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오브제 미술의 ‘발견된 사물’로서 의복 패턴 형태를 활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천진해 홍익대학교 패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In modern fashion, the shape of a garment is considered a design element of its own, independent of its functional or practical purposes. However, more interestingly, the shapes of garment patterns used as a guide in needlework have also been increasingly used as a visual design element. This study examines the phenomenon of the visual incorporation of garment patterns in fashion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art. In this study, patterns drafted on paper are construed as objets, and a parallel is drawn with objet trouvés (found objects), considering that they are dissociated from their primary context of use. Modern fashion and modern art intersect in several ways, of which the most significant is that they both have taken up the common challenge of the “avant-garde moving beyond representation.” Representational value has long been paramount to art and fashion. However, in the early 20th century, which heralded profound changes in thought and sensibility, attempts were made in both art and fashion to break away from representational value. As part of this shift, objets were first introduced in art, becoming a vital element of the avant-garde’s anti-aesthetic movement, and in fashion, this period witnessed the emergence of avant-garde styles which no longer represented or were dictated by the shape of the human body. This study aims to perceive the visual use of garment patterns in modern fashion in the context of the avant-garde’s attempt to transcend representation and analyze it with objet art’s expressive styles and methods to articulate a new fashion design methodology, which makes use of garment patterns. To this end,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garment patterns and objet art, focusing on avant-garde approaches. Expressive styles and methods in objet art that emerged across the various stages of the avant-garde movement from 1910 to 1990 (historical avant-garde → neo–avant-garde → postmodernism) were classified, analyzed, and defined. Using the expressive styles discerned, collections displayed during the world’s four major fashion weeks (“Big Four”) between 1997 and 2023 were analyzed to highlight the transition in design from the use of clothes to the use of garment patterns, and a design methodology was formul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Collage,” “ready-made,” and “idea” were the three main elements constituting the expressive styles and methods of objetart in the avant-garde tradition. Most works in this category, which often took the form of combinations and variations of these three elements, can be characterized as follows: First, objets were initially introduced in art through “collage.” Collage was a technique used in Cubism, a movement that ushered in 20th-century modern art, as a new way of rendering visual realities, defined by the rearrangement of two- and three-dimensional visual structures. Second, “ready-made,” a term coined by Marcel Duchamp, refers to ordinary mass-produced objects selected by an artist and presented as art. As commonplace things dissociated from their original utilitarian purposes, ready-mades trigger a perceptual shift in the viewer. Lastly, “ideas,” which extend objets beyond the material realm, were widely used in the modern conceptual art of the late 20th century. Idea-based objet works were highly abstract as they questioned the fundamental nature of art and incorporated abstract ideas and notions in other domains in a largely conceptual manner. The expressive styles and methods of objet art, namely, the visual composition of collage, perceptual shifts with ready-mades, and the conceptual dimension of ideas, inspired novel design directions for modern fashion, suggesting ways of using garment patterns as a design element. The details of the influence of objet art on modern fashion, identified based on the analysis of concrete examples, are as follows: First, the visual rearrangement of two- and three-dimensional shapes in collages manifested in modern fashion through deconstructing, dispersing, and recombining clothing items. In using garment patterns, certain groups of patterns were taken apart and regrouped in a new manner to create structural silhouettes. Second, the perceptual shift caused by ready-mades as objects being removed from their primary context of use has subverted the meaning of clothes in modern fashion by transforming them into decorative elements deprived of utilitarian purposes. With regard to garment patterns, this effect manifests itself in their usage as textile patterns and surface designs. Third and last, the influence of conceptual and ideational