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또래 도우미 활동에 대한 경험과 그 의미 : 중학교 통합교육 상황을 중심으로

        차소연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peer supporter' activities of general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peer supporter' activities and to understand its significance. For this purpose, I interviewed 5 general students who had 'peer supporter' activitie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peer supporter' activities of non - disabled students who are engaged in peer supporter activities in integrated classes and its significance. To accomplish this goal, I would like to pose a study question as follows: what is the peer supporter experience of a non-disabled student in middle school and the significance of it? For this study topic, I selected five non-disabled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peer supporter' activity and modified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Kim Dong-hyun (2014) who had studied the topic ahead, with assist of peer special education teacher. The interview was conducted for 30~40 minutes, and the interview was conducted twice for each subject.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ere recorded on a mobile phone and we put an effort to transfer the recorded contents on the day of the interview so that the meaning of the recording did not chang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method concocted with inductive analysis. First, we repeatedly listened to the data and displayed into sentences, and gave codes to meaningful ones. In the second step, we categorized the codes, and in the final step we constantly reminded the study question and continuously confirmed whether the derived category is meaningful to answer the study question.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of data, it could be derived that there are 3 upper categories, 9 subcategories, and 19 meaningful units. The three upper categories are as follows: (1) the experience in peer supporter activities, (2) the significance of the experience, and (3) The improvement of peer support.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various positive results for general students who experienced 'peer supporter' activities.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subjects changed positively, and they found mild special education subjects are "not quite different." Also, the students felt emotional maturity and satisfaction through the experience, and they showed increased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special education subjects. These positive change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peer supporter' activities and they were willing to invite other friends to do so. Secon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said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special education subjects by continuing education on understanding disabled people and their human rights. It is also conceivable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of peer supporter activities and the integrated education, and to improve the school facilities. As mentioned above, 'peer supporter' activities, it is shown that some parts of the peer supporter activity system have advantageous effects as well as the need for improvements, and it is necessary to continue on the study. 이 연구는 ‘또래 도우미’ 활동을 경험한 일반 학생들의 ‘또래 도우미’ 활동 경험을 알아보고 경험의 의미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또래 도우미’ 활동을 경험 하고 있는 일반학생 5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통합학급에서 또래 도우미 활동을 하고 있는 비장애학생들의 ‘또래 도우미’ 활동 경험과 의미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학교에서 ‘또래 도우미’ 활동을 하고 있는 비장애학생의 경험과 그 의미는 무엇인가? 로 연구 질문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 문제를 위하여 중학교에서 장애학생이 통합되어 있는 학급의 ‘또래 도우미’ 활동에 참여하는 비장애학생 5명을 선정하여 선행연구인 김동현(2014)의 질문지를 동료 특수교사의 조언을 얻어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면담시간은 30~40분 실시하였으며, 면담은 개인별 2회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은 핸드폰으로 녹음하였으며 녹음 내용의 의미가 변질되지 않도록 인터뷰 당일에 녹음된 내용을 전사하도록 노력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연속적 비교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과 귀납적으로 분석을 혼합한 질적 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먼저, 전사 자료를 반복적으로 들으며 문장으로 옮겼으며, 옮긴 문장들 중 의미 있는 것들에 코드를 부여하였다. 두 번째로는 첫 번째 단계에서 나타난 코드들을 범주화 하였으며, 마지막 단계에는 코딩 과정 시 연구 질문을 지속적으로 상기하며 도출된 범주가 연구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서 의미가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상기하며 이 과정을 수행하였다. 자료를 질적 분석 한 결과, 3가지 상위범주와 10개의 하위범주, 22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세 가지 주제는 (1) 또래 도우미 활동을 통한 경험, (2) 또래 도우미 활동 경험의 의미, (3) 또래 도우미 활동의 개선 사항이며, ‘또래 도우미 활동을 통한 경험’ 주제에 대하여 ‘또래 도우미’ 지원 동기, ‘또래 도우미’ 활동 내용, 지원 전 장애 인식, 학급에서의 특수교육 대상자 위치의 네 가지, ‘또래 도우미 활동 경험의 의미’ 주제에 대하여 ‘또래 도우미’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긍정적인 변화, 특수교육 대상자가 겪는 어려움, ‘또래 도우미’ 활동 학생이 겪는 어려움의 세 가지, ‘또래 도우미 활동의 의미’ 주제에 대하여 ‘시설·설비의 개선’, ‘또래 도우미 활동 제도의 개선’, ‘통합교육 시스템의 개선’ 세 가지 하위 범주로 나뉘어 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 도우미’ 활동을 경험한 일반 학생들에게 다양한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특수교육 대상자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뀌었으며, 경도의 특수교육 대상자들을 통해 ‘다르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 활동을 통해 정서적 성숙과 만족감을 느끼게 되었으며, 특수교육 대상자에 대한 관심과 이해심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는 연구 참여자들은 ‘또래 도우미’ 활동을 지속적으로 참여할 의사를 가지게 되었으며 다른 친구들에게 이 활동을 권유할 의사가 있음이 나타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현재 특수교육 대상자들의 상황을 보며 전교생을 위한 지속적인 장애이해교육과 특수교육 대상자 인권교육을 실시하여 특수교육대상자와의 관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또래 도우미’ 활동과 통합교육 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으며 학교시설의 개선을 요구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통합교육 환경에서 일반학생이 특수교육 대상 학생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하는 ‘또래 도우미’ 활동은 다양한 긍정적인 측면과 몇 가지의 개선사항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선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이후에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놀이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과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차소연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놀이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과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놀이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노인의 우울과 죽음불안이 어떻게 향상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K도 O시 있는 복지시설 노인 22명(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2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놀이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자기보고식 우울, 죽음불안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 검사 점수를 측정하고 실험집단과 비교하였다. 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5주 동안 1주에 2회기씩 10회기와 사전, 사후를 포함하여 총 12회기를 실시하였으며, 한 회기에 평균 90분정도 소요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사전 및 사후 검사를 통해 추후의 변화된 우울과 죽음불안 척도점수를 알아보기 위해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놀이치료 프로그램은 노인의 우울, 죽음불안수준을 감소시켰으며,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경우에는 우울, 죽음불안 감소에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놀이치료 프로그램은 노인들의 우울과 죽음불안 감소에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놀이치료 프로그램은 노인의 주변에서 경험에 익숙한 주제를 중심으로 하여 음악, 미술, 언어, 운동, 인지영역의 다양한 놀이활동을 통하여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감정적 불균형 상태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켜 새로운 삶으로 전환되도록 돕고자 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놀이치료 프로그램은 노인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데 어려움이 없었고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노령화시대가 급격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노인의 우울과 죽음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체계적인 놀이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써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 노인, 우울, 죽음불안, 놀이치료

