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틱톡 플랫폼과 인플루언서의 특성이 MZ세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의 몰입경험을 매개효과로

        진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모바일 기기의 대중화로 인해 더욱 다양하고 재미있는 동영상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확대되고 있다. 현재 온라인 전자상거래는 동영상과 라이브 방송이 결합 되는 형태가 되어가고 있으며, 온라인 쇼핑 시장은 영향력이 있는 인플루언서를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SNS 인플루언서를 중국에서는 왕훙이라고 칭하는데, 그들은 여러 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일반 소비자들로 하여금 그들을 모방하게 하는 특징이 있다. 그들은 자신의 인지도와 이미지들 이용하여 온라인에서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기업들은 이러한 마케팅 기법을 이용하여 많은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또한 근래 새롭게 각광받는 MZ세대들은 스트리밍 앱(App) 등을 일상 속에서 매일같이 사용하고 유행에 예민하며 트렌드를 먼저 이끄는 집단이다.(박주하,2019) 박주하 (2019), "Z 세대의 패션 유튜브 소비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 MZ세대들은 남과는 다른 개성을 추구하고 관계 형성이 자유로운 비대면 관계를 더 좋아하기에 SNS에서 취향과 공통 관심사를 중심으로 공동체를 형성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중국 인플루언서들의 특성과 해당 플랫폼 현황을 자세히 분석하고 인플루언서와 플랫폼 특성 요인을 중심으로 MZ세대 소비자가 향후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에 주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짧은 동영상 앱 오피니언 리더의 하위요인인 매력성, 전문성, 신뢰성, 상호작용성이 소비자의 구매의도 대한 영향에 관련하여 4개 하위요인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플랫폼 특성의 하위요인들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그 하위요인인 정보품질, 접근편의성, 서비스는 모두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셋째, 몰입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문제검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몰입이 플랫폼 특성과 구매의도 간을 매개할 것이라는 연구 문제 및 가설 검증 결과, 정보품질, 접근편의성과 서비스 구매의도 간에 몰입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많은 기업들이 중국 시장내에서의 마케팅 전략의 수립에 있어서 실무적인 시샂점을 제공하는 동시에 중국 소비자에 대해 더욱 잘 이해함으로써 기업 측면의 전략 수립과 마케팅 방안 도출에 실무적 및 학문적인 기여를 하고자 한다.