elements in objet art is felt in the introduction of temporality in modern fashion in which the creation and evolution of clothing are incorporated as its integral elements. In garment patterns, this is observed in the stages of the clothes-making process, such as sketching and drafting, visible inthe garment itself through various visual clues. In conclusion, the three main ways of using garment patterns through an objet trouvé(found object) have been identified, including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patterns,” “creating fabric patterns out of sewing patterns,” and “making the pattern-drafting process evident in the garment.” From the methodology consisting of these three elements, three design themes have been presented, namely, “Reforming,” “Reframing,” and “Replaying.” These themes were expressed through the 'object project' under the concept of 'Escape the illusion,' representing a collection of 8 styles of artwork.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sheds light on the intersection of avant-garde art and avant-garde fashion. Moreover, it suggests a new direction in fashion design development based on rediscovering garment patterns as an objet. At the same time, a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convergence of modern art and modern fashion in terms of the broad similarities in their avant-garde tendencies, its discussion of specific trends and how they are exhibited in fashion remains superficial. It is hoped that this study’s findings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오늘날 현대패션에서는 의복의 형태가 착용의 실용성과는 무관하게 그 형상만을 디자인 요소로 활용되고 있으며, 나아가 의복 구성이라는 도구적 목적성으로 형성되는 패턴의 형태마저도 시각적 디자인 요소로 표현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 속에서 본 연구에서 착안한 점은 현대미술의 시각에서 ‘종이’라는 재료 위에 구현된 패턴의 형상을 하나의 오브제로 파악하며 목적성이 배제된 패턴의 존재를 오브제 미술의 ‘발견된 사물(objet trouvé)’로 인지할 수 있다는 관점이다. 이러한 관점은 현대패션의 현상을 현대미술을 통해 사유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여기서 현대미술과 현대패션의 유기적 연결점으로 ‘재현을 탈피하는 아방가르드’라는 공통의 문제를 포착할 수 있다. 오랫동안 재현의 가치에 목적을 두고 발전해온 미술과 패션은 20세기 이후 모든 사고의 기준이 변화하는 시점에서 재현의 가치에서 탈피하는 방법을 모색하였고, 결과적으로 20세기 이후 미술은 오브제를 미술로 도입하는 아방가르드의 반(反)미학을, 패션은 인체를 재현하는 패턴에서 벗어나 아방가르드 스타일을 출현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과 패션의 두 카테고리가 재현으로부터 탈피하는 아방가르드의 시각에 근거하여 현대패션에서 패턴의 형태가 시각적으로 활용되는 현상을 이해하고, 오브제 미술의 표현유형에 입각한 분석을 통해 의복 패턴 형태를 활용하는 디자인 방법을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따른 연구 방법은 문헌자료를 통해 본 연구의 제재가 되는 의복 패턴과 디자인 방법이 되는 오브제 미술을 아방가르드 시각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연구 기반을 수립하고, 1910년부터 1990년까지 이어지는 아방가르드의 흐름(역사적 아방가르드→네오 아방가르드→포스트모더니즘) 속에서 나타난 오브제 미술의 표현유형을 분류 분석하여 그 특성을 규정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1997년부터 2023년까지 세계 주요 4대 컬렉션에서 나타난 현대패션의 디자인 사례를 의복의 활용에서 의복 패턴의 활용으로 나아가는 진행으로 분석하여 디자인 방법을 구축하였다. 현대미술의 아방가르드 맥락 속에 자리한 오브제 미술의 표현유형은 콜라주(collage), 레디메이드(ready-made), 그리고 아이디어(idea)의 3가지 유형을 기반으로 한 조합과 변형이었으며 분석된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브제를 미술로 가장 먼저 도입한 콜라주는 20세기 현대미술의 출발점이었던 입체주의에서 대상의 시각적 실체를 추구하기 위해 시도된 조형 방식으로 평면과 입체의 시각적 조형 구조를 형성하는 특성을 보였다. 둘째, 뒤샹의 발상으로 오브제를 예술로 정착시킨 레디메이드는 목적성에 의거해 산업 생산된 기성품을 예술품으로 선택하면서 기존의 실용성을 없애는 사고적 전환을 특성으로 하였다. 셋째, 오브제를 비물질적 영역까지 확산시킨 아이디어는 20세기 후반 개념화된 현대미술의 전면에 등장하여 예술의 본질에 대한 물음과 함께 물질적 형태로 국한되지 않은 추상적인 생각과 인식마저 포용하며 관념적 사고를 반영하는 특성을 가진다. 요컨대 콜라주의 조형적 구성, 레디메이드의 사고적 전환, 아이디어의 관념성 도입으로 도출된 오브제 미술의 표현유형별 특성은 현대패션에서 새로운 디자인에 대한 발상법을 제공하며 의복 패턴의 형태를 디자인 요소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현대패션에서 나타난 사례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콜라주 유형의 평면과 입체를 시각적으로 구성하는 특성은 현대패션에서 의복 아이템 구조를 분해하고 구조를 분산시키며 결합하는 형태로 나타났으며, 이는 패턴 형태의 활용에서 조합된 일군의 패턴 형태를 해체하고 재조합하여 구조적 실루엣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둘째, 레디메이드 유형의 실용성을 소멸시키는 사고적 전환은 현대패션에서 의복의 형태를 실용성 없이 장식 요소로 활용되는 의미상의 전복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패턴 형태의 활용에서 의복 제작을 위해 고안된 패턴의 형태를 무늬로 활용하면서 패턴을 패턴화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이디어 유형의 비물질화된 관념성을 도입하는 특성은 현대패션에서 시간성을 개시하여 형성되고 변화되는 의복의 모습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패턴 형태의 활용에서 의복 제작의 설계과정인 제도 과정을 표상하며 의복의 제작과정을 노출하였다. 결론적으로 현대패션에서 오브제 미술의 ‘발견된 사물(objet trouvé)’ 관점으로 의복 패턴의 형태를 활용하는 방법은 ‘패턴의 해체와 재구성’, ‘제도 패턴의 패턴화’, ‘패턴의 제작 과정표상’으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론은 본 연구의 디자인 전개 속에서 Reforming, Reframing, Replaying의 3가지 테마를 제시하며, ‘Escape the illusion’의 컨셉 아래 이루어진 ‘object project’를 통해 컬렉션의 8 스타일의 작품으로 표현되었다. 본 연구는 아방가르드 미술과 아방가르드 패션을 연결 선상에서 이해하고 의복 구조 속에서 의복 패턴의 형태를 오브제로 발견하여 새로운 시각으로 디자인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다만 아방가르드의 시각에서 현대미술과 현대패션의 다소 넓은 범주를 이해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기에 개별 사조들과 연계되는 특성과 활용이 표면적인 결과로 도출되며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지는 못했다. 본 연구가 후속 연구의 방향성 마련에 기여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20世紀 初 中國의 智 · 德 담론과 ‘文’의 경계