      • NCS헤어커트 내용체계에 따른 디지털교과서 개발 : -국가기술자격 미용사(일반) 헤어커트 교과를 중심으로-

        차소연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교과서는 교실의 수업과정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자료로서 각 교과의 목표를 구현하기 위한 교육내용과 방법이 구체화되어 있다. 이는 교수‧학습에서의 중요한 자료일 뿐 아니라 교사와 학생 간 수행의 일관성과 교실수업이 추구하는 다양성을 극대화한다. 2015개정 국가교육과정인 NCS기반 NCS학습모듈은 일반 교과서와 같이 교과구분에 있어서 효율적인 수업에 근거하고 있다. 중복 또는 누락없이 필요한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포괄성과 배타성의 원리에서 제공된다. 이는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기본교과로서 실제적인 측면과 이론적 측면에서 교과구분의 기준이 된다. 이 연구는 2015개정 국가교육과정에 준하는 2022년 검정형 필기시험 출제기준 내 단원명 기초헤어커트를 연구의 배경으로 하였다. 근대 이후 신문물인 미용산업이 현재 K-뷰티로의 선진화에 ‘대한민국 사람이 아름답다’는 국가적 신용도의 높은 선입견은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고교학점제의 중심에서 논의된다. 이에 앞서 교과구분의 기준에 따라 검정형 분류체계를 구조화하여 도출된 분석표는 NCS학습모듈과 양적‧질적으로 교과지식을 분류하여 분량화하는 문헌연구를 하였다. 즉 검정형과 NCS학습모듈의 수행내용을 중심으로 핵심개념을 추출하여 필요지식 간의 연계성과 교과역량을 분류‧대조한 것이다. 또한 구조화된 내용체계를 바탕으로 QR코드를 접목한 디지털교과서의 보교재 자료를 개발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4개의 단원항목(헤어커트도구, 커트의 절차, 커트기법, 커트의 기본형)으로 영역화한 분류체계표를 토대로 검정형 실기시험의 세부과제 분석 시, 내용지식 및 내용요소가 고르게 적용되고 있었다. 반면 NCS학습모듈은 부적절한 개념오류 및단어선택, 부적정단어 반복사용 등 학습활동과 관련 올바르게 습득되지 못함을 나타내었다. 둘째, 분량분석을 통한 양적분석 측면에서 본 결과 NCS학습모듈은 두 차례 개선됨에 따라 외재적 분량은 늘어났지만, 검정형 내용체계보다 질적‧양적면에서 구조화와 체계화가 부족하다는 것이 분석되었다. 또한 수행내용과 필요지식의 양적 배분에서 NCS학습모듈은 모두 필요지식보다 수행내용의 양이 50% 이상 적게 작성되었다. 셋째, 수행내용에 있는 각각의 커트형태의 유형에서 수행순서 과정을 도식화 작업한 결과 NCS학습모듈은 내용 설명이 부족하여 정확한 이미지로서 전개할 수가 없었다. 넷째, 분류체계 분석표의 내용체계를 적용하여 수행내용과 필요지식의 연계성을 분석한 결과 NCS학습모듈은 맥락과 맞지 않은 문맥상 오류가 나타났다. 반면 검정형 교재는 요구되는 핵심개념을 적절한 배경지식(schema)으로 적용하고 있었다. 살펴본 바와 같이 NCS학습모듈은 국정교과서로서 학습동기와 흥미유발을 위해 내용의 심화나 보충자료뿐 아니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그러나 학습내용의 적정화가 오히려 내용을 생략하는 방안으로 제작되어 있다. 이는 교사의 책무성으로서 교과내용의 재구성 능력을 일괄 맡기는 책임회피로 나타난다. 특히 미용관련학과 교사는 사범대가 아닌 특수교육학과 출신이라는 것을 간과하고 있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토대로 커트도구(Ⅰ), 커트기법(Ⅱ), 커트 절차(Ⅲ), 커트기본형태(Ⅳ) 등의 내용지식을 체계화하고자 스마트폰을 이용 자료에 접속할 수 있는 QR코드를 생성하여 각 자료에 연결하였다. QR코드 주제는 커트도구 6개, 자르기기법 4개, 기본형태 1개, 커트의 절차 1개, 남성형 커트스타일 3개 등 총 15개로 설정하고 자료를 제작하여 교수‧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는 기초헤어커트 단원항목에서 선정된 주제로서 QR코드로 제공받아 자료의 내용에 해당하는 교과서의 위치에 부착할 수 있는 교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이 학습자료의 양과 질에서 학습량의 적정화(적게 가르치고 많이 아는)뿐 아니라 수업에 대한 인식의 긍정적인 변화를 스마트폰을 이용한 QR코드 활용에 두었다. Textbooks are the most central material in the classroom process,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for realizing the goals of each subject are specified. This is not only an important material in teaching and learning, but also maximizes the consistency of performance between instructors and students and the diversity pursued by classroom lessons. The NCS learning module based on the NCS, which is revised in 2015, is based on efficient classes in subject classification like general textbooks. It is provided on the principle of inclusivity and exclusivity so that you can learn what you need without duplication or omission. This is a basic subject required of learners, and serves as a standard for classifying subjects in both practical and theoretical aspects.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was the basic haircut for the unit in the criteria for the 2022 test-type test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ince modern times, the prejudice with high credibility that ‘Koreans are beautiful’ have led to the advancement of the beauty industry as K-beauty. Accordingly,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being discussed with a focus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to quantify and categorize subject knowledg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with the NCS learning module by deriving an analysis table that structured