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assive House의 열손실 저하를 위한 Silica Aerogel 창호의 에너지 성능 평가

        차정훈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국내·외 여러 가지 협약 및 관심에서 녹색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건축에서도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제로하우스 등 많은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특히 건물의 각 부위 중 창호는 에너지가 많이 소비 되는 부위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절약형 건물의 개념으로 중부 유럽에서 발전된 Passive House와 Passive House의 몇 가지 시공 사례에 대해서 조사를 하였다. 그리고 Silica Aerogel을 창호에 적용하여 에너지 절약형 창호를 구현하기 위한 기초 시뮬레이션 실험을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Therm 7.0/Window 7.0을 통한 시뮬레이션 결과 투명 유리를 사용한 2중 유리보다 로이 코팅이 된 3중 유리가 열관류율과 일사열취득계수가 약 66%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Silica Aerogel을 적용한 창호 시스템은 18mm이상의 Silica Aerogel이 적용된 창호에서 기존 창호보다 더 높은 열성능을 나타내었고 특히 3중 유리 창호시스템은 Passive House에서 요구하는 열관류율(0.85 W/m2K 이하)을 만족하였다. The term of Green, from the viewpoint of various agreements and concerns at home and abroad, forms a certain paradigm. In building industry, many approaches such as energy-zero house have been evaluated to accomplish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goal. Particularly window, among others, is the part consuming the energy the most. In this study, a number of cases including Passive House developed as energy-saving building concept in Mid-Europe with construction examples were evaluated. As a result of carrying out the simulation test in a bid to realize the energy-saving window by applying Silica Aerogel to window, the outcome obtained is highlighted as follow; 1) According to the simulation using Therm 7.0/Window 7.0, thermal transmission rate and solar heat gain coefficient from a triple-layer Low-E coating glass was lower than a double-layer plaint glass by approximately 66%. 2) A window system with 18mm or more Silica Aerogel was found to have had higher heat performance and particularly, a triple-layer glass window system satisfied the heat transmission rate (0.85 W/m2K or less) required by Passive House.

