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탠리 그랜츠(Stanley J. Grenz)의 신학 연구

        차종관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스탠리 그랜츠(Stanley J. Grenz, 1950-2005)의 신학을 연구했다. 그랜츠는 복음주의 침례교 신학자이자 윤리학자로, 포스트모던 복음주의의 대표적인 학자이다. 그는 90페이지가 넘는 대작인 『공동체를 위한 신학』(Theology for the Community of God)을 발표함으로 그의 포스트모던 신학을 소개했다. 그랜츠는 이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남겼으며, 신학에 있어서 매우 영향력 있는 지위를 확보 했다. 그는 생전에 이머징 교회 운동(Emerging church movement)을 시작하는데 매우 깊이 관여하기도 했다. 그랜츠는 판넨베르그의 제자이자, 그의 전문가이기도 하지만, 이머징 네트워크를 좋아했던 신학자이기도 했다. 그랜츠는 또한 후기 복음주의 운동에 가장 영향력을 끼친 신학자로 인정받기도 한다. 그가 포스트모던 신학을 주도 할 때, 주변의 많은 동료 학자들이 포스트모던 신학에 대한 위험성을 경고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더욱 선명하고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며 어떻게 토대주의 인식론을 넘어 새로운 신학 방법론을 모색할까에 대한 깊은 고민을 했던 학자이다. 그는 또한 복음주의 신학에서 교리의 역할에 대하여 상당한 비판을 함과 동시에 내러티브(narrative)와 회심적 경건주의(a convertive pietism)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이같은 포스트모더니즘을 포용하는 그의 태도에 대하여 D. A. 카슨(D. A. Carson)이나 밀라드 에릭슨(Millard J. Erickson)같은 학자들은 그랜츠의 신학이 복음주의 정신을 유지하고 있는지 조차 의심이 든다고 비판을 쏟아 냈다. 그랜츠가 이와 같은 신학 방법론에 집착했던 이유는 최근에 대두되고 있는 경향성과 무관하지 않다. 최근 수년 동안 복음주의 신학적 개념에 관한 새로운 신학 방법론을 소개하는 중요한 변화들이 있어왔다. 예를 들면: “신학의 본성은 무엇인가?” “성경의 본질은 무엇인가?” “신학을 위한 자료는 무엇인가?” “해석학적 방법은 복음주의의 신학을 위하여 어떤 노력을 기울여 왔는가?” 1993년에 그랜츠는 『신학의 재개정』(Revisioning Evangelical Theo- logy)를 출간했다. 그는 거기서 복음주의 신학이 개시된 이래로 복음주의 신학을 지배해 왔던 인식론적 명제주의를 넘어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랜츠는 말하기를 “복음주의 신학의 중심적 임무는 특정한 문화적 상황 내에서 믿음공동체로써 함께 공유하는 믿음에 대한 지성적인 반성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그리고 신학은 전체로 조직화되고, 탐구되고, 그리고 공동체의 상징을 질서 있게 유지해야 한다고 했다. 그랜츠는 신학을 정의하기를, 신학은 공동체와 소통하는 하나님에 대한 학문으로서가 아닌, 공동체스스로, 공동체와 공동체의 믿음을 반성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므로 신학자들은 공동체의 편에서 메시지를 전달 할 뿐 아니라, 하나님 편에서도 동일하게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 그랜츠는 성경에 관하여 매우 다른 견해를 가진다. 성경은 본질적으로(per se)계시가 아니라, 초대교회가 경험했던 하나님에 대한 경험을 기록한 것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계시는 역사 안에서 발생한 사건이지 텍스트 자체가 아니라고 한다. 신약성경은 공동체의 간증이며, 역사에 대한 응답이다. 그러므로 초대교회 신자들이 그 공동체에 근거를 둔 메시지를 발전 시켰다. 그랜츠는 기독교 신학의 세 가지 기준을 제시한다. 그것은 성경, 전통, 그리고 사상이다. 그는 말하기를, 우리들의 임무는 교회의 신학적 전통을 통하여 성경의 메시지로부터 우리들이 살고 있는 사상적 틀과 문화적인 이슈들로 옮겨가는 것이라고 한다. 또한 그랜츠는 주장하기를 진정한 복음주의, 즉 바른 교리라는 것은 충분하지 않다고 한다. 기독교 믿음의 참된 진리성은 개인적 체험을 통하여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랜츠는 또한 성경적 내러티브를 강조하는데, 성경에 기록된 구속의 역사는 하나님께서 성경을 주시고, 이러한 구속의 역사를 계속해서 이루어 가신다. 하나님은 성경을 통하여, 그리고 성령의 부으심을 통하여 사람을 자신과의 관게에로 이끄신다. 기독교 신학이란 단지 믿음의 시스템이 아니다. 즉 어떤 신념이나, 윤리 시스템이 라니다. 기독교는 우주의 주인이신 하나님과의 관계이며, 자신을 위하여 사람을 부르시는 하나님과의 관계이다. 이것은 인식과 행동을 넘어서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경의 이야기는 우리드르이 이야기 인 것이다. 그러므로 크리스찬들은 역사 가운데, 역사의 하나님과의 관계안에서의 하나님의 구속의 사역의 한 부분인 것이다. 그랜츠는 자신과 프랑케(Franke)가 함께 집필한『Beyound Foundatio- nalism』(2000)에서 역사적 복음주의 신학과 특별히 성경이 제 1명령이자 마지막이라고 불리며, 크리스찬들의 신앙과 실천위한 충분한 권위인 “오직 성경(Sola Scriptura)”이라는 의미로부터 자신들의 신학을 구별하고 있다. 즉 성령에 의한 성경의 사용에 있어서 성령의 의도는 본문에서 저자의 의도와 단순하고 전체적으로 연결하지 않는다고 본다. 즉 그랜츠와 프랑케는 하나님의 말씀과 성경의의 단어들 사이에 일대일의 상응하는 관계로 이해하는 것을 꺼린다. 그랜츠의 신학 작업은 복음주의 신학과 포스트모던 사상과 문화의 다양성과 다원성에 의하여 도전 사이에서 확신있는 하나의 형태를 구현하고자 하는 일관성 있고, 생기 있는 논쟁을 제공했다. 