the test-type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subject classification. In other words, the core concept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performance of the test type and the NCS learning module, and the connection between necessary knowledge and subject competency were classified and contrasted. In addition, based on the structured content system, supplementary materials for digital textbooks incorporating QR codes were developed. The research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table divided into four unit items (haircut tool, cutting procedure, cutting technique, basic type of cut), the content knowledge and content elements were evenly applied when analyzing the detailed tasks of the test-type practical test. On the other hand, the NCS learning module was not acquired in relation to the activity due to inappropriate concept errors, word selection, and proper word repetition. Second, as a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volume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although the external volume increased as the NCS learning module was improved twice, it was lacking in structuralization and systematization in terms of quality and quantity compared to the test-type content system. In addition, in the quantitative distribution of performance content and required knowledge, all of the NCS learning modules had less than 50% of performance content than required knowledge. Third, as a result of schematizing the practice sequence process in each cut type in the performance content, the NCS learning module could not be developed as an accurate image due to the lack of content description.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nection between performance content and required knowledge by applying the content system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analysis table, errors in the context of the NCS learning module did not match the context. On the other hand, the test-type textbook applied the required core concepts as appropriate background knowledge (schema). As we have seen, the NCS learning module, as a government textbook, should be made so that it can be easily understood as well as in-depth or supplementary materials to motivate learning and arouse interest. However, the optimization of learning contents is produced as a way to omit the contents. This appears as a responsibility evasion of entrusting the ability to reorganize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as a teacher's responsibility. In particular, it is overlooked that the teachers of the beauty-related department are from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not the college of education. Therefor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n order to systematize content knowledge such as the cutting tool (Ⅰ), cutting technique (Ⅱ), cutting procedure (Ⅲ), and basic cutting form (IV), a QR code that can be accessed using a smartphone is generated. Each data was linked. A total of 15 QR code themes were set, including 6 cutting tools, 4 cutting methods, 1 basic shape, 1 cutting procedure, and 3 masculine cut styles, and materials were produced to develop a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This is the subject selected in the Basic Haircut section, and it is provided as a QR code and can be attached to the location of the textbook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of the mater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optimize the amount of learning i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learning materials (teaching less and learning more), but also to use the QR code using a smartphone for positiv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classes.

