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책도구 관점에서 중국 청소년 체육정책 분석 : ‘청소년 체육 13.5계획’과 ‘청소년 체육활동 촉진계획’을 중심으로

        진패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정책도구 관점에서 2차원 정책 분석틀을 구성하여 중국 청소년 체육정책의 가치지향, 정책도구 유형과 특징 그리고 정책 전달체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Rothwell & Zegveld의 정책도구를 적용하여 중국 ‘청소년 체육 13.5계획’과 ‘청소년 체육활동 촉진계획’을 대상으로 3가지의 핵심 연구문제와 9가지의 세분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법, 내용분석법, 그리고 통계분석법을 통해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중국 청소년 체육정책의 비전: ‘청소년 체육 13.5계획’의 비전은 청소년 체육을 강화하고 청소년 체육공공서비스체계를 보완하며 경기체육 예비인재 양성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청소년 체육활동 촉진계획’의 비전은 청소년들의 나날이 증가하는 체육활동 수요를 만족시키는 데 초점을 맞춘다. 중국 청소년 체육정책의 목표: ‘청소년 체육 13.5계획’의 근본 목표는 청소년 체질증강이며, ‘청소년 체육 활동 촉진 계획’의 근본 목표는 청소년들의 체질적 건강수준과 종합적인 자질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중국 청소년 체육정책의 임무: ‘청소년 체육 13.5계획’은 주로 청소년 체육활동, 훈련 및 정책 제도 세 가지 방면의 임무를 포함하였다. ‘청소년 체육활동 추진계획’은 주로 청소년 체육조직 건설, 체육시설 보완, 문화교육 등 임무를 포함하였다. 둘째, 1) ‘청소년 체육 13.5계획’ 정책도구 X차원에서 공급적 측면 정책도구가52.67%로 가장 많았고, 환경적 측면 정책도구가 44.27%, 수요적 측면 정책도구가 3.05%로 가장 적었다. 공급적 측면 정책도구에서 사업 프로그램(34.78%)이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인재육성(24.64%), 기술지원(15.94%), 정보지원(10.14%), 인프라 건설(7.25%), 자금지원(5.80%) 순이었으며, 마지막으로 홍보교육(1.45%)이었다. 환경적 측면 정책도구에서 목표계획(46.55%)이 가장 많았고, 법규관리(27.59%), 전략 거버넌스(24.14%) 순이었으며, 세제혜택(1.72%)은 가장 적었다. 수요적 측면 정책도구에서 정부구매(75.00%)가 가장 많았고, 해외교류(25.00%)가 그 뒤를 이었으며, 서비스 아웃소싱은 없었다. 2) ‘청소년 체육활동 촉진계획’ 정책도구 X차원에서 공급적 측면 정책도구가 60.40%로 가장 많았고, 환경적 측면 정책도구가 33.66%, 수요적 측면 정책도구가 5.94%로 가장 적었다. 공급적 측면 정책도구에서 사업 프로그램(44.26%)이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홍보교육(16.39%), 인재육성(14.75%), 인프라 건설(11.48%)이 뒤를 이었으며, 기술지원(4.92%)과 정보지원(4.92%)이 차지하는 비율이 같았으며, 마지막으로 자금지원(3.28%)이었다. 환경적 측면 정책도구에서 목표계획(64.71%)이 가장 많았고, 전략 거버넌스(23.53%), 법규관리(11.76%) 순이었으며, 세제혜택은 없었다. 수요적 측면 정책도구에서 정부구매, 서비스 아웃소싱, 해외교류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모두 33.33%로 균형을 이루었다. 3) ‘청소년 체육 13.5계획’과 ‘청소년 체육활동 촉진계획’ 두 개 정책도구 X차원에서 공급적 측면 정책도구가 56.03%로 가장 많았고, 환경적 측면 정책도구가 39.66%, 수요적 측면 정책도구가 4.31%로 가장 적었다. 공급적 측면 정책도구에서 사업 프로그램(39.23%)이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인재육성(20.00%), 기술지원(10.77%), 인프라 건설(9.23%), 홍보교육(8.46%), 정보지원(7.69%) 순이었으며, 마지막으로 자금지원(4.62%)이었다. 환경적 측면 정책도구에서 목표계획(53.26)이 가장 많았고, 전략 거버넌스(23.91%), 법규관리(21.74%) 순이었으며, 세제혜택(1.09%)은 가장 적었다. 수요적 측면 정책도구에서 정부구매(50.00%)가 절반을 차지하였고 해외교류(30.00%), 서비스 아웃소싱(20.00%)이 그 뒤를 이었다. 셋째, ‘청소년 체육 13.5계획’이 정부에 전달된 것은 가장 많았고, 학교, 사회가 그 뒤를 이어, 가정에 전달된 것은 1개뿐이었다. ‘청소년 체육활동 촉진계획’이 정부에 전달된 것은 가장 많았고, 사회, 학교가 그 뒤를 이어, 가정에 전달된 것은 2개에 불과하였다. 전체적으로 ‘청소년체육 13.5계획’과 ‘청소년 체육활동 촉진계획’ 두 개 정책이 정부에 전달된 것은 57.04%로 가장 많았고, 학교(22.75%), 사회(19.13%)가 그 뒤를 이어, 가정에 전달된 것은 1.08%로 가장 적었다. 넷째, 중국 청소년 체육정책 시행을 위한 관련 조직 기조는 아래와 같다. 사업연계 방면에서 교육부와 국가체육총국은 청소년 체육의 주요 부서로서 청소년 체육 발전에 사업연계가 존재한다. 또한 중국장애인연합회와 교육부, 국가체육총국, 민정부, 공청단 중앙 사이에도 사업연계가 존재한다. 그리고 국가위생건강위원회, 재정부, 민정부도 국가체육총국과 일정한 사업연계가 존재한다. 그 외에 재정부와 국가체육총국 사이에도 일정한 사업연계가 존재한다. 