      • 청도 대적사 극락전 불교미술 연구

        차정훈 慶州大學校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청도 대적사 극락전이 보물로써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의 문으로 시작하였다. 대적사는 17세기에 성해대사가 창건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 후 체징을 중심으로 18세기에 중건했다. 이는 전각 뒤에 사용되고 있는 명문 기 와, 대적사 중수기 , 보광전상량문 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극락전 기단은 특이한 구조로 되어 있다. ‘H’형태로 선각 되어 있으며 연꽃, 거 북이, 게 등 다양한 문양이 있다. 또한, 소맷돌에는 용비어천도 라고 불리는 조 각이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하지만, 소맷돌에 새겨진 그림을 용비어천도 로 보 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불교에서 큰 의미를 가지는 용, 거북, 연꽃을 표현한 것으 로 보인다. 특히, 거북의 몸에서 연꽃이 나오는 장면은 甘露軍茶利菩薩供養念誦 成就儀軌에서 보이는 내용을 묘사한 것으로 보인다. 해양생물은 흔히 불을 막아주는 벽사의 의미로 해석한다. 하지만, 대적사 극락 전은 ‘벽사’라는 의미를 넘어 전각이 ‘반야용선’임을 부각시켜준다. 이는 金剛般 若波羅蜜經에 의거한 내용으로 금강경 이외에도 다수의 경전에서 전각을 배 에 비유한다. 따라서, 기단에 조각된 해양생물은 물을 상징하며, 전각이 반야용선 임을 강조하는 수단으로 생각한다. 기단에 해양생물이 있는 사찰은 여수 흥국사 대웅전, 해남 미황사 대웅전, 순천 정혜사 대웅전 등이 있다. 현재까지 이러한 사찰은 모두 기단을 물로 보고 있으 며, 공교롭게도 대적사를 제외하고 모두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다. 그로인해 해양생물은 해안가와 인접한 사찰에서 보이는 특징으로 분류한다. 하지만 대적사의 예를 통해 해안가와 상관없이 전각이 가진 의미를 강조하는 수단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마지막으로 전각에 봉안된 불상은 17세기 청도에서 활약한 승호파 불상으로 추 정된다. 대적사중수기 에서 보이는 시기와 승호파 활동시기가 일치하며, 얼굴 형태, 재질, 가사 양식 등 상당부분이 승호파 불상과 유사하다. 따라서 대적사 극 락전은 조선후기 건축양식을 가지고 있고, 장엄요소와 더불어 불상까지 시대성을 대표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사찰이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question about what meaning Cheong-do Daejeoksa Geukrackjeon has as a treasure. Daejeoksa was first built by Great Master Seong-Hae in the 17th century, and was rebuilt by those led by Che-Jing in the 18th century. This fact can be confirmed through roof tile with well written words, Daejeoksa repairing record , and Bogwangjeon Sangryangmun used behind a seal engraving. The stylobate of Geukrackjeon has unique structure. Its line is made in ‘H’ shape, and there are various patterns such as lotus, turtle, and crab. In addition, it is famously know that in the lower part stone, there is a sculpture called Yongbieocheondo . However, it is hard to regard the photo engraved in the lower part stone as Yongbieocheondo , and it seems that dragon, turtle, and lotus which have significant meaning in Buddhism are expressed. In particular, the scene where locus comes out of a turtle is seen as a description of the story of Gamnogundaribosalgongyangyeomsongseongchwiuigwe. Marine life is usually interpreted as the meaning of preventing fire. However, Daejeoksa Geukrackjeon brings into relief the fact that the seal engraving is Prajna Dragon Boat by going a step further. This is based on Geumgangbanyabaramilgyeong, and besides  Geumganggyeong lots of scriptures compare seal engraving to boats. Therefore, marine life engraved in stylobates symbolizes water, and seal engraving is regarded as a tool to emphasize Prajna Dragon Boat. The temples which have marine life in the stylobate include Yeosu Heungguksa Daeungjeon, Haenam Mihoasa Daeungjon, and Suncheon j eonghyesa daeungjeon. Until now, these temples regard the stylobate a s water, coincidentally, except for Daejeoksa, all of them are located n ear beaches. Accordingly, marine life are classified depending on the c haracteristics seen from beaches and the temples near beaches. Howev er, considering the case of Daejeoksa, it makes sense to see it is the t ool to emphasize the meaning of seal engraving regardless of beaches. Lastly, statue of Buddha sealed in seal engraving is assumed to be t he statute of Buddha of Seung-ho school which was active in Cheong -do in the 17th century. The period seen in 「Daeheoksa reparing reco rd」and the period when Seung-ho school was active coincide, and si gnificant parts such as face shape, material, and lyrics forms are simil ar to Buddha statue of Seung-ho school. Therefore Daejeoksa Geukrackjeon has the construction method of t he late Joseon dynasty and it is an important temple as it represents t he era through statutes of Buddha along with grandeur factor.

