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의 컴퓨터게임 중독과 사회성과의 관계 연구

        천정실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재 청소년의 여가수단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는 컴퓨터게임이 사회성 발달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컴퓨터게임에 대한 올바른 인식정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청소년들의 컴퓨터게임 활용실태는 어느 정도인가? 연구문제 2. 청소년의 컴퓨터게임 몰입정도는 학년별 ·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게임중독 수준별에 따라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 하위요소 중 안정성 ·사교성 ·자율성 ·지도성 ·수용성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4. 사회성 발달의 어느 영역이 청소년의 컴퓨터게임 중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 자료는 회수된 질문지 510부를 가지고, SPSSWIN(Version 1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검정, 일원분산분석(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질문지는 컴퓨터 실태조사에 관한 질문지, 중독 수준에 관한 질문지, 사회성에 관한 질문지로 구성되었으며, 질문지의 문항구성은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질문지를 바탕으로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본 연구자가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컴퓨터게임 활용실태 첫째, 현재 가정의 컴퓨터 소유 여부 조사에서 전체 응답자의 97.5%가 가정에 컴퓨터를 소유하고 있었다. 둘째, 청소년들은 컴퓨터를 주로 여가수단의 도구로 인터넷, 채팅, 게임을 하는 용도로 활용하고 있었다. 컴퓨터를 학습이나 과제의 용도로 사용하는 비율은 아주 적게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들은 혼자서 컴퓨터게임을 하고 있었으며, 컴퓨터게임을 하는 이유는 재미가 있어서라는 흥미요소가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났다. 넷째, 1회 컴퓨터게임 시간은 1~2시간 정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주일에 3-4번은 컴퓨터게임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의 경우 43.8%가 매일 컴퓨터게임을 하고 있었다. 다섯째, 컴퓨터게임 경력은 보통 3~4년 정도 되었고, 컴퓨터게임은 주로 집에서 한다가 93.3%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는 가정의 컴퓨터 소유여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여섯째, 부모님이 컴퓨터를 어느 정도 다루시는가에 대한 결과는 대부분 잘 못하신다로 나타났으며, 컴퓨터게임을 할 때 부모님은 게임시간을 정해 주시는 걸로 나타났다. 2. 청소년의 컴퓨터게임 몰입정도는 학년별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성별에 따라 컴퓨터게임 몰입정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지만, 학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게임중독 수준별에 따라 청소년의 사회성 하위요소 중 안정성 · 사교성 · 자율성 · 지도성 ·수용성은 차이가 있는가? 게임 중독 수준별로 사회성 하위요소와의 차이에서는 안정성 ·사교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율성 ·지도성 ·수용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사회성 발달의 어느 영역이 청소년의 컴퓨터게임 중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가? 사회성 하위요소 중 안정성은 청소년의 컴퓨터게임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교성 ·자주성 ·지도성 ·수용성은 컴퓨터게임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thesis, I researched into the adolescent' addiction to computer games and its relationship with social development.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 1. What's the currently circumstances about adolescent' computer games? 2. In adolescent' addiction to computer games,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grade and gender?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Emotional stability · Sociability · Autonomy · Leadership · Receptiveness depends on the state of addiction to computer games? 4. Which social development factors affect adolescent' addiction to computer game? This research was performed by 510 collected samples which were involved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are consist of some questions about the currently circumstances about adolescent' computer games, the state of addiction to computer games and the social development factors. And the result was conducted by statistical analysis. The statistical techniques for data processing are test, ANOVA test. These tests are handled by using SPSS WIN(Version 10.0) Programs. The conclusions which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 1. What's the currently circumstances about adolescent' computer games? First, people who answered that 97.5% have computer on question. Second, adolescent' were using computer as a tool for surfing web, having chat with friends, and games mainly. Percentage of sample for using computer as a tool for study was much lesser. Third, adolescent were playing computer games alone. The major reason that playing computer games is much more interesting. Fourth, average time of playing games is 1 to 2 hours. and 3 or 4 times playing computer games in a week. The 43.8% answered schoolboy appeared that play computer games every day. Fifth, schoolboy who answered this study, their computer games career was about 3~4 years and 93.3% of the respondent said that computer games is done at home mostly. And this ratio shows that quite important relationship with home computer possession. Sixth, generally, parents of the respondent cannot use the computer properly, and parents allocate playing time when the respondent play computer games. 2. In adolescent' addiction to computer games,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grade and gender? There were small differences in adolescent 'addiction to computer games by gender but, there were no difference by grade.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Emotional stability · Sociability · Autonomy · Leadership · Receptiveness depends on the state of addiction to computer games? There were small differences in Emotional Stability, Sociality by game addiction state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Leadership · Receptiveness by game addiction state. 4. Which social development factors affect adolescent' addiction to computer game? In Addiction to computer games affects Emotional stability in social development region, but Addiction to computer games doesn't affect Sociability · Autonomy · Leadership · Receptiveness in social development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