그랜츠의 이러한 비평적이며 실제적인 잡근은 린드벡(Lindbeck)이나 맥킨타이어(MacIntyre)같은 중요한 학자들 이론들을 차용하므로 복음주의와 후기 복음주의를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강력한 목소리를 내는 계기가 되었으며, 21세기 기독교 신학에 대한 철학적 방법론적 접근에 관한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했다. 결론적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은 동일한 방식으로 기독교 신학에 도전과 기회들을 계속해서 제공할 것이다. 그의 탁월한 연구는 위험으로부터 약속을 이루어 내도록 도울뿐 아니라, 우리 앞에 놓인 시대적 요청을 위한 건설적인 제안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This thesis has been researched about Stanly J Grenz's theology. Stanley Grenz(1950-2005) is an Evangelical Baptist theologian, ethicist, and proponent of a postmodern evangelicalism. His Theology for the Community of God, a large work of nearly 900 pages, sets forth his postmodern evangelical theology. Grenz became a leading exponent of this approach, and thus can be considered as representative of postmodernism's influence on theology. Toward the end of his life, he was involved in the beginnings of the Emerging church movement. Grenz was a leading expert on the theology of Wolfhart Pannenberg, his doctoral professor, but he was also a favorite theologian of the emerging church network. Grenz is viewed by many evangelical scholars as the theologian who has most influenced the postconservative evangelical movement. At a time when other evangelical thinkers were warning of the dangers of postmodernism, Grenz adopted a more open attitude that considered how the move from foundationalist epistemology could be used as a theological method. He also deemphasized the role of doctrine in evangelical theology, preferring to focus on shared narrative and a renewed focus on a convertive pietism. This embrace of postmodernism has led many of Grenz's critics, including D. A Carson and Millard J. Erickson, to question whether his theology retained anything distinctly evangelical. The reason why he focuses on this kind of theological methodology is not irrelevant to the tendency of emerging culture recently.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shift in recent years in the evangelical conception of the theological task. What is the nature of theology? What is the nature of the Bible? What are the sources for theology? And what hermeneutical method should be used in the evangelical's theological endeavor? In his 1993 book Revisioning Evangelical Theology, Stanley Grenz sets forth new answers th these questions, seeking to move beyond what he sees as the cognitive propositionalism which has dominated evangelical theology since its inception. Grenz writes that the "central task" of evangelical theology is "the intellectual reflection on the faith we share as the believing community within a specific cultural context." "Theology systematizes, explored and orders the community symbols and concepts into a unified whole." Grenz defines theology, not as the study of God's communication to the community, but as the community's self-reflection upon itself and its beliefs. Theology is an exercise "from below", in that its starting point is not God's communication, but the community's experience. The purpose of theology is not to describe what the community believes, but to describe what God has communicated, which in turn defines what the