      • 초등학생들의 영어 학습 신념, 불안, 전략에 관한 연구

        차소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영어 학습 신념, 불안, 전략의 실태와 양상을 파악하고 신념, 불안, 전략 간의 상관관계와 수행능력과의 관련성을 알아봄으로써 신념, 불안, 전략이 영어 학습에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건임을 확인하고 교사들에게 학습자를 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한 도구로는 신념(BALLI), 불안(FLCAS), 전략(SILL)을 측정하는 설문을 활용하였으며 특히 신념의 경우, 단순히 겉으로 드러난 신념 보다는 그 이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생각들을 도출해 내는 것이 더 중요하고 의미 있다는 판단 하에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를 서술하게 하여 아동들의 다양한 생각을 이끌어 내었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념 설문 결과 초등학생들은 각자 영어 학습에 대해 다양한 신념과 생각을 갖고 있었고 동일한 신념을 갖고 있다 할지라도 그러한 신념의 바탕에는 더 다양한 이유와 생각이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그 중에는 건강한 신념도 있지만 개선이 필요한 신념도 있었다. 몇 가지 예로 학생들은 2~3년이면 영어를 잘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면서도 목표는 비현실적으로 높게 설정하고 있어 쉽게 좌절하거나 실망하게 될 소지가 있었다. 따라서 아동들이 현실적인 목표를 세우고 노력할 수 있도록 인식을 전환하는 일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 발음이 영어학습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인식하는 경향이 높았고 문화적 편견이 존재 했으며 영어를 복잡한 암기과목이라고 생각하는 아동들이 많아 대책 마련이 필요했다. 한편, 영어를 배우는 주된 목적이 주로 외재적 동기에 치우쳐 있었으며 해외나 학원에서 배우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내재적 동기를 가진 학습자가 평생학습을 이끌어 나가는 자율적인 학습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학생들의 내재적 동기를 배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수요자들의 요구를 정확히 파악하여 공교육에 대한 신뢰감을 회복하는 일이 시급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초등학교에서 추구하는 교육과정과 반대로 학생들은 문법, 어휘, 정확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아동들이 영어를 배우는 초기부터 너무 문법이나 정확성에 치우친 나머지 자신감을 잃지 않도록 균형 잡힌 시각을 갖게 하고 실수를 부끄러워하지 않는 허용적인 분위기를 조성해 줌으로써 아동들로 하여금 적극적인 시도가 중요하다는 인식을 배양해야겠다. 둘째, 불안 설문 결과 초등학생들의 영어 학습 불안은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평균 점수는 높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빈도분석 결과를 함께 보면 전체 학생 중 약 25%~30%가 불안하다고 응답한 문항이 많아 무심코 넘어갈 일만은 아니었다. 특히, 규칙 암기에 대한 부담, 실수에 대한 걱정, 시험에 대한 불안, 친구들과의 비교에서 오는 긴장감이 높은 편이었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평가 방법을 개선하고 수업에 대한 자신감과 편안함을 갖도록 하는 심도 깊은 고민이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초등학생들은 전략을 그다지 많이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활발하게 사용하는 전략이 ‘발음을 소리 내서 연습하는 것’인 걸로 보아 학생들이 발음을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의 전략들은 대체로 활용이 저조하였고 특히 친구들과 연습하거나 실생활에서 영어를 활용하는 등의 자발적인 시도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전략 지도에 대한 반성과 노력이 필요하겠다. 넷째, 신념, 불안, 전략을 요인 분석한 결과 신념에서는 ‘자기 효능감 및 과제에 대한 자신감’이 불안에서는 ‘학습수행능력에 대한 불안’이 전략에서는 ‘상위인지 전략’이 가장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신념, 불안, 전략 간에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념 요인 중 ‘자기 효능감 및 과제에 대한 자신감’은 불안, 전략과 가장 높은 상관을 보이고 있어 아동으로 하여금 자신의 능력을 신뢰하고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 주는 일이 매우 중요할 것이다. 또한 신념, 불안, 전략이 상호간에 유기적으로 정적, 부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보아 세 요인들은 어느 하나 소홀히 다루지 않아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아동들의 개인적 배경에 따라 신념, 불안, 전략의 평균에 뚜렷한 차이가 있었고 신념, 불안, 전략은 모두 수행능력과 상당한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아동들이 어떠한 배경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신념, 불안, 전략을 지도하고 접근하는 방법이 달라져야 하겠고 특히 사교육을 받고 있지 않은 아동들과 자신감이 없는 아동들이 건강한 신념과 전략 활용 능력을 배양하고 심리적으로 편안함을 갖도록 하는 배려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교실 안에는 서로 다른 환경, 생각, 감정을 가진 아동들이 모여 있다. 따라서 아동을 가르치기에 앞서 아동에 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얻는 결론을 통해 아동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신념, 불안, 전략을 다각도로 이해하고 지도방향을 설정할 수 있었으며 신념, 불안, 전략에 관심을 갖고 지도하는 것이 영어 학습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주제어: 영어 학습 신념, 영어 학습 불안, 영어 학습 전략, 수행능력

