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산지역 축제를 활용한 한국문화 체험학습 방안 연구

        진경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在当今社会,作为韩国语教育的重要组成部分,韩国文化教育的重要性日益突出。通过对语言和文化的深层次了解,培养学习者良好的沟通能力是外国语学习的最终目标。所谓沟通能力,不仅指正确的使用语法,而且也包括在沟通的同时理解其中所包含的文化信息的能力。 文化教育的方法有很多。本论文以釜山地域祝祭为中心,采用体验学习的方法进行韩国文化教育方案的研究。通过体验学习,能使学习者在亲身参与的过程中,积极主动地接触并运用外国语言,理解外国文化。 本论文针对韩国语高级水平的外国学习者设计了体验学习的教育方案,其理由是祝祭所包含的文化内涵有一定的深度,需要学习者具备基础的韩国语能力和韩国文化知识。第一章绪论部分主要阐述了研究的目的与方法。第二章归纳总结了地域祝祭的类型、种类以及特征。在先行研究的基础上,把地域祝祭分为历史文化祝祭,民俗文化祝祭,生态文化祝祭(生态文化祝祭又细分为自然环境文化祝祭和衣食住行文化祝祭。),大众文化祝祭和产业文化祝祭之后,根据地域、时期、类型等标准,对釜山地域的祝祭进行了分类整理,并且描述了其具体的特征。第三章首先从教育效果的层面上对祝祭和文化教育之间的关系等进行了论述。然后,从文化教育的角度出发拟定了祝祭活动的选择标准。即亲近性,有用性,便利性,持续性。最后,构建出了韩国文化体验学习的教学模式。第四章是以历史文化祝祭,民俗文化祝祭,生态文化祝祭为中心设计的体验学习教育方案。因为大众文化祝祭和产业文化祝祭与其余三个祝祭相比教育意义比较小,所以分别选取了与历史、民俗以及生态文化祝祭相对应的“东莱邑城历史祝祭”,“广安里渔坊祝祭”,“釜山扎嘎其祝祭”作为体验学习的主题内容,按照教学模式制定了相关的教育方案。第五章结论部分对整体内容进行了总结,并且对之后的研究方向提出了建议。 本论文从多方面对地域祝祭进行了论述。但是此方案并没有运用到实际教育活动中,方案的可行性以及对韩国语能力的提升是否有积极作用,还有待进一步的考察与研究。