community must believe. The theologian is not so much conveying a message on behalf of the community, but on behalf of God. Grenz understands the nature of the Bible quite differently. The Bible is not revelation, per se, but the first century Church's reflection upon its experience of the Divine. Revelation is the event in history, not the text. The New Testament is the community's testimony of and response to the history. From these events, the first Christians developed a message, which becomes foundational to the community. Grenz, however, proposes three sources of norms for Christian theology: Scripture, tradition, and the thought forms of the day. He writes, "Our task moves from the biblical message, through the theological heritage of the church, to the thought forms and issues of the cultural context in which we live." Grenz writes, "To the truly an evangelical, right doctrine, as important as it is, is not enough. The truth of the Christian faith must become personally experienced truth." Grenz is also helpful in stressing the importance of the biblical narrative. Redemptive history is the context in which God gave the Scriptures, and this redemptive history continues. God is seeking through the Scriptures and the outpouring of His Spirit to bing men into relationship with Himself. Christian theology is not merely a system of beliefs; nor is it a system of beliefs and ethics. Christianity is a relationship with the Author of the universe, who is calling out a people for Himself. This moves beyond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The biblical story is our story. The Christian is a part of God's redemptive work in history, in relationship with the God of History. In their Beyond Foundationalism(2000), Grenz and Franke are clearly distinguishing themselves from historic evangelical theology and especially what has been meant by Sola Scriptura, namely, that Scripture is first-order language and thus the final, sufficient authority for all Christian faith and praxis. For them, Scripture is authoritative because it is the vehicle through which the Spirit speaks, yet in the Spirits's appropriation of Scripture, the Spirits's intention is not simply and totally tied to the author's intention in the text. Hence, they are reluctant to posit a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the Word of God and the words of scripture. His theological work offers a coherent and lively argument that convincingly squares the circle between evangelical theology and the challenges posed by the diversity and plurality of postmodern thought and culture. Its critical-realist approach to Grenz's thought, allied to a well-selected use of other key thinkers such as Lindbeck and Maclntyre, begins to map a philosophic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 to Christian theology in the 21st century that will speak powerfully to both evangelical and post-evangelical audiences. In conclusion, while postmodernism continues to present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to Christian theology in equal measure, Grenz's penetrating study helps to disentangle the promise from the peril, and offers some constructive proposals for the way ahead.