        천진 延世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박사

        RANK : 1839

        본 논문은 20세기 초 1900년대 東京에서 발행된 [淸議報]·[新民叢報]·[浙江潮]·[江蘇]·[湖北學生界]·[河南]등의 잡지 매체를 통해, 東京 留學生 집단과 지식인들이 어떻게 새로운 앎과 윤리를 모색하고 현실을 향해 발화했는지를 다루고 있다. 1900년대는 사실 하나의 구도로 포착할 수 없는 복잡한 열정과 사유태도로 가득 차 있다. 이 글이 다루고 있는 잡지매체에는 개별 사상가의 독백이 아니라 다양한 목소리들이 교차하면서 때로는 논쟁으로 미끄러지고 때로는 접점을 형성하여 증폭하면서 복잡한 열정과 사유가 드러나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잡지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목소리와 그를 통해 포착되는 東京 留學生 집단과 지식인들의 앎과 윤리, 그리고 글쓰기 문제를 고찰한다. 이때 주목하는 것은 이들이 東京이라는 문제적 공간을 통해 근대 지식과 문화를 경험하며, 그러한 가운데 의식, 사유, 감정의 극심한 변화와 동요를 경험하게 된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1900년대 사유를 이처럼 다양한 군상들의 내면의 동요와 사유태도, 그리고 발화를 고려함으로써 이 시기 인식의 지평을 새롭게 발견하고자 했다. 1895년 청일전쟁의 패배이후 중화제국의 내부였던 ‘東京’은 근대 문명 지식을 경험하는 외부 공간으로 떠오르게 된다. 그것은 곧 ‘아시아’라는 문제적 관념이 생겨나는 순간이기도 하다. ‘知恥’를 목표로 했던 東京 留學은 이후 20세기 초 근대적 교육제도가 모색되는 과정에서, 기존의 교육제도와 불완전한 신식 교육제도 사이에서 동요하는 ‘학생’을 흡수하게 된다. 東京 留學生은 ‘제도의 안과 밖’, ‘中華의 안과 밖’의 사이에 선 존재들이며, 또한 그들은 ‘新과 舊’ 사이의 ‘過渡時代’를 사는 존재이다. 두 개의 시간을 한 몸에 겪는 ‘過渡’의 문제는 자신들을 배태한 앎과 윤리 체계에 문제를 제기하는 가운데 세계를 대면하고 개입하는 주체의 태도를 모색하는 것으로 나아가고 있었다. 이러한 東京 留學生과 東京의 지식인들 사이에서 생겨나는 학문전쟁(學戰) 의식은 東京에서 기획·발행된 雜誌 속에서 다양한 개념어와 언설들을 통과하며 구체화되고, 그것은 곧 떠오르는 근대적 출판문화 공간이었던 上海의 출판 기획과 연관하여 上海-東京을 중심으로 한 20세기 초 1900년대 담론 유통의 공간을 만들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앎은 ‘흐름’으로 나타나게 된다. 1900년대 초, 이러한 학문전쟁[學戰]의 사명감은 명민한 ‘智’를 요구했다. 특히 東京留學生의 잡지 속에서는 ‘文明灌漑’로 나타나며, 그것은 외부 문명의 지식의 체계를 대면하는 사유태도를 요구한다. 3장의 ‘지리학’ ‘의학’의 상상력은 외부 세계를 관찰하고 모험해 나가는 인간의 사유 태도를 요청하는 가운데 떠오른 근대 지식이다. ‘智’는 외부를 대면하는 인식의 태도와 경계 너머의 새로운 외부의 상상력이 되기도 했지만, 종종 외부는 주로 서양 문명의 지식으로 표상되었고, 그것은 心性論과 같은 德의 문제를 내면에만 안주하는 지식으로 비판하고 분리시켰다. 