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박물관에서의 발달장애인 대상 OBL 프로그램 구안 연구 : 국립민속박물관 주생활 전시물을 중심으로

        주찬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근대 이후의 박물관은 수집, 연구, 보존, 전시에 초점을 두고 문화유산의 전승과 담론을 형성하고, 전파하는 등의 정치적 기능을 하며 오랫동안 권위적인 형태로 자리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대중적인 문화공간이자 교육기관으로서 이용자와 소통하는 사회적 기관으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적 흐름으로 박물관은 전통적인 역할을 넘어서 새로운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박물관이 공동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박물관이 여가 장소를 넘어서 사람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와 같은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인식, 나아가 다양한 공동체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제도적 변화의 필요성과 마주하고 있다. 즉, 박물관의 프로그램을 통해서 다양한 대상이 박물관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박물관이 가정하고 상상했던 평균적이고 표준화된 관람객에 대한 관점에서 벗어나, 신체·물리·경제 등의 이유로 문화적 서비스에 접근하지 못하는 주변화 되고, 소외된 대상의 입장과 권리를 반영하여 더 많은 관심과 배려로서 교육, 접근성, 평등한 기회 등을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박물관에서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위한 접근의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장애를 고려한 박물관 전시 환경, 교육프로그램, 교구재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신체적 장애의 특성에 초점을 둔 전시 환경, 프로그램, 교구재 등이 개발되는 경향이 있으며, 정신적 장애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박물관활동에서 배제 되었던 대상의 권리를 반영하여 박물관의 접근성 확장, 평등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발달장애를 지닌 학습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특성을 반영한 박물관 전시물을 중심으로 하는 OBL(Object-based learning, 전시물기반학습, 이후로 OBL)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인 발달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박물관 프로그램 사례조사 및 OBL의 이론적 배경과 학습과정 등에 대한 문헌조사를 통하여 박물관교육 방법으로서 OBL과 발달장애인 교육 간의 연관성을 탐색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OBL의 적용 방안을 검토하였고, 발달장애인의 박물관활동을 인솔한 특수학급 교사와 인터뷰하여 발달장애인의 실제적 특성, 박물관활동의 효과, 발달장애인에 특화된 프로그램의 요구 등을 조사하였다. 이후 문헌조사를 통해 도출한 설계원칙을 기반으로 프로그램의 초안을 작성하였다. 프로그램과 교육 보조 자료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프로그램 설계 전문가 1명, 박물관교육 전문가 2명, 특수교육 전문가 3명 총 6명에게 내용타당도 검사를 진행 하였으며, 검사 결과의 타당성 따라 수정, 보완하여 최종안을 구안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오브제 탐구, 작품창작, 공유로 구성되는 OBL 학습과정을 바탕으로, 발달장애인의 특성을 반영하여 학습주제 설정과 과제의 구성을 세분화하여 학습자의 수준에 맞춰서 프로그램 및 교육자료를 개발하였다. 먼저, 발달장애를 지닌 학습자가 반복된 실패의 경험이 아닌 과제 완수의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학습자의 사고를 확장하고, 자기표현을 이끌어내는 질문, 교수자의 시범 등과 같은 다양한 스캐폴딩을 제공하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특히 학습자가 전시물 및 학습공동체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다양한 질문을 제시하였다. 또한 발달장애를 지닌 학습자의 활동을 보조하는 안내자료, 실물자료, 활동지 등을 구성하여, 학습자가 박물관활동내용에 대해 예측하고, 복합적인 감각을 활용하여 실물자료와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흥미를 유발하고, 학습자의 내재적 동기를 바탕으로 정보를 탐색할 수 있도록 자료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발달장애인 대상 OBL 프로그램은 전시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오브제 탐구, 창작, 공유 활동으로 구성되며, 이를 통해 발달장애를 지닌 학습자가 자신의 사고를 확장하고, 의견 표현, 소통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경험하며, 다양한 문제 해결 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성취감 향상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museum is an institution where focuses on its function of collection, research, preservation and exhibition traditionally and has formed discourse while playing a role to pass down the tradition and cultural heritage and politically functioning for a long time with its authority. Recently, the importance of museum has been emphasized as a public cultural space, educational institution and social institution where communicate with users. The museum has faced the perception towards its social role such as how the museum can affect the community and people’s lives, overcoming the traditional role, over the boundaries of leisure space and furthermore, encountered its institutional change to satisfy the needs of various communitie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approach to museu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has been suggested and also, exhibition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and teaching materials were developed, considering different kinds of disabilities accordingly. However, it’s likely to develop exhibition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and teaching materials which put emphasis on characteristics of physical disabilities, except for the mental disabili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OBL Education Program for learners with development disability, which focused on the museum objects, reflecting on their characteristics. The correlation between OBL and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conducting literature survey on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case study about definition,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and museum program as well as the research on theoretical background and OBL learning process. The application plan for OBL was examined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interview was carried out with special class teacher who guided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e museum activity to identify their actual characteristics, positive effect of museum activity and necessity of specialized program for them. Based upon the design principle derived from literature survey, the program draft was drawn up and moreover, 5 experts who specialized in the museum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reviewed content validity to secure the adequacy of program and education aids.