      • 존 웨슬리와 폴 틸리히의 신학방법론 연구 : 오변형 신학방법론 제안

        차종관 성결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bout ‘the pentagonal theological method’ which is a combination of the theological methods of John Wesley and Paul Tillich. While Wesley developed his theology with the Quadrilateral method, Tillich used the method of correlation which the context questions and the Bible responds. Wesley’s theological materials are the Bible, reason, experience, and tradition. The four elements are the foundation and pillar that forms the Wesleyan theology. Among the four, the Bible is the most authoritative and primary material and starting point, and the other elements must be verified by the Bible. Tillich’s the method of correlation is theology of mediation as well as an apologetic theology. First, it attempts a apologetic unification of philosophy and theology. While stating the different and common points of philosophy and theology, Tillich looked for the interdependence and ultimate unification of both studies. Second, he searched for the correlation between answer and question which mediates message and context/situation. By mediating two conflicting elements and apologetically synthesizing them, Tillich finds the foundation of method of correlation in the inter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which begins from religious experience. Tillich’s answering theology occurs from this point. However, Tillich’s the method of correlation is criticized as a contextual theology and attacked as a religious theology because of its excessive focus on cultural context. In fact, Tillich used his theological method as an instrument to communicate with other religions in his later years and was criticized for religiously generalizing theology. I, the researcher, pursue the pentagonal theological Method which is a combination of Wesley’s Quadrilateral method and Tillich’s the method of correlation. The Pentagonal Theological Method takes the form of inter-combining the Quadrilateral, one of Wesley’s theological elements, and context from Tillich’s theological method. It is almost impossible to compare the theological method of Wesley and Tillich in a unilinear way. However, a unity can be found in both theological methods when examining each materials respectively. Nevertheles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pistem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between the two methods. I wants to focus on the fact that both Wesley and Tillich developed theologies which the Bible message has the central significance. Therefore, I suggests the Pentagonal Theological Method which unifies Wesley’s Quadrilateral elements and the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the existential problems which was discovered in the context which Tillich understood. The pentagonal theological method analyzes and synthesizes context, which Wesley overlooked in his theological method. In the pentagonal theological method, there is no hierarchical order between the Bible and the other elements. They rather interrelate with one another. Therefore, there is no subordination nor dependence among the elements. The pentagonal theological method is an approach that tries to explain supranaturalistic method which is irrelevant with specific human context, which the traditional theological method overlooked, and naturalistic method which only considers the specific human context. This is an apologetic technique which the inducive theological method of Wesley’s Quadrilateral method and Tillich’s the method of correlation operates together. The pentagonal theological method is a theological method that accomplishes