      • AZO 투명 상부 전극을 적용한 태양전지의 흡수효율 향상에 관한 연구

        진호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태양 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 (solar cell, photovoltaic cell) 는 미래의 주요 에너지 기술로 주목된다. 실험실에서 단결정 실리콘 태양전지는 25%의 에너지 변환효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고효율 태양전지에 의한 반사방지막이 태양전지 효율 향상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질화규소, 일산화규소 등 반사방지막은 낮은 굴절률로 실리콘 태양전지 표면의 반사를 감소시키며, 표면 passivation으로 전자와 정공의 결합을 방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사반지막이 태양전지의 전류확산을 방해하고 있다. 이에 따라, 태양전지 흡수효율 향상에 위한 투명 전도성 있는 박막의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투명전도막 재료에는 ITO(Indium Tin Oxide)가 실리콘 태양전지에서 반사방지막과 투명전극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ITO 표면 요철 구조화의 어려움, 수소 플라즈마 노출 시 금속으로 환원 그리고 높은 가격 등의 문제점 있기 때문에 이를 대체 할 수 있는 신재료 AZO(ZnO:Al) 가 주목받고 있다. AZO는 Zn의 풍부한 가채매장량으로 인한 저가격, 표면 요철 구조화 그리고 저온성막이 용이하는 등 ITO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투명전도막으로 그 적용 가능성이 매우 높이 평가되고 있다. 동시 AZO는 낮은 굴절률 가지고 있어서 실리콘 태양전지의 반사방지막 재료에 적당하다. 최근 야외에서 장 수명 태양전지의 개발이 주목을 받고 있다. 그래서 AZO 박막 제조과정에서 박막의 전기전도성과 투과율의 degradation방지 성능이 고려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태양전지의 흡수효율을 향상을 위해서 최적의 저온증착공정기술을 확립한 후 기존의 반사방지막 재료인 SiO2를 대체하여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으로 실리콘 태양전지 pn 접합 상부에 AZO 투명 상부 전극을 적용하였다. AZO 투명전도막 의 증착조건은 Ar+H2증착가스, 기판온도 100℃, RF 파워가 150W, 수소열처리온도 300℃ 일 때 4.25 × 10-4 Ωcm의 낮은 비저항과, 85 % 이상의 높은 투과율을 나타내었다. 수소 열처리한 후에 AZO 박막과 SiO2 박막 같이 적용된 샘플이 낮은 전기적 degradation 비율 (17%)과 높은 투과율 (90.1% ,400-1100nm)을 나타내었다. 수소는 AZO 박막의 전기적 특성과 안정성을 향상시켰으며, SiO2 층은 공기 중의 산소와 water molecules 가 AZO 박막에 침투한 것을 저지하였다. 실리콘 태양전지 pn 접합 상부에 AZO 투명 상부 전극과 SiO2 박막을 적용하였고, 그 결과 기존 태양전지에 비해 약 2배의 광전류가 향상되었다. Recently, solar cells or photovoltaic cells, the direct conversion from sunlight into electricity, promises to be a major energy technology in the future. Crystalline silicon (c-Si) solar cells achieve a power conversion efficiency of close to 25% on the laboratory scale. One important ingredient for such high-efficiency cells is Antireflective (AR) coatings such as silicon nitride and silicon monoxide, which can reduce the reflectance of light on the surface of solar cell with a correct reflective index and produce the surface passivation to avoid the recombination of electron and hole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olar cell. However, those AR coatings are insulated materials which go against the current spreading in solar cells. Therefore, the research of transparent electrical films for demand of increasing absorption efficiency of solar cell is actively proceeding. Transparent conducting oxides such as Indium-Tin Oxide (ITO) layers, are widely used as both anti-reflection coatings (ARC) and transparent electrodes on silicon (Si) based solar cells. However, the usefulness of an ITO anti-reflection coatings is limited by a lack of surface passivation combined with a non-negligible absorption. And indium is scare metal with high price for its short reservation, their difficulty to form textured surface with their unstability of reduction to metal in hydrogen plasma. Contrast to ITO, in recent years AZO (Al-doped ZnO) films have been increasingly attracted for using transparent conducting material, because of their easily textured surface, relatively low deposition temperature, low material cost and stability in hydrogen plasma. The light current efficiency of the silicon solar cell should be increased by using the AZO transparent conducting thin film on silicon solar cell. At the same time, AZO films with the low reflective index of 2 is suitable to used as AR coating for silicon solar cell. Recently, an important issue in the field of photovoltaic solar cells is presented about how to manufacture solar modules with a long lifetime in harsh outdoor conditions. Therefore, the ability to resist the degradation of film conductivity and transmission is also considered during the process of preparation of ZnO:Al thin films. In this work, to prepare the optimized Al-doped ZnO (AZO) thin films with a considerable application to silicon solar cell, we fabricated AZO by RF magnetron sputtering in pure Ar and Ar+H2 gas ambient at temperature of 100 ℃ and annealed in hydrogen atmosphere at the temperature rang from 150 to 300 ℃ respectively. The lowest resistivity of 4.25×10-4 Ωcm and a high transmittance above 85% were obtained after the films deposited in Ar+H2, at the temperature of 100 ℃ and the power of 150 W annealed in hydrogen at 300 ℃. A damp-heat environment was taken as a module of the harsh outdoor condition to test the electrical stability of the AZO thin films with or without hydrogen annealing treatment and SiO2 protective layer. We found that the hydrogen annealing treatment improved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ZO thin films and coated SiO2 protection layer prevented the water from penetrating into AZO thin films apparently, which resisted the degradation of film conductivity. The optimized AZO thin films and SiO2 protective layer were deposited on pn junction of silicon solar cell. It was confirmed by the result of Vr-Jph curve that efficiency of solar cell with AZO transparent electrode was enhanced.

