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주 온다라미술관 연구 : 지역의 대안적 공간활동 의의에 대한 연구

        채영 한국예술종합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history of Ondara Museum of Art an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its activities as a local alternative space. The Ondara Museum of Art, which was established in Jeonju city, Jeollabuk-do Province, served as a dedicated space for exhibitions in the region during the five years from 1987 to 1992, thereby unfolding especially the MinJoong Art (people’s art) movement in the area. The Museum has operated as a comprehensive cultural space, providing local residents with educational programmes while also inviting various cultural events. By serving as a commercial art gallery as well as a museum of art, it has played a unique role in introducing MinJoong artists and local artists through exhibitions, in addition to directly collecting artworks. The Ondara Museum of Art has been active as an alternative space in response to internal criticisms within the ranks of the MinJoong Art movement regarding the Seoul-biased and exhibition-centered activities of the movement during the late 1980s, in addition to calls for the movement to broaden into regional activities. Furthermore, amid the social-cultural gaps between provinces and the capital and the ensuing geographical limitations during the period, the Ondara Museum served as a space for alternative activities by providing a basis for enabling the experimental and critical activities of a new art movement that had not been attempted by the existing regional art establishment. However, previous research on MinJoong Art were focused on the activities of artists; artist groups or mediums; and genres while overlooking regional exhibition spaces for MinJoong Art. Thus, there have been no studies that have looked into the history and significance of the Ondara Museum of Art. Furthermore, MinJoong Art exhibition spaces in other regions at the time – such as Geurim Madang Min or Yesool Madang Sol in Daegu – were presented as examples of alternative spaces by studies done in Korea. However, the importance of the alternative space activities of the Ondara Museum, which had been introduced by the local media as a commercial gallery under its designation as a ‘museum,’ had previously gone unnoticed in academic research. In view of this,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behind the founding of the Jeonju Ondara Museum of Art, restoring its history by focusing on its activities as an exhibition space for MinJoong Art and as a comprehensive regional cultural space. Also, this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he Museum’s activities as an alternative space for MinJoong Art and local art during the late 1980s. At the time the Ondara Museum’s founding, MinJoong Art movement in the Jeollabuk-do area was being pursued in an organised manner, with a focus on collective creative activities and on-site activities. Furthermore, the influence of the conservative leanings of the local art society and the fact that most of the exhibitions in the region were held by renting venues held back the activities of artists of MinJoong Art – which was a new art movement at the time. Against this backdrop, the Ondara Museum planned and held 83 exhibitions, 55 of which were devoted to Minjung art. The operation of the Ondara Museum as an exhibition space served to continually expand MinJoong Art exhibitions – which had been heavily concentrated in the Seoul area – to the provinces, while also raising awareness among local viewers of the communicative possibility of art through exhibitions of works that highlighted the social functions of art. Furthermore, the museum broadened local perceptions regarding MinJoong Art and art exhibitions, while also providing a space of exchange and connections for stimulating both MinJoong Art and art in the region in general. While the primary function of the Ondara Museum of Art was as a space for exhibitions, it simultaneously served as a comprehensive cultural space in that it provided space for lectures and educational programmes amid the lack of popular lecture spaces at the time. It also provided the venue for various local arts and cultural events as well as socio-cultural activities of local residents. By planning and hosting various concerts and cultural events, while also providing exhibition space for events wherein the