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한국어 화용 교육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 화용 정보를 포함한 문법 교육을 중심으로

        차준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구체적인 화용 교육 내용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화용 능력을 신장하기 위한 방법으로 화용 정보를 포함한 문법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에 원인·이유 연결형 유사 문법 항목 12개의 문법 설명을 화용 정보를 포함하여 새로 기술하였고 한국어 경력 교사들에게 인터뷰를 통해 검증해 보았다. 외국어 교육에서 화용 교육은 2000년대 이후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최근 한국어 교육에서도 여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화용 교육의 범위와 개념을 정리할 필요가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화용 교육을 한국어 화용 능력을 신장시키는 교육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교육에서의 화용 능력을 한국어로 의사소통할 때 맥락을 이해하여 그에 맞도록 한국어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 재정의하였다. 이런 화용 능력을 신장하기 위해서는 화용 정보가 포함한 교육을 실시해야 하며, 화용 정보의 개념을 한국어 학습자가 의사소통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어를 사용할 때 필요한 정보로 정의하였다. 화용 교육에 대한 범위와 방법을 설정한 뒤 한국어 교수-학습 상황에서 보이는 한국어 화용 교육의 실태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사들에게 화용 교육과 화용 정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교사들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인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화용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화용 교육 시기를 화용 교육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정도의 수준이 되는 중급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는 응답이 많았다. 또한 교사들은 화용 정보를 선택적으로 가르치고 있었으며 화용 정보를 얻을 때 이용하는 것으로는 한국어 교육용 문법서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법서를 이용하는 이유로는 유사 문법에 대한 비교 설명을 찾기 위해서로 유사 문법은 한국어 학습자는 물론이고 가르치는 교사들도 부담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한국 대학 교육 기관에서 사용하는 5종의 교재를 분석하여 한국어 교재에 화용 정보가 어떻게 기술되어 있고 어떻게 교육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우선 화용 정보를 구성하는 중요 요소인 담화 참여자와 담화 상황 설정을 위해 필요한 교재의 등장인물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5종의 교재에서 중복되는 문법 항목 ‘-느라고’, ‘-던데’, ‘-는 바람에’ 대한 화용 정보 기술과 방법을 분석하였다. 교재의 등장인물은 대체로 실재성이 있었으나 대화문에서 나이나 직업 등에 관한 부분에서 실재성이 다소 떨어졌고, 한국인과의 소통을 위한 언어 기술과 태도가 부족한 교재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재의 화용 정보의 제시 방법과 양은 교재마다 차이가 있었으며 명시적으로 제시된 부분도 있었으나 암시적으로 정보를 제시한 경우가 많았다. 화용 교육의 실태를 파악한 후 화용 정보를 이루는 구성 요소를 설정하고 각 구성 요소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화용 정보의 구성 요소를 담화 맥락 정보와 화용적 의미 정보, 관습적 형태 정보로 설정하였다. 설정한 화용 정보를 문법 교육 내용으로 어떻게 구성할지 원인·이유 연결형 유사 문법 항목을 이용하여 문법 항목을 기술하였다. 원인·이유 연결형 유사 문법 항목을 선정한 이유는 전 교육 급수에서 나오는 문법 항목이며 의미적 공통점과 차이점으로 구분하여 기능에 따라 제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명시적으로 교육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9종의 교재에서 중복도 검사를 거쳐 12개의 원인·이유 연결형 문법 항목을 선정하였다. 선정한 문법 항목은 ‘-아/어서, -으니까, -기 때문에, -더니, -았/었더니, -는 바람에, -는 탓에, -는 통에, -는 덕분에, -느라고, -으므로, -길래’로 앞에서 설정한 화용 정보를 포함한 문법 항목을 실제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리한 12개 원인·이유 연결형 문법 항목의 화용 정보를 경력 10년 이상의 한국어 교사들에게 질적 검증해 보았고, 교육적 기대 효과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어 화용 교육과 화용 능력, 화용 정보를 재정의하고 화용 교육의 내용으로 화용 정보를 포함한 문법 항목 기술을 구체화하여 제시한 것에서 의의를 둘 수 있다. 하지만 유사 문법 항목 중 원인·이유 연결형 문법 항목만으로 한정하여 예를 들었고, 이를 학습자에게 검증을 통하지 못한 한계가 있어 조속히 후속 연구로 이를 증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specific pragmatic education content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this purpose, grammar education that includes pragmatic information was used to improve learners’ pragmatic competence. Accordingly, 12 grammatical explanations of similar grammatical items with cause-reason connections were described, along with the provision of pragmatic information. Results were verified through interviews with experienced Korean language teachers. Many foreign language education studies on pragmatic education have been conducted since the 2000s, and a range of research has recently been perform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ince an understanding of the scope and concept of pragmatic education is needed, in this study, pragmatic education was set as language education to enhance Koreans’ pragmatic competence. In addition, pragmatic competenc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redefined as both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context when communicating in Korean and the ability to use the language correctly. To develop these abilities, education that includes