      • 공기순환구조를 갖는 축열지붕의 열전달 특성에 관한 연구

        진호 大田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reports on a theoretical and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performance of thermal storage roof with the air circulation system. In this system, the fully glazed absorber plate is put on the top of the conventional pitch roof made of massive concrete and acts as a solar air heater. Solar radiation collected into absorber is stored in the roof structure by radiation and convection so that it reduces the nighttime heating load through the roof. Another part of the energy is also transmitted to internal air drawn into the channel and is then introduced into the room. The energy balance equations to this system are solved using a finite difference method and the calculation results show a good agreement with the measured ones obtained from our experiments. From the results, it is seen that the thermal storage roof with the air circulation system reduces the heat loss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at for the conventional roof in winter season.

      • 중국 민영기업의 발전과정과 현황에 관한 연구

        진호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를 하게 된 배경은 첫째는 사회주의 시장경제체제로의 체제전환 이후 빠른 경제성장이라는 점에서 중국 민영기업의 중요성이 날로 확대되어 가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는 중국의 경제발전에서 날로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중국 민영기업이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 어떻게 성장과 진화해 나가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었다는 점이다. 이 연구를 통해서 중국민영기업은 짧은 역사 동안 이룩한 빠른 성장에도 불구하고 향후 더욱 더 많은 성장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주지하고자 한다. 그러나 기업 내부관리의 낙후, 기술력 문제, 자금조달의 어려움, 가족 형 기업의 단점 등, 경제발전의 걸림돌을 제거해야만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하다. 먼저 민영기업의 성장과정을 총 3단계로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중국체제 전환과정과 시대별 경제변화과정에 따른 민영기업의 변화를 살펴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존하는 민영기업의 문제점들을 정리하였고, 이어서 최근의 발전 동향에 대해서도 분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민영기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실행해야 되는 조치와 기업개혁의 평가와 전망을 제시하고자한다. 중국의 민영기업은 이제 제2의 도약을 위한 큰 전환점 앞에 있다고 감히 단언할 수 있다. 변화하는 세계, 특히 동북아 지역의 발전이야말로 중국의 발전이라고 생각하며, 결국 그것은 민영기업의 발전을 통해서 가능할 것이라고 한 번 더 강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동북아 지역의 활발한 교류와 서로의 이해관계를 인지하면서 서로 도우며 상생하는 발전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도시전설을 기반으로 제작된 모큐멘터리 연구 : <V.H.S>에서 나타난 언캐니한 공포를 중심으로

        진호 성균관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프로이트의 언캐니(Uncanny) 이론을 적용해서 도시전설을 기반으로 제작된 모큐멘터리 <V.H.S>를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모큐멘터리 <V.H.S>에 대해 전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내용적인 측면과 형식적인 측면를 모두 포함하였다. 모큐멘터리 <VHS>에서는 다큐멘터리의 전형적인 ‘사실적인 촬영 기법’과 도시전설이라는 소재의 조합을 통해 원시적인 두려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발견 할 수 있다. 모큐멘터리 <V.H.S>를 보고 사람들이 왜 두려운 감정을 느낄 수 있을 가에 대해 분석하려고 프로이트의 언캐니 이론을 연구도구로 도입해보았다. 옴니버스 형식을 취한 모큐멘터리 <V.H.S>에서는 여섯 편의 에피소드 <56번째 테이프>, <아마추어들의 밤>, <두 번째의 허니문>, <17일의 화요일>, <에밀리에게 일어난 이상한 일>, <98년 10월31일>이 있다. 각 에피소드에서 감독은 다양한 도시전설과 다큐멘터리 촬영 스타일의 창조적인 활용을 통해서 이야기의 내용에 충실하면서 물입극대화의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이중적인 전략의 조합은 관객들에게 더 현실적이고 매혹적인 효과를 더했다. 논문에서 살펴본 모큐멘터리 <V.H.S>에서 여섯 편의 에피소드는 모두다 불안감과 이상한 두려운 감정을 유발 할 수 있는 ‘억압된 것의 회귀’, ‘거세 공포’, ‘반복강박’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 이유 때문에 이상한 두려움에 대해 분석함에 있어서 프로이트의 언캐니 이론은 도구로써 매우 적당하다고 생각한다. 