그러나 외부 근대 문명의 지식만으로는 인간을 변화시킬 수는 없다. 4장에서 논하는 새로운 德의 문제는 외부 지식만을 강조한 智의 논의와 기존의 도덕명령에 기반한 道德을 비판하면서 등장했다. 여기에는 다양한 德의 논의가 개입한다. 新政의 교육제도에서는 儒敎에 기반한 道德命令을 내용으로 하는 德育을 주장했는데, 이것은 일본이 공자의 도덕정신으로 서구물질문명을 극복한다고 했던 논의에 기반하고 있다. 이러한 德育에 반대하면서 새로운 德과 心育을 주장하는 논의들은 외부를 새롭게 사유하면서 德의 지반을 바꾸고자 했다. 그것은 力行의 윤리의 모색으로 나타났으며, 혁명 윤리와 관련된 力行의 윤리는 佛學의 자원을 빌어 새로운 개체 윤리를 모색한다. 1900년대 초 智와 德의 문제는 1908년 전후 文의 논의를 통해 ‘情’의 문제로 발전한다. 5장에서 다루는 1900년대 ‘文’의 문제는 두 가지다. 지식을 灌漑하며 수평적인 소통을 추구하는 ‘文’은 報章體와 演說, 筆記, 箚記와 같은 글쓰기처럼 文의 범주를 확장시키면서 수평적인 소통을 추구하는 文의 우주를 만들었다. 한편 [國粹學報]의 文 논쟁에서 시작한 ‘文’ 의식은 ‘文’을 사유하는 개체를 강조했다. ‘文’의 거대한 질서를 조감하고 사유하는 개체는 文人이자 學人이 통합된 존재로 나타나기도 했으며, 개체가 대면하는 세계와의 관계를 곱씹는 ‘情’의 개체로 나타나기도 했다. 文과 文學(literature)의 긴장, 文과 ?彰의 긴장, 學術과 文學의 긴장, 思想과 感情의 긴장 등은 ‘文’을 사유하는 글쓰기 주체를 요구했고 그것은 수평적인 소통의 文을 추구하는 가운데 투명한 소통의 매개자를 자처했을 때와는 다른 태도를 요구했다. 이러한 가운데 부상한 ‘感情’은 智德과 다른 방식으로 외부 세계 관계를 사유하고 발화하는 새로운 개체의 태도로 인식되었다. 또한 타인의 고통을 대면하고 다가가는 同情, 共感의 태도를 가진 윤리적 감수성이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感情의 문제가 ‘文學’의 기반이 되면서, 1900년대 문학은 윤리적 감수성과 미적 긴장을 동시에 품은 사유의 지평을 마련하게 된다

      • 전환 운송을 통한 연안 해운 활성화에 관한 연구

        천진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23

        우리나라의 수송체계를 보면 환경친화성, 에너지 효율적성 측면에서 연안해운과 철도에 비해 열위에 있는 도로운송에 아직까지 집중되어 있고, 그 비중도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고, 좀 더 효율적인 운송체계 구축을 위한 외국의 우수한 정책지원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연안 해운발전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연안해운이 안고 있는 구조적, 정책적 문제점을 살펴보고, 대응책을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도로운송 중심의 국가물류 체계의 편중에서 벗어나 전환운송을 통한 고효율 저비용, 친환경의 연안해운 발전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전자빔기술을 이용한 Diepoxidized Cardanol의 경화와 Diepoxidized Cardanol/유리섬유 복합재료의 제조 및 특성

