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모바일 RSS를 적용한 자동차 환경인증 정보시스템 설계

        천지영 인하대학교 공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내의 제작자동차 배출가스 인증제도는 자동차를 생산하고 판매하기 전에 시제품(Prototype)을 생산하여 배출가스 및 소음에 대한 인증을 취득한 후 자동차를 생산하며, 생산중인 자동차에 대한 품질검사를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인증절차를 진행함에 있어 모든 민원신청에 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실시간 정보조회가 가능하도록 민원편의를 제공하고자 RSS 서비스를 적용해보았다. 웹을 표준화하고 콘텐츠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으로서 웹 2.0의 핵심개념인 개방성, 이동성, 연결성의 중심에 있는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기술을 적용하여 사용자는 배포된 콘텐츠를 RSS 리더기로 해당 주소 등록을 통한 맞춤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현 인증시스템에 RSS 표준기술을 적용하여 현재 상용화되어있는 RSS리더기를 통한 실시간 알림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계하였으며, 유무선 연동을 통하여 웹이든 모바일이든 사용자(인증신청인)가 배출가스 인증절차를 진행하면서 각자 편리한 방법을 택하여 인증진행 현황에 대한 요약정보를 제공받게 될 것이다. According to Korean Accreditation System for the Automobile Exhaust Gas, a mass production of automobile is possible after the prototype automobile passes the environmental standard of the exhaust gas and noise. It is also needed to do in site quality test for each commercial products during the production. Really Simple Syndication(RSS) Technology is a kind of platforms. It can standardize WEBs and shear their contents. The core technology of WEB2.0 is the versatility, the mobility, and the connectivity. RSS is in the center of its technology. (In this study, we applied RSS technology to the customer service in the public office.) Using the commercialized RSS Readers, we designed and assigned the address of the individual clients to fit the present Accreditation System. After RSS is introduced into Accreditation System for the Automobile Exhaust Gas, every client can check and monitor the results of their claims and complaints on time through Internet. The applicants can receive their proceeding information through WEB or wireless.

      •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비교 분석

        천지영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investigated perception and needs of nutrition education targe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to seek a method to perform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The investigation was performed from June 21 to June 28 in 2010 by directly visiting 5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Jinju-si, distributing 580 (teacher : 200, student : 380) questionnaires. Among returned questionnaires, 320 (return rate : 95%) except for those improper were analyzed using SPSS 15.0, a statistical program. The following is the result. First, teachers and students both highly perceive the need of nutrition education by a dietitian(nutrition teacher) and the latter had greater perception of the need than the former. On the question asking the reason for positive response to the need of nutrition education by a dietitian(nutrition teacher), they responded that it would give a possible opportunity to link it to relevant school-meal education covering eating habit and table manners, and on the contrary in case of negative response, teachers considered current nutrition education enough and students considered home nutrition education sufficient. Second, 86.5% of teachers responded nutrition education has been performed at the relevant school and negative response accounted for 13.5% suggesting work overloaded for the reason. There was considerable disagreement about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independent nutrition education curriculum. Among the students, 70.3% responded no class experience of nutrition education by a dietitian(nutrition teacher) and represented mean value 3.52 on the item of required opportunity of various nutrition educations on 5-point scale, indicating that different nutrition educations are required. Third, on the item ‘beginning of nutrition education', preschooler