      • 한·중 지시어 대역 분석 : 「아프니까 청춘이다」와 「因为痛,所以叫青春」을 중심으로

        진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시어는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언어 현상이며 주로 어떤 대상을 가리키거나 확인해 내는 언어적 기능이다. 다른 표현으로, 지시어는 문맥을 이해하거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되는 언어적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지시어는 한국어와 중국어를 비롯한 많은 언어에서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언어 현상이다. 실존하는 현실 공간에서 화자 또는 청자의 정신세계 또는 상상의 공간에 존재하고 있는 대상을 특정하는 지시어는 화자뿐만 아니라 청자가 현실 및 정신세계 영역에서 특정 대상을 확인하거나 가리킬 때 사용하는 표현이다. 즉, 사물이나 현상을 지시하거나 대용함으로써 특정한 공간, 사건, 사람, 사물, 시간, 정도 등과 직접적으로 관계를 형성해주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그, 저’와 ‘這, 那’의 대역 관계를 밝히기 위해 출발어 텍스트인 「아프니까 청춘이다」와 도착어 텍스트인 「因为痛,所以叫青春」에 나타나는 한·중 지시어의 대역된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 그, 저’와 ‘這, 那’의 대응 상황들과 비 대응 상황들을 개별적으로 나눠 분석하였다. 제1장에서는 지시어의 개념과 중요성을 간략하게 소개한 후,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을 제시하고 연구 대상을 정하며 연구 방법을 소개하였다. 이어서 지금까지 한·중 언어의 가장 대표적인 지시어인 ‘이, 그, 저’와 ‘這, 那’에 대한 이미 이루어진 선행 연구과 체계를 살펴보고 대조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중 양국의 지시어와 관련된 논문들과 저서의 이론들을 바탕으로 「아프니까 청춘이다」와 「因为痛,所以叫青春」에 나타나는 한·중 지시어의 대응하는 상황들을 각각 분류해서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보면, 한국어에서는 ‘그’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중국어에서는 ‘這’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았다. 그리고 한·중 지시어 대응에서 ‘이’와 ‘這, 那’, ‘그’와 ‘這, 那’, ‘저’와 ‘這, 那’는 모두 대응시킬 수 있다. ‘이’는 주로 ‘這’와 대응하고, ‘그’는 ‘那’보다 ‘這’와 대응하는 비중이 더 크다. ‘저’는 ‘這, 那’와의 대응이 비슷한 수치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어의 가장 대표적인 지시어인 ‘이, 그, 저’와 중국어의 가장 대표적인 지시어인 ‘這, 那’의 대역 관계가 반드시 일치하지 않음을 결과가 나타났다. 제3장에서는 ‘이, 그, 저’와 ‘這, 那’의 비 대응 관계를 고찰하였다. 대응하는 부분보다 비 대응하는 상황이 더 높은 비중으로 통계결과가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비 대응 상황들을 ‘지시어 생략’, ‘지시어와 지시하는 부분 생략’, ‘대체’, ‘부연 설명’ 4개 유형으로 각각 분류해서 분석하였다. 1. 문장이나 담화의 앞에서 언급한 유일성을 가진 대상 자체를 다시 가리킬 경우, 지시어의 기능이 이미 약화하기 때문에 중국어로 번역할 때 ‘這, 那’를 사용하지 않아도 지시 대상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알 수 있다. 2. 원문 텍스트는 사람, 사물, 장소의 명사 앞에 ‘이’와 ‘그’를 사용하여 지시대상을 강조할 경우, 중국어로 번역할 때 지시어 ‘這, 那’를 생략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한국어에서 지시어와 명사를 결합한 표현들은 문장의 주어 성분이 될 수 없다. 지시나 대용하는 대상이 불분명할 경우, 중국어로 번역할 때 지시어 ‘這, 那’를 생략하여 그저 문장의 적당한 위치에 그 지시 대상을 언급한다. 3. 원문 텍스트를 그대로 번역하면 번역문 텍스트 자체가 자연스럽지 않아서 유창하게 번역하기 위하여 지시어나 지시하는 대상을 전체적으로 생략한다. 4. 원문 텍스트의 내용을 더 생동감 있게 서술하기 위해 ‘這, 那’로 대역하지 않고 표현을 바꿔서 번역한다. 5. 원문 텍스트의 의미를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지시 대상을 다른 구체적인 표현으로 부연 설명한다. 결론 부분에서는 지금까지 고찰한 내용을 전체적으로 정리하고, 본 연구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향후 연구 과제에 대해서 간략하게 언급하였다. 지시어는 표면적으로 보기에는 간단한 것 같으면서도 실제로는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것이라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한·중 지시어의 상호 번역에 관한 대조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효율적인 한·중 지시어의 대역에 대한 학습을 위해서 특정한 텍스트의 대조 분석은 향후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부분들이 한·중 지시어의 상호 번역에 대해 필요성과 의의가 있다고 사료한다. 이러한 학계의 꾸준한 노력에 이 논문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A demonstrative pronoun is a universal language phenomenon and is primarily a verbal function that points to or identifies an object. In other words, a demonstrative pronoun is a verbal function used to understand context or to communicate well. The demonstrative pronoun is a language phenomenon that occupies a very high proportion in many languages including Korean and Chinese. A demonstrative pronoun that specifies an object that exists in a spiritual world or imaginary space of a speaker or listener in an actual reality space is an expression used not only by the speaker but also by a listener when he or she identifies or points to a specific object in the real and mental world domains. In other words, it can be used as a means of directly forming a relationship with a specific space, event, person, object, time, degree, etc. by directing or substituting a thing or a phenomen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and differences between the demonstrative pronouns i (this), geu (it), jeo (that), and '這 那' (zhe [this], na [it or that]). The analysis of the cases in which the Korean and Chinese