        천진 금오공과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1823

        The objectives of this work are to investigate the electron beam curing behavior of diepoxidized cardanol (DEC), to find out optimal electron beam conditions for curing DEC and also to successfully fabricate the DEC/glass fabric composites and understand their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ptimization of electron beam conditions for curing DEC was explored by studying various experimental variables (type and concentration of photo-initiator, electron beam absorption dose) in the presence of cationic photo-initiators (triarylsulfonium hexafluorophosphate and triarylsulfonium hexafluoroantimonate). The combined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antimonate-type photo-initiator, appropriate amount of photo-initiator and relatively high electron beam intensity should be used for efficiently curing the DEC. The cure behavior of DEC was qualitatively and also quantitatively studied by means of FT-IR spectroscopy, TGA, DSC, TMA and DMA. The degree of cure reaction rate was determined by analyzing the relative heights of characteristic FT-IR absorption peaks, depending on the electron beam curing condition. The result informed on the curing efficiency of DEC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and the antimonate-type photo-initiator was more efficient than the phosphate-type on electron beam curing of DEC. The DEC cured by electron beam at 600 kGy in the presence of 2 wt% antimonate-type photo-initiator exhibited the highest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storage modulus, and the lowest tan δ peak height, thermal expansion and water absorption. DEC/glass fabric composites were fabricated in the presence of antimonate-type photo-initiator of 2 wt% because it was most efficient for electron beam curing of DEC. The electron beam curing of DEC/glass fabric composites at 600 kGy in the presence of 2 wt% antimonate-type photo-initiator resulted in the highest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316℃, the highest storage modulus of 14 GPa,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49℃, and the best thermo-dimensional stability among the DEC/glass fabric composites cured under other electron beam curing conditions. For comparison, DEC/glass fabric composites were fabricated by electron beam curing in the presence of antimoante-type photo-initiator, and by thermal curing in the presence of phenalkamine hardener, respectively, at the same DEC/glass ratio by weight. It was noticed that the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DEC/glass fabric composites significantly depended on the curing method. It was elucidated that the electron beam-cured DEC/glass fabric composites exhibited lower thermal properties and higher mechanical properties that the thermally cured cunterparts.

      • Ana Caro De Malle>n a case of subversion and conformity

        천진 Columbia University 1995 해외박사

        RANK : 1823

        건축, 토목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에폭시 수지는 타의 폴리머에 비교하여 접착성, 내약품성, 역학적 성질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시멘트 모르타 르 및 콘크리트에 혼입함으로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재 및 마무리재 로서 보다 더 우수한 성능을 가진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를 제 조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 개발되어 온 에폭시 수지 혼 입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에서는 폴리머 시멘트비가 타의 시멘 트 혼화용 폴리머와 비교하여 극히 높고, 더우기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의 두 성분을 필수적으로 혼합해야 하기 때문에 경제성 및 시공성의 면에서 문제점 을 내포하고 있다. 한편 경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에폭시 수지만을 시멘트 모 르타르 및 콘크리트 중에 혼입 하기만 하여도 에폭시 수지는 시멘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중의 시멘트의 수화의 결과 생성되는 수산화물 이온의 작용에 의해 에폭시 수지를 개환시켜 경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것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증진을 위한 에폭시 수지 혼입 폴리머 시 멘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폴리머 시멘트비의 저감 및 기존의 두 성분의 혼합에 기인한 결점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재 및 마무리재로서의 경화제 무첨가 에폭시 수지 혼입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개발을 목적 으로 배합을 변화시켜 기존의 경화제를 첨가한 것과 비교하면서 에폭시 수지 의 경화 기구 및 각종 성질을 실험 고찰하였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배경 및 연구의 범위, 경화제 무첨가 에폭시 수지 혼입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개발의 필요성 및 기존의 연구에 대해 설명하였다. 제2장에서는 경화제 무첨가 에폭시 수지 혼입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중에 서의 에폭시 수지의 경화 기구에 대하여 검토하고 더우기 경화제 무첨가 에폭 시 수지 혼입 폴리머 시멘트 페이스트 및 모르타르 중에서 경화한 에폭시 수 지의 정량을 행하여 에폭시 수지의 경화의 정도를 해명하였다. 제3장에서는 경화제 무첨가 에폭시 수지 혼입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배 합을 변화시켜 그의 물리적 성질 및 내구성에 대해 검토했다 In recent years many critics have begun to show interest in the works of Ana Caro de Mallen, a seventeenth-century Spanish woman writer. Along with the tasks of editing, reprinting and translating, they have studied thematic and stylistic problems, mostly from a feminist perspective. The present study offers an overview of all of Ana Care known works as well as addressing the various issues faced by her as a woman wzter in seventeenth-century Spain. Is her writing different from that of her contemporaries? If so, how is it different? Is this difference typical of women*s writing? Answers to these questions are suggested by a close study of Ana Caro's dramatic and non-dramatic works. El conde Partinuoles is a play based on a romance of chivalry of the same title, a work in which the principal role is played by a female character. In addition to its romance source, the play is compared to other works with similar structure and/or theme: Tirso de Molina's Amar oor seRa & Lope de Vega's La viuda valenciana and Calderon de la Barca La vida es sueiio and EI Conde Lucanor. Valor. aeravio v muier is compared to contemporary plays that deal with the themes of the �woman dressed as a man and the �woman seeking to restore her lost honor,especially to Calderon de la Barca La vida es suerio and Tirso de Molina Don Gil de las calzas a. The male disguise has a different degree of importance in these three plays. For Ana Care, the male disguise is a device used by her female protagonist to attain freedom of movement; it is also a means by which the female protagonist--and in turn the author--can express her thoughts with a male voice and be heard. Ana Care�s remaining works belong to two genres which conform to and support the ideology of the State: religious plays and occasional verse. But even here, the female authorship manifests itself with references to a community of women writers, women readers, and women patrons. Through a thorough textual and comparative analysis, we come to see the author of these woiks as a woman who is aware of her marginal role in the society. Ana Caro presents a case of subversion and conformity in which she apparently upholds the values of the patriarchy and yet quietly questions certain aspects of the male-dominated world in which she lived.

