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Urea를 포함한 imidazolium 전해질 합성과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특성에 관한 연구

        진현미 建國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새로운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겔 타입 이온 염인 Aminopropyl Imidazolium Iodides (APIIs) 전해질을 합성하였다. 이 전해질의 특성은 Urea 결합을 적용하여 분자 간 수소결합을 유도하였다. 두 개의 Urea 작용기를 포함하는 APII-(HM2, HP2)는 높은 점도를 나타냈고 DMII와 비슷한 열 안정성을 보였다. APIIs 중의 APII-HP1은 DMII보다 높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이 전해질의 특성은 1H-NMR spectroscopy, ionic conductivity와 diffusion coefficient를 이용해 확인하였다. 주제어 : 이온성 액체, 전해질,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이온전도도, 이미다졸륨 Novel gel type ionic salts based on aminopropyl imidazolium iodide functionalized with urea named as APIIs were synthesized and used as an electrolyte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The synthesized APIIs are viscous gel state. These electrolytes have characteristics of an intra- or inter molecular hydrogen bonding interaction through their urea bonds. The synthesized electrolytes (HM2, HP2), which contain two urea groups, are highly viscous and showed relative thermal stability compared to the commercial ionic liquid of DMII. New types of electrolyte were examined by 1H-NMR spectroscopy, ionic conductivity, and diffusion coefficient. Among the six APIIs, APII-HP1 enabled a maximum photo-conversion efficiency of solar energy of 7.31 %, which i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the referenced (DMII, 6.59 %). Keyword : Ionic liquid, dye-sensitized solar cell, ion conductivity, imidazolium iodide, DSSCs

      •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의 연구 : "동아시아 세계의 형성과 확대"부분을 중심으로

        진현미 안동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do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ormation and expansion of East Asia' in unit 3-1, based on three kinds of world history textbooks published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This study aims at inspecting a system and amounts of whole publishment, amounts of a main subject and a descriptive error, and trying to find its improvement. When analysing the formal aspects of these three kinds of textbooks. The World History textbook of the 7th curriculum has undergone a change in its appearance through formating, a quality of material, and its soft color. Therefore, it is accessible to learners. Writers, who conclude detailed historical facts, put in 4 to 5 persons more than the 6th curriculum. In addition, the participation of not only teachers but also university professors helped to make a more realistic textbook. However, the absence of Korean history degrees raises a problem in enhancing relations with Korean history. In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three kinds of textbooks, this study divides the texts into four parts such as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foreign relations ; and pinpoints textual descriptive errors and suggests improvements. In addition, this study finds errors and suggests improvements to textual subsidiary materials, after dividing information into a chronological table, a map, a picture, a graph, statistical data and the rest. This study plays an important role in suggesting problems with the 7th curriculum and its improvement by analyzing a publishing system and the content of a world history textbook in a highschool, although it doesn't criticize profoundly, due to the short span of the writer's knowledge.

      • 겹구조와 시점이동 구성에 대한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진현미 성신여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개인의 삶속에 과거의 경험들에 대한 기억과 사회적 역사인식을 통해서 나의 위치를 통찰하고 좀 더 나은 이상을 향해 나아가고자 함은 인간의 보편적 특성일 것이다. 과거를 통해 현재의 나를 반추해 보는 것은 본인이 자아를 성찰하는 방법 중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도구이기도 하다. 오늘날 자본의 축적과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고도로 문명화된 다원적이면서 상호가변적인 시대에 끊임없는 생성과 소멸이 반복되는 환경 속에서 어떠한 사물이나 사람, 자연풍경을 향한 응시, 즉 ‘본다.’는 것은 시 감각(視 感覺) 주체의 알고자하는 욕구임과 동시에 가시적인 것에서 출발하여 비가시적인 것까지의 연상 작용을 통하여 삶의 본질에 대해 연구해보는 계기가 된다. 이러한 감각주체의 ‘시선의 이동’은 본 작품의 출발점이 된다. 이러한 의식은 그림을 그리는 행위로 표현되는데 전통 동양화가 지니는 표현 방법적 특성과 그 배경을 이루는 동양사상에 대해 연구, 분석하고 이것을 재해석한 작품이 지니는 현대적 특성을 학문적으로 체계화 하며, 작품을 제작하는 행위 속에서 전통과 현대라는 상호모순적인 민감한 접점을 찾아나가는 것이 주된 의의이다. 작품의 구체적인 표현방법은 단순화된 형상을 평면의 한 장에 담고 이것을 한 장, 한 장 일정한 간격으로 공간에 설치함으로써 거리에 의한 농담이 이루어지는 겹구조(Multi-layer)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평면에서 공간으로 확장시켜 시지각 환경에 변화를 줌으로써 다양성, 가변성, 무한성 등 여러 가지 가능성을 얻을 수 있는데 무엇보다도 겹과 겹 사이를 이동하는 감상자가 시각주체의 기준점이 미 지정된 공간에서 스스로 움직여 다각도에서 관람하게 됨으로써 작품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주체가 된다는데 그 의미가 더 해진다고 하겠다. 겹구조는 시각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음악, 문학, 영상 등의 여러 분야에서 그 예를 찾아 볼 수 있는데 단일적인 구조에서 더하여지거나 나뉘어져 여러 층위를 형성 하면서 풍성하고 다채로운 다양성을 제시한다. 