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ntent validity test, it was revised and completed to draw up a final plan. In conclusion, this study subdivided set-up of learning topic and composition of task in the OBL learning process that consists of object observation, creation of work and sharing and adjusted it depending on the level of learners while reflect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lso, it provided various scaffoldings such as questions to expand the thoughts of learners based on actual materials and encourage self-expression and demonstration of teachers in order that learners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can experience accomplishment of task, not repetitive failure. Especially, the class was structured as the teachers present various questions so that the learners can interact with objects and learning community as well. Also, the information about the order of visit to the museum and its activity were visually structured in order to help learners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to understand better. It’s expected to see that learners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can experience social interaction by expanding their thoughts and expressing their opinions and resolve various problems to promote their sense of accomplishment and furthermore, it could expand the access to museum education for learners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and improve the experience as well in future.

      • 정보 생산자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 연계 정보통신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 2015 개정 고등정보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주찬미 전남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 세계적으로 4차산업혁명에 필요한 역량을 기르기 위해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6년 교육부에서 지능정보사회를 대응하는 중장기 교육정책의 변화를 발표하여 미래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고 중학교 정보 교과를 필수로 지정하는 등 소프트웨어교육을 확대, 강화를 예고했다. 하지만 현재 정보교육은 컴퓨팅 사고력을 기르는데 집중되어 있고 정보통신윤리교육에 확보된 시수는 부족한 상황이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과 함께 디지털 기술을 안전하고 윤리적으로 다루는 윤리적인 부분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보통신윤리교육에도 변화와 강화의 움직임이 필요하다. 한편 시대의 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정보통신윤리교육의 성격도 변화하고 있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정보통신윤리교육은 정보의 소비자가 갖추어야 할 것들을 강조하는 소극적 윤리교육이 대부분이다. 오늘날의 학생들은 정보 이용자이기도 하면서 정보 생산자이다. 따라서 정보 생산자가 갖추어야 할 능력을 강조하는 적극적 윤리교육으로 변화해야 한다. 또한 청소년기의 정보통신윤리교육은 지속적 반복적 교육이 필요하다. 현재 정보통신윤리교육은 초등교육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이와 더불어 고등학교급에서도 지속적 반복적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관련 연구가 시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대상을 고등학생으로 하여 소프트웨어 개발과정과 정보통신윤리교육 연계시킨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내용은 2015 개정 고등정보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구성하였고 정보 생산자를 위한 윤리에 중점을 두었다.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광주지역 A고등학교 B학급 학생 24명에게 3주간 5차시로 적용하였다. 본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 적용한 후의 정보통신윤리의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업 전 사전검사와 수업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정보통신윤리의식 중 존중영역과 책임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이 고등 정보통신윤리교육 프로그램으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 대상 연구라는 점에 차별성이 있고 고등학교 정보교육 현장에서 정보 생산자에 중점을 둔 적극적 정보통신윤리교육을 시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소프트웨어 교육과 윤리교육의 연계를 통해 정보 교과 내 부족한 정보통신윤리 시수를 확보하고 학습의 효과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Many countries in the world are strengthening software education to develop students’ necessary competencie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2016,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a change in mid- to long-term education policy to respond to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suggesting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and foretelling the expansion and reinforcement of software education by designating information as a mandatory middle school subject. However, current information education is focused on cultivating computing thinking skills and lacks the number of hours secured in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In addition to the ability to creatively solve problems using digital technology, ethics of handling digital technology safely and ethically should also be considered. Thus, there is a need for change and strengthening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Meanwhile, the required natur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is changing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imes. Mos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currently implemented is a passive one emphasizing what information consumers should have. Today's students are both information users and information producers. Thus, ICT ethics education should change to an active ethical education emphasizing the abilities that information producers should have. In addition, continued and repeated education is needed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Such education is actively conducted in elementary education, and related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to carry out continued and repeat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ducation at the high school level.