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배식화예디자인의 기호학적 해석에 관한 연구

        주윤영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21st century, an ecological world view has been on the rise as people became aware of the fundamental limitation of the mechanical view of the world. With it, people turned their interests and attention to nature and environment, in badly wanting and high expectation of Planted Floral Art & Design which uses plants with numerous functions as well as long-lasting vividness. As human beings and nature have evolved, Planted Floral Art & Design also has exhibited excellence in artistic value with high-quality skills and diversified ways of expression. Nevertheless, the fact is that the area has not been recognized or interpreted as part of plastic arts, and thus in need of more academic understanding and researches. Semiotics currently prevalent in all academic areas started to be in the limelight in art history, when post-structuralism coming into Angle-American nations was transformed into post-modernism. In this context, this study views Planted Floral Art & Design as a sign and translates it in a way of semiotics, laying a grounding work for understanding Planted Floral Art & Design. Planted Floral Art & Design is a formative art, and conveys various visual messages to viewers or users through connotational operation as a non-verbal symbolic system, creating new terminology for floral art and design in a way of manipulation, transformation and various compositions. This study intends to interpret this symbolic operation of Planted Floral Art & Design, on the basis of semiotic theory of C. W. Morris. The first chapter of this study tells about backgrounds, purpose, contents and process of this study, and the second chapter describes attributes and definition of Planted Floral Art & Design, helping to understand its concept through looking into other similar areas including horticul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Its history is examined through two areas, the west and Korea. And theory on Planted Floral Art & Design is studied through its componential four elements; plants, culture base, supportive base, and sub-materials. The third chapter reviews, as a basis of interpretation, occurrence and development and two major streams of semiotics. And theory and three areas of semiotics maintained by C. W. Morris, and their relationship are studied. And, interpretation on formative arts in terms of semiotics is also looked into through visual signs, artistic semiotics, and figurative signs. Based on it, I, recognizing Planted Floral Art & Design as sign of formative arts, try to interpret, in three areas of syntactics, semantics, and pragmatics, the process it serves as signs according to its relations with sign vehicle, designatum, interpretant, interpreter. In the final chapter, based on all those research conclusions, I summarize interpretation of Planted Floral Art & Design in terms of semiotics, and come up with ways for diverse possible evolution of Planted Floral Art & Design. With this study, I have endeavored to make Planted Floral Art & Design, a visual representation system that expresses artistic intention of artists with numerous materials, recognized as one sign of formative arts, and to pave the way for its use and receiving process (to viewers or users) in academic field, and thus solidify its place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ecological paradigm and analyze in an objective way. I truly expect that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putting Planted Floral Art & Design on a solid part of floral art and design and encouraging floral artists to create various art works in Planted Floral Art & Design. 오늘날 기계론적 세계관의 근본적인 한계에 대한 자각으로 21세기의 생태론적 세계관이 대두되었다. 이는 자연과 환경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생명의 지속성을 비롯한 여러 가지 특성에 의해 다양한 기능성이 두드러지는 식물체를 주된 매개체로 하는 배식화예디자인에 대한 기대 및 필요성을 점차 높이고 있다. 그와 더불어 인간과 자연의 존재와 함께 발전하여 오늘날 수준 높은 기술과 표현의 다양성을 이룩한 배식화예디자인은 뛰어난 예술성을 보이고 있어 조형예술로서 인정하고 해석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학문적 이해 및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한편 오늘날 모든 학문에 편재하고 있는 기호학이 후기 구조주의가 영미권에 유입되어 포스트모던(Post-Modern)이라는 이름으로 변신을 꾀하면서 미술사에서 새롭게 조명 받기 시작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흐름에 따라 배식화예디자인을 하나의 기호로 보고 이를 기호학적으로 해석하여 배식화예디자인을 이해하기 위한 학문적인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배식화예디자인은 미술의 한 분야인 조형예술로서 조작, 변형 및 다양한 구성을 통해 새로운 화예언어를 창출하여 비언어적 기호체계로서 의미작용을 통해 감상자 혹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시각적 메시지를 전달한다. 본고에서는 배식화예디자인의 이러한 기호작용을 C. W. Morris의 기호학적 이론에 근거하여 해석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Ⅰ장에서는 연구 배경 및 목적과 연구 내용 및 방법을 밝히고 Ⅱ장에서는 배식화예디자인의 속성 및 정의, 원예와 조경 등 유사 분야의 고찰을 통해 배식화예디자인의 개념을 이해하였으며 배식화예디자인의 유래를 서양 및 우리나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어서 배식화예디자인을 구성하는 4가지 요소 즉 식물체, 배양기반, 지지기반, 부소재를 통해 배식화예디자인에 관한 이론을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해석의 근거가 되는 기호학의 발생 및 발전, 그리고 기호학의 두 가지 큰 흐름을 살펴보고 C. W. Morris가 주장하는 기호학의 이론 및 기호학의 3분과와 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시각기호 및 예술기호론과 조형기호학 등을 통해 기호학 관점에서 조형예술의 해석에 관해 간단히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위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C. W. Morris의 기호학 이론 관점에서의 배식화예디자인을 하나의 조형예술 기호로 인식하고 그것을 구성하는 기호매체, 지시대상, 해석내용, 해석자의 관계에 따라 기호로 작용하는 과정을 통사론, 의미론, 실용론으로 나누어 해석하였다. Ⅴ장 결론에서는 각 장의 연구 성과들을 토대로 배식화예디자인의 기호학적 해석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통해 앞으로 배식화예디자인의 다각적인 전개를 제안함으로써 본 연구 전체를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는 식물체 및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작가의 예술적 조형의지를 표현하는 가시적 표상체계의 한 부분인 배식화예디자인을 하나의 조형예술기호로 인식하고 그것이 해석자(감상자 또는 사용자)에게 받아들여지는 과정 및 그것의 사용에 대한 학문적 토대를 마련하여 생태학적 패러다임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서 인식을 굳히고 조형예술의 한 영역으로 인식하고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사유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더불어 이러한 연구를 통해 차후 배식화예디자인이 화예디자인의 한 영역으로 확실히 자리 잡아 화예작가들을 통해 다각적인 배식화예디자인 작품이 창출되도록 하는데 이바지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