또한 감상자가 작품을 관람하며 거리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형상을 시지각하면서 시간을 동반하는 변화를 체험하게 되는데 ‘과거-현재-미래’라는 순차적인 시간 개념이 아니라 주체 지각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간 개념을 관찰자의 시선을 전제로 하는 메를로-퐁티(Merleau-Ponty)의 현상학적 시간개념으로 그 설명이 가능 하다고 본다. 작가와 작품, 감상자 사이에 시선의 교차는 유기체적 상호연관의 소통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작품에서 이루어지는 공간개념을 동양사상에서 여백(餘白)의 의미와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필름지(clear film)나 한지, 견(silk)등이 가진 반투명성이 이 공간관(空間觀)을 더욱 부각시키는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재료의 물성이 가진 장, 단점을 상호보완적으로 작품에 사용하여 표현효과와 질(質)을 높이는 것은 끊임없이 연구해야 할 앞으로의 과제이다. 마지막으로, 작가의 혼이 투영된 작품을 관람하는 감상자의 자동적인 체험이 동양사상에서 와유(臥遊)의 의미인 ‘정신이 육체를 벗어나 그 한정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무한한 세계에로 자유롭게 뻗어 나가는 것’이 되어 겹구조 공간 안에서 지친 심신을 휴식하고 치유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Through memory and socially historical recognition about the past experiences in an individual's life, what tries to discern my position and to proceed with advancing toward a better ideal, will be the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a human being. What tries to ruminate the present myself through the past is also a tool that possesses the considerable part among methods that oneself introspects ego. Today, amid the environment that is repeated endless generation and extinction in the highly-civilized, plural, and mutually-variable age due to the accumulation of capital and to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what stares at, namely, 'views' any thing, person or natural landscape is the desire that the main body of visual sensation seeks to know. Simultaneously, it becomes an opportunity to deliberate on the essence of life through the function of association starting from the tangible thing to the intangible one. The ‘movement of eyes in the main body of this sensation’ becomes a starting point of this work. This consciousness is expressed with the behavior of drawing a picture. So, the main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analyze on the Oriental thought that comprises the characteristics in the expressive method and its background, which are possessed by a traditionally oriental painting, to scientifically systematize the modern characteristics possessed by a work that re-interpreted this, and to proceed with seeking for the mutually-contradictory and sensitive contact point called tradition and modern times amid the behavior of manufacturing a work. The specifically expressive method of a work is to form the multi-layer that is attained shading by distance, through containing the simplified shape in one piece of a plane, and through installing this piece by piece in a fixed interval. It can be obtained several possibilities such as diversity, variability, and infinity by giving a change to visual perception with expanding from the plane into the space this way. And, its significance can be above all said to be added in that an appreciator who moves between layers becomes the main body who changes a shape of a work by being allowed the multi-angle viewing while the standard point in the visual subject itself moves in the undesignated space. The multi-layer can be found its examples in many fields such as music, literature, and image as well as in visual aspect. It puts forward abundant and colorful diversity while forming several layers by being added or divided in the single structure. Also, the appreciator comes to experience a change that accompanies time while visually perceiving the shape that is varied depending on a change in the street, with viewing a work. And it is attained centering on the perception in the main body, other than the sequential time concept called ‘past-present-future.’ It is thought that its description is available with the concept of phenomenological time of Merleau-Ponty who premises an observer's sight as for this time concept. As the crossing of sight in an artist, a work and an appreciator is the space that is attained the communication of organic correlation, it examines the correlation with the meaning of blank in the Oriental thought in terms of spatial concept that is attained in a work. Thus, it can be seen that the semi-transparency possessed by clear film, Korean paper and silk, plays a role that more highlights this viewpoint of space. Enhancing the expressive effect and the quality is the subject that needs to be continuously researched, by mutually and supplementarily using merits and demerits possessed by the property of matter in materials, for a work. Finally, it is desired to become an opportunity of resting and healing the fatigued mind and body within the multi-layer space, by which the automatic experience of the appreciator, who views a work that was reflected an artist's soul, becomes 'what proceeds with stretching freely to the limitless world while transcending its restricted time and space, escaping from the body in the mind,' which is a meaning of Wayu (臥遊) in the Oriental thought.

