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졸업연주 프로그램 해설 : L.v.Beethoven Piano Sonata Op.109 No.30 R.Schumann Carnaval Op.9 B.Bart?k Suite Op.14

        지의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졸업연주 프로그램 해설 L.v.Beethoven Piano Sonata Op.109 No.30 R.Schumann Carnaval Op.9 B.Bartók Suite Op.14

      • 조나단 에드워즈의 인간론 : 목회상담적 함의

        지의정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칼빈주의 신학과 청교도 신앙을 창의적으로 계승한 조나단 에드워즈의 인간론을 목회상담과 연결하여 목회상담학에 대한 이론적 근간 및 방법론적 통찰, 영혼 돌봄의 원리와 자원을 찾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특별히 에드워즈의 인간이해가 목회상담의 현장에 어떤 유익과 함의를 제공하며 오늘날 한국교회의 목회상담의 정체성과 방향성에 어떤 기여를 하며 도전을 주는지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에드워즈의 인간론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에드워즈의 인간이해는 칼빈주의 인간론을 계승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는 인간은 죄인이며 하나님의 은혜로만 구원받을 수 있는 존재라고 보았다. 둘째, 하나님의 형상을 담지한 존재이자 전인적인 존재라는 인간 이해였다. 인간은 죄로 말미암아 타락한 이후에도 여전히 하나님의 형상을 일부 가지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타락한 인간이 중생하게 될 때 참된 회심과 진정한 신앙은 인격 전체에 어느 부분도 제외되지 않고 영향을 미치며 상호 긴밀하게 연결된 통합적이고 전인적이며 유기적인 존재로 회복된다고 보았다. 셋째, 그는 죄로 타락하여 성향이 변화된 존재로 이해하였다. 원죄론에 발견할 수 있는 중요한 특징은 창조된 인간은 선한 성향을 지닌 존재였으나 아담의 범죄로 인해 악한 성향을 지닌 존재로 변질되고 성향이 변화되었다고 본 것이다. 넷째, 그의 인간론은 일반은총의 영역에서 이성을 긍정적으로 보는 인간 이해였다. 그는 인간의 타락이후 하나님의 형상이 파괴되었지만, 완전히 상실된 것이 아니라고 이해하였다. 그는 일반은총의 영역에서 이성의 빛을 통하여 많은 학문이 발달 되며 하나님의 위대하심을 드러낸다고 주장하였다. 다섯째, 청교도주의와 계몽주의를 결합한 인간이해였다. 에드워즈의 사상은 자연을 무시하지도 파괴하지도 않고 오히려 자연주의 한계를 뛰어넘는다. 여섯째,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철저한 회심과 회개를 통해 그리스도와 연합함으로 마음의 변화와 신앙감정을 갖게 된다고 보았다. 일곱째, 그의 인간론은 실천적인 삶을 성화의 표지로 보는 인간이해였다. 그는 1차 부흥운동을 경험하면서 참된 신앙은 반드시 외적인 실천을 통해서 드러나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이성과 감정이 균형적이고 통합적으로 작용하는 실천적인 삶의 변화를 강조하였다. 에드워즈 인간론의 한계는 개별성과 차이성을 간과한 것이다. 에드워즈는 모든 인류가 아담의 대표성의 원리나 동일성의 원리에 의해 죄인이라는 동일한 신분과 본질을 지녔다고 주장하면서 모든 사람의 공통성을 강조하였지만 반면에 인간의 개별적인 차이를 충분히 인식하고 강조하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현대사회는 남녀노소의 차이나 차별, 세대와 계층 간의 차이, 문화적 다양성, 가치관의 다양성 등이 특징적이다. 이런 현대사회에 그의 인간론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음은 불가피하다. 에드워즈의 인간이해에 대한 목회상담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드워즈의 인간론은 “개혁신학적 관점을 견지하는 인간이해”가 목회상담에 필요하다는 것을 지지한다. 에드워즈는 인간 행복의 기초와 근원이 하나님으로부터 비롯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므로 목회상담자는 내담자의 무의식 속과 의식 속에서 자리 잡은 하나님에 대한 오해와 불신, 부정적인 마음들을 수정하도록 돕고 내담자와 하나님의 관계를 바르게 연결 짓도록 돕는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 둘째, 에드워즈의 인간론은 “하나님의 형상과 관계중심적 인간이해”가 목회상담에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는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한 인간에게서 나타나는 특징의 하나는 모든 관계에서 회복이 일어나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의 원죄론은 우월과 열등의 관계가 아닌, 동등한 관계 속에서 상대방의 아픔과 문제를 공감하고 경청하며, 하나님의 형상인 내담자를 하나님의 사랑으로 섬기는 관계 중심적 상담을 지향해야 할 것을 시사한다. 셋째, 에드워즈의 인간론은 “죄와 병리성의 통합적인 관점”이 목회상담에 필요함을 요청한다. 죄로 인하여 부패하고 파괴된 인간성이 어떠한 양태와 증상의 문제로 드러나는지 정신의학이나 심리학을 포함한 타 학문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통합적인 관점에서 이해할 것을 요청하며 인과론의 패러다임만으로 죄를 규정하지 않도록 요청한다. 넷째, 에드워즈의 인간론은 “하나님을 경험하는 현장으로서 목회상담”으로서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인간의 진정한 변화는 하나님 사랑을 느끼고 경험할 때에만 가능한 것임을 강조한다. 따라서 목회상담자는 내담자가 하나님을 경험하기 위한 중요한 매개자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에드워즈의 인간론은 “감정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목회상담에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통합적이고 전인적인 그의 인간론은 감정의 문제가 지성과 감정과 의지가 전인적으로 통합된 믿음의 문제임을 알려준다. 여섯째, 에드워즈의 인간론은 “칭의와 성화의 균형을 지향하는 목회상담”이 되어야 한다는 방향성을 제시한다. 따라서 수직적 관계와 수평적 관계의 회복을 위해 목회상담자는 칭의와 성화가 주는 유익을 균형있게 이해하고 내담자가 하나님의 온전한 형상으로 회복하도록 도와야 한다. 결론적으로 에드워즈는 인간의 본질, 정체성, 기원, 행복이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고 오늘날의 목회상담이 다시 근원되시는 하나님께로 돌아가야 한다는 엄중한 가르침을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조나단 에드워즈의 인간론과 개혁신학과 목회상담학 을 연결짓는 작업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한국교회의 목회상담운동에 개혁신학적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insight into the theoretical basis and methodology of pastoral counseling and find the principles and resources of care of soul by connecting pastoral counseling to the theory of man by Jonathan Edwards, who inherited creatively the Calvinistic theology and Puritan faith. The investigator, in particular, discusses the benefits and implications of Edwards' understanding of man for the field of pastoral counseling and its contributions and challenges for the identity and directionality of pastoral counseling in today's Korean Church. This study had the following assessments of Edwards' theory of man: first, his understanding of man inherited the Calvinistic theory of man. Edwards believed that men are born sinners and could be saved only by the grace of God; second, his understanding of man was that man is an entity reflecting the image of God and whole person. According to him, men still kept parts of God's image even after they fell low due to their sins. He