      • 대학생의 정서적 요인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 SNS중독경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차소연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정서적 요인(정서조절곤란, 자기비난)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SNS중독경향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내 대학교에 재(휴)학 중인 대학생 310명에게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비자살적 자해 경험을 살펴본 결과, 60.6%의 연구참여자들이 평생 동안 자해를 한 번 이상 해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비자살적 자해 경험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성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여자 대학생의 비자살적 자해 경험 비율이 남자 대학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의 일반적 특성과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종속변수인 대학생의 비자살적 자해는 정서적 요인(정서조절곤란, 자기비난), SNS중독경향성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정서적 요인(정서조절곤란, 자기비난)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정서조절곤란 수준이 높을수록 비자살적 자해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비난 수준이 높을수록 비자살적 자해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생의 정서적 요인(정서조절곤란, 자기비난)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SNS중독경향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정서조절곤란의 수준은 비자살적 자해와의 관계에서 SNS중독경향성 수준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자기비난의 수준은 비자살적 자해와의 관계에서 SNS중독경향성 수준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비자살적 자해를 예방하기 위해 대학학생상담센터의 정신건강문제 고위험군 조기발굴과 타 기관(예. 정신의료기관, 정신건강복지센터 등)으로의 적극적인 연계, 대학 내 SNS 활용 교육 시 중독예방 교육 진행,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의 자살유발정보 모니터링단 지켜줌인(人)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더불어 대학생의 특성을 바탕으로 한 이용자 중심의 정신건강 사회복지 정책 확대와 SNS를 통해 공유되는 자살유발정보를 막기 위한 현실적인 규제방안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al factors (emotion dysregulation, self-criticism) on non-suicidal self-injury among college students, and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 of SNS addiction proneness on its relationship.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from 310 colleg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dence were analyzed. The major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60.6% of the study participants had experienced self-injury more than once in their lifetime. Second, regarding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results of independent samples t-test revealed that female participants’ non-suicidal self-injury experience level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participant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non-suicidal self-injury of study participants,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factors (emotion dysregulation, self-critic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Fourth, emotional factors (emotion dysregulation, self-criticism) of college students had an positive effect on non-suicidal self-injury. Fifth, the moderating effect SNS addiction pronenes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riticism and non-suicidal self-injury.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is study discuss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eventing non-suicidal self-injury of college students, such as early detection of mental health problems of collage students by the University counseling center and active referral systems among related agencies (e.g., psychiatric institutions, community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In addition, user-centered mental health social welfare policies should be expan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realistic regulatory measures to prevent suicide-induced information shared through SNS.

      • 사회복지관의 직무특성이 20대 신입 사회복지사의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 : 선도적 행위의 조절 효과

        차소연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7 out of 10 newcomers in their 20s are leaving their jobs on their own without being able to serve in one job. Among the developmental tasks of beginners in society, employment is an important developmental task to be achieved in the process of entering adulthood from adolescence and has a great impact on the entire life. Accordingly, it is more important to prevent early retirement of newcomers in their 20s today and to ensure that they stay in the organization for a long time. The same is true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oday, it is called the MZ generation, and the problem of early retirement of new social workers in their 20s who share the characteristics of new social workers is serious. In particular, sinc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provide human services through human interaction between troubled clients and social workers, frequent turnover of new social workers has a negative impact on various levels, including individuals, organizations, and society. Therefore, active efforts are needed to solve the social problem of early resignation by finding influencing factors that can increase the level of job embeddednes of new social workers in their 20s.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how the job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centers recognized by new social workers in their 20s affect their job embeddednes, and analyzed whether leading behavior h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job characteristics and job embeddednes recognized by new social workers in their 20s.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job embeddednes and to present a practical direction to increase the level of job embeddedn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03 new social workers who were new to society in their 20s.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first calcula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were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d one-way-ANOVA analysis to identify differences in dependent variables, Pearson's adequac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en presenting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level of job embeddednes of new social workers in their 20s was moderate.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work embeddednes, the job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centers are also important, but individual influencing factors must be studied and utilized. Second, the degree of job embeddednes of new social workers in their 20s was higher for married people than for unmarried people, rather than in poor health, and the higher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economic conditions. Third, among the job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centers recognized by new social workers in their 20s, "the importance of task" affected job embeddedn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consistently present and motivate new social workers in their 20s how much their job actually affects the happiness and safety of their clients. Fourth, among the job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centers, "autonomy" and "importance of task" had the effect of controlling leading actions on the job embeddednes of new social workers in their 20s. Therefore, in-depth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o realize and develop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leading actions. Finally, in the follow-up study, a more comprehensive and extensive survey is needed to increase the level of job embeddednes of new social workers in their 20s. It is expected that additional factors affecting job embeddednes will be explored, and in-depth qualitative and longitudinal studies will be conducte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at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job embeddednes. 최근 20대 사회초년생 10명 중 7명이 한 일자리에 근속하지 못하고 제 발로 직장을 떠나고 있다. 사회초년생의 발달 과업 중 취업은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성취해야 할 중요한 발달 과업으로 생애 전반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에 따라 오늘날 20대 사회초년생들의 조기 퇴사를 방지하고 이들이 조직에 오래 근속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중요한 시점이다. 이는 사회복지조직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오늘날 MZ세대라 불리며, 사회초년생의 특성을 함께 갖는 20대 신입 사회복지사들의 조기 퇴사 문제가 심각한 것이다. 특히, 사회복지조직은 문제를 가진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 간의 인간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휴먼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신입 사회복지사의 잦은 이직은 개인・조직・사회 등 다양한 차원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그러므로 20대 신입 사회복지사들의 직무착근도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영향요인을 찾아 조기 퇴사라는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20대 신입 사회복지사들이 인식하는 사회복지관의 직무특성이 이들의 직무착근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20대 신입 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사회복지관의 직무특성과 직무착근도 사이에서 선도적 행위가 유의한 조절 효과를 나타내는지 분석하므로 각 요인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직무착근도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직무착근도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대 사회초년생인 신입 사회복지사 10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 먼저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Cronbach's α 계수 산출을 진행하였고, 연구대상의 특성은 빈도분석 및 기술적 통계분석, 종속변수의 집단 간 차이 파악을 위해 t-test와 Oneway-ANOVA 분석, 변인 간의 다중공선성 여부는 Pearson 적률상관분석, 직무착근도에 대한 독립변인과 조절 변인들의 영향요인 분석을 위해서는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20대 신입 사회복지사들의 직무착근도 수준은 보통으로 나타났다. 직무착근도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복지관의 직무특성도 중요하지만, 개인의 영향요인을 연구하여 활용해야 한다. 둘째, 20대 신입 사회복지사들의 직무착근도는 결혼 여부가 기혼이 미혼보다, 건강상태 좋음이 나쁨보다, 경제상태인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높았다. 셋째, 20대 신입 사회복지사들이 인식하는 사회복지관의 직무특성 중‘과업 중요성’이 직무착근도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20대 신입 사회복지사들에게 자신의 직무가 클라이언트의 행복감과 안전에 실질적으로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꾸준히 제시하고 동기부여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사회복지관의 직무특성 중‘자율성’과‘과업 중요성’이 20대 신입 사회복지사들의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선도적 행위가 이를 조절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개인의 선도적 행위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고 계발시키기 위한 심층적인 교육을 진행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20대 신입 사회복지사들의 직무착근도 수준을 높이기 위한 더욱 포괄적이고 광범위한 조사가 필요하다.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추가적으로 탐색하고, 조직의 특성과 직무착근도의 관계에서 조절 효과를 갖는 개인의 특성에 대해 심층적인 질적・종단적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The)Efficient formation of N-linked Glycoamide Derivatives using Glycosylazide