      • Rosenblatt의 독자반응이론에 기초한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교사관점과 유아의 반응에 관한 연구

        진현미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포항시에 소재한 W어린이집의 만 3, 4, 5세반과 그 담임 교사를 대상으로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교사의 관점(그림책 선정 기준, 질문방법)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그림책 읽기 활동 후 Rosenblatt의 독자반응이론에 기초한 정보추출적, 심미적 관점의 질문에 대한 유아의 반응이 연령별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2008년 1월 28일부터 2월 18일까지 4주 동안 4권의 그림책으로 읽기 활동이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은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교사의 관점 변화는 실험 전, 후 개별 면담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Rosenblatt의 독자반응이론에 기초한 정보추출적·심미적 관점의 질문에 나타난 유아의 반응은 전사하여 유아의 연령에 따라 분류하고 점수화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Rosenblatt의 독자반응이론에 기초한 그림책 읽기 활동을 한 후 교사의 관점(그림책 선정 기준, 질문 방법)은 변화를 보였다. 실험전 자신의 그림책 선정 기준에 대해서 언급하지 않았던 만 4세반 교사도 실험후에는 주간교육계획안에 따라 그림책을 선정한다고 하였다. 질문방법에 있어서도 실험전에는 만 3, 4, 5세반 교사 모두 제한된 질문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실험 후 교사 모두 심미적 질문 방법의 필요성을 지각하게 되었으며, 그림책 읽기와 관련한 교사들의 재교육 기회가 부여되길 바란다고 언급하였다. 특히 만 5세반 교사는 이러한 연구의 참여에서 그림책 읽기 활동과 관련한 질문방법(정보추출적)의 다양성에 대한 지식을 가질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제시하였다. 둘째, Rosenblatt의 독자반응이론에 기초한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정보추출적·심미적 질문에 대한 연령별 유아의 반응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정보추출적 질문에서 유아의 반응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것은 만 3세반은 ‘떡잔치’에서 질문 2의 ‘그림책 속에 무슨떡이 있었는지 말해볼 수 있겠니?’이고, 만 4세반은 ‘고릴라’에서 질문 1의 ‘이야기 속에 누가 누가 나왔니?’이며, 만 5세반은 ‘나도 아프고 싶어’에서 질문 1의 ‘이야기 속에 누가 누가 나왔니?’이다. 또한 심미적 질문에서 유아의 반응 점수가 가장 많이 나타난것은 만 3세반은 ‘팥죽할머니와 호랑이’에서 질문 1의 ‘이야기 속에 나오는 등장인물 중에 누가 마음에 드니?’와 ‘떡잔치’에서 질문 6의 ‘그림책 속에 소개된 떡 중 네가 만들어 보고 싶은 떡이 있니?’이고, 만 4세반은 ‘팥죽할머니와 호랑이’에서 질문 7의 ‘이 이야기를 다르게 만들어 볼 수 있겠니?’이며, 만 5세반은 ‘떡잔치’에서 질문 1의 ‘이야기 속에 나오는 떡 중 무슨떡을 좋아하니?’이다. 결론적으로 정보추출적 관점의 유아 반응은 ‘등장인물과 관련한 질문’에 대한 반응이 가장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고 심미적 관점의 유아 반응은 경험과 관련한 반응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 Isolation and ecophys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a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degrading bacterium, Alteromonas sp. SN2, from a crude oil-contaminated tidal flat

        진현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원유는 연안 환경에서 주요한 오염물질로서, 지속적으로 지층으로부터 유출되는 유류 또는 유류유출사고에 의해 연안의 심각한 유류오염이 발생하게 된다. 갯벌환경은 갯벌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풍부도와 다양성에 의존하여 높은 1차 생산능력과 빠른 영양소의 순환속도를 나타내며, 갯벌에서 석유화합물인 원유는 분해되거나 산화되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미생물의 대사과정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유류로 오염된 태안 갯벌이 방향족 탄화수소 분해 미생물의 군집의 저장소가 될 것이라 가정하고, i)유류로 오염된 갯벌환경으부터 다환성 방향족 탄화수소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PAH)를 분해하는 미생물을 농화배양한 후 미생물 군집의 다양성 및 구성을 조사하고, ii)농화배양된 미생물 군집으로부터 다환성 방향족 탄화수소 분해하는 능력을 갖는 단일 미생물을 분리하여 그들의 방향족 탄화수소 분해 능력을 검정하고, iii)대사체분석 및 비교유전체분석을 이용해 방향족 탄화수소의 분해경로와 생태적 생존전략 및 유전적 특성을 파악하고, iv) 유전체의 전반적인 유전자 발현양상 관찰을 통해 생태생리학적 성질을 규명하기 위해 해당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번째 연구에서는 나프탈렌을 단일 탄소원으로 공급하고 바닷물을 배지로 사용하는 환경모방형 농화배양을 구축하였고, 그 결과 농화배양기간동안 다른 미생물군집에 비해 활성이 있는것으로 보이는 Alteromonas sp. SN2를 분리할 수 있었다. 