      • 척수손상 백서에서 트레드밀 운동 및 저체온 적용이 신경성장인자 발현에 미치는 효과

        천진 東新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는 실험적으로 척수에 손상을 가하여 유발된 척수손상 모델 백서에서 트레드밀 운동과 저체온법이 백서의 운동 기능 및 신경성장인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각 실험군은 spinal cord impactor를 이용해 척수손상을 유발하지 않는 정상군인 실험군 Ⅰ, 척수손상 유발군인 실험군 Ⅱ, 척수손상 유발 후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한 실험군 Ⅲ, 척수손상 유발 및 저체온 적용 후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한 실험군 Ⅳ로 분류하였다. 각 실험군에서 신경학적 운동행동 검사, 척수와 근육의 조직학적 검사, BDNF와 Trk-B의 면역조직화학적 변화를 관찰,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신경학적 운동행동 검사결과 척수손상 정상군을 제외한 모든 실험군에서 유발 14일 이후 전반적으로 좋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실험군 Ⅳ에서 14일과 21일에 치료기간이나 다른 실험군과의 비교에서도 기능적으로 더욱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다. 2. 근육의 병리학적 관찰결과 척수손상 유발 후 실험군 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근섬유의 변형, 염증반응, 근위축 등의 소견을 보였으며, 실험군 Ⅱ에서 가장 심한 소견을 보였고, 실험군 Ⅲ과 Ⅳ에서 근섬유의 변성과 염증반응들이 호전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척수의 병리학적 관찰결과 척수손상 유발 후 신경세포의 감소 및 파괴, 변형, 공동현상 등의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실험군 Ⅱ에서 가장 심한 소견이 나타났다. 실험군 Ⅲ와 Ⅳ에서 신경세포의 변성과 파괴, 연화반응 등이 호전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3. 척수의 BDNF와 Trk-B의 면역조직화학적 관찰 결과 척수손상 직후부터 면역 양성 반응을 보이지만 척수손상 유발 14일 후부터 증가된 면역 양성 반응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실험군 Ⅳ에서 BDNF와 Trk-B에 대한 면역 양성 반응이 현저히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척수손상 백서 모델에서 저체온법과 트레드밀 운동의 적용이 척수손상에서 신경세포의 변성과 파괴의 지연 및 근위축의 개선과 신경성장인자의 발현에 변화를 가져와 운동기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사실은 척수손상에 대한 치료적인 접근으로 저체온법 및 트레드밀 운동이 효과적인 방법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readmill exercise and systemic hypothermia on nerve growth factor after experimental Spinal Cord Injury(SCI) rats. SCI was induced by the NYU-spinal cord impactor(NYU, USA) dropped a weight of 10 gm after laminectomy.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the Group Ⅰ(normal), Group Ⅱ(control), Group Ⅲ(treadmill exercise) and Group Ⅳ(treadmill exercise with hypothermia group). Starting 2 days after the operation 24 rats(group Ⅲ, Ⅳ) were trained to walk quadrupedally on treadmill for 21 days, twice a day for 15 min, and group Ⅳ received hypothermia treatment for 20 hours. After operation, rats were tested at modified Tarlov scale at 1, 2, 3, 4 days with divided into 3 groups, and Motor behavior test(BBB locomotor rating scale, Grid walking test, Narrow beam crossing test, Modified inclined plane test) was examined at 1, 3, 7, 14 and 21 days. Histopathological studies were performed at 1, 3, 7, 14 and 21 days by H & E, Luxol Fast Blue staining, and immunohistochemistry BDNF(Bar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Trk-B(Tryrosin kinase receptor-B) were same times.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After SCI an improvement of motor behavior was shown group Ⅱ, Ⅲ, Ⅳ. The motor behavior test of group Ⅲ, Ⅳ showed considerable improve- ment until 14 days. 2. Immunohistochemical response of group Ⅲ, Ⅳ resulted in an increase in BDNF and Trk-B levels after 14 days. 3. The expression of BDNF and Trk-B, immunohistochemical response of BDNF and Trk-B in astrocyte of whit meter appeared highest in group Ⅳ.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ercise and hypothermia treatment can play a role in facilitating recovery of locomotion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 잔골재로서 규사의 활용방안에 관한연구