local community participated, the Ondara Museum played a catalytic role for local cultural movements. Thus, in view of the relevant historical and local circumstances, the activities of the Ondara Museum of Art, which served as both a dedicated exhibition space and as a comprehensive cultural space, give it significance as a regional alternative space. This study regards the founding and activities of the Ondara Museum of Art as an alternative pursuit in the face of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MinJoong Art movement and conservative local art establishment and culture at the time. The Museum propagated the regional exhibition of works of MinJoong Art, which challenged the establishment. As such, this study assumes the Ondara Museum’s pursuit of activities as an exhibition space and as a cultural space, thus recognizing it as an examplary case wherein alternatives and possibilities were presented to counteract the alienation of the provinces amid a division of arts and culture into core and peripheral regions. 본 논문은 전주 온다라미술관의 활동 역사를 복원하고 대안적 공간으로서의 활동 의의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라북도 전주시에 설립된 온다라미술관은 1987년부터 1992년까지 5년간 전시운영을 통해 민중미술운동을 지역에 전개한 전문 전시공간이었으며 지역민을 위한 교육프로그램과 다양한 문화행사를 기획 및 진행한 복합문화적 공간으로 운영되었다. 또한 미술관이자 동시에 상업화랑으로 활동하면서 민중미술작가와 지역작가의 작품을 전시를 통해 소개하고 유통시켰으며 직접 작품소장에도 참여한 독특한 활동을 보였다. 온다라미술관은 1980년대 후반 민중미술 운동의 서울 집중화와 전시장 중심 활동의 한계에 대한 민중미술 내부의 비판과 지역 활동으로의 확산 요구 속에서 대안적 공간으로 활동했다. 또한 온다라미술관은 당시 지역의 중앙과의 사회문화적 편차와 지리적인 한계 속에서 기존의 지역 미술제도가 시도하지 않던 새로운 미술운동의 실험적이고 비판적 활동이 가능한 기반을 제공한 대안적 활동 공간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온다라미술관은 민중미술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이 민중미술 작가와 소집단의 활동이나 매체, 장르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지역의 민중미술 전시공간에 대한 연구가 따로 진행되지 못함에 따라 그동안 그 활동 역사와 의의가 파악되지 못하였다. 또한 미술관이라는 명칭과 함께 지역 언론을 통해 상업화랑으로도 소개되었던 온다라미술관은 같은 시기 민중미술 전시공간으로 활동했던 ‘그림마당 민’이나 대구의 ‘예술마당 솔’이 국내 연구들에서 대안공간의 선례로 제시된 것과 달리 그동안 대안공간적 활동을 통한 중요성은 인식되지 못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전주 온다라미술관의 설립배경을 살펴 본 후, 그 활동역사를 민중미술 전시공간과 지역의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활동을 중심으로 복원하고 1980년대 후반의 민중미술과 지역미술의 대안적 공간 활동으로서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온다라미술관 설립 당시 전북지역에서는 집단 창작과 현장활동 중심의 민중미술이 조직적인 움직임을 먼저 시작하였다. 또한 보수적인 지역화단의 영향과 지역 전시공간들의 대관 중심 운영으로 인해 새로운 미술운동이었던 민중미술 작가들의 활동은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온다라미술관은 83회의 전시를 기획 및 진행하였으며 이중 55회의 민중미술 전시가 진행되었다. 온다라미술관의 전시 운영은 서울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민중미술 전시를 지역으로 지속적으로 이동시키고 예술의 사회적 기능을 강조한 작품들의 전시를 통해 지역 관객들에게 소통 가능한 미술을 인식시켰다. 또한 민중미술과 미술전시에 대한 지역의 기존 인식을 넓히고 민중미술과 지역미술의 활성화를 위한 교류와 연결의 장소를 만들었다. 온다라미술관은 그 일차적 기능이 전시공간에 있었지만 동시에 대중강연이 부족했던 지역에 강연과 강좌를 진행한 교육장소였으며 지역의 문화예술 행사들과 지역주민들의 사회문화활동이 복합적으로 이뤄진 문화공간이었다. 온다라미술관은 공연 및 문화 행사를 기획 및 주관하고 지역 커뮤니티가 참여하는 행사에 전시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지역문화운동의 촉매 역할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온다라미술관은 지역의 전문전시공간이자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시대적, 지역적 상황을 고려할 때 그 활동은 국내 지역 대안공간의 선례로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기성제도에 도전했던 민중미술의 전시를 지역으로 확산시킨 온다라미술관의 설립과 활동을 당시의 민중미술 운동의 한계와 기존의 보수적인 지역미술계에 대한 대안적 시도로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다라미술관이 전시공간과 문화공간의 활동을 통해 지역이 문화예술운동의 중심부와 주변부로 나뉘어 소외되지 않을 수 있는 대안과 가능성을 제시한 사례로 보고 그 의의를 살펴보았다.

      • 고추 탄저병 저항성 계통 육성을 위한 종간교잡과 그 후대의 특성에 관한 연구

        채영 서울시립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고추는 우리의 식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양념채소로서 재배면적이나 생산액에서 원예작물 중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우리나라 농업 전체에서 벼 다음에 위치하는 중요 작물이다. 고추 탄저병은 해마다 발병률이 증가하여 우리나라 고추 생산에 있어 역병과 함께 가장 중요한 제한 요인 중의 하나가 되었다. 고추 탄저병 방제를 위해 가장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방제 방법은 저항성 품종의 육성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유전자원을 평가하여 고추 탄저병 저항성 자원을 선발하고, Capsicum baccatum var. pendulum의 탄저병 저항성을 재배종 고추인 C. annuum에 도입하고, 종간잡종 유래 탄저병 저항성 계통의 저항성 발현에 관련된 유전자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총 1,222점의 고추 유전자원에 대하여 탄저병 저항성을 평가한 결과 C. baccatum에 속하는 7점과 C. chinense에 속하는 1점을 선발하였다. 이 중에는 원예연구소에서 육종재료로 기 보유하고 있는 4점 이외에 새로운 탄저병 저항성 유전자원으로 C. baccatum에 속하는 4점을 선발하였다. 탄저병 저항성 평가에 이용된 고추 유전자원 1,222점을 종별로 보면 95.7%가 C. annuum에 속하고, 나머지 4.3%가 야생종이었다. 따라서 야생종을 대상으로 한 탄저병저항성 검정은 제한적이었다. 탄저병 저항성 재료로 선발된 것 중에서 C. baccatum var. pendulum에 속하는 881045의 고추 탄저병 저항성 유전자를 재배종인 C. annuum에 도입하기 위하여 이에 속하는 Long Fruit(L.F.) 