      • 스크린에서 효과적인 클로즈업(CLOSE-UP) 연기를 위한 방법 연구

        진경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고는 연극배우가 스크린 연기를 함에 있어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 중의 하나를 클로즈업 연기로 보고, 클로즈업 연기에 효과적으로 임할 수 있는 실제적인 방법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서 본 연구자는 1920년대 무성 영화 시대의 영화 이론의 두 축인 몽타주 이론과 포토제니 이론으로부터, 가독적(可讀的)이면서도 자족적(自足的)이라는 클로즈업 쇼트의 상대적인 성격을 도출하였으며, 이 두 가지 상대적인 성격이 하나의 클로즈업 쇼트 안에서 공존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로부터 연구자는 ‘중립 상태(neutralness)'와 ’제스처링(gesturing)' 이 두 가지를 클로즈업 연기의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시하였으며, 이 둘은 어느 쪽이 더 강조되었느냐의 차이가 있을 뿐 하나의 클로즈업 연기 안에서 늘 혼재되어 나타남을 강조하였다. 또한 본 고에서는 무대에서의 연기와는 다른, 스크린에서의 클로즈업 연기만의 특수성을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방법론에 또 다른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클로즈업 연기에 있어서 ‘중립 상태’는 기본 바탕이고 ‘제스처링’은 그 위에 그려지는 그림이라고 볼 수 있다. ‘중립 상태’가 기본 바탕이 되어야 하는 근거는 첫째, 클로즈업 연기는 극중 인물과 관객이 아닌 배우 자신과 관객의 1:1 만남이라는 점이다. 규범 거리의 틀을 깬 비현실적으로 가까운 거리감을 갖게 되는 클로즈업 쇼트에서 관객은 배우에게서 인물이라는 가면을 벗겨내고 배우의 존재 자체, 즉 배우의 영혼을 들여다보게 된다. 이 때의 배우 자신이란 일상의 자신이 아니라 일상의 자신이라는 가면까지도 벗어 버린 보다 순수한 상태, 즉 중립 상태여야 한다. 비어 있는 배우의 얼굴 위에 관객은 자신만의 색깔을 칠하고 싶어 한다는 이유를 논술하고 있다. 둘째는 클로즈업 쇼트에서 관객은 배우의 비어 있는 얼굴에 자신만의 대사를 입히고 자신의 상상의 색깔을 칠하고 싶어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배우가 클로즈업 쇼트에서 과도하게 연기를 하면 관객이 배우의 얼굴을 읽어내려는 의지와 중복되어 연기가 너무 넘쳐나는 결과를 가져 오게 된다. 또한, 클로즈업 연기에 있어서 배우 얼굴의 중립 상태는 뒤따라오는 제스처링을 위한 길을 닦거나, 혹은 미세한 제스처링의 효과를 극대화시켜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클로즈업 연기에 있어서 필수적인 방법임을 본 논문은 지적하고 있다. 후반부에서는 필자가 직접 경험한 스크린의 클로즈업 연기의 경험을 바탕으로 클로즈업 연기의 방법론이 실제적으로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꼼꼼하게 살펴보았다. 예로 든 영화는 <반가운 살인자>, <관계의 종말>, <특별시 사람들>이다. 이 연구로 말미암아 본 연구자는 연극배우가 스크린에서의 클로즈업 연기를 할 때는 전혀 다른 새로운 감각이 필요하며, 그것이 실제적으로도 잘 적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훈련이 뒤따라야 함을 깨닫게 되었다. 스크린 연기를 처음 시작하거나, 본 연구자와 같은 고민을 하고 있는 많은 연극 배우들에게 본 연구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Close-up acting is considered by many stage actors to be one of the most difficult parts of screen acting. In this paper I will look at a number of practical techniques which can be employed by actors who struggle in this area. I have used two theories; ‘montage’ theory and ‘photogenie theory’, to demonstrate that there are two somewhat contradictory characteristics of close-up acting: ‘readable’ and ‘autonomous’. I will also demonstrate how these two characteristics co-exist in a single close-up shot. This paper suggests that ‘neutralness’ and ‘gesturing’ can be effective techniques for close-up acting. It also emphasizes that these two techniques will always be observable in a single close-up shot: in each case, one of the two always being employed to a greater extent. This conclusion has been drawn from observing the unique features of ‘close-up’ screen acting, and not stage acting, which is different. ‘Neutralness’ can be described as a technique by which the actor’s face is used as a ‘blank canvas’, while ‘gesturing’ can be described as a technique by which a ‘picture’ is drawn onto this canvas. In a close-up shot, an audience get to view the actor’s ‘unmasked self’, an experience often described as ‘looking into the soul’ of the performer, due to their unnatural proximity; a proximity made possible only by cinema technology. During the shot, the actor must detach themselves from their ‘real’, everyday self, and attain a ‘neutral’ state. Also, in a close-up shot, the audience will often find that they want to mentally ‘draw’ their own expression lines onto the actor’s face and ‘color it in’ with the colors of their own imagination. Due to this involuntary mental projection on the part of the viewer, even slightly excessive acting can give the impression of over-acting. Another point I want to make in this paper is that ‘neutralness’ is an essential technique in close-up acting as it can be used to ‘set up’ the ‘gesturing’ that follows it, or, also, maximize its effectiveness. The paper finishes, detailing how these two techniques have been applied, drawing from my own experience of close-up acting, using as examples the movies ‘Hi Murderer’, ‘The End of Relation’ and ‘Where are you Going?’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어린이도서관 이용 경험의 의미