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n educational program linking the software development course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with high school students as the research subjects. The curriculum was composed mainly of the 2015 revised higher information education curriculum and focused on ethics for information producers. The developed educational program was applied to 24 students in class B of A high school in Gwangju in 5 sessions for 3 weeks. To identify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a pre- and post-class test and post-class test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is education program. The experiment result showed that the developed educational program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pect and responsibility amo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awareness, confirming that the education was appropriate as a highe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is different in that it is a study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implemented active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focusing on information producers in a high school information education site. By linking software education and ethics education,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by securing the insufficient class hour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in the information subject and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 정신장애인의 자기스티그마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 장애정체감과 동료지지의 이중매개효과

        주찬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의 자기스티그마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장애정체감과 동료지지의 개별 매개효과, 그리고 장애정체감과 동료지지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현재 정신건강 영역은 회복 패러다임에 따라 임파워먼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정신장애인에게는 고정관념, 편견, 차별로 구성된 공공스티그마가 부여되고, 이를 내재화한 정신장애인은 자기스티그마를 갖게 되면서 힘의 맥락에서 임파워먼트가 저하된다. 특히 자기스티그마로 인해 정체성과 사회환경에 대한 반응이 변화하는데, 기존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의 정체성을 ICF 장애 개념에 기반한 개인적 요인과 사회환경적 요인이 상호작용함으로써 구성된 정체성 대신 질병/환자 정체성 또는 대안적 역할로 인한 정체성 변화에 국한하여 논의되었다. 또한, 사회환경인 사회적 지지에 대한 반응은 지지 유형을 세분화하지 않아 면밀한 탐색이 불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앞선 한계를 보완하여 기능적 제한성과 같은 개인적 요인과 장애인을 둘러싼 사회환경의 부적절성에 영향을 받아 구성된 장애인만의 독특한 정체성을 의미하는 장애정체감이 자기스티그마와 임파워먼트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확인하였고, 사회환경으로서 사회적 지지의 일환이자 정신건강 영역에서 강조되고 있는 동료지지가 자기스티그마와 임파워먼트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또한 동료지지가 장애를 바라보는 인식과 태도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에서 장애정체감과 동료지지가 자기스티그마와 임파워먼트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이중매개 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의 자기스티그마는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정신장애인의 자기스티그마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장애정체감과 동료지지가 각각 매개하는가? 셋째, 정신장애인의 자기스티그마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장애정체감과 동료지지가 순차적으로 이중매개 하는가? 연구 모형은 Pearlin 외(1990)의 스트레스 과정 모델(Stress Process Model)을 바탕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가설 검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139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SPSS Process Marcro를 활용하여 개별 매개효과와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면서 부트스트래핑 기법을 통해 매개효과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스티그마는 임파워먼트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정체감은 자기스티그마와 임파워먼트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나, 동료지지는 자기스티그마와 임파워먼트 관계를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정체감과 동료지지는 자기스티그마와 임파워먼트의 관계를 완전이중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따른 이론적 함의는 첫째, 정신장애인의 자기스티그마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및 장애정체감과 동료지지의 관계를 스트레스 과정 모델을 토대로 살펴보았다는 점, 둘째, ICF 장애 개념에 따라 개인적 차원과 사회환경적 차원이 상호작용하여 구성된 정신장애인의 장애정체감을 알아봄으로써 기존의 정신장애인의 정체성 논의를 확장하였다는 점, 셋째, 동료지지의 선행 기제로서 장애정체감의 중요성을 전달하였다는 점이 있다. 본 연구의 실천적 함의로는 첫째, 실천 현장에서 장애정체감에 대한 관심 환기, 둘째, 자기스티그마 감소 및 장애정체감 발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개발 및 진행, 셋째, 지역사회에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공적 장 구축, 넷째, 문화 예술 활동과 같은 지역사회 연계 및 편견 해소 활동 확대를 제안하였다. 개인의 변화만을 촉구하는 반개혁적 논의를 넘어 장애를 구성하는 사회환경의 변화를 도모하기 위해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로는 첫째, 장애정체감과 동료지지 서비스 제공의 법적 근거 마련, 둘째, 당사자 운영 기관 설립, 셋째, 정신장애인 차별 법령 폐지 및 사회 참여 보장 정책 개정, 넷째, 정신장애인 당사자의 정책 결정과 참여 기회 확대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횡단자료를 사용하여 각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설명하지 못한 점, 충분하고 대표성 있는 표본을 확보하지 못한 점, 자기스티그마와 임파워먼트의 내생성을 충분히 통제하지 못한 점, 동료지지의 상호성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한 점을 제시하였으며, 정신장애인은 타 장애 유형과 상이한 현상적 경험을 하여 정신장애인만의 독특한 장애정체감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정신장애인의 장애정체감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전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stigma on empowerment with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disability identity and peer support, and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identity and peer support. As the recovery paradigm is at the heart of the core purpose of mental health services, one of the central values, empowerment, has been emphasized. However,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experience public stigmas, consist of stereotypes,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 If they internalize these public stigmas, they are disempowered according to the context of power. In particular,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experience changes in their identity and responses to the social environment by self-stigma.