pragmatic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The concept of pragmatic information is defined as information necessary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o use Korean in order to communicate effectively. After establishing the scope and method of pragmatic education, its status i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learning context was examined. For this purpose, Korean language teachers’ awareness of pragmatic education and information was investigated via a survey. The results revealed that teachers considered pragmatic education necessary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o communicate smoothly with native Korean speakers. Thus, relevant education starting at the intermediate level has been recommended to ensure that students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al content. The study findings also revealed that respondents had been selectively providing pragmatic information, and the majority were dependent on grammar textbooks for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to obtain such information. The grammar books were used to search for comparative explanations for similar grammatical items, indicating that not only Korean language learners but also teachers find similar grammar tricky. In this study, five different textbooks used in Korean tertiary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also analyzed to investigate how pragmatic information is described and taught therein. To determine important elements of pragmatic, such as the participants and discourse situations, the presentation of characters in the textbooks was examined. Additionally, the description of and techniques for providing pragmatic information were analyzed for grammatical items covered in all five textbooks, such as -느라고, -던데, and -는 바람에. The characters therein were generally realistic, though the realism was somewhat limited in terms of age and occupation. Some textbooks lacked a proper presentation of language skills and attitudes to equip learners to communicate effectively with Koreans. Differences between textbooks in the presentation methods and amount of pragmatic information were noted. Some information was provided explicitly, while implicit information was found in many cases. After understanding the status of pragmatic education, the components of pragmatic information were establish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ponent were examined. In this study, these components were set as information on the discourse context, pragmatic-semantic information, and conventional format information. Regarding the organization of the information into grammar education content, grammatical items were described using cause-reason connections for similar items, Cause-reason connections are covered at all education levels. Since it is necessary to explicitly teach how to properly use them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by classifying them into semantic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12 different grammatical items based on cause and reason were selected through a redundancy check in nine different textbooks: -아/어서, -으니까, -기 때문에, -더니, -았/었더니, -는 바람에, -는 탓에, -는 통에, -는 덕분에, -느라고, -으므로, and -길래. The grammatical items, determined earlier, and pragmatic information were described as well. Moreover, a model for assessing pragmatic information was a reference for grammar selections; it was presented based on pragmatic and grammatical constraints in the description. The pragmatic information of the 12 cause-reason connections for grammatical items organized in this study was verified by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each had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and the educational expected effects were presented.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because of the redefinition of Korean pragmatic education, ability in the field of pragmatic, and pragmatic information (the content of pragmatic education), as well as the specific descriptions of grammatical items. However, among similar grammatical items, examples were limited to only the cause-reason connections to an item. Another limitation was the inability to verify the learners, so it will be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research as soon as possible.

