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남북평화공존과 UN군사령부 역할 재구성

        차성주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55

        The United Nations Command (UNC) in Korea was specially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defending the Republic of Korea from North Korea's invasion of the South by a resolution of the UN Security Council during the Korean War during the Korean War. He made a decisive contribution to the defense. In spite of the functional role of the UN military command for the peaceful coexistence of North and South Korea as the administrator of the present armistice agre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the factors of the phenomenon of the controversy regarding the existence of the UN military command in South Korea's political circles and in some corners of society are considered. It was discovered that the security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exists in a special state different from the general security system determined by agreements or treaties between sovereign countries. The Korean War, which broke out in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is still not over 70 years later, but both sides have agreed to stop fighting. The uncomfortable truth has been confirmed that the armistice agreement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is an 'international security trusteeship system' in whic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uch as the United Nations Command and China, manages the security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n politicians as well as South Korean politicians and academics may hate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urity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as an 'international security trusteeship system', but that does not deny the stark reality. Ahead of the South-North-US reunion at Panmunjom on June 30, 2019, then US President Trump asked President Moon Jae-in, “Will we cross the inter-Korean border or not?” At that time, President Moon Jae-in inquired to the UN Command and requested cooperation on the matter of crossing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After the United Nations Command in South Korea notified that it would approve access and security of security for President Moon Jae-in, US President Trump, and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to the southern area of ​​Panmunjom, South Korea informed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of ​​the event that would cross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MDL) through a New York channel. . The fact that the area south of Panmunjom is not strictly Korean territory or that the Korean government does not exercise its sovereignty, and that the United Nations Command has granted permission and guarantee for the entry and personal safety of the president representing the country to the area is evident that the UN military command has security control over this area. It is evidence. The most important thing in conducting this study was to derive an objective evaluation of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UN Command. To this end, the position of the UN military command was analyzed by in-depth analysis of the positions of China and North Korea, which are parties to the signing of the armistice agre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and selecting cases of international disputes and types of success or failure of UN peacekeeping activities as an analysis framework. Although the United States and Mexico face a border, they are defined as a state of “active peace” in academic terms, as they do not pose a threat to mutual security. Russia and Japan, the victorious and defeated powers of World War II, are in a state of “passive peace” because the state of war has been