accounted for the majority as a whole while analysis across group suggested the most appropriate time considered by two groups appeared different with the result of preschooler for teacher group and upp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for student group. On item ‘responsible staff for nutrition education', a dietitian(nutrition teacher) accounted for the majority, and concerned with frequency to perform nutrition education, teacher group responded 1.27 hour per week and student group 1.63, indicating the latter required more hours compared to the formal. Fourth, on the item ‘appropriate time to perform nutrition education', most teachers responded relevant subject class while most students selected extracurricular activity class. Teacher group highly preferred watching multi-media as a form of nutrition education while student group selected cooking practice most, indicating significant difference, and both groups desired multi-media most as basic material to use. Content of proper eating habit was most required for nutrition education. Fifth, on the item ‘student needs and, teacher status and conduct of nutrition education content,' it suggested that student group required food hygiene and safe food intake and teacher group considered proper eating habit most critical, which resulted in best conducted table manners content. On preference of nutrition education method, direct education linked to nutrition-relevant subject ranked top in teacher group and extracurricular activity class in school group. Sixth, teachers considered lack of standardized program the biggest problem in nutrition education, suggested establishment of family-linked instruction system as a method to vitalize the education and expected acquired learning of nutrients and well-balanced diet as its effect. In sum, it suggested that nutrition education has not been vitalized due to lack of educational material and program, and different environmental difficulties, although teachers and students highly perceive its needs. For further vitalization of nutrition education, support and attention of the government are required, along with efforts of dietitian(nutrition teacher) to supply students with high- quality nutrition and education by developing and practising their ability. 본 연구는 효과적인 영양교육 실시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본 조사는 2010년 6월 21일부터 6월 28일까지 진주시 소재의 5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직접방문을 통해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는 580부(교사 200부, 학생 380부)를 배부하여 회수된 설문지중 불성실한 것을 제외하고 420부(교사 170부(회수율:85%), 학생 320부(회수율:95%))를 SPSS 15.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학생은 영양(교)사에 의한 영양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생이 교사보다 필요성을 더 크게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양(교)사에 의한 영양교육의 필요이유에 대해 교사와 학생은 식습관, 식사예절 등 급식과 연계한 교육이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하였으며, 영양(교)사에 의한 영양교육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로 교사는 현재의 영양교육만으로도 충분하다는 응답을, 학생은 가정에서의 영양교육만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교사들의 86.5%가 현재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응답하였고, 13.5%는 업무과다 등의 이유로 영양교육을 실시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으며, 영양교육의 독립교과 설치 운영에 대해서는 반대의견이 높았다. 학생들은 영양(교)사에 의한 영양교육 수업경험에 대해 70.3%가 없다고 응답하였으며, 다양한 영양교육 기회의 필요정도에 대한 5점 척도 문항에서 평균 3.52의 응답을 보여 다양한 영양교육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와 학생은 영양교육의 시작시기에 대한 응답으로 전체적으로는 유치원을 가장 많이 응답 하였으나, 집단별로는 교사는 유치원을, 학생은 초등학교 고학년을 영양교육 시작시기로 적당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교육의 담당자로 교사와 학생은 영양(교)사를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영양교육 실시빈도에 대해 교사는 주당 1.27시간, 학생은 1.63시간을 응답해 학생이 교사보다 더 많은 시간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영양교육 실시시간에 대해 교사는 관련교과시간에 가장 많은 응답을 보였으나, 학생은 특별활동시간에 가장 많은 응답을 보였다. 