      •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양식과 학업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차준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vide a learning styl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o clarify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 and Korean language achievement in learners. Out of it, it examined the preferred learning style focusing on Chinese learners who possess the highest ratio among Korean language learners these days, and figured out which influence each of the learning styles has upon Korean language achievement. In the meantime, the learning styl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mainly limited to examining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and academic background, and learning styles, in addition to division of a learning style based on learners' country of origin. Thus, this study pointed out problems about a method of classifying and surveying a style, which has been used in learning style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meantime and arranged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 and Korean language achievement. For this, it first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in order to examine a learning style of Chinese learners. Questionnaire was used by translating Willing(1988)'s ‘How do you learn best?’ in Chinese.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progressed from October 7, 2013 to October 15 targeting 161 Chinese learners who learn Korean language at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 attached to university. The results of learners' Korean language achievement were set for mid-term and term-end examinations that were carried out at subjects' education institution.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carried out χ2 test and t-test by using SPSS for Window program.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was calculated. As a result, the learning style of being preferred the most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was concrete learning style. It was in order of communicative learning style, authority-oriented learning style, mixed type, and analytic learning style.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ers' individual variables like gender, age, learning period, and rating and in all learning styles. And in consequence of having compared it with learners' Korean language achievement according to learning style, the Korean language achievement of learners, who preferred concrete learning style, was higher than the mean score in the whole and was indicated to be higher in Korean language achievement than learners who preferred other learning styles. Also, the learning style, which was preferred the most in the high rank and middle rank, was concrete learning style as a result of Korean language achievement. However, the low rank appeared to have no learning style that is preferred definitely. However, this outcome in learning style and Korean language achievement was indicated to no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is analytical outcome, it suggested a teaching plan of having been appli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vocabulary, by grammar, and by four language skills according to each learning style, which is shown in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his study can have significance in a sense of having examined the learning styles of being preferred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nd of having statistically confirmed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s and Korean language achievements in learners, but has limitation as well that failed to perform actual instruction according to a teaching plan that was proposed by each of the learning styles. However, when a teacher understands a learning style of being preferred by learners and makes effort to apply it to class by reflecting this, it will develop learners' learning method and a learning strategy, thereby being expected to likely able to obtain positive learning outcome.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양식을 구분하고, 학습자의 학습 양식과 학업 성취도의 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그 가운데 최근 한국어 학습자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선호하는 학습 양식을 살펴보고, 각각의 학습 양식이 학업 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그동안 한국어교육에서 학습 양식은 주로 학습자의 출신 국가별 학습 양식 구분과 성별, 연령, 학력 등 개인 변인과 학습 양식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국한되어 있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양식에 사용된 양식 분류 및 조사 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학습 양식과 학업 성취도 관계를 정리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중국인 학습자의 학습 양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Willing(1988)의 ‘How do you learn best?’를 중국어로 번역하여 사용하였으며,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인 학습자 161명을 대상으로 2013년 10월 7일부터 10월 15일까지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 결과는 대상자의 교육 기관에서 실시한 중간, 기말 시험 성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에는 SPSS for Windo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χ2 검증과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학습 양식은 구체적 학습 양식이었으며, 의사소통적 학습 양식, 권위 지향적 학습 양식, 혼합형, 분석적 학습 양식 순이었다. 그리고 학습자의 성별, 연령, 학습 기간, 급수와 같은 학습자 개인 변인과 학습 양식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학습 양식에 따라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와 비교해 보았더니 구체적 학습 양식을 선호한 학습자들의 학업 성취도가 전체 평균 점수보다 높았고, 다른 학습 양식을 선호한 학습자들보다도 학업 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업 성취도 결과 상위권과 중위권에서 가장 많이 선호한 학습 양식은 구체적 학습 양식이었으나, 하위권에서는 뚜렷하게 선호하는 학습 양식이 없는 것으로 나왔다. 하지만 학습 양식과 학업 성취도의 이런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서 나타나는 각 학습 양식에 따라 한국어교육에 적용시킨 교수 방안을 어휘, 문법, 네 가지 언어 기능별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선호하는 학습 양식을 알아보고, 학습자의 학습 양식과 학업 성취도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확인했다는 의의를 둘 수 있지만, 각 학습 양식별로 제안한 교수 방안에 따라 실제 수업을 하지 못한 한계점도 있다. 그러나 앞으로 교사가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학습 양식을 이해하고 이를 반영하여 수업에 적용하려는 노력이 있을 때, 학습자들의 학습 방법과 학습 전략을 발전시켜 긍정적인 학습 결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한다.