등 5품종과 교잡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881045/Long Fruit(L.F.) 조합에서 가임인 9개의 F1을 얻을 수 있었으며, F2 세대에서는 탄저병에 저항성인 3개체를 얻을 수 있었다. F2 세대에서 저항성이었던 1개체에 C. baccatum var. pendulum 881045와 교배한 BC1F1을 자식한 다음 세대 즉, BC1F2, BC1F3, BC1F4, BC1F5 집단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간교잡 F1은 꽃잎에 C. baccatum의 특징인 노란-녹색 점무늬를 보유하였고, 식물체의 크기를 나타내는 초형 지수는 양친보다 크고, 잎의 크기를 나타내는 엽형 지수는 C. baccatum 친에 가까웠다. 그리고 꽃잎 길이와 폭, 화경의 굵기는 양친의 중간이었다. 종간 잡종 F1을 자가수분시켜 24개의 F2 식물체를 얻었다. F2 개체들은 대부분 불임이었고, 가임은 3주뿐이었다. 그리고 종간 잡종 F1을 자방친으로 하고 C. annuum을 화분친으로 한 여교잡을 통해 BC1F1 38개체를 얻었으나 모두 불임이었다. 탄저병 저항성을 평가한 결과 F2 세대 3개체는 모두가 탄저병에 저항성을 나타냈으나 C. annuum과의 BC1F1 10개체에 C. annuum의 화분을 이용하여 착과시킨 식물 10개체 중 1개체만 탄저병에 저항성을 나타내고 나머지 9주는 모두 감수성을 나타냈다. F2 개체 중 탄저병에 저항성이고 임성이 정상인 개체를 선발하여 C. annuum 에 속하는 재배품종을 자방친 혹은 화분친으로 이용하여 교배를 하였다. 획득한 F1은 임성이 매우 낮아 10.5-14%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원래 종간잡종 작성의 친으로 사용되었던 품종과 여교배를 할 경우 C. annuum 과 교배한 F1은 29.7%, C. baccatum과 교배한 F1은 73.5%의 높은 임성을 나타냈다. 종간잡종 F2 세대에서 저항성을 나타낸 개체와 C. baccatum간 여교잡하여 분리한 개체 중에서 탄저병에 저항성을 나타낸 18개체의 후대를 노지포장에 정식하여 탄저병 포장저항성을 평가하였다. 재배기간 중 살균제를 전혀 살포하지 않고 재배한 결과 탄저병 저항성 친으로 사용된 881045보다 저항성이 약간 낮거나 대등한 수준의 저항성을 나타낸 4계통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계통을 세대진전하여 AFLP에 의해 만들어진 다형성을 이용하여 양친 및 종간잡종 후대 62개체의 유전 조성을 비교하였다. 탄저병에 강한 저항성을 보이는 개체들은 L.F.보다 881045에 더 가까운 유전조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종간잡종 후대 2계통 내 개체별 탄저병 저항성과 유전조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유전조성은 개체 간 차이가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탄저병 병반의 크기는 매우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탄저병 저항성은 특정한 유전자 혹은 몇 개의 주동 유전자에 의해 좌우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C. baccatum var. pendulum과 C. annuum 간 종간잡종 후대 탄저병 저항성 계통들은 어린 유과기에서 성숙한 녹과시기까지 glucose의 함량 비율이 매우 높았다. 반면에 탄저병에 약한 품종들은 glucose의 비율이 낮고 sucrose의 비율이 높았다. 당의 종류와 탄저병 저항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glucose의 함량과 탄저병저항성은 정의 상관이 있으며, sucrose의 함량과는 부의 상관이 있었다. 재배품종으로 종간잡종 후대의 탄저병 저항성을 도입하기 위한 기초 정보를 얻기 위하여 교배효율 및 화합성을 평가하였다. 교배에 이용한 계통을 자식하고, C. annuum에 속하나 각기 유형이 다른 품종을 이용하여 F1을 작성하였다. 자가 수정할 경우 평균종자수가 종간잡종 후대 탄저병 저항성 계통은 23.5립, 재배품종은 84.7립이었다. 그러나 종간잡종 후대를 일반 재배품종과 교배한 과실의 종자(F1)수는 33.4립으로 종간잡종 후대를 자가 수정하였을 때의 종자수 보다 많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탄저병 저항성으로 육성된 4계통은 C. annuum에 속하는 어느 유형의 품종과 교배시에도 쉽게 후대를 얻을 수 있어 앞으로 탄저병 저항성 우량 품종 육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종간 잡종 유래 고추 탄저병 저항성 계통의 탄저병 저항성 유전양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종간 잡종 유래 고추 탄저병 저항성 계통과 C. annuum에 속하는 두 품종 간에 작성된 F1 조합의 탄저병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F1 조합별로 90%, 71.4%가 탄저병이 발병하였고, 병반길이는 감수성 친과 비슷하거나 더 심하게 나타났다. 두 조합 모두가 탄저병에 약한 것으로 나타나 C. baccatum var. pendulum의 탄저병 저항성이 도입된 종간잡종 후대 계통의 탄저병 저항성 유전양식은 열성유전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881045과 같은 종에 속하면서 탄저병에 약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Golden Aji'와 교배하여 분리한 F2 세대 223개체의 탄저병 저항성을 조사하였다. 평가된 집단의 7.1%의 개체가 저항성 친 881045과 비슷한 수준의 저항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전체의 67.7%는 감수성친으로 사용된 'Golden Aji'보다 저항성이 약한 것으로 나타나 열성 유전자임을 암시해 주고 있다. 종간잡종 유래 탄저병 저항성 계통이 나타내는 저항성 기작을 이해하기 위해서 저항성 개체와 감수성 개체에 탄저병을 접종하고 저항성 개체에서만 독특하게 발현되거나 현저하게 크게 발현되는 유전자(DEGs)를 탐색하였다. DEGs의 탐색에는 dT-ACP2(reverse primer)와 120개의 arbitrary ACPs (forward primer)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GeneFishingTM DEG kits를 이용한 ACP-based PCR 방법을 이용하였다. 감수성 계통과는 다르게 탄저병 저항성 계통에서 특이적으로 또는 현저하게 높게 발현된 cDNA band 23개가 전개되었다. Differentially expressed cDNAs에 대한 서열 분석 결과 5개의 DEG이 NCBI GenBank에 알져져 있는 유전자의 coding region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밝혀졌다. GP26, GP71, GP80, GP92, 그리고 GP108의 서열은 각기 72, 71, 66, 75, 그리고 76% 정도의 homology로 S-adenosyl methionine synthase I, Snakin2, DDI1, tryptophan synthase 2 beta chain, 그리고 pepper mild mottle virus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9개 DEGs의 cDNA 서열은 정확한 기능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hypothetical 단백질과 동일성을 나타냈다. 이 결과에 의하면 종간잡종 유래 계통은 탄저병균의 침입에 대항하여 과민성반응에 의해 탄저병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기작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항균물질의 합성, 손상된 DNA 복구 및 아미노산과 단백질의 합성 강화, 그리고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된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DEGs 탐색을 통해서 아직까지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탄저병 저항성 발현 관련 단백질 유전자를 5개 찾을 수 있었다. As a major ingredient in making kimchi and gochujang (chili paste), chili pepper has been widely cultivated as one of the main spice plants in Korea.