        천진 경상대학교 산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23

        Lately, aggregate resources have become ever so severely depleted, which is spotlighted as a social issue. Silica sand, one of fine aggregates, has homogeneous aggregate quality, little foreign substances and constant water content compared with river sand. In addition, this silica sand is already commercialized and instantly available on demand in construction works. Owing to these advantages, it is already widely used for common plasterwork, repair work, finishing work and more, particularly for repair mortar works using polymer and epoxy resins. However, current silica sand available in market is merchandised by sand type based on grain size of sand, resulting in many problems in use due to different grain size even for the same sand type depending on aggregate suppliers, or incompatibility with Korean Industrial Standards. Besides, Silica Sand Type 4, 5 and 6(hereinafter S4, S5 and S6) are used primarily on small- or middle-scale repair plasterwork sites, but in many cases, one of these three types is generally selected as a single grain size type aggregate because of convenience in purchase and work. In this case, one advantage is to enable homogeneous construction, but from the perspective of aggregate theory, there can possibly be several problems in mortar fluidity, strength, amount of cement used and durability due to single grain siz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and review the current state of production, usage, types, actual applications and prospects of silica sand, which is affluent in its deposits nationwide, as a part of developing alternative resource for fine aggregate, so that it can provide correct understanding about silica sand and basic data for efficient use of silica sand. In addition, this study also aims to make manufacturer-specific quality investigation and examine possible ways to make more efficient use of silica sand which was previously used as single grain size by combining different types. By selecting S4, S5 and S6 used widely out of current silica sands in market, this study set up a plan to make mortar in case of using them as single grain size and using a mixture of 2 or more types at equivalent ratio, and compared them with common mortar using river sand.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of silica sand by each grain size through sieve test. Based on the investigation, a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pre-hardened and post-hardened mortar with W/C = 60% and cement: fine aggregate = 1:2, using total 7 types of silica sand, i.e. three single grain size types (S4, S5 and S6), three 1:1 silica sand mixture types (S45, S56, S46), and one 1:1:1 silica sand mixture type (S456), in order to find out mortar’s workability and hardened mortar’s properties. Standard curing was applied as a curing condition to these specimens, and age was applied as long as 3, 7 and 28 days to compression test; 28 days to tension strength; and 28 days to bending strength test. Next, length variations were measured after shake-out, and a 7-day water curing was applied to those specimens before constant temperature/humidity curing. Then, this study conducted fact-finding survey, literature survey and experimental research about the properties of mortar mixed with silica sand, and thereby examined possible ways to use silica sand as a fine aggregate. As a result, this study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1) in construction field, 210,000 tons of silica sand was traded in market as of 2005, and is widely used for tile cement, grouting, hardener, artificial marble, self-leveling material, repair mortar and high strength concrete. Though more expensive than river sand, silica sand is usually more advantageous and widely used in repair work than river sand, since urgent process is often required for repair works using polymer cement mortar, high strength mortar for grouting and more, and those repair works often require homogeneous fine aggregate without impurities. 2) There has not been any finding or literature yet about amount of silica sand used for construction works in comparison with total production of silica sand, so it was impossible to forecast future of silica for construction works. In view of these considerations, it is required for relevant institutions or bodies to prepare a statistic data on silica sand. In addition, current silica sand traded in market is produced by each manufacturer according to sand type based on grain size, but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silica sand type, since there are different grain sizes by sand type even between companies, and those silica sands fail to meet “KSD2121 Silica Sand for Mold” as a KS standard. The results of experiment showed that S5 was typically most often used as single grain size for repair work; S5’s fineness modulus ranged from 2.73 to 2.78, which is equivalent to grain size of common fine aggregate for construction; the grain size of silica sand is classified into S1 to S8 for production, with S4 to S7 being mainly used for repair plasterwork or tiling work. 3) The results of sieve test showed that silica sand produced by two manufacturers had different grain sizes by each sand type, even though it was same sand type, which requires correct reference values. But a 1:1 silica sand mixture (S46) and particularly a 1:1:1 silica sand mixture (S456) are almost comparable to standard grain size of silica sand and shows performance equivalent to mortar. 4) In case of mortar using one silica sand type as single grain size, it was found that S5 was most advantageous in workability, prevention of material separation, and strength. S4 has potential of material separation, and S6 is disadvantageous in all strength levels and consistency. 5) Out of all 1:1 silica sand mixtures, S46 (a mixture of S4 and S6) was most excellent in workability and strength. 6) A 1:1:1 silica sand mixture using 3 types of silica sand was most excellent in both workability and strength. And it was noted that even air-dried silica sand mixtures in use on sites had performance almost comparable to mortar using quality river sand processed with saturated surface dry (SSD), so they are most recommendable in use on sites. 7) It is advisable that S5 should be used as single grain size type of silica sand in use on sites, while S46 silica sand mixture should be used as 1:1 silica sand mixture on sites.