demonstrative pronouns appear in the cause and the cause and the reason of the inequality are analyzed separately to analyze the correspondence situations and the noncompliance situations of 'Lee, He, I' and '這 那' individually. In Chapter 1, we briefly introduce the concept and importance of the demonstrative pronouns, present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paper, define the research subjects, and introduce the research methods. This paper examines and contrasts the preceding studies and systems of the most representative demonstrative pronouns of the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namely, 'this,’ ‘it,’ and ‘that,’ '這 那'. In Chapter 2, based on the theories of both Korean and Chinese demonstrative pronouns, and the theories of the books, we classify the corresponding situations of the Korean and Chinese demonstrative pronouns as used by youth in both countries, respectively. In conclusion, 'it'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Korean demonstrative pronoun and 'this’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Chinese demonstrative pronouns. And in the Korean / Chinese demonstrative pronouns correspondence words 'this', 'it', and ‘that;’ 'this' and 'that' can relate to each other. 'This (Korean)' mainly corresponds to '這 [this]' and 'that (Korean)' corresponds to '這' [this] more than '那' (it and that). 'That' (Korean) showed similar responses to '這, 那' (Chinese ‘this,’ ‘it,’ and ‘that’). Therefore, Korean demonstrative pronouns 'this, it, and that' and '這 那' (Chinese ‘this,’ ‘it,’ and ‘that’), which is the most representative demonstrative pronouns of Chinese, do not necessarily match. In Chapter 3, we examine the non - correspondence relationship of Korean 'this, it, and that' and '這 那' (Chinese ‘this,’ ‘it,’ and ‘that’), '. The statistical results were higher in the non-corresponding situations than in the corresponding parts. In this paper we classify these noncompliant situations into four types: omission of demonstrative pronouns, omission of demonstrative pronouns and its object, substitu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s. 1. When referring to the object with the uniqueness mentioned above in the sentence or the discourse, the function of the demonstrative pronouns is already weakened. Therefore, when translating into Chinese, we do not use '這, 那' (Chinese ‘this,’ ‘it,’ and ‘that’). 2. In the original text, when Korean 'this' and 'it' are used in front of nouns that are people, objects, and places, the demonstrative pronouns '這, 那' (Chinese ‘this,’ ‘it,’ and ‘that’) is omitted when translating into Chinese. In addition, expressions combining demonstrative pronouns and nouns in Korean cannot be the subject matter of a sentence. If the instruction or substitute object is unclear, omit the demonstrative pronouns '這, 那' (Chinese ‘this,’ ‘it,’ and ‘that’) when translating into Chinese and refer to the fore concluded object at the proper position of the sentence. 3. If you translate the original text as it is, the translation text itself is not natural, so you omit the demonstrative pronoun or the entire object to translate fluently. 4. To translate the original text more vividly, the translator does not translate it into '這, 那' (Chinese ‘this,’ ‘it,’ and ‘that’). 5. In order to convey the meaning of the original text clearly, the translator must further explain the indication of the noun in other specific terms. In the conclusion, I summarized the contents reviewed so far and briefly mentioned future research subjects which have not been covered in this study. Korean and Chinese demonstrative pronouns seem simple on the surface but are actually very complex and difficult. So far, there is still little research on the mutual translation of Korean and Chinese demonstrative pronouns. In order to study the efficient correlations of Korean and Chinese demonstrative pronouns, a lot of research is needed in the future for the analysis of specific texts. I think that these parts are necessary and meaningful for mutual translation of Korean and Chinese demonstrative pronouns. I hope this article will help a little bit in the steady efforts of this academic community.