재정지원 방면에서 교육부, 국가체육총국, 민정부는 중국장애인연합회에 일정한 재정지원을 한다. 그리고 재정부와 국가체육총국, 교육부 사이에도 재정지원이 존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중국 정부가 청소년 체육 정책도구의 선택에 있어서 주로 간접적인 영향을 발휘하는 환경적 측면 정책도구와 추진 역할을 발휘하는 공급적 측면의 정책도구를 중점적으로 활용하였지만, 청소년 체육사업 발전을 견인하는 수요적 측면 정책도구 차원에서의 역할은 매우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책 전달체계를 보면, 중국 정부가 청소년 체육 발전에 주도적인 위치에 있고, 학교와 사회가 청소년 체육 발전을 촉진하는 사명과 책임을 담당하고 있지만, 청소년 체육에 대한 가정의 인도와 모범적인 역할을 소홀히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피아노 전문연주자 과정의 학습내용 인지와 심리적 자질이 음악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 중국 북경 중앙음악대학교 피아노 전공 학생을 중심으로 -

        진패 세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중국은 지난 10여년 동안 중국 대학입시 정원 확대로 예술전공 과목의 점수가 하락하고 지원자가 두 배로 증가했지만 학생의 자질은 역발전 추세를 보였다. 교양과목에서의 성적 부족으로 많은 학생이 대학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강도 높은 훈련과 단기적인 연습에 의존하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탄탄한 음악 실력을 갖춘 학생들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피아노 연주과정에 임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나타나는 피아노 연주 과정의 질적 문제를 파악할 뿐만 아니라 인지적, 심리적 배경뿐만 아니라 실제 피아노 표현력이 발현되는 추세를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음악 표현력을 증진하기 위한 교육적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피아노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피아노 전문 연주과정 이수에 따른 인식과 심리적 자질에 따른 음악적 표현력의 인과성을 밝힘으로써 피아노 교육에 따른 음악적 표현력 향상의 관계성을 규명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수월성을 고려하여 중국의 북경 중앙음악대학 피아노 전공자 100명을 연구대상으로 2021년 06월 11일부터 06월 25일까지 14일간 진행되었고 피아노 전문교육 과정의 인식과 심리적 자질에 따른 인지 변화를 통계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앞선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H1> 학생집단별 인구통계학적 변인은 피아노 연주 과정 인지, 대학생의 심리적 자질, 대학생의 음악적 표현능력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가? <H2> 피아노 전문 연주과정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은 피아노 연주과정에서 대학생의 심리적 자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H3> 피아노 전문연주 과목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이 피아노 전문가 연주과정에서 대학생의 음악적 표현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H4> 대학생의 심리적 자질이 피아노 연주 과정에서 대학생의 음악적 표현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H5> 피아노 연주 교과목에서 피아노 전문 연주 교과목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지는 대학생들의 심리적 질의 중개 역할을 통해 대학생들의 음악적 표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문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의 가변성 검정을 이용하여 검정의 독립변인으로 성별, 학년, 기타 조건을 달리 설정하고, 기술통계, 독립표본 t 검정 및 spss를 이용하여 대학생의 심리적 자질의 대상 변수를 대학생의 음악적 표현력을 검증하였다. 둘째, ANOVA 일원 분산분석과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피아노 전문연주과정의 인지도, 대학생의 심리적 자질, 대학생의 음악적 표현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검정하여 세 변수의 관계와 비율을 탐색하고, 피아노 전문연주과정의 인지도와 대학생의 심리적 자질 검증 대학생의 음악적 표현능력과 상관 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피아노 전문연주 과정의 인지와 대학생의 심리적 자질과 대학생의 음악적 표현력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가설모형을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통해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연구모형을 수립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대학생의 심리적 자질을 중간 변수로 하여 대학생의 음악적 표현능력에 대한 회귀 분석하여 피아노 전문연주 과정의 인지를 검증하고, 각 관련 효과의 타당성을 확인하고 연구 가설 결과를 검증하였다. 