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gricultural commodities next to rice in terms of farm household's income. Anthracnose disease, one of the limiting factors together with late blight disease in pepper production in Korea, has increased its level of damage every year. Considering the long life-span of the plant, breeding resistant varieties has been considered the most effective and economic way to controlthis disea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find anthracnose-resistant breeding materials by evaluating various pepper germplasm by artificial inoculation, and to introduce the resistance found in Capsicum baccatum var. pendulum into C. annuum, one of the cultivated species. An attempt was also made to find genes differentially expressed in the resistant progenies derived from interspecific hybrid between C. baccatum var. pendulum and C. annuum. A total of 1,222 accessions of pepper germplasm were screened for resistance against anthracnose. Of the 1,222 accessions screened, 1,169 accessions (95.7%) belonged to C. annuum, and the rest were wild Capsicum species. Seven accessions of C. baccatum var. pendulum and one accession of C. chinense were selected for anthracnose resistance. As no accession was selected among C. annuum, it was concluded that anthracnose resistance is found only in the wild species of Capsicum. To introduce the anthracnose-resistant gene(s) into cultivated pepper, 881045, one of the C. baccatum var. pendulum selected for resistance against anthracnose, was crossed to five cultivars of C. annuum. As a result, 9 interspecific fertile plants were obtained, and 3 resistant plants were selected in F2 generation. A backcross, BC1F1 , was made between a selected resistant plant in F2 and 881045, and subsequent generations to BC1F5 generation were developed. The interspecific hybrid had yellow-green spots on petals. This characteristic is a distinctive morphological trait of C. baccatum. The plant was bigger than its parents, and the leaf shape index was similar to that of the C. baccatum parent. The length and width of petals and petiole diameter were medium in size compared with its parents. Twenty-four F2 plants were obtained from the interspecific hybrid, but only three plants were fertile. The fertile F2 plants were all anthracnose resistant. A total of 10 BC1F1 plants were also obtained from a cross between the interspecific hybrid as the seed parent and C. annuum. All of the BC1F1 plants were sterile and only one out of the 10 plants was resistant to anthracnose. Selected anthracnose-resistant F2 plants were crossed with C. annuum cultivars by using either male or female parent. Fertility of the obtained F1s was 10.5%-14%, whereas fertility was considerably high in the backcrossed progenies obtained from crosses between the selected F2 plant and either parent used in making original interspecific hybrid (BC1F1 hereafter). A high fertility of 73.5% was obtained when the F2 plant was crossed to 881045, and 29.7% fertility was observed in the cross of the F2 plant and C. annuum L.F.. Anthracnose-resistant plants were selected from the progeny of the cross between the selected F2 plant and 881045. The progenies of thus selected 18 plants were further evaluated for anthracnose resistance in open-field conditions without chemical spraying. Four lines with comparable resistance as 881045 or a little less resistance to anthracnose were selected and advanced for higher generations. Sixty-two plants including the progenies derived from the four selected lines and parents were compared for genetic composition as characterized by the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FLP). DNA composition of anthracnose-resistant plants was more similar to that of C. baccatum var. pendulum 881045 than that of C. annuum L.F.. The DNA composition and the lesion diameter developed after artificial inoculation was compared in two selected lines derived from interspecific hybrid. The lesion diameter varied widely, despite similar DNA composition of the individual plants. It was postulated that resistance against anthracnose is regulated by a specific gene or a few major genes. The anthracnose-resistant lines from interspecific hybrid showed