completely ended but a peace treaty has not yet been signed. The researcher named the Korean Peninsula a “compulsory peace” state in that peace was forced by military deterrence, such as the fact that the Korean Peninsula did not even end the 6.25 War and frequent armed conflicts in the form of local warfare such as the “West Sea Battle” at the border between the two Koreas. The reason for the frequent occurrence of military clashes on the Korean Peninsula is that the Cold War era's 'forced peace' strategy, which relied on the South and the North to rely on strict vigilance and destructive military deterrence, is also an important cause of the security system that is still maintained today. Since the UN Command in Korea is a special military organization established by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No. 84, the majority of international law experts believe that the abolition of the UN Command is also a resolution of the UN Security Council. It was also clarified that th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is a structure that the United States ultimately decides because the unanimity of the five permanent members is a requirement. If there is a practical discussion on the peace agreement, there is no doubt that the UN military command, the signatory of the armistice agreement, is the subject that determines the content and form of the agreement. The historical legitimacy of the United Nations Command, the South Korean manager of the ‘International Security Trusteeship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is a military organization specially established by the United Nations (UN). China and North Korea, which signed the armistice agreement, have been demanding the dissolution of the UN Command for decades, but if maintaining the status quo until the time the Korean Peninsula is reunified is the UN Command's strategy, the conclusion of a peace agre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may be passed on as a task for future generations to solve. . The Armistice Agre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signed on July 27, 1953, is not an agreement signed by the government representing the country as the main body, but an agreement between military commanders who commanded military operations in war to stop fighting each other. The armistice agreement system is a system in which the UN Commander can immediately order the use of force without the need for approval from the South Korean government or the National Assembly if North Korea uses military force after violating the agreement to suspend combat agreed by both sides. The fact that the unification of the divided Korean Peninsula is the most important task for the Korean people, but more important than unification, is the fact that the peace between the two Koreas has become more self-evident. The Armistice Agre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signed by the commander of the UN forces, the commander of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 Army, and the supreme commander of the North Korean army, is an agreement of an international legal nature reported to the UN Security Council. Therefore, it is clear that the end of the armistice agreement system and the historical transition to a peace agreement system are not problems that can be resolved by the political decisions of the two Koreas. The arguments that a peace treaty on the Korean Peninsula or the dissolution of the UN Command is possible if the South and the North make a decision while the UN Command, a party to the armistice agreement, ignores the substantive fact that it is the main agent of the peace agreement, and is weakly grounded. Although 7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ceasefire of the Korean War, the Korean Peninsula is still under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the 