      • A study on leaching behavior of rare earth elements from heavy mineral of the domestic beach sand

        진호 한양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Research on Leaching Rare Earth Elements in Heavy Minerals of Beach Sand in Korea. Heavy minerals of beach sand produced in Korea are used as the raw materials for leaching test and research on rare earth elements (REE). To recover effectively the REE in heavy minerals of beach sand, low-grade monazites obtained through physical concentration are used as the raw materials firstly. The monazites are crushed before test to enhance the chemical reaction efficiency, aiming to enlarge the contact area between minerals and solvents during solid-liquid reaction and carry out leaching reaction in a better and thorough way. Put the crushed minerals into the strong acid solution, compare the factors including mixing speed, solid-to-liquid ratio, time,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 of aqua regia and study the influence on the leaching rate of REE. The results show that, the granularities of raw materials (averagely 50 microns) which go through mechano chemical treatment are effectively controlled if the crushing period is limited within 150 minutes. Afterwards, the suitable reaction conditions of leaching REE as follows: mixing speed 1000 rpm, 1:30, 100% and 90 degrees, under which the leaching effect is perfect. Except Ce, the REE including La, Pr and Nd are effectively recovered and their recovery rates are as high as 99%. The leaching rates of heavy rare earth elements (HREE) Gd and Y are 80% and 75% respectively and that of Th, a radioactive element, reaches over 99% as well. Based on the test results, a chemical kinetics analysis is carried out on the reactions of Ce, La and Gd in this solid-liquid phase. The obtained diffusion activation energy of Ce is 15.789KJ and its reaction difference (n) is 2.10. The influence on diffusion speed in different reaction layers is accordingly evaluated. The diffusion activation energy effectively reflects the reaction processes of diffusion and penetration of solution on the surface of and within the solute during the solid-liquid reaction and the reaction difference is to confirm the determination of the level of sensitivity of acid concentration reaction during surface diffusion after mechano chemical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