high glucose content in fruits, but susceptible cultivars showed higher sucrose content than glucose. Based on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alysis, the lesion diameter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glucose content of the fruits, whereas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sucrose content. To obtain basic information in introducing anthracnose resistance into cultivated pepper, cross compatibility and cross efficiency were evaluated in the developed anthracnose-resistant lines from interspecific hybrid. The cross compatibility was compared in F1s as expressed by the number of seed setting. The seed count after selfing was 23.5 in the interspecific lines and 84.7 in commercial cultivars. The seed count was as high as 33.4 in hybrids between the interspecific lines and commercial cultivars. This seed cou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umber of selfed-seeds of interspecific hybrids. Therefore, the four breeding lines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efficiently used for introgression of anthracnose-resistant gene(s) into various types of cultivars belonging to C. annuum. To elucidate the inheritance mode of anthracnose resistance from interspecific hybrid, resistance against anthracnose of two F1 combinations between interspecific hybrid lines and cultivars of C. annuum was evaluated by artificial inoculation. The percent infection in two F1 combinations was 90% and 71.4%, respectively, and the lesion diameter was equal to or slightly smaller than that of the susceptible parents. As both F1 combinations were susceptible to anthracnose, the resistance in the interspecific hybrid lines was postulated as a recessively inherited trait. A similar study was conducted in an F2 progeny of 223 plant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two lines of C. baccatum var. pendulum, a resistant line 881045 and a susceptible line 'Golden Aji'. A small number of plants, 7.1%, were classified as resistant as similar level of 881045, and 67.7% of the F2 individuals were susceptible. This result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recessive gene(s) control the resistance. To characterize the mechanism of resistant gene(s) derived from interspecific hybrid lines in the molecular level, the specifically or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the resistant or susceptible plants after artificial inoculation were screened.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 identified by a combination of dT-ACP2 (reverse primer) and 120 arbitrary ACP primers (forward primer) were detected by ACP-based PCR method through the GeneFishingTM DEG kits. Twenty-three differentially expressed cDNA bands appeared on the anthracnose-resistant lines, whereas no band was developed in susceptible lines. By sequence analysis of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cDNAs, five DEGs were matched with sequences in NCBI GenBank databases with high homology. Nine other DEGs were matched with hypothetical proteins with unknown functions of highly significant homology. GP26 sequence is matched to the S-adenosyl methionine synthase I with 72% homology, GP71 with Snakin2 with 71%homology, GP80 with DDI1 with 66% homology, GP92 with tryptophan synthase 2 beta chain sequence with 75% homology, and GP108 with pepper mild mottle virus sequence with 76%. In summary, DEG results showed that the hypersensitive reaction of the interspecific hybrid lines against anthracnose might be caused by a series of molecular biological mechanism responding to the invasion and multiplication of the anthracnose fungi. It was found in the study that the synthesis of antimicrobial components, amino acids and proteins, repair mechanism of damaged DNA, and adaptation to stress followed by the invasion of fungus were all enhanced. With these results, further analysis of all detected DEGs is needed to understand fully the mechanisms of the resistant and/or susceptible gene(s) responsible for the anthracnose resistance in pepper.

      • 현대 도예작품에 나타난 물성에 관한 연구