      • 사용후핵연료 장기건식저장 시스템 열해석 방법론 개발

        차정훈 경희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내의 원자력발전소 운전 경력은 현재 약 30년에 다다르고 있으며, 사용후 핵연료를 저장해야 하는 임시저장시설의 저장용량은 가까운 기간 내에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의 경우 사용후핵연료 처리에 대한 결정이 늦어지고 있으며, 최종처분으로 결정이 된다고 하여도 사용후핵연료 처분까지는 많은 시간이 필요할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사용후핵연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중간저장시설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건식저장방식은 사용후핵연료를 공기나 불활성기체로 충진된 저장용기 내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습식저장방식에 비하여 저장용량 확장, 운영의 용이성, 안전성 및 경제적 측면에서 뛰어나며, 이미 미국을 비롯한 13개국에서 건설/운영 되고 있어 그 효용성이 입증된 기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건식저장 기술은 다른 분야의 선진기술과 마찬가지로 대부분 대외비로 취급되거나 특허에 의해 보호되어 있어 기본 매뉴얼 등을 제외한 기술개발 자료들의 습득이 어려운 실정이다. 사용후핵연료 장기건식 저장용기 및 저장시설의 개발과정에서 열해석 분야는 인허가 및 사업시행에 있어 중요한 평가기준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열해석은 건식저장시설의 저장 방식이나 시설의 설계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되므로 구체적인 저장시설의 설계를 확보하지 않으면 수행하기 어렵다. 또한 시설변경에 따라 반복적인 해석을 필요로 하게 된다. 현재 국외에서 활용되고 있는 고준위 폐기물 장기건식 저장방식은 여러 가지로 나뉘지만 장기 건식저장방식 시설을 크게 구분하면 공통적으로 저장용기와 그 외의 시설로 이루어져 있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국내의 경우 장기건식저장시설에 대한 모델이 확실히 결정된 것이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저장방식에 적용할 수 있는 열해석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법론을 이용하여 현재 상용화 되어 있는 건식 저장용기 및 저장시설을 참조한 가상의 한국형 사용후핵연료를 저장할 수 있는 가상의 저장용기 및 시설의 열해석을 상용 CFD코드로 수행 하였다. 이러한 계산을 통하여 CFD 코드를 이용한 건식저장시설 및 용기의 안전성 검증을 위한 절차 및 계산에 필요한 입력 값을 제시함으로 써, 향 후 안전성 검증을 위한 검증구조를 제시하였다. 또한 건식 저장용기 최대표면온도와 피복재최대온도의 관계를 상관식으로 개발하였다. The Republic of Korea has been operating nuclear power plants for over 30 years and the temporary storage capacity for spent fuel is expected to reach capacity in few years. Furthermore, the decision to build a permanent disposal facility has been delayed. Even if the decision had been made, it is expected that it would take several decades to begin operations of the disposal facility. Therefore, an interim storage system is required to manage spent fuel. The dry storage type is considered as the interim storage system in Korea. The dry storage system stores spent fuel in a storage canister filled with an inert gas and the canister is cooled by a natural convection system using air. Already, thirteen countries have operated the dry storage systems and it has proved that the dry storage system is outstanding for expansion of capacity, ease of operation, safety and economy.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obtain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dry storage system because the technology of the dry storage system is kept restricted for security reasons or protected by patents. Thermal analysis take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licensing and the design of the dry storage system. To perform the thermal analysis, detail design information is required and whenever the design information changes, the thermal analysis must be performed again. Until the present, the dry storage system in operation simply consists of a storage canister and the others. In this study, a thermal analysis method is suggested and the method could be applied to various dry storage systems. Thermal analyses for three types of dry storage systems with the representative korean spent fuel were performed by using the suggested thermal method. Additionally, the input deck for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by the thermal method, the thermal safety validation frame and correlation between the maximum clad temperature and the maximum canister surface temperature are supporte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could contribute the improvement of the thermal safe validation frame and the design of dry storage systems.

      • 국방 무기체계 획득 사업관리의 핵심성공요인과 평가에 관한 연구

        차정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방위태세의 자주화 및 무기체계의 과학화, 국방정보화 등 선진 국방 건설을 위한 투자요소가 증대되고 있으며, 무기체계는 첨단화, 고도화, 정밀화 되고 있어 국방획득사업 비용이 상승하고 있다. 하지만 국방재원의 제한으로 더욱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획득사업 추진이 요구되고 있다.이에 따라 국방부 및 방위사업청은 획득사업의 선진 사업관리 기법(EVMS)을 적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2006년 한국형 헬기사업을 시작으로 체계적인 획득사업관리를 하고자 하고 있으나 EVMS의 성과관리 목표는 비용, 일정, 성능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어 이 요인들만으로 사업을 성공적으로 관리하고 수행하였다고 보기 어렵다. 더욱더 복잡해지고 있는 사업의 성공과 실패에 대한 견해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사업수행의 핵심성공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 핵심성공요인을 관리하고 달성함으로써 실질적인 사업관리의 성패를 구분할 수 있다.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사업관리 성과측정의 가장 대표적인 기준인 비용, 일정, 성능의 재무적인 요소 뿐 아니라 BSC(재무, 고객, 내부프로세스, 학습 및 성장)의 비재무적인 관점의 국방 무기체계 획득 사업관리 핵심성공요인을 도출하여 사업관리에 있어 균형 있고 보다 체계적인 사업관리가 가능하도록 평가체계를 제시하였다. 이는 획득 프로젝트 수행평가에 있어 수행조직의 발전, 수행조직원의 노하우 축적, 파트너십을 통한 업무 협조, 보안유지 등 향후 조직의 전문성 제고와 차후 프로젝트의 효율성을 가져와 비용과 일정을 줄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 디지털 사이니지 환경에서의 행동유도성에 관한 연구 : 물리적 어포던스와 맥락정보성을 중심으로

