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응급실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인식, 선도적 행위가 표준주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

        차운겸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응급실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인식, 선도적 행위 및 표준주의 수행 정도를 파악하고, 표준주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추후 응급실 간호사의 표준주의 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23년 6월 10일부터 7월 9일까지 온라인 양식(Google Forms)을 활용하여 208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모바일 설문지로 진행하였으며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받은 후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9.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회복탄력성은 4점 만점에 2.76±0.55점으로 나타났으며 하부영역 중 지지력 영역이 3.08±0.66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영성 영역이 2.46±0.88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인식은 5점 만점에 3.83±0.69점으로 나타났으며 하부영역 중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인지 영역이 4.23±0.56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자신감 영역이 3.67±0.83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선도적 행위는 5점 만점에 3.59±0.67점으로 나타났다. 표준주의 수행은 5점 만점에 4.36±0.48점으로 나타났으며 하부영역 중 안전한 주사행위 영역이 4.61±0.48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손위생 영역이 4.21±0.63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은 성별, 연령, 직위, 동거가족 유무, 응급실 규모, 지난 한 달간 근무하는 동안 하루 평균 담당 환자 수, 표준주의 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인식은 성별, 연령, 직위, 동거가족 유무, 응급실 규모, 지난 한 달간 근무하는 동안 하루 평균 담당 환자 수, 표준주의 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선도적 행위는 성별, 연령, 동거가족 유무, 응급실 규모, 지난 한 달간 근무하는 동안 하루 평균 담당 환자 수, 표준주의 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표준주의 수행은 연령, 응급실 규모, 지난 한 달간 근무하는 동안 하루 평균 담당 환자 수, 표준주의 교육 경험 유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대상자의 표준주의 수행은 회복탄력성,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인식, 선도적 행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본 연구에서 응급실 간호사의 표준주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령, 회복탄력성,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인식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설명력은 46.0%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급실 간호사의 표준주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연령,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인식, 회복탄력성으로 나타났다. 응급실 간호사의 표준주의 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인식과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과 효과적인 교육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s among resilience,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proactive behavior, and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among nurses working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dditionally, it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descriptive survey conducted using Google Forms between June 10 and July 9, 2023. The participants included 208 nurses working in the emergency department in Korea. They received a study overview and provided consent before participating in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collect data on resilienc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proactive behavior, and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dows software version 29.0, based on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resilience was 2.76±0.55 out of 4; among the subcategories, support scored the highest at 3.08±0.66, and spiritual in nature scored the lowest at 2.46±0.88. The mean score of awareness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was 3.83±0.69 out of 5; among the subcategories, recognition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showed the highest score at 4.23±0.56, and confidence about patient safety management showed the lowest score at 3.67±0.83. The mean score of proactive behavior was 3.59±0.67 out of 5. The mean score of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was 4.36±0.48 out of 5; among the subcategories, safe injection practices had the highest score at 4.61±0.48, and hand hygiene had the lowest score at 4.21±0.63. 2. The analysis based on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resilience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gender, age, position, living together, size of the emergency department, average number of patients treated per day while working in the past month, and standard precautions training experienc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gender, age, position, living together, size of the emergency department, average number of patients treated per day while working for the past month, and standard precautions training experience. Proactive behavior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gender, age, living together, size of the emergency department, the average number of patients treated per day while working for the past month, and standard precautions training experienc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age, size of the emergency department, average number of patients treated per day while working in the past month, and standard precautions training experience. 3.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among resilienc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proactive behavior, and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among the participants. 4.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were age, resilience, and awareness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The overall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was 46.0%.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among nurses working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re age, resilience, and awareness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rograms and an effective education system to increase awareness and resilience in patient safety management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among nurses working in the emergency depar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