        채영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점토는 인류가 물리적 성질을 변형시킬 수 있었던 최초의 물질이다. 오랫동안, 기 능적 특징을 지닌 기물로 간주되고 사람들의 일상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도자의 기형, 유약의 선택, 소성 등의 제작 과정에서 실용성을 고려한다. 이로 인해 도예는 오랫동안 예술 분야로 인식되었다. 1950년대 현대 도예 운동이 발생하여 과거의 도자 창작과 심미 형식을 철저히 무 너뜨렸다. 현대 도예는 도기와 자기의 독특한 재료 및 형식 언어를 통해 현대 예술 의 트렌드에 융합되어 전통적인 “기능성”과 “공예성”의 제약을 극복하였다. 즉, 흙 을 순수미술(Fine Art)로 표현하는 일종의 새로운 매개와 대상으로 간주하여 전통 도예의 현대적 전환을 실현하여 새로운 조형 예술로 만들어 현대 예술 분야에 자리 를 잡게 하였다. 그 결과 도예는 현대 예술 체계의 한 분야가 되었고, 현대 예술 사 상은 도예 분야에서 독립적이고 특수한 예술 표현 형식이 되었다. 현대 도예의 등장과 발전은 서양 현대 예술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고, 현대 예술 의 지속적인 발전 과정에서 나타난 뚜렷한 현상은 바로 추상물, 폐기물, 설치 형식 과 사물의 배치 등과 같은 “물(物)”의 연속적인 등장이다. 예를 들면 추상 회화의 색채 표현, 다다이즘의 기존 사물에 대한 이용과 폐기물에 대한 콜라주, 미니멀리즘 의 사물 배치,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 예술에서의 물체에 대한 다양한 이용 등이 독특한 효과를 표현하였다. 이와 같이 지속적으로 촉진된 “물성의 부각”은 현대 예 술에서 감성의 자아 확정의 일부이고, 감성과 “물체”이 서로 교감하는 분야이다. 20 세기 현대 예술의 발전과 “물성” 관념은 서로 연관되어 있고, 예술 작품과 물질의 성질이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관념의 영향에 의해 현대 도예는 “물성” 을 중시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20세기 현대 예술의 발전과 2차 세계대전 후 현대 도예의 태동을 시간 범위로 하고 문헌 연구와 형식 분석의 방법을 통해 먼저 현대 서양 예술에서 “물 성” 관념의 발생을 연구한다. 그리고 현대 예술 비평가인 클레멘트 그린버그 (Clement Greenberg)의 모더니즘 회화에 대한 비평과 마이클 프리드(Michael Fried) 의 미니멀리즘에 대한 비평 등 두 가지 측면에서 현대 예술의 “물성”과 관련한 미 학 사상을 연구한다. 또한 20세기 이후 유럽, 미국, 일본, 한국, 중국의 현대 도예운 동 발생과 그로 인해 초래된 관념의 혁신, 그리고 도예 “물성”의 현대적 해석을 서 술한다. 특징적인 각 예술 작품 그리고 선봉적인 사상이 현대 도예 관념의 전환을 촉진하여 도예를 “실용에서 예술로 확장”으로 표현한 사실을 고찰한다. 또한 현대 도예작가와 도예 작품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도자 재료와 공예, 도자 장식 언어, 도자 촉각적인 물성표현 등 측면에서 현대 도예의 “물성”에 대한 표현 형식을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현대 도예의 물성적 표현이 도자예술의 재료와 프로세스를 독립된 객관 적 실체로 해체하고 있으며, 물질적 현상을 통해 세계를 투영해 내려는 현대 도예 의 변모된 방법과 지향을 드러내는 중요한 표현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 무궁화의 花器老化中 Ethylene과 Polyamines의 相互作用

        채영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무궁화 꽃의 노화중 에칠렌과 polyamines의 합성경로, 노화에 미치는 상호작용 및 생리적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단명화인 무궁화의 에칠렌 발생은 꽃잎의 in-rolling시작과 함께 급격히 증가하였다. AOA와 putrescine 처리구도 에칠렌 발생량은 감소되었지만 발생유형은 비슷하였다. 따라서 단명화에서는 에칠렌이 노화를 유도하는 것이 아니고 이미 시작된 노화를 증가시키거나 혹은 노화의 결과적 산물이라고 볼 수 있다. 2. 자연상태의 노화시에는 EFE의 활성이 최대에 도달하였을때 꽃잎의 in-rolling과 에칠렌의 발생이 급증하였다. 그후 EFE의 활성은 노화가 진행됨에도 불구하고 서서히 감소되었다. Putrescine의 처리는 EFE활성의 감소시기를 지연시켰다. 무궁화 꽃의 老化中 에칠렌과 polyamine의 合成 經路를 조사한 結果는 다음과 같다. 3. ACC synthase의 活性과 SAM Decarboxylase의 活性은 老化가 가속화되는 시기에 최대 活性에 도달하였다. AOA 處理區는 SAM Decarboxylase의 活性이 처음부터 높아졌으나 대조구와 같은 시기에 감소되었다. 반면에 ACC synthase의 活性은 처음부터 감소되었다. 4. ACC와 MACC의 含量은 개화전부터 계속 증가되어 최종적인 老化 완료기엔 ACC 含量이 감소되었으나 MACC의 含量은 계속적으로 증가되었다. AOA와 putrescine 處理區에서는 含量이 감소되긴 하였으나 生成유형은 대조구와 비슷하였다. 5. 자연상태에서의 老化中 putrescine 含量은 老化 시작기부터 spermidine과 spermine은 老化 심화기부터 감소되고 內生 含量은 putrescine>spermidine> spermine 순으로 존재하였다. During the aging of Hibiscus flower, biosynthetic pathways of ethylene and polyamines, their interactions, and their effects on senescence were studi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evolution of ethylene in Hibiscus flowers which are ephemeral wag rapidly increased immediately after initiation of in-rolling of corolla. Ethylene production was a little inhibited by the treatments of ADA and putrescine. But their phases of production were very similar to that of control. The onset of senescence in ephemeral flower such as Hibiscus was not initiated by the rapid increase of ethylene. Moreover ethylene may stimulate the aging process and nay be the final product of senescence. 2. In normal condition, in-rolling of corolla and ethylene production were rapidly initiated when EFE activity became maximum peak. After that, EFE activity was gradually decreased even though the aging was continued. 3. The activities of ACC synthase and SAM decarboxlyase were most rapidly increased at the tire of 36th hrs. after treatment initiation. Under the treatment of AOA, the activity of SAM decarboxylase was increased from the begining, and then decreased as that of control wag de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activity of AOC synthase was decreased from the early stage under the treatment of AOA. 4. The contents of ACC and MACC were gradually increaded from the early stage. However, ACC content was decreased at the final stage but MACC was continuously increased at that time. The production patterns of ACC and MACC under the treatments of AOA and putrescine were similar to that of control. 5. In normal condition, endogenous level of polyamines exists in the order of putrescie>spermidine>spermine. Putreacine was reduced from the initial point of aging, but spermidine and spermine were reduced during the middle and final stage of aging.