      •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인식, 태도 및 실천행위

        천진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구강건강관리 인식과 태도, 실천행위와의 관련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의 지속적인 구강건강 지식전달과 올바른 태도가 형성되어 실천할 수 있도록 구강보건증진을 위한 기초 교육자료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2011년 2월 18일부터 2월 20일까지 대구시 지역아동센터 교사 직무연수기간동안 1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수집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및 백분율 등의 기술통계와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구강건강관리 인식점수는 평균 19.13점, 태도점수는 평균 7.84점, 실천행위점수는 11.94점으로 비교적 높게 나왔다. ․ 구강건강관리 인식, 태도 및 실천행위는 구강보건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아동의 구강검진 기회를 제공하는 경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 대상자의 구강건강관리 인식과 태도, 실천행위의 상관관계는 구강건강관리 태도와 구강건강관리 실천행위 간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강건강관리 실천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경우, 아동 구강검진 기회를 제공하는 경우, 그리고 구강건강관리 태도점수가 높을수록 실천행위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구강건강관리 실천행위는 구강보건 교육의 경험 유무와 구강건강관리의 태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지역아동센터 교사를 대상으로 올바른 구강건강관리 태도가 형성되어 실천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구강보건 교육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By reviewing the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in regard of the subject of oral hygiene among the teachers at the local Center for Children's Welfare, this study is to provide of the guidelines for improving the oral hygiene of children visiting the local Center for Children's Welfare through consistently conveying the medical knowledge of oral hygiene to them, and guiding them toward an appropriate attitude for it. The author administered a questionnaire with 105 teachers while undergoing his/her teacher's internship at a local Center for Children's Welfare in Daegu-Si, from Feb 18th to Feb 20th, 2011. The statistical techniques as frequencies and mean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PASW 18.0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 The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of dental health care was average 19.13 point in knowledge, average 7.84 point in attitudes, average 11.94 point practicely high in gender role values. ․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ase with oral health education, children's dental check-up opportunities in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of dental health care. ․ The result of correlation among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of dental health care was found attitude and practice level of positive correlation(p<.001). ․ The multiple eutered regression results related each variable to practice of dental health, the practice is significant affecting to oral health education, children's dental check-up opportunities, and the higher score attitude of dental health ca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entioned so far, the teacher's practices of administering the oral hygiene is deemed to be influenced by the existence of their experiences in the oral hygiene educations, and their attitudes on the subject. It is, therefore, just to provide an education program about the subject to the teachers on consistent base, in order to assist them to develop an appropriate attitude which would lead to better pract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