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only identified disease/patient identity or alternative roles identity, instead of disability identity which is affected by the interactions between personal factors and social factors, based on the ICF concept of disability. Thus, this study verifies whether disability identity, which is a unique identity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influenced by the interactions between personal factors such as a functional limitation and social factors such as an inadequacy of the social environmen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stigma and empowerment. Also, this study verifies whether peer support provided in various forms in recent years as a social environmen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stigma and empowerment.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double mediation between disability identity and peer support in a relationship between self-stigma and empowerment exists in that peer support can be changed by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disability. The research ques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Does the self-stigma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ffect empowerment? Does disability identity and peer suppor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stigma and empowerment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respectively? Does disability identities and peer support have a double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stigma and empowerment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he study model is based on the stress process model of Pearlin et al. (1990). In order to explore the hypotheses, this study conducted a self-reported survey of 139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ccessing rehabilitation center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mediation and double mediation analysis were tested using PROCESS macro for SPSS and a bootstrapping method. The main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stigma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h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empowerment. Second, disability identity complet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stigma and empowerment, but peer support does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stigma and empowerment. Third, disability identity and peer support have a complete double-mediation relationship between self-stigma and empowerment.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verifies the effects of self-stigma on empowerment and the relationship of disability identity and peer support through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stress process model. Second, the study extends the identity discussion of psychiatric disabilities based on the ICF concept of disability. Third, this study delivers the importance of disability identity as a preceding mechanism of peer support.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sability identity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in practice. Second, group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conducted to develop disability identity and to resolve self-stigma. Third, public places to speak out should be provided. Fourth, community based and stigma-reducing activities should be implemented. In order to promote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that constitutes disability,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legal basis to provide services, which promotes disability identity and peer support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the a consumer run drop-in center should be instituted. Third, the law to discriminate against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y should be abolished and the policy to ensure social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y should be enacted. Fourth, opportunities for policy decision making should be guaranteed. Finally, this study has limitations on the fact that the cross data did not expla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There is also the lack of sufficient and representative samples, the lack of sufficient control over endogeneity between self-stigma and empowerment, and the lack of reciprocity on the concept of peer support. In addition, this study delivered the need for follow-up research in that people with a psychiatric disability have different phenomenal experiences than people with other disability types, indicating a unique disability identity.