      • 교과연계 독서토론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의왕지역 중학교를 중심으로

        차준우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 시대의 교육은 학생들을 리더십과 창의성, 인성을 갖춘 미래의 인재로 양성시키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동원되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독서토론은 책을 읽고 난 후, 학생이 적극 참여하여 창의성 및 사고력 증진에 효과적이며, 교과와 연계하여 진행되는 경우 교과 지식은 물론 자기주도적인 학습력을 기르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과연계 독서토론에 대한 인식도와 활성화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현재 경기도 의왕시에 위치한 중ㆍ고등학교 교사와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분석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교과연계 독서토론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에 대한 흥미와 시간이 필요하다. 학생들의 경우 독서에 대한 흥미와 동기부여, 독서 시간 부족으로 인해 토론활동에 주저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이는 교과와 연계하여 진행되는 독서토론의 특성상 독서가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독서에 흥미를 가질 수 있는 방안과 독서를 할 충분한 시간적 여유가 필요하다. 이러한 방안이 제시된다면 교과와 관련된 도서를 충분히 활용하여 교과연계 독서토론이 활성화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다. 둘째, 교과연계 독서토론을 위한 환경적인 요소들도 마련되어야 한다. 가장 시급한 부분으로 교과와 연계한 자료이며, 이는 교과연계 독서토론의 큰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학교 자체적으로 교과과정에 맞는 도서를 선정하여 자료를 구입, 제공해줌으로써 수업 시간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교사를 위한 전문적인 독서토론 연수 교육이 진행되어야 한다. 부족한 지식과 운영의 미흡 등의 요소는 교사 스스로 독서토론에 참여하지 못한 이유로 연결될 수 있다. 교과연계 독서토론 수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각 교과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토론방식을 습득해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사는 본인의 교과에 접목시켜 운영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보다 전문적인 연수 교육이 절실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넷째, 교육과정의 자율화와 평가에 일부 반영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은 교사의 일방적인 교수학습지도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학생들로 하여금 수동적인 자세로 변하시킬 수 있다. 하지만 교육과정의 자율화로 독서토론이 교과 수업에 정착되어 운영된다면 학생들은 수업 진도의 부담에서 벗어나 능동적인 자세로 교육에 참여할 수 있다. 또한, 교과별로 수행평가와 연계하여 진행하면서 독서토론 수업에 대한 인식을 높여주는 방안도 필요하다. 학교 현장에서 교과와 연계한 독서토론 방식의 수업은 아직 활용도가 높지 않은 편이다. 하지만 분명 이러한 교육방법은 미래가 요구하는 인재가 되기 위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교과와 연계한 독서토론이 활성화 되려면 많은 구성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정책적 재정적으로 끊임없는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교과와 연계한 독서토론이 교과와 지역의 구분 없이 학교현장에서 적용되어 진행되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연구를 기대해 본다. Today’s education aims to raise future-oriented students equipped with leadership, creativity and good personality. In oder to realize it, various ways are used in education. Among them, reading debate is an effective way of improving creativity and thinking sills through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lso, when reading debate is connected textbooks, it can play a crucial role in heightening self-initiated learning ability as well as textbook knowledge.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in Ui-wang Kyungki province in order to investigate awareness and activation ways of reading debate connected to textbooks. First, time for interest and time for reading is needed. Students lack interest and motivation for reading due to shortage of time for reading, Also, reading should be preceded given that reading debate is connected to textbooks. Therefore, ways of inducing students’ interest in reading and time for reading are required. Once ways are provided, reading debate using books related to textbooks will be greatly activated. Second, environment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for reading debate connected to textbooks. The most urgent thing is materials related to textbooks, a big problems of textbooks related reading debate. Thus, schools should select and purchase books that correspond to curriculum and provide students with them so that they actively use in class. Third, professional reading training for teachers are provided. Factors such as lack of knowledge and operation can be reason that teachers do not want to participate in reading debate. In order to activate reading debate connected to textbooks, teachers should learn various types of debate that can apply to each textbook. Thus, professional training for teachers are desperate. Fourth, ways that reflect liberalization and evaluation of curriculum are needed. School education is conducted by a once-sided teaching of teachers, which make students inactive. However, reading debate is liberated from curriculum can induce students’ active attitudes toward it. In addition, connecting reading debate to performance assessment is a way of heightening awareness. It is true that reading debate connected to textbooks is not activated. However, such education is necessary to be the right people for the future. Also, school members’ efforts are needed in order to activate reading debate connected to textbooks. Lastly, reading debate should be supported by policy and constant finance. Further study of specific ways in order for reading debate connected to textbooks to be applied to school regardless of textbooks and regions is exp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