        차소연 창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N-linked glycoamides are very importance for sensor. Recently, growing interest is devoted to the synthesis of glycosyl amide because of the recognition of the cell surface and importance of biochemical processes. In this paper we report on the synthesis of β-glucopyranosyl(galactopyranosyl) azide and synthesis of glycoamide derivative using glycosyl azide. Especially, this research try to synthesize the efficiently glycoamide derivative and to overcoming the limit of low yield.

      • 中國의 改革과 政治變動에 관한 硏究 : 鄧小平執權 이후 政治體制를 中心으로

        차소연 大邱曉星가톨릭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late of 1970, Teng Hsiao-ping lead China to the period of open reformation with utilitarianism,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productivity of China. In 1982, they introduced the market economy that is centered on planed economy, and made the result of successful economy development, while they could maintain the established communist ruling political system by holding on the the four basic principles. Even after the death of Teng Hsiao-ping in 1997, this kind of China's characteristic socialism has been maintained by Jiang Ze-min ruling system, which is made of dictatorship in politics and free market system in economics. China's characteristic socialism implies China's intention that is absorbing the shock of collapse of Eastern Europe, joining the world economy system after the Coldwar.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changed China's situation with the totalitarianism model or the authoritarianism model used for explaining past socialism. Totalitarianism model cannot explain the decline of ideology importance, the shrink of the Communist Party role and the enlargement of government role. Authoritarianism model cannot offer proper explanation for the both side emphasis of ideology and mentality and for the emphasis on economy of China's socialism. For these kinds of problems about authoritarianism and totalitarianism, recently, the neo-authoritarianism model that is similar to the third world's development autocracy used for the analysis. The Neo-authoritarianism, new attempts of analysis, could explain more properly China's socialism than past analytic models. The neo-authoritarianism mentioned above is a political system that exercises strict control and rule over politics but offers a considerable autonomy to economy, while properly mixing ideology and mentality together. That is, it means a political system which intends to promote economic growth and maintenance of the system with one leader or a few leaders, supported by the military authorities and technical bureaucrats, playing a role as an 'invisible hand', while showing the 'passive limited pluralism given by a nation'. This neo-authoritarianism makes it possible to properly explain the changes of ideology, economic policy, ownership structure, and the Party's and country's political system. However, the neo-authoritarianism, as one of various subtypes of the authoritarianism, not a type of a political system identical with totalitarianism or authoritarianism, can be applicable to a political system that advocates the cause of socialism, asserts strong control in politics but liberalism in economy, and intends to achieve the stability political system and economic growth at once. The analysis of China's political system showed that the political system of China ha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neo-authoritarianism, which is one of the authoritarianism's substructures.