        차정훈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DOOH(Digital out-of-home) 범주에 속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는 독립 미디어 형태를 거쳐 융합 미디어 시스템으로 진화하고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제어가 가능하고, 정보, 엔터테인먼트, 광고 등이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된다. 이러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를 통해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해지면서 광고, 방송, 통신, 인터넷, 모바일, 스마트 기술 등 다양한 영역들과 유기적인 관계를 맺는 융·복합 시스템은 점점 우리의 삶 속에 녹아들고 있다. 현재 디지털 사이니지 시장은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지만, 면밀히 살펴보면 콘텐츠와 하드웨어 간 불균형적인 발전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다양한 기술들이 시너지를 극대화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정보 기술과 디스플레이 기술, 콘텐츠 등이 융합되어 있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매체적 속성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시간과 장소, 목적 등 사용자에게 맞는 정보와 서비스가 제공됨으로서 생태계적 입장에서 유기적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 이 점을 주목해서 본 연구는 사용자 경험을 토대로 디지털 사이니지 환경에 대해 접근하였다. 이를 위해 사용자 관점에서 연구가 출발했으며, 인간-컴퓨터의 상호작용(Human-Computer Interaction)의 측면에서 디지털 사이니지라는 시스템과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직·간접적으로 느끼는 경험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특히 공공장소라는 장소 특이성 환경에 놓인 디지털 사이니지의 사용을 유도하기 위해서 행동유도성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기술적 접근부터 행동 모델까지 다루면서 여러 학문분야에 걸쳐 총체적 시각으로 접근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첫째, 연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를 통해 디지털 사이니지의 이용환경이 공공장소와 인터랙션이 가능한 영역으로 장소가 한정되며, 정보서비스 형태의 컨텐츠와 인터랙션 방식이 제한된다. 둘째, 이론적 논의로서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한 개념과 속성, 현황을 알아보고, 행동유도성에 대한 학술 논문과 서적,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 출판물 등의 문헌조사를 통해 행동유도성에 대한 개념의 발전과정과 기술적 연구를 살펴본다. 셋째, 이를 통해 물리적 어포던스와 맥락정보성이 도출되면서, 근거이론을 통해 각 개념에 대한 기능이 조작적으로 정의된다. 넷째, 이를 통해 2x2 요인 설계의 실험이 설계되며 연구모형이 만들어진다. 이 연구모형은 디지털 사이니지 환경이 사용자에게 적합한 사용성(usability)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측정을 위해 설계된다. 사용성은 행동유도성의 측면에서 사용자의 사용편리성, 유용성과 만족도, 상호작용성에 대한 측정을 통해 더욱 높은 사용자의 참여 유도 방식과 가능성이 파생될 수 있음을 확인한다. 디지털 사이니지 환경의 이론적 논의와 근거이론을 통해 물리적 어포던스에 해당하는 인터랙션 제공 절차 기능과 맥락 정보 기능을 도출해낼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한 사용성 측정을 위해서 사용편리성과 유용성, 만족도, 상호작용성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실험하였다. 이 실험을 통해 각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에 대한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알아볼 수 있었다. 그 결과 물리적 어포던스는 사용편리성과 유용성, 만족도에서 주효과에 대한 유의미함을 보였으며, 맥락정보성은 유용성과 만족도, 성호작용성에서 주효과를 입증했다. 이 두 가지 변인에 대한 상호작용효과는 유용성에서 유의확률을 나타냈으며, 그래프를 통해 그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사이니지 환경에서 물리적 어포던스와 맥락정보성의 유의함을 증명하면서 행동유도성을 입증했다. 이는 디지털 사이니지 환경에서 사용자 경험의 접근을 통해 인터랙션 기반의 물리적 어포던스와 맥락 정보 기능의 유효함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디지털 사이니지는 그 속성을 바탕으로 유비쿼터스와 IoT(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사용자의 행동을 이끌 수 있는 기능을 활용해야 하고, 해당 기능이 요구되는 퍼베이시브 디스플레이(Pervasive display)시스템으로 발전할 수 있는 초석이 될 수 있음을 증명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으며, 앞으로도 관련 연구가 지속 발전하길 기대한다. Digital signage, also known as ‘digital out-of-home or DOOH, is constantly renewing as convergence media system through form of traditional media. Installed digital signage in public spaces can be controlled over a network and can provide a contents such as information, entertainment and advertisement by using digital display device. This will help digital signage(also called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 be able to use commercial, broadcasting, communication, internet, mobile and smart technology. These convergence system lead our lives worth and ecological technology environment. As increasing proliferation of digital signage has improved over the years, the prevalence of digital signage in public places has grown considerably. However, digital signage market seems disproportionate growth between hardwares and contents. Consequently, that had not been a maximization of synergy effect among a variety of technologies. In order to resolve this situation, digital signage can offers a user-optimal information which consist of information technology, display technology and contents about time, place and object. Thus, this paper seeks to review the use of affordance theory and to consider a user experience of how affordance operate in digital signage environment. To achieve this objective of usability improvement requires a human-computer interaction approach to develop. This is subject to understand the human interaction with computer system like. Especially, this paper tried to focus on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volving previous researches, theories and case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cope of digital signage environment is restrict as to public space as direct interaction zone(communication zone). Secondly, this study discussed the concept and theory of affordance which is applied in digital signage by the publications, including thesis, articles, and books. Thirdly, based on operational definitions for literature review and grounded theory,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was examined. Fourthly, an experiment is made up of dependent variables as usability such as ease of use, usefulness, satisfaction and interactivity. These are the variables that it is used often by usability. From the introduction and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re is a concept as a operational definition of affordance into phisical affordance and context information. As for exploratory study based on grounded theory, the analysis was so for users of digital signage. And two functions including physical affordance and context information were extracted based on in-depth interview samples. On the basis of this, this study established prototype of digital signage and situation. With physical affordance and context informa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analyzed main effects of each independent variable and interaction effect of the two variables through 2x2 factorial experimental design based on dependent variables such as ease of use, usefulness, satisfaction and interactivity. As a result, function of physical affordan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ease of use, usefulness and satisfaction. Also, function of context information is valid on usefulness, satisfaction and interactivity. And usefulness identifie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with graph.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argued that effective interaction function which applying digital signage system is valid and extracted a new value of context information from affordance. And figured out interaction effect between physical affordance and context information on user-centered usability. It is also meaningful that concept was on affordance of digital signage environment based on user experiences and that such extracted interactive technology from experiment method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beyond existing digital signage research and technical approach. Finally,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for becoming a foundation of pervasive display which suit on ubiquitous and IoT(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 진단용 엑스선 장치의 이중선형보간법을 적용한 선량 추정에 관한 연구