      • 통합교육 현장에서 장애전담교사와 일반 보육교사의 협력에 관한 경험

        주찬미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order to effectively manage integrated class in the cooperation-oriented space shared between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issue of cooperation is essential because both parties manage different curriculum in the same class. This study aims to inquire about the real requests of the teachers regarding the cooperation process and cooperation itself,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had real experiences (past and present) in the field with integrated class in Centers of Special Needs Childcare. Based on this study purpose, the subjects for inquiry are as follows: 1. Under what circumstances do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choose their profession and manage integrated classrooms. 2. In Centers of Special Needs Childcare, under what performance process do general education teacher s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experience cooperation? 3. What kind of requests do the teachers have for a better cooperation plan? The study participants are composed of 3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3 general education teachers who all have working experience in the integrated class of Centers of Special Needs Childcare. Both parties have management experience of more than two years and also the experience of having worked as a general education teacher for more than two years. As a result, even though teachers have experienced inter-teacher cooperation in different integrated classes, they all present three points in common,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process of becoming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y were mainly motivated by the following reasons: advice or suggestions of some acquaintances, childhood dreams, positive experience of teaching practice at Childcare Centers, experiences of voluntary activities of the past, experiences with family members (there is an impaired member in the family), experience in a university club, personal preference of Childcare Center type, manager's own decision and natural opportunities. Second, in terms of positive experiences of inter-teacher cooperation, they have experienced efficiency in division of labor, more opportunities to communicate, sharing ideas and observation issues regarding children. While in terms of difficult experiences of inter-teacher cooperation, they mentioned examples such as: special education teachers feel as if the role has changed into a mere assistant teacher, unclear division of labor, lack of communication opportunities and difficult IEP sharing. Third, for better cooperation, both parties have expressed a need for improvement in the following areas: decreased proportion of teacher versus special needs child, opening of an on-line site for integrated classes, expansion of workshop and training opportunities, workshop for Childcare Center directors regarding integrated classes, equal incentive for both teachers and expansion of cooperation-related education opportuniti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t asp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 Integrated Classroom is operating while communicating the opportunities are more or effective division of labor in cooperation with the positive experience was, IEP sharing and communication difficulties with the cooperation of negative experiences were. In addition, experience the cooperatio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 was necessary to support in a variety of institutional support and childcare center to a successful cooperation. Two teachers to try and promote the relationship by providing opportunities for dialogue between many important and, 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for disabled children by reducing the rate and percentage of General Education Teacher for the general infant will need to operate. 일반 보육교사와 장애전담교사가 함께 협력하는 공간에서 효과적인 통합반 운영을 하려면 장애전담교사와 일반 보육교사 간 서로 다른 교육과정을 함께 운영해야 하기 때문에 협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통합반 운영을 경험했거나 현재 경험하고 있는 장애전담교사들과 일반 보육교사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그들이 현장에서 겪었던 교사 간 협력에 대한 실제적인 경험을 들어보고, 협력의 과정과 협력과 관련한 교사들의 요구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전담교사와 일반 보육교사들은 어떠한 배경으로 직업을 선택하게 되고 통합반을 운영하게 되는가? 둘째,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의 장애전담교사와 일반 보육교사들은 어떤 실행과정으로 협력을 경험하는가? 셋째, 교사들이 보다 나은 협력을 하기 위한 방안으로 어떤 요구를 가지는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장애통합어린이집의 통합반에서 현재 근무하고 있거나, 근무했던 경험이 있는 장애전담교사 3명과 일반 보육교사 3명으로, 통합반 운영경력 2년 이상을 포함한 보육교사 경력 2년 이상의 교사들로 선정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은 각자 서로 다른 통합학급에서 교사 간 협력을 경험했지만 크게 세 가지의 공통된 범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장애전담교사 및 일반 보육교사가 되기까지의 과정은 지인의 소개나 권유, 어릴 적 장래희망, 어린이집 실습의 긍정적인 경험, 과거 봉사활동 경험, 가족 관련 경험(가족 중 장애인이 있음), 지인의 권유, 과거 동아리 경험, 어린이집 유형에 대한 개인적 선호도, 운영자의 결정 및 자연스러운 기회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사 간 협력을 경험하면서 교사 간 효율적인 업무분담, 많은 대화의 기회, 유아 관찰 관련 사항 공유와 관련한 협력의 긍정적인 경험을 하였고, 장애전담교사가 보조교사가 된 느낌, 불확실한 업무분담, 소통 기회의 부족, IEP관련 공유가 잘 되지 않은 것과 관련해서 협력의 어려움을 경험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더 나은 협력을 위하여 교사 대 장애 유아 비율의 축소, 장애통합 관련 온라인 사이트 개설, 교육의 기회 확대, 장애통합 관련 원장 교육, 동등한 인센티브 지급, 협력관련 교육의 기회 확대가 이루어졌으면 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의 분석을 통해 본 연구의 의의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장애전담교사와 일반 보육교사는 통합반을 운영하면서 소통의 기회가 많거나 효과적인 업무분담으로 협력의 긍정적인 경험을 하였고, IEP공유와 소통의 어려움으로 협력의 부정적인 경험을 하였다. 