      • 중학생의 미술 수업관련 스트레스 개선 방안

        차소연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analyze stress levels and typ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an art class and to find out how to improve them. Prior to the research, the research problems were set in order to identify if there are differences in stress levels ad typ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grades and school records. For achieving results of the research problems, then,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41 students(104 of the first-year students and 137 of the second-year students) in Daesung Middle School, Daejon and their stress levels in an art class were measured. As a measuring device used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devised by an author of master's thesis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onghae University, Hyun-Suk, Park(2005) was quoted, as there was no questionnaire about stress level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an art clas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otal 30 questions(5 sub-questions in each of 6 areas). Here, stress areas in an art class were classified into a designing-related area, a painting-related area, a preparatory material-related area, a time-related area, an arrangement-related area and an assessment-related area. As scales of variables, a total of 4 scales were employed per question. (1 point: 'I don't get stressed at all.', 2 points: 'Sometimes, I get stressed.', 3 points: 'I often get stressed.' and 4 points: 'I always get stressed.') For analyzing collected data, a statistical program, SPSS Statistics 20 was used and they were analyzed at 95% of reliability level. Specifically, average and standard scores were calculated from raw scores in the 30 questions of the 6 areas, based on the 4-stage scales and then, they were compared and evaluated. As a study to investigate stress levels of students in an art clas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areas of an art class between the first grade and the second grad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the designing-related area and preparatory material-related area, according to school records of students. Third, the first-year students didn't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areas of an art class, depending on school records. Fourth, the second-year student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the arrangement-related area, depending on school record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both of the first and second-year classes got stressed by several reasons in an art class. To relieve stress of students in each scope, this study came up with the following improvements. For students who get stressed out by designing, a class to express their thoughts can be effective, rather than drawing specific objects like an imaginary painting and an abstract painting, or drawing whatever they think, or drawing with lines. For students who get stressed out by painting, teachers need to reduce their burdens of color mixing through spreading of paints and marbling, or teach using materials that are easy to find around and aren't burdensome. If they are stressed by time, it may be effective to teach the class for two hours in a row or for two weeks per work at teacher's discretion, rather than teaching twice weekly. For students who are stressed by arrangement, it can be a good idea that students choose a person each week to arrange the tables after classmates complete works. Lastly, teachers should make students recognize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a good painting and a bad painting, although people have different visual perspectives, and relieve their burdens of presentations, by providing them with opportunities to making presentations of their works once per semester. For collaboration, results are important, but teachers need to make students aware that their attitudes in class would be evaluated to lighten burdens of friends in each group. In conclusion, many middle school students are stressed out in an art class for a variety of reasons, regardless of grade or school record. Therefore, teachers have to understand their properties, pay careful attention to them, develop their capabilities to effectively deal with stress in an art class and stabilize them emotionally through a diversity of class methods. 본 연구는 중학생의 미술 수업관련 스트레스의 수준과 그 유형들을 알아보고 그것을 개선하는 방안 연구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문제는 중학교 학생들을 상대로 학년과 학업성적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문제의 결과를 얻기 위해 대전 대성중학교 1학년과 2학년 학생 104명과 137명, 총 241명의 학생들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하여 미술 수업관련 스트레스의 정도를 측정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 도구로는 중학생을 상대로 한 미술 수업관련 스트레스 설문지가 없는 관계로, 동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저자인 박현숙(2005)의 설문지를 인용하였다. 설문지는 6개의 영역과 각 영역별로 하위문항 5개를 넣어 총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술 수업 관련 스트레스 영역을 구상관련 영역, 채색관련 영역, 준비물 관련 영역, 시간관련 영역, 정리관련 영역, 평가관련 영역 총 6개로 나누어 져 있다. 변인별 척도로는 각 문항 당 전혀 받지 않는다는 1점, 가끔 받는다는 2점, 자주 받는다는 3점, 항상 받는다는 4점으로 총 4개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도구로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 Statistics 20을 사용하였고, 신뢰수준 95%에서 검사를 하였다. 즉, 6개 영역의 30문항을 4단계의 척도를 바탕으로 한 원점수를 평균과 표준점수를 구하여 비교,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미술 수업 시간에 받는 스트레스를 알아보기 위함으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미술 수업관련 스트레스 영역별 수준에서 전체 학년의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둘째, 미술 수업관련 스트레스 영역별 수준에서 전체 학년의 성적에 따라 구성 관련 영역과 준비물 관련 영역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미술 수업관련 스트레스 영역별 수준에서 1학년 학생은 성적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미술 수업관련 스트레스 영역별 수준에서 2학년 학생은 성적에 따라 정리 관련 영역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서 미술수업 관련 스트레스는 중학교 1학년과 2학년 모두 여러 가지의 원인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영역별 스트레스를 받는 학생들을 위한 수업 방법으로는 구상 관련 영역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학생들을 위한 수업으로는 상상화 그리기, 추상화 그리기, 생각나는 대로 그려보기, 선으로 구성하기 등의 구체적인 대상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생각을 표현하는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다. 채색 관련 영역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학생들을 위한 수업은 물감 번지기, 마블링 등의 수업을 통해 색 섞임에 대한 부담을 줄여 주고, 준비물 관련 영역에서 스트레스를 받는다면 수업 내용을 교사 재량으로 바꾸어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부담이 가지 않을만한 재료를 통한 수업을 할 수 있으며, 시간 관련 영역에서 학생들이 스트레스를 받는 다면, 교사가 교과재량으로 일주일에 두 번 수업하는 것을 하루에 두 시간으로 묶어서 수업을 하거나, 한 작품 당 두주로 수업을 하는 방법이 있다. 정리 관련 영역에서도 학생들 개인이 자신의 자리를 치우는 것이 아니라, 각 주마다 당번을 정하여 친구들이 작품을 모두 완성한 후, 당번들이 자리를 정리하는 방법을 사용해 보는 것도 괜찮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평가 관련 영역에서 학생들이 스트레스를 받는 다면, 교사는 그림은 보는 사람마다 시각적이 차이가 있을 뿐, 잘 그렸다와 못 그렸다의 차이는 없다는 것을 인식시켜 주고, 학기에 한번 씩 자신들의 작품을 발표하는 시간을 가져 발표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공동작업의 경우 결과물도 중요하지만, 학생들의 태도를 평가한다는 것을 인식시켜 각 그룹마다 친구들의 부담감을 줄여줘야 할 것이다. 중학생들은 학년이나 성적에 관계없이 미술 수업시간에 다양한 이유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그러므로 교사들은 미술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도록 학생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세심한 관심을 보여, 미술 수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에 대해 학생들이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나 능력을 길러 주고 다양한 미술 수업방식을 통해 학생들에게 정서적인 안정감을 주어야 할 것이다.