실험실에서 실시된 분해테스트를 통해, Alteromonas sp. SN2는 나프탈렌 이외에 페난스렌, 안트라센 및 파이렌을 분해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유류로 오염되었던 갯벌토양으로 추출된 DNA로부터 방향족 탄화수소 분해에 요구되는 naphthalene 1,2- dioxygenase(NDO) 유전자를 PCR 기법을 통해 검출할 수 있었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오염된 갯벌시료에서 추출한 DNA와 RNA를 사용하여NDO 유전자를 검출한 결과, Cycloclasticus계열의 유전자는 DNA로부터 증폭된 반면에 Alteromona계열의 NDO유전자는 DNA뿐 아니라 RNA에서 조차 검출할 수 있었다. 또한 2년간 현장에서 채취한 갯벌 시료로부터 16S rRNA 유전자 및 NDO유전자의 양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여름보다 겨울에 Alteromonas sp. SN2의 개체수가 20배가 넘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NDO유전자의 활성도 유지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런 결과를 통해 Alteromonas sp. SN2가 유류로 오염된 갯벌 현장에서 겨울과 방향족 탄화수소의 분해의 핵심미생물로서 존재함을 견론지을 수 있었다. 두번째 연구에서는 유류로 오염된 태안으로부터 분리된 Alteromonas sp. SN2가 분류동정학적 관찰에 의해 기존의 Alteromonas 속의 다른 종과는 다른 새로운 종의 미생물로 제시하였다. 그람음성 미생물로서 일반적인 호염미생물의 특성을 갖고 있으나, 다른 종의 미생물들과 다르게 유류로 오염된 갯벌에서 분리되었으며 다환성 방향족 탄화수소를 분해할 수 있는 능력을 보인다. 균주 SN2는 절대 호기성 미생물, 카탈라아제 및 산화제의 활성, 편모 운동성 등의 특성을 갖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온도, pH 및 염도에서 성장실험을 수행하여 균주 SN2가 최적 성장온도 (25?30°C), 최적 pH (pH 7.0?7.5) 그리고 최적 성장염도 (2.0%)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일한 퀴논성분으로는 유비퀴논 8 (Q-8)이 아이소프레노이드 퀴논으로 분석되었으며, 주요 지방산은 C16:1 ω7c and/or iso-C15:0 2-OH, C16:0, C18:1 ω7c 그리고 C12:0 등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전체 유전자의 G+C 함량이 43.5 mol%으로 분석되었고, 계통학적 분석에 의해 16S rRNA gene의 염기서열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같은 속의 Alteromonas 계열의 미생물들과 그룹을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균주 SN2와 16S rRNA유전자와 염기서열이 가장 유사한 세가지 균주 Alteromonas stellipolaris LMG 21861, Alteromonas addita R10SW13 and Alteromonas macleodii ATCC 27126 와 염기서열의 유사도가 97%을 넘지만 DNA-DNA 간의 유사도가 모두 70% 이하(48.7 ± 6.6 %, 24.9 ± 7.5 % and 27.9 ± 8.4 %)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형태학적, 화학적동정실험결과를 통해 기존의 Alteromonas 속의 다른 종과는 다른 새로운 종의 미생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 세번째 연구에서는 유전체 전반의 유전자발현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갯벌과 바닷물에서 strain SN2의 환경에 대한 반응과 생태생리학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네가지 환경적 모방 조건으로 갯벌-나프탈렌, 갯벌-피루빈산, 바닷물-나프탈렌 그리고 바닷물-피루빈산을 구성하였으며, illumine mRNA-seq기법을 사용하여 종합적이고 정량적으로 유전체 전반적인 유전자 발현양상을 평가하였다. 전사체 발현양상은 서식환경에 의한 영향으로 인해 좀더 강력한 클러스터를 형성하였으며, 유전체 전반의 전사체 발현은 탄소원의 영향보다 서식환경에 의한 영향과 더운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KEGG pathway에 cDNA read의 metabolic mapping분석은 strain SN2가 주어진 환경조건과 관계없이 에너지 대사, 전사체의 번역 및 운동성과 관련이 있는 대사조절 유전자들이 네조건 모두에서 높게 나타난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는 strain SN2가 기회주의적 해양 r-strategy 미생물로서 copiotrophic 성질을 보이는 것을 암시한다. 