      • 중학생의 애착과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채영 연세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부·모·또래들과의 애착관계가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기 위하여 서울 시내 남녀공학 중학교 1, 2, 3학년 학생 65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부·모·또래 애착을 의사소통, 신뢰감, 소외감의 3개 하위 영역으로, 자아존중감은 학업 및 전반적 자아존중감, 친구관련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신체외모적 자아존중감, 성격적 자아존중감, 신체능력적 자아존중감, 교사관련 자아존중감의 7개 하위 영역으로, 그리고 학교생활 적응은 담임교사 적응, 교우관계 적응, 학습활동 적응, 규칙준수 적응, 학교행사 적응의 5개 하위 영역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여 애착이 성별, 경제 수준, 부모 교육 수준, 학생의 성적에 따라 차이가 있는 지를 검증하고, 부·모·또래 애착이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후 자아존중감이 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의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지를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성별, 경제 수준, 부모 교육 수준, 학생 성적에 따른 부·모·또래 애착 수준의 차이를 보면, 부애착에서 여학생은 신뢰감, 남학생은 의사소통에서 애착이 높았고, 모애착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여학생이 의사소통에서 높은 평균을 보였다. 또래애착은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의 애착이 높았다. 모애착과 또래 애착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애착이 높았으나 부애착에서는 성별 차이가 없었다. 가정 경제 수준에 있어서는 가정의 경제 수준이 높을수록 부·모 애착이 높았으나 신뢰감은 경제수준이 낮을수록, 의사소통은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다. 또래애착은 경제수준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부모 교육 수준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모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모애착이 높고, 모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또래애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성적수준에 따른 부·모·또래 애착은 성적이 상위권인 학생들이 높게 나타났다.둘째, 부·모·또래 애착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의미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와 의사소통면에서 애착이 잘 형성될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았다.셋째, 부·모·또래 애착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학교생활적응에 부·모·또래 애착이 모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또래 애착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도가 높았다.넷째,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도 의미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 하위영역 중 학업자아감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부·모·또래 애착과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 적응은 서로 상관관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부모와의 애착 형성이 높을수록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 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기부터 부모와의 안정되고 만족스러운 애착은 아동기, 청소년기를 성공적으로 보내고 더 나아가 성인이 된 후에도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음을 이 연구 결과는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650 middle school students of schools located in Seoul through a survey method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attachment with parents and peers on their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The students' attachment with parents and peers were divided into 3 sub-factors that are communication, trust and sense of alienation. The students' self-esteem was divided into 7 sub-factors; academic and general self-esteem, friend-related self-esteem, family-oriented self-esteem, physical appearance self-esteem, personality self-esteem, physical ability self-esteem and teacher-related self-esteem. Also, the study divided the students' school adjustment into 5 sub-factors and these are teacher adjustment, peer adjustment, study adjustment, regulation adjustment and school event adjustment. The study analyzed the above sub-factors and verified if the students' attachment differs by gender, economical standard, parents' education level and students' grade. Also, the study looked into the effects of students' attachment with parents and peers on their school adjustment in order to analyze if the students' self-esteem works as a parameter of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of the students.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First, the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students' attachment with parents and peers by gender, economical standard, parents' education level and students' grade. The result showed that in students' attachment with fathers, female students showed high attachment in trust and the male students high attachment in communic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attachment with mothers but female students showed a high average in communication. As for peer attachment, female students showed high attachment than male students. In mother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attachment than male student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father attachment. As for the difference by economical standard, the students showed high attachment with parents when the family economical standard was high but their trust was high when the economical standard was low. Also, communication was high when the economical standard was high. Their peer attachment was high when the economical standard was low. There was no difference by parents' education level but the students' mother attachment was high when the mother had a high education level and the students' peer attachment was high when the mother had a low education level. The students' attachment with parents and peers was high with the students of higher grades.Second, the study showed that students' attachment with parents and pe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self-esteem. The students' self-esteem was high when the attachment in communication with parents was good.Third, the effect of students' attachment with parents and peers on students' school adjustment was analyzed and the result showed that students' attachment with parents and peers all had an effect on students' school adjustment. In other words, high attachment with parents and peers means better school adjustment.Fourth, the effect of students' self-esteem on their school adjustment was significant and high academic self-esteem produced better school adjustment.Fifth, the study showed that students' self-esteem worked as a parameter of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As for peer attachment, the students' self-esteem worked as a parameter more than the students' attachment, showing that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school adjustment.These results show that students' attachment with parents and peer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have a high correlation. Also, the results show that high parent attachment means high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of teenagers. So, the study suggests that stable and satisfactory attachment from the babyhood will allow the students to pass their childhood and adolescence successfully and even when they grow up, they will lead a healthy life.