'International Security Trusteeship System'. As mentioned above, the views that downplay the essence of this phenomenon and view that the priority of inter-Korean policy is the conclusion of a peace agreement have proven to be contradictory logic lacking objectivity. The conclusion of a peace treaty, which is being discussed as an alternative to peace and prosperity on the Korean Peninsula, does not have objective conditions that can be pursued immediately in a situation where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is a priority. The changed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G2 era, in which the United States and China compete, clearly show the limitations and shortcomings of the Cold War era security strategy of mutual vigilance and deterrence. This study did not focus on the universal views of the ROK-US alliance and the free world, but focused on the intrinsic approach to North Korea research.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ROK-U.S. alliance from North Korea's perspective, it was impossible to explain why North Korea insisted on dismantling the UN military command as a 'reunification strategy'. Rather,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a new perspective that the pressure that North Korea, which is relatively weak, is facing against the mighty US military power is at the level of 'fear'. It would be a wise move for peace to consider their concerns rather than ignoring North Korea and China's claims that "UN is the US military with the UN's hat" and that USFK is trying to abuse the UN's authority in case of an emergency on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 and China's distrust of the UN Command stemmed from the perception that the UN Command was a subordinate military organization to the United States rather than an independent UN military organization. The fact that the commander of the USFK, under the command of the US president, was also appointed as the commander of the UN forces provided a cause of distrust in North Korea and China to perceive the UNC as a military organization subordinate to the US. This is a mistake in the security policy of the ROK and US authorities. It is the natural duty of the UN Command, the administrator of the armistice agreement, to prepare measures to prevent recurrence even if an armed conflict in the form of local warfare such as the ‘West Sea Battle’ or the ‘Yeonpyeong Island Shelling Incident’ is assumed to be an accidental event. Nevertheless, the fact that the relevant countries have not even been negotiating with the relevant countries on the prevention of recurrence is analyzed as a phenomenon of “renunciation of duty” by the UN Command. Conclusion of a peace agreement is also important for the transition from a “compulsory peace” strategy, in which the South and the North rely on strict vigilance and destructive military force, to a “active peace” strategy in which mutual cooperation and trust are supported. However, more important and priority is the faithful implementation of the Armistice Agreement and the Inter-Korean Basic Agreement that have already been agreed upon by the UN Command, China, and the two Koreas. We present three roadmaps for peace policy regarding the <Proactive Peace> system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role of the UN military command until a peace agreement is signed. First, the UN Command Pyongyang Special Headquarters was opened and operated. It is to expand the role of the UN Command, which is currently tasked with ensuring the security of South Korea on the Korean Peninsula, and reorganize the security system of the entire Korean Peninsula, including North Korea, into a security system in which the UN Command is responsible. The United States has already provided a “passive peace guarantee” to North Korea by promising not to threaten