영양교육 수업형태에 대해 교사는 멀티미디어 시청에 높은 응답을 보였으나, 학생은 조리실습에 대한 응답을 가장 많이 하여 차이를 보였으며, 영양교육시 활용하는 기자재에 대해서는 교사와 학생 모두 멀티미디어를 가장 많이 원했으며, 영양교육 내용에서도 올바른 식습관에 대한 내용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다섯째, 영양교육 내용에 대한 학생의 필요도, 교사의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해 학생은 식품위생 및 안전한 식품섭취에 대한 내용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는 올바른 식습관을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사예절에 대한 내용을 가장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교육 방법에 대한 선호도에 대한 응답으로 교사는 영양관련 교과와 연계한 직접교육에 가장 높은 응답을 보였고, 학생은 특별활동에 가장 높은 응답을 나타냈다. 여섯째, 교사들은 영양교육의 문제점과 활성화방안 및 기대효과에 대해 표준화된 프로그램 부족을 영양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영양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는 가정과의 연계지도체계 마련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영양소와 균형 잡힌 식사에 대한 지식습득을 영양교육을 통해 기대되는 효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교사와 학생은 영양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으나 교육 자료나 프로그램의 부족과 여러 가지 환경적인 어려움으로 영양교육이 활성화 되지는 못하고 있다. 향후 영양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겠고, 영양(교)사 또한 학생들에게 양질의 영양공급과 영양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개인의 능력을 개발하고 실천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급성 뇌경색환자의 치료추구시간 영향요인 : 급성 뇌경색환자의 치료추구시간

        천지영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치료추구시간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요인은 스스로 증상이 심각다고 느낄수록 , 발현장소가 외부에서 발생할수록, 동거인이 있을수록 병원도착까지 걸린 시간이 짧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뇌졸중 발병시 심각하다고 느낀 경우가 치료시간 단축의 가장 큰 요인으로 볼 수 있기에 뇌졸중에 대한 교육시 증상과 대처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과 뇌졸중이라는 질병이 시간을 다투는 응급상황임을 인지 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읍, 면 단위의 지역민을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

      • 생활습관 및 근무형태와 고혈압 발생의 관련성 :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지역사회기반 코호트 자료(2001-2016) 이용

        천지영 이화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relevance of lifestyle and work patterns and high blood pressure generation to the general population, and to prioritize them by comparing the influence of each individual factor to prepare basic data for efficient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hypertension. The research data used data from 2001 to 2016 from the Korea Genome Mechanics Survey Cohort Business Community Based Cohort, which was collect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5,759, with 2,704 men and 3,055 women. The analysis method conducted a Cox proportional risk analysis to determine the relevance of lifestyle and work patterns and high blood pressure generation, and calculated the percentage of population contribution risk of living habits and service types using the levin's formula. The link between lifestyle and work patterns and high blood pressure occurrence was determined and in the case of physical activity, men were 1.159 times more likely to develop high blood pressure in model 3 (95% Cl:1.003-2.584). In the case of drinking, the risk of high blood pressure is 1.244 times higher if men drink (95% Cl: 1.026-1.509). For smoking, the risk of high blood pressure in Model 3 is 1.063 times higher if men smoke (95% Cl:1.036-1.204). For meat consumption, the risk of high blood pressure in Model 3 is 1.244 times higher if men consume it more than three times a week (95% Cl: 1.066-1.453). For sodium intake, the risk of high blood pressure in model 3 was 1.401 times higher if men consumed more than 4,000 mg (95% Cl: 1.081-1.596) and for women if they consumed more than 4,000 mg, the risk of high blood pressure in model 3 was 1.241 times higher (95% Cl:1.095-1561). In addition,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showed that each factor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alculating the population contribution risk ratio, men consumed the most sodium, with 22 percent, followed by 13 percent for those who were less physically active and 12 percent for those who were currently