위 검증 방법으로 가설이 모두 채택되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아노 연주과정에서 피아노 전문연주 과정에 대한 인식을 구현한 것은 성별과 학년이 다른 학생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둘째, 피아노 연주과정에서 전문 피아노 연주과정의 인지, 대학생의 심리적 자질, 대학생의 음악적 표현능력을 살펴보면 학습 수준이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 셋째, 피아노 전문연주 과정의 인지능력 함양은 대학생들의 음악적 표현능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피아노 전문연주 과정에 대한 인지는 대학생의 심리적 자질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피아노 전문연주 과정에 대한 인지는 대학생의 심리적 자질의 역할을 통해 대학생의 음악적 표현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피아노 전문연주 과정에서 대학생의 인식을 배양한 후, 대학생의 심리적 품질과 같은 다양한 차원은 대학생의 음악적 표현능력에 중요한 예측 효과가 있다. 따라서 대학생의 심리적 자질과 대학생의 음악적 표현력 간의 효과는 전체적 효과는 아니며, 테스트 모델의 결과는 유의하지만 부분적으로는 중간 정도이다. 그러나 결과는 여전히 전문 피아노 연주과정에 대한 인식이 대학생의 심리적 자질을 통해 대학생의 음악적 표현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가설을 확인시켜 줬다. 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 피아노 연주과정은 피아노 이론 과목 공부에도 주력하여 학생의 능력 배양에 중점을 둬야 하여, 교수법 최적화, 교과과정 개선 및 개발 촉진으로 대학생들의 음악적 표현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교수법에 도입하여 학생의 적극성과 학습효과를 이끌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 연구 검증되지 못한 영역이 남아 있으며, 연구 과정의 내용적, 시간적 한계로 인해 이루어지지 않은 한계점은 추후 정리를 통해 향후 관련 학술 분야의 발전과 논의의 확장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 현대도예 기법에 의한 조형 주전자 연구 : 속파기 기법을 중심으로

        진패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15

        자연은 태초부터 인간에게 삶의 터전이었으며, 신성한 대상임과 동시에 경이로움의 대상으로도 인식되었다. 아울러 그 자연은 현재와 미래에도 동경과 신비의 대상이 될 것이므로, 인간의 무한한 관심과 탐구를 유발할 것이다. 이러한 자연 속의 고목, 물, 바위, 바람, 하늘, 달 등의 형태적, 상징적, 조형적 이미지는 어떠한 예술 소재보다도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는 가치가 있다. 그러한 자연의 특징은 현대도예에서 활용되는 기법을 통하여 창작에 제공하는 많은 정신적인 영감의 원천이다. 각양각색의 자연물은 본인의 재해석을 통해 단순화, 형상화되었는데, 특히 본인이 현대도예 기법으로 제작한 조형 주전자에 적용되었다. 말하자면 그것은 자연물의 형태적, 조형적 특징을 바탕으로 추상의 원리에 좀 더 가까이 접근하여 자연물 그대로의 형상의 추구가 아닌 단순화, 추상화, 형상화의 과정을 거친 것이다. 그 결과 현대도예의 소재적 특징의 고찰과 아울러 자연과 인간 사이의 유기적 관계도 예술적인 차원으로 승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표현기법으로는 속파기 기법을 활용하였는데, 그로 인해 다른 기법으로는 표현하기 힘든 형태를 추구할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요변(窯變)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무유 소성기법과 내화갑 소성기법을 택하여 자연물에 가까운 느낌을 표현해보고자 노력했다. Nature has been a lot of human-being's living from the remote times, and recognized as an object of divinity as well as that of awe. Furthermore, the nature would be an object of yearning and mystery, which would evoke man's endless concern and research. The morphological, symbolic, and plastic images of old tree, water, rock, wind, sky, moon, etc. existing in this nature would show up their individual value useful for various expressions rather than any other artistic representation. Such a characteristic of nature is the source of lots of spiritual