or attack North Korea with nuclear and conventional weapons through the September 19 Joint Declaration. While discussing the Iraqi and Libyan incidents, North Korea is demanding an 'active peace guarantee' at a level that allows them to give up their nuclear weapons, saying that a 'passive peace guarantee' is unreliable. The goal is to 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ccording to the newly formed trust relationship by providing the UN Command's "active peace guarantee" that guarantees safety to North Korea, which is concerned about external military attack. Second, the permanent member of the UN Security Council (P5) dispatches one battalion-level force to the Korean Peninsula to establish the ‘UN Peace Brigade on the Korean Peninsula’. Until a peace treaty on the Korean Peninsula is signed, the 'Korean Peninsula UN Peace Brigade' is directly responsible for the security of the Northern Limit Line, the Southern Limit Line, and the maritime NLL, which are the borders between the two Koreas, so as to block the possibility of a military clash between the two Koreas at the source. Third, the establishment of a task force for countries related to the Korean Peninsula peace regime in Panmunjom. The point is to actually start the discussion on an “active peace regime” to end the limitations of the armistice agreement. The analysis that the end of the armistice agreement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the peace agreement system is highly likely to unfold according to the interests of the international powers is dominant. The reason that the decision structures centered on great powers cannot be approached only by the logic of right and wrong is a proof that the barriers to realism in international politics are that high. Logics in which these subjective and objective factors are overlooked will not be able to avoid criticism as 'utilitarianism' in fact.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that can materialize the peace policies presented in this study continue. Keywords: International Security Trusteeship System, Compulsory Peace, UN Command, Inherent Approach, Peace System, Armistice Agreement, Active Peace, Peaceful Coexistence of South and North Korea, Peace Agreement, Juche, Reconstruction. 주한 UN군사령부(United Nations Command, UNC)는 6·25 전쟁 당시 UN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의해 북한의 남침으로부터 대한민국을 방어할 목적으로 특설되어 조선인민군 및 중국인민지원군을 격퇴하고 대한민국의 자유와 독립을 수호하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현재 한반도 정전협정의 관리자로서 남북평화공존을 위한 UN군사령부의 순기능적 역할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정치권과 사회일각에서 UN군사령부의 존폐와 관련한 찬반 논쟁이 벌어지고 있는 현상의 요인들을 고찰하였다. 한반도 안전보장체제는 주권국가들 사이의 협정이나 조약으로 결정되는 보편적인 안보 시스템과는 성격이 다른 특수한 상태로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20세기 중반에 발발한 6.25전쟁은 70년이 지난 지금도 종결된 것이 아니라 쌍방이 전투만을 중지하기로 합의한 상태이다. 한반도 정전협정체제는 UN군사령부와 중국 등 국제사회가 한반도의 안보체제를 관리하는‘국제안보신탁통치체제’라는 불편한 진실이 확인되었다. 북한의 위정자들은 물론이고 남한의 정치인들과 학계에서도 한반도 안보체제의 특성에 관해‘국제안보신탁통치체제’라고 규정하기를 싫어할지는 모르나 그렇다고 해서 엄연한 현실이 부정되는 것은 아니다. 2019년 6월 30일, 판문점 남-북-미 상봉을 앞두고 당시 트럼프 미국대통령은 문재인 대통령에게“남북경계선을 넘는 게 됩니까, 안 됩니까?”라고 질문했다. 당시 문재인 대통령은 군사분계선을 넘는 사안에 관해 UN군사령부에 문의하고 협조를 요청했다. 주한UN군사령부가 문재인 대통령과 미국 트럼프 대통령, 북한 김정은 위원장의 판문점 남측 지역 출입과 신변안전을 보장한다고 통보한 후 한국은 뉴욕 채널을 통해 군사분계선(MDL)을 넘게 될 행사에 관해 미국과 북한에 알렸다. 판문점 남측 지역도 엄연히 대한민국 영토이나 한국정부가 주권을 행사하지 못하고 국가를 대표하는 대통령의 해당 지역 출입과 신변안전에 관해 UN군사령부가 허가하고 보증하였다는 것은 이 지역의 안보통치권이 UN군사령부에 있다는 명백한 증거이다. 이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UN군사령부의 기능과 역할에 관한 객관적인 평가를 도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한반도 정전협정체결의 당사자들인 중국과 북한의 입장을 심층 분석하고 국제분쟁사례와 UN평화유지 활동의 성패 유형들을 분석틀로 선정하여 UN군사령부의 위상을 분석했다. 미국과 멕시코는 국경을 마주하고 있으나 상호 안보위협이 없는 상태로서 학술용어상‘적극적 평화’상태라고 규정한다. 제2차 세계대전의 전승국과 패전국 관계인 러시아와 일본은 전쟁상태는 완전히 종결되었으나 현재까지 평화조약을 체결하지 못한 관계여서‘소극적 평화’상태로 지칭한다. 한반도는 6.25전쟁도 종식하지도 못했고 남북한 경계선에서‘서해교전’과 같은 국지전 양상의 무력충돌이 빈번히 발생하는 등 군사적 억지에 의해 평화가 강제된다는 점에서 연구자는‘강제적 평화’상태라고 명명했다. 