drinking. Women had the largest influence with 15 percent of sodium intake, followed by 11.5 percent for those who work shifts and 8.43 percent for those who have less physical activity. Sodium intake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high blood pressure. Based on this, it means that effective high blood pressure prevention and management will be possible if diet management and health education are implemented that can control sodium intake. This study calculated the population contribution risk fraction to compare the influence of lifestyle factors affecting the occurrence of hypertension. Since population contribution risk-sharing rates values can vary depending on individuals and populations, prevention strategies for diseases are important, and further studies are needed on various lifestyle factors that may affect future high blood pressure generation. 본 연구는 일반인구를 대상으로 생활습관 및 근무형태와 고혈압 발생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각 개별 요인의 영향력을 비교하여 우선순위를 정해 효율적인 고혈압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데이터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집된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 코호트 사업 지역사회기반코호트 2001년부터 2016년 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였고, 총 대상자는 5,759명으로 남성 2,704명과 여성 3,055명이다. 분석방법은 생활습관 및 근무형태와 고혈압 발생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콕스비례위험분석을 실시하고, levin’s 공식을 사용하여 생활습관 및 근무형태의 인구집단기여위험분율을 산출하였다. 생활습관 및 근무형태와 고혈압 발생의 관련성을 파악한 결과 신체활동의 경우 남성은 저강도 운동을 할 때 모형 3에서 고혈압 발생 위험이 1.159배 높았다(95% Cl: 1.003-2.584). 음주의 경우 남성이 음주를 한다면 고혈압 발생 위험이 1.24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95% Cl: 1.026-1.509). 흡연의 경우 남성이 흡연을 한다면 모형 3에서 고혈압 발생 위험이 1.06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95% Cl: 1.036-1.204). 육류 섭취의 경우 남성이 육류 주 3회 이상 섭취를 한다면 모형 3에서 고혈압 발생 위험이 1.24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95% Cl: 1.066-1.453). 나트륨 섭취의 경우 남성이 4000mg 이상 섭취를 한다면 모형 3에서 고혈압 발생 위험이 1.40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95% Cl: 1.081-1.596), 여성이 4000mg 이상 섭취를 한다면 모형 3에서 고혈압 발생 위험이 1.24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95% Cl: 1.095-1.561). 추가적으로 독립변수간의 영향력을 보정하여 분석한 결과, 각 요인들은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집단기여위험분율을 산출한 결과 남성은 나트륨 4000mg 섭취 군이 22%로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신체 활동 적은 군 13%, 현재 음주를 하는 군 12%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나트륨 4000mg 섭취 군이 15%로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교대 근무를 하는 군 11.5%, 신체 활동 적은 군 8.43% 순으로 나타났다. 나트륨 섭취가 고혈압 발생에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나트륨 섭취를 조절할 수 있는 식단 관리 및 보건 교육을 시행한다면 효율적인 고혈압 예방 및 관리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고혈압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습관 요인의 영향력을 비교하기 위해 인구집단기여위험분율을 계산하였다. 인구집단기여위험분율 값은 개인 및 인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질병에 대한 예방 전략이 중요하고, 향후 고혈압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생활습관 요인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미래 대학의 수업형태에 관한 배움학적 연구 : 시나리오 플래닝을 중심으로

        천지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등교육의 대중화로 인해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대학의 목적이 되었으며, 정보통신의 발달로 다양한 수업형태가 등장함에 따라 현재의 대학 수업형태는 변화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미래학을 바탕으로 변화하고 있는 환경 속에서 발생 가능한 수업형태를 탐색하고, 이를 미래 대학을 위한 하나의 대안적 수업형태로 제시하였다. 또한 도출된 수업형태에서 수업의 의미와 교수와 학생의 역할을 배움학적 관점으로 분석해봄으로써 미래 대학의 수업형태에 배움학이 실용성을 가질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미래학의 대표적인 연구방법인 시나리오 플래닝을 적용하였다. 왜냐하면 시나리오 플래닝을 통해 미래 대학 수업형태를 묘사해 봄으로써, 실현될 수업형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먼저, 미래 대학의 수업형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미래 대학의 수업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동인 4개를 선정하였다. 핵심동인은 수업 매체와 관련된 ‘가상공간 활용 확대 여부’, ‘지능형 단말기 도입 확대 여부’와 수업 공간과 관련된 ‘수업형태가 다수가 한 공간에 모이는 형식에서 소수 집단 모임으로 전환될 여부’, ‘수업 공간이 다른 장소로 전환될 여부’가 선정되었다. 