inspiration dedicated to the creation through useful techniques in the realm of modern ceramic art. The varied natural objects were simplified and represented, which was in particular applied to my artworks such as plastic kettles. It implies the process of simplification, abstraction, and representation quite different from the very shape of natural objects, which was obtained by nearer approaching to the principle of abstraction on the basis of the natural object's morphological and plastic characters. As a result, I could study the property of subject-matter and sublimate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being into the level of art. As rendering technique I used dig-up technique, by which I could produce the kettle's form hardly acquired by other techniques. Besides, I endeavored to express my feelings similar to those of natural objects by selecting non-glazed firing and resisting-fire container firing enough to various changes in the kiln.

      • 방한 중국인 관광객의 현지식당 만족도에 관한 연구

        진패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방한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중국인 관광객의 외식선호와 고객 만족도를 살펴보고 음식의 질, 식당 서비스, 시설은 고객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 목표를 가지고 연구를 실시하였다. 첫째, 방한 중국인 관광객이 식당과 음식에 대해 불만족한 점을 살펴보자고 한다. 둘째, 방한 중국인 관광객이 음식의 질, 식당 서비스, 식당 시설이 전반적인 만족도의 대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자고 한다. 셋째, 방한 중국인 관광객이 현지 식당에 대한 만족도의 연구를 통하여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위의 목표를 가지고 2014년 9월 8일부터 2014년 10월 8일까지 30일 동안 한국에 여행 경험이 있는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오프라인과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18.0을 사용하였다. 먼저, 방한 중국인 관광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였다. 다음으로, 음식의 품질, 시설, 서비스품질, 만족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식의 질은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설은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 품질은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연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어떤 요인이 식당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방한 중국인 대상으로 어떤 요인이 식당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고 음식의 질, 시설, 서비스 품질은 모두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음식의 질은 ‘음식의 맛’, ‘음식의 양’, ‘음식의 품질’, ‘음식의 가격’등을 말하는 것이다. 식당의 시설은 ‘실내 분위기’, ‘위생 및 청결’, ‘식당의 외관’등을 말하는 것이다. 서비스 품질은 ‘서비스의 신속성’, ‘종사원의 전문성’, ‘종사원의 친절성’, ‘고객에 대한 배려’등을 말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그런 요소들은 식당의 만족도에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고 판단된다. 둘째, 음식의 질, 시설, 서비스 품질 중에서 서비스품질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β=.447으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중국과 한국 음식의 종류와 맛이 다르기 때문에 ‘음식의 질’보다는 ‘서비스 품질’이 더 중요하게 된 것이다. 셋째, 한국 식당에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음식의 질, 식당의 시설,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켜야 한다. 특히 서비스 품질은 제일 중요한 요소로 규명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