        차정훈 고려대학교 의용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본 연구는 진단용 엑스선 장치의 노출 조건에 따른 선량의 변화 관계를 이중선형보간법을 사용하여 추정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고, 추정 기법에 의해 계산된 추정선량 과 계측장비로 측정된 측정선량과의 동등성 검정을 통하여 이중선형보간법을 적용한 선량 추정기법에 대한 유효성의 확인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대상 및 방법 : 진단용 엑스선장치 중 관전압 범위 40-125kV, 관전류 범위 10-500mA, 입력 전압 220VAC 단상 장치를 실험대상으로 하였다. 출력에 관한 재현성은 진단용 엑스선 장치에 적용되는 국제 표준 규격인 IEC 60601-2-54:2009+AMD1+AMD2:2018. 에 부합하도록 설정하였으며, 반가층 및 총여과 또한 위 규격(IEC 60601-2-54)에 부합 하도록 방사선질을 최소허용 제1반가층 값의 기준으로 제한하였다. 노출 조건의 변화에 따른 선량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관전압 조건(40-125kv / 5kV 단위) 및 관련류・시간 조건( 1-10mAs / 약 1mAs 단위, 10-100mAs / 약 10mAs 단위)의 조합으로 선량을 측정한 후 관전압 변화에 따른 선량 변화량 f(kV) 및 관련류・시간 변화 에 따른 선량 변화량 g(mAs)를 산출하고 산출된 f(kV) 및 g(mAs)를 토대로 임의의 노출 조건에 대해 이중선형보간법을 적용하여 선량추정 값을 계산하였으며, 검정을 위해 같은 노출 조건(선량 추정에 사용된 임의의 노출 조건)으로 계측장비를 사용하여 선량을 측정한 뒤 추정선량과 측정선량을 대상으로 α=0.05 의 95% 신뢰구간에 대해 하한: -0.5%, 상한: 0.5%의 동등성 구간으로 대응표본 동등성 검정(Paired-Equivalence test)을 수행하였다. 결과 : 관전압 및 관전류・시간 따른 선량 변화에 대하여 이중선형보간법을 사용한 추정선량 과 계측장비를 통한 측정선량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Paired-Equivalence test(α=0.05 의 95% 신뢰구간에 대해 하한: -0.5%(-0.86514), 상한: 0.5%(0.86514))의 결과 추정선량(M=172.83, SD=227.74), 측정선량(M=173.03, SD=228.36), 평균차이 – 0.198(SD=1.46169, SE=0.14918), 95% 동등성 CI:(-0.44580, 0.049800)로 CI가 (-086514, 086514)의 동등성 구간 안으로 추정선량과 측정선량 간에 동등성이 나타남을 확인 하였다, t(4.472), p<0.05.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각 장치의 고유한 특성을 포함 할 수 있는 계산기법의 일환으로 진단용 엑스선 장치의 노출 조건을 매개변수로 하는 이중선형보간법을 적용한 추정기법 의 유효성을 확인 하였으며, 본 추정기법을 선량평가에 대한 유효성의 확인을 보조할 수 있는 수단으로 제시 하고자 한다. Purpose: This study proposes a technique that can estimate the relationship of dose change according to exposure conditions of diagnostic X-ray equipment using bilinear interpolation, and the equivalence between the estimated dose calculated by the estimation technique and the measured dose measured by the measuring equipmen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dose estimation technique applying the bilinear interpolation method through the test. Objects and methods: Among the diagnostic X-ray equipment, a single-phase device with a tube voltage range of 40-125kV, a tube current range of 10-500mA, and an input voltage of 220VAC was tested. The output reproducibility is IEC 60601-2-54:2009+AMD1:2015+AMD2:2018.[5], an international standard standard applied to diagnostic X-ray equipment. The radiation quality was limited to the standard of the minimum permissible first half-layer value so that the half-gar layer and total filtration also comply with the above standard (IEC 60601-2-54[5]). To observe the change in dose due to changes in exposure conditions, the dose is measured by a combination of tube voltage conditions (40-125kv / 5kV units) and tube current time conditions (1-10mAs / about 1mAs units, 10-100mAs / about 10mAs units) Then, the dose change amount f(kV) according to the tube voltage change and the dose change amount g(mAs) according to the tube current time change are calculated, and based on the calculated f(kV) and g(mAs), the bilinear interpolation method for arbitrary exposure conditions Was applied to calculate the dose estimation value, and after measuring the dose using measuring equipment under the same exposure conditions (arbitrary exposure conditions used for dose estimation) for the test, the estimated dose and the measured dose were calculated as α =0.05. For the 95% confidence interval, a Paired-Equivalence test was performed with an equivalence interval of lower limit: -0.5% and upper limit: 0.5%. Results: Paired-Equivalence test (lower limit for 95% confidence interval of α =0.05)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estimated dose using the bilinear interpolation method and the measured dose using the measuring equipment for the dose change according to the tube voltage and tube current time. -0.86514), upper limit: 0.5% (0.86514)), resulting estimated dose (M=172.83, SD=227.74), measured dose (M=173.03, SD=228.36), average difference -0.198 (SD=1.46169, SE=0.1491818) ), 95% equivalence CI: (-0.44580, 0.049800), it was confirmed that the equivalence between the estimated dose and the measured dose was found within the equivalence section of the CI (-086514, 086514), t (4.472), p<0.05.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as part of a calculation method that can includ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device, the effectiveness of the estimation method using the Bilinear interpolation method using the exposure condition of the diagnostic X-ray equipment as a parameter was confirmed. It is intended to be presented as a means to assist in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dose estimation.