그 다음으로, 핵심동인들을 포함하고 있는 수업 공간과 수업 매체를 추동요소로 선정하여, 각각 2가지의 발생상황을 사분면에 적용시켜 4가지의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시나리오 1은 전통적 수업형태로 면대면 강의실 수업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시나리오 2는 크로마키식 수업형태로써 강의실에서 수업매체를 통해 구현된 가상스튜디오를 활용한 형태이다. 시나리오 3은 코스모폴리탄식 수업형태로 수업 공간에 구애를 받지 않고, 다양한 장소에서 소수 집단 모임으로 수업이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시나리오 4는 개방형 모둠 수업형태로 개방형 네트워크를 통한 가상공간에서 소수 집단 모임으로 수업이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배움학적 관점에서 각 시나리오에서의 수업의 의미와 교수와 학생의 역할을 살펴보면 시나리오 1인 전통적 수업형태에서는 수업이 공동학습으로써 의미를 지니며 교수는 통제적 조력자, 학생은 지식습득자의 역할을 한다. 시나리오 2인 크로마키식 수업형태에서 수업은 쓰임새학습을 의미하며 교수는 안내자 및 촉진자의 역할을, 학생은 자기주도적 실천인으로써의 역할을 지닌다. 시나리오 3인 코스모폴리탄식 수업형태에서는 수업이 공동학습을 통한 쓰임새 학습을 의미하며 교수와 학생 모두가 공동학습자가 된다. 시나리오 4인 개방형 모둠 수업형태에서 수업은 자기주도학습을 기반으로 한 공동학습으로써 의미를 지니며, 여기서 교수는 질문자로, 학생은 문제해결자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추동요소로 선정된 수업 매체의 발달과 수업 공간의 변화가 미래 대학 수업형태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된다. 둘째, 도출된 시나리오들을 통해 미래 대학의 수업에서는 다양한 수업 방법이 고안되고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셋째, 배움학적 분석을 통해 미래 대학의 수업 형태에 배움학이 하나의 실천적 대안으로써 적용 가능함을 입증해 주었다.

      • 중학생의 영작문에 나타나는 오류 분석

        천지영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Foreign language learners make a great deal of errors when communicating in English either in oral or in written. In fact, it is impossible to acquire a foreign language without making errors. These errors are significant to teachers in that they show evidence of the processes learners go through in learning English, and of various strategies they are applying. Written composition by English learners can be analyzed to reveal both the sources of their errors and to correct their err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rrors of English writing made by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make suggestions on effective and appropriate methods of teaching English writing. This theoretical study is based on an interlanguage approach, a 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 and an error analysis, though this study is mainly based on error analysis. In this study, the writing was analyzed of 73 third grade students from two classes of a middle school in Daejeon. The students, in their regular class, were asked to write a paragraph with the title of 'My Favorite' and it was less ten sentences in length. The students had studied English for about three years, so I considered them to be in the early stage of the development of English writing ability. The sources of errors made by the students in this study we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interlingual transfer and intralingual transfer. The former category was again divided into 7 domains: word order, subject omission, article error, verb omission, coordinate conjunction, and unsuitable vocabulary. Similarly, the latter category was divided into 6 domains: omission of grammatical morpheme, plural noun, third person singular verb with 's' ending, consonant addition, possessive case, and voice. Students made more errors by interlingual transfer than by intralingual transfer. These results support the common belief that early stage learners make errors by interlingual transfer, and that as the learner acquires more of the target language, an increasing number of intralingual errors are manifested. These results suggest how to approach teaching writing skills to middle school students, and it will lead students' writing to greater progress and improvement. Based on the frequent errors of middle school learners, teachers should help students by focusing on both fluency and accuracy to prevent them from continually repeating the same errors. The ultimate aim of language acquisition is to achieve more natural communication ability, so it is important to revise leaners' errors with careful attention lest you should interfere in their natural communication.