        진경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1. 요약 본 연구는 어린이도서관을 다니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어린이도서관을 이용하면서 경험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 영유아 자녀와 함께 어린이도서관을 이용하는 어머니의 경험은 어떤 의미를 갖는가? 본 연구는 C시에 위치한 I 어린이도서관을 다니는 어머니 7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도서관을 매주 1~5회 지속적으로 다니고 있었으므로 심층면담을 통해 경험 연구를 실시하기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3년 6월 11일부터 9월 11일까지 14주 동안 이루어졌으며 개별면담 2회, 집단면담 1회로 연구 참여자당 총 3회를 실시하였고, 주 1~3회 평균 60분 정도 이루어졌다.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전화와 메일을 통해 면담을 실시하였다. 또한 어머니들의 경험을 객관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도서관 사서와 관장과의 심층면담도 1회 60분 정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 자료는 연구 참여자들의 동의하에 녹음하였다. 자료 분석은 주제 분석을 통해 개개인의 경험을 자세히 분석한 후 분류화 단계를 거쳐 마지막으로 의미화과정을 거쳤다. 자료 수집과 자료 분석이 순환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자료 분석의 세 단계는 면담이 일어난 직후에 지속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들이 어린이도서관에서 가장 먼저 경험하는 것은 책이었다. 아이들은 어린이도서관에 항상 구비되어있는 수많은 장서를 통해 자연스럽게 책과 만나게 되었다. 처음 아이들은 책에 관심을 보이지 않고 대부분의 시간을 놀이하는데 보냈지만 점차 책과 가까이하는 시간이 늘어나게 되면서 책과 친해지게 되었다. 어머니들은 아이들이 변화되는 모습을 관찰하게 됨으로써 스스로 책 읽기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어머니 스스로 좋은 책을 선별하는 안목이 생기게 되었다. 또한 어린이도서관의 수많은 장서들은 어머니가 아이의 책을 구입하기 위한 예비단계가 되었다. 아이들이 도서관의 책을 읽으면서 보이는 반응과 어머니 스스로 책에 대한 탐색의 과정을 통해 책을 구입하는 선정기준을 갖게 되었다. 어머니는 어린이도서관에서 아이와 책을 통해 소통함으로써 책이 가진 역할을 이해하고 책으로 놀아주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책이 가진 지식이 아니라 책을 통해 아이와 함께 나누는 교감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어머니의 책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어린이도서관을 통해 매우 큰 변화를 갖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어머니들이 어린이도서관에서 경험하는 것은 사람과의 만남이었다. 어린이도서관을 통해 어머니들은 관계 맺기 시작했다. 처음 책으로 만나 대화를 시작하고 대화 가운데 관계를 맺게 되었고 관계가 형성된 가운데 소통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어머니들은 가정에서 지내는 고립된 생활로 인해 매우 지쳐있었고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이야기 나누기를 원하고 있었다. 어린이도서관의 사람들은 어머니들에게 대화 상대자, 고민상담자, 선생님 등과 같은 이웃으로 서로 교류하고 공감할 수 있는 든든한 벗이 되어주었다. 그 가운데 위로와 격려 나눔과 돌봄이 일어나 어린이도서관을 인간과 마을이라는 따뜻한 사회로 만들어가고 있었다. 또한 아이들도 또래를 만나고 어른을 만나면서 관계를 맺고 소통하는 가운데 놀이와 배움이 일어나게 되었다. 아이들은 또래와 만나고 놀이하는 가운데 서로를 모방하면서 배우게 되었고 어른들과 마주치는 가운데 예절을 배울 수 있었다. 아이들은 육아공동체를 통해서 다른 어머니와 아이들과 함께 놀이하는 가운데 더 큰 즐거움을 맛볼 수 있었고 공동체적인 생활도 경험할 수 있었다. 어린이도서관 안에서 어머니와 아이들은 따로 또 같이 서로의 생활을 영위하고 있었다. 어머니들은 어린이도서관의 안전하고 위생적인 환경에 아이를 마음 놓고 풀어놓을 수 있음으로 휴식을 취할 수 있었고, 아이들도 어린이도서관의 공간에서 스트레스를 풀고 에너지를 발산하며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었다. 따라서 어린이도서관은 어머니와 아이에게 동시에 만족을 주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어머니들은 어린이도서관에서 자신의 잠재력을 발견하고 성장할 수 있었다. 어머니들은 어린이도서관에서 사람들과 관계 맺고 소통하면서 교류하면서 점차 지위를 떠나 나와 너의 만남을 가졌고, 자신의 진솔한 내면의 이야기를 나눌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어머니는 타인과의 대화 속에서 자기 자신을 발견하고 나라는 존재에 대해 인식할 수 있었다. 또한 어머니는 어린이도서관에서 제공하는 교육을 통해서 사회생활로 나올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배움은 어머니가 두려움을 극복하고 자신의 재능과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자신의 재능을 발견한 어머니는 다시 어린이도서관을 위해 자원 활동을 하게 됨으로써 어린이도서관에서 받았던 혜택을 다시 다른 사람들에게 나누어주고 있었다. 그 가운데 어머니들은 자신감을 회복하고 어머니가 아닌 나라는 독립적인 존재로써 일어설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어머니들은 자아실현의 욕구만을 쫓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양육에 대한 욕구도 동시에 충족시켜 나가고 있었다. 어머니와 아이가 항상 함께 해야 하는 상황은 서로 분리가 아닌 합일을 이루게 함으로써 공동의 발전을 이루게 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어머니들은 자원 활동가로 거듭나는 과정에서 아이들의 인정과 공동체의 인정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그것은 어머니의 자존감을 높여주고 일에 대한 만족감과 성취감을 느끼게 해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들은 일을 통해 즐거움을 느끼고, 즐거움을 가지고 다시 일을 하게 됨으로써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

      • 대학영어교재에 나타난 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 조사

        진경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 교양영어수업 중 학습활동에 관한 학생들의 선호도 및 유용도 등이 포함된 학습자의 의견 및 반응을 조사하여 학습자들이 영어수업에 사용하는 교재에 나타난 학습활동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학습활동에 관한 반응 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반응 조사 및 분석을 통해, 교재 개발 및 선정 시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충분히 반영하는 교재가 개발될 수 있도록 실제적이고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