 시 형태적으로 각별히 강조해야 할 결합 유형에 대해서도 논의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조사 결합의 형태적인 습득에 대해 숙달도 변인이 존재함을 밝혔다. 그러나 여전히 본고에서 시도한 조사 결합의 항목 수가 포괄적이지는 못하다는 한계를 가진다. 아울러 형태적인 특성에 초점을 맞춰 연구했으나, 조사 결합에 따른 의미기능을 자세히 다루지 못한 점에서는 한계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