      • 일반사회전공 교육대학원생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적 효능감에 관한 연구

        천지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사회는 2000년 이후 다문화가정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다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사회과는 사회와 국가의 요구를 민감하게 다루기 때문에 다문화 교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사회과 교사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중요한데, 다문화가정 학생의 수치로 미루어 현 예비 사회과 중등교사들이 교사가 될 시기에는 다문화 교육은 필수적인 주제가 될 가능성이 높다. 그런 의미에서 예비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예비교사 중에서도 학력이 높을수록 다문화 교육 인식수준이 높다는 선행연구에 따라 다양한 배경 변인을 갖춘 일반사회전공 교육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이들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적 효능감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문화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다문화 태도는 다문화가정 학생 뿐 아니라 다문화가정을 바라보는 일반학생의 태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다문화적 효능감은 교사가 다문화적 환경에서 잘 가르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의미하며, 이러한 교사의 다문화적 효능감이 높을수록 학생들의 학교적응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적 효능감은 다문화 교육을 성공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인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도권에 소재하는 14개 대학 일반사회전공 교육대학원생 162명을 대상으로 일반사회전공 교육대학원생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적 효능감에 대해 연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 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Scheffe test,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사회전공 교육대학원생들의 다문화 태도는 대체로 높은 수준이었다. 전체 평균이 4.08점으로 그렇다 수준의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하위영역을 보면, 교사교육태도 4.26점, 교육과정에 대한 태도 4.15점, 교사역할에 대한 태도 4.04점, 교사의 일반적 태도 3.92점 순으로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배경변인에 따른 다문화 태도를 살펴보면, 교육대학원 학기는 다문화 태도 중 일반적 태도와 교사역할태도에서 3,4학기 학생이 1,2학기나 5,6학기 학생보다 낮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사후검정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직업은 교사의 일반적 태도, 교사역할태도, 교사교육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사후검정에서도 기타직군이 가장 높고 학생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해외체류여부는 교사의 일반적 태도와 교사교육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1년 이상 체류 집단이 세 집단보다 좀 더 긍정적 태도로 나타났다. 해외체류목적은 일반태도, 교사교육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해외에 거주하거나 봉사 등의 기타 목적으로 체류한 집단이 어학연수, 유학, 여행 보다 긍정적 태도로 나타났다. 다문화 관련 수업 수강 경험은 교사의 일반적 태도, 교사역할태도, 교육과정태도에서 다문화 관련 수업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긍정적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문화 보도자료 관심도는 다문화 태도의 하위영역 모두에서 다문화 보도자료에 관심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 보다 긍정적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문화가정 자녀 접촉여부는 교사의 일반적 태도에서만 접촉이 있었던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다문화 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다문화 관련 수업 수강 경로, 종교유무, 중·고등학교 성장도시, 연령, 전공, 교육대학원 입학동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일반사회전공 교육대학원생의 다문화적 효능감의 전체 평균은 다문화 태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3.67점이었고 인간관계증진측면 3.87점, 일반기능측면 3.79점, 다문화가정 배려측면 3.69점, 수업기능측면 3.39점 순으로 긍정적 효능감을 나타내었다. 배경변인에 따른 다문화적 효능감을 살펴보면, 교육대학원 학기에서는 다문화가정배려측면에서만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사후검정에서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성별은 일반기능과 인간관계증진측면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종교유무는 일반기능과 수업기능에서 종교가 없는 집단이 종교가 있는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문화 수업 수강경로는 인간관계증진 측면에서 학교 외 특강, 대학원수업, 학부수업, 기타경로로 나타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중·고등학교 성장도시는 일반기능, 인간관계증진, 다문화가정배려영역의 효능감 모두 특별시·광역시에서 자란 집단보다 읍·면, 중·소도시에서 자란 집단의 다문화적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관련 수업 수강 경험, 다문화 보도자료 관심도, 다문화가정 자녀 접촉여부에서는 하위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해외체류여부, 해외체류목적, 연령, 전공, 교육대학원 입학동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적 효능감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다문화 태도 전체와 다문화적 효능감 전체의 상관관계는 상관계수 r=.563(p<.001)으로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문화 태도의 하위영역과 다문화적 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교사의 일반적 태도가 상관계수 r=.591(p<.001)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상대적으로 교육과정태도가 r=.266(p<.01)으로 가장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태도의 하위영역과 다문화적 효능감의 하위영역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일반기능 측면의 효능감에서는 교사의 일반적 태도가 r=.539(p<.001)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교사역할, 교사교육, 교육과정태도 순으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다음 수업기능측면에서도 교사의 일반적 태도가 r=.507(p<.001)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교사역할, 교사교육의 순으로 정적인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육과정에 대한 태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그 외 인간관계증진과 다문화배려측면의 효능감에서도 교사의 일반적 태도가 가장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교사역할에 대한 태도, 교사교육태도, 교육과정태도 순의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반사회전공 교육대학원생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적 