또한 네가지 조건에서 다르게 발현된 유전자 발현패턴의 비교를 통해 네가지 환경적 변이요소(갯벌, 바닷물, 나프타렌, 피부브산)에 의해 strain SN2가 각 환경조건에 특이적으로 조절한 유전자를 검출할 수 있었는데, 방향족 탄화수소 대사를 포함한 스트레스 반응 및 chaperone 단백질과 긴축 운동성 관련 유전자들이 갯벌조건에서 특이적으로 높게 발현된 것을 보아 이들 유전자에 의해 strain SN2가 계절적으로 저온이되는 갯벌 환경에 생태학적으로 적응한 것으로 보여진다. Crude oi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rganic pollutants in coastal environments and the oil contamination is occured regularly by releases of petroleum hydrocarbons and oil spill. Although petroleum hydrocarbon compounds are difficult to be degraded or oxidized, some hydrocarbons are degraded by microbial metabolic process. Because of high primary production and nutrient cycling rates, sea-tidal flats are may rely upon high microbial abundance and diversity. We hypothesized that the oil contaminated Taean tidal flat may also harbor diverse aromatic hydrocarbon-degrading microbial communities. The present study therefore aimed to investigate (i) the diversity and composition of the aromatic hydrocarcon (especially PAH and BTEX)-degrading bacterial populations enriched from the crude oil-contaminated sea-tidal flat on the Taean coast; (ii) the isolation of PAH or BTEX biodegrading bacteria from the enriched bacterial consortia and their aromatic hydrocarbons degradation abilities; (iii) the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 survival strategy of isolates by metabolites analysis and comparative genomic analysis; (iv) the ecophysiological properties by genome-wide transcriptional analysis; (v) and the optimal conditions of variable factors (nitrogen and phosphate) for efficient degradation of pollutants in sea-tidal flats. In the first study, enrichment cultures were established using seawater and modified minimal media containing naphthalene as sole carbon source. The enriched microbial community was characterized by 16S rRNA-based DGGE profiling; sequencing selected bands indicated Alteromonas (among others) were active. Alteromonas sp. SN2 was isolated and was able to degrade PAH (naphthalene, phenanthrene, anthracene, and pyrene) in laboratory-incubated microcosm assays. PCR-based analysis of DNA extracted from the sediments revealed naphthalene dioxygenase (NDO) genes of only two bacterial groups: Alteromonas and Cycloclasticus, having gentisate and catechol metabolic pathways, respectively. However, reverse transcriptase PCR (RT-PCR)-based analysis of field-fixed mRNA revealed in situ expression of only the Alteromonas-associated NDO genes. A qPCR-based two-year data set monitoring Alteromonas-specific 16S rRNA genes and NDO transcripts in sea-tidal flat field samples showed that the abundance of bacteria related to strain SN2 during the winter season was 20-fold higher than in the summer season. Based on the above data, we conclude that strain SN2 and its relatives are site natives? key players in PAH degradation and adapted to winter conditions in these contaminated sea-tidal-flat sediments. Moreover, Alteromonas sp. SN2 was suggested as a new species of genus Alateromonas by invesitigation of taxonomic properties. In second study, a novel PAH-degrading bacterium, strain SN2, belonging to the genus Alteromonas was isolated from sea-tidal flat sediment contaminated with crude oil and its taxonomic properties were characterized using a polyphasic approach. A Gram-staining-negative and moderately halophilic