한반도에서 군사적 충돌이 수시로 발생하는 이유는 남과 북이 삼엄한 경계와 파괴적인 군사적 억지력에 의존하는 냉전시대의‘강제적 평화’전략이 지금도 그대로 유지되는 안보체제에도 중요한 원인이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주한UN군사령부는 UN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84호에 의해 특설된 군사기구이므로 UN군사령부의 폐지문제도 UN안보리 의결사항이라는 것이 국제법 전문가들의 다수설이다. UN안보리 결의는 5개 상임이사국의 만장일치가 요건이므로 결국 미국이 결정하는 구조라는 것도 해명되었다. 평화협정에 관한 실제적인 논의가 이루어진다면 협정의 내용과 형식을 규정하는 주체도 정전협정의 서명자인 UN군사령부라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한반도‘국제안보신탁통치체제’의 남한 측 관리자인 UN군사령부의 역사적 정통성은 UN(국제연합기구)에 의해 특설된 군사조직이다. 정전협정을 체결한 상대방인 중국과 북한은 수십 년간 UN군사령부의 해체를 요구하고 있으나 한반도가 통일되는 시점까지 지금의 현상유지가 UN군사령부의 전략이라면 한반도 평화협정체결은 후세대의 해결과제로 넘어갈 수도 있다. 1953년 7월 27일에 체결된 한반도 정전협정은 국가를 대표하는 정부가 주체가 되어 체결한 협정이 아니라 전쟁의 군사작전을 지휘한 군사령관들이 상호 전투를 중지하자고 맺은 협정이다. 정전협정체제는 북한이 쌍방이 합의한 전투중단 협정을 파기하고 군사력을 사용하는 경우 UN군사령관은 한국정부나 국회의 승인을 받을 필요가 없이 즉시 무력사용을 명령할 수 있는 체제다. 분단된 한반도의 통일은 한민족의 지상과제이나 통일보다 중요한 것은 남북평화라는 사실이 더욱 자명해졌다. UN군사령관과 중국인민지원군 사령원, 북한군 최고사령관이 각기 서명한 한반도 정전협정은 UN안보리에 보고된 국제법적 성격의 협정이다. 따라서 정전협정체제의 종식과 평화협정체제로의 역사적인 전환도 남북한의 정치적 결단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점은 명백하다. 정전협정체결의 당사자인 UN군사령부가 평화협정체결의 주체가 되는 실체적 사실을 외면하고 남과 북이 결단하면 한반도 평화협정이나 UN군사령부의 해체도 가능하다는 주장들은 근거가 미약하다. 6.25전쟁의 포성이 멎은 때로부터 70년이 지났으나 한반도는 지금도‘국제안보신탁통치체제’의 관리와 감독을 받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러한 현상의 본질을 경시하고 남북관계 정책의 우선순위가 평화협정체결이라고 보는 시각들은 객관성이 결여된 모순된 논리임이 입증되었다. 한반도 평화번영의 대안으로 거론되는 평화협정체결은 북한의 비핵화가 급선무인 상황에서 당장 추진할 수 있는 주객관적 여건들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미국과 중국이 경쟁하는 G2시대의 변화된 국제관계는 상호 경계와 억지라는 냉전시대 안보전략의 한계와 단점들을 선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한미동맹과 자유세계의 보편적인 견해에만 매몰되지 않고 북한연구의 내재적 접근법에 주목하였다. 북한의 시각으로 한미동맹을 바라본 결과 북한이 UN군사령부의 해체를 주장하는 이유를‘적화통일전략’으로 해석하면 설명이 불가능했다. 오히려 미국의 막강한 군사력에 대해 상대적 약자인 북한이 받는 압박은‘공포’수준이라는 시각도 새롭게 정립할 수 있었다. 북한과 중국이‘UN사는 UN의 모자를 쓴 미군’이며 한반도 유사시 주한미군이 UN의 권위를 악용하려 한다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 마냥 무시하기 보다는 그들의 우려사항을 살펴보는 것도 평화를 위한 현명한 처신일 것이다. UN군사령부에 대한 북한과 중국의 불신은 UN군사령부가 UN의 독립적인 군사기구가 아니라 미국에 종속된 군사기구라고 인식하는 데서 나오는 것들이었다. 미국 대통령의 지휘를 받는 주한미군사령관에게 UN군사령관을 겸임시킨 것은 북한과 중국으로 하여금 UN군사령부가 미국에 종속된 군사기구로 인식하도록 불신의 원인을 제공했다. 이것은 한미당국의 안보정책의 실책이다. ‘서해교전’이나‘연평도포격사건’같은 국지전 양상의 무력충돌을 우발적인 사건으로 전제하여도 재발방지 대책들을 마련하는 것은 정전협정 관리자인 UN군사령부의 당연한 의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도 재발방지에 관한 유관국 협상조차 진행되지 않고 있는 점은 유엔군사령부의‘직무유기’현상으로 분석된다. 남과 북이 삼엄한 경계와 파괴적인 군사력에 의존하는 ‘강제적 평화’전략에서 상호 협력하고 신뢰하는‘적극적 평화’전략에로의 전환은 평화협정체결도 중요하다. 그러나 보다 중요하고 우선인 것은 UN군사령부와 중국, 남북한이 이미 합의하여 체결한 정전협정과 남북기본합의서 등을 충실하게 이행하는 것이다. 평화협정이 체결될 때까지 UN군사령부의 역할 재구성을 통하여 북한에 대해‘적극적 평화보장’을 제공하기 위한 3가지 평화정책 로드맵을 제시한다. 첫째, UN군사령부 평양특별본부를 개설하여 운영하는 것이다. 현재 한반도 남한의 안전보장이 임무인 UN군사령부의 역할을 확대하여 북한을 포함한 한반도 전역의 안전보장을 UN군사령부가 책임지는 안보체제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미국은 9.19공동선언을 통해 핵무기와 재래식 무기로 북한을 위협하거나 공격하지 않는다고 공약함으로서 북한에 대한‘소극적 평화보장’은 이미 제공한 상태이다. 이라크와 리비아 사태 등을 목격한 북한은‘소극적 평화보장’은 믿을 수 없다면서 자신들이 핵을 포기할 수 있는 수준의‘적극적 평화보장’을 요구하고 있다. 외부의 군사적 공격을 우려하는 북한에 대해 UN군사령부가 안전을 보장하는‘적극적 평화보장’을 제공하여 새롭게 형성되는 신뢰관계에 따라 북핵문제도 해결하자는 것이다. 둘째, UN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P5)이 각 1개 대대 급 병력을 한반도에 파견하여‘한반도 UN평화여단’을 창설하는 것이다. 한반도 평화협정이 체결될 때까지 남북한 경계선인 북방한계선과 남방한계선, 해상 NLL의 경비를 ‘한반도 UN평화여단’이 직접 관할하도록 하여 남북한 군사적 충돌의 가능성을 원천봉쇄 하자는 것이다. 셋째,‘한반도 평화체제 유관국 TF’를 판문점에 설립하는 것이다. 정전협정의 한계를 종식하기 위한‘적극적 평화체제’에 관한 논의를 실제로 시작하자는 것이다. 한반도 정전협정체제의 종식과 평화협정체제로의 역사적인 전환도 국제열강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강대국 중심의 결정구조들을 옳고 그름의 논리로만 접근할 수 없는 사유는 국제정치의 현실주의 장벽이 그만큼 높다는 반증이다. 이러한 주객관적 요인들이 간과된 논리들은 사실상‘공리공담’이란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평화정책들을 구체화 할 수 있는 후속 연구들이 계속 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 국제안보신탁통치체제, 강제적 평화, UN군사령부, 내재적 접 근법, 평화체제, 정전협정, 적극적 평화, 남북평화공존, 평화 협정, 주체, 재구성.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