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初等學校長의 意思決定 類型과 學校 組織效果性과의 關係

        천성근 公州師範大學校 敎育大學院 198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started in an attemp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incipals' Decision-makeing styles and th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nss in Elemntary school. Two Kinds of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a sample o 330 teacheres of elementary schools in Chung-Nam province. One was to measure the principals' Decision-making styles Which was developed by Mohrman, and the other th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were X ̄, a CR, X^(2)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the styles of principals' decision-makeing were more distributed to arbitrary decision'(69.9%) than to 'consultative decision(30.%). (2)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alities of teachers' particpation in various decision-making processes and their expectations of participatin in them was significant at the Level of P<.001. (3) The higher the degree of the principals' consultative decision-making styles is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4)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the principals' Decision-making styles, and Job performance teachers. (5) The higher the degree of the principals Consultative. decision-making styles i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and their expectations of Participation in them was significant at th level of P<.05. (6)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the principals' Decision-making styles and th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ut adaptability of organization. (7) Th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Elementary school are hardly related to the principals' Decision-makeing styles according to several background variables namely, sex, grade level taught,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ype of community which the teacher was employed, and size of schools.

      • 시각피질과 해마로부터 전전두엽 피질로의 투사 수렴

        천성근 아주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전두엽은 오랫동안 인지조절에 있어서, 특히 내부적인 어떤 목표에 따라서 생각과 동작을 함께 조화시키는 능력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또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서 인지 조절이 전전두엽에서 활성양상을 활발하게 유지하는 것으로 인해 일어남이 제안되어 왔다. 또한 전전두엽은 신경 회로를 따라서 활성의 흐름을 안내하는 기능을 가진 bias signal 들을 뇌의 다른 구조물들로 제공하는 기능을 하며 이러한 것은 입력 신호, 내부적인 상태, 그리고 출력 신호 사이의 적절한 연결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고 제안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전전두엽은 외부환경의 변화에 따라 자신의 신경활성도를 적절히 변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해 복측 해마와 감각피질에서 전전두피질로의 투사에서 LTP를 유도할 수 있는 지의 여부를 알아본 실험이 있었다. 게다가 이차 시각 피질 및 복측 해마로부터 전전두피질로의 단일 시냅스 투사가 있음을 이전의 해부학적 및 전기 생리학적 연구를 통해 확인한 바 있다. 이러한 과거의 보고를 토대로 해서 본 연구에서는 이차 시각 피질 및 복측 해마로부터 전전두피질로의 투사가 동일한 신경세포에 수렴된다는 것을 전기 생리학적으로 밝혔다. 이것은 해마에 저장된 기억을 활성화하는 감각 정보가 전전두피질에 저장이 되며, 활성화된 해마 기억과 함께 연합되어짐을 추측 가능케 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동일한 전전두엽 신경세포가 감각 피질 및 해마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감각 정보와 해마의 정보가 전전두피질에서 함께 연합하여 기억됨을 시사한다. The prefrontal cortex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king the association between sensory information and specific behavior. Also many researchers proposed that cognitive control stems from the active maintenance of patterns of activity in the prefrontal cortex that represent goals and the means to achieve them. They provide bias signals to other brain structures whose net effect is to guide the flow of activity along neural pathways that establish the proper mappings between inputs, internal states, and outputs needed to perform a given task. In order to investigate neural mechanisms by which the prefrontal cortex adaptively modifies its activities based on past experience, researchers have examined whether or not sensory cortical projections to the medial prefrontal cortex support long-term potentiation(I.TP) in rats. Monosynaptic projections from the secondary visual cortex, mediomedial area(V2MM) to the infralimbic cortex were confirmed by orthodromic as well as antidromic activation of single units. In this study, based on the past results, whether or not converge from both the secondary visual cortex, mediomedial area(V2MM) and hippocampus to the infralimbic cortex(ILC) was examined in adult ra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nsory information which activates memories stored in hippocampus was registered and associated with activated hippocampal memories. In this study, it could be confirmed that prefrontal cortex was connected with other brain areas and also external sensory information and hippocampal memories are associatively registered in the prefrontal cortex.