also argued that when corrupted men were saved, their true convincement and real faith would have impacts on their personality with no parts excluded and be interconnected closely, helping men restore themselves to be integrated, whole, and organic beings; third, he understood that men fell low and had their tendency altered due to their sins. One of the major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theory of original sin is that men had a good tendency when created by God and had their good tendency altered into an evil one due to Adam's sin; fourth, Edwards' theory of man is based on his human understanding of considering reason to be positive in the area of general grace. He understood that God's image was destroyed after the corruption of man but was not lost completely. He maintained that many different disciplines developed through the light of reason in the area of general grace and revealed the greatness of God; fifth, Edwards' understanding of man wa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Puritanism and Enlightenment. His ideas neither disregarded nor destroyed nature, rather going beyond the limitations of naturalism; sixth, Edwards believes that men would have a change of heart and develop a feeling of faith by making an alliance with God through their thorough convincement and repentance in their relationship with him; and finally, Edwards' theory of man is based on the human understanding regarding a practical life as a sign of sanctification. After experiencing the first revivalism, Edwards maintained that true faith should never fail to reveal itself through external practice. He highlighted man's change to a practical life in which reason and emotion would work in a balanced and integrated manner. Edwards' understanding of man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pastoral counseling: first, his theory of man supports the argument that pastoral counseling needs "human understanding based on the viewpoint of reformed theology." Edwards maintained that the basis and origin of human happiness should derive from God, which means that pastoral counselors should help their clients address their misunderstanding, mistrust, and negative ideas of God deep in their unconsciousness and consciousness and make the right relationship with God; second, Edwards' theory of man implies that pastoral counseling needs an "image of God and relation-centric human understanding." According to Edward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men that have been restored to the image of God is that they have a restoration in all of their relationships. Edwards' theory of original sin implies that pastoral counselors should sympathize with and listen to the pain and problems of their clients in equal relations with them instead of superior-inferior relations and be oriented toward relation-centric counseling to serve their clients in the image of God with God's love; third, Edward's theory of man raises a need for an "integrated viewpoint between sin and pathology" in pastoral counseling. It asks pastoral counselors to understand the aspects and symptoms of humanity corrupted and destroyed by sins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by connecting their connections with other areas of science, including psychiatry and psychology, and not to define one's sin only by the paradigm of causationism; fourth, Edwards' theory of man proposes directionality for "pastoral counseling in the field of experiencing God," highlighting that people can have a true change only when they feel and experience God's love. Pastoral counselors thus need to serve as an important medium for their clients to experience God; fifth, Edwards' theory of man emphasizes that pastoral counseling requires a "new paradigm for emotions." His theory of integrated and whole man suggests that the issues of emotions are issues of faith in which intellect, emotion, and will are integrated in a whole person; and finally, Edwards' theory of man proposes directionality for "pastoral counseling oriented toward the balance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Pastoral counselors should thus understand the benefits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in a balanced manner and help their clients restore themselves fully in the image of God to restore their vertical and horizontal relationships. In short, Edwards gives a strict lesson that today's pastoral counseling should return back to God as its root, knowing that nature, identity, origin, and happiness of man stem from his relationship with God.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makes a connection between Jonathan Edwards' theory of man and reformed theology and pastoral counseling and proposed reformed theology-based directionality for the pastoral counseling movement in the Korean Chu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