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과 중국의 리빙스타일디자인에 관한 비교연구 : 아파트 모델하우스를 중심으로

        증묘 숙명여자대학교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의 모델하우스에 대한 리빙스타일디자인을 비교함에 있어서, 양국의 의식주를 담는 기본 생활공간인 아파트에 대한 리빙스타일디자인의 연출 특성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리빙스타일디자인의 개념과 시대적인 유형 및 모델하우스의 구성요소를 기본 이해에 두고, 양국의 모델하우스의 변천 및 현 현황 조사를 통하여 연출에서 기능적 측면과 장식적 측면의 스타일을 비교함으로써, 양국의 리빙스타일디자인의 연출 특성에 대한 선호도 및 연출 유형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 활용과 각국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차이점과 유사점을 좀 더 명확하게 이해하는 척도로 서로의 라이프스타일을 존중하는 의미와 가치를 두는데 목적이 있다.이에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의 리빙스타일디자인에 관한 비교 연구>라고 제목하고, 제1장의 서론, 제2,3,4의 본론, 및 결론으로 구성 된다. <제1장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의의, 범위 및 방법, 선행연구에 관해서 논한다. 또한 본 논문의 시대적 대상이 되는 리빙스타일디자인의 유형은 서구의 실내 장식사에서 있어서 종교를 비롯한 특수 공간이 일반화되어 개인공간에서 장식이 보여지기 시작하는 바로크시대에서부터 현재시점까지 한다. 또한 공간적 대상이 되는 모델하우스는 서울과 상해의 실제적 조사를 통하여 시대적 변천 및 현 현황과 구성요소로 나누어 고찰한다. <제2장 이론적 고찰>에서는 리빙스타일디자인에 기초가 되는 역사적 경위와 유형을 제 1절에서 논하고. 제2절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모델하우스에 관하여 변천 및 현 현황 그리고 리빙스타일디자인의 구성요소에 관하여 고찰한다. <제3장 한국과 중국의 모델하우스에서 리빙스타일디자인의 사례고찰>에서는, 제2장을 근거하여 제 1절에서는 분석 대상과 분석방법 및 분석요소에 관하여 고찰한다. 모델하우스의 조사대상은 각 국의 부동산 회사에서 2012년 아파트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 조사에 의해 선정한다. 분석요소는 모델하우스의 구성요소에 근거한 고찰 대상으로 연출에서 있어서 기능과 장식적 측면의 요소를 1형태/패턴 2재료 3색상으로 분석한다. 분석 방법으로 형태와 패턴은 TTSS 형태환, 재료와 색상은 고바야시의 이미지 스케일을 도입하여 포지셔닝 방법으로 스타일을 분석한다. 나아가 분석 방법의 포지셔닝의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제 2절에서는 사례분석을 위한 예비적 고찰로 바로크시대에서 현재 포스트 모던니즘까지 동ㆍ서양의 시대적 리빙스타일디자인을 고찰함으로써 포지셔닝에 대한 기준을 설정한다. 이러한 분석방법을 통하여 제3절에서는 한국의 모델하우스, 제4절에서는 중국의 모델하우스를 기능과 장식적 연출요소로 나누어 고찰한다. 그리고 제5절 에서 3장의 전체를 정리한다. <제 4장 한국과 중국의 모델하우스에서 리빙스타일디자인 비교>에서는, 사례조사의 비교를 정리하고 있다. 제 1절에서는 모델하우스에 대하여 제 2장의 이론을 근거로 하여 한국은 주민을 위한 문화공간으로 활용하며, 중국은 생활 공간인 아파트로 사후 활용도가 상이하며, 제 2절에서는 공간구성의 비교로 음식문화의 차이에서 오는 한국과 중국의 생활공간구성에 관한 차이점을 발견한다. 제 3 절과 4절은 한국과 중국의 연출에 관한 비교로 기능과 장식적 측면의 스타일을 도출함으로써 한국은 1미니멀 스타일 2 캐주얼 스타일 3하이테크 스타일로, 중국은 1 신고전 스타일 2 미니멀 스타일 3 하이테크 스타일로 리빙스타일디자인에서 선호하는 스타일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도출했다. 제 5 절에서 한국과 중국의 리빙스타일디자인의 요소의 연출 특성에 관한 비교로 유사점과 차이점을 총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제 5장 결론>에서는 이하3항목, 즉, 1. 모델하우스의 사후 관리 비교, 2. 음식문화에 따른 생활공간구성의 비교, 3. 리빙스타일디자인의 연출 선호도 비교에서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본 논문의 결론으로서 논하며, 한국과 중국에서 리빙스타일디자인의 비교를 통하여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연출의 기초적 자료 활용 및 향후 동아시아의 중심시대에 각국의 주거문화에 대한 가치를 이해는 방향으로 본 논문 전체를 맺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