      • 12주간의 운동프로그램이 비만 청소년의 혈관기능에 미치는 영향

        천성근 서울시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아 청소년 비만은 동맥경화의 진행속도를 가속화시키고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전 생애에 걸쳐 동맥의 기능을 저하시켜 심혈관계 질환 발생을 증가시킨다. 이에 본 연구는 12주간의 운동프로그램이 비만 청소년의 신체 구성, 경동맥 내중막 두께, 혈관 내피세포 기능, 그리고 동맥 경직도 및 심혈관계 위험인자와 심폐체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시 소재 H중학교 남학생들을 대상으로 BMI 25㎏/㎡이상의 비만 판정을 받은 20명을 선발하여, 운동 그룹 10명, 통제 그룹 10명으로 무선 배정하고, 주 3회, 60-90분/일, 총 12주에 걸쳐 운동을 실시하였다. 운동프로그램은 스포츠 게임과 달리기 및 걷기, 그리고 스트레칭 등으로 구성하였다. 12주간의 운동프로그램 적용기간 동안 피험자들의 약 96%에 달하는 높은 참여율을 보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중(p=0.001), 체질량지수(p=0.003), 체지방율(p=0.004), 허리둘레(p=0.001)가 유의하게 개선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심폐 체력은 운동 집단에서 최대산소섭취량(p=0.001), 운동 부하검사 지속시간( p=0.029), 운동시 최대심박수(p=0.04)가 유의하게 개선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혈관 기능은 운동 집단에서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최대값(p=0.043), 상완동맥 혈류 의존성 확장능(p=0.001)이 유의하게 개선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맥파 전파속도, 전통적인 심혈관계 위험인자인 혈중지질이나 염증지표, 인슐린 저항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비만 청소년의 규칙적인 운동은 체중 감량과 체력의 향상, 그리고 혈관 기능을 개선시킴으로서 비만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심혈관계 질환 발병율을 낮추는 동시에 예방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어 : 비만 청소년, 운동, 경동맥 내중막 두께, 혈류 의존성 확장능, 맥파 속도

      • 장기증강(LTP) 및 장기억압(LTD)의 유도를 통한 쥐의 치상(dentate gyrus) 부위의 선조세포(progenitor cells)의 증식(proliferation) 및 생존(survival)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천성근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15