또한, 협력을 경험한 장애전담교사와 일반 보육교사는 성공적인 협력을 위해서 다양한 제도적인 뒷받침과 어린이집 차원에서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두 교사 간 많은 대화의 기회를 마련하여 관계 증진에 힘쓰는 것이 중요하고, 일반유아 대 일반보육교사의 비율과 장애전담교사 대 장애 유아 비율을 줄여서 운영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대인관계 외상을 경험한 대학생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자아분화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주찬미 명지대학교 통합치료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인관계 외상을 경험한 대학생의 불안정 성인애착(불안애착, 회피애착)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분화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전국에 있는 만 20세부터 만 29세의 대학생 중 대인관계 외상을 경험한 적이 있는 최종 240명을 대상으로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을 바탕으로 SPSS 25.0와 Amos 2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요 변인 간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연구모형 검증 및 매개효과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불안애착, 성인 회피애착, 자아분화, 자아존중감, 외상 후 성장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불안정 성인애착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성인 불안애착이 외상 후 성장으로 가는 직접적인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고, 성인 회피애착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자아분화는 불안정 성인애착과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자아존중감은 불안정 성인애착과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불안정 성인 애착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분화와 자아존중감의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steem on the effects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both anxious and avoidant) on post-traumatic growth in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40 college students aged 20 to 29 who had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in Korea were us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between the main variables using SPSS 25.0 and Amos 29.0 program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nd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xious attachment, avoidant attachment, ego differentiation, self-esteem, and post-traumatic growth were all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Second, when testing whether insecure adult attachment affects post-traumatic growth, the direct path of anxious attachment to post-traumatic growth was not significant, but avoidant attachment was significant. Third, ego differentiation did not significant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Fourth, self-esteem did not significant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Fifth, there was a dual mediation effect of ego differentiation and self-esteem on the effect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on post-traumatic growth.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유아특수교육대상 가족 및 가족지원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주찬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육대상 가족 및 가족지원 관련 국내 연구의 동향을 살피고, 현재까지 이르는 유아특수교육대상 가족 및 가족지원 관련 연구의 흐름과 경향을 파악하여 향후 유아특수교육대상 가족 및 가족지원 관련 연구 분야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유아특수교육대상 가족 및 가족지원 관련 연구를 분석하였고, 학술지 75편과 박사학위 논문 10편을 선정하였다. 해당 연구의 자료 수집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과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활용해 연구 주제와 초록을 수집해 데이터 분석은 소셜 매트릭스 프로그램인 텍스톰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특수교육에서 가족 관련 연구의 게재연도 및 게재편수 현황은 학술지는 2003년부터 2023년까지, 박사학위논문은 1997년부터 2019년에 연구가 게재되었다. 그 중 학술지는 가장 많이 게재된 연도는 2011년, 2019년으로 각 7편씩 게재되었고, 박사학위논문는 1997년, 1998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5년, 2010년, 2012년, 2013년, 2019년에 각 1편씩 게재되었다. 가장 많이 게재된 학술지명은 ‘유아특수교육연구’로 25편 게재되었고, 다음으로 ‘특수교육 아동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특수교육에서 가족 관련 연구의 주요 키워드 출현 동향은 정제 후 추출된 키워드 1335개를 토대로, ‘가족’, ‘부모’, ‘가족지원’, ‘프로그램’, ‘교육’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주요 키워드 출현 빈도 순위에 따라 워드 클라우드로 시각화하여 제시하였다. TF-IDF 분석을 통해 단순히 문서 내에서 키워드 출현빈도가 높아 주요 키워드로 선정되는 오류를 배제하기 위해 진행하여, ‘부모’, ‘가족’, ‘가족지원’, ‘양육’, ‘프로그램’ 등 순으로 높은 키워드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 키워드 간 밀접한 관계를 파악해 동시에 출현하는 키워드 빈도를 알아보는 N-gram 분석으로 빈도 분석 1순위 ‘가족’ 키워드가 출현할 때, ‘탄력’, ‘삶의질’, ‘기능’가 동시에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데이터도 화살표 방향과 크기를 통해 이해하도록 시각화하여 제시하였다. 셋째, 주요 키워드와 다른 키워드 사이에 연결된 정도를 세 가지 차원에서 분석하여 연결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을 확인하였고, 의미연결관계를 시각화하여 주요 키워드들 간 네크워크 속에서 다른 키워드들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면서 중재 역할을 하는 핵심 역할을 수행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2011년과 2019년에 가족 관련 연구가 가장 많이 게재된 결과는 선행연구와 일치하며, 키워드 출현 동향 분석을 통해 유아특수교육대상 가족 및 가족지원 연구가 가족, 가족지원, 부모에게 많은 관심을 두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가족 구성원 간의 다양한 역할과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며, 다양한 가족 구조와 다문화 가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향후 연구에서는 모든 가족 구성원을 포함한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더 포괄적이고 효과적인 가족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하며, 이를 통해 가족 내 역할 분담과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가족 전체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