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초등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상담활동 실태 조사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주효림 전주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상담활동 실태와 상담에 대한 인식 및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전라북도 지역에서 근무하는 초등 특수교사 237명을 대상으로 특수교육대상자 상담 활동 실태와 인식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상담 실태를 살펴본 결과 초등 특수학급 담당교사는 특수교육대상자 교육 상담을 월 6회 이상 실시하고, 1회 상담 시 10분 미만의 상담을 실시하였다. 또한 상담 횟수를 지정하기보다는 수시로 상담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 유형은 주로 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것이었으며, 주로 사용하는 기법은 개방적 질문이었다. 상담 전 관련 정보는 학생을 직접 관찰함으로써 얻었으며, 상담 결과는 학생 교육 및 생활지도에 활용하였다. 상담에 대한 만족도와 효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응답자가 많았다. 둘째, 교육 상담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특수교육대상자도 전문적 상담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응답자가 많았다. 전문적 상담 및 전문가의 지원이 필요한 장애유형으로 정서행동장애라고 응답하였다. 상담활동의 바람직한 방향으로는 상담교사(또는 전문기관), 특수교사, 담임교사가 상담 업무를 협력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상담자의 역할로는 학생의 심리적 안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활동 저해요인으로는 특수교육대상자 상담을 위한 전문적 지식 부족을 지적하였다. 셋째, 교육 상담 활성화 방안에 대해 살펴본 결과 특수교육대상자 상담을 위한 교사의 전문적 연수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특수교육대상자 교육 상담에 대한 유관기관의 관심 정도를 묻는 질문에서는 관심이 없다고 느끼는 응답자가 가장 높았다. 특수교육대상자 교육 상담과 관련된 연수 확대는 응답자의 대부분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연수 참석에도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또한 초등 특수학급 담당교사를 위한 지속적 상담 필요성에 대해서 응답자 대부분이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지속적 상담에 참석하겠다는 응답자도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이 논의되었다. 주요어 : 특수교육, 특수교사, 초등학교, 상담활동 및 활성화 방안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real conditions of counseling activity of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For this purpose, 237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Jeollabuk-do region were surveyed about the actual situation of counseling activities, recognition and activation plan of special education subject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after looking at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counseling,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conducted education counseling for special education subjects at least six times a month, and each consultation took less than 10 minutes. Also, rather than limiting the number of counseling sessions, the frequency of counseling rate was high. The type of counseling was mainly about the student's problematic behavior, and the counseling methods mainly used were open questions. Pre-counseling related information was obtained by observing the student in school, and the counseling results were used to educate and evaluate the student's study habits. Many respondents positively perceived the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counseling. Secondly, after examining the awareness of education counseling, many respondents recognized that professional counseling and support were very needed for special education subjects. The type of disability requiring professional counseling and expert support was emotional and behavioral disturbances. The most desirable counseling activities were that counselors (or professional institution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eachers in charge of counseling were required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and the role of counselors should provide psychological stability to students. The lack of specialized knowledge for counseling for special education subjects was the reason why counseling activities were ineffective. Thirdly, a study on the measures to activate education counseling showed that teachers of special education need professional training very much. In addition, when asked about the level of interest of related institutions in education counseling for special education subjects, respondents felt that they were not interested. The expansion of training related to education counseling for special education for subjects was very needed by most of the respondents, and was positive about attending the training sessions. Lastly, most of the respondents have very strong needs for continuous counseling for teachers in charge of primary special education classes, and many were willing to attend continuous counseling. The limitations and future task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 words: Special education, Special education teacher,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activities and activation plan

      • 비대면 업무환경을 위한 코워킹스페이스의 워크스테이션 디자인 연구

        주효림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코로나 시대에 직면함에 따라 사회적 거리두기 일환으로 전 세계 기업에서는 재택근무 및 원격근무 등을 시행하며 비대면 업무환경으로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코로나 19가 종식되더라도 이러한 변화는 근로자와 기업에게 새로운 업무환경으로 변화가 지속 될 것이다. 이에 따른 다양한 분야에서 독립적으로 협업 및 커뮤니티 장소로서의 개방형 구조인 코워킹스페이스 공간은 비대면 업무환경 문화가 일상화된 새로운 소통 방식이 확산됨에 따라 코워킹스페이스의 개방형 업무환경의 구조 역시 변화된 업무 환경에 맞는 솔루션으로 개인 영역의 워크스테이션으로 고려되어 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변화에 따른 코워킹스페이스의 공간적 변화를 살펴보고, 개인적 영역의 업무공간을 위한 현재 코워킹스페이스의 사용자의 행태 및 니즈 분석을 통한 특성을 도출하였다. 도출 되어진 특성으로 사례분석의 요소를 통하여, 워크스테이션 디자인에 적용하며, 코워킹스페이스 공간에 맞는 워크스테이션 디자인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개인적 영역의 특성 도출을 위한 사용자 행태조사에 따른 문제점을 확인하고, 개방형 업무 공간의 사용자 워크스테이션 요구사항을 분석한다. 사용자 니즈를 통한 특성을 도출하였으며, 기능적 특성으로는 이동성, 확장성, 가변성, 모듈성의 4가지 특성을 필요로 하며, 심리적 특성으로는 개인성, 자율성을 요구하는 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As we now face the corona era, the companies all over the world has implemented the telecommuting and remote work as a way of social distancing, resulting in rapid change into non-face-to-face business environment. Even if COVID-19 ends, this change will continue as a new business environment for workers and corporates. Accordingly, the co-working space is the open structure as an independent collaboration and community place in various fields, as the non-face-to-face business environment culture becomes daily life and new communication expands, the structure of open type business environment should also be considered as the work station in personal area in terms of solution that fits the changed business environment. Accordingly, this study reviews the spatial change of co-working space according to the social change, and derives the features through user’s behavior and need analysis of co-working space for the personal business space.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derived features, it is applied in the work station design to suggest the work station design that fits co-working space, which is meaningful. As a research method,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user behavior survey in order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al domain are identified, and the user's work station requirements of the open work space are analyzed.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through user needs. As functional characteristics, four characteristics such as mobility, scalability, variability, and modularity were required, and a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 method requiring individuality and autonomy could be derived.

      • 자산 수익률 분포의 통계적 특징에 대한 실증 연구

        주효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한국 자산 시장의 KOSPI, KOSDAQ, KOSPI200 지수의 수익률 자료를 이용하여 자산 수익률의 정형화된 특징들에 대해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지난 반세기 동안 자산 수익률의 정형화된 특징들에 대한 연구는 많은 논문에서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 자산 수익률은 두꺼운 꼬리 분포(Heavy-Tails), 변동성의 군집화 (Volatility Clustering), Leverage Effect, 자기상관(Autocorrelation) 등의 특징들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특징들이 아직 발전 단계에 있는 한국 시장의 자산 수익률과도 부합되는 결과인지를 살펴보고 한국 시장의 자산 수익률만의 특징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논의해 보고자 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한국 시장의 자산 수익률의 특징을 각 기간별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경제호황기와 불황기에 각 특징들이 변화하는지에 대해서도 함께 살펴 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