        The dentate gyrus (DG) is among the few areas in the mammalian brain where production of new neurons continues in the adulthood. Although its functional significance is not completely understood, several lines of evidence suggest the role of DG neurogenesis in learning and memory. Considering that long-term potentiation (LTP) is a prime candidate for the process underlying hippocampal learning and memory, these results raise the possibility that LTP and neurogenesis are closely related. Here, I investigated whether or not LTP induction in the afferent pathway triggers enhanced proliferation of progenitor cells in the DG. LTP was induced by tetanic stimulation in perforant path-DG synapses in one hemisphere, and the number of newly generated progenitor (BrdU-labeled) cells in the DG was quantified. Compared with the control hemisphere (stimulated with low-frequency pulses), the LTP-induced hemisphere contained a significantly higher number of newly generated progenitor cells. When CPP, an NMDA receptor antagonist, was administered, tetanic stimulation neither induced LTP nor enhanced progenitor cell proliferation, indicating that NMDA receptor activation, rather than tetanic stimulation per se, is responsible for enhanced progenitor proliferation in the control animal. These results show that tetanic stimulation of perforant path sufficient to induce LTP increases progenitor proliferation in adult DG. In addition, it indicates that progenitor proliferation is affected by an NMDA receptor-dependent manner. Futhermore, I investigated whether LTP triggers survival of proliferating progenitor cells. Through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ethods, the effect of survival 3 weeks after LTP induction was investigated. There were also significant enhancements of BrdU-labeled cells in the LTP-induced hemispheres compared to LFS-stimulated. Most of these BrdU-labeled cells were double-labeled with NeuN, a neuronal marker. It indicates that LTP induction can trigger also survival new born cells. Long-term depression (LTD) is the phenomenon of a weakening of synaptic efficacy, and it is the contrary concept with LTP. Therefore, I did more experiments to investigate whether induction of LTD has any effect on proliferation of progenitor cells. LTD was induced by stimulating afferent fibers with low-frequency stimulation (900 pulses), and then the fluorescent staining was perform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TD-induced hemispheres and baseline LFS-stimulated, indicating LTD unlike LTP has no effect on proliferation. It is possible to suggest that LTP may not affect proliferating process in short-term period. Because LTD is the weakening of synaptic efficacy, it doesn’t need any proliferation-related process unlike LTP. From those concepts, I did more experiments to investigate whether LTD induction can trigger survival of new born cells in the long-term period. It is on going now. Through the analysis of those data,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the effect of LTP and LTD on neurogenesis. In the analysis of experiment data, I found an interesting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of clusters of progenitor cells in the LTP-induced hemispheres compared to LFS-stimulated. It indicates that quiescent stem cells was activated by LTP, and then those cells were accelerated to divide, finally the proliferation of progenitor cells were enhanced. Mean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clusters after LTD induction. It is possible to suppose that LTD couldn’t trigger powerful stimulation to make quiescent stem cells to be activated, and then it couldn’t affect enhancement of proliferation of progenitor cells but also number of clusters. In the conclusion, LTP can trigger not only proliferation but survival of progenitor cells, but LTD has no effect on proliferation.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enhancement of proliferation is due to the activation of quiescent stem cells. 쥐의 치상 (dentate gyrus) 부위는 포유류의 뇌 부분에서, 성체기에도 새로운 뉴런의 생성 (neurogenesis)이 계속되는 특이한 부분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새로운 뉴런의 생성에 있어서, 그 기능적인 중요성은 아직 완전히 이해되고 있지 않으나, 학습 (Learning) 및 기억 (memory) 에 있어 그러한 치상에서의 뉴런의 생성의 중요성이 몇 가지 증거들로 인해 보여지고 있는 실정이다. 장기증강 (LTP) 현상이 해마 (hippocampus)의 학습 및 기억의 가장 유력한 기전으로 알려져 있는 점과 관련해서, 이 논문에서는 장기증강과 새로운 뉴런의 생성이 밀접히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높이는 증거를 보였다. 여기서, 본 저자는 해마에 있어서 학습 및 기억의 가장 유력한 기전으로 알려져 있는 장기증강을 구심성 신경 경로 (afferent pathway)를 자극하여 유도함으로써, 그러한 장기증강이 치상에서의 전구세포들 (progenitor cells)의 증식 (proliferation)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뇌의 한쪽 부위에 강직성 자극 (tetanic stimulation)을 가함으로써 장기증강을 유도하였으며, 치상에서의 새로이 생성된 전구세포들의 수를 헤아렸다. 대조구 (LFS-stimulated hemisphere)와 비교해 봤을 때, 장기증강이 유도된 반구의 등쪽 (dorsal) 뿐만 아니라 배쪽 (ventral) 해마부위에서 상당히 높은 수의 새로이 생성된 전구세포들이 관찰되었다. 글루탐산염 수용체 길항제 (NMDA receptor antagonist)인 CPP를 처리하였을때는, 강직성 자극을 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장기증강뿐만 아니라 전구세포들의 증식을 향상시키지 못했는데,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서 강직성 자극 그 자체에 의해서라기 보다는 글루탐산염 수용체의 활성이 전구세포의 증식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증강을 유도하기에 충분한 강직성 자극을 관통부위 (perforant path)에 가함으로써, 글루탐산염 수용체에 의존적인 방식으로 성체의 치상부위에서 전구세포의 증식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장기증강을 유도하고 3주 후에 전구세포들의 생존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였을 때, 장기증강을 유도한 한쪽 부위에서 저빈도 자극(low-frequency stimulation)을 가한 다른 한쪽 부위와는 달리 상당히 높은 수의 BrdU에 표지된 세포의 수가 관찰됨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증가한 BrdU에 표지된 세포들은 또한 형광 염색을 통한 관찰결과 성숙한 뉴런의 표지로 사용되는 NeuN으로 함께 염색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장기증강의 유도만으로 전구세포의 증식뿐만 아니라 생존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장기억압(long-term depression, LTD)은 시냅스의 효능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장기증강의 반대 개념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추가 실험을 통해 이러한 장기억압이 장기증강과는 달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장기증강과 달리 뇌의 한쪽 부위에 900 펄스의 저빈도 자극을 가함으로써 장기억압 현상을 유도한 뒤, 염색을 통한 세포의 수적 증가를 관찰한 결과, 선조세포의 증식에 있어서 대조구와 뚜렷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장기증강과 달리 장기억압은 짧은 시간 동안의 유도를 통해서는 어떠한 선조세포의 증식에도 그리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볼 수 있었다. 그런 연유로, 조금 더 오랫동안 장기억압의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선조세포의 생존에 관계하는 효과를 관찰하였고, 현재 많은 수의 데이터를 확보하여 분석을 실행 중이다. 이러한 실험의 결과를 분석을 통해서 매우 흥미로운 점을 발견하였는데, 장기증강을 유도한 부위에서 대조구와는 달리 뚜렷이 증가한 선조세포의 군집이 관찰된다는 것이었다. 이것은 무활동성 줄기세포(quiescent stem cell)가 장기증강에 의해서 활성을 띠게 되어 분열이 가속화 되어 선조세포의 증식이 증가하게 되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그러한 차이가 장기억압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는데, 장기억압은 무활동성 줄기세포가 활성을 띨 수 있을 만큼의 강력한 자극을 이끌어 내지 못하는 이유로 선조세포의 증식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했을 것이란 추측이 가능하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서 생각해 볼 때, 장기증강은 선조세포의 증식 및 생존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반면, 그 반대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는 장기억압은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런 차이가 무활동성 줄기세포를 활성시킴으로써 일어나는 것 또한 추측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