      • The role of microRNAs associated with cancer stem cells as a prognostic factor in ovarian carcinoma

        차소연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15

        Background: Ovarian carcinoma is a highly lethal gynecological malignancy due to frequent relapse and drug resistance. Cancer stem cells (CSCs) are thought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disease relapse and drug resistance. In this study, a subpopulation of CSCs of ovarian carcinoma was isolated and the microRNAs (miRNAs) differentially expressed in these cells were identified to characterize CSCs, and to find candidate biomarkers. Methods: Ovarian carcinoma cells from patients were primarily cultured, and spheroid-forming cells (SFC) were isolated. The characteristic miRNAs of SFCs were identified through miRNA microarray and validated by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and the association of their expression with clinicopathologic parameters was analyzed. Results: Five miRNAs including miR-5703, miR-630, miR-1246, miR-424-5p, and miR-320b were significantly dysregulated in SFCs compared with parental cancer cells. With validation for human ovarian carcinomas, miR-5703 and miR-1246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and miR-424-5p was significantly down-regulated in cancer cells compared with normal fallopian tube cells. MiR-5703 and miR-1246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in chemoresistant carcinomas compared with chemosensitive ones. Overexpression of miR-5703(P=0.029), and downexpression of miR-424-5p (P=0.018) and miR-320b (P=0.022)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hemoresistance, and overexpression of miR-1246(P=0.037)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istant metastasis by qRT-PCR. Conclusion: Our findings indicate that miRNAs are useful biomarkers for enriching ovarian CSCs, and particularly overexpression of miR-5703 and miR-1246, and downexpression of miR-424-5p and miR-320b are significantly implicated in chemoresistance and tumor progression in ovarian carcinomas. 난소암은 초기에 발견하기 어려운 문제점과 항암제 내성으로 인한 재발로 인해 여성생식기의 악성종양 가운데 예후가 가장 나쁘며, 생존율도 낮은 무서운 질병이다. 본 연구에서는 난소암에서 특징적으로 발현되는 마이크로RNA를 찾아내고, 그들과 여러 예후 관련인자들간의 연관성을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17예의 난소암 조직과 20예의 항암제 내성 종양, 39예의 항암제 반응성 종양을 포함한 59예의 난소 상피 세포 종양을 대상으로 하였고, 10개의 정상 난소 상피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난소암 환자 조직에서 난소암 줄기세포를 분리하여 마이크로RNA microarray와 qRT-PCR로 난소암 줄기세포 특이적인 마이크로RNA를 발굴하여, 난소암에서 이들 마이크로RNA 발현 양상을 비교하였으며, 그들과 임상 병기 및 조직학적 특성 등의 예후와 관련된 인자들 간의 연관성을 통계 분석하였다. 그 결과 miR-5703, miR-630, miR-1246, miR-424-5p와 miR-320b가 난소암 조직에서 2배 이상 의미있게 증가되거나 감소하였으며, 정상 대조군과 비교 했을 때 miR-5703, miR-1246와 miR-424-5p가 난소암세포에서 의미있게 증가되거나 감소, miR-5703와 miR-1246이 항암제에 감수성이 있는 그룹에 비해 내성이 있는 그룹에서 2배 이상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음을 밝혀냈다. 또한, miR-5703의 증가와 miR-424-5p, miR-320b의 감소는 난소암의 항암제 내성과, miR-1246의 증가는 전이와 연관이 되어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이크로RNA는 전사 후 단계에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기 때문에, 인간의 유전자를 조절하는 상위 조절인자(upstream regulators)로 매력적인 연구대상으로서, 밝혀진 특징적인 마이크로RNA들이 난소암에서 어떠한 의미와 역할을 하는지 앞으로 연구가 더 필요하며, 난소암 예후 관련 인자 및 새로운 표적 마이크로RNA로서 기대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