fusion of horizon of an invariable which is the Bible message as a unconditional element and another invariable which is human context as a conditional element. Analyzing the geological and religious theological location of the current church is very important in this era. Thinking about how the unchanging message of the gospel can carry out a dynamic role in the extremely volatile context of life can be the opportunity to recover Christianity’s foundational value and role. When the gospel and culture accomplishes an edifying relationship in such situation, the pentagonal theological method can be an important method of investigating truth which can interpret and understand modernity. 본 연구는 존 웨슬리(John Wesley)와 폴 틸리히(Paul Tillich)의 신학 방법론이 결합된 ‘오변형 신학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웨슬리는 사변형 신학방법론(Quadrilateral Theological Method)을 가지고 자신의 신학을 전개하였다. 틸리히의 신학방법론은 상황이 묻고 성서가 대답하는 상관의 신학방법(Theological Method of Correlation)을 사용하였다. 웨슬리는 신학의 자료를 선택함에 있어서 전통적인 신학의 자료들을 활용하였다. 웨슬리가 사용한 신학의 자료는 성서(Bible), 이성(reason), 경험(experience), 전통(tradition)의 4가지인데, 이중에서 성서를 유일한 진리의 표준(norm)과 권위(authority)로 보고 가장 중요한 일차적 자료로 취급하였다. 이 네 가지 요소는 웨슬리 신학의 권위의 근거가 되며, 웨슬리 신학방법론을 형성하는 기둥(pillar)이 된다. 이 네 요소는 성서의 절대적인 권위 아래에서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갖는다. 웨슬리가 사용하는 네 요소는 영국교회의 권위의 요소인 성서, 이성, 전통에 경험을 추가한 것이다. 웨슬리 신학 방법론에서 독특한 부분은 웨슬리가 네 가지 요소를 동시에 언급하지 않고, 순서적으로 나누어서 사용한다는 것이다. 웨슬리의 신학에 있어서 성경은 가장 권위 있는 일차적인 자료이며 출발점이다. 네 가지 다른 요소들도 성서를 해석하고 신앙을 이해하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언제나 성서의 검증을 받아야 한다. 틸리히의 상관의 신학 방법론은 성서와 상황이 상관의 관계를 통하여 상황이 질문하고 신학이 대답하는 응답하는 신학을 추구하였다. 틸리히의 신학은 중재의 신학이자 변증신학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는 19세기 자유주의와 정통주의 신학을 중재하려고 했으며 나아가서는 메시지를 강조하는 케리그마 신학(kerygmatic theology)과 상황을 강조하는 변증신학(apologetic theology)을 중재하였다. 틸리히 신학의 착상(conception)은 마틴 켈러(Martin Kähler)가 주장한 ‘신학의 과제는 중재다’(The task of theology is mediation)이라는 말을 수용한 것이다. 틸리히의 중재의 신학의 개념은 현대의 세속화 과정에서 전통적인 종교언어가 그 전달 능력을 상실한 현대의 상황 속에서 종교의 실체적인 능력과 실용성을 현대인들에게 다시 환기 시키고 각성시키고자 했다는데서 그 의의를 가진다. 틸리히에 의하면 변증신학은 상황만을 강조하여 메시지의 본질을 약화 시켰고 반면에 케리그마 신학은 메시지의 독자성과 본질만을 강조하므로 상황을 악화 시켰다고 보았다. 따라서 틸리히는 케리그마 신학과 변증 신학의 장단점을 비판하고 중재하는 새로운 신학을 모색했다. 틸리히는 그 대안을 위하여 상관의 신학 방법론을 착안했다. 상관의 신학방법은 메시지와 상황 어느 것도 소외시키지 않고 서로 연합하는(unifying) 방법이다. 그는 신학의 중재적 과제를 해결하는 신학적 방법을 상관관계(correlational relationship)에서 찾았다. 틸리히의 신학방법은 첫째로, 철학과 신학의 변증법적 통일을 시도한다. 이것은 일찍이 슐라이에르마허(Friedrich Schleiermacher)와 헤겔(Georg Wilhelm Friedrich Hegel)에 의하여 주도되었다. 그는 신학과 철학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논술하면서 양자의 상호 의존성을과 궁극적 통일을 모색했다. 두 번째로, 틸리히는 메시지와 상황을 중재하는 대답과 질문의 상관관계를 모색한다. 그는 이러한 상관의 방법을 가리켜 변증법적 통일의 상관관계라고 한다. 대립되는 두 요소를 중재하고, 변증법적으로 종합하는 방식이 곧 상관관계의 방법이다. 틸리히는 상관관계의 방법의 근거를 종교적 경험에서 비롯되는 하나님과 인간의 상호의존적 관계에서 찾는다. 그것은 곧 ‘하나님을 위한 우리, 우리를 위한 하나님’이라는 형식에서 발견되는 관계이다. 여기서 틸리히의 응답하는 신학(answering theology)이 발생한다. 하지만 틸리히의 상관의 신학방법론은 인간의 문화적 상황에 지나치게 무게 중심을 둔 나머지 상황신학이라는 비판과 함께 종교신학화 되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실제로 틸리히는 그의 생애 말년에 자신의 신학 방법을 타종교와의 대화를 위한 도구로 활용하므로 신학을 종교일반화 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연구자는 웨슬리의 사변형 신학방법론과 틸리히의 상관의 신학 방법론을 종합하는 오변형 신학방법론을 연구하고자 한다. 오변형 신학 방법은 웨슬리의 신학 요소인 사변형과 틸리히의 신학 방법 중에 상황을 상호 종합하는 형식을 가진다. 웨슬리와 틸리히의 신학 방법론을 단선적으로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따른다. 하지만 양자의 신학 방법론은 각각의 신학적 자료를 검토할 때 동일성이 발견된다. 다만 웨슬리와 틸리히에게 있어서 상황에 대한 인식론적 이해는 많은 차이가 있다. 틸리히는 상황 속에 내포되어 있는 문제들을 성서 메시지로서 대답하려고 하였다. 그것은 곧 인간 실존과 신적인 자기 계시를 상호 관계시키는 것이다. 연구자는 웨슬리와 틸리히의 성서 메시지가 중심이 되는 신학을 전개했다는 점에 주목하므로 사변형의 나머지 요소들과 틸리히가 이해했던 상황 속에서 발견되는 실존적 문제에 대한 철학적 이해를 결합하는 오변형 신학을 제안한다. 오변형 신학은 웨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