      • 한·중 신체어의 다의 대조 연구 : '몸통 신체어와 사지(四肢) 신체어'를 중심으로

        채잉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326

        본 연구는 대조 언어학적인 관점에서 한국어와 중국어의 신체어 중에 '몸통 신체어(가슴,배,목)','사지(四肢)신체어(발,다리,팔)'관련 어휘의 다의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한국어 사전『표준국어대사전』,『우리말큰사전』,『연세한국어사전』,『고려대한국어대사전』,『조선말대사전』과 중국어 사전 <中文大辭典>,<韓語辭典>,<新華字典>,<漢語大字典>에 제시된, 각 신체어 어휘를 대상으로 하여, 빈도가 높은 순서대로 단의를 정리하였고, 한중 양 언어에서 의미항목을 대조 분석했다. 다의어는 하나의 중심 의미에서 여러 주변 의미들이 파생되어 나가는 의미 확장의 과정을 거친 것이므로, 각 주변 의미들의 의미는 해당 중심 의미의 의미 특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게 된다. 특히 신체어의 경우, 주변 의미들은 중심 의미의 지시대상이 되는 특정한 신체 부위들의 여러 특징들을 바탕으로 삼아 의미 확장이 이루어지는 것이 쉽게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다의어를 이루는 각 단의들을, [대상], [대상의 형태], [대상의 구성], [대상의 기능], [대상의 위치], [기타] 등과 같은 6개의 의미 영역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2장에서는 한 중 양 언어 사전에서 몸통 신체어 '가슴,배,목'과 '胸,腹,頸'의 다의를 살펴보았는데, 양 언어의 다의 대조 부분에서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규명하였다. 분석은 6개 의미영역에 따라 '가슴,胸'관련 다의어를 대조해 살펴보았는데, 공통점은 [대상]의 의미는 모두 중심적 의미라고 볼 수 있으며, 둘 다 [형태] 영역에 속한 단의가 없음은 동일하다. 의미 확장의 방향은 동일하나 구체적으로 적용된 [구성]과 [위치]의 용례에 차이가 있다. [구성]에서 중국어 '胸'은 신체 내부 구성의 의미 확장이 없으며 한국어'가슴'은 [위치]를 가리키며 신체 앞부분의 공간특징이 없다. 그리고 대조될만한 단의가 중국어에 없는 경우도 있는데 [기능]영역의 마음이나 생각의 단의는 한국어'가슴'에만 나온다. '배,腹'의 다의 대조에서 [대상의 형태]영역에 속한 단의가 없음은 동일하다. [구성]의 측면에서 '腹'은 환유의 수단을 통해서 '속마음'의 의미를 표현한다. 둘의 큰 차이점은 한국어만 [대상의 기능]영역에 속하는 표현이 있으며 중국어만 [대상의 위치]영역 표현이 있다는 것이다. 한국어 '목'과 중국어 '頸'은 중심의미는 같지만 한국어 '목'에 해당하는 단어로 중국어에서는 '頸'과 '項' 두 개의 단어가 있다. [형태]를 보면, 물체나 동물의 비슷한 형태를 지시하는 점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가 유사하지만, 중요하고 좁은 곳을 지칭하는 의미가 중국어에는 없다. 3장에서는 한 중 양 언어 사전에서 사지 신체어 '발,다리,팔‘과 '腳,腿,臂’의 다의를 살펴보았는데, 양 언어의 다의 대조 부분에서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규명하였다. 6개 의미영역에 따라 분석하면 '발,腳'은 공통점 영역을 두 가지 가지고 있고 차이점 영역도 두 가지 가지고 있다. [대상]과 [형태]영역에 속한 단의는 동일하지만 [기능]과 [위치]영역에 속한 단의는 많이 다르다. [기능]영역에서는 걸음과 관련된 기능으로 의미 확장이 다 이루어졌다. 한국어에서 발의 행위와 관련된 기능으로의 의미 확장은 없다. [위치]영역에 속한 단의는 한국어에서 사물 공간 위치는 의미 확장이 없으며 중국어에서는 문자 공간 위치의 의미 확장이 없다. '다리,腿'에서 한국어 '다리'는 공간[위치]가 없고 다른 5개 영역의미 확장은 같다. '팔,臂'관련 다의어를 대조하여 살펴보았는데, 한국어 '팔'은 단의가 중국어보다는 의미의 영역이 좁다. [기능]영역에 속한 단의는 한국어와 중국어가 동일하지만 [위치]의 의미영역이 한국어에는 없다. 한국어는 [대상]에서 동물의 팔까지 의미를 확장하지 않고 [형태]에서 기계 관련 의미는 있지만 기구 관련 의미는 없다. 중국어에서 '팔'의 의미 확장이 범위가 더 넓다. 본 논문에서는 한 중 '가슴,배,목,팔,다리,발'의 다의를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양국 언어의 의미 확장의 차이를 다수 확인할 수 있었다.

      • Open-API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채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325

        본 논문은 최근 많은 곳에서 서비스를 하고 있으며 많이 주목을 받고 있는 Open-API를 이용하는 의도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웹의 변화로 웹서비스가 변화를 하기 시작하였고, 예전과는 다르게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며, 플랫폼으로서의 웹과 집단지식이 대표적인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웹의 변화에 플랫폼으로서의 웹의 대표적인 서비스로 Open-API가 있다. 이러한 Open-API의 이용자들의 이용의도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수용모형(TAM)에 적용을 하여보았다. 기술수용모형에서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 이용의도를 사용하였다. 독립변수로는 크게 정보서비스품질(신뢰성, 적시성, 호환성, 상호작용성)과 개인적특성(혁신성, 자기효능감)으로 나누어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