bacterium, designated SN2, capable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biodegradation, was isolated from sea-tidal flat sediment contaminated with crude oil in South Korea. Cells were strictly aerobic, catalase- and oxidase-positive motile rods with a single polar flagellum. Growth of strain SN2 was observed at 4?37°C (optimum, 25?30°C), at pH 6.0?9.0 (optimum, pH 7.0?7.5) and in the presence of 0.5?9.0 % (w/v) NaCl (optimum, 2.0 %). Only ubiquinone-8 (Q-8) was detected as the isoprenoid quinone and summed feature 3 (comprising C16:1 ω7c and/or iso-C15:0 2-OH), C16:0, C18:1 ω7c and C12:0 were observed as the major cellular fatty acids. The G+C content of the genomic DNA was 43.5 mol %.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s showed that strain SN2 formed a distinct phylogenetic lineage within the genus Alteromonas. Strain SN2 was most closely related to Alteromonas stellipolaris LMG 21861T, Alteromonas addita R10SW13T and Alteromonas macleodii ATCC 27126T with the 16S rRNA gene sequence similarities of 99.5 %, 99.3 % and 98.4 %, respectively and their DNA-DNA relatedness values were 48.7 ± 6.6 %, 24.9 ± 7.5 % and 27.9 ± 8.4 %,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phenotypic, chemotaxonomic and molecular features, strain SN2 clearly represents a novel species of the genus Alteromonas, for which the name Alteromonas naphthalenivorans sp. nov. is proposed. The type strain is SN2 (=KCTC 11700BPT =JCM 17741T). In third study, a comprehensive analysis of genome-wide gene expression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cophysiological properties and the environmental behaviors of strain SN2 in sea-tidal flat and seawater. Four environmental mimic conditions consisting of tidal flat-naphthalene (TF-N), tidal flat-pyruvate (TF-P), seawater-naphthalene (SW-N), and seawater-pyruvate (SW-P) were prepared and the genome-wide transcriptional expressions of strain SN2 were comprehensively and quantitatively assessed using an Illumina mRNA-seq approach. The transcriptional profiles were clustered by the habitats (TF-N/TF-P and SW-N/SW-P), not by carbon sources, suggesting that environmental habitat may have more influences on the genome-wide expression of strain SN2. The mapping analysis of the cDNA reads on the KEGG pathway of strain SN2 showed that metabolic and regulatory genes associated with energy metabolism, translation, and cell motility were highly expressed in all four test conditions, implicating copiotrophic properties of strain SN2 as an opportunistic marine r-strategist. The comparison of differential gene expressions showed that strain SN2 has specific cellular responses of strain SN2 to respective environmental variables (tidal flat, seawater, naphthalene, and pyruvate). In addition, the comparison of differential gene expressions displayed that strain SN2 may have ecological fitness traits including aromatic hydrocarbon metabolism to seasonally cold tidal flat habitats by high expressions of stress response and chaperone proteins and twitching motility prote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