효능감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나 다문화적 효능감의 하위영역 중 수업기능측면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러므로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는 학습자료 개발 및 수업지도 과정이 포함된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다문화 수업 수강경험, 다문화가정 접촉, 다문화 보도자료 관심이 교육대학원생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적 효능감에 긍정적인 태도 및 효능감을 형성하는 만큼, 중등 사회과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는 직접 다문화 관련 경험을 해볼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country is expanding to a multicultural society as the outburst of multicultural family, thus, a multicultural education would be significant before everything else. Since social studies education, particularly, handles the demand of society and state sensitively, it is germane to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t is very important to examine the role of social studies education teachers. Moreover, as judging from the figure of multicultural student, the chances th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becoming an essential issue are pretty excellent by the time when the current social studies education preservice teacher become the actual one. In that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of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o are qualified with some diverse background factors among the preservice teachers. We carried out survey targeting on social studies education in 14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locate in metropolitan area. We have collected 177 papers overall, and selected 162 out of them as the object of research except for 15 papers which were answered faithless or by current or short-term teachers. For this study, we have used SPSS win 18.0 program to analyze, and the finding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of social studies educaion major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corded each 4.08 and 3.67 points that are quite high by and large. On the other hand, the lesson function aspect was answered low relatively. Second,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are a correlation coefficient, r=.563(p<.001), and it showed high normal correlation. As we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ordinate scope of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all those subordinate scopes turned up as static correlation. But in the aspect of lesson function, all showed the meaningful static correlation except the attitude towards the education procedure. Third, as we look up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in accordance with the background variable of social studies education major students in graduate school, the semester showed some meaningful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the general attitude and the instructor’s role attitude among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the students in the third and fourth semester showed some meaningful differences from each students in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 or in the fifth and sixth. Though the multicultural efficacy also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aspects of the consideration to multicultural family, it didn’t turned up meaningful in the post-hoc comparison. The occupation, the status of living abroad, and the object of living abroad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statistically only in the multicultural attitude. First of all, the occupation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general attitude, the teacher’s role attitude, and the teacher education attitude. The status of living abroad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general attitude and the teacher education attitude. The object of living abroad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general attitude and the teacher education attitude. The gender, religion status, the route of registering the multicultural lesson, and the senior secondary school growing city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only in the multicultural efficacy. First, the gender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spects of the general function and the improvement in personal relationship as the male appeared higher than the female. For the religion status, the group with no religion showed statistically more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general function and the lesson function than of the group with religion. The route of registering the multicultural lesson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s it appeared as the special lecture off the campus, the graduate course, the undergraduate study, and some other routes in the aspect of the improvement in personal relations. In the senior secondary school growing city, the group grew up in the small towns and the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showed higher multicultural efficacy for