      •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 비밀 공유 클라우드 아키텍처

        차정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주요 혁신 기술이 도입되었다. 클라우드 환경은 대규모 Internet of Things (IoT) 기반 네트워크로 이루어진 이기종 시스템으로써 실시간 대규모 정보를 수집 및 분석을 통해 다양한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위해 지능적이고 효율적인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용자들의 개인정보 혹은 서비스를 위한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관리한다. 그러나, 클라우드 환경은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위한 잠재적인 이점에도 불구하고, 클라우드에서 관리하는 사용자 데이터 관리는 사용자들의 개인정보보호 침해 문제로 이어진다. Cloud Service Provider (CSP)는 사용자의 정보에 대한 사본을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정보 삭제 요청에 응답하지 않아도 삭제를 검증할 방안이 없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자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비밀 공유 클라우드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기존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저장 방식은 특정 CSP에 의존하여 개인정보 침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지만,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비밀 공유 알고리즘을 통해 분산된 CSP 블록체인 노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안하는 클라우드 아키텍처는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CSP에서 저장하는 분산 정보에 대한 무결성을 검증할 수 있고 특정 임계치 이상의 분산 데이터만으로도 원본 데이터를 재구성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블록체인 기반 비밀 공유 클라우드 아키텍처는 클라우드 서비스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실험 및 분석을 통해 아키텍처의 효율성과 실현 가능성을 입증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클라우드 아키텍처는 발전하는 클라우드 연구 및 활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