the domains of the general function, the improvement in the personal relations, and the consideration to multi-cultural family than of the group grew up in the metropolitan cities. The experience of registering lessons related to the multiculture,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 press release related to the multiculture, and the contact condition with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showed high multicultural efficacy and attitude, thus there has shown very clear difference. In the multicultural attitude, since the group has experiences of taking lessons related to the multiculture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han the group with no such experience in the teacher’s general attitude, teacher’s role attitude, and the education procedure attitude,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t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multicultural efficacy as all the subordinate scopes appeared higher. For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 press release related to the multiculture, the group with higher interest in the press release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and efficacy in both subordinate scopes of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group with no interest in the press release. For the contact condition with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the group which has only experience in contact in the general attitude among the multicultural attitudes showed higher multicultural attitude than of the group with no contact. On the other hand, it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multicultural efficacy, because the group which has experience in contact with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showed higher efficacy than of the group with no contact. The gender, the major, and the purpose of admission to the graduate school all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both in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Namely, although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of social studies education major students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re relatively higher than of the college students who are the preservice teacher, the aspect of the lesson function in the subordinate scope of the multicultural efficacy showed relatively lower. As a consequence, further expansion of the curriculum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learning material and the lesson instruction process is necessary. In addition, since the experience in registering the lesson related to the multiculture, the contact with the multiculture, and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 press release related to the multiculture has formed positive attitude and efficacy in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of social studies students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t implies that more opportunity for experiencing the multiculture in person should be provided in aspect of the teacher education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2015 개정 『문학』 교과서 현대소설의 교수·학습 방안 : 당대소설을 중심으로

        천지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변화와 더불어 『문학』 교과서 내에서도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인 기대로 수행하게 되었다. 교과서가 국정에서 검인정제로 전환하던 시기부터 현재까지 보다 나은 국어 교육을 위한 부단한 노력이 학계 전반에서 일어나고 있다. 연구자는 2015 개정 『문학』 교과서 신규 수록작에 동시대의 문제를 다룬 당대소설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고 이 작품들이 공유하고 있는 특징에 대해 분석하고자 했다. 첫 번째로 2015 개정 『문학』 교과서에서는 그동안 제기되었던 여성 작가의 불균형적 수록에 대해 많은 보완을 한 것으로 보인다. 신규로 수록된 작품의 대부분이 여성작가이며 10편 중 7편이 여성의 삶을 담은 작품임이 이를 증명한다. 이는 그동안 꾸준히 제기되었던 교과서 속 양성평등에 대한 유의미한 변화라 볼 수 있다. 두 번째, 신규 수록작 모두 학습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일상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동시대 문제를 다룬 당대소설은 학습자들이 실제 경험하지 못한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들보다 거리감이 좁다. 이는 교과서 문학이 주는 고정된 이미지를 유연하게 바꿀 수 있으며 평생 독자의 가능성을 내포한다. 끝으로 다문화 사회와 관련해서 다양한 유형의 타자들을 이해의 영역으로 들인 점이다. 그동안 교과서 문학작품 속 타자들은 ‘외국인 노동자, 이주 여성, 다문화 아동’으로 한정적이며 부정적인 모습으로 형상화 되었다. 그러나 개정된 『문학』 교과서에서는 역사적, 지역적으로 타자의 영역을 확장하고 그들의 삶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게 한다. 이상의 특징들은 정전 비판에 따른 반성의 결과이다. 여성 부재의 현실에서 여성 담론의 확장으로, 특정시대 편중에서 일상적이고 친숙한 소재의 작품으로, 그리고 편협했던 타자의 영역을 구체화하고 확장했다. 이를 모두 담고 있는 것이 당대소설이다. 그러므로 당대소설이 정전 재편의 방책으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발표 연대와 교과서 수록 시기가 가까운 당대소설은 문학사적 검증 기간이 짧고 작품성에 대해 교과서가 새롭게 권위를 부여할 수도 있다. 교과서 문학의 지위는 다음 개정 교과서에 재수록의 근거로 작용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 점을 상기하여 신규로 작품을 들일 때에는 학습활동의 구체성을 더하고 작품의 본질적인 문제의식을 정확히 파악해야한다. 한편 당대소설은 현대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내재하고 가치 탐구에 좋은 제재가 되기 때문에 교육적 활용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위안부 문제를 다룬 당대소설을 학습 제재로 선정해 학생들에게 우리 역사 문제에 대한 올바른 의식을 갖도록 유도한다. 구체적인 수업의 실제